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754A - 옷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754A
KR20230105754A KR1020220000988A KR20220000988A KR20230105754A KR 20230105754 A KR20230105754 A KR 20230105754A KR 1020220000988 A KR1020220000988 A KR 1020220000988A KR 20220000988 A KR20220000988 A KR 20220000988A KR 20230105754 A KR20230105754 A KR 20230105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device
discharge
cabinet
wind guar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겸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754A/ko
Priority to CN202210441271.5A priority patent/CN116427146A/zh
Priority to US18/085,991 priority patent/US20230210289A1/en
Priority to US18/086,056 priority patent/US20230210291A1/en
Priority to US18/086,028 priority patent/US20230210290A1/en
Priority to US18/087,021 priority patent/US20230210286A1/en
Priority to US18/086,862 priority patent/US20230210292A1/en
Priority to US18/086,747 priority patent/US20230212811A1/en
Priority to US18/087,070 priority patent/US20230210293A1/en
Priority to US18/086,837 priority patent/US20230210285A1/en
Priority to EP22215757.0A priority patent/EP4206383A1/en
Priority to US18/090,003 priority patent/US20230210287A1/en
Priority to US18/089,980 priority patent/US20230212814A1/en
Priority to US18/090,036 priority patent/US20230210288A1/en
Publication of KR2023010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부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의 흡입구 쪽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팬 모듈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팬 모듈의 출구와 상기 본체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토출 덕트;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행잉 유닛; 상기 행잉 유닛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하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윈드 가드; 및 상기 윈드 가드의 배면에 제공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옷걸이 장치{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본 발명은 옷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걸어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옷걸이가 사용된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종래의 옷걸이는 단순히 실내 공기의 순환을 통한 의류의 건조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옷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옷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기능에 더하여, 실내 공기의 정화 기능, 옷의 주름을 제거하는 기능 등의 수행이 가능한 옷걸이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128746호(2018년12월04일)
본 발명은, 옷걸이 기능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이 수행 가능한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옷걸이에 걸린 옷을 건조시키는 건조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한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옷걸이에 걸린 옷의 주름을 펴는 주름 제거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한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내 습도 조절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옷걸이 장치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 기능이 구비된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부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의 흡입구 쪽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팬 모듈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팬 모듈의 출구와 상기 본체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토출 덕트;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행잉 유닛; 상기 행잉 유닛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하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윈드 가드; 및 상기 윈드 가드의 배면에 제공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 모듈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 및 상기 살균 엘이디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윈드 가드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상기 토출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윈드 가드를 수용하는 윈드 가드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윈드 가드는, 플레이트 형태의 가드 본체와, 상기 가드 본체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가드 랙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장친느, 상기 윈드 가드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윈드 가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드 가드 구동부는, 윈드 가드 샤프트; 상기 윈드 가드 샤프트와 한 몸으로 회전하며, 상기 한 쌍의 가드랙과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 및 윈드 가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윈드 가드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윈드 가드는, 상기 캐비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윈드 가드의 전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윈드 가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하강하여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활성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현재의 운전 모드,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실내 오염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필터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터는, 면상 발열 히터 또는 시스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프리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 필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토출 덕트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디스차지 튜브; 및 상기 디스차지 튜브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살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디스차지 튜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서 옷걸이 장치의 행잉 유닛에 걸린 옷을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옷걸이가 걸리는 행잉 유닛을 통해서도 바람이 토출되어, 의류 건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필터링 모듈에 구비되는 히터를 작동시켜 온풍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옷걸이 장치의 행잉 유닛에 걸린 옷을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팬 모듈에 의하여 옷걸이 장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필터링 모듈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팬 모듈에 의하여 옷걸이 장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필터링 모듈에 구비되는 제습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습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가 습한 여름철에 제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옷걸이 장치 내부에 제공되는 스팀 공급 장치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행잉 유닛에 걸린 옷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행잉 유닛에 걸린 옷의 주름이 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가 건조한 겨울철에 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옷걸이 장치의 토출구 주변에 설치된 살균 모듈이 작동하면, 필터링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바이러스가 살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를 구성하는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캐비닛 내부에서 일어나는 공기 유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튜브의 사시도.
도 10은 상기 디스차지 튜브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 가드의 작동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 가드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도 2의 13-13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에 제공되는 스팀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스팀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17-17을 따라 절개되는 스팀 발생부의 측단면도.
도 18은 도 14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스팀 공급관의 종단면도.
도 19는 도 14의 19-19를 따라 절개되는 행잉 유닛의 종단면도.
도 20은 도 14의 20-20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기와 필터링 모듈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
도 22는 상기 필터 청소기와 필터링 모듈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23은 승강 드라이버가 작동하여 먼지통이 더스트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더스트 커넥터와 먼지통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먼지통의 외관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7은 도 21의 27-27을 따라 절개되는 필터 청소기와 필터링 모듈의 종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30-30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측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2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3은 어퍼 커버가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옷걸이 장치의 사시도.
도 34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도 31의 35-35를 따라 절개되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측단면도.
도 36은 도 31의 36-36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37은 도 31의 37-3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38은 도 31의 38-38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39는 도 36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0은 도 37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41은 윈드 가드가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행잉 유닛(hanging unit : 5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11)는 캐비닛(12)과,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을 덮는 커버(1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의 상면 후측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의 전방에는 관통홀(10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01)은 상기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101)의 일 단부는 상기 본체(11)의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타 단부는 상기 본체(11)의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상기 관통홀(101)의 양 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상기 관톨홀(101)의 횡단면 형상은, 트랙 형태의 장홀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1)은 상기 본체(11)를 상하로 가로질러 장착되는 디스차지 튜브(14)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행잉 유닛(50)은, 상기 본체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대(51)와, 상기 한 쌍의 지재대(51)를 연결하는 행잉 바(hanging bar : 52)를 포함한다.
상기 행잉 바(52)는, 상기 지지대(51)에 의하여 상기 본체(11)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수평하게 놓이며, 상기 관통홀(101)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행잉 바(52)의 저면에는 다수의 토출구(522)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101)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윈드 가드(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윈드 가드(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윈드 가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윈드 가드(20)가 하강하여 상기 본체(1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윈드 가드(20)가 상기 본체(11)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윈드 가드(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활성화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의 운전 모드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문자나 동영상, 현재 실내 온도, 습도, 오염도 등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스팀 공급 장치(30)와 필터 청소기(4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워터 탱크(후술함)와 상기 필터 청소기(40)를 구성하는 먼지통(후술함)은, 스팀 공급 장치 삽입홀(1209)과 필터 청소기 삽입홀(1208)을 통하여 각각 상기 본체(11)의 외부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워터 탱크를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상기 먼지통을 분리하여 먼지를 비워낸 다음, 이들을 상기 본체(11) 내부에 다시 장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옷걸이 장치(10)는,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링 모듈(60)과 팬 모듈(후술함)을 포함한다. 상기 팬 모듈이 작동하여 상기 본체(11)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한 후, 상기 관통홀(101)을 통하여 상기 본체(11) 외부로 토출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를 구성하는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를 구성하는 캐비닛(12)은, 로어 캐비닛(12a)과 어퍼 캐비닛(12b)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2) 내부에는, 팬 모듈, 스팀 공급 장치(30), 및 필터 청소기(40)가 장착되며, 상기 팬 모듈은 메인팬 모듈(15)과 서브팬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캐비닛(12a)은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 캐비닛(12b)은 상기 로어 캐비닛(12a)의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어 캐비닛(12a)은, 전면부(1201), 후면부(1202), 우측면부(1203), 좌측면부(1204), 및 저면부(12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면부(1205)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1202)의 상하 방향 폭이 상기 전면부(1201)의 상하 방향 폭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로어 캐비닛(12a)의 내부는, 상기 팬 모듈과 상기 필터 청소기(40) 및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가 놓이는 제 1 영역과, 상기 디스차지 튜브(14)가 결합되기 위한 튜브 가이드(1206)가 형성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로어 캐비닛(12a)의 저면부(1205)에는 상기 필터 청소기 삽입홀(1208)과 상기 스팀 공급 장치 삽입홀(1209)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 가이드(1206)는 상기 저면부(1205)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디스차지 튜브(14)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과 후면에는 다수 개의 토출구(120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두개씩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상기 토출구(1207)가 한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퍼 캐비닛(12b)은, 좌측 어퍼 캐비닛과 우측 어퍼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12)을 좌우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어퍼 캐비닛과 우측 어퍼 캐비닛 사이에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와 상기 필터 청소기(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어퍼 캐비닛과 우측 어퍼 캐비닛 각각은, 메인 유동부와, 상기 메인 유동부의 측방에 결합되는 서브 유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유동부는, 상기 메인 팬 모듈(15)이 놓이는 메인 팬 하우징(1211)과,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의 전단부에서 상기 캐비닛(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토출 덕트(1212)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유동부는, 흡입 가이드(1214)와, 상기 흡입 가이드(1214)의 측면에서 구비되는 토출 가이드(1215), 및 상기 토출 가이드(1215)의 전단부에서 L 자 형태로 절곡 연장되는 서브 토출 덕트(1216)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가이드(1214)는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1214)와 상기 토출 가이드(1215)를 구획하는 구획벽(1219)에 서브팬 장착홀(1219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팬 장착홀(1219a)에 상기 서브 팬 모듈(16)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1214)는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서브 팬 모듈(16)로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로 기능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1215)는 상기 서브 팬 모듈(16)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어퍼 캐비닛(12b)은 상기 디스차지 튜브(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차지 튜브(14)는 상기 로어 캐비닛(12a)의 튜브 가이드(1206) 내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는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측면과 전면 윤곽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는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의 토출구(1212a)가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배면에 형성된 토출구(1207)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는 상기 로어 캐비닛(12a)의 측면부(1203,1204)와 전면부(120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의 토출구(1216a)는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1207)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에 형성된 토출구(1216a)는 전방 토출구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에 형성된 토출구는 후방 토출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는, 상기 토출 가이드(1215)의 전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 서브 토출 덕트와, 상기 측면부의 전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면 서브 토출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토출구(1216a)는 상기 전면 서브 토출 덕트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1207)와 연통한다.
상기 측면 서브 토출 덕트의 내측에는 지지대 장착홈(1217)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장착홈(1217)에는 상기 행잉 유닛(50)을 구성하는 지지대(51)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서브 토출 덕트의 상면에는 다수의 스팀홀(12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의 상면에는 다수의 스팀홀(1213)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는 상기 흡입 가이드(1214)의 전면을 지나서 상기 토출 가이드(121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의 폭은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의 일 측단부에서 상기 토출 가이드(1215)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의 일 측단부는 상기 로어 캐비닛(12a)의 중앙에 가까운 측단부를 의미하고,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의 타 측단부는 상기 흡입 가이드(1214)에 밀착되는 측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팬 모듈(15)은, 메인팬(151)과, 상기 메인팬(151)을 구동하는 메인팬 모터(152)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팬 모듈(16)은 서브팬(161)과, 상기 서브팬(161)을 구동하는 서브팬 모터(162)를 포함한다.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서브 팬 모듈(16)은 흡입 그릴(16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입 그릴(163)은 상기 서브팬(161)의 흡입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팬(151)은 횡류팬일 수 있고, 상기 서브팬(161)은 축류팬 또는 원심팬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캐비닛 내부에서 일어나는 공기 유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팬 모듈(15)과 서브팬 모듈(16)이 작동하면, 실내 공기가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면서 상기 옷걸이 장치(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메인팬 하우징(1211)으로 유입되고,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101)의 후면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는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흡입 가이드(1214)로 유입되고, 상기 서브팬(161)을 통과한 뒤 상기 토출 가이드(1215)와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101)의 전면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로 안내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행잉 유닛(50)의 지지대(51) 내부로 공급된다. 상지 지지대(51)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행잉 바(52)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상기 행잉바(52)에 형성된 토출구(522)를 통하여 옷걸이에 걸린 옷을 향하여 토출된다.
일례로, 상기 지지대(51)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 내부의 유로와 연통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지지대 장착홈(1217)을 정의하는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의 측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1)의 측면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튜브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디스차지 튜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 가드의 작동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차지 튜브(14)는 상기 옷걸이 장치(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튜브 전면(144)과, 상기 튜브 전면(144)의 후방에 상기 옷걸이 장치(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튜브 후면(145), 및 상기 튜브 전면(144)과 상기 튜브 후면(145)의 양 측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튜브 측면(146)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튜브 측면(146)은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튜브(14)의 상면은 평평한 반면 하면은 상기 디스차지 튜브 후면(145)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 전면(144)과 튜브 후면(145) 각각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토출 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튜브 전면(144)과 상기 튜브 후면(145) 각각에는 두 개의 토출 덕트가 좌측과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튜브 전면(144)에는 한 쌍의 전방 토출 덕트(1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튜브 후면(145)에는 한 쌍의 후방 토출 덕트(1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 덕트(141)와 상기 후방 토출 덕트(142)의 단부는 상기 튜브 가이드(1206)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토출구들(1207)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 토출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 토출 덕트(141) 및 상기 후방 토출 덕트(142) 각각에는 토출 베인(19)이 베인 모터(19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튜브 전면(144)에는 상기 윈드 가드(20)가 수용되는 윈드 가드 수용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44)의 내측에 상기 윈드 가드(2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44)는 상기 튜브 전면(144)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44)는 상기 전방 토출 덕트(141)의 하단과 상기 튜브 전면(144)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44)의 저면은 개구되어, 상기 윈드 가드(20)가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44)로부터 하강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전방 토출 덕트(141)의 상측에는 상기 윈드 가드(20)를 구동하기 위한 한 쌍의 윈드가드 구동부(18)가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윈드가드 구동부(18) 각각은, 윈드 가드 샤프트(184)와, 상기 윈드 가드 샤프트(184)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피니언(185)과, 상기 윈드 가드 샤프트(184)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윈드 가드 샤프트(184)를 회전시키는 윈드 가드 모터(18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윈드 가드(20)는, 가드 본체(201)와, 상기 가드 본체(201)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가드 랙(202)을 포함한다. 상기 가드 랙(202)의 개수는 상기 윈드 가드 구동부(18)를 구성하는 피니언(185)의 개수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드 본체(181)의 좌우측 상단에서 가드랙(202)이 각각 연장되고, 하나의 윈드 가드 샤프트(184) 양 단부에 피니언(185)이 구비되어 상기 가드랙(202)에 각각 맞물리도록 하는 구조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디스차지 튜브(14)에는 무드 라이트(mood light)(17)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차지 튜브(14)의 상단에 무드라이트 홀(143)(또는 무드라이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무드라이트 홀(143)에 상기 무드 라이트(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드 라이트(17)는 상기 디스차지 튜브(14)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어느 지점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차지 튜브(14)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둘러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무드 라이트(17)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장치(1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열풍 공급 모드(또는 건조 모드) 또는 스팀 공급 모드(가습 모드 또는 주름 제거 모드)가 온되면 상기 무드 라이트(17)가 온되어, 상기 관통홀(101)을 통하여 빛이 은은하게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실내 오염도, 또는 옷의 건조 정도에 따라 상기 무드 라이트(17)의 조도나 색상이 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무드 라이트(17)는 엘이디 모듈과,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면발광 유닛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 가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 가드(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드 본체(201)와, 상기 가드 본체(201)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가드랙(202)을 포함한다.
상기 가드랙(202)의 전면에는 상기 피니언(185)과 맞물리는 기어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드 본체(201)의 배면에는 살균 모듈(1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100)은, 피시비 기판과, 상기 피시비 기판에 실장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열풍 공급 모드 또는 스팀 공급 모드가 온되면, 상기 윈드 가드(20)가 하강하여 상기 옷걸이 장치(10) 외부로 노출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살균 모듈(100)이 온되어, 상기 관통홀(101)을 통하여 하강하는 공기가 살균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살균 모듈(1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의 조사 방향이 옷걸이 쪽을 향하도록 하여, 옷걸이에 걸린 옷이 살균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살균 모듈(100)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가드 본체(201)의 배면에도 무드 라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드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각종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2의 13-13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 장치(10)의 전원이 온되고, 상기 메인팬 모듈(15) 및 서브팬 모듈(16)이 작동하면, 실내 공기가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한 뒤, 최종적으로 상기 전방 토출 덕트(141)와 상기 후방 토출 덕트(142)를 통하여 옷걸이에 걸린 옷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 베인(19)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공기의 토출 방향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윈드 가드(20)가 하강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토출 덕트들(141,14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옷걸이 장치(10)의 전방으로 확산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윈드 가드(20)는, 상기 옷걸이 장치(10)에 걸린 옷을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살균 모듈(100)에 의하여 공기가 살균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차지 튜브(14)의 내주면 하측에도 살균 모듈(100a)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에 제공되는 스팀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상기 스팀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도 14의 17-17을 따라 절개되는 스팀 발생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4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스팀 공급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 장치(30)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부(31)와, 상기 스팀 발생부(31)에서 연장되는 스팀 공급관(32) 및 상기 스팀 공급관(32)을 따라 상기 스팀 공급관(32)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히터(33)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가 작동하여 스팀이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팬 모듈(15,16)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습 기능과 스팀 공급 기능이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부(31)에서 발생하는 스팀은, 스팀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스팀 공급관(32)을 따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팀 공급관(32)은, 상기 디스차지 튜브(14) 상단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메인 공급관(321)과, 상기 스팀 발생부(31)에서 연장되어 상기 행잉 유닛(50)의 지지대(51) 내부로 연장되는 서브 공급관(32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공급관(321)의 저면에는 다수의 토출 노즐(323)이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323)은 상기 어퍼 캐비닛(12b)을 구성하는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스팀홀(1213)과, 상기 어퍼 캐비닛(12b)을 구성하는 상기 서브 토출 덕트(1216)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스팀홀(1218)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 노즐들(232)로부터 토출되는 스팀은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와 서브 토출 덕트(1216)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히터(33)는 상기 스팀 공급관(3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스팀 공급관(32)을 따라 흐르는 스팀이 냉각되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히터(33)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스팀 공급관(32)으로 전달되어, 상기 스팀 공급관(32) 내부를 따라 흐르는 스팀이 열손실에 의하여 응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 발생부(31)는, 스팀 케이스(311)와,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는 가열 탱크(318)와, 상기 가열 탱크(318)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터 탱크(312)와,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후방 상측에 결합되는 펌프(313), 및 상기 펌프(31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스팀 챔버(31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313)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내부에는 스팀 발생실(311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스팀 발생실(3111)의 바닥에는 인덕션 히터(316)가 장착되어, 상기 스팀 발생실(3111)로 공급되는 물을 증기 상태로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실(3111)의 전방에는 상기 워터 탱크(312)가 배치되고, 상기 워터 탱크(312)의 바닥부는 상기 스팀 발생실(3111)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312)의 후측 하단부 모서리 부위가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잔수 고임부(312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수 고임부(3121)는 상기 스팀 발생실(3111)의 전면 하단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잔수 고임부(3121)의 상면에 상기 스팀 발생실(3111)의 전면 하단부를 정의하는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하단부가 적층 또는 중첩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313)의 저면에서 흡입관(314)과 토출관(315)이 각각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흡입관(314)의 단부는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바닥부와 상기 워터 탱크(312)를 관통하여 상기 잔수 고임부(3121)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워터 탱크(312)에 남아 있는 물의 대부분이 상기 흡입관(314)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고, 상기 펌프(313)에 의하여 흡입된 물은 상기 토출관(315)을 통하여 상기 스팀 발생실(31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토출관(315)은 상기 흡입관(314)으로부터 상기 스팀 케이스(311)의 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탱크(312)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 탱크(318)가 배치되고, 상기 가열 탱크(318)의 바닥에는 인덕션 히터(317)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 챔버(319)는 상기 가열 탱크(318)와 연통하고, 상기 스팀 발생실(3111)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상기 스팀 챔버(319)를 통하여 상기 가열 탱크(318)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열 탱크(318)의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는 상기 스팀 공급관(32)과 상기 히터(33)의 결합체가 연결된다. 즉, 상기 가열 탱크(318) 내부로 유입된 스팀은 상기 스팀 공급관(32)을 따라 흘러 상기 토출 덕트(141,142)와 상기 지지대(51)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메인 공급관(321)과 상기 서브 공급관(322)은 상기 가열 탱크(318)의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공급관(321)의 양 단부는 모두 상기 가열 탱크(318)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공급관(321)을 따라 흐르는 스팀의 일부는 다시 상기 가열 탱크(318)로 되돌아오는 유로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서브 공급관(322)의 경우는, 상기 메인 공급관(321)과 달리, 일 단부는 상기 가열 탱크(318)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대(51)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가열 탱크(318)가 상기 인덕션 히터(317)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상기 스팀 챔버(319)를 거쳐 상기 가열 탱크(318)로 유입된 스팀이 상기 가열 탱크(318)로 되돌아오는 스팀과 혼합되면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덕션 히터(317)에 의하여 상기 가열 탱크(318) 내부의 증기 압력이 높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스팀 공급관(32) 내부의 압력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노즐(323)을 통하여 토출되는 스팀의 분사 거리(또는 토출 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덕션 히터(316,317) 대신 시스 히터 또는 면상 발열 히터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가열 수단이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9는 도 14의 19-19를 따라 절개되는 행잉 유닛의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4의 20-20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과,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팬 모듈(16)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행잉 유닛(50)의 지지대(51)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질 뿐만 아니라 주변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51) 내부와 상기 행잉 바(52) 내부를 포함하는 유로는 건조풍 유로(L2)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공급관(32)을 구성하는 상기 서브 공급관(322)의 일 단부는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일부가 상기 행잉 바(52)의 토출 노즐(323)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공급관(322)의 일 단부는 상기 행잉 바(52)가 연결되는 상기 지지대(51)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1)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서브 공급관(322)의 내부 유로는 스팀 유로(L1)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행잉 바(52)에는 다수의 옷걸이 홈(521)이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옷걸이 홈(521)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행잉 바(52)의 저면에는 건조풍 또는 스팀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토출구(5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또는 상기 서브 공급관(322)을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은 상기 다수의 토출구(522)를 통하여 상기 행잉 바(5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홈(521)은, 상기 행잉 바(52)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될 수 있고, 상기 행잉 바(52)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 홈(521)의 바닥에는 압력 센서(PS)가 장착되어, 옷이 걸린 옷걸이가 상기 옷걸이 홈(521)에 걸리면, 상기 압력 센서(PS)가 상기 옷걸이에 걸린 옷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옷걸이의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PS)의 위치 정보와, 압력 센서(PS)에서 감지된 옷의 하중 정보를 기반으로, 옷이 걸려 있는 지점으로 건조풍이나 스팀이 집중 공급되도록 상기 토출 노즐(323)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옷들이 상기 행잉 바(52)의 좌측이나 우측에 편심되어 걸려 있는 경우, 옷이 많이 걸려 있는 쪽으로 건조풍이나 스팀이 더 많이 공급되도록, 상기 캐비닛(1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상기 한 쌍의 서브 팬 모듈(16)의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옷이 많이 걸려 있는 쪽의 서브 팬 모듈(16)만 단독으로 구동하거나, 옷이 많이 걸려 있는 쪽의 서브 팬 모듈(16)의 회전 속도를 다른 쪽 서브팬 모듈(16)의 회전 속도보다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기와 필터링 모듈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2는 상기 필터 청소기와 필터링 모듈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는,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링 모듈(60)과, 상기 필터링 모듈(60)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필터 청소기(40), 및 상기 필터 청소기(40)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elevation unit, 7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필터 청소기(40)는, 상기 필터링 모듈(60)에서 분리된 먼지 덩어리가 포집되는 먼지통(41)과, 상기 먼지통(41)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는 탑 커버(43)와, 상기 탑 커버(43)의 상면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넥터(dust connector, 4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 유닛(70)은, 상기 먼지통(41)이 안착되는 승강 플레이트(71)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71)를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 드라이버(7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승강 플레이트(71)는, 상면에 상기 먼지통(41)이 놓이는 수평부(711)와, 상기 수평부(71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먼지통(41)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직부(7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712)의 배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승강랙(7121)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승강 드라이버(72)는, 상기 승강랙(7121)과 맞물리는 승강 피니언(722)과, 상기 승강 피니언(722)을 회전시키는 승강 모터(721)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통(41)이 먼지로 가득차면, 사용자는 상기 승강 드라이버(72)를 구동시켜,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옷걸이 장치(10)의 외부로 하강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71)와 함께 하강하여 상기 옷걸이 장치(10)의 본체(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먼지통(41)을 상기 승강 플레이트(71)로부터 분리하여 먼지를 비워낼 수 있다. 그리고, 먼지를 비워낸 후 상기 먼지통(41)을 상기 승강 플레이트(71)에 안착시키고, 상기 승강 드라이버(72)를 구동시켜 상기 먼지통(41)이 상승하여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71)가 하강하면,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와 상기 탑커버(43) 및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필터링 유닛(60)으로부터 분리되어 하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71)가 하강하면,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와 상기 집진기(44)는 상기 필터링 유닛(6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탑커버(43) 및 상기 먼지통(41)만 상기 승강 플레이트(71)와 함께 하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71)가 하강하면, 상기 먼지통(41)만 상기 승강 플레이트(71)와 함께 하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43)와 상기 먼지통(41)의 결합체는 먼지 포집 장치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집진기(44)와 상기 집진 필터(47)의 결합체는 집진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3은 승강 드라이버가 작동하여 먼지통이 더스트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더스트 커넥터와 먼지통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5는 먼지통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에는 집진기(44)가 장착되고, 상기 집진기(44)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내부에는 흡입팬 모듈(46)이 장착되며, 상기 흡입팬 모듈(46)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상면에는 토출 그릴(456)이 형성된다. 상기 집진기(44)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필터링홀(441)들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는 먼지 유입구(4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먼지 유입구(452)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상면에는 장착 슬리브(45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착 슬리브(451)는 직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 커넥터(45)가 결합되는 상기 필터링 모듈(6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 슬리브(451)와 연통하는 먼지 배출구(후술함)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링 모듈(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슬리브(45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한쌍의 필터링 모듈(60) 각각에 상기 장착 슬리브(45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 슬리브(451)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에는 흡입 덕트(453)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 모듈(46)이 작동하면, 상기 흡입팬 모듈(46)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상기 필터링 모듈(60)에서 분리되는 먼지 덩어리는 상기 먼지 유입구(452)와 상기 흡입 덕트(453)를 통하여 상기 먼지통(41)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4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 그릴(45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팬 모듈(46)의 구동에 따른 공기 유동과 먼지의 포집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먼지통(41)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탑 커버(43)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탑커버(43)의 중앙에는 상기 집진기(44)가 관통하는 집진기 장착홀(4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43)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는 덕트 삽입구(4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43)의 전측 및 후측 가장자리에는 손잡이(4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삽입구(431)의 내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댐퍼(432)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에 결합될 때, 상기 흡입 덕트(453)가 상기 덕트 삽입구(431)에 삽입된다. 상기 흡입 덕트(453)가 상기 덕트 삽입구(43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댐퍼(432)는 상기 흡입 덕트(453)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더스트 커넥터(45)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흡입 덕트(453)가 상기 덕트 삽입구(431)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한 쌍의 댐퍼(432)가 역회전하여 상기 덕트 삽입구(431)를 폐쇄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모듈(60)은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 슬리브(451)와 연결되는 제 1 필터링 모듈과,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좌측과 우측 중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 슬리브(451)와 연결되는 제 2 필터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링 모듈(60) 각각은, 로어 케이스(61) 및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66)에 의하여 외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 케이스(66)의 상면에는 흡입구(661)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바닥에는 토출구(6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일 측단에는 먼지 배출구(613)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613)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상면에 형성된 먼지 유입구(452)와 연통한다.
상세히, 상기 먼지 배출구(613)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리브가 연장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장착 슬리브(45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결합에 의하여, 상기 먼지 배출구(613)와 상기 먼지 유입구(452)의 연결 부분을 통하여 먼지가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링 모듈(60)은, 상기 어퍼 케이스(66)의 하측에 제공되는 프리 필터(pre filter)(6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리 필터(65)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제공되고,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프리 필터(65)의 내부의 양 측단에는 한 쌍의 구동 롤러(67)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구동 롤러(67)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 모터(671)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롤러(67)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프리 필터(65)는 상기 한 쌍의 구동 롤러(67)의 회전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어 케이스(61)와 상기 어퍼 케이스(66)에는 상기 구동 모터(671)가 안착되는 모터 수용홈(612,66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65)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하여 상기 롤러의 직경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되는 공간에 미세 먼지를 걸러주는 헤파 필터(HEPA filter, 64)가 놓이고, 상기 헤파 필터(64)의 하측에 제습 필터(6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63)는 제올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헤파 필터(64)와 상기 제습 필터(63) 사이에 탈취 필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헤파 필터(64)와 상기 탈취 필터는 단일체로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습 필터(63)의 하측, 즉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바닥에는 히터(62)가 장착되어,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는 공기가 설정 온도로 가열되어 건조풍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터(62)는 면상 발열 히터 또는 시스 히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형태의 히터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제습 필터(63)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팬 모듈(15,16)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62)가 작동하여 상기 제습 필터(63)에 흡수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1의 27-27을 따라 절개되는 필터 청소기와 필터링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 청소기(40)의 구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집진기(44)의 상단에는 집진 필터(47)가 장착되고, 상기 집진기(44)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기(44)가 장착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 중앙에는 흡입 그릴(454)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 그릴(454)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내부 중앙에는 팬 장착부(455)가 정의되고, 상기 팬 장착부(455)에는 상기 흡입팬 모듈(46)이 수용된다. 상기 흡입팬 모듈(46)은 흡입팬(461)과 상기 흡입팬(461)을 구동하는 팬 모터(46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팬(461)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상면 중앙에는 토출 그릴(456)이 형성된다.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승강 드라이버(70)의 상승에 따라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을 향하여 상승하면, 상기 원뿔 형태의 집진기(44)는 상기 탑 커버(43)에 형성된 집진기 장착홀(433)에 삽입되어 상기 먼지통(41) 내부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 덕트(453)는 상기 탑커버(43)의 덕트 삽입구(431)에 삽입되면서 상기 댐퍼(432)를 회동시킨다. 상기 먼지통(41)이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71)의 저면은 상기 본체(11)의 저면과 동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댐퍼(432)가 회동하면서 상기 흡입 덕트(453)와 상기 먼지통(41) 내부가 연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 유입구(45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장착 슬리브(451)와,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장착 슬리브(614)가 맞닿아서 결합되면, 상기 프리 필터(65)의 외측 면에 부착된 먼지가 상기 흡입 덕트(453)를 통과하여 상기 먼지통(41) 내부로 포집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먼지 배출구(613)와 상기 흡입 덕트(453)가 서로 연통하여, 먼지 청소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로어 케이스(61)의 장착 슬리브(614)의 외주면에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장착 슬리브(451)의 내주면이 밀착되는 구조가 먼지 누설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결합 구조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리 필터(65)에 부착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41)에 포집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필터 청소 모드가 온되거나, 필터 청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 롤러(67)가 상기 구동 모터(671)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프리 필터(65)가 상기 한 쌍의 구동 롤러(67)의 외주면을 타고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 모듈(46)이 작동하면, 상기 먼지통(4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집진기(44)에 형성된 상기 필터링 홀들(441)을 통하여 상기 집진기(44)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집진기(44)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집진 필터(47)를 통과한 뒤 상기 흡입 그릴(454)과 토출 그릴(456)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상기 먼지통(41) 내부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면서 먼지통(41) 내부는 음압(negative pressure)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상기 흡입 덕트(453) 내부의 공기가 상기 먼지통(41)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프리 필터(65)의 외측 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 덩어리가 압력 차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먼지통(41) 내부로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질 중 상기 필터링 홀(441)보다 입자가 큰 먼지 및 이물질은 상기 집진기(44)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먼지통(41)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필터링 홀(441)보다 입자가 작은 먼지 및 이물질은 상기 집진 필터(47)에 의하여 걸러진다.
한편, 청소기에 적용되는 사이클론 먼지통과 같이, 상기 흡입팬(461)이 작동하면, 상기 먼지통(41) 내부에서는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하여 먼지와 공기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먼지 청소 모드는, 먼지 청소 명령이 입력된 후 설정 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프로그램되거나, 사용자가 먼지 청소 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간격을 두어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41)에 포집된 먼지가 설정량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먼지통 비움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기(44)는 상기 더스트 커넥터(45)의 저면에 돌려끼움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집진 필터(47)가 상기 더스트 커넥터(45)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집진기(44)도 함께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집진 필터(47)는 상기 집진기(44)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여 납작한 원형 필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30-30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6에서는 건조풍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습 필터(63)의 하측에 히터(62)가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되는 예는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의 배면에 인덕션 유닛(IU)이 장착되어,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이 히터로서 기능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세히, 상기 인덕션 유닛(IU)은, 유도 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인덕션 히터를 의미한다. 즉, 상기 인덕션 유닛(IU)에 전원이 인가하면 전자기장 원리에 의하여 상기 메인 팬 하우징(1211)이 가열되어 히터로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팬(152)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팬(152)에 의하여 상기 메인팬 하우징(121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가열된 후 상기 메인 토출 덕트(1212)로 토출된다.
위 도면에서는 상기 인덕션 유닛(IU)이 상기 메인팬 하우징(1211)의 배면에만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인덕션 유닛(IU)이 상기 흡입 가이드(1214)의 배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인덕션 유닛(IU)이 상기 흡입 가이드(1214)의 배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팬 하우징(1211)과 상기 흡입 가이드(1214) 중 적어도 일부분이 히터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구성하는 필터들의 열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2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a)는, 본체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아, 본체 내부의 공기 유로가 이전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와 구조적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링 모듈과, 팬 모듈, 스팀 공급 장치, 및 필터 청소 장치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한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옷걸이 장치(10a)의 내부에 필터 청소 장치가 도시되지는 않고 있으나, 도 21 내지 도 28에서 제시되는 필터 청소 장치(40)가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a)의 내부에도 동일하게 장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세히, 상기 옷걸이 장치(10a)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형을 이루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연결되는 행잉 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행잉 유닛(50)은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행잉 유닛(50)의 구조와 동일하게, 지지대(51)와 행잉 바(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도,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부품 장착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20)과, 상기 캐비닛(120)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20)은 로어 캐비닛(122)과,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상면을 덮는 어퍼 캐비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지는 면에 공기 토출부(1223)가 상향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지는 면은,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저면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시작되어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저면 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지는 면은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후단에서 전단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상기 행잉 유닛(50)은 상기 공기 토출부(1223)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공기 토출부(1223)를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에 놓일 수 있다.
도 33은 어퍼 커버가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옷걸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5는 도 31의 35-35를 따라 절개되는 상기 옷걸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 장치(10a)를 구성하는 상기 커버(130)는 상기 어퍼 캐비닛(123)에 슬라이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130)는, 커버 바디(131)와, 상기 커버 바디(131)의 전단에 형성되는 파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131)의 후측에는 흡입 그릴(133)이 격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32)는 상기 커버 바디(131)의 전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캐비닛(123)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단차부(123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차부(1233)는 상기 커버(130)에 의하여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단차부(1233)가 상기 어퍼 캐비닛(12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단차부(1233)는, 파티션(1234)에 의하여 전방의 제 1 공간과 후방의 제 2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은 필터링 유닛(60)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제 1 공간은 교체를 위한 새 필터링 유닛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공간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 2 공간은 필터 안착부(1231)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안착부(1231)의 바닥에는 그릴 형태의 토출구(1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32)가 격자 모양의 그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 안착부(1231)에 놓이는 상기 필터링 유닛(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필터링 유닛(60)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캐비닛(1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어퍼 캐비닛(123)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필터 안착부들(1231)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내부에는 상기 스팅 공급 장치(30)를 구성하는 스팀 발생부(3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팀 발생부(31)의 전후 방향 폭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 발생부(31)의 후측에 상기 필터 청소기(4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안착부(1231)의 하측에는 팬 모듈(15a)이 놓이고, 상기 팬 모듈(15a)은 팬(153)과, 상기 팬(153)을 구동하는 팬 모터(154), 및 상기 팬(153)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155)을 포함한다. 상기 팬(153)은 횡류팬일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필터링 모듈(60)에 히터(62)가 제외되고, 상기 팬 하우징(155)의 배면에 인덕션 유닛(IU)이 장착되어, 상기 팬 하우징(155)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20)은, 상기 어퍼 캐비닛(123)과 상기 로어 캐비닛(122) 사이에 놓이는 미들 캐비닛(124)과, 상기 미들 캐비닛(124)과 상기 로어 캐비닛(122) 사이에 놓이는 유로 구획판(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캐비닛(124)과 상기 유로 구획판(125)은 상기 제 1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어퍼 캐비닛(123)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미들 캐비닛(124)은 상기 어퍼 캐비닛(12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놓이고, 상기 유로 구획판(125)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놓인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를 구성하는 스팀 공급관(32)은 상기 스팀 발생부(31)에서 연장되어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상면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 공급관(32) 중 메인 공급관(321)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공급관(321)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토출 노즐(323)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을 관통하여 상기 미들 캐비닛(124)과 상기 유로 구획판(125) 사이의 공간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관(32) 중 서브 공급관(322)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측 가장자리와 측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행잉 유닛(50)의 지지대(51) 내부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내부에는 상기 팬 모듈(15a)이 놓이는 팬장착부(1221)가 형성되고, 상기 팬 장착부(1221)의 전방에는 상기 공기 토출부(1223)가 형성된다.
상기 팬 장착부(1221)를 정의하는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바닥에는 스팀 공급 장치 삽입홀(12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청소기(40)가 장착되는 모델의 경우, 상기 스팀 공급 장치 삽입홀(1222)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바닥에는 필터 청소기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토출부(1223)는,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바닥부가 상측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전면부와, 상면부, 및 후면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상면부, 및 후면부 각각에는 전면 토출구(1223a), 상면 토출구(1223b), 및 후면 토출구(1223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들(1223a ~ 1223c) 각각에는 토출 베인(19)이 장착되고, 상기 토출 베인(19)은 베인 모터(191)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틸팅되면서 상기 토출구들(1223a ~ 1223c)의 개도 및 풍향을 조절한다.
특히,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에는 한 쌍의 토출 베인(19)이 장착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한 쌍의 토출 베인(19)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의 전단부 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의 후단부 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전단부 쪽에는 윈드 가드 수용부(1242)가 형성되고,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242) 내부에 윈드 가드(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윈드 가드(20)는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242)로부터 하측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부(1223)와 상기 미들 캐비닛(124) 사이에는 상기 유로 구획판(125)이 제공되어, 상기 미들 캐비닛(124)과 상기 로어 캐비닛(122) 사이에 상부 유로(PU)와 하부 유로(PL)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단부는 상기 팬(153)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전단부는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드 가드 수용부(124)는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전단부에서 더 연장되는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n자형으로 절곡되는 별도의 구조물이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전단부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로어 캐비닛(122)에는 상기 윈드 가드(20)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미들 캐비닛(124)은, 상기 공기 토출부(1223)의 구조와 유사하게, 전면부와, 상면부, 및 후면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팬(1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후면 토출구(1223c), 상면 토출구(1223b), 전면 토출구(1223a)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판(125)은, 별도의 부재가 상기 공기 토출부(1223)를 구성하는 전면부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방법로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일부분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판(125)과 상기 공기 토출부(1223)의 상면부 사이에 정의되는 하부 유로(PL)는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 구획판(125)과 상기 미들 캐비닛(124) 사이에 정의되는 상부 유로(PU)는 상기 전면 토출구(1223a)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공급관(32)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토출 노즐들(323)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유로(PU)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부 유로(PU)로 공급되는 스팀의 일부는 상기 하부 유로(PL)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상기 토출 노즐들(323)의 일부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단부에 가까운 지점, 즉 상기 팬 모듈(15a)의 토출구(1501)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상면부를 관통하는 토출 노즐들(323)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상기 상부 유로(PU)와 하부 유로(PL)로 나뉘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도 36은 도 31의 36-36을 따라 절개되는 옷걸이 장치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캐비닛(123)과 상기 미들 캐비닛(124)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상면부에 상기 스팀 공급관(32)이 놓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 모듈(15a)이 작동하면, 상기 옷걸이 장치(10a)의 외부에 있는 실내 공기가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여 상기 팬 모듈(15a)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동시에, 상기 어퍼 캐비닛(123)과 상기 로어 캐비닛(122)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도 상기 팬 모듈(15a)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팬 모듈(15a)의 흡입구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단과 상기 팬 하우징(155)의 후단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모듈(15a)이 구동할 때, 상기 미들 캐비닛(124)과 상기 어퍼 캐비닛(123)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단이 상기 어퍼 캐비닛(123)의 바닥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단이 상기 어퍼 캐비닛(123)의 바닥에 형성된 토출구(1232)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필터링 모듈(60)을 통과하는 공기만 상기 팬 모듈(15a)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팬 모듈(15a)을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후면 쪽에 이동시키고, 상기 스팀 발생부(31)의 전후 방향 폭을 감소시켜서, 상기 스팀 발생부(31)의 후면과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후면 사이에 도 21 내지 도 28에서 설명되는 필터 청소기(40)가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좌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과 우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외측 구획벽(1224)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측 구획벽(1224)은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측면과 평행하되,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측면과 상기 팬 외측 구획벽(1224)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에는 상기 팬 모터(154)와 상기 행잉 유닛(50)의 지지대(5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구획벽(1224)은, 상기 상부 유로(PU)와 하부 유로(PL)의 일 측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부(31)의 양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로어 캐비닛(122)의 내부에는 한 쌍의 내측 구획벽(1225)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내측 구획벽(1225)은 상기 상부 유로(PU)와 하부 유로(PL)의 타 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내측 구획벽(1225) 사이에 상기 스팀 발생부(31)만 배치되거나, 상기 스팀 발생부(31)와 필터 청소기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7은 도 31의 37-3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35 및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팬 모듈(15a)의 토출구(150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유로 구획판(125)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유로(PU)를 따라 흘러서, 상기 전면 토출구(1223a)를 통하여 상기 행잉바(52)에 걸린 옷을 향하여 토출된다.
도 38은 도 31의 38-38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35 및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팬 모듈(15a)의 토출구(150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후면 토출구(1223c)를 통하여 상기 행잉바(52)에 걸린 옷을 향하여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팬 모듈(15a)의 토출구(150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유로 구획판(125)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유로(PL)를 따라 흘러서, 상기 상면 토출구(1223b)를 통하여 상기 행잉바(52)에 걸린 옷을 향하여 토출된다.
상기 상면 토출구(1223b)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19)과 상기 후면 토출구(1223c)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19)의 틸팅 각도에 따라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와 후면 토출구(1223c)의 개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상면 토출구(1223b)와 후면 토출구(1223c)를 통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양이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도 39는 도 36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0은 도 37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스팀 공급관(32) 중 상기 서브 공급관(322)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후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대(51)의 상면은 차폐되고, 상기 서브 공급관(322)은 차폐된 상기 지지대(51)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1)의 상면은 상기 유로 구획판(125)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1)의 상면과 상기 유로 구획판(125)을 연결하는 측면은 개구된다.
또한, 상기 유로 구획판(125)의 상면에는 유동 가이드(1251)가 돌출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1251)의 상면은 상기 미들 캐비닛(124)의 저면에 연결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1251)의 전단은 상기 지지대(51)의 개구된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1251)의 후단과 상기 지지대(51)의 개구된 측면 사이에는 흡입구(1244)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1251)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244)와 상기 지지대(51)의 개구된 측면 사이에는 사이드 유로(125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44)는 쉴드 커버(126)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쉴드 커버(126)는 구동 모터(M)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쉴드 커버(126)는 상기 지지대(51)의 후면에 세워져서 상기 캐비닛(12)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구동 모터(M)는 상기 지지대(51)의 상면에 놓이고, 상기 구동 모터(M)의 회전축에는 피니언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쉴드 커버(126)의 상면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구동 모터(M)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쉴드 커버(126)는 상기 캐비닛(12)의 측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1244)가 개방된다. 상기 흡입구(1244)가 개방되면, 상기 팬 모듈(15a)의 토출구(150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상기 흡입구(1244)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 유로(1252)로 공급된다. 상기 사이드 유로(1252)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지지대(51) 내부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행잉바(52)의 저면에 형성된 토출구(522)를 통하여 상기 행잉바(52)에 걸린 옷을 향하여 토출된다.
상기 사이드 유로(1252)가 상기 쉴드 커버(12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거나 개도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행잉 유닛(5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공기 또는 스팀이 더 많이 공급되도록 적절히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행잉바(52)의 옷걸이 홈(521)에 장착된 압력 센서들(PS)로부터 전송되는 감지값으로부터 상기 행잉바(52)의 좌측보다 우측에 옷이 더 많이 걸려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쉴드 커버(126)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행잉바(52)의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지지대(51)로 공기가 더 많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1은 윈드 가드가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a)에도 윈드 가드(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윈드 가드(20)는 상기 옷걸이 장치(10a)의 캐비닛(12) 전단부 저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하강하여, 상기 공기 토출부(1223)를 통하여 토출되는 건조풍, 온풍, 또는 스팀이 상기 옷걸이 장치(10a)의 전방으로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 토출부(1223)를 통하여 토출되는 온풍 또는 스팀이 상기 옷걸이 장치(10a)의 전방으로 분산될 경우, 옷걸이 장치(10a)의 앞을 지나가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행잉바(52)에 걸려 있는 옷으로 분사되는 건조풍,온풍, 또는 스팀의 양이 감소되어 의류 건조 효과나 주름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건조 모드 또는 주름 제거 모드에서 상기 윈드 가드(20)가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드 가드(20)의 배면에 무드 라이트 또는 살균 모듈이 설치되어, 조명 기능 또는 살균 기능이 추가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6)

  1.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부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의 흡입구 쪽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팬 모듈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팬 모듈의 출구와 상기 본체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토출 덕트;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행잉 유닛;
    상기 행잉 유닛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하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윈드 가드; 및
    상기 윈드 가드의 배면에 제공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 및
    상기 살균 엘이디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윈드 가드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장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상기 토출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윈드 가드를 수용하는 윈드 가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가드는,
    플레이트 형태의 가드 본체와,
    상기 가드 본체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가드 랙을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가드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윈드 가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드 가드 구동부는,
    윈드 가드 샤프트;
    상기 윈드 가드 샤프트와 한 몸으로 회전하며, 상기 한 쌍의 가드랙과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 및
    윈드 가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윈드 가드 모터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가드는, 상기 캐비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가드의 전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가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하강하여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활성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현재의 운전 모드,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실내 오염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면상 발열 히터 또는 시스 히터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프리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 필터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토출 덕트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디스차지 튜브; 및
    상기 디스차지 튜브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살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디스차지 튜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장치.
KR1020220000988A 2022-01-04 2022-01-04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88A KR20230105754A (ko) 2022-01-04 2022-01-04 옷걸이 장치
CN202210441271.5A CN116427146A (zh) 2022-01-04 2022-04-25 衣架装置
US18/085,991 US20230210289A1 (en) 2022-01-04 2022-12-21 Hanger device
US18/086,056 US20230210291A1 (en) 2022-01-04 2022-12-21 Hanger device
US18/086,028 US20230210290A1 (en) 2022-01-04 2022-12-21 Hanger device
US18/087,021 US20230210286A1 (en) 2022-01-04 2022-12-22 Hanger device
US18/086,862 US20230210292A1 (en) 2022-01-04 2022-12-22 Hanger device
US18/086,747 US20230212811A1 (en) 2022-01-04 2022-12-22 Hanger device
US18/087,070 US20230210293A1 (en) 2022-01-04 2022-12-22 Hanger device
US18/086,837 US20230210285A1 (en) 2022-01-04 2022-12-22 Hanger device
EP22215757.0A EP4206383A1 (en) 2022-01-04 2022-12-22 Hanger device
US18/090,003 US20230210287A1 (en) 2022-01-04 2022-12-28 Hanger device
US18/089,980 US20230212814A1 (en) 2022-01-04 2022-12-28 Hanger device
US18/090,036 US20230210288A1 (en) 2022-01-04 2022-12-28 Hang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88A KR20230105754A (ko) 2022-01-04 2022-01-04 옷걸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754A true KR20230105754A (ko) 2023-07-12

Family

ID=8456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88A KR20230105754A (ko) 2022-01-04 2022-01-04 옷걸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06383A1 (ko)
KR (1) KR20230105754A (ko)
CN (1) CN1164271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46A (ko) 2017-05-2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4006A (zh) * 2017-12-07 2018-02-23 陆汉明 一种智能多功能衣架
DE102018008404B4 (de) * 2018-10-19 2020-11-05 Rocco Cannizzo Wäschetrockner
CN210529314U (zh) * 2019-04-13 2020-05-15 刘辉 围帘式电动晾衣机装置
CN113123092A (zh) * 2021-04-06 2021-07-16 广东一贯科技有限公司 一种带安防功能的晾衣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46A (ko) 2017-05-2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6383A1 (en) 2023-07-05
CN116427146A (zh)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0A (ko) 옷걸이 장치
US20230210292A1 (en) Hanger device
KR2023010575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12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0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3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499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78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1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13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8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5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1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9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69A (ko) 옷걸이 장치 및 옷걸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05752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66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82A (ko) 필터 청소기
KR20230105767A (ko) 옷걸이 장치 및 옷걸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0577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3A (ko) 옷걸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