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904B1 -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 Google Patents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904B1
KR102021904B1 KR1020190040672A KR20190040672A KR102021904B1 KR 102021904 B1 KR102021904 B1 KR 102021904B1 KR 1020190040672 A KR1020190040672 A KR 1020190040672A KR 20190040672 A KR20190040672 A KR 20190040672A KR 102021904 B1 KR102021904 B1 KR 10202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drying
v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19004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또는 빨래를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빨래를 건조하는 건조기능 뿐 아니라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실내 공간에 공급해 줌으로써, 겨울철과 같이 추운 날씨에 본 발명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는 온풍기능을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능 및 온풍기능 뿐 아니라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정화한 한 후 실내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Drying machine with hot wind mode and air cleaning mode}
본 발명은 의류 또는 빨래를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빨래를 건조하는 건조기능 뿐 아니라 실내로 따뜻한 공기를 제공하는 온풍기능과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를 건조시 킬 때는 베란다에 있는 빨래 건조대를 이용하나 원룸 등 베란다가 없는 공간에서는 방에서 빨래를 건조하게 되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공간의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빨래를 베란다나 외부에 널어 건조할 경우, 바람이나 기온에 의존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당연하고, 날씨에 따라 건조효율이 달라지므로 흐린 날이나 습기가 많은 날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등 불편하며, 건조 도중에 도리어 먼지나 오염된 이물질 및 세균들이 의류에 묻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별도의 세탁물 건조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세탁물 건조기는 동체 내부가 드럼형태로 되어 있고, 주로 히터를 이용하여 강제 가열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한 세탁물 건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세탁기를 통하여 세탁 및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에 넣을 때는 건조하고자 하는 세탁물을 한꺼번에 넣어 건조시키거나, 건조시키고자 하는 세탁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두 번 또는 세 번에 나누어 건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세탁물 건조기는 단지 빨래를 건조하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추운날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한 온풍기와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 이들 기기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실내 공간에 상기 건조기와 온풍기 및 공기청정기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경우, 각 기기로 인해 실내의 공간이 비좁아지고 복잡해저 실내의 공간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655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빨래를 건조하는 건조기능 뿐 아니라 건조기에서 생성되는 열을 실내 공간에 공급해줌으로써, 겨울철과 같이 추운 날씨에 실내 온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는 온풍기능을 갖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능과 온풍기능 뿐 아니라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 내부에서 하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공기유입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기유입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도어가 형성되는 건조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건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격벽에 의해 상기 건조부와 구분되며, 격벽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통기구에 의해 상기 건조부와 연통되고, 일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구동부;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와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통하며, 일측부에는 상기 건조부와 연통하는 흡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와 건조부의 공기를 구동부로 안내하는 안내덕트;
상기 구동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덕트를 통해 구동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통기구와 토출구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송풍팬;
상기 구동부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과 통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히터; 및
상기 구동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면서 상기 통기구를 개방하여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상기 통기구를 통해 건조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통기구를 차단하여서 상기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본체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댐퍼;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댐퍼를 통해 구동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후 안내댐퍼에 의해 개방되는 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의류 또는 빨래를 건조할 수 있으며, 건조기에서 생성되는 열을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온풍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 뿐 아니라 온풍기 및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각의 기능에 따른 온풍기와 공기청정기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건조기만을 실내에 설치하게 되므로 실내의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정면도 및 내부 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체 하우징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유입부 및 물받이통을 도시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부와 흡기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체 하우징 상부에 형성되는 구동부의 개략도 및 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건조모드에 따른 구동부의 상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건조기의 온풍모드에 따른 구동부의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건조기의 공기청정모드에 따른 구동부의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정면도 및 내부 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하우징(100);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서 하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는 공기유입부(10); 상기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도어(31)가 형성되는 건조부(30); 상기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건조부(30)의 상부에 형성되고, 격벽(2)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와 구분되며, 상기 격벽(2)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통기구(2a)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와 연통되고, 일측면에 토출구(41)가 형성되는 구동부(40);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부(10)와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40)에 연통하며, 일측부에는 상기 건조부(30)와 연통하는 흡기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10)와 건조부(30)의 공기를 구동부(40)로 안내하는 안내덕트(50); 상기 구동부(4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덕트(50)를 통해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통기구(2a)와 토출구(41)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송풍팬(43); 상기 구동부(40)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43)과 통기구(2a) 사이에 구비되는 히터(44); 및 상기 구동부(4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41)를 차단하면서 상기 통기구(2a)를 개방하여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상기 통기구(2a)를 통해 건조부(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41)를 개방하면서 상기 통기구(2a)를 차단하여서 상기 공기가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본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댐퍼(4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바닥면에 바퀴가 형성되고, 내부의 하측에 공기유입부(1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에는 격벽(1)에 의해 공기유입부(10)와 구분되는 건조부(30)가 형성되며, 상기 건조부(30)의 상부에는 격벽(2)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와 구분되는 구동부(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상기 공기유입부(10)의 공기와 건조부(30)의 공기를 상기 구동부(40)로 안내하는 안내덕트(50)가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0)는 본체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격벽(1)에 의해 밀폐되는 소정 공간으로, 전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내부의 공기를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동부(40)로 안내하는 안내덕트(50)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12)와, 회전에 의해 상기 유입구(11)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개폐댐퍼(13) 및 상기 필터부재(12)와 개폐댐퍼(13)를 보호하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부(10)는 본체 하우징(100)의 중앙부에서 소정 폭으로 형성되고, 좌우 외측에는 건조부(30)의 물이 수용되는 물받이통(2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0)는 본체 하우징(100)의 하부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물받이통(20)은 상기 공기유입부(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통(2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좌우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10)와 건조부(30)를 구분하는 격벽(1)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면에는 건조부(30)에서 생성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용되기 위한 통공(20a)이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20)의 상부에는 건조부(30)에 수용되는 의류 또는 빨래에서 배출되는 먼지, 보푸라기 또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물받이통(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거름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은 상기 삽입구의 전후측에 상기 건조부(30) 내부의 물이 상기 삽입구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물받이통(20)에 수용되게 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통(20)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경사부에 안착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이불 또는 빨래 등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으로, 하부는 격벽(1)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10)와 구분되고, 상부는 격벽(2)에 의해 구동부(40)와 구분되며, 전면에는 도어(3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의류 또는 빨래를 널거나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건조랙(33)과 걸이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1)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31a)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모드, 온풍모드 및 공기청정모드를 선택, 제어 및 실행하기 위한 조작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32)는 마이크로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고, 건조기의 건조모드, 온풍모드 및 공기청정모드에 따라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건조랙(33) 또는/및 걸이부재는 상하/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조실의 의류 또는 빨래의 물기 및 먼지가 털리면서 빠르게 탈취 및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3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안내덕트(50)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부(51)를 통해 상기 안내덕트(50)로 유입된 후 구동부(40)로 이동된다.
상기 흡기부(51)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51a)이 형성되고, 프리필터 등의 필터부재(51b)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덕트(50)의 좌우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라켓(50a)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51b)가 상기 고정브라켓(50a)과 안내덕트(5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강하고, 이로 인해 상기 흡기부(51)가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51b)가 상기 고정브라켓(50a)과 안내덕트(50)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51b)의 교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덕트(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부(10) 및/또는 상기 건조부(30)의 공기를 구동부(40)로 안내하는 공기 통로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 내부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구동부(40)와 연통되며, 하단부는 상기 공기유입부(10)와 연통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건조부(30)와 연통되는 흡기부(5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덕트(50)의 상단부와 상기 흡기부(51)에는 필터부재(42,51b)가 구비된다.
즉, 외부 공기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된 후 상기 안내덕트(50)를 통해 구동부(40)로 공급되고, 상기 건조부(30)의 내부 공기는 상기 흡기부(51)를 통해 안내덕트(50)로 유입된 후 구동부(40)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덕트(50)는 하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유입구(11)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유입부(10)의 역활을 상기 안내덕트(50)가 대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11 및 도 12는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구동부(4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건조부(30)의 상부에 격벽(2)에 의해 구분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10)와 안내덕트(50)에 의해 연결되어서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건조부(30) 내부의 공기가 안내덕트(50)를 통해 유입되며, 상기 안내덕트(5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4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필터부재(42)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44) 및 상기 공기를 상기 건조부(30) 또는/및 본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43)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40)는 내부의 공기를 본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41)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에는 그릴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30)와 구동부(40)를 구분하는 격벽(2)의 후단부에는 상기 안내덕트(50)의 공기가 구동부(40)로 유입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덕트(50)의 상단부가 상기 관통구에 연결되고, 상기 격벽(2)의 일측부에는 건조부(3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2a)와 필터부재(42)를 삽입하기 위한 필터삽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삽입구는 필터부재(42)를 지지하면서 구동부(40) 내부에 필터부재(42)를 고정하는 필터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차단될 수 있고, 필터카트리지의 외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커버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42)는 상기 구동부(40)에서 안내덕트(5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미듐필터, 헤파필터, 카본필터 등 다양한 필터부재(42)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히터(44)는 구동부(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내부는 메쉬 또는 금속망 형태로 형성되거나 열선 등의 가열부재가 수세미처럼 엉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급속히 가열되고, 습기가 제거도는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터(44)는 주로 알루미나 세라믹 히터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히터(44)를 사용함에 있어 상술한 히터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송풍팬(43)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 내부로 유입된 후 안내덕트(50)를 통해 구동부(4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부(30)의 공기가 흡기부(51)를 통해 안내덕트(50) 내부로 유입된 후 구동부(40)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부재(42)와 히터(44)를 거친 후 상기 토출구(41) 또는/및 통기구(2a)로 강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부(40)는 후단부에 안내덕트(50)의 상단부가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42)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42)의 전방에 상기 송풍팬(43)과 히터(44)가 위치하고, 상기 히터(44)의 전방에 통기구(2a)가 형성되며, 전면에 토출구(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41) 또는 통기구(2a)에는 회전에 상기 토출구(41)를 차단하거나 통기구(2a)를 차단하는 안내댐퍼(45)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댐퍼(45)는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구(41)를 개방하면서 통기구(2a)를 차단하거나 토출구(41)를 차단하면서 상기 통기구(2a)를 개방하고, 회전 반경이 자유롭게 조절되어 토출구(41)와 통기구(2a)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토출구(41)와 통기구(2a)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안내댐퍼(45)는 상기 통기구(2a)보다 상기 토출구(41) 방향으로 더 회전될 경우에 통기구(2a)의 개방면적이 상기 토출구(41)의 개방면적보다 더 크게 되고, 상기 토출구(41)보다 상기 통기구(2a) 방향으로 더 가깝게 회전될 경우에는 토출구(41)의 개방면적이 통기구(2a)의 개방면적보다 더 크게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댐퍼(45)는 구동부(4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41) 또는 통기구(2a)로 배출되게 하거나 토출구(41)와 통기구(2a)를 통해 동시에 배출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41)와 통기구(2a)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상기 구동부(40)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41) 및/또는 통기구(2a)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건조부 내부의 의류, 빨래 등을 건조하는 건조모드; 외부로 따듯한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모드; 및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기 건조모드, 온풍모드 및 공기청정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건조부(30) 내부의 의류, 침구 또는 빨래 등을 수용하고 건조할 수 있는 건조모드를 포함하는데, 사용자는 건조부(30)의 도어(31)를 열고, 건조부(30) 내부에 건조랙(33) 또는 걸이부재에 의류 또는 빨래 등을 널거나 걸어 고정하며, 이후 도어(31)를 닫고 조작부(32)에서 건조모드을 선택한다.
사용자의 건조모드 선택에 따라,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댐퍼(45)가 통기구(2a)를 개방하면서 토출구(41)를 차단하고, 상기 히터(44)와 송풍팬(43)이 구동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는 개폐댐퍼(13)에 의해 차단되거나 소정 시간(약 3 ~ 10분) 개방된 후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3)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건조부(30)의 내부 공기가 흡기부(51)을 통해 안내덕트(50)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가 안내덕트(5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건조부(30)의 공기는 흡기부(51)에 구비되는 필터부재(51b)에 의해 정화된 후 안내덕트(50)로 유입된다.
상기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건조부(30)의 공기는 구동부(4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42)에 의해 한번 더 필터링되고, 이후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며,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는 상기 통기구(2a)를 통해 건조부(30)로 공급되며, 이로 인해 건조부(30) 내부의 의류 또는 빨래가 건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팬(43)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와 구동부(40)의 공기가 순환되고, 건조부(30) 내부의 습기를 구동부(40)로 이동시켜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부(3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건조부(30)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건조부(30) 내부의 의류 또는 빨래가 건조되는 것이다.
상기 건조부(30)는 건조랙(33) 또는 걸이부재가 진동 또는 흔들리면서 의류 또는 빨래를 털어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의류 또는 빨래의 먼지가 제거됨과 동시에 더욱 빨리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44)의 작동을 멈추고 송풍팬(43)만을 가동할 경우에는 건조부(30)에 수용되는 의류의 악취, 먼지 등을 제거하는 탈취기능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부(30) 내부의 의류 또는 빨래에서 배출되는 물기는 건조부(30) 하부의 격벽으로 떨어지고, 상기 물은 격벽의 좌우측부로 이동하여 물받이통(20)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건조부(30) 내부에는 써미스터(thermistor)와 같은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부(3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히터(44)의 구동이 멈추고, 건조모드가 중단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가 건조부(30)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모드에서 토출구(41)를 차단하고 있던 안내댐퍼(45)의회전을 조절하여 상기 토출구(41)와 통기구(2a)가 모두 개방하고, 상기 유입구(11)를 개방하면, 본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와 건조부(30)의 공기가 구동부(40)로 유입되고,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가 히터(44)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토출구(41)와 통기구(2a)를 통해 외부와 건조부(30)로 공급되며, 이로 인해 상기 건조부(30)의 의류 또는 빨래를 건조함과 동시에 외부에 따듯한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상기 조작부에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외부에서 스마트폰에 의한 전력선통신 또는 스마트폰에 내려받기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온풍모드를 도 15 및 도 16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조기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히터(44)에 의해 가열한 후 이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함으로써, 건조기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는 온풍(열풍)기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31)에 형성되는 조작부(32)에서 온풍모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태에 따라 상기 안내댐퍼(45)는 토출구(41)를 개방하면서 통기구(2a)를 차단하며, 상기 히터(44)와 송풍팬(43)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는 개폐댐퍼(13)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송풍팬(43)이 구동됨에 따라 건조기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가 안내덕트(5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를 통과하는 공기는 유입구(11)에 구비되는 필터부재(12)에 의해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1차로 필터링되고, 상기 구동부(40)로 이동하는 공기는 구동부(40) 내부의 필터부재(42)에 의해 한번 더 필터링되며, 이후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된다.
즉, 본 발명의 건조기는, 건조기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 또는 건조기의 유입구(11)와 토출구(41)에 덕트 연결되는 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본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유입부(10)로 흡입하고, 상기 공기를 본체 하우징(100) 상부의 구동부(40)로 이동시킨 후 히터(44)로 가열하며,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토출구(41)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해줌으로써 실내 온도를 설정된 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구(11)와 상기 토출구(41)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정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100)이 실내 공간의 모서리부(코너)와 같이 좌우측이 막힌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도 상기 유입구(11) 및/또는 토출구(41)가 막히지 않고, 이로 인해 본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건조기를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어(31)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갖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도어(31)의 하부 외측면에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에 대응하는 도어(31)의 하면과 공기유입부(10)의 상면을 개방하여 상호 연통되게 하고, 외부의 공기가 도어(31)에 형성되는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11)를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는 도어(31)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시, 상기 유입구(11)가 바닥면과 너무 근접하게 형성됨으로써 많은 양의 먼지가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빨래의 건조기능을 갖는 하나의 건조기에서 실내 공간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따듯하게 하는 온풍모드(또는 열풍모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기의 온풍모드 작동 중, 상기 안내댐퍼(45)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여 토출구(41)와 통기구(2a)를 모두 개방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본체 하우징(100) 외부와 상기 건조부(30)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부(40)와 외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42)에 의해 정화되어 공급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공기청정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건조기의 공기정청모드는 상술한 온풍모드에서 히터(44)의 작동을 멈춘 것으로, 건조기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필터부재(42)로 필터링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에 공급하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건조기의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유입구(11)가 개폐댐퍼(13)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안내댐퍼(45)에 의해 토출구(41)가 개방되면서 통기구(2a)가 차단되며, 상기 송풍팬(43)이 구동한다. 이때, 상기 히터(44)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기청정모드에서 히터(44)를 작동할 수 있고, 이 경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면서 건조기가 구비되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43)의 구동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기가 위치하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는 유입구(11)에 구비되는 필터부재(12)에 의해 1차로 필터링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는 안내덕트(50)를 따라 구동부(40)로 유입되고, 상기 구동부(40)에 구비되는 헤파필터 또는 카본필터 등의 필터부재(42)에 의해 2차로 필터링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필터부재(12,42)는 유입구(11)와 구동부(40)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40)에서 상기 히터(44)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기구(2a) 또는/및 토출구(41)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모드, 온풍모드 및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별로 구동되며, 뿐만 아니라 안내댐퍼와 개폐댐퍼의 제어에 따라 상기 건조모드와 온풍모드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고, 건조모드와 공기청정모드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고, 건조모드, 온풍모드 및 공기청정도드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건조기는 건조모드 상태에서 안내댐퍼(45)와 개폐댐퍼(13)의 회전 반경을 제어 및 조절하여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41) 및 통기구(2a)를 모두 개방하면, 건조모드, 온풍모드 및 공기청정모드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의류 또는 빨래를 건조함은 물론, 외부로 따듯한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기로도 사용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2 : 격벽 2a : 통기구
10 : 공기유입부 11 : 유입구
12 : 필터부재 13 : 개폐댐퍼
20 : 물받이통 20a : 통공
21 : 안착부 30 : 건조부
31 : 도어 32 : 조작부
33 : 건조랙 40 : 구동부
41 : 토출구 42 : 필터부재
43 : 송풍팬 44 : 히터
45 : 안내댐퍼 50 : 안내덕트
51 : 흡기구 51a : 흡기공
100 : 본체 하우징

Claims (7)

  1. 본체 하우징(100);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는 공기유입부(10);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도어(31)가 형성되는 건조부(30);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기 건조부(30)의 상부에 형성되고, 격벽(2)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와 구분되며, 일측면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에서 근접하는 격벽(2)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통기구(2a)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와 연통하는 구동부(40);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부(10)와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40)에 연통하며, 일측부에는 상기 건조부(30)와 연통하는 흡기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10)와 건조부(30)의 공기를 구동부(40)로 안내하는 안내덕트(50);
    상기 흡기부(51)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덕트(50)의 좌우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필터부재(51b)가 안내덕트(50)와의 사이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50a);
    상기 구동부(40)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덕트(50)를 통해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42);
    상기 구동부(40)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덕트(50)를 통해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통기구(2a) 또는 토출구(41)로 강제 이송시키는 송풍팬(43);
    상기 구동부(40)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43)과 통기구(2a) 사이에 구비되는 히터(44);
    상기 구동부(40)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41)를 차단하면서 상기 통기구(2a)를 개방하여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상기 통기구(2a)를 통해 건조부(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41)를 개방하면서 상기 통기구(2a)를 차단하여서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본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댐퍼(45); 및
    상기 공기유입부(10)의 좌우측부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건조부(30)의 물이 유입되기 위한 통공(20a)이 형성되는 물받이통(20);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댐퍼(45)가 통기구(2a)를 개방하면서 토출구(41)를 차단하고, 상기 히터(44)와 송풍팬(43)이 구동되며, 상기 송풍팬(43)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건조부(30)의 내부 공기가 흡기부(51)을 통해 안내덕트(50)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가 안내덕트(5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로 이동하며, 상기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부재(42)에 의해 필터링된 후 히터(44)에 의해 가열되고,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는 상기 통기구(2a)를 통해 건조부(30)로 공급되어서 건조부(30) 내부의 의류 또는 빨래가 건조되는 건조모드;
    상기 안내댐퍼(45)가 상기 토출구(41)를 개방하면서 통기구(2a)를 차단하고, 상기 유입구(11)는 개방되며, 상기 히터(44)와 송풍팬(43)이 구동되고, 상기 송풍팬(43)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가 안내덕트(5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로 이동하며, 상기 구동부(40)로 이동하는 공기는 필터부재(42)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히터(44)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공기가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는 온풍모드; 및
    상기 안내댐퍼(45)가 상기 토출구(41)를 개방하면서 통기구(2a)를 차단하고, 상기 유입구(11)는 개방되며, 상기 송풍팬(43)이 구동되고, 상기 송풍팬(43)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가 유입구(11)를 통해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며, 상기 공기유입부(10)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는 안내덕트(50)를 따라 구동부(40)로 이동하고, 상기 공기가 상기 구동부(4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42)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청정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댐퍼(45)는,
    회전 반경이 조절되고, 소정 반경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구(41)와 통기구(2a)를 동시에 개방하며, 회전 반경에 따라 통기구(2a)와 토출구(41)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온풍모드에서, 상기 안내댐퍼(45)가 소정 반경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구(41)와 통기구(2a)를 모두 개방하면, 본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와 건조부(30)의 공기가 구동부(40)로 유입되고, 구동부(40)로 유입되는 공기가 히터(44)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통기구(2a)를 통해 건조부(30)로 공급되며, 실내 공간으로 따듯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부(30)의 의류 또는 빨래가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0672A 2019-04-08 2019-04-08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KR10202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72A KR102021904B1 (ko) 2019-04-08 2019-04-08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72A KR102021904B1 (ko) 2019-04-08 2019-04-08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904B1 true KR102021904B1 (ko) 2019-09-17

Family

ID=6807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72A KR102021904B1 (ko) 2019-04-08 2019-04-08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2424A1 (en) * 2019-10-09 2022-09-08 Whirlpool Corporation Heater and control scheme for multi-compartment dryer
KR20240036864A (ko) 2022-09-14 2024-03-2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87B1 (ko) * 2007-03-29 2008-07-04 갈근태 세탁물 건조기의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20100121201A (ko) *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KR101068655B1 (ko) 2011-03-24 2011-09-28 주식회사 토황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KR20170033657A (ko) * 2015-09-17 2017-03-27 김해일 침구류 및 의류 다기능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87B1 (ko) * 2007-03-29 2008-07-04 갈근태 세탁물 건조기의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20100121201A (ko) *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KR101068655B1 (ko) 2011-03-24 2011-09-28 주식회사 토황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KR20170033657A (ko) * 2015-09-17 2017-03-27 김해일 침구류 및 의류 다기능 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2424A1 (en) * 2019-10-09 2022-09-08 Whirlpool Corporation Heater and control scheme for multi-compartment dryer
US11814781B2 (en) * 2019-10-09 2023-11-14 Whirlpool Corporation Heater and control scheme for multi-compartment dryer
KR20240036864A (ko) 2022-09-14 2024-03-2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904B1 (ko) 온풍모드와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건조기
CN211862175U (zh) 包含衣物掸灰用空气吐出部的多功能收纳系统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112469859B (zh) 用于防止门内侧形成水滴的多功能收纳系统及利用此烘干门内侧的方法
CN116427141A (zh) 衣架装置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CN214386642U (zh) 衣物管理模块及多功能收纳系统
KR20210141248A (ko) 의류관리시스템
KR102215444B1 (ko)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673287B1 (ko) 자연가습공기를 이용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264785Y1 (ko) 의류건조기
CN215685723U (zh) 多功能收纳系统
KR2023010550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0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3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1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8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499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78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69A (ko) 옷걸이 장치 및 옷걸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0575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12A (ko) 옷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