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47A - 의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247A
KR20210141247A KR1020200058664A KR20200058664A KR20210141247A KR 20210141247 A KR20210141247 A KR 20210141247A KR 1020200058664 A KR1020200058664 A KR 1020200058664A KR 20200058664 A KR20200058664 A KR 20200058664A KR 20210141247 A KR20210141247 A KR 2021014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air
storage chamber
clothes
man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김재홍
남유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247A/ko
Publication of KR2021014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대상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과 유체 연통되어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에 제공하는 공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류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 의류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부개방부 및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부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1)는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및 제1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주입구(711)와 제2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 공기주입구(712)가 구비된 주름제거모듈(700); 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에 대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하부개방부의 개방면적보다, 상기 하부개방부의 개방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공기유입구(141)를 커버하여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기 하부개방부를 통해 주입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시스템{Clothing Care System}
본 발명은 의류관리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제거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의류 거치가 가능하며, 공조부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관리대상 의류 내측에 주입하여 관리대상 의류를 팽창시킴으로써, 관리대상 의류에 존재하는 주름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 내에 수납되는 의류(침구, 장난감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의류'라 총칭함)에 가습과 제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의류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의류수납챔버에 보관된 의류에 가습공기를 분사하면 미세한 물분자가 섬유조직 깊속한 곳에 존재하는 냄새입자에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로부터 분리되어 배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은 이러한 탈취 내지 관리와 더불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가습공기에 의해 소정의 수분을 머금은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의류의 주름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의류관리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본 출원인의 미국공개특허 2020/0096210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는 가습공기와 열풍을 순차적으로 의류의 외측에 제공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반복적인 건조에 의해 의류의 잔주름을 어느 정도 제거하는 효과가 있지만, 주름 제거효과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삼성전자의 한국공개특허 10-2015-0029438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 내측에 위치하는 토르소 또는 마네킹 형태의 의류거치수단 표면을 통해 세탁을 위한 물과 건조를 위한 공기를 의류의 내측에 제공하는 의류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의류 내측에 건조를 위한 공기를 근접하게 제공함으로써 주름 제거효과를 다소 개선하는 효과가 있지만, 부피가 큰 토르소로 인해 의류수납공간이 줄어들고, 의류 외측에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를 제공하지 못하고, 의류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다수의 토르소 또는 마네킹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관리대상 의류의 주름제거 효율을 높이면서도 의류수납챔버의 공간활용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미국공개특허 2020/0096210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9438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5765호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686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관리대상 의류에 대응되는 입체적 형상을 사용함 없이,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효과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면서, 다양한 의류에 적용 가능함과 동시에, 복수의 관리대상 의류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 및 효율이 증대된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의류관리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관리대상 의류의 주름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관리대상 의류를 충분히 인장시킨 상태에서 관리대상 의류 내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의류수납챔버 내부에 사용자에 의한 탈착이 용이한 모듈을 제안함과 동시에,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고속의 공기가 주입될 때에도 안정적으로 관리대상 의류와의 고정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듈 및 의류수납챔버의 결합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대상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과 유체 연통되어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에 제공하는 공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류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 의류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부개방부 및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부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1)는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및 제1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주입구(711)와 제2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 공기주입구(712)가 구비된 주름제거모듈(700); 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에 대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하부개방부의 개방면적보다, 상기 하부개방부의 개방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공기유입구(141)를 커버하여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기 하부개방부를 통해 주입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로 각각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부(705);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가 각각 형성된 본체부(710)로서, 상기 공기유입구(141)와 대면하는 유입개구(714)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로 가이드시키는, 본체부(710); 및 상기 제1 공기주입구(711) 상에 제1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를 구성하는 일면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공기주입구(712) 상에 제2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를 구성하는 일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21, 722)로서,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개방부가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와 각각 연통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21, 722);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각각 상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관형 개구이며, 상기 고정부재(721, 722)는,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 외주면 상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710)는, 일측은 상기 유입개구(714)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제1 공기주입구(711)와 연통된 제1 본체유로(701); 및일측은 상기 유입개구(714)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제2 공기주입구(712)와 연통된 제2 본체유로(702);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705)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는,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개구(714)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의 후방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 상측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수평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폭방향의 길이보다 깊이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710)의 하부면은,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71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본체부(710)의 전방 측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7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 중 상기 본체부(71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접하는 부위는, 상기 공조부(200)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유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모듈(800)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상부개방부의 개방면적보다, 상기 상부개방부의 개방면적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모듈(80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에는 상측에 구비되며, 폭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모듈(800)을 고정하는 행거부(10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모듈(800)은, 상기 행거부(101)에 지지되는 걸이부(801); 및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집게부(81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모듈(800)은, 상기 걸이부(801) 및 집게부(8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집게부(810)에 의해 고정된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를 상방을 향해 인장시키는 탄성부(820);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은, 바닥면 중 후방 측에, 소정의 각도로 상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00a)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41)는, 상기 경사부(100a) 상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710)의 하부면은, 상기 경사부(100a)에 대응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관리대상 의류에 대응되는 입체적 형상을 사용함 없이,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효과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면서, 다양한 의류에 적용 가능함과 동시에, 복수의 관리대상 의류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 및 효율이 증대된 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둘째, 본 발명은 의류관리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관리대상 의류의 주름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관리대상 의류를 충분히 인장시킨 상태에서 관리대상 의류 내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셋째, 본 발명은 의류수납챔버 내부에 사용자에 의한 탈착이 용이한 모듈을 제안함과 동시에,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고속의 공기가 주입될 때에도 안정적으로 관리대상 의류와의 고정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듈 및 의류수납챔버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이 의류수납챔버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의 의류관리모드시 공기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내부의 주름제거모듈을 점선으로 함께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이 의류수납챔버에 구비된 상태에서, 측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공기유입구 측을 확대한 도면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 중 의류수납챔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름제거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주름제거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주름제거모듈의 측면도(우측에서 바라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모듈의 본체부 내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1 및 제2 본체유로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1 및 제2 본체유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유로전환부의 조작에 의해 공기의 유로 전환을 도시하며, (a)는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 모두에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 (b)는 제1 공기주입구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 (c)는 제2 공기주입구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13의 a는 공기가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주입되기 전 상태이며, 도 13의 b는 공기가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인 주름제거모듈에 형성된 고정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인 주름제거모듈의 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주름제거모듈을 구비한 의류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을 위하여 정면, 후면, 우측, 좌측,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등의 용어가 사용되나, 이는 오직 설명을 위한 것인 바, 본 발명이 해당 방향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기준으로, 의류수납챔버의 좌측과 우측의 연장 방향을 '폭방향'방향 정의하며, 의류수납챔버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정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것과 동일함)을 '깊이방향'이방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의류관리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주름제거모듈이 장착된 의류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구조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및 3 내지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부(600)의 도시는 생략한다.
의류수납챔버(100)은 의류 등이 수납되어 오염물질이나 악취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간이다. 이를 위하여 의류수납챔버(100) 내부는 고온으로 상승한 후 자연가습공기가 공기로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작동 모드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의류수납챔버(100)을 내측에서 살펴보면, 하부면에 공기유입구(141), 공기유출구(142) 및 기능성 재료 수납부(미도시)가 위치한다. 공기유입구(141)와 공기유출구(142)는, 각각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공기가 공조부(200)로부터 유입되고 유출되는 개구이다.
공기유입구(141)는 팬유닛(230)과 연통되어 공조부(200)에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고, 공기유출구(142)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공조부(200)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공기유입구(141)와 연통된 부분은,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의류수납챔버(100) 내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14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수직한 방향일 때보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에 수납된 의류 등과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 상부 중앙에는 행거바(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으며, 좌우 내측벽면 또는 후면 내측벽면에는 바지 걸이(미도시)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공조부(200)은 공기청정모드를 수행하는 공간이자, 의류관리모드에서는 의류수납챔버(100)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여과한 후 자연가습공기를 공기로서 유출함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간이다. 공조부(200)은 의류수납챔버(10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도 위치할 수 있으나, 의류수납챔버(10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 또는 포화습공기가 자중에 의해 공조부(2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조(28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조부(200)은 흡기구(210), 제1 유로(220), 팬유닛(230), 제2 유로(240), 배기구(250), 제습부(260),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를 포함한다.
흡기구(210)는 외기를 공조부(200) 내부로 흡입하는 부분이다. 선택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개방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 폐쇄될 수 있다. 흡기구(210)의 위치는 후술하는 배기구(250)의 아래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조부(2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류관리모드에서 흡기구(210)가 폐쇄되기에 공기의 순환 유로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600)가 흡기구(210)에 이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흡기구(210)에는 청정필터유닛 탈착부가 위치하며, 청정필터유닛(219)이 장착될 수 있다. 청정필터유닛(219)은 공기청정모드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며, 프리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유로(220)는 흡기구(210), 제2 유로(240) 및 팬유닛(230)과 연통한다. 공기청정모드에서 흡기구(210)에 의해 흡입되고 여과된 외기와 의류관리모드에서 제2 유로(24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1 유로(220)에 유입된다.
제1 유로(220) 내측에는 가습필터유닛(229)이 위치한다. 가습필터유닛(229)은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습필터유닛(229)은 가습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이 가습필터에 공급되면, 공기가 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공급되어 자연가습공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습필터유닛(229)으로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해 펌프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이 가습필터유닛(229)으로 공급되면, 가습필터가 물에 의해 적셔진 상태(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된다. 이 후, 공기가 가습필터유닛(229)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기화되면서 공기가 수분을 머금게 됨으로써, 자연가습공기가 생성되고, 자연가습공기는 의류수납챔버(100)로 유동되어 의류수납챔버(100) 내에 보관된 의류에 가습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습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열이 가해져서, 자연가습공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까지 상승하여 의류수납챔버(100)에 공급될 수 있다. 열을 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열수단(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팬유닛(230)의 유입 측은 제1 유로(220)와 연통하여, 제1 유로(220)로 공기를 흡입하는 동력을 부여한다. 팬유닛(230) 동작에 의해 공기청정모드에서 외기가 제1 유로(220)로 흡기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공기가 공기로서 제1 유로(220)로 흡기된다. 팬유닛(230)의 배출 측은 제2 유로(240)와 연통한다. 또한, 배기구(250)가 흡기구(2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의류수납챔버(100)이 공조부(200)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배기구(250) 및 의류수납챔버(100)과 연통 가능한 제2 유로(240)는 팬유닛(230) 및 제1 유로(2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유로(240)는 팬유닛(230)으로부터 여과된 외기 또는 공기를 공급받는다. 제2 유로(240)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배기구(25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그 제어를 위해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를 포함한다.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페어링되어 작동하여 유로를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유로를 변경하는 어떠한 메커니즘이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는, 공기청정모드에서는 제2 유로(240)가 의류수납챔버(100)과 차단되고 배기구(250)와 연통하도록 하고, 의류관리모드에서는 제2 유로(240)가 의류수납챔버(100)과 연통되고 배기구(250)와 차단되도록 한다. 즉,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는 제2 유로(240)의 공기가 제1 유로전환부재(241) 상측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되고,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의 공기는 제2 유로전환부재(242) 상측에 위치한 공기유출구(142)를 통해 다시 제2 유로(240)로 유출됨으로써 순환된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작동 모드에서 상술한다.
배기구(250)는 제2 유로(240)로부터 여과된 외기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한다. 배기구(250)에 해당하는 도어(600) 외측에는 배기도어(650)가 위치하여, 배기구(25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개방되어 배기구(250)로부터 여과된 외기가 토출되고, 의류관리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폐쇄될 수 있다.
제습부(260)는 의류수납챔버(100)을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습이 이루어져야 의류수납챔버(100) 내부 및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고, 또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공조부(200)로 유동한 공기를 제습할 수도 있다. 제습부(260)는 예를 들어 히트 펌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은 버려지지 않고, 의류관리모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의류수납챔버(100)이 섭씨 50 내지 70도 정도로 가열된 이후 공기유입구(141)를 통해 제2 유로(240)로부터 상온의 공기를 유입받아, 의류 등의 오염물질 내지 악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가습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제공되어, 공기 기능을 하는 자연가습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온도는 예시이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습부(260)와 가습필터유닛(229)(즉, 가습필터)는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의류관리모드에서 팬유닛(230) 및 제습부(260)의 제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온풍을 발생시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로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전술한 가습필터유닛(229)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자연가습공기가 되며, 이는 팬유닛(230)에 의해 공급되는 온풍과 결합되어 수납된 의류 등의 탈취 및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습부(260) 또는 별도의 가열수단은 공기유입구(141)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자연가습공기의 양 및 온풍의 양은 모두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수납되는 의류 등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최적화된 제어 방식이 별도의 모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600)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공조부(2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공조부(200)의 흡기구(210) 측은 커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도어부(60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조부(200)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어부(600) 중 공조부(200)의 배기구(25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별도의 배기도어(650)가 구비된다. 의류관리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폐쇄되나, 공기청정모드에서는 배기도어(650)가 개방된다.
응축수조(280)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하거나, 또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생성된 포화습공기가 공조부(200)의 제1 유로(220) 또는 제2 유로(240) 등으로 유입되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한다. 이를 위해, 의류수납챔버(100) 및/또는 제1 유로(220) 및/또는 제2 유로(220)와 튜빙으로 연결된다.
물을 채우거나 채워진 응축수를 버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 모두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급수조(270)와 응축수조(280)는 공조부(2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도어부(600)를 개방한 후,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에 접근할 수 있다.
재순환 모듈(300)은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의 공기를 재순환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의류 등의 직접 건조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공조부(200)의 작동 여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에 수납된 의류 등의 먼지털이를 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관리모드가 시작될 때, 제습부(260)의 예열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1차적으로 재순환 모듈(300)만 먼저 동작하여 의류수납챔버(100)에 보관된 의류의 이물질을 강한 송풍으로 제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주름제거모듈이 장착된 의류관리시스템
도 6 내지 1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이 장착된 의류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주름제거모듈(700)이 장착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에는 의류 중 하의가 고정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의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의, 이불 등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은 의류수납챔버(10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41)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즉, 주름제거모듈(700)의 형상 및 결합 위치는, 공기유입구(141)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41)는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에 형성되며,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되, 폭방향의 길이가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개구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은 복수의 의류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주름제거모듈(700)은, 제1 공기주입구(711), 제2 공기주입구(712) 및 유로조절부(705)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 각각에는 고정부재(721, 722)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가 상호 동일한 형상 및 방향으로 구비됨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의 구조와 관련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의 형상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용 의류 및 유아용 의류를 동시에 사용 가능도록,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부분이며, 상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로써, 개구의 외주면은 상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이다.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은 개구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바, 개구의 외주면은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또한,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후술하는 본체부(710) 상부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단면적이 유입개구(714)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가 유동하는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관리대상 의류의 내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의류수납챔버(100)의 깊이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의 수평 방향 단면적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폭방향보다 깊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류수납챔버(100)의 상측에는 폭방향으로 행거바(101)가 구비되는 바, 복수의 관리대상 의류를 지지할 때, 별도의 고정수단(의류수납챔버(100) 내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의미함)을 사용하지 않고, 행거바(101)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타원 형상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타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서리 측이 라운드진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모서리 측이 라운드지지 않은 사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상호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공기유입구(141)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이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공기유입구(141)의 단면 형상은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인데 반해,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의 단면 형상은 깊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이것은 유로조절부(705)와의 배치 관계를 고려한 구조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체부(710)는, 하부면에 유입개구(714)가 형성된다. 유입개구(714)는 의류수납챔버(100)에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41)와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즉, 유입개구(714) 역시 공기유입구(141)와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로 구성된다. 이 때, 주름제거모듈(700)이 공기유입구(141)를 안정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본체부(710)의 유입개구(714)는 공기유입구(141)와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개구(714)의 단면은 공기유입구(141)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이되, 공기유입구(141)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유입개구(714)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단부 측에는 공기유입구(141)를 향해 연장된 결합부(714a)가 형성된다. 이 때, 결합부(714a)는 공기유입구(141)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된다. 다시 말해, 결합부(714a)의 외주면은 순한공기유입구(141)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대면하는 구조이다.
본체부(710)의 하부면은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격 형성된다. 이 때, 본체부(710)의 하부면 및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 형성된 공간에는, 본체부(710)를 지지하는 지지바(713)가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710)는 공기유입구(141) 및 유입개구(714)의 삽입 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되나, 보다 안정적으로 주름제거모듈(700)을 지지하기 위해, 2차적으로 지지바(713)를 구비하며, 지지바(713)는 본체부(710)의 전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에 고정된다. 지지바(713)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에는 지지바(713)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바(713)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710) 내에는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와 유로조절부(7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유로(701)는 일측은 유입개구(714)와 연통되고, 타측은 제1 공기주입구(711)와 연통되며, 제2 본체유로(702)는 일측은 유입개구(714)와 연통되고, 타측은 제2 공기주입구(712)와 연통된다. 유로조절부(705)는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조절부(705)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의 좌측에는 제1 공기주입구(711)가 위치되며, 우측에는 제2 공기주입구(712)가 위치되는 바, 유로조절부(70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공기주입구(711)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로조절부(70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공기주입구(712)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로조절부(705)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며(사용자에 의한 회전을 의미함),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은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를 구비함에 따라, 복수의 관리대상 의류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용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1개의 관리대상 의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관리대상 의류가 고정된 제1 또는 제2 공기주입구(711, 712) 측으로만 공기가 공급되도록 유로조절부(705)를 조작할 수 있다. 다만, 단일의 관리대상 의류를 사용할 때(제1 공기주입구(711)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함),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를 모두 개방시킨 경우에는,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도 공기가 유동됨과 동시에, 제2 공기주입구(712)로도 공기가 토출되는 바, 이는 관리대상 의류 외측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관리대상 의류의 내피 및 외피를 모두 관리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를 모두 개방시킨 상태에서 의류관리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은 액세서리(accessory)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장착을 하고, 평상시에는 주름제거모듈(7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의류관리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주름제거모듈(700)은 분리 및 결합의 용이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은 사용자가 분리 및 결합이 편의성을 위해, 본체부(710)의 하부면 및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 사이를 이격 형성시키며, 이격된 공간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바(713)를 구비한다. 이에 사용자는 한 쌍의 지지바(713) 사이의 공간에 손을 집어넣어 주름제거모듈(700)을 안정적이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에 있어서, 지지바(713)는 공기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부(710)의 수평방향 단면은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을 대부분 커버하는 바, 만약, 본체부(710)가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유출구(142)가 막히게 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에 형성된 지지바(713)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710)를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형성시킴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킨다. 상기 공간은 공기유입구(141)로부터 도입되어 관리대상 의류 내측을 거쳐, 관리대상 의류 외측으로 유동된 공기가 다시 공조부(200)로 유동시키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부재(721, 722)는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을 공기주입구(710) 외주면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이 중공을 형성하도록,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이 공기주입구(710)를 감싼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며, 이를 통해,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 및 공기주입구(710)를 연통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721, 722)는 관리대상 의류 일측의 내주면 및 공기주입구(711, 712) 외주면을 상호 밀착시킨다. 공조부(200)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주입 과정에서 새어나가지 않고, 효과적으로 관리대상 의류를 팽창시킬 수 있다. 관리대상 의류 내측에는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옷감이 인장되며, 옷감의 인장에 의해 관리대상 의류에 존재하는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고정부재(721, 722)에 의해 관리대상 의류 일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 상방을 향하는 공기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관리대상 의류가 이탈될 수 있는 바, 강한 고정력이 필요하다.
고정부재(721, 722)는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9에 도시된 고정부재(721, 722)의 실시예는 힌지 방식이다. 이 경우, 더 강한 고정력을 위해, 고정부재(721, 722)와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가 대면하는 부위에 자석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721, 722)와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가 후크에 의해 걸림 결합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결합 형태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고정부재(721, 722)의 배치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 외주면 상에서 상호 마주보는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바,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의 양 측방에 한 쌍이 구비되고, 전방 및 후방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는 고정부재(7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전술한 힌지 방식은 관리대상 의류를 공기주입구(710) 외주면 측으로 밀착시키는 구조인데 반해,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후크를 관리대상 의류에 형성된 벨트루프(belt loop)에 걸어 하방을 향해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벨트루프에 걸어 고정시키는 방식은 힌지 방식에 비해 밀폐성이 다소 낮을 수 있다. 즉, 관리대상 의류 내주면 및 공기주입구(710) 외주면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 방식은 관리대상 의류의 통기성이 매우 낮은 두꺼운 재질의 의류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관리대상 의류 내측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부고정모듈(800)은 공기주입구(710)에 고정된 관리대상 의류의 일측(하의에서 벨트루프가 형성된 측을 의미함)과 대향되는 관리대상 의류의 타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고정모듈(800)이 관리대상 의류의 타측을 고정할 때, 상하 방향으로 관리대상 의류가 인장되도록 구성되어 관리대상 의류의 인장만으로도 소정의 주름 제거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의류수납챔버(100)에는 상부고정모듈(8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01)가 형성된다. 고정부(101)는 후크 형태, 핀 형태, 바 형태(소정의 안착홈이 형성됨) 등 상부고정모듈(8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의류수납챔버(100) 상측에 폭방향으로 행거바(101)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고정부(101)는 의류수납챔버(100) 내면 중 양 측면 상에 형성된 고정걸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부고정모듈(800)의 걸이부(801)를 고정걸이 형태인 고정부(101)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고정모듈(800)은 걸이부(801) 및 집게부(8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이부(801)는 고정부(101)에 걸려서 고정되는 부분이며, 집게부(810)는 관리대상 의류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4의 (a) 내지 (c)는 상부고정모듈(800)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중 (b) 및 (c)는 관리대상 의류를 상방으로 인장시키는 탄성부(820)가 포함된 구조이다. 탄성부(820)는 관리대상 의류를 상방으로 인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고정모듈(800)은 탄성부(82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 다양한 높이(또는 길이)의 관리대상 의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관리대상 의류가 상방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된 경우, 관리대상 의류의 주름 제거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관리대상 의류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류관리모드에서는 가습 및 제습이 반복 수행되는 바, 관리대상 의류 내측에도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습공기)의 공급 및 건조한 공기(건조공기)의 공급이 반복된다. 관리대상 의류 내측에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관리대상 의류가 팽창되고, 이와 동시에, 가습공기 및 건조공기의 교번적 주입에 의해, 관리대상 의류 옷감의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는 바, 주름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단순히 관리대상 의류 외측(외면)에 가습공기 및 건조공기를 교번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은, 가습 및 제습에 의해서만 옷감이 수축과 팽창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모듈(700)을 사용하는 것이 관리대상 의류의 주름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의류관리시스템의 의류관리모드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의류관리시스템의 의류관리모드를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의류관리모드'는 의류수납챔버(100) 내측에 위치한 의류 등에서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모드이다. 자연가습공기를 공기로 순환시킴으로써 의류수납챔버(100) 내부를 습윤한 환경에 되도록 하여, 의류 등의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이 습공기와 함께 제거되며, 이들은 공조부(200)로 유입되어 응축수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제습부(260)가 의류수납챔버(100)을 유동하는 공기의 제습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습부(260)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의류수납챔버(100) 내부가 가열될 수도 있다. 즉, 의류관리모드에서는, 가습필터유닛(229) 및 제습부(260)는 각각 기설정된 시간만큼 번갈아가며 작동되어 의류수납챔버(100)의 가습 및 제습이 번갈아가며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류관리모드를 선택하면, 도어(600)의 배기도어(650)가 폐쇄되고 흡기구(210)도 폐쇄된다. 즉, 의류관리모드에서 의류수납챔버(100) 내의 공기는 실질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제습부(260)가 의류수납챔버(100)을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한다. 선택적으로,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열은 의류수납챔버(100) 내부를 가열할 수 있으며, 그 온도는 섭씨 50 내지 70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조부(200)의 제1 유로전환부재(241)와 제2 유로전환부재(242)가 동작하여 제2 유로(240)를 의류수납챔버(100) 및 제1 유로(220)와 연통시키고 배기구(250)로부터 차단한다. 가습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가 수분을 머금을 수 있도록 공급수조(270)의 물이 가습필터에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가습필터 또는 가습필터에 공급되는 물이, 제습부(260) 또는 별도의 가열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도 있다.
제습과 동시에, 또는 제습 이후, 팬유닛(230)이 작동한다. 팬유닛(230)의 작동으로, 의류수납챔버(100) 내부의 공기가 공기유출구(142)를 통해 제2 유로(240)에 유입되고, 다시 제1 유로(220)에 유입되어 팬유닛(230)을 향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가습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를 통과하여 자연가습공기가 된다. 이는 다시 제2 유로(240)를 통과하여 공기유입구(141)를 통해 의류수납챔버(100)에 공급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의류수납챔버(100)과 공조부(200) 사이에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한다. 공기는 의류수납챔버(100)에서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일단 공조부(200)에 유입되면 가습필터유닛(229)에서 여과되고 응축수로 응축되어 응축수조(280)에 별도로 모이게 되므로 의류수납챔버(100)로 오염물질이나 악취물질이 다시 공급되는 재오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관리모드에서는, 팬유닛(230) 및 제습부(260) 또는 별도의 가열 수단에 의해 온풍이 생성되어 의류수납챔버(100)로 토출될 수 있으며, 자연가습공기가 의류수납챔버(100)로 먼저 토출되고, 자연가습공기의 토출이 중단된 후, 온풍이 의류수납챔버(100)로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의류수납챔버
100a: 경사부
101: 고정부
129: 순환필터 탈착부
130: 재순환 모듈 장착부
141: 공기유입구
142: 공기유출구
200: 공조부
210: 흡기구
218: 청정필터유닛 탈착부
219: 청정필터유닛
220: 제1 유로
229: 가습필터유닛
230: 팬 유닛
240: 제2 유로
241: 제1 유로전환부재
242: 제2 유로전환부재
250: 배기구
260: 제습부
270: 공급수조
280: 응축수조
300: 재순환 모듈
600: 도어부
650: 배기도어
700: 주름제거모듈
701: 제1 본체유로
702: 제2 본체유로
705: 유로조절부
710: 본체부
711: 제1 공기주입구
712: 제2 공기주입구
714: 유입개구
714a: 결합부
713: 지지바
721, 722: 고정부재
800: 고정모듈
801: 걸이부
810: 집게부
820: 탄성부

Claims (13)

  1. 관리대상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수납챔버(10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과 유체 연통되어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에 제공하는 공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류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 의류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부개방부 및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부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1)는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및
    제1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주입구(711)와 제2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 공기주입구(712)가 구비된 주름제거모듈(700); 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에 대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하부개방부의 개방면적보다, 상기 하부개방부의 개방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공기유입구(141)를 커버하여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가습공기 또는 건조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기 하부개방부를 통해 주입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기 공조부(20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로 각각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부(705); 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름제거모듈(700)은,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가 각각 형성된 본체부(710)로서, 상기 공기유입구(141)와 대면하는 유입개구(714)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로 가이드시키는, 본체부(710); 및
    상기 제1 공기주입구(711) 상에 제1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를 구성하는 일면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공기주입구(712) 상에 제2 관리대상 의류의 하부개방부를 구성하는 일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21, 722)로서,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개방부가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와 각각 연통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21, 722); 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각각 상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관형 개구이며,
    상기 고정부재(721, 722)는,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하부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 외주면 상에 밀착 고정시키는,
    의류관리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710)는,
    일측은 상기 유입개구(714)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제1 공기주입구(711)와 연통된 제1 본체유로(701); 및
    일측은 상기 유입개구(714)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제2 공기주입구(712)와 연통된 제2 본체유로(702);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705)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의류관리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는,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개구(714)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의 후방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본체유로(701, 702) 상측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의류관리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구(711, 712)는,
    수평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폭방향의 길이보다 깊이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인,
    의류관리시스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710)의 하부면은,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71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본체부(710)의 전방 측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713)가 구비된,
    의류관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의 바닥면 중 상기 본체부(710)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100)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접하는 부위는,
    상기 공조부(200)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유출구(142)가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모듈(800)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상부개방부의 개방면적보다, 상기 상부개방부의 개방면적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모듈(800); 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에는
    상측에 구비되며, 폭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모듈(800)을 고정하는 행거부(10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모듈(800)은,
    상기 행거부(101)에 지지되는 걸이부(801); 및
    상기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 각각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집게부(810); 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모듈(800)은,
    상기 걸이부(801) 및 집게부(8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집게부(810)에 의해 고정된 제1 및 제2 관리대상 의류를 상방을 향해 인장시키는 탄성부(820); 가 더 구비된,
    의류관리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100)은,
    바닥면 중 후방 측에, 소정의 각도로 상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00a)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41)는, 상기 경사부(100a) 상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710)의 하부면은,
    상기 경사부(100a)에 대응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의류관리시스템.
KR1020200058664A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1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4A KR20210141247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4A KR20210141247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247A true KR20210141247A (ko) 2021-11-23

Family

ID=7869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64A KR20210141247A (ko) 2020-05-15 2020-05-15 의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716B1 (ko)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US6922913B2 (en) Volatilizable media holder for a laundry dryer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2670089U (zh) 能够通过辊的按压来去除衣物褶皱的多功能容纳系统
CN211862175U (zh) 包含衣物掸灰用空气吐出部的多功能收纳系统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10036313A (ko) 의류 청결 보관장치
KR20210141247A (ko) 의류관리시스템
KR102370613B1 (ko)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021904B1 (ko)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KR20210138303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083904A (ko) 의류처리장치
CN214386642U (zh) 衣物管理模块及多功能收纳系统
US20220192464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1959050A1 (en) Method for drying and smoothing clothes and garment item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US20220192465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210141248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142972A (ko) 의류관리시스템
CN212670092U (zh) 能够用形状记忆合金材料去除衣物褶皱的多功能收纳系统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215444B1 (ko)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16454010U (zh) 衣物管理系统
CN106283565A (zh) 衣物护理机
KR20210111546A (ko) 가습수 제어 기능이 구비된 가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