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274A -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274A
KR20210120274A KR1020200036763A KR20200036763A KR20210120274A KR 20210120274 A KR20210120274 A KR 20210120274A KR 1020200036763 A KR1020200036763 A KR 1020200036763A KR 20200036763 A KR20200036763 A KR 20200036763A KR 20210120274 A KR20210120274 A KR 20210120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sk
sterilization
cover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준
최인규
Original Assignee
박세준
최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준, 최인규 filed Critical 박세준
Priority to KR102020003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274A/ko
Publication of KR2021012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묻은 오염물질(초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 및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특히, 마스크 사용자의 호흡이나 비말(飛沫)등에 의해 마스크에 발생한 습기 및 악취에 대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크가 삽입되는 안착공간부를 내부에 갖는 본체 및 커버가 마주하여 접이되도록 힌지(1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안착공간부 바닥면에 지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부에 내재된 마스크를 살균하는 다수의 살균램프가 구비된 살균프레임과;
상기 살균램프로 전원을 공급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수단;
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본체 및 커버의 안착공간부 바닥면에는,
마스크를 받쳐 안착공간부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마스크받침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안착공간부와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안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와 연결되는 건전지(131);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건전지(131) 및 살균램프를 제어하는 스위치(132);
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와 연결되는 USB포트;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USB포트 및 살균램프를 제어하는 스위치(132);
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순환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안착공간부에 고정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스위치;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마스크에 묻은 오염물질(초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 및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특히, 사용자의 호흡이나 비말(飛沫)등에 의해 마스크에 발생한 습기 및 악취에 대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PORTABLE MASK DRYER WITH STERILIZATION FU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묻은 오염물질(초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 및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특히, 마스크 사용자의 호흡이나 비말(飛沫)등에 의해 마스크에 발생한 습기 및 악취에 대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대기(大氣) 중에 잔존(殘存)하는 매연, 꽃가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깨끗이 정화된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도록 마스크를 사용해 왔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인체에 큰 질환을 일으키는 초미세먼지로 인해 마스크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으며, 사스(SARS), 메르스(MERS), 특히, 코로나-19(COVID-19)의 발생으로 인하여, 마스크는 연중(年中) 착용해야 하는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마스크는 세탁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한 면포(綿布) 소재이거나, 근래에는 사용 후 폐기하도록 부직포 소재의 일회용 마스크가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각종 소재의 마스크는 그 특성상, 단시간의 사용으로도 마스크에 습기가 쉽게 형성되고, 세균, 바이러스 등이 번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직후, 습기, 세균 및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제거하지 않으면 건강에 악영향을 주고, 악취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단시간만 사용한 마스크를 관리소홀로 쉽게 폐기하는 경우, 현재와 같이 마스크의 사용이 빈번한 시기에는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환경적으로도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경우, 호흡기질환은 물론, 피부트러블 등과 같은 2차적인 문제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
'트레이형 자외선 살균기'(공개특허 제10-2011-0098394호)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긴 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마스크의 관리 수단이 단순히 미비(未備)한 살균에 국한 되어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비말(飛沫)등으로 인한 습기, 악취 등의 제거 기능은 결여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부족함이 많다.
따라서, 마스크를 사용함에 있어서,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마스크에 대한 용이하고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하고, 특히, 강제환기에 의한 탈취 및 건조가 동시에 진행되어 습기, 악취 등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구현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98394호(2011.09.01.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크에 묻은 오염물질(초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 및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특히, 사용자의 호흡이나 비말(飛沫)등에 의해 마스크에 발생한 습기 및 악취에 대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가 삽입되는 안착공간부를 내부에 갖는 본체 및 커버가 마주하여 접이되도록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안착공간부 바닥면에 지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부에 내재된 마스크를 살균하는 다수의 살균램프가 구비된 살균프레임과;
상기 살균램프로 전원을 공급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수단;
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본체 및 커버의 안착공간부 바닥면에는,
마스크를 받쳐 안착공간부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마스크받침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안착공간부와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안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와 연결되는 건전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건전지 및 살균램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와 연결되는 USB포트;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USB포트 및 살균램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순환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안착공간부에 고정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스위치;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마스크에 묻은 오염물질(초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 및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특히, 사용자의 호흡이나 비말(飛沫)등에 의해 마스크에 발생한 습기 및 악취에 대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 및 커버가 접혀진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 및 커버가 펼쳐진 전체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 A 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 - B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마스크가 놓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마스크가 놓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마스크가 놓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고정바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마스크가 내재된 후 본 발명의 본체 및 커버가 접혀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에 공기순환수단이 포함된 분해 사시도.
도 14는 공기순환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5는 공기순환수단이 포함된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
도 16은 공기순환수단이 포함된 본 발명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110), 살균프레임(120), 전원공급제어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1)와 커버(112)로 이루어지는데, 마스크(M)가 삽입되어 놓이는 안착공간부(S)를 각각 내부에 갖는 본체(111) 및 커버(112)가 마주하여 접이되도록 힌지(1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본체(111) 및 커버(112)의 안착공간부(S) 바닥면에는, 마스크(M)를 받쳐 안착공간부(S)의 바닥면으로부터 마스크(M)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마스크받침돌기(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받침돌기(114)의 상단부는 상기 살균램프(121)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되 안착공간부(S)의 상측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케이스(110)가 접혀질 때, 마스크(M)가 안착공간부(S) 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살균램프(121)의 자외선이 마스크(M)의 표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조사(照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각 마스크받침돌기(114)는 상기 살균프레임(120)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면서 상호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마스크받침돌기(114)의 상단부에 놓이는 마스크(M)를 좀 더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유도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와 커버(112)가 상호 마주하여 접하는 각 측면 중앙부에는 기다랗게 함몰된 형상의 중앙받침부(118)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중앙받침부(118)는 케이스(110)가 펼쳐졌을 때 상기 마스크받침돌기(114)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상기 마스크(M)가 안착공간부(S)에서 굴곡 없이 평평하게 지지되도록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살균 및 건조 작동 중, 자외선이 마스크(M)의 표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조사되도록 유도하면서, 마스크(M)의 외형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M)는 습기가 포함된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되거나 신속하게 건조되지 않으면 오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M)의 외형에도 쉽게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것이 성능의 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받침부(118)의 형상으로 인하여, 도 1의 '나'에서 처럼 본체(111)와 커버(112)가 마주하여 접혀졌을 때, 두 중앙받침부(118)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기다란 사각형상의 측면환기공(11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환기공(119)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 또는 배출됨으로써, 마스크(M)에 대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면에는 다수의 케이스받침돌기(116)가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10)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본체(111) 및 커버(112)의 안착공간부(S) 바닥면에는 외부와 통공되는 다수의 통기공(117)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통기공(117)으로 인하여 마스크(M)에 대한 건조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케이스받침돌기(116)는 상기 케이스(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유지하여 통기공(117)으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받침돌기(116)는, 지면과 케이스(110)가 상호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케이스(110)에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하므로, 오염물질이 마스크(M)에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받침돌기(116)는 본체(111) 및 커버(112)의 외부 바닥면 모서리부 주변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2)의 중앙받침부(118)와 대향하는 커버(112)의 측면부위에는 고정돌기(1128)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111)의 중앙받침부(118)와 대향하는 본체(111)의 측면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1128)가 걸리어 고정되는 고정홈(11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1128)가 상기 고정홈(1116)에 걸리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11)와 커버(112)를 상호 마주하도록 접었을 때, 본체(111)와 커버(112)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의 내부에는, 본체(111)의 내부를 상기 안착공간부(S)와 제1수납공간부(1111)로 구획 분리하는 제1분리판(1112)이 본체(111)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납공간부(1111)는 상측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분리판(1112)의 상단부는 상기 안착공간부(S)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아래에 설명할 마스크고정바(115)가 안착공간부(S)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본체(111)와 커버(112)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수납공간부(1111)의 상측에는 개구된 공간을 덮는 제1덮개(1113)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덮개(1113)에 힌지부(1153)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1153)에 상기 마스크고정바(115)의 단부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수납공간부(1111)의 내주면 상측 둘레에는 단턱부(未圖示)가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1113)의 하단부 둘레가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1113)의 상면에는 개폐홈(1117)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홈(1117)을 이용하여 상기 제1덮개(1113)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마스크고정바(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에 내재된 마스크(M)의 중간부위를 지지하거나 해지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 일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마스크고정바(115)는, 상기 힌지부(1153)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151)와 상기 연결부(1151)에서 직각으로 연이어지는 연장부(1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1151)는 단면이 수평으로 얇은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1152)는 단면이 원형인 봉(棒)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연결부(1151)가 상기 제1덮개(1113)의 상측 공간에서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상기 연장부(1152)가 회전 시 마스크(M)의 표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마스크(M)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마스크(M)가 접혀졌을 때 마스크(M) 양측 사이가 이격되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살균 및 건조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장부(1152)의 단면이 원형이며 일정두께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장부(1152)의 회전 시, 마스크(M)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접혀진 마스크(M)의 양측이 연장부(1152)의 직경만큼 상호 이격되어 충분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및 자외선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스크고정바(115)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마스크고정바(115)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연장부(1152)가 마스크(M)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마스크고정바(115)는 앞에서 언급한 마스크고정바(115)의 기능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공간부(1111)에는 아래에 설명할 전원공급제어수단(130)의 건전지(131)가 삽입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2)의 내부에는 커버(112)의 내부를 상기 안착공간부(S)와 제2수납공간부(1121)로 구획 분리하는 제2분리판(1122)이 커버(112)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수납공간부(1121)는 상측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상측 개구된 공간에 제2덮개(1123)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수납공간부(1121)의 내주면 상측 둘레에는 단턱부(未圖示)가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1123)의 하단부 둘레가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덮개(1123)의 상면에는 개폐홈(1117)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홈(1117)을 이용하여 상기 제2덮개(1123)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살균프레임(12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 바닥면에 지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부(S)에 내재된 마스크(M)를 살균하는 다수의 살균램프(12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살균프레임(120)은, 기다란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살균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살균프레임(120)의 상면에 다수의 상기 살균램프(12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각 살균램프(121)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살균프레임(120)의 내부를 따라 내재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다수의 살균프레임(12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안착공간부(S)의 바닥면에 지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램프(121)는 자외선이 보다 광범위하게 조사(照射)되도록 확산커버(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확산커버(122)는 살균램프(121)를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반구(半球)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내부가 확산물질로 채워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살균램프(121)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확산커버(122)를 통과하면서 더 광범위하게 확산되므로, 마스크(M)에 대한 살균효율이 증가한다.
전원공급제어수단(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램프(121)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121)와 연결되는 건전지(131)와,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건전지(131) 및 살균램프(121)를 제어하는 스위치(132)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본체(111)의 제1수납공간부(1111)에는 상기 건전지(13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12)의 제2수납공간부(1121)에는 중앙처리장치(CPU)(160)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상면에는 상기 스위치(132)가 구비되는데, 건전지(131), 중앙처리장치(160), 스위치(132) 및 살균램프(121)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32)의 상단부는 상기 제2덮개(1123)를 통과하여 제2덮개(1123)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제2덮개(11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132)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을 휴대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130)은,
상기 케이스(110)의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121)와 연결되는 USB포트(133)와,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USB포트(133) 및 살균램프(121)를 제어하는 스위치(13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부연하면, 상기 본체(111)의 제1수납공간부(1111)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USB포트(133)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112)의 제2수납공간부(1121)에는 중앙처리장치(160)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상면에는 상기 스위치(132)가 구비되는데, USB포트(133), 중앙처리장치(160), 스위치(132) 및 살균램프(121)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충전 후, 본 발명을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신속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정리해보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1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공간부(S)에 마스크(M)를 올려둔다.
그리고 스위치(132)를 작동시키면, 중앙처리장치(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살균램프(121)가 점등되는데, 이때, 상기 안착공간부(S)에 설치된 마스크받침돌기(114) 및 중앙받침부(118)에 의해 마스크(M)가 안착공간부(S)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살균램프(121)의 자외선이 용이하게 조사(照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특히, 본 발명의 확산커버(122)로 인하여 살균램프(121)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마스크(M)의 표면에 중첩(重疊)되면서 더욱 넓은 표면에 분포되므로, 살균효율이 증가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케이스(110)는 케이스(110)받침돌기에 의해 바닥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케이스(110)에 형성된 통기공(117)을 통해 마스크(M)의 하부공간으로도 공기가 순환하므로 자연스럽게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마스크고정바(115)를 회전시켜 마스크(M)를 상기 안착공간부(S)에 고정시키고 마스크(M)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110)를 접고 사용자의 의복이나 가방에 휴대한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한데, 상기 마스크고정바(115)를 이용하여 마스크(M)를 안착공간부(S)에 고정시키고, 스위치(132)를 작동시킨 후, 본체(111)와 커버(112)가 마주하도록 상기 케이스(110)를 접음으로써, 휴대 중에도 마스크(M)에 대한 살균 및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접혀진 본 발명의 측면에는 앞서 설명한 장공(長空)형상의 측면환기공(1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의복이나 가방의 내부에서도 충분한 건조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더욱 신속한 건조를 위해 공기순환수단(14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공기순환수단(140)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와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110) 커버(112)에 고정 설치되는 송풍팬(141);
상기 송풍팬(141)을 구동시키는 모터(142);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142)를 구동시키는 구동스위치(132);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공기순환수단(14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의 제1수납공간부(1111)는 격벽에 의해 건전지(131)가 삽입되는 건전지삽입부(1114)와 중앙처리장치(160)가 삽입되는 CPU삽입부(1115)로 구획 분리되는데,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에는 살균램프(121)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132) 및 상기 모터(142)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14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32) 및 구동스위치(14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상하단부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132) 및 구동스위치(143)는, 케이스(110)가 펼쳐졌을 때 상기 제1덮개(1113)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도 13 참조), 상기 본체(1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도 15 참조), 케이스(110)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납공간부(1121)는 격벽에 의해 모터(142)가 삽입되는 모터삽입부(144)와 송풍팬(141)이 삽입되는 송풍팬삽입부(145)로 구획 분리되며, 제2수납공간부(1121)의 후방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112) 및 제2수납공간부(1121)의 전방을 형성하는 상기 제2분리판(1122)에는 각각 유입구(146)와 배출구(147)가 관통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분리판(1122)에는 상기 제2수납공간부(1121)와 상기 안착공간부(S)를 연통하는 다수의 배출구(147)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공간부(1121)의 후방에 위치한 커버(112)에는 외부와 제2수납공간부(1121)를 연통하는 다수의 유입구(146)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41)이 작동하면, 송풍팬(141)이 상기 유입구(146)를 통해 외부공기를 제2수납공간부(1121)로 유입한 후, 상기 배출구(147)를 통해 마스크(M)가 놓인 상기 안착공간부(S)로 외부공기를 강하게 배출하므로, '강제환기'에 의해 마스크(M)에 대한 더욱 신속한 건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구(147) 주변부에는 탈취수단(예: 탈취제, 방향제)을 구비하여 마스크(M)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중앙처리장치(160), 스위치(132), 건전지(131)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60), 구동스위치(143), 모터(142) 및 송풍팬(141)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전지(131)가 삽입되는 제1수납공간부(1111)에는 별도로 USB포트(133)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일정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32), 구동스위치(143), 타이머(150)는 케이스(110)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개폐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타이머(1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시간에 한정하여 마스크(M)에 대한 살균 및 건조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32) 및 구동스위치(143)의 주변부에는 스위치(132) 및 구동스위치(143)의 구분 및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각각 상이한 색상의 작동표시램프(18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작동상황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 면에는 걸이구(170)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의복이나 가방, 옷걸이 등에 본 발명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이구(17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케이스
M ; 마스크
S ; 안착공간부
111 ; 본체
1111 ; 제1수납공간부
1112 ; 제1분리판
1113 ; 제1덮개
1114 ; 건전지삽입부
1115 ; CPU삽입부
1116 ; 고정홈
1117 ; 개폐홈
112 ; 커버
1121 ; 제2수납공간부
1122 ; 제2분리판
1123 ; 제2덮개
1124 ; 모터삽입부
1125 ; 송풍팬삽입부
1126 ; 유입구
1127 ; 배출구
1128 ; 고정돌기
113 ; 힌지
114 ; 마스크받침돌기
115 ; 마스크고정바
116 ; 케이스받침돌기
117 ; 통기공
118 ; 중앙받침부
119 ; 측면환기공
120 ; 살균프레임
121 ; 살균램프
122 ; 확산커버
130 ; 전원공급제어수단
131 ; 건전지
132 ; 스위치
133 ; USB포트
140 ; 공기순환수단
141 ; 송풍팬
142 ; 모터
143 ; 구동스위치
150 ; 타이머
160 ; 중앙처리장치
170 ; 걸이구
180 ; 작동표시램프

Claims (11)

  1. 마스크(M)가 삽입되는 안착공간부(S)를 내부에 갖는 본체(111) 및 커버(112)가 마주하여 접이되도록 힌지(1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 바닥면에 지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부(S)에 내재된 마스크(M)를 살균하는 다수의 살균램프(121)가 구비된 살균프레임(120)과;
    상기 살균램프(121)로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수단(13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본체(111) 및 커버(112)의 안착공간부(S) 바닥면에는,
    마스크(M)를 받쳐 안착공간부(S)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마스크받침돌기(11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와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수단(14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130)은,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121)와 연결되는 건전지(131);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건전지(131) 및 살균램프(121)를 제어하는 스위치(13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130)은,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121)와 연결되는 USB포트(133);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USB포트(133) 및 살균램프(121)를 제어하는 스위치(13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수단(140)은,
    상기 케이스(110)의 커버(112)에 고정 설치되는 송풍팬(141);
    상기 송풍팬(141)을 구동시키는 모터(142);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142)를 구동시키는 구동스위치(14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에 내재된 마스크(M)의 중간부위를 지지하거나 해지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공간부(S) 일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된 마스크고정바(115)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 면에는 다수의 케이스받침돌기(116)가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10)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본체(111) 및 커버(112)의 안착공간부(S) 바닥면에는 외부와 통공되는 다수의 통기공(117)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9.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 본체(111)에 설치되어 일정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2)의 내부에는 커버(112)의 내부를 상기 안착공간부(S)와 제2수납공간부(1121)로 구획 분리하는 제2분리판(1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공간부(1121)는 격벽에 의해 모터(142)가 삽입되는 모터삽입부(144)와 송풍팬(141)이 삽입되는 송풍팬삽입부(145)로 구획 분리되며, 제2수납공간부(1121)의 후방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112) 및 상기 제2분리판(1122)에는 각각 다수의 유입구(146)와 배출구(147)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141)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146)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삽입부(145)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147)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공간부(S)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121)에는 자외선이 광범위하게 조사(照射)되도록 유도하는 확산커버(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1020200036763A 2020-03-26 2020-03-26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20210120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63A KR20210120274A (ko) 2020-03-26 2020-03-26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63A KR20210120274A (ko) 2020-03-26 2020-03-26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74A true KR20210120274A (ko) 2021-10-07

Family

ID=7860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63A KR20210120274A (ko) 2020-03-26 2020-03-26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2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232B1 (ko) * 2022-09-16 2023-02-21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방탄모 살균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394A (ko) 2010-02-26 2011-09-01 박성기 트레이형 자외선 살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394A (ko) 2010-02-26 2011-09-01 박성기 트레이형 자외선 살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232B1 (ko) * 2022-09-16 2023-02-21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방탄모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622B1 (ko) 마스크 살균장치
KR102065360B1 (ko) 마스크 관리 디바이스
JP2018532975A (ja) 小型空気清浄機
US20200008394A1 (en) Pet healthcare apparatus with bacteriostatic and sterilization system
US11931471B2 (en) Shoe management device
CA2740742C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items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JP2020536704A (ja) 安全帽を含む帽子の殺菌/乾燥/脱臭装置
KR102356617B1 (ko)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100378209B1 (ko) 전기 로스터의 공기순환구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WO2021240031A1 (es) Secador de manos cubierto ανti salpicaduras y antibacterias
KR200229428Y1 (ko)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093105A (ko) 신발관리장치
KR102499160B1 (ko)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KR20160146479A (ko) 송풍 장치가 부설된 접이식 옷걸이, 이와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및 이를 이용한 옷 탈취 방법
KR102540072B1 (ko)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101675405B1 (ko) 의류 탈취장치
KR20220082471A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 장치
JP7233143B1 (ja) ウィッグスタンドおよびウィッグスタンドセット
KR102469968B1 (ko) 차량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의류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