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48A - 의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248A
KR20210141248A KR1020200058665A KR20200058665A KR20210141248A KR 20210141248 A KR20210141248 A KR 20210141248A KR 1020200058665 A KR1020200058665 A KR 1020200058665A KR 20200058665 A KR20200058665 A KR 20200058665A KR 20210141248 A KR20210141248 A KR 2021014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wrinkle
unit
support plate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규
이동훈
김효성
김재만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248A/ko
Publication of KR2021014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수납챔버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측에 구비된 공조챔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면에는 주름케어모듈이 위치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가열부가 포함되며,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대상의류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시키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로서, 상기 연결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상기 대상의류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시킨, 연결부; 및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생성영역 및 상기 주름제거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시스템{CLOTHES CARE SYSTEM}
본 발명은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플레이트를 이용한 대상의류의 선택적 압력 분포와 이를 고려한 선택적 가열을 통해, 대상의류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강제 생성 및 제거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 내에 수납되는 의류(침구, 장난감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의류'라 총칭함)에 가습과 제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의류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에 보관된 의류에 가습공기를 분사하면 미세한 물분자가 섬유조직 깊숙한 곳에 존재하는 냄새입자에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로부터 분리되어 배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이러한 탈취 내지 클리닝과 더불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가습공기에 의해 소정의 수분을 머금은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의류의 주름이 제거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본 출원인의 미국공개특허 2020/0096210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는 가습공기와 열풍을 순차적으로 의류의 외측에 제공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의류 클리닝 및 잔주름 제거에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종래기술은 의류의 가압을 통한 강제적 주름 형성 및 주름 제거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고,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액세서리(예를 들어, 스카프, 마스크 등)를 관리할 때에도 의류수납챔버 전체에 가습과 제습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다소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3740호 "의류처리장치"는 가압 이동유닛에 포함된 롤러를 이용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롤러의 회전 가압을 통해, 의류에 인장력을 인가한다는 점에서 의류 주름 제거 효과가 일부 있지만, 롤러와 대면하는 모든 부위에 동일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의류 중 가압이 필요없는 부분까지 압력이 인가되고, 롤러의 동작을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주식회사 선진고주파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6121호 "양복프레스기"가 있으며, 이는 가열 프레스 방식을 통해 의류를 다림질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열선의 구체적인 구조 및 위치를 개시하지는 않으나, 가압시 열선을 사용하는 개념과 그 효과를 제시하고는 있다. 다만, 상기 특허는 의류의 종류 내지 형태와는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동일한 가열을 수행하는 구성인 바, 주름 개선 및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상의류의 특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가압 및 가열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양한 의류에 적용됨과 동시에, 의류의 종류, 형태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미국공개특허 2020/0096210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3740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6121호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844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의 종류, 형태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주름 생성 및 제거에 최적화된 의류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류수납챔버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측에 구비된 공조챔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면에는 주름케어모듈이 위치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가열부가 포함되며,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대상의류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시키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로서, 상기 연결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상기 대상의류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시킨, 연결부; 및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생성영역 및 상기 주름제거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단부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측단부를 연결시켜,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최대 회전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 대상의류를 최대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름생성영역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단부에 인접한 부분이되,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열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주름생성영역에 포함된 주름생성 열선 및 상기 주름제거영역에 포함된 주름제거 열선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생성 열선 및 주름제거 열선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주평면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위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단위영역 각각에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의류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위영역에 대해, 상기 가열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판단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기설정된 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의류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위영역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기설정된 방식은, 상기 단위영역 별로 대상의류와의 접촉을 인식하는 방식 또는 광센싱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한 가압상태 및 가압해제상태를 인식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상태에서 상기 가열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해제상태에서는 상기 가열부를 강제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제1 측단부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제1 측단부와 대향하는 제2 측단부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와 상기 공조챔버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제습부; 및 상기 유동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의류수납챔버에 공급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필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부 또는 상기 가습필터유닛이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에서, 상기 가열부를 통해, 상기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 모두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관리모드 중 상기 제습부가 동작되는 제습구간에서는, 상기 가열부의 출력을 낮추며, 상기 의류관리모드 중 상기 가습필터유닛이 동작되는 가습구간에서는, 상기 가열부의 출력을 높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상의류에 인가되는 차별적 압력 분포를 이용하고, 이에 대응하여 선택적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주름생성 및 주름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의류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주름 생성 및 제거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전체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로서, 가압플레이트가 대상의류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가압플레이트의 가압 해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된 가열부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대상의류의 형태를 달리할 때, 가열부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에 구비된 가열부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는 도 7에서 대상의류의 형태를 달리할 때, 가열부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에 구비된 가열부의 제3 실시예로서, 가열부가 가압플레이트에 내장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주름케어모듈이 의류수납챔버 후방면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설명을 위하여 정면, 후면, 우측, 좌측, 상방, 하방 등의 용어가 사용되나, 이는 오직 설명을 위한 것으로 해당 방향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대한 용어는 의류수납챔버를 기준으로 정의되며, 의류수납챔버의 폭방향(x축), 높이방향(y축) 및 깊이방향(z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다.
주름케어모듈의 구조 설명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주름케어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의류수납챔버(100)에 보관된 대상의류는 공조챔버(200)에 의해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에 의해 관리되며, 이 과정에서 대상의류 상에 형성된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주름케어모듈(700)은 대상의류에 대한 주름케어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써, 직접적인 가압, 가습 및 가열을 통해 달성된다.
주름케어모듈(700)은 지지플레이트(710), 가압플레이트(720), 연결부(7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4에서는 주름케어모듈(700)이 도어(6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지지플레이트(710)는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장소이다. 지지플레이트(7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다. 지지플레이트(7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걸이부(702)에 의해 고정된 대상의류가 지지플레이트(710)의 주평면을 따라 안착된다. 여기서 주평면은, 지지플레이트(7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에서 의류수납챔버(100)를 향한 면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710)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상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부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의류수납챔버(100)의 내측을 향해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대상의류가 지지플레이트(710)에 안착될 때, 지지플레이트(710) 상에 대상의류의 하중이 인가되어 대상의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바, 중력 방향(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대상의류의 하중을 지지플레이트(710)로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710)의 경사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각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지지플레이트(710)의 하단부 측만 부분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방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대상의류의 하단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710)의 주평면에는 안착된 대상의류 하면에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를 공급하도록 연통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플레이트(710)의 저면(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함)에는 공조챔버(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조챔버(20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는 지지플레이트(710) 내측으로 유입된 후, 연통개구를 통해, 대상의류의 후면을 향해 토출됨으로써, 대상의류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관리할 수 있다.
연통개구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하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슬릿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통개구는 후술하는 돌기부(713) 및 가열부(715)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710)는, 슬릿 형태의 연통개구가 대상의류의 후면에 의해 긴밀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연장된 돌기부(713)가 형성된다. 즉, 돌기부(713)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공조챔버(20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가습공기의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713)는 소정의 폭을 갖으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벽 형태로써, 돌출벽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원 형상, 원호 형상, 삼각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돌기부(713) 사이에는 돌기부(713)의 연장방향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가열부(715)가 내장된다. 여기서 가열부(715)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모든 가열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은 지지플레이트(710)의 일측 및 가압플레이트(7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730)를 포함하며, 연결부(730)를 회전축으로 하여 가압플레이트(720)가 대상의류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시킨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연결부(730)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바, 가압플레이트(72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가압플레이트(720)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압플레이트(720a, 720b)를 포함한다. 연결부(730)는 이와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 연결부(730a, 730b)로 구성된다. 제1연결부(730a)는 제1 가압플레이트(720a)를 지지플레이트(710)의 제1 측단부에 연결하며, 제2 연결부(730b)는 제2 가압플레이트(720b를 지지플레이트(710) 중 제1 측단부와 대향하는 제2 측단부에 연결한다.
도 3 및 4를 기준으로, 연결부(730)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좌측 단부(제1 측단부를 의미함) 및 우측 단부(제2 측단부를 의미함)에 각각 구비되며, 좌측 단부에 연결된 가압플레이트(7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대상의류의 좌측부를 가압하고, 우측 단부에 연결된 가압플레이트(7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대상의류의 우측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3 및 4에 도시된 가압플레이트(720) 및 연결부(730)의 형상은 차별적 압력분포를 이용하는 일 예인 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차별적 압력 분포 원리를 이용하는 구조라면, 형상, 배치 및 구조의 변형이 가능함을 명시하는 바이다.
대상의류의 양단부 측은 가압플레이트(720)에 의해 강하게 가압되는 부분으로써, 이를 '주름생성영역'으로 구분하며, 주름생성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한다. 대상의류 중 주름생성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접힌 상태에서의 강한 가압에 의해, 주름이 강제로 생성되고('칼주름'을 의미함), 대상의류 중 주름제거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양 가압플레이트(720)의 가압에 의해 상대적으로 대상의류가 인장되는 바,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즉, 가압플레이트(720)에 의해, 주름생성 및 주름제거가 동시에 수행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730)는, 지지플레이트(710)의 측단부 및 가압플레이트(720)의 측단부를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가압플레이트(720)의 최대 회전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710) 및 가압플레이트(720) 사이에 위치된 대상의류를 최대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주름생성영역'은, 지지플레이트의 측단부에 인접한 부분이되, 연결부(730)(연결부(730)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을 의미함)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을 의미한다.
대상의류가 지지플레이트(710) 및 가압플레이트(720)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구조에서, 대상의류의 모든 면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지는 않으며, 연결부(730)와의 거리에 따른 차별적 압력 분포가 형성된다. 연결부(730)와 멀어질수록 대상의류에 인가되는 압력은 낮아진다. 다시 말해, 대상의류 중 연결부(730)와 인접한 부위는, 최대 압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며, 대상의류 중 연결부(730)와 가장 먼 부위는, 최소 압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720)는 지지플레이트(710)를 모두 커버하도록 구성되지 않으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바, 대상의류 중 가압플레이트(720)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부분에는 지지플레이트(710)를 향해 인가되는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인장력이 더 크게 형성된다(대상의류를 양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의미함).
지지플레이트(710)의 주평면을 기준으로,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되며, 주름제거영역은 주름생성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전술한 가열부(715)가 열선 형태임을 전제로 설명하면, 복수의 열선은 주름생성 열선 및 주름제거 열선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710)는 기설정된 형태인 단위영역으로 구획되며, 가열부(715)는 단위영역 각각에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비되며, 제어부는, 지지플레이트(710)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의류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위영역에 대해, 가열부(715)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도 5 및 6은 가열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돌기부(713) 및 가열부(715)(열선 형태를 전제로 함)는 지지플레이트(71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열부(715)-돌기부(713)-가열부(715) 순서로 반복하여 배치된다. 가열부(715)를 구분하면, 지지플레이트(710)의 양측 단부에는 제1 가열부(L1, L1')가 위치되며, 내측에는 제2 가열부(L2, L2')가 위치되며, 이 방식으로 계속 적용되는 구조이다. 도 5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가열부(L1, L1', L2, L2') 부분을 주름생성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을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제1 및 제2 가열부(L1, L1', L2, L2')가 동작된 상태이며, 도 6의 (b)는 제1 내지 제5 가열부(L1, L2, L3, L4, L5)가 동작되되, 좌측부만 동작된 상태이고, 도 6의 (c)는 제3 내지 제6(L3, L3', L4, L4', L5, L5', L6)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다.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가열부(715)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대상의류의 양측에 칼주름을 형성함에 가장 유리하고, 도 6의 (b)는 대상의류의 일측에 칼주름을 형성함에 유리하고, 도 6의 (c)는 대상의류에 칼주름을 생성하지는 않고, 주름제거만을 원할 때, 유리하다(대상의류의 재질이 다소 약한 경우를 포함함).
도 7 및 8은 가열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지지플레이트(710)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의류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위영역에 대해, 가열부(715)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구조이다.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센서부(719)를 구비하며, 센서부(719)는, 단위영역 별로 대상의류와의 접촉을 인식하는 방식 또는 광센싱 방식으로 대상의류의 형태를 판단한다. 단, 상기 방식 이외에도, 대상의류의 형태를 판단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도 가능하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단위영역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박스 형태(점선 박스를 의미함)로 구성될 수 있고, 돌기부(713) 상에는 대상의류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719)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대상의류와의 접촉 또는 광차단에 의해 특정 위치의 센서부(719)에 접촉이 감지될 경우, 센서부(719)와 바로 인접한 가열부(715)는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 8에는 대상의류가 바지(하의)일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며, 대상의류의 형상과 대응되는 가열부(715)만 동작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9는 가열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열부(715)는 지지플레이트(710)가 아니라, 한 쌍의 가압플레이트(720) 각각에 구비된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방식이 가압플레이트(720) 상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열부(715)의 형태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는, 가압플레이트(720)에 의한 가압상태 및 가압해제상태를 인식하도록 형성되고, 가압상태에서 가열부(715)를 동작시키고, 가압해제상태에서는 가열부(715)를 강제 중지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대상의류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는 사용자가 대상의류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꺼내고 있는 상태로 간주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후술하는 제어패널(61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인 의류관리시스템의 주름케어모듈이 의류수납챔버 후방면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주름케어모듈(700)은 도어(600)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다른 면에도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의류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조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을 도 1 및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100), 공조챔버(200), 재순환모듈(300), 케이싱(500), 도어(600) 및 주름케어모듈(7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싱(500)은 의류관리시스템의 외관을 형성한다.
의류수납챔버(100)는 의류가 보관되어 '관리'가 수행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관리'라는 용어는, 의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의류 상에 형성된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의류수납챔버(100)에 보관되는 것은 의류로 제한되지 않고, 침구, 인형, 액세서리 등과 같이, 관리가 가능한 모든 물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수납챔버(100)는 공조챔버(200) 상측에 위치되며, 이는 사용자가 의류 수납이 용이하고, 특정 공간에서 의류관리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포함된 의류수납챔버(100)는 폭 및 깊이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만, 의류수납챔버(100)의 폭, 깊이 및 높이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부에는 의류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봉(101)이 폭방향으로 구비되며, 지지봉(101)에는 하나 이상의 옷걸이(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의 외관은 케이싱(500) 및 도어(600)로 구성된다. 도어(600)는 의류관리시스템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도어(600)를 개방하여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600)를 개방할 경우, 의류수납챔버(100) 부분에서는 의류수납챔버(100)의 내측이 노출되고, 공조챔버(200) 부분에서는 배기구(250),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가 노출된다. 다만, 도어(600)는 흡기구(210)를 커버하지 않는다. 도어(600)의 최하단이 흡기구(21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공기청정모드에서 도어(600)를 개방하지 않아도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도어(600)의 외면에는 제어패널(610)와 배기도어(650)가 위치한다. 제어패널(610)은 사용자가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와 현재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배기도어(650)는 공조챔버(200)의 배기구(250)와 연통되어 공기청정모드에서 도어(600)를 개방하지 않아도 배기도어(650)만 개방됨으로써 여과된 외기를 토출한다. 도어(600)는 하프미러(half-mirr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 위치한 의류 등을 사용자에게 그대로 보여줄 수 있으면서도, 경우에 따라 거울 기능을 수행하여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의류 등을 꺼낸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배기도어(650)는, 도어(600)를 닫았을 때, 공조챔버(200)의 배기구(250)와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구(250)의 전면에 이물질의 침투를 막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용자의 신체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릴부는 배기도어(650) 후면에도 역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를 내측에는 공기유입구(141) 및 공기유출구(142)가 형성되고(도 9 내지 12 참고), 이를 통해, 의류수납챔버(100) 및 공조챔버(200)는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모두 생략하였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위치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유입구(141)는 팬유닛(230)과 연통되어 공조챔버(200)에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고, 공기유출구(142)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공조챔버(200)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공기유입구(141)와 연통된 부분은,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의류수납챔버(100) 내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 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유동공기가 수직한 방향일 때보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에 수납된 의류 등과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측 상부에는 재순환모듈(300)이 장착되는 재순환 모듈 장착부가 위치한다. 재순환모듈(300)에는 에어샷 기능이 있는 에어샷 옷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공조챔버(200)은 공기청정모드를 수행하는 공간이자, 의류관리모드에서는 의류수납챔버(100)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여과한 후 자연가습공기를 유동공기로서 유출함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간이다.
공조챔버(200)은 의류수납챔버(10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도 위치할 수 있으나, 의류수납챔버(10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 또는 포화습공기가 자중에 의해 공조챔버(2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조(28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조챔버(200)은 흡기구(210), 제1 유로(220), 팬유닛(230), 제2 유로(240), 배기구(250), 제습부(260),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를 포함한다.
흡기구(210)는 외기를 공조챔버(200) 내부로 흡입하는 부분이다. 선택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개방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 폐쇄될 수 있다. 흡기구(210)의 위치는 후술하는 배기구(250)의 아래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조챔버(2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류관리모드에서 흡기구(210)가 폐쇄되기에 유동공기의 순환 유로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600)가 흡기구(210)에 이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흡기구(210)에는 청정필터유닛 탈착부(미도시)가 위치하여 청정필터유닛(219)이 위치할 수 있다. 청정필터유닛(219)은 공기청정모드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며, 프리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유로(220)는 흡기구(210), 제2 유로(230) 및 팬유닛(230)과 연통한다. 공기청정모드에서 흡기구(210)에 의해 흡입되고 여과된 외기와 의류관리모드에서 제2 유로(230)를 통해 흡입된 유동공기가 제1 유로(220)에 유입된다.
제1 유로(220) 내측에는 가습필터유닛(229)이 위치한다. 가습필터유닛(229)은 유동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가습필터유닛(229)은 가습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어서,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이 가습필터에 공급되면, 유동공기가 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공급되어 자연가습공기가 형성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습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열이 가해져서, 자연가습공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까지 상승하여 의류수납챔버(100)에 공급될 수 있다. 열을 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열부재(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팬유닛(230)의 유입 측은 제1 유로(220)와 연통하여, 제1 유로(220)로 공기를 흡입하는 동력을 부여한다. 팬유닛(230) 동작에 의해 공기청정모드에서 외기가 제1 유로(220)로 흡기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공기가 유동공기로서 제1 유로(220)로 흡기된다. 팬유닛(230)의 배출 측은 제2 유로(240)와 연통한다. 또한, 배기구(250)가 흡기구(2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의류수납챔버(100)이 공조챔버(200)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배기구(250) 및 의류수납챔버(100)과 연통 가능한 제2 유로(240)는 팬유닛(230) 및 제1 유로(2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유로(240)는 팬유닛(230)으로부터 여과된 외기 또는 유동공기를 공급받는다. 제2 유로(240)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배기구(25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그 제어를 위해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를 포함한다.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페어링되어 작동하여 유로를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유로를 변경하는 어떠한 메커니즘이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공기청정모드에서는 제2 유로(240)가 의류수납챔버(100)과 차단되고 배기구(250)와 연통하도록 하고(도 8 참조), 의류관리모드에서는 제2 유로(240)가 의류수납챔버(100)과 연통되고 배기구(250)와 차단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관리모드에 대해 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는 제2 유로(240)의 유동공기가 제1 유로전환부재(241) 상측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되고,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유동공기는 제2 유로전환부재(242) 상측에 위치한 공기유출구(142)를 통해 다시 제2 유로(240)로 유출됨으로써 순환된다.
배기구(250)는 제2 유로(240)로부터 여과된 외기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한다. 배기구(250)에 해당하는 도어(600) 외측에는 배기도어(650)가 위치하여, 배기구(25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개방되어 배기구(250)로부터 여과된 외기가 토출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폐쇄될 수 있다.
제습부(260)는 의류수납챔버(100)을 유동하는 유동공기를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습이 이루어져야 의류수납챔버(100) 내부 및 유동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유동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고, 또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공조챔버(200)로 유동한 유동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다. 제습부(260)는 예를 들어 히트펌프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은 버려지지 않고, 의류관리모드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의류수납챔버(100)이 섭씨 50 내지 70도 정도로 가열된 이후 공기유입구(141)를 통해 제2 유로(240)로부터 상온의 유동공기를 유입받아, 의류 등의 오염물질 내지 악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가습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제공되어, 유동공기 기능을 하는 자연가습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온도는 예시이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습부(260)와 가습필터유닛(229)(즉, 가습필터)는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의류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조챔버(200)이 외기 및 의류수납챔버(100) 모두와 연통되는 전체순환모드 및 공조챔버(200)이 외기 및 의류수납챔버(100) 모두와 차단되는 전체차단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수조(270)는 가습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에 공급되어야 하는 물을 저류한다. 이를 위해 가습필터유닛(229)과 튜빙으로 연결된다. 응축수조(280)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하거나, 또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생성된 포화습공기가 공조챔버(200)의 제1 유로(220) 또는 제2 유로(240) 등으로 유입되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한다. 이를 위해, 의류수납챔버(100) 및/또는 제1 유로(220) 및/또는 제2 유로(220)와 튜빙으로 연결된다.
물을 채우거나 채워진 응축수를 버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 모두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급수조(270)와 응축수조(280)는 공조챔버(2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도어(600)를 열고 배기구(250) 아래에 위치한 각 수조에 위치한 손잡이를 이용하여 이들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재순환모듈(300)은 공기청정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의 유동공기를 재순환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의류 등의 직접 건조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공조챔버(200)의 작동 여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에 수납된 의류 등의 먼저 털이를 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공조챔버(200)의 팬유닛(230), 제습부(260) 및 가습필터유닛(229)의 동작을 기준으로, 주름제거모듈(700)의 가열부(715)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는, 제습부(260) 또는 가습필터유닛(229)이 교번하여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와 가열부(715)가 동작되는 주름케어모드가 동시에 수행되면, 주름케어모드만 단독으로 수행될 때의 경우보다, 가열부(715)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즉, 공조챔버(200)가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 수행시, 건조공기의 공급에 의해, 대상의류에 열이 전달되는 바,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 의류수납챔버(100)의 온도 및 습도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가열부(715)의 구체적인 출력은, 제어부에 의해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의류수납챔버
200: 공조챔버
300: 재순환모듈
600: 도어
700: 주름케어모듈
702: 걸이부
710: 지지플레이트
720: 가압플레이트
713: 돌기부
715: 가열부
719: 센서부
730: 연결부

Claims (11)

  1. 의류수납챔버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측에 구비된 공조챔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면에는 주름케어모듈이 위치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가열부가 포함되며, 대상의류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대상의류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시키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로서, 상기 연결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상기 대상의류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시킨, 연결부; 및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생성영역 및 상기 주름제거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의류관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단부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측단부를 연결시켜,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최대 회전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 대상의류를 최대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름생성영역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단부에 인접한 부분이되,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인,
    의류관리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열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주름생성영역에 포함된 주름생성 열선 및 상기 주름제거영역에 포함된 주름제거 열선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생성 열선 및 주름제거 열선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의류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주평면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위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단위영역 각각에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의류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위영역에 대해, 상기 가열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대상의류의 형태 정보를 판단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기설정된 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의류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위영역을 판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기설정된 방식은,
    상기 단위영역 별로 대상의류와의 접촉을 인식하는 방식 또는 광센싱 방식인,
    의류관리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한 가압상태 및 가압해제상태를 인식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상태에서 상기 가열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해제상태에서는 상기 가열부를 강제 중지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제1 측단부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제1 측단부와 대향하는 제2 측단부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로 이루어진,
    의류관리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케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구비된,
    의류관리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와 상기 공조챔버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챔버는,
    상기 의류수납챔버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제습부; 및
    상기 유동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의류수납챔버에 공급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필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부 또는 상기 가습필터유닛이 동작되는 의류관리모드에서, 상기 가열부를 통해, 상기 주름생성영역 및 주름제거영역 모두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의류관리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관리모드 중 상기 제습부가 동작되는 제습구간에서는, 상기 가열부의 출력을 낮추며,
    상기 의류관리모드 중 상기 가습필터유닛이 동작되는 가습구간에서는, 상기 가열부의 출력을 높이는,
    의류관리시스템.
KR1020200058665A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1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5A KR20210141248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5A KR20210141248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248A true KR20210141248A (ko) 2021-11-23

Family

ID=7869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65A KR20210141248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2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3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3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674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2205716B1 (ko)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12670089U (zh) 能够通过辊的按压来去除衣物褶皱的多功能容纳系统
CN211862175U (zh) 包含衣物掸灰用空气吐出部的多功能收纳系统
US11320158B2 (en)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141248A (ko) 의류관리시스템
JP2021101786A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102021904B1 (ko)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KR20210083904A (ko) 의류처리장치
CN216454010U (zh) 衣物管理系统
KR20200081072A (ko)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114901895B (zh) 衣物处理装置
KR20210141249A (ko) 의류관리시스템
KR102215444B1 (ko)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JP7449529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111546A (ko) 가습수 제어 기능이 구비된 가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JP2021101788A (ja) 衣類処理装置
CN215685723U (zh) 多功能收纳系统
KR20210138303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1247A (ko) 의류관리시스템
JP3791536B1 (ja) 手乾燥装置
EP4066676B1 (en) Shoe car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