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50A - 의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250A
KR20210141250A KR1020200058667A KR20200058667A KR20210141250A KR 20210141250 A KR20210141250 A KR 20210141250A KR 1020200058667 A KR1020200058667 A KR 1020200058667A KR 20200058667 A KR20200058667 A KR 20200058667A KR 20210141250 A KR20210141250 A KR 2021014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storage chamber
unit
support plat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규
이동훈
김진민
김효성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250A/ko
Priority to CN202121020001.4U priority patent/CN216454010U/zh
Publication of KR2021014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수납챔버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 일측에 구비된 공조챔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에는 주름케어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면 사이에 중공인 서브수납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대상의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수납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안착된 대상의류 및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시스템{Clothing care system}
본 발명은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수납챔버와 공간적으로 분리된 서브수납챔버를 구비함과 동시에, 서브수납챔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외면을 이용하여 대상의류의 주름을 강제로 생성 및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 내에 수납되는 의류(침구, 장난감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의류'라 총칭함)에 가습과 제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의류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에 보관된 의류에 가습공기를 분사하면 미세한 물분자가 섬유조직 깊속한 곳에 존재하는 냄새입자에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로부터 분리되어 배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이러한 탈취 내지 관리와 더불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가습공기에 의해 소정의 수분을 머금은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의류의 주름이 제거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본 출원인의 미국공개특허 2020/0096210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는 가습공기와 열풍을 순차적으로 의류의 외측에 제공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의류 관리 및 잔주름 제거에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종래기술은 의류의 가압을 통한 강제적 주름 형성 및 주름 제거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고,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액세서리(예를 들어, 스카프, 마스크 등)를 관리할 때에도 의류수납챔버 전체에 가습과 제습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다소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3740호 "의류처리장치"는 가압 이동유닛에 포함된 롤러를 이용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롤러의 회전 가압을 통해, 의류에 인장력을 인가한다는 점에서 의류 주름 제거 효과가 일부 있지만, 롤러와 대면하는 모든 부위에 동일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의류 중 가압이 필요없는 부분까지 압력이 인가되고, 롤러의 동작을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84563호 "의류처리장치"가 있으며, 이는 케이스 내측을 제1 의류처리실과 제2 의류처리실로 구분한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제1 및 제2 의류처리실에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고,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의류처리실을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긴 하지만, 제2 의류처리실은 의류의 가압만을 위한 공간인 바, 가압이 필요없는 액세서리 또는 소형 의류들을 수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제2 의류처리실의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의류의 종류, 형태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압 및 가열을 수행함과 동시에, 의류수납챔버와는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챔버를 구비함으로써, 액세서리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의류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미국공개특허 2020/0096210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3740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84563호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844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의 종류, 형태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압 및 가열을 수행함과 동시에, 의류수납챔버와는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챔버를 구비함으로써, 액세서리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의류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류수납챔버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 일측에 구비된 공조챔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에는 주름케어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면 사이에 중공인 서브수납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대상의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수납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안착된 대상의류 및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의류수납챔버 내측을 향해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직 단면 형상은, a) 상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직선 형태; b) 상부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라운드 형태; 및 c) 상부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회전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에 각각 결합된 가압플레이트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연통개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이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이웃하는 상기 슬릿 사이에, 상기 슬릿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기설정된 형태인 단위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연통개구는, 상기 단위영역별로 형성되되, 상기 단위영역별로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전면(前面)을 커버하는 도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내면 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된 서브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수납챔버와 유체 연통된 서브공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공조부는, 상기 서브수납챔버의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팬; 및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공조챔버 및 상기 서브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팬유닛;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켜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제습부;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필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챔버의 팬유닛, 제습부 및 가습필터유닛의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공조부의 팬 및 히팅유닛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부 또는 상기 가습필터유닛이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와 상기 팬 및 히팅유닛이 동작되는 주름케어모드가 동시에 수행되면, 상기 주름케어모드만 단독으로 수행될 때의 경우보다, 상기 팬 및 히팅유닛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공조부는,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유닛; 을 더 포함하고, 서브수납챔버 케어모드에서는, 상기 히팅유닛 및 상기 가습유닛이 교번하여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서브수납챔버에 보관된 대상물건의 살균을 수행하는 살균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살균수단은, 자외선램프 또는 소독물질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의 주름케어모듈은 회전부재와 근접한 거리에는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주름생성영역을 형성하고, 이외의 부분은 주름제거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칼주름 생성과 동시에, 주름을 제거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은 별도의 독립 공간인 서브수납챔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대상의류의 종류에 따라 서브수납챔버를 사용할지 아니면 의류수납챔버를 사용할지 선택할 수 있는 바,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공간적 분리를 통한 개선된 쾌적감 및 위생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전체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의 a는 서브도어가 폐쇄된 상태이며, 도 2의 b는 서브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사용상태도로서, 가압플레이트가 대상의류를 가압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가압플레이트가 대상의류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주름케어모듈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지지플레이트가 단위영역으로 구획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개폐부가 단위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측면도의 변형예로서, 지지플레이트의 수직 단면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의류관리모드가 수행될 때의 공기 유동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에서 주름케어모드(서브수납챔버 케어모드)가 수행될 때의 공기 유동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9에서 의류관리모드 및 주름케어모드가 동시에 수행될 때의 공기 유동을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설명을 위하여 정면, 후면, 우측, 좌측, 상방, 하방 등의 용어가 사용되나, 이는 오직 설명을 위한 것으로 해당 방향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대한 용어는 의류수납챔버를 기준으로 정의되며, 의류수납챔버의 폭방향(x축), 높이방향(y축) 및 깊이방향(z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다.
주름케어모듈의 구조 설명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주름케어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의류수납챔버(100)에 보관된 대상의류는 기본적으로 공조챔버(200)에 의해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에 의해 관리가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대상의류 상에 형성된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주름케어모듈(700)은 대상의류에 대한 주름케어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써, 직접적인 가압, 가습 및 가열을 통해 달성된다.
주름케어모듈(700)은 지지플레이트(710), 하우징(720) 및 고정부(730)를 포함하며, 도 1 내지 5에서는 주름케어모듈(700)이 도어(6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지지플레이트(710)는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장소이다. 지지플레이트(7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수납챔버(740)라는 독립된 공간 형성에 따라,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다. 지지플레이트(7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걸이부(702)에 의해 고정된 대상의류가 지지플레이트(710)의 주평면을 따라 안착된다. 여기서 주평면은, 지지플레이트(7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에서 의류수납챔버(100)를 향한 면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710)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상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부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의류수납챔버(100)의 내측을 향해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대상의류가 지지플레이트(710)에 안착될 때, 지지플레이트(710) 상에 대상의류의 하중이 인가되어 대상의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710)의 경사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각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지지플레이트(710)의 하단부 측만 부분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방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대상의류의 하단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710)의 주평면에는 안착된 대상의류 및 서브수납챔버(740) 사이가 유체 연통되도록 연통개구(711)가 형성된다. 서브수납챔버(740)의 하측에는 서브공조부(750)가 구비되며, 서브수납챔버(740) 및 서브공조부(750)는 유체 연통된다. 즉, 서브공조부(75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를 대상의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710)에 연통개구(711)가 형성된다. 전달된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는 대상의류의 후면을 향해 공급되며, 대상의류를 통과하여 대상의류의 전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서브공조부(750)에는 공조챔버(200)에 구비된, 팬유닛(230), 제습부(260) 및 가습필터유닛(229)와는 별개로 동작되는, 팬(751), 히팅유닛(752) 및 가습유닛(753)이 내장된다. 여기서, 히팅유닛(752) 및 가습유닛(753)은 교번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히팅유닛(752) 및 팬(751)이 동작될 경우, 서브수납챔버(740)로 건조공기가 공급되고, 가습유닛(753) 및 팬(751)이 동작될 경우, 서브수납챔버(740)로 가습공기가 공급된다. 서브공조부(750)는 공조챔버(200)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연통개구(711)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이고, 각각 하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슬릿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 때, 지지플레이트(710)의 슬릿 형태의 연통개구(711)가 대상의류의 후면에 의해 긴밀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연통개구(711) 사이에는 돌기부(713)가 형성된다. 즉, 돌기부(713)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서브공조부(75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의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고, 서브공조부(750)에 과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713)는 소정의 폭을 갖으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벽 형태로써, 돌출벽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원 형상, 원호 형상, 삼각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713)에는 돌기부(713)의 연장방향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가열부(715)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715)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플레이트(710)는 기설정된 형태인 단위영역으로 구획되며, 연통개구(711)는 단위영역별로 형성되되, 이러한 연통개구(7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717)가 더 구비된다. 도 6에서는 지지플레이트(710)가 단위영역으로 구획된 상태를 도시하나, 이는 일 예인 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플레이트(710)의 단위영역은 세로 방향으로만 구획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인 연통개구(711) 및 가열부(715) 역시 이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6은 단위영역이 행과 열로 구분되며, 6행5열로 구성된 예이다. 개폐부(717)는 지지플레이트(710)의 후면에 구비되며, 개폐부(717)의 구체적인 개폐 방식에는 공지된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개폐부(717)를 이용하여 연통개구(7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은, 대상의류의 형상 및 관리 목적을 고려하기 위함이며, 대상의류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팬 용량, 히팅유닛 및 가습유닛의 출력은 제한되어 있는 바, 대상의류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 의류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개폐부(717)의 다양한 개폐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의 a 내지 c에서는, 굵은 박스 내부는 연통개구(711)가 개방된 단위영역을 의미하고, 점선 박스는 연통개구(711)가 폐쇄된 단위영역을 의미한다. 도 7의 a를 예로 들면, a11, a21은 연통개구(711)가 개방된 단위영역이고, a31은 연통개구(711)가 폐쇄된 단위영역이다. 사용자가 대상의류에 주름을 강제로 형성하는 것이 주목적일 경우, 연통개구(711)의 개방상태를 도 7의 b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대상의류의 재질이 다소 약한 경우이거나(예를 들어, 실크(silk)) 또는 사용자가 대상의류 상에 주름생성을 원하지 않는 경우, 도 7의 c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720)은 지지플레이트(710)를 포함하며, 지지플레이트(710) 및 의류수납챔버의 일면(도 1 내지 5에서는, 도어(600)를 의미함) 사이에 중공인 서브수납챔버(740)를 형성한다. 하우징(720)은 서브수납챔버(740)의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서브수납챔버(740)를 의류수납챔버(100)로부터 공간적으로 구분시키는 구성이다. 하우징(720)은 단일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부재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710)는 하우징(720)의 일부를 구성하며, 지지플레이트(710) 및 도어(6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측벽부(721)가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하우징(720)의 형태는 지지플레이트(7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710)의 단면 형상이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도 8 참조), 이에 대응되는 측벽부(721)가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지지플레이트(710)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직선 형태(타입1), 상부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라운드 형태(타입2), 상부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라운드 형태(타입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타입2는 상방을 향해 볼록면(convex)를 형성하고, 타입3는 상방을 향해 오목면(concave)를 형성한다. 타입2 및 타입3은, 타입1에 비해, 대상의류와의 접촉면을 더욱 넓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710)에는 연통개구(711)가 형성된 것과는 별개로, 측벽부(721)에는 측벽슬릿(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서브수납챔버(74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서브수납챔버(740) 외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720)의 하부면에는 연통홀(723)이 형성됨으로써, 서브공조부(750) 및 서브수납챔버(740)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서브공조부(750)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바, 사용자의 의류 수납 동작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의류수납챔버(100)를 유동하는 공기 흐름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우징(720)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우징(72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연통홀(723)이 형성되고, 연통홀(723)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720)은, 서브수납챔버(740)에 보관된 대상물건의 살균을 수행하는 살균수단(727)이 구비되며, 살균수단은, 자외선램프 또는 소독물질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서브수납챔버(740)는 도어(600) 외측에서 도어(600)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도 2 참조). 즉, 도어(600)의 외측면에는 서브도어(660)가 구비되며, 도어(600)를 개방하지 않고, 서브도어(660)만 독립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서브수납챔버(740)에 다양한 의류 내지 액세서리를 수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수납챔버(740)에는 살균수단(727)이 구비되고, 도 5에서는 서브도어(660) 내측면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나,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또는 장갑 등과 같이, 사용자의 호흡기 또는 신체와 밀접하게 사용되는 물품들을 일반 의류와는 분리하여 서브수납챔버(740)에 보관하여 관리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쾌적감, 청결감 및 위생감을 제공한다.
고정부(730)는 지지플레이트(710) 상에 대상의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대상의류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부(730)는 회전부재(731) 및 가압플레이트(733)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회전부재(731)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양측 단부에 상호 대향한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가압플레이트(733)는 회전부재(731)에 결합되며, 대상의류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전면 및 가압플레이트(733)의 후면 사이에 위치되어 가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710)의 수직 단면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가압플레이트(733)의 형상 역시 지지플레이트(71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으로 구성된 가압플레이트(733)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대상의류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대상의류의 양단부 측은 가압플레이트(733)에 의해 강하게 가압되는 부분으로써, 이를 '주름생성영역'으로 구분하며, 주름생성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한다. 대상의류 중 주름생성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접힌 상태에서의 강한 가압에 의해, 주름이 강제로 생성되고('칼주름'을 의미함), 대상의류 중 주름제거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양 가압플레이트(733)의 가압에 의해 상대적으로 대상의류가 인장되는 바,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즉, 가압플레이트(733)에 의해, 주름생성 및 주름제거가 동시에 수행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조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을 도 1 및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100), 공조챔버(200), 재순환모듈(300), 케이싱(500), 도어(600) 및 주름케어모듈(7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싱(500)은 의류관리시스템의 외관을 형성한다.
의류수납챔버(100)는 의류가 보관되어 관리가 수행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관리'라는 용어는, 의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의류 상에 형성된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의류수납챔버(100)에 보관되는 것은 의류로 제한되지 않고, 침구, 인형, 액세서리 등과 같이, 관리가 가능한 모든 물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수납챔버(100)는 공조챔버(200) 상측에 위치되며, 이는 사용자가 의류 수납이 용이하고, 특정 공간에서 의류관리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포함된 의류수납챔버(100)는 폭 및 깊이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만, 의류수납챔버(100)의 폭, 깊이 및 높이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부에는 의류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봉(101)이 폭방향으로 구비되며, 지지봉(101)에는 하나 이상의 옷걸이(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의 외관은 케이싱(500) 및 도어(600)로 구성된다. 도어(600)는 의류관리시스템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도어(600)를 개방하여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600)를 개방할 경우, 의류수납챔버(100) 부분에서는 의류수납챔버(100)의 내측이 노출되고, 공조챔버(200) 부분에서는 배기구(250),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가 노출된다. 다만, 도어(600)는 흡기구(210)를 커버하지 않는다. 도어(600)의 최하단이 흡기구(21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공기청정모드에서 도어(600)를 개방하지 않아도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도어(600)의 외면에는 제어패널(610)와 배기도어(650)가 위치한다. 제어패널(610)은 사용자가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와 현재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배기도어(650)는 공조챔버(200)의 배기구(250)와 연통되어 공기청정모드에서 도어(600)를 개방하지 않아도 배기도어(650)만 개방됨으로써 여과된 외기를 토출한다. 도어(600)는 하프미러(half-mirr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 위치한 의류 등을 사용자에게 그대로 보여줄 수 있으면서도, 경우에 따라 거울 기능을 수행하여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의류 등을 꺼낸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배기도어(650)는, 도어(600)를 닫았을 때, 공조챔버(200)의 배기구(250)와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구(250)의 전면에 이물질의 침투를 막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용자의 신체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릴부는 배기도어(650) 후면에도 역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를 내측에는 순환공기 유입구(141) 및 순환공기 유출구(142)가 형성되고(도 9 내지 12 참고), 이를 통해, 의류수납챔버(100) 및 공조챔버(200)는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순환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모두 생략하였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위치는,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순환공기 유입구(141)는 팬유닛(230)과 연통되어 공조챔버(200)에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고, 순환공기 유출구(142)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공조챔버(200)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순환공기 유입구(141)와 연통된 부분은,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순환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의류수납챔버(100) 내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순환공기 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순환공기가 수직한 방향일 때보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에 수납된 의류 등과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측 상부에는 재순환모듈(300)이 장착되는 재순환 모듈 장착부가 위치한다. 재순환모듈(300)에는 에어샷 기능이 있는 에어샷 옷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공조챔버(200)은 공기청정모드를 수행하는 공간이자, 의류관리모드에서는 의류수납챔버(100)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여과한 후 자연가습공기를 순환공기로서 유출함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간이다.
공조챔버(200)은 의류수납챔버(10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도 위치할 수 있으나, 의류수납챔버(10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 또는 포화습공기가 자중에 의해 공조챔버(2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조(28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조챔버(200)은 흡기구(210), 제1 유로(220), 팬유닛(230), 제2 유로(240), 배기구(250), 제습부(260),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를 포함한다.
흡기구(210)는 외기를 공조챔버(200) 내부로 흡입하는 부분이다. 선택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개방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 폐쇄될 수 있다. 흡기구(210)의 위치는 후술하는 배기구(250)의 아래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조챔버(2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류관리모드에서 흡기구(210)가 폐쇄되기에 순환공기의 순환 유로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600)가 흡기구(210)에 이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흡기구(210)에는 청정필터유닛 탈착부(미도시)가 위치하여 청정필터유닛(219)이 위치할 수 있다. 청정필터유닛(219)은 공기청정모드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며, 프리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유로(220)는 흡기구(210), 제2 유로(230) 및 팬유닛(230)과 연통한다. 공기청정모드에서 흡기구(210)에 의해 흡입되고 여과된 외기와 의류관리모드에서 제2 유로(230)를 통해 흡입된 순환공기가 제1 유로(220)에 유입된다.
제1 유로(220) 내측에는 가습필터유닛(229)이 위치한다. 가습필터유닛(229)은 순환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가습필터유닛(229)은 가습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어서,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이 가습필터에 공급되면, 순환공기가 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공급되어 자연가습공기가 형성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습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열이 가해져서, 자연가습공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까지 상승하여 의류수납챔버(100)에 공급될 수 있다. 열을 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열 부재(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팬유닛(230)의 유입 측은 제1 유로(220)와 연통하여, 제1 유로(220)로 공기를 흡입하는 동력을 부여한다. 팬유닛(230) 동작에 의해 공기청정모드에서 외기가 제1 유로(220)로 흡기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공기가 순환공기로서 제1 유로(220)로 흡기된다. 팬유닛(230)의 배출 측은 제2 유로(240)와 연통한다. 또한, 배기구(250)가 흡기구(2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의류수납챔버(100)이 공조챔버(200)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배기구(250) 및 의류수납챔버(100)과 연통 가능한 제2 유로(240)는 팬유닛(230) 및 제1 유로(2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유로(240)는 팬유닛(230)으로부터 여과된 외기 또는 순환공기를 공급받는다. 제2 유로(240)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배기구(25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그 제어를 위해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를 포함한다.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페어링되어 작동하여 유로를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유로를 변경하는 어떠한 메커니즘이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공기청정모드에서는 제2 유로(240)가 의류수납챔버(100)과 차단되고 배기구(250)와 연통하도록 하고(도 8 참조), 의류관리모드에서는 제2 유로(240)가 의류수납챔버(100)과 연통되고 배기구(250)와 차단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관리모드에 대해 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는 제2 유로(240)의 순환공기가 제1 유로전환부재(241) 상측에 위치한 순환공기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되고,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순환공기는 제2 유로전환부재(242) 상측에 위치한 순환공기 유출구(142)를 통해 다시 제2 유로(240)로 유출됨으로써 순환된다.
배기구(250)는 제2 유로(240)로부터 여과된 외기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한다. 배기구(250)에 해당하는 도어(600) 외측에는 배기도어(650)가 위치하여, 배기구(25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개방되어 배기구(250)로부터 여과된 외기가 토출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폐쇄될 수 있다.
제습부(260)는 의류수납챔버(100)을 유동하는 순환공기를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습이 이루어져야 의류수납챔버(100) 내부 및 순환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순환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고, 또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공조챔버(200)로 유동한 순환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다. 제습부(260)는 예를 들어 히트펌프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은 버려지지 않고, 의류관리모드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의류수납챔버(100)이 섭씨 50 내지 70도 정도로 가열된 이후 순환공기 유입구(141)를 통해 제2 유로(240)로부터 상온의 순환공기를 유입받아, 의류 등의 오염물질 내지 악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가습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제공되어, 순환공기 기능을 하는 자연가습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온도는 예시이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습부(260)와 가습필터유닛(229)(즉, 가습필터)는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의류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조챔버(200)이 외기 및 의류수납챔버(100) 모두와 연통되는 전체순환모드 및 공조챔버(200)이 외기 및 의류수납챔버(100) 모두와 차단되는 전체차단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수조(270)는 가습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에 공급되어야 하는 물을 저류한다. 이를 위해 가습필터유닛(229)과 튜빙으로 연결된다. 응축수조(280)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하거나, 또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생성된 포화습공기가 공조챔버(200)의 제1 유로(220) 또는 제2 유로(240) 등으로 유입되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한다. 이를 위해, 의류수납챔버(100) 및/또는 제1 유로(220) 및/또는 제2 유로(220)와 튜빙으로 연결된다.
물을 채우거나 채워진 응축수를 버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 모두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급수조(270)와 응축수조(280)는 공조챔버(2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도어(600)를 열고 배기구(250) 아래에 위치한 각 수조에 위치한 손잡이를 이용하여 이들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재순환모듈(300)은 공기청정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의 순환공기를 재순환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의류 등의 직접 건조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공조챔버(200)의 작동 여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에 수납된 의류 등의 먼저 털이를 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공조챔버(200)의 팬유닛(230), 제습부(260) 및 가습필터유닛(229)의 동작을 기준으로, 서브공조부(750)의 팬(751) 및 히팅유닛(752)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는, 제습부(260) 또는 가습필터유닛(229)이 교번하여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와 팬(751) 및 히팅유닛(752)이 동작되는 주름케어모드가 동시에 수행되면, 주름케어모드만 단독으로 수행될 때의 경우보다, 팬(751) 및 히팅유닛(752)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즉, 공조챔버(200)가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 수행에 의해, 서브수납챔버(740)에도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바,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 의류수납챔버(100)의 온도 및 습도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서브공조부(750)의 구체적인 출력은, 제어부에 의해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의류수납챔버
200: 공조챔버
300: 재순환모듈
600: 도어
700: 주름케어모듈
702: 걸이부
710: 지지플레이트
711: 연통개구
713: 돌기부
715: 가열부
717: 개폐부
720: 하우징
721: 측벽부
723: 연통홀
727: 살균수단
730: 고정부
731: 회전부재
733: 가압플레이트
740: 서브수납챔버
750: 서브공조부
751: 팬
752: 히팅유닛
753: 가습유닛

Claims (13)

  1. 의류수납챔버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 일측에 구비된 공조챔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에는 주름케어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면 사이에 중공인 서브수납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대상의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수납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안착된 대상의류 및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의류수납챔버 내측을 향해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직 단면 형상은,
    a) 상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직선 형태;
    b) 상부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라운드 형태; 및
    c) 상부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회전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에 각각 결합된 가압플레이트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인,
    의류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연통개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이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이웃하는 상기 슬릿 사이에, 상기 슬릿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열부가 구비된,
    의류관리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기설정된 형태인 단위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연통개구는,
    상기 단위영역별로 형성되되, 상기 단위영역별로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전면(前面)을 커버하는 도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내면 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된 서브도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수납챔버와 유체 연통된 서브공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공조부는,
    상기 서브수납챔버의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팬; 및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유닛; 을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공조챔버 및 상기 서브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팬유닛;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켜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제습부;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필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챔버의 팬유닛, 제습부 및 가습필터유닛의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공조부의 팬 및 히팅유닛의 출력을 제어하는,
    의류관리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부 또는 상기 가습필터유닛이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와 상기 팬 및 히팅유닛이 동작되는 주름케어모드가 동시에 수행되면,
    상기 주름케어모드만 단독으로 수행될 때의 경우보다, 상기 팬 및 히팅유닛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공조부는,
    상기 서브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유닛; 을 더 포함하고,
    서브수납챔버 케어모드에서는,
    상기 히팅유닛 및 상기 가습유닛이 교번하여 동작되는,
    의류관리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서브수납챔버에 보관된 대상물건의 살균을 수행하는 살균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살균수단은,
    자외선램프 또는 소독물질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KR1020200058667A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1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7A KR20210141250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CN202121020001.4U CN216454010U (zh) 2020-05-15 2021-05-13 衣物管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7A KR20210141250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250A true KR20210141250A (ko) 2021-11-23

Family

ID=7869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67A KR20210141250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2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3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3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2788B1 (en) Dryer for bed
KR102205716B1 (ko)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US20240173445A1 (en) Shoe management device
KR101068655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US11320158B2 (en)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JP2021101786A (ja) 衣類処理装置
US20220192465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1248A (ko) 의류관리시스템
US11725333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water from condensing on inner side of door and method for drying inner side of door using same
KR102370613B1 (ko)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141249A (ko) 의류관리시스템
CN216454010U (zh) 衣物管理系统
US20220192464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215444B1 (ko)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111546A (ko) 가습수 제어 기능이 구비된 가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009205A (ko) 주름 생성을 위한 의류관리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00004169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667372B1 (ko) 의류 먼지 털기용 에어 토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JP2021101787A (ja) 衣類処理装置
EP4066676B1 (en) Shoe care device
CN211862175U (zh) 包含衣物掸灰用空气吐出部的多功能收纳系统
US20240148229A1 (en) Shoe care device
KR20210141247A (ko) 의류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