KR102474290B1 -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290B1
KR102474290B1 KR1020210094855A KR20210094855A KR102474290B1 KR 102474290 B1 KR102474290 B1 KR 102474290B1 KR 1020210094855 A KR1020210094855 A KR 1020210094855A KR 20210094855 A KR20210094855 A KR 20210094855A KR 102474290 B1 KR102474290 B1 KR 102474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housing
base
cartridg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육훈
Original Assignee
이육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육훈 filed Critical 이육훈
Priority to KR102021009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실내에서 육류 구이시 또는 흡연부스에서 흡연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담배 연기, 고기 냄새 등)를 정화 또는 제거시키기 위한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배출구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a smokler with cartridge type}
본 명세서는 제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내에서 육류 구이시 또는 흡연부스에서 흡연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담배 연기, 고기 냄새 등)를 정화 또는 제거시키기 위한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탁한 연기 또는 냄새를 식탁 각각의 로스터 윗쪽에 설치되는 흡입덕트, 또는 창문 또는 환기시설(환풍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으나, 음식점 등에서 연기 또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여과 또는 제거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육류 등을 구울 때 배출되는 연기 또는 냄새가 의류에 베이게 되므로 식사후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 냄새로 인해 옆사람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한편, 흡연으로 인해 흡연자의 가족이나 간접흡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식당이나 건물 등에서도 별도의 흡연실을 설치하도록 강제 규정하고 있다.
일 예로서, 담배 연기를 물과 습식과 건식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배출하는 방식과, 필터를 이용한 방식으로 연기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과 먼지를 여과하도록 한 흡연부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흡연부스는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담배 연기를 정화 및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데, 공기와 함께 흡입된 담배 연기를 제거할 수 있으나, 담배 냄새 등은 제거할 수 없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고기 냄새, 또는 흡연시 발생되는 담배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연기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79583호(2019.07.05.)에 이동식 제연기가 출원공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실내에서 육류 구이시 또는 흡연부스에서 흡연시 배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정화된 청정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제연기를 보관할 경우 스탠드를 접거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외형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배출구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도록 스윙가능한 복수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임의각도로 전개시킨 전개모드와, 초기위치로 접은 복귀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홀더;
상기 홀더 상면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배출구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실내에서 육류 구이시 또는 흡연부스에서 흡연시 배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탁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정화된 청정공기를 순환시킴에 따라 오염공기로부터 사용자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육류 구이시 발생되는 냄새가 의류에 베이지않게 되어 별도의 방항제를 분사시키는 불편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연기를 보관할 경우 스탠드를 접거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외형부피를 최소화시킴에 따라 별도의 공간확보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연기에서, 일회용 프리필터를 하우징에 탈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연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연기에서, 하우징을 접은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연기에서, 하우징 및 스탠드를 접은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의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연기에서, 베이스를 초기상태로 스윙시킨 상태의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연기에서, 하우징을 접은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연기에서, 하우징, 스탠드 및 베이스를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11);
스탠드(11)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13)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14)가 수용되는 하우징(15);
하우징(15)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여과부재(14)를 통과시켜 배출구(13)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2,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탠드(11)는
베이스(10)상에 돌출형성되는 서포터(17)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결합공(18)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스탠드(19);
하우징(15)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서포터(17a)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스탠드(20);
제2스탠드(20)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제1스탠드(19)에 수납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결합공(18)에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제2결합공(21)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3스탠드(22);
제1,2결합공(18,21)을 선택적으로 일치시켜 고정함에 따라 스탠드(11)의 전체 길이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조정볼트(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는
하우징(15) 및 스탠드(11)를 접을 때 하우징(15)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우징(15)의 외측면 형태에 대응되는 수용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연기를 사용하지않아 임의장소에 보관할 경우, 스탠드(11) 상단에 서포터(17a)가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하우징(15)을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1차로 접은 다음(도 4 참조), 베이스(10)에 형성된 서포터(17)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스탠드(11)를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2차로 접는다.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5)이 하우징(15)의 외측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베이스(10)에 형성된 수용홈(24)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제연기의 부피를 줄이도록 접은 상태에서 임의장소에 보관할 경우 하우징(15)이 베이스(10)에 대해 유동되지않게 되므로 안정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2,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는
베이스(10)위에 휴대용 버너(25)를 올려놓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면이 편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베이스(10) 위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베이스(10)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휴대용 버너(25)를 안착시 한 쪽으로 기울지 않게 되므로 휴대용 버너(25)위에 올려지는 음식물을 안정된 상태에서 조리할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도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14)는
흡입구(12)의 외측으로 하우징(15) 바닥면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도 2 참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일회용 프리필터(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베이스(10) 위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육류(삼겹살 등)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삼겹살 등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먼지, 또는 냄새 등이 송풍팬(16)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5)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구(12) 외측으로 하우징(15) 바닥면에 교체가능하게 형성된 일회용 프리필터(26)에 의해 먼지 등을 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5)은
조리시 하우징(15)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의 탑커버(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베이스(10) 위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하우징(15)에 내설된 송풍팬(16), 휴대용 버너(25) 위의 피조리물을 조사하도록 하우징(15)에 형성되는 라이트(미 도시)의 점등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14)는
배출구(13) 앞쪽에 장착되는 홀더(28)에 교체가능하게 수용되고, 프리필터(26)를 통과한 후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미세입자필터(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베이스(10) 위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육류(삼겹살 등)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송풍팬(16)의 흡입력에 의해 삼겹살 등을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먼지, 또는 냄새 등을 프리필터(26)에 의해 하우징(15) 내부로 흡입하여 1차로 여과시킨 후, 하우징(15)의 배출구(13)측에 형성된 미세 입자필터(29)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한 후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하우징(15)의 흡입구(12)측에 설치되고 송풍팬(16)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일회용 프리필터(26) 및 배출구(13)측에 설치되고 인체에 유해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미세 입자필터(29)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5)은
하우징(15) 바닥면에 장착되고, 휴대용 버너(25)에 의해 조리되는 피조리물(일 예로서, 삼결살 등의 육류를 말함)을 조사시키는 조명등(미 도시)을 이물질(비산되는 먼지 등)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원호 형태의 조명 커버(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베이스(10) 위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육류(삼겹살 등)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하우징(15) 바닥면에 장착된 조명 커버(30)에 의해 커버링되는 조명등이 휴대용 버너(25) 위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5)의 조명등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휴대용 버너(25) 위에서 조리되는 음식물 상태(시커멓게 타거나 또는 덜 익게 구워지는 상태를 말함)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 커버(30)에 의해 조명등을 커버하게 되므로, 휴대용 버너(25) 위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연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송풍팬(16)의 흡입력에 의해 하우징(15)에 흡입시 조명등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6은 베이스(10)에 올려지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피조리물(일 예로서, 삼겹살 등을 말함)을 조사하도록 하우징(15)에 형성되는 라이트용 PCB이고, 37은 송풍팬(16) 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PCB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제연기의 전체 높이(즉 베이스(10) 상면과 하우징(25)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말함)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베이스(10)의 서포터(17)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제1스탠드(19)에 형성된 제1결합공(18)과, 하우징(15)의 서포터(17a)에 상단이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제2스탠드(20)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3스탠드(22)의 제2결합공(21)을 선택적으로 일치시킨 후(즉, 제1스탠드(19)에 수납되는 제3스탠드(22)를 승강시켜서 일치시킴), 일치되는 제1,2결합공(18,20)에 조정볼트(23)를 결합시켜 고정함에 따라 스탠드(11)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연기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하우징(15) 및 스탠드(11)를 접어서 외형부피를 줄여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 위에 휴대용 버너(25)를 안착시키고, 스탠드(11) 상단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15) 바닥면이 휴대용 버너(25)와 대향되도록 전개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한 후,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스탠드(11) 상단에 서포터(17a)가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하우징(15)을 힌지핀(미 도시)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접게 되며, 조정볼트(23)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제3스탠드(22)를 제1스탠드(19)에 삽입시켜 제1,2결합공(18.21)을 선택적으로 일치시켜 조정볼트(23)를 체결함에 따라 스탠드(11)의 전체 길이를 줄이게 되며,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스탠드(19) 하단을 베이스(10)의 서포터(17)에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시킨 힌지핀(미 도시)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접게될 경우, 하우징(15) 외측면이 베이스(10)의 수용홈(24)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5) 및 스탠드(11)를 접어 외형 부피를 줄인 제연기를 임의장소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도록 스윙가능한 복수개의 베이스(31,31a);
베이스(31,31a)를 임의각도로 전개시킨 전개모드와, 초기위치로 접은 복귀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홀더(32);
홀더(32) 상면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11);
스탠드(11)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13)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14)가 수용되는 하우징(15);
하우징(15)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여과부재(14)를 통과시켜 배출구(13)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6,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탠드(11)는
하우징(15) 및 스탠드(11)를 접을 때 스탠드(11)가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연기를 사용하지않게 되어 임의장소에 보관할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홀더(32)에 스윙가능하게 지지된 베이스(31,31a)를 스윙시켜 중앙쪽으로 복귀시킨 다음(11자 형태를 이룸), 스탠드(11) 상단에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하우징(15)을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접게 되며,
도 9에서와 같이, 베이스(31,31a)를 스윙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32)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스탠드(11)를 힌지핀(미 도시)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눕힘에 따라, 하우징(15)이 스탠드(11)에 접히게 되고 스탠드(11)가 베이스(31,31a)에 접힌 상태이므로 제연기의 외형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홀더(32)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상판(34) 및 하판(35)을 포함하되,
하판(35) 및 상판(34) 사이에서 베이스(31,31a)를 스윙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31,31a)의 상면(31b) 내측단에 상판(34)의 외측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상판(34) 및 하판(35)을 포함하는 홀더(32)를 중심으로 베이스(31,31a)를 스윙시켜 외측방향으로 전개시키거나, 또는 초기상태(11자 형태를 이룸)로 복귀시킬 경우, 타원형태의 상판(34)의 외측면 곡률과 베이스(31,31a)의 상면 내측단이 동일한 곡률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상판(34) 외측면의 곡률과, 이와 대응되는 베이스(31,31a) 상면 내측단의 곡률이 동일하게 되므로 홀더(32)를 중심으로 베이스(31,31a)를 스윙시켜 전개 또는 초기상태로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휴대용 버너(25) 등의 화구(火具) 종류또는 사이즈에 따라 베이스(31,31a)를 홀더(32)를 중심으로 하여 스윙시켜 임의각도로 전개시킬 수 있다.
임의각도로 벌려진 베이스(31,31a) 위에 안착되는 휴대용 버너(25)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하우징(15)에 수용된 송풍팬(16)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 또는 연기를 하우징(15)의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5) 내부로 흡입하여 여과시킨 후, 배출구(13)를 통해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31,31a)를 스윙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32)와, 하단이 홀더(32)에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단일체로 이루어진 곡면형태의 스탠드(11)를 제외한 구성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
11; 스탠드
12; 흡입구
13; 배출구
14; 여과부재
15; 하우징
16; 송풍팬
17; 서포터
18; 제1결합공
19; 제1스탠드
20; 제2스탠드
21; 제2결합공
22; 제3스탠드
23; 조정볼트
24; 수용홈
25; 휴대용 버너
26; 프리필터
27; 탑커버
28; 홀더
29; 입자필터
30; 조명커버
31; 베이스
32; 홀더
33; 조명 커버
34; 상판
35; 하판

Claims (11)

  1.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배출구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
    상기 하우징 및 스탠드를 접을 때 하우징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우징의 외측면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하우징은 조리시 상기 하우징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의 탑커버;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 장착되고, 휴대용 버너에 의해 조리되는 피조리물을 조사시키는 조명등을 보호하기 위한 원호 형태의 조명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 상에 돌출형성되는 서포터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결합공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스탠드;
    상기 하우징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서포터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스탠드;
    상기 제2스탠드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스탠드에 수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공에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제2결합공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3스탠드;
    상기 제1,2결합공을 선택적으로 일치시켜 고정함에 따라 상기 스탠드의 전체 길이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조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접지되도록 스윙가능한 복수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임의각도로 전개시킨 전개모드와, 초기위치로 접은 복귀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홀더;
    상기 홀더 상면에 하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 상단에 바닥면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 및 냄새를 여과 및 탈취시킨 청정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여과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배출구로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
    상기 스탠드는 상기 하우징 및 스탠드를 접을 때 상기 스탠드가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판 및 상판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를 스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면 내측단에 상기 상판의 외측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094855A 2021-07-20 2021-07-20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KR10247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55A KR102474290B1 (ko) 2021-07-20 2021-07-20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55A KR102474290B1 (ko) 2021-07-20 2021-07-20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290B1 true KR102474290B1 (ko) 2022-12-06

Family

ID=8440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55A KR102474290B1 (ko) 2021-07-20 2021-07-20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2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984U (ko) * 2009-04-02 2010-10-12 나원택 휴대용 제연장치
KR20160064833A (ko) * 2014-11-28 2016-06-08 (주)신영포엠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KR20210022253A (ko) * 2019-08-20 2021-03-03 설철환 연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984U (ko) * 2009-04-02 2010-10-12 나원택 휴대용 제연장치
KR20160064833A (ko) * 2014-11-28 2016-06-08 (주)신영포엠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KR20210022253A (ko) * 2019-08-20 2021-03-03 설철환 연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6232A (en) Ash tray device
AU646676B2 (en) Smoker's booth
KR101611953B1 (ko)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US20110155150A1 (en) Air Smoke Refresher
KR20150095491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474290B1 (ko)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KR20180065226A (ko) 공기청정 지능형 흡연부스
KR200476055Y1 (ko)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JPH10241455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US6190439B1 (en) Method and device to eliminate or reduce décor damaging fragrant candle emissions
JP6944695B2 (ja) 消臭装置
US4770679A (en) Dust filter for toilet tissue
KR20150095490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5221A (ko) 휴대용 방향 제연기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NL1018585C2 (nl) Inrichting voor het afzuigen van rook.
JP2000245430A (ja) 携帯式の喫煙用具
JP2525829Y2 (ja) 照明付き空気浄化装置
JPH07317342A (ja) 間接喫煙を完全に阻止する構造の移設自在な喫煙ボッ クス
JPH05301010A (ja) 電気吸煙機
KR102622944B1 (ko) 휴대와 설치가 간편한 실내 구이용 제연기
KR20160134974A (ko)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
JPH06269492A (ja) 煙草用脱臭機
KR102602481B1 (ko) 멀티팬 구조의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