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90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904A
KR20210083904A KR1020190176666A KR20190176666A KR20210083904A KR 20210083904 A KR20210083904 A KR 20210083904A KR 1020190176666 A KR1020190176666 A KR 1020190176666A KR 20190176666 A KR20190176666 A KR 20190176666A KR 20210083904 A KR20210083904 A KR 2021008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uct
chamber
cover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영
박성후
남완식
박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904A/ko
Publication of KR2021008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미가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제1챔버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팬; 상기 필터부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작동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제2커버를 폐쇄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수분공급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폐쇄하고, 상기 제2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1회 이상 동일한 의류를 착용하면, 의류에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잔류하게 된다.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은 동일한 옷을 다시 착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단순히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불필요한 세탁을 해야만 하므로, 의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의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한, 세탁 후 건조가 완료된 옷이라도 구김이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의류를 즉시 착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다림질 작업 등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챔버,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스팀이나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 것이 있다. 이렇게 공급된 스팀이나 공기는 다시 제1챔버 내부에 위치한 흡입구를 통해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한 공급부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스팀이나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기 수분공급부와 공기공급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나, 공급된 스팀이나 제습된 공기는 제1챔버를 거친 후 다시 제1챔버에 위치한 흡입구를 통해 다시 공기공급부로 돌아가게 된다. 흡입구에는 필터부를 가지고 있어, 흡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1-0067834호가 있다.
그러나, 공기와 스팀을 하나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는 구조의 경우, 흡입구에 구비된 필터부가 흡입된 스팀에 의해 젖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외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를 제습하도록 설계된 것이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하는 것이다. 다만,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새로운 흡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고, 제1챔버에 위치한 기존의 흡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6-0059713호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외부공기의 제습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도 필터부에 의해 걸러진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초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흡입구를 다시 외부 공기 제습 및 청정을 위해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의류처리시 사용한 스팀이 응축되어 헤파필터가 젖을 수 잇다. 이 경우 헤파필터의 성능이 많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헤파필터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필터링 능력은 우수하지만, 수분 등에 의해 잘 막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편, 선행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783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챔버들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에 상기 캐비닛, 제1챔버, 및 제2챔버가 고정되었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의 진동 시 금속 판으로 구비된 캐비닛이 진동이나 소음을 증폭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프레임대신 캐비닛과 제1챔버, 캐비닛과 제2챔버사이에 발포공간을 만들어 발포플라스틱(Foamed Plastic)으로 채우는 단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발포공간이 발포플라스틱으로 채워지기 전에 미리 제1챔버와 제2챔버의 연통, 제2챔버와 외부와의 연통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공급부와 수분공급부의 동작시 다른 흡기유로를 제공하여, 필터부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다른 흡기유로를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공기 흡입을 위 한 다른 흡기유로를 가지면서도, 별도의 필터부가 아닌 기존 필터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챔버사이에 단열부가 구비된 경우에도 제1챔버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제1챔버와 제2챔버사이 또는 제2챔버와 외부 사이를 연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공기의 미세먼지를 없애고 제습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덕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할 때와 공급하지 않을 때 공기를 흡입하는 유로를 각각 제1흡기덕트와 제2흡기덕트로 분리하여 필터부가 응축수에 의해 젖어 필터의 성능을 반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미가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제1챔버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팬; 상기 필터부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작동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제2커버를 폐쇄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수분공급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폐쇄하고, 상기 제2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를 연통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로 보내는 제1연통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를 연통하여 상기 필터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흡기덕트로 보내는 제2연통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가 결합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2흡기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로 보내는 제3연통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상기 제2흡기덕트는 상기 연결덕트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하는 경우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입구를 분리하는 제1분리판;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입구를 분리하는 제2분리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분리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분리판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2흡기턱트는 하나의 흡기덕트에서 상부는 제1분리판과 제2분리판에 구분되어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2흡기턱트를 분리하며, 상기 하나의 흡기덕트의 하부, 즉, 상기 제1분리판과 상기 제2분리판의 하부는 상기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연통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는 상기 제3연통홀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흡기덕트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덕트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연결덕트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는 챔버 제1관통홀; 상기 챔버 제1관통홀과 이격되게 구비된 보호덮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챔버 제1관통홀과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하는 흡기덕트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개방시 챔버 제1관통홀로 튀어 나오거나,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 똔느 상기 제2챔버의 천정면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를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를 개폐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2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2커버를 개폐하는 제2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는 제3구동부;
상기 제3구동부의 회전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커버가 개방시 상기 제2커버는 폐쇄되고, 상기 제2커버가 폐쇄시 상기 제1커버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제1흡기덕트로 안내하는 제3흡기덕트; 상기 제3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커버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상기 제2흡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제3흡기덕트는 상기 제1흡기덕트의 하부와 경사지거나 또는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새로운 통로를 제공하면서도, 기존의 제1흡기덕트, 필터부, 제2흡기덕트 및 연결덕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3흡기덕트는 상기 제1흡기덕트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공기순환의 측면에서도 자연스러운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커버의 개방시, 제3커버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커버가 개방되는 경우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3커버와 커버수용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3흡기덕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기덕트는 상기 제3커버의 개방시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공기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흡기덕트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제1흡기덕트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터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3흡기덕트는 테이퍼드(tapered) 형태를 가져, 유속은 빨라지고 압력은 떨어져 자연스럽게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챔버사이에 프레임대신 단열 및 소음방지를 위해 발포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 상기 제1측면패널과 상기 제2측면패널을 연결하여 상부면과 바닥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 상기 제1측면패널과 상기 제2측면패널을 연결하여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제1측면패널, 상기 제2측면패널,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하부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가 구비된 제1베이스; 상기 전방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서 상기 후방패널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부 프레임, 상기 제1측면패널과 이격된 제1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이격된 제2측면 프레임이 구비된 제2베이스; 상기 전방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제1측면 프레임, 상기 제2측면프레임, 상기 하부패널, 및 상기 후방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제2챔버;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전방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상기 제1베이스,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베이스 사이에 형성된 발포공간에 주입되는 발포 플라스틱(forming plastic)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부; 상기 제1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미가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제1챔버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팬; 상기 필터부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작동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제2커버를 폐쇄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수분공급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폐쇄하고, 상기 제2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발포공간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후방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플라스틱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챔버 제1관통홀; 상기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고정홀; 상기 챔버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고정홀을 연결하는 제1유로 형성부; 및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고, 타단은 제1고정홀 또는 상기 제1유로 형성부를 연결하는 흡기덕트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외기 흡입구; 상기 전방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외기 흡입구; 상기 제1외기 흡입구와 상기 제2외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외기 가이드; 및 상기 제2외기 흡입구와 상기 제1흡기덕트를 연결하는 제3흡기덕트; 상기 제3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커버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상기 제2흡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지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공급부와 수분공급부의 동작시 다른 흡기유로를 제공하여, 필터부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다른 흡기유로를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공기 흡입을 위 한 다른 흡기유로를 가지면서도, 별도의 필터부가 아닌 기존 필터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챔버사이에 단열부가 구비된 경우에도 제1챔버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제1챔버와 제2챔버사이 또는 제2챔버와 외부 사이를 연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기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기공급부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구비된 챔버 제1관통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필터부에 헤파필터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이고, 도6(b)는 필터부에 헤파필터가 장착된 후의 모습이다.
도 7은 상황에 따른 각 커버의 개폐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수분공급부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제1커버만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7(b)는 수분공급부가 동작시 제2커버만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7(c)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청정, 제습시의 제3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제1커버와 제2커버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제1개폐구동부의 제3구동부,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제3구동부,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일례를 확대한 것이다.
도 9는 제3커버와 상기 제3흡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개폐부, 커버수용부 및 공기가이드를 확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방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1),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29), 상기 제1챔버(29)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39), 상기 캐비닛(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 상기 제1챔버(29)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미가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8);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732, 도6참조), 상기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735, 도6참조), 상기 제1챔버(29)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72, 도6참조), 상기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732, 도6참조)를 상기 배기덕트(72, 도6참조)에 연결하는 연결덕트(74, 도6참조), 상기 배기덕트(72, 도6참조)와 상기 연결덕트(74, 도6참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팬(741, 도6참조), 상기 필터부(735, 도6참조)와 상기 팬(741, 도6참조)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77), 상기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를 개폐하는 제1커버(7111, 도6참조), 상기 제2흡기덕트(732, 도6참조)를 개폐하는 제2커버(7112, 도6참조), 상기 제1커버(7111, 도6참조) 및 상기 제2커버(7112, 도6참조)를 제어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 도6참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81, 도3참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작동하고 상기 수분공급부(8)는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7111, 도6참조)를 개방하고, 상기 제2커버(7112, 도6참조)를 폐쇄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731, 도6참조)를 통해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수분공급부(8)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7111, 도6참조)를 폐쇄하고, 상기 제2커버(7112, 도6참조)를 개방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732, 도6참조)를 통해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29)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29)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39)가 구비된다. 상기 제2챔버(39)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29)로 수분과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7, 8)가 구비된다. 도 2와 도 3은 상기 제2챔버(39)에 공기공급부(7) 및 수분공급부(8)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7)는 상기 제2챔버(39)에 구비된 순환덕트(71, 72, 74),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77), 상기 열교환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제1챔버(29)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흡기덕트(71), 상기 제1챔버(29)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배기덕트(72), 상기 흡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7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에는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가 상기 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팬(741)이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팬(741)이 상기 연결덕트(7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77)는 상기 흡기덕트(7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77)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의 열교환부(77)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777),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74) 내부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771),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771)와 상기 팬(741)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773), 상기 냉매관을 따라 냉매가 두 열교환기(771, 773) 사이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775), 상기 냉매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775)와 압력조절기는 상기 순환덕트(71, 72, 74)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71)는 상기 흡기덕트(7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여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제1열교환기(77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결덕트(74)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773)는 상기 압축기(77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덕트(71, 72, 74) 및 압축기(775)는 상기 제2챔버(39) 내부에 구비된 장착바디(7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78)는 상기 캐비닛(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4)의 일부(14b)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된 때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장착바디(78)를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부(7)를 제2챔버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장착바디(78)는 상기 공기공급부(7)의 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열교환부(77)를 비롯한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781) 역시 상기 장착바디(78)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81)는 상기 후방패널의 일부(14b)가 캐비닛(1)에서 분리된 때 노출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781)는 상기 장착바디(78)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은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781)는 도 3과 같이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후방패널의 일부(14b)가 캐비닛(1)에서 분리된 때 노출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장착바디(78)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챔버에서 항기 후방패널의 일부(14b)가 개방시 노출될 수 있으면 다른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도어(4)는 상기 도어바디(41, 도4참조)에 고정되는 컨트롤패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4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433, 435, 437),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입력부(433),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435), 제2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의 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제3입력부(43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52) 및 제2힌지(58)는 상기 전방패널(211, 도3)의 우측 상단과 우측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디(41)가 전방패널의 우측에 형성된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전방패널(211)의 좌측 상단과 좌측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디(41)가 상기 전방패널의 좌측에 위치된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어(4)는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따라, 도어의 양 측면 중 어디로도 열 수 있게 제1힌지(52) 및 제2힌티(58)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리버서블(Reversible) 도어라 칭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79)는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791), 상기 배수탱크(7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탱크 관통홀, 상기 배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된 제1배출관(799a), 상기 제1열교환기(771)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순환덕트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799b), 상기 제2배출관(799b)으로 배출된 응축수를 상기 제1배출관(799a)로 이동시키는 배출펌프(79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열교환기(771)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나, 상기 제1챔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섬프(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섬프에서 상기 배출펌프(799)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탱크(791)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791)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탱크 관통홀에는 체크밸브(7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797)는 상기 제1배출관(799a)이 상기 배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되, 상기 배수탱크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탱크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탱크(791)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결합되면, 상기 제어부(781)는 상기 배출펌프(799)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배수탱크(791)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수탱크(791)의 일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홀(793)이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배수홀(793)이 배수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홀(793)은 배수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79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공급부(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제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공급부(7)는 상기 순환덕트(71, 72, 74)를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3흡기덕트(733), 상기 흡기덕트(7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개폐부(711), 및 상기 제3흡기덕트(73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개폐부(7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711) 및 제2개폐부(761)는 상기 제어부(781)에 의해 각 흡기덕트(71, 73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8)는 가열된 수증기를 제1챔버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mist 등)를 제1챔버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수분공급부(8)가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증기(스팀)를 상기 제1챔버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수분공급부(8)는 상기 제2챔버(39)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81),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29)로 배출하는 분사부(84), 및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8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811), 상기 저장부(811)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히터(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811)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 공급구(811a) 및 상기 저장부(811) 내부의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배출구(811b)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811)는 상기 장착바디(78)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연결덕트(74)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84)는 일단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챔버(39)의 상부면에 고정된 분사바디(841), 상기 분사바디(841)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843), 상기 분사바디(841) 내부의 스팀을 제1챔버(29)에 배출하는 분사구(8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관(843)은 연결관(845)을 통해 상기 스팀 배출구(811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가 제2챔버(39)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제1챔버에 연통하는 홀들)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845)이 충분히 길게 설계된다면, 본 발명은 상기 장착바디(78)를 제2챔버(39)에서 인출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부(7) 및 수분공급부(8)를 제2챔버의 외부로 인출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급수부(86)는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탱크(861), 상기 급수탱크(861)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부(81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86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61)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탱크(861)에는 급수탱크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급수탱크 관통홀 및 상기 급수탱크 관통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867)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부(86)는 상기 급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공급관(869a), 상기 물 공급구(811a)에 연결된 제2공급관(869b), 및 상기 제1공급관(869a)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공급관(869b)으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86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867)는 상기 제1공급관(869a)이 상기 급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급수탱크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탱크(861)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어부(781)는 상기 급수펌프(869)를 통해 상기 저장부(8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861)의 일면에는 급수홀(863)이 구비되는데, 도 3은 상기 급수홀(863)이 급수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홀(863)은 급수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86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29)에는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지지부(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6)는 상기 제1챔버(29)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 옷걸이(H1)에 구비된 고리(H2)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바(66), 상기 지지비(66)의 양단을 상기 제1챔버(29)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부(62) 및 제2연결부(64), 상기 지지바(66)가 상기 제1챔버(29)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해주는 구동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류를 상기 제1챔버(29) 내부에서 흔들어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류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의류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흔들어 주면서 제1챔버(29)에 수분을 공급하면, 의류의 주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경우, 캐비닛(1), 제1챔버(29) 및 제2챔버(39) 의 결합을 위해 캐비닛(1)과 제1챔버(29)의 사이, 캐비닛(1)과 제2챔버(39), 제1챔버(29)와 제2챔버(39)의 사이에 프레임(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진동 시 금속 판으로 구비된 캐비닛이 진동이나 소음을 증폭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프레임대신 캐비닛과 제1챔버, 캐비닛과 제2챔버사이에 발포공간을 만들어 발포플라스틱(Foamed Plastic)으로 채우는 단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원가 절감, 소음저감 및 단열성능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발포공간이 발포플라스틱으로 채워지기 전에 미리 제1챔버와 제2챔버의 연통, 제2챔버와 외부와의 연통을 고려해야 한다. 즉, 발포플라스틱이 발포공간외에 원치않는 공간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캐비닛(1), 제1챔버(29) 및 제2챔버(39) 사이에 구동부(67)를 통한 의류지지부(6)로의 동력전달, 공기공급부(7) 및 수분공급부(8)을 통한 제1챔버와 제2챔버사이의 연통을 위해 뚫혀있는 홀 등을 발포플라스틱으로 막아버리면 안되기 때문이다.
도4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일 실시예로, 이러한 연통을 고려하여, 발포 전 연통을 고려하여, 제1챔버 및 제2챔버에 그리고 캐비닛에 가조립(pre-assembly)되어야 할 구성요소들에 대해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상부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바디(11)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 바디(1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11), 의류처리장치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112) 및 제2측면패널(11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패널(111), 제1측면패널(112) 및 제2측면패널(113)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조립을 통해 하나의 캐비닛 바디(11)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은 상부패널(111), 제1측면패널(112), 및 제2측면패널(113)이 일체로 구비된 경우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결합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패널(16), 및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결합하여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4)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29)를 형성하는 제1챔버 형성부(2) 및 상기 제2챔버(39)를 형성하는 제2챔버 형성부(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챔버 형성부(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제1베이스(21), 상기 제1베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29)에 연통하는 투입구(22),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탱크(791) 및 급수탱크(86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장착부(23), 상기 탱크장착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흡기덕트(733)에 연결되는 제1외기 흡입구(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챔버 형성부(3)는 상기 제1챔버(29)의 하부에 상기 제2챔버(39)를 형성하는 제2베이스(31, 32, 34, 36)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제1베이스(21)와 상기 후방패널(14)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 프레임(32), 상기 전방 프레임(32)에서 상기 후방패널(14)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챔버(29)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프레임(31), 상기 두 프레임(31, 32)에 고정되어 상기 제1측면패널(112)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측면 프레임(34), 및 상기 두 프레임(31, 32)에 고정되어 상기 제2측면패널(113)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측면 프레임(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챔버(39)는 상기 전방 프레임(32), 상기 상부 프레임(31), 상기 제1측면 프레임(34), 상기 제2측면프레임(34), 상기 하부패널(16), 및 상기 후방패널(14)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상기 후방패널(16)은 상기 캐비닛의 상부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후방패널(14a), 상기 제1후방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닛의 하부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2후방패널(14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패널(14a)은 상기 제1챔버(29)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후방패널(14b)은 상기 제2챔버(39)의 후방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16)은 레그(18, 19)가 지지되는 제1하부패널(16a), 상기 제1하부패널(16a)에 연결된 제2하부패널(16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패널(16a)은 전방면은 상기 제1베이스(21)에 고정되고, 후방면은 상기 제2베이스(31, 32, 33, 34)의 전방 프레임(32)에 고정되며, 양측면은 상기 제1측면패널(112)의 하단과 제2측면패널(113)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부패널(16a)은 상기 전방패널(211)과 전방 프레임(3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패널(16b)은 상기 제2베이스(31, 32, 34, 36)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전방면은 상기 제1하부패널(16a)의 후방면에 연결되고, 양측면은 상기 제1측면 프레임(34)의 하부면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하부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하부패널(16b)의 양측면은 상기 제1측면패널(112)과 제2측면패널(113)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하부패널(16a)에는 의류처리장치(100)를 실내공간의 바닥면에 지지하는 제1레그(18) 및 제2레그(19)가 고정되고, 상기 제2하부패널(16b)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1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챔버(39)는 상기 전방 프레임(32), 상기 상부 프레임(31), 상기 제1측면 프레임(34), 상기 제2측면프레임(34), 상기 제2하부패널(16b), 및 상기 제2후방패널(14b)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1레그(18)와 제2레그(19)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1하부패널(16a)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방패널(14b)에는 상기 제2챔버(39)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14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111)의 전방, 상기 제1측면패널(112)의 전방, 및 상기 제2측면패널(113)의 전방에는 전방체결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베이스(21)의 상단, 및 양측면은 상기 상부패널(111)의 전방, 상기 제1측면패널(112)의 전방, 및 상기 제2측면패널(113)의 전방에 구비되는 체결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결합한다.
상기 상부패널(111)의 후방, 상기 제1측면패널(112)의 후방, 및 상기 제2측면패널(113)의 후방에도 후방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후방패널(14a)도 상기 제2챔버 형성부(3)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31)의 후방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31, 32, 33, 34)의 후방면(미도시)은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후방패널(14b)은 상기 제2베이스(31, 32, 33, 34)의 후방면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 형성부(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베이스(21), 상기 제1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챔버(29), 상기 제1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29)에 연통하는 투입구(22), 상기 제1베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탱크 장착부(23), 및 상기 탱크 장착부(2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흡기덕트(733)에 연통하는 제1외기 흡입구(24)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할 흡기덕트(71)은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흡기덕트(731) 및 제2흡기덕트(732)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3흡기덕트(7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32)에는 상기 제1외기 흡입구(24)에 연통하는 제2외기 흡입구(3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외기 흡입구(24)가 장착홈(231)의 하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2외기 흡입구(323)는 탱크장착부(23)의 제2챔버 연통홀(233)과 연통되는 장착홈 연통홀(32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7)에 구비된 제3흡기덕트(733)는 상기 제2외기 흡입구(323)를 상기 흡기덕트(71) 또는 상기 연결덕트(74)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외기 흡입구(24)와 제2외기 흡입구(323)는 외기 가이드(9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211), 상기 전방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전방패널 상부 체결부(213), 전방패널 제1체결부(215), 전방패널 제2체결부(217), 및 전방패널 하부 체결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2)는 상기 전방패널(211)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29)는 상기 전방패널(211)에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22)의 상단에 위치하는 챔버 상부면, 상기 전방패널(211)에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22)의 하단에 위치하는 챔버 바닥면, 상기 전방패널(211)에 고정되어 상기 챔버 상부면과 챔버 바닥면을 연결하는 챔버 제1측면 및 챔버 제2측면, 상기 4개의 면들에 고정된 챔버 후방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 상부면은 의류지지부(6)의 양 연결부(62, 64, 도1참조)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챔버 상부면(291)에는 상기 제1챔버(29)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된 램프(299)가 장착되는 램프 장착홀(291c)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바닥면(297)에는 챔버 제1관통홀(297a), 챔버 제2관통홀(297b), 및 챔버 제3관통홀(297c)이 구비된다.
상기 챔버 제1관통홀(297a)은 상기 제1챔버(29)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에 구비된 흡기덕트(71)로 공급하는 수단이고, 상기 챔버 제2관통홀(297b)은 상기 제2챔버(39)에 구비된 배기덕트(7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챔버(29)로 유입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챔버 제3관통홀(297c)은 상기 분사바디(841)의 상부면이 고정되는 공간으로, 상기 분사구(847)에서 배출되는 스팀은 상기 챔버 제3관통홀(297c)를 통해 상기 제1챔버(29)에 공급된다.
상기 투입구(22)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탱크 장착부(23)는 상기 전방패널(211)의 표면이 상기 제2챔버 형성부(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된 장착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배수탱크(761)와 급수탱크(861)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장착홈(231)에는 상기 제2챔버(39)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챔버 연통홀(233)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공급부에 구비된 제1배출관(799a) 및 수분공급부에 구비된 제1공급관(869a)은 상기 제2챔버 연통홀(233)을 통해 각 탱크(791, 86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연통홀(233)은 상기 전방패널(2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통홀 커버(235, 도5 참조)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관(799a) 및 상기 제1공급관(869a)은 상기 연통홀 커버(235, 도5 참조)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투입구(22) 및 상기 탱크 장착부(23)는 상기 제1베이스(21) 또는 상기 캐비닛(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는 상기 투입구(22)와 상기 탱크 장착부(23)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동시에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4)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도어바디(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41)는 제1힌지(52) 및 제2힌지(58)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제1베이스(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은 상기 제1힌지(52) 및 제2힌지(58)가 상기 도어바디(41)를 상기 제1베이스(21)에 고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힌지(52)는 상기 투입구(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58)는 상기 탱크 장착부(2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는 상기 도어바디(41)에 고정되는 컨트롤패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4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433, 435, 437),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입력부(433),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435), 제2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의 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제3입력부(43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52) 및 제2힌지(58)는 상기 전방패널(211)의 우측 상단과 우측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디(41)가 전방패널의 우측에 형성된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전방패널(211)의 좌측 상단과 좌측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디(41)가 상기 전방패널의 좌측에 위치된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힌지(52)가 상기 전방패널(211)의 상부공간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바디(41)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상기 전방패널(211)의 파손 위험도 증가한다. 상기 도어바디(41)에 의한 전방패널(21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는 상기 제1힌지(52)를 지지하는 제1힌지 브라켓(51) 및 제2힌지를 지지하는 제2힌지 브라켓(54, 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힌지 브라켓(51)과 제2힌지 브라켓(54, 56)은 리버서블 도어를 구현하기 위해 도어(4)가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제1베이스(21)의 좌, 우측 어디에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 브라켓(54, 56)이 구비될 경우, 상기 제1레그(18)와 상기 제2레그(19)는 상기 제1하부패널(16a)를 관통하여 상기 제2힌지 브라켓(54, 56)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7)가 상부패널(1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111a), 제1지지바디(91) 및 제2지지바디(9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a)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가장자리를 지지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61)은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패널(111)에 고정되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챔버 형성부(3)의 상기 상부 프레임(31)에는 상기 흡기덕트(7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고정홀(311), 상기 배기덕트(7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정홀(313), 및 상기 분사부(84)의 공급관(미도시)이 삽입되는 공급관 관통홀(317)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홀(311)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챔버 제1관통홀(297a)은 제1유로 형성부(93)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홀(313)과 챔버 제2관통홀(297b)은 제2유로 형성부(9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는 발포 후에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사이의 연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유로 형성부(93)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과 상기 상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제1유로 바디, 및 상기 제1유로 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제1관통홀(297a)과 제1고정홀(311)을 연결하는 제1바디 관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 형성부(94)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과 상기 상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제2유로 바디, 및 상기 제2유로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제2관통홀(297b)과 제2고정홀(313)을 연결하는 제2바디 관통홀(9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 관통홀(317)은 상기 상부 프레임(31)이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수용부(315)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315)는 상기 제2챔버(39)의 상단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31)의 후방에는 상기 챔버 바닥면(298)을 향해 절곡된 제2하부패널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2후방패널(14b)의 하단은 상기 제2하부패널 체결부(319)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프레임(34)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제1측면패널(112)은 제1스페이서(343, 347)를 통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측면 프레임(36)과 상기 제2측면패널(113)은 측면스페이서(363)를 통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도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측면 프레임(34)에도 같은 형상의 측면스페이서(미도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 상기 제1베이스(21), 상기 제1챔버(29), 및 상기 제2베이스(31, 32, 33, 34) 사이에 형성된 발포공간에 주입되는 발포 플라스틱(forming plastic)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부(F)를 구비할 수 있다.
발포플라스틱이란, 합성수지(polymer material)에 발포제를 이용하여 가스를 조밀하게 생성시켜, 발포(폼) 또는 다공질 형상의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를 뜻한다. 또한, 고체인 합성수지와 기체의 불균일 분산계(inhomogeneous suspension)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포공간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후방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발포플라스틱은 전통적으로 경량성, 완충성, 방음성, 단열성등을 부여해주는 기능성 복합소재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포플라스틱의 원료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페놀수지, 폴림염화비닐, 우레아수지, 실리콘, 폴리이미드 및 멜라민 수지 등도 발포화되어 이용될 수 있다.
발포성형을 위해서는 미리 준비된 발포성형틀(foaming mold)이나 발포성형지그(Foaming jig)에 가조립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을 넣은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주입구(141, 142)를 통해 발포플라스틱을 주입할 수 있다.
주입전 발포플라스틱은 액체상태이므로 주입구(1411 내지 1416)를 통해 주입된 후 발포성형과정을 거쳐 경화된다. 주입시 발포제는 액체상태의 발포제와 같이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시에는 발포플라스틱의 누액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발포플라스틱이 발포공간 외에 원치않는 공간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캐비닛(1), 제1챔버(29) 및 제2챔버(39) 사이에 구동부(67)를 통한 의류지지부(6)로의 동력전달, 공기공급부(7) 및 수분공급부(8)을 통한 제1챔버와 제2챔버사이의 연통을 위해 뚫혀있는 홀 등을 발포플라스틱의 막아버리면 안되기 때문이다.
특히, 제1챔버(29)와 제2챔버(29)사이의 연통을 위해 상기 제1고정홀(311)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챔버 제1관통홀(297a)은 제1유로 형성부(93)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홀(313)과 챔버 제2관통홀(297b)은 제2유로 형성부(9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는 발포 후에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사이의 연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유로 형성부(93)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과 상기 상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제1유로 바디, 및 상기 제1유로 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제1관통홀(297a)과 제1고정홀(311)을 연결하는 제1바디 관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 형성부(94)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과 상기 상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제2유로 바디, 및 상기 제2유로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제2관통홀(297b)과 제2고정홀(313)을 연결하는 제2바디 관통홀(9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 관통홀(317)은 상기 상부 프레임(31)이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수용부(315)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315)는 상기 제2챔버(39)의 상단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발포공간에 발포 플라스틱(Foamed Plastic)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후방패널(14a)에는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1후방패널(14a)을 관통하여 상기 제1측면공간(S2)에 연통하는 제1주입구(141), 및 상기 제1후방패널(14a)을 관통하여 상기 제2측면공간(S3)에 연통하는 제2주입구(14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패널(14a)에는 다수의 배기홀(1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발포 플라스틱이 상기제1주입구(141)와 제2주입구(142)를 통해 상기 발포공간에 주입되면, 상기 발포공간들은 상기 발포 플라스틱이 고체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채워지게 될 것이다. 상기 배기홀(143)은 상기 발포공간의 공기 및 상기 가스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다. 상기 배기홀(143)을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바디(11)가 가스에 의해 부풀어 오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홀(143)의 지름은 상기 주입구들(141, 142)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발포 플라스틱이 배기홀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도 5 (a)는 공기공급부(7)의 일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탱크장착부(23) 및 제1챔버의 바닥면(297)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공기공급부(7)는 제2챔버(39) 또는 제2챔버 형성부(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하부패널(16b)에 장착바디(78)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바디(78)위에 공기공급부(7)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의 전방에는 급수탱크(861) 와 배수탱크(791)가 설치되는 탱크장착부(2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7)는 상기 제2챔버(39)에 구비된 순환덕트(71, 72, 74),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77), 상기 열교환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39)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제1챔버(29)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흡기덕트(71), 상기 제1챔버(29)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배기덕트(72), 상기 흡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7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에는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가 상기 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팬(741)이 구비되는데, 도 5는 상기 팬(741)이 상기 연결덕트(7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팬(731)은 열교환부(77)를 거친 후, 배기덕트(72)로 배출되기 전에 위치하고 있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교환부(77) 이전 흡기덕터(71)에서 들어오자마자 팬(731)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77)는 상기 흡기덕트(7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는 상기 열교환부(77)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기덕트(71) 제1챔버(29)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731),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731)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732), 외부 공기를 상기 제1흡기덕트로 안내하는 제3흡기덕트(733), 상기 제1흡기덕트(731) 및 상기 제3흡기덕트(73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7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흡기덕트(731)는 흡기덕트(7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731)의 후방에는 필터부(735) 및 제2흡기덕트(732)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서의 동작에 따라 다른 흡기덕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에는 탈취, 살균 및 구김제거를 위한 스팀모드, 상기 스팀모드를 통해 젖은 옷을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모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건조모드에서는 제1챔버(29)의 공기를 공기공급부(7)를 통해 순환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때, 순환되는 공기의 이물질, 예컨대, 미세먼지 등, 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부(735)를 지나가야 한다.
그러나, 스팀모드에서는 수분공급부(8)를 통해 제1챔버(29)에 공급된 수분이 제1챔버 또는 흡기덕트(71)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가 필터부(735)를 지나게 되면 필터부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 환경문제로 대두되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의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헤파(HEPA)필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응축수가 헤파필터의 미세한 구멍을 막아버릴 수 있고, 결국 원하는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와 스팀모드에서 각기 다른 흡기덕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모드에서는 필터부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흡기덕트(71)의 일 실시예는 전방에서부터 제1흡기덕트(731), 필터부(735), 제2흡기덕트(732)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건조모드에서는 상기 제1흡기덕트(731)로만 제1챔버(29)의 공기가 유입되어 필터부(735)를 거쳐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 제2흡기덕트(732)를 지나 연결덕트(74)를 지나 열교환부(77)에서 제습 및 가열되어 배기덕트(74)를 지나 다시 제1챔버로 토출된다.
스팀모드에서는 상기 제2흡기덕트(732)로 제1챔버(29)의 공기가 유입되어 바로 연결덕트(74)를 지나 열교환부(77)에서 제습 및 가열되어 배기덕트(74)를 지나 다시 제1챔버(29)로 토출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개시되어 있듯이, 제1흡기덕트(731) 및 제2흡기덕트(732)를 제어부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부(7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711)는 제1커버(7111)와 제2커버(7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7111)는 상기 제1흡기덕트(731)를 개폐하고, 상기 제2커버(7112)는 상기 제2흡기덕트(732)를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해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를 활용해 외부공기를 청정, 제습하기 위해서, 제3흡기덕트(7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흡기덕트(733)은 제2챔버 형성부(3)의 전방프레임(32)에 위치한 제2외기 흡입구(323)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외기 흡입구(323)는 외기 가이드(95)를 통해 제1외기 흡입구(24)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5(b)에 개시된 것처럼, 제1외기 흡입구(24)는 복수 개 의 관통홀(279, 도1참조)이 구비된 외기커버(241)와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기 외기커버(241)을 통해 유입되어, 제1외기 흡입구(24), 외기 가이드(95) 및 제2외기 흡입구(323)를 지나 제3흡기덕트(733)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도4와 같이 단열부(F)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경우에 해당된다. 만약 단열부가 아닌 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의류처리장치인 경우에는, 발포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2챔버 형성부(3) 또는 외기 가이드(95)등이 필요없으므로 바로 제3흡기덕트(733)가 바로 외기커버(24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연결되어도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연통만 되면 무방하다.
제3흡기덕트(733)은 제1흡기덕트(731)와 연결된다. 제1흡기덕트(731)와 제3흡기덕트(733)이 만나는 부분에는 제2개폐부(761)가 구비되어 제3흡기덕트(733)를 제어부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제2개폐부(761)는 제3흡기덕트(733)를 개폐하는 제3커버(7113), 제3커버(7113)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3커버힌지(7113a), 제3커버(7113)가 열린 경우 제3커버(7113)를 보호하기 위해 수용하는 커버수용부(73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챔버의 바닥면(297)에는 챔버 제1관통홀(297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 제1관통홀(297a)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29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덮개(2971)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 예컨대 먼지, 은 유입할 수 있으나, 크기가 큰 이물질, 예컨대 동전, 이 의류에서 떨어져 흡기덕트(7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b)는 항상 열려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보호‰u개(297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제어부에 의해 보호덮개(2971)가 열리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a)와 도 6(b)는 구체적인 공기공급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4에서와 마찬가지로, 발포공간을 위해 제2챔버 형성부(3)를 구비하고, 제2챔버 형성부(3)안에 구비되는 경우의 공기공급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3흡기덕트(733)의 전방에는 외기덕트(9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포 후에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사이의 연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1챔버(29)와 제2챔버(29)사이의 연통을 위해 상기 제1고정홀(311)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297)에 구비된 챔버 제1관통홀(297a)이 제1유로 형성부(93)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홀(313)과 챔버 제2관통홀(297b)이 제2유로 형성부(9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제1챔버(29)와 제2챔버(39)및 제2기계실 형성부(2)는 공기공급부(7)의 설명을 위해 생략하였고, 다만, 제1유로 형성부(93), 제2유로 형성부(94) 및 외기덕트 (95)는 공기공급부(7)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6(a)에 도시된 공기공급부(7)는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731), 상기 제1챔버(29)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39)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731)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732), 외부 공기를 상기 제1흡기덕트(731)로 안내하는 제3흡기덕트(733),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735)를 포함하는 흡기덕트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7)은 상기 제1챔버(731)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72), 상기 제1흡기덕트(731)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732)를 상기 배기덕트(72)에 연결하는 연결덕트(74)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덕트(71, 72, 74) 는 상기 제2챔버(39) 내부에 구비된 장착바디(7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74)에는 열교환부(77)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77)는 제1챔버(29)에서 유입된 공기혹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771) 및 제2열교환기 (773)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부(77)가 히트펌프모듈인 경우, 제1열교환기(771)는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제2열환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일 수 있다.
상기 제3흡기덕트(733)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방 하부에 위치한 외기 가이드(95)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3흡기덕트(733)를 통해 연결덕트(74)로 공기를 이동시킨다. 도 6(a)는 상기 제3흡기덕트(733)가 상기 제1흡기덕트(731)의 하부에 연결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제3흡기덕트(733)이 필터부(735)를 지나 연결덕트(74)로 연결될 수 있으면, 달리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3흡기덕트(833)가 다른 필터부를 가지게 된다면 바로 연결덕트(74)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3흡기덕트가(733)가 제1흡기덕트(731)의 하부로 연결되는 것은 제1흡기덕트(731)을 통해 필터부(735)를 지나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고, 연결덕트(74)로 보내 필터링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흡기덕트(731)의 하부를 통해 들어온 외부공기가 필터링되지 않은채 제1흡기덕트(731)이나 제2흡기덕트(732)를 통해 제1챔버(29)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제1커버(7111) 및 제2커버(7112)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흡기덕트(73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3흡기덕트(733)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위해, 제3커버(7113)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공기의 흡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상기 제3흡기덕트(733)은 테이퍼드(taperd)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35)는 의류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외부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물질을 제거하면 필터의 종류는 무방하나, 최근 환경문제를 고려하면, 초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 헤파(HEPA)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는 필터부(735)에 위치한 필터설치공간(7351)에 헤파필터(7353)이 구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헤파필터(7353)는 제1유로 형성부(93)을 통해 위에서 삽입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헤파필터(7353)는 주기적으로 교체를 위해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731), 상기 필터부(735)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의 흡기덕트 연장부(71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챔버(29)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흡기덕트(731)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732)로 유입되기 전 거치는 공간이다.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는 상기 제1흡기덕트(731), 상기 필터부(735)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의 상부 모두를 포함하는 단면의 크기를 갖는 연장바디와 상기 연장바디를 관통하는 연장관통홀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관통홀을 통해 연장바디의 일단은 제1유로 형성부(93)와 연결되고, 상기 연장바디의 타단은 상기 제1흡기덕트(731), 상기 필터부(735)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와 연결된다.
만약 제2챔버 형성부(3)을 고려하면 흡기덕트 연장부(714)는 제1고정홀(311)을 통해 제1유로 형성부(93)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배기덕트(72)는 제2고정홀(312)를 통해 제2유로 형성부(94)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기덕트 연장부(714)는 제1유로 형성부(93)를 통해 챔버 제1관통홀(297a, 도5 참조)과 연결된다. 만약 발포공간이 없는 경우라면, 흡기덕트 연장부(714)는 바로 챔버 제1관통홀(297a, 도5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제1커버(7111) 또는 상기 제2커버(7112)가 개방을 위해 회전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상부프레임(31), 제1유로 형성부(94) 또는 제1챔버의 바닥면 (297)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연장바디의 높이는 상기 제1커버(7111) 또는 상기 제2커버(7112)가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의 높이보다 커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커버(7113)는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3커버(7113)가 개방시 제2하부패널(16b), 장착바디(78), 또는 제3흡기덕트(733)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수용부(73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731), 상기 필터부(735)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의 상부는 제1분리판(7311) 및 제2분리판(7312)로 구분되어지나, 상기 제1흡기덕트(731), 상기 필터부(735)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의 하부는 제1연통홀(7314) 및 제2연통홀(7316)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제3연통홀(7318)에 의해 상기 제2흡기덕트(732)와 연결덕트(74)가 연통될 수 있다.
도6(a)에 도시된 점선 A와 B는 서로 연통된 가상의 단면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시 말해 제1흡기덕트와 제2흡기덕트는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구분되어 지나, 완전히 분리되어 다른 공간을 형성하는게 아니라, 제1연통홀(7314) 및 제2연통홀(7316)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제3연통홀(7318)에 의해 상기 제2흡기덕트(732)와 연결덕트(74)가 연통될 수 있다.
제1챔버(29)에서 제2챔버(39)로로 유입된 공기, 즉,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공기가 제1흡기덕트(731)을 지나는 경우, 제1연통홀(7314)를 통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상기 필터부(735)로 이동한다. 이때 제2커버(7112) 및 제3커버(7113)은 폐쇄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735)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제2연통홀(7316)을 통해 제2흡기덕트(732)로 이동한다. 상기 제2흡기덕트(732)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커버(7112)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연통홀(7318)을 통해 연결덕트(74)로 이동하게 된다.
제1챔버(29)에서 제2챔버(39)로로 유입된 공기, 즉,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공기가 제1흡기덕트(731)을 지나는 경우, 제1연통홀(7314)를 통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상기 필터부(735)로 이동한다. 이때 제2커버(7112) 및 제3커버(7113)은 폐쇄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735)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제2연통홀(7316)을 통해 제2흡기덕트(732)로 이동한다. 상기 제2흡기덕트(732)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커버(7112)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연통홀(7318)을 통해 연결덕트(74)로 이동하게 된다.
제3흡기덕트를 통해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도 제1연통홀(7314)를 통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상기 필터부(735)로 이동한다. 이때 제2커버(7112) 및 제3커버(7113)은 폐쇄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735)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제2연통홀(7316)을 통해 제2흡기덕트(732)로 이동한다. 상기 제2흡기덕트(732)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커버(7112)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연통홀(7318)을 통해 연결덕트(7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흡기덕트(733)을 통해 들어온 공기가 보다 자연스럽게 필터부(735)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가이드(7331, 도9참조)를 구비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필터부(735)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흡기덕트(731), 상기 필터부(735) 및 상기 제2흡기덕트(732)는 도어(4)에서 제2후방패널(14b)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면, 제1챔버(29)에서 제2챔버(39)로로 유입된 공기, 즉,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공기가 제2흡기덕트(732)을 지나는 경우, 제1커버(7111) 및 제3커버(7113)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735)로 이동하지 못하고, 압력이 낮은 제3연통홀(7318)을 통해 연결덕트(74)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 제1흡기덕트(731), 제2흡기덕트(731), 및 제3흡기덕트(73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을 도 7에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은 건조모드 또는 스팀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공기를 청정(purified)하고 제습(dehumidified)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모드에서는 상기 공기공급부(7)가 동작하고 수분공급부(8)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팬(741) 및 열교환부(77)가 동작한다.
반면, 스팀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수분공급부(8)도 동작하고 공기공급부(7)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에서는 상기 열교환부(77)가 동작하고, 상기 수분공급부(8)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스팀모드에서는 상기 수분공급부(8)가 동작할 수 있다. 건조모드에서는 상기 제1커버(7111)이 개방되고 상기 제2커버(7112)는 폐쇄된다. 이를 통해 제1챔버(29)에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735)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팀모드에서는 상기 제2커버(7112)가 개방되고, 상기 제1커버(7111)은 폐쇄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필터부(735)를 거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고 제습하기 위한 제3흡기덕트(733)를 더 포함하고 있다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제3커버(733)을 열고 제1커버(731)와 제2커버(732)를 폐쇄할 수 있다.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습한 후, 상기 제습된 공기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면 도어(4)를 개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제습된 외부공기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구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있으면, 도어(4)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어차피 도어(4)를 개방하게 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기를 흡입시 제1커버(731)은 개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외부공기가 제1커버(731)과 제3커버(733)의 개방을 통해 두갈래에서 유입되어 필터부(735)를 거쳐 제습된 후 배기덕트(72)를 통해 제1챔버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된 공기는 도어(4)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다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7(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건조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즉, 제1커버(7111)가 제1커버힌지(7111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흡기덕트(731)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1챔버(29)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1흡기덕트(731)로 안내되고, 필터부(735) 및 제2흡기덕트(732)를 거쳐 열교환된 후, 다시 제1챔버(29)로 돌아간다. 이때 제2커버(7112)와 제3커버(7113)은 닫혀있다.
도 7(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스팀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즉, 제2커버(7112)가 제2커버힌지(7112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흡기덕트(732)룰 개방한다. 따라서, 제1챔버(29)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2흡기덕트(732)로 안내되고, 필터부(735)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열교환된 후, 다시 제1챔버(29)로 돌아간다. 이때 제1커버(7111)와 제3커버(7113)은 닫혀있다.
도 7(c)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외부공기를 청정하고 제습할 경우이다. 상기 제3커버(7113)가 제3커버힌지(711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3흡기덕트(733)을 개방한다.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1흡기덕트(731)로 유입되어 필터부(735) 및 제2흡기덕트를 가로지른 후 열교환부(77)로 이동한다. 이 후 배기덕트(72)를 거쳐 제1챔버(29)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경우 도어(4)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어(4)가 개방된 경우라면, 상기 제1커버(7111)이 개방되어도 무방하디. 제1흡기덕트(731)과 제3흡기덕트(733)을 통해 외부공기를 양방향에서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도어가 닫혀있다면, 열교환부(77)를 지나 외부 배출덕트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커버(7111)와 제2커버(7112)는 닫혀 있을 수 있다. 제3흡기덕트(733)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제1챔버(29)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a)에 도시되었듯이 제1커버(7111)는 제1커버힌지(7111a)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7(b) 에 도시되었듯이 제2커버(7112)는 제2커버힌지(7112a)를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7(c) 에 도시되었듯이 제3커버(7113)는 제3커버힌지(7113a)를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밑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어떠한 방향으로 열려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커버(7111), 제2커버(7112) 또는 제3커버(7113)의 위치도 앞서 설명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8(a)는 제1커버(7111)와 제2커버(7112)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71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제1개폐구동부(739)의 제3구동부(7395), 제1구동부(7393) 및 제2구동부(7394)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제3구동부(7395), 제1구동부(7393) 및 제2구동부(7394)의 일례를 확대한 것이다.
상기 제1개폐부(711)는 상기 제1커버(7111)와 상기 제2커버(7112), 그리고 상기 제1커버(7111)와 상기 제2커버(7112)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739)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커버(7111)와 상기 제2커버(7112)를 개폐하는 상기 제1개폐구동부(739)는 흡기덕트 연장부(714)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구동부(739)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3구동부(7395), 제3구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커버(7111)와 상기 제2커버(7112)를 개폐하는 제1구동부(7393) 및 제2구동부(739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서 처럼, 제1개폐구동부(739)는 상기 제3구동부(7395), 상기 제1구동부(7393) 및 상기 제2구동부(7394)를 결합하고, 보호하기 위한 제1하우징(7391)과 제2하우징(73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392)은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와 결합하는 하우징이고, 상기 제1하우징(7391)은 제2하우징(7392)에 결합하는 하우징을 뜻한다.
도 8(b)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7392)는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의 일측면에는 연장부 제1체결보스홀(714a)와 연장부 제2체결보스홀(714b)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하우징(7392)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 제1체결홀(7392a), 제2하우징 제2체결홀(7392b), 그리고 제1하우징(7391)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 제1체결홀(7391a) 및 제1하우징 제2체결홀(7391b)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체결보스홀(714a), 제1하우징 제1체결홀(7391a) 및 제2하우징 제1체결홀(7392a)이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제2체결보스홀(714b), 제1하우징 제2체결홀(7391b) 및 제2하우징 제2체결홀(7392b)이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어떠한 식으로도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및 제1하우징(7391) 및 제2하우징(7392)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하우징(7392)에는 체결후크(7391g, 7391h, 7391i)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7391)과 후크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392)에는 상기 제3구동부(7395), 상기 제1구동부(7393) 및 상기 제2구동부(7394)가 결합되며, 각기 회전을 위해 상기 제3구동부(7395), 상기 제1구동부(7393) 및 상기 제2구동부(7394)의 중심을 고정해주는 제1하우징(7391)과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제1커버(7111)는 상기 제1커버(7111)의 일측에 상기 제1커버(7111)를 회전시켜 개폐가능하게 해주는 제1커버힌지(711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커버힌지(7111a)는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개폐구동부(739)가 위치한 방향의 제1커버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제1구동부(7393)과 연결된다. 상기 제1커버힌지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제1구동부 제1연결부(7392c)는 제2하우징(7391)에서 제1하우징(7391)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와 대응되는 제1하우징 제1고정부(7391c)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 제2연결부(7392e)를 구비하여, 상기 제1커버의 회전축이 아닌 상기 제1구동부(7393)의 가까운 방향에 있는 상기 제1커버의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구동부(7393)의 회전시 상기 제1커버의 회전축만을 회전시킬 때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제1커버(7111)을 개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커버(7111)는 상기 제2커버(7112)의 일측에 상기 제2커버(7112)를 회전시켜 개폐가능하게 해주는 제2커버힌지(711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커버힌지(7112a)는 상기 흡기덕트 연장부(7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개폐구동부(739)가 위치한 방향으로 제1커버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제2구동부(7394)과 연결된다. 상기 제2커버힌지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제2구동부 제1연결부(7392d)는 제2하우징(7391)에서 제1하우징(7391)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와 대응되는 제1하우징 제2고정부(7391d)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 제2연결부(7392f)를 구비하여, 상기 제2커버의 회전축이 아닌 상기 제2구동부(7394)의 가까운 방향에 있는 상기 제2커버의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구동부(7394)의 회전시 상기 제2커버의 회전축만을 회전시킬 때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제2커버(7112)을 개폐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3구동부(7395)는 상기 제1하우징의 제1홀(739a)를 통해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제3구동부의 중심부(7395a)와 연결되어 상기 제3구동부(7395)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7395)가 회전하면, 상기 제1구동부(7393)와 상기 제2구동부(7394)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3구동부(7395)와 상기 제1구동부(7393) 그리고, 상기 제3구동부(7395)와 상기 제2구동부(7394)는 기어로 맞물리는 등 서로 연동해서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7393)와 상기 제2구동부(739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커버(7111) 및 상기 제2커버(7112)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7393)와 상기 제2구동부(7394)는 서로 반대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커버(7111)가 개방시 상기 제2커버(7112)는 폐쇄되고, 상기 제2커버(7112)가 폐쇄시 상기 제1커버(7111)는 개방될 수 있다.
이는 건조모드와 스팀모드에서 각기 다른 커버가 개방되어 제1흠기덕트(731) 또는 제2흡기덕트(732)가 선택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와 달리 제1구동부(7393) 및 제2구동부(7395)가 독립적으로 움직여, 제1커버(7111)와 제2커버(7112)가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외부 공기를 청정, 제습하는 경우에는 도 7(c)처럼 제1커버(7111)와 제2커버(7112)가 모두 폐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커버(7113)과 제1커버(7111)는 개방되고 제2커버는(7112)는 폐쇄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제3커버(7113)와 상기 제3흡기덕트(73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개폐부(761), 커버수용부(7335) 및 공기가이드(7331)를 확대한 것이다.
상기 제2개폐부(761)은 상기 제3커버(7113)와 상기 제3커버(7113)를 개폐하는 제2개폐구동부(7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구동부(7337)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예컨대 모터,를 포함하고,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전진하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 후진하는 제2개폐회전부(7337a),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와 상기 제3커버(7113)과 연결되는 제2개폐연결부(7337c)및 제3커버힌지의 힌지축의 말단이 연결되어 회전시 고정부 역할을 해주는 제3커버힌지고정부(733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커버(7113)의 일례는 상기 제3커버힌지(711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아래 방향을 열릴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2개폐구동부의 모터가 회전시 제2개폐회전부(7337a)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가 전진시 상기 제3커버(733)가 폐쇄되고,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가 후진시 상기 제3커버(733)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와 상기 제3커버(7113)는 상기 제2개폐연결부(7337c)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가 전진시 상기 제3커버(7113)가 폐쇄되고,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가 후진시 상기 제3커버(7113)가 개방될 수 있으면 달리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제2개폐연결부(7337c)없이 상기 제2개폐회전부(7337a)만으로도 상기 제3커버(7113)를 개폐할 수 있게 설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3흡기덕트(733)는 테이퍼드 형상으로 구비되어 흡입시 공기의 유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제3흡기덕트(733)과 제1흡기덕트(731)사이에는 커버수용부(7335)를 구비하여, 제3커버(7113)의 개방시 제3커버(7113)를 보호하여, 제3흡기덕트(733), 제2하부패널(16b) 또는 장착바디(78)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흡기덕트(733)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흡기덕트(731)로 이동하여 필터부(735)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공기의 유동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을 바뀌게 되므로 공기의 흐름을 잘 안내하기 위해 공기가이드(73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7331)은 제1흡기덕트(731)와 제3흡기덕트(733)의 경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7331)중 제1흠기덕트(731)쪽에 구비된 연통홀이 수직방향으로 뚫려 상기 제1커버(7111)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필터부(735)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뚫려 자연스럽게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7331)의 일부는 상기 제1흠기덕트(731)에서 상기 커버수용부(7335)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연통홀(7331a)를 형성한다. 단순히 제1흡기덕트(731)와 제3흡기덕트(733)의 경계를 제3커버(7113)을 막기에는 제3개폐구동부(7337)의 부피가 있으므로 힘들므로, 제3개폐구동부(7337)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731)에서 일부 돌출되어 나온 돌출연통홀(7331a)을 제3커버(7113)가 개폐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제3커버(7113)가 제3흡기덕트(733)의 개폐할 수 있다면, 제2개폐구동부(7337) 및 제3커버(7113)의 구조 및 위치가 이와 달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F: 단열부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11: 상부패널 112: 제1측면패널
113: 제2측면패널 14: 후방패널 14a: 제1후방패널
143: 배기홀 14b: 제2후방패널 16: 하부패널
16a: 제1하부패널 161: 패널바디 163: 패널 연결부
16b: 제2하부패널 2: 제1챔버 형성부 21: 제1베이스
211: 전방패널 22: 투입구 23: 탱크 장착부
231: 장착홈 233: 제2챔버 연통홀 235: 연통홀 커버
24: 제1외기 흡입구 251: 패널 제1관통홀 253: 패널 제2관통홀
3: 제2챔버 형성부 31: 상부 프레임 311: 제1고정홀
313: 제2고정홀 32: 전방 프레임
4: 도어 41: 도어 바디 43: 컨트롤패널
6: 의류지지부 7: 공기공급부 71: 흡기덕트
7111: 제1커버 7112:제2커버 7113: 제3커버
714:흡기덕트 연장부 72: 배기덕트
731: 제1흡기덕트 732:제2 흡기덕트 733:제3흡기덕트
7331: 공기가이드 735: 필터부 739: 제1개폐구동부
74: 연결덕트 741: 팬
761: 제2개폐부 77: 열교환부 78: 장착바디
79: 집수부 8: 수분공급부 81: 스팀발생기
813: 히터 84: 분사부 86: 물공급부
93: 제1유로 형성부 94: 제2유로 형성부 95: 외기 가이드
951: 가이드 바디 953: 가이드 관통홀

Claims (18)

  1. 전방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미가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제1챔버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팬;
    상기 필터부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작동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제2커버를 폐쇄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수분공급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폐쇄하고, 상기 제2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를 연통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로 보내는 제1연통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를 연통하여 상기 필터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흡기덕트로 보내는 제2연통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가 결합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2흡기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로 보내는 제3연통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상기 제2흡기덕트는 상기 연결덕트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입구를 분리하는 제1분리판;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입구를 분리하는 제2분리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분리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분리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는 챔버 제1관통홀;
    상기 챔버 제1관통홀과 이격되게 구비된 보호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챔버 제1관통홀과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하는 흡기덕트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를 개폐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2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2커버를 개폐하는 제2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는 제3구동부;
    상기 제3구동부의 회전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커버가 개방시 상기 제2커버는 폐쇄되고, 상기 제2커버가 폐쇄시 상기 제1커버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를 상기 제1흡기덕트로 안내하는 제3흡기덕트;
    상기 제3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커버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상기 제2흡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제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3흡기덕트는 상기 제1흡기덕트의 하부와 경사지거나 또는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의 개방시, 제3커버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와 커버수용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3흡기덕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덕트는
    상기 제3커버의 개방시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공기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흡기덕트는 테이퍼드(Tapered)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 상기 제1측면패널과 상기 제2측면패널을 연결하여 상부면과 바닥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 상기 제1측면패널과 상기 제2측면패널을 연결하여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제1측면패널, 상기 제2측면패널,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하부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가 구비된 제1베이스;
    상기 전방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서 상기 후방패널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부 프레임, 상기 제1측면패널과 이격된 제1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이격된 제2측면 프레임이 구비된 제2베이스;
    상기 전방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제1측면 프레임, 상기 제2측면프레임, 상기 하부패널, 및 상기 후방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제2챔버;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전방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상기 제1베이스,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베이스 사이에 형성된 발포공간에 주입되는 발포 플라스틱(Foamed Plastic)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부;
    상기 제1챔버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미가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안내하며, 상기 제1흡기덕트와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제1챔버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팬;
    상기 필터부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작동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제2커버를 폐쇄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수분공급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버를 폐쇄하고, 상기 제2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제2흡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공간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후방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제1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플라스틱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오레핀(Polyolefin)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챔버 제1관통홀;
    상기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고정홀;
    상기 챔버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고정홀을 연결하는 제1유로 형성부; 및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제2흡기덕트 및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고, 타단은 제1고정홀또는 상기 제1유로 형성부를 연결하는 흡기덕트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외기 흡입구;
    상기 전방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외기 흡입구;
    상기 제1외기 흡입구와 상기 제2외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외기 가이드; 및
    상기 제2외기 흡입구와 상기 제1흡기덕트를 연결하는 제3흡기덕트;
    상기 제3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커버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필터부, 상기 제2흡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지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제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76666A 2019-12-27 2019-12-27 의류처리장치 KR20210083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66A KR20210083904A (ko) 2019-12-27 2019-12-27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66A KR20210083904A (ko) 2019-12-27 2019-12-2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04A true KR20210083904A (ko) 2021-07-07

Family

ID=7686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66A KR20210083904A (ko) 2019-12-27 2019-12-2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9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17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80623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17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80623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11807981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KR2021008390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07760A (ko) 의류 관리기
KR20030041385A (ko) 의류건조기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JP6947454B2 (ja) 洗濯機
KR200264785Y1 (ko) 의류건조기
KR20200004169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015349A (ko) 의류관리장치
EP40953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38096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0856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16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2013487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031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4284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