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746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746A
KR20180128746A KR1020170064246A KR20170064246A KR20180128746A KR 20180128746 A KR20180128746 A KR 20180128746A KR 1020170064246 A KR1020170064246 A KR 1020170064246A KR 20170064246 A KR20170064246 A KR 20170064246A KR 20180128746 A KR20180128746 A KR 20180128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lancing
cabinet
laundr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514B1 (ko
Inventor
이경아
김혜원
성재석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514B1/ko
Priority to US15/988,518 priority patent/US10774461B2/en
Priority to AU2018273438A priority patent/AU2018273438B2/en
Priority to CN201880050203.8A priority patent/CN110998010B/zh
Priority to EP18806880.3A priority patent/EP3633092B1/en
Priority to PCT/KR2018/005893 priority patent/WO2018217029A1/ko
Publication of KR2018012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06F31/005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consisting of one or more rotating drums through which the laundry passes in a continuous flow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7/00Details of ironing machines provided for in groups D06F61/00, D06F63/00, or D06F65/00
    • D06F67/005Stands or cabin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06F2105/04Water supply from separate hot and cold water inl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하나의 공간에서 애벌 세탁, 본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싱크 보울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세탁물을 애벌 세탁하는 애벌 세탁부와, 상기 애벌 세탁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애벌 세탁부에서 애벌 세탁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본 세탁, 헹굼 및 탈수하는 본 세탁부와, 상기 본 세탁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본 세탁부에서 탈수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세탁물을 다림질하기 위한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다림질부와, 상기 본 세탁부 및 상기 건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제1 어퍼 패널과, 상기 다림질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 어퍼 패널과, 상기 애벌 세탁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상면이 상기 제1 어패패널의 상면 및 상기 제2 어퍼패널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다.
상기 세탁기는 탑로드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로 구분된다. 상기 탑로드 세탁기는 세탁수에 회전수류를 형성시켜서 상기 세탁수의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는 드럼 내주면에 설치된 리프터가 세탁물을 들어 올린 후 낙하시킬 때 발생되는 상기 세탁물 간의 마찰에 의해 상기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의류 소재의 고급화 및 다양화에 따른 애벌 세탁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애벌 세탁의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찌든 때나 기능성 의류의 세탁을 위해 특수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세탁기를 이용하여 본 세탁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세탁기와 별도로 마련된 세탁공간에서 애벌 세탁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를 이용하여 본 세탁을 수행한 후에는, 상기 세탁물의 건조 및 다림질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애벌 세탁부와, 본 세탁부와, 건조부와, 다림질부가 각각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애벌 세탁한 후 다림질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세탁물을 애벌 세탁, 본 세탁, 건조 및 다림질할 때마다 세탁물을 다른 장소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나의 공간에서 애벌 세탁, 본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싱크 보울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세탁물을 애벌 세탁하는 애벌 세탁부와, 상기 애벌 세탁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애벌 세탁부에서 애벌 세탁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본 세탁, 헹굼 및 탈수하는 본 세탁부와, 상기 본 세탁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본 세탁부에서 탈수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세탁물을 다림질하기 위한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다림질부와, 상기 본 세탁부 및 상기 건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제1 어퍼 패널과, 상기 다림질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 어퍼 패널과, 상기 애벌 세탁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상면이 상기 제1 어패패널의 상면 및 상기 제2 어퍼패널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하나의 공간에서 애벌 세탁, 본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애벌 세탁부, 본 세탁부, 건조부 및 다림질부가 하나로 통합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벌 세탁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드가 개방되고, 서랍식 워셔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애벌 세탁부의 일부 구성도,
도 6은 애벌 세탁부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애벌 세탁부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세탁부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세탁부의 드럼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세탁부의 터브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세탁부에 대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세탁부의 탈수 진입 및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세탁부의 탈수 진입 및 탈수시 밸런싱유닛에 대한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건조부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건조부를 내부가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절개한 도면,
도 18은 바스켓이 설치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19는 바스켓과 케이싱의 결합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21은 도 18의 B부분의 상세도,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다림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습 및 다림질 모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습유닛의 구성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제습 및 다림질 모듈에서 제1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제습 및 다림질 모듈에서 제2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다림질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애벌 세탁부(100)와 본 세탁부(200)와 건조부(300)와 다림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와 본 세탁부(200)와 건조부(300)와 다림질부(400)는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가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애벌 세탁부(100)의 우측에 본 세탁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본 세탁부(200)의 우측에 건조부(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건조부(300)의 우측에 다림질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가 가장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애벌 세탁부(100)의 좌측에 본 세탁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본 세탁부(200)의 좌측에 건조부(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건조부(300)의 좌측에 다림질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 본 세탁부(200), 건조부(300) 및 다림질부(4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세탁물을 애벌 세탁, 본 세탁, 건조 및 다림질하는 작업을 하나의 공간에서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의 상측에는 후단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리드(140)가 설치될 수 있다. 리드(140)의 하측에는 싱크 보울(120, 도 3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에는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121,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21)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는 수용공간(121)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애벌 세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세탁부(200)는 애벌 세탁부(100)에서 애벌 세탁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본 세탁, 헹굼 및 탈수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300)는 본 세탁부(200)에서 탈수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림질부(400)는 건조부(300)에서 건조된 세탁물을 상면에서 다림질할 수 있다.
본 세탁부(200) 및 상기 건조부(300)의 상측에는 제1 어퍼 패널(28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퍼 패널(285)은 상면이 리드(14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림질부(400)의 상측에는 제2 어퍼 패널(411a)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퍼 패널(411a)은 다림질부(4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어퍼 패널(411a)은 상면이 리드(14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140), 제1 어퍼 패널(285) 및 제2 어퍼 패널(411a) 각각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애벌 세탁부(100), 본 세탁부(200), 건조부(300) 및 다림질부(400)가 하나로 통합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애벌 세탁부(100)의 일측에는 제1 사이드 패널(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패널(170)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림질부(400)의 일측에는 제2 사이드 패널(4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패널(470)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세탁부(200)의 전방에는 제1 도어(2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280)는 제1 어퍼 패널(285)의 전방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300)의 전방에는 제2 도어(3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380)는 제1 어퍼 패널(285)의 전방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280)는 제2 도어(38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도어(380)는 제1 도어(28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280)는 좌측단이 본 세탁부(200)의 캐비닛(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측단을 회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어(380)는 우측단이 건조부(300)의 케이싱(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우측단을 회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하, 애벌 세탁부(100), 본 세탁부(200), 건조부(300) 및 다림질부(400) 각각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애벌 세탁부(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벌 세탁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드가 개방되고, 서랍식 워셔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애벌 세탁부(100)는, 캐비닛(110)과, 싱크 보울(sink bowl; 120)과, 서랍식 워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0)은 상면 및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캐비닛(110)은 좌측 사이드 패널(111)과, 우측 사이드 패널(112)과, 백 패널(미도시)과, 로워 패널(113)과, 탑 패널(119)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패널(111), 우측 사이드 패널(112), 상기 백 패널, 로워 패널(113) 및 탑 패널(119)은 각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패널(111)은 캐비닛(110)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사이드 패널(112)은 좌측 사이드 패널(111)과 이격되고 좌측 사이드 패널(111)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사이드 패널(111)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캐비닛(11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워 패널(113)은 캐비닛(110)의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워 패널(113)의 하측에는 래그(미도시)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그는 로워 패널(113)의 네 모서리부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고, 캐비닛(110)을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래그는 사용자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캐비닛(1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탑 패널(119)은 캐비닛(110)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 패널(119)은 가운데가 개구되고 형성될 수 있고, 싱크 보울(120)은 탑 패널(119)의 개구된 가운에 설치될 수 있다.
탑 패널(119)에는 싱크 보울(120)보다 전방에 조작부(114,115,116,117) 및 디스플레이(118)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14,115,116,117)는 기계식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터치식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조작부(114,115,116,117)는 전원조작부(114), 세탁코스 조작부(115) 및 급수 조작부(116,11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8)는 조작부(114,115,116,117)의 조작상태 및 불림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은 캐비닛(110)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은 캐비닛(110)이 상측에 설치되고, 사각 형상의 수용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21)은 싱크 보울(120)의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세탁수 및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싱크 보울(120)의 상측에서 수용공간(121)에 세탁수 및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수용공간(121)에 세탁수 및 세탁물을 수용한 후 상기 세탁물을 애벌 세탁할 수 있다.
싱크 보울(120) 중 수용공간(121)의 전면측은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가깝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에는 수용공간(121)의 전면측에 복수개의 세탁리브(1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세탁리브(122)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세탁물을 복수개의 세탁리브(122)에 비벼서 애벌 세탁할 수 있다.
싱크 보울(120) 중 수용공간(121)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수류생성기(12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수류생성기(123)가 싱크 보울(120) 중 수용공간(121)의 좌측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싱크 보울(120) 중 수용공간(121)의 우측에도 좌측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수류생성기(123)가 배치될 수 있다. 수류생성기(123)는 싱크 보울(120) 중 수용공간(12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싱크 보울(120) 중 수용공간(121)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수류생성기(123)는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수류생성기(123)가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손으로 직접 애벌 세탁을 하지 않고, 세탁물을 수용공간(121)에 담궈 놓기만 하여도 수류생성기(123)가 생성하는 상기 수류에 의해 애벌 세탁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세탁물의 불림이 가능할 수 있다. 수류생성기(123)는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에 공기를 분사하여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싱크 보울(120)의 바닥면에는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에는 수용공간(121)으로 상기 세탁수를 공급하는 수전(125)이 설치될 수 있다. 수전(125)은 건물 내의 급수유로와 연결되어 수용공간(121)으로 상기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수전(125)은 싱크 보울(120)의 후방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의 후방부 상측에는 수전 수용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수전(125)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수전 수용홈(126)에서 빠져나와 싱크 보울(120)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수전 수용홈(126)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전(125)을 수전 수용홈(126)에 수용시킨 후 후술하는 리드(140)를 닫을 수 있다. 즉, 리드(140)가 닫힌 상태일 때 수전(125)은 수전 수용홈(126)에 수용되어 리드(14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비닛(110)의 상측에는 수용공간(121)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리드(140)가 배치될 수 있다. 수류생성기(123)는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세탁수에 상기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수류생성기(123)가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세탁수에 상기 수류를 형성시킬 때, 사용자는 리드(140)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애벌 세탁시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가 싱크 보울(120)의 외부로 튀어 나가지 않을 수 있다.
리드(14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140)는 리드 글래스(141)와, 리드 글래스(141)의 테두리를 감싸서 지지하는 리드 프레임(142)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글래스(14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리드 프레임(142)은 사각형상의 리드 글래스(141)의 네변을 감싸서 지지할 수 있다. 리드 글래스(141)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140)가 수용공간(121)의 개구된 상측을 닫은 상태일 때 사용자는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물을 리드 글래스(141)의 상측에서 리드 글래스(141)를 통해 볼 수 있다.
캐비닛(110)의 상측에는 리어 패널(150)이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패널(150)은 리드(14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140)는 캐비닛(110)의 상측 중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고, 리어 패널(150)은 캐비닛(110)의 상측 중 리드(140)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리드(140)가 수용공간(121)의 개구된 상측을 닫은 상태일 때, 리드(140)의 상측면과 리어 패널(150)의 상측면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즉, 리드(140)의 상면과 리어 패널(15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140)의 후단부는 리어 패널(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드(1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때 리드(140)의 후면은 리어 패널(150)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리드(1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때 리드(140)는 리어 패널(150)에 의해 지지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캐비닛(110)의 개구된 전면에는 서랍(160)이 설치될 수 있다. 서랍(160)은 싱크 보울(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캐비닛(110)에 전후로 출입할 수 있다. 서랍(160)은 양측이 캐비닛(110) 내의 양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비닛(110)에 전후로 출입할 수 있다. 서랍(160)은 세탁 세제를 보관할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는 캐비닛(110)의 개구된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는 싱크 보울(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는 서랍(16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는 캐비닛(110)에 전후로 출입할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의 양측에는 레일(131)이 설치될 수 있고, 캐비닛(110) 내의 양측에는 레일(131)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서랍식 워셔(130)는 캐비닛(110)에 전후로 출입할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는 통상적인 탑로드식 세탁기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서랍식 워셔(130)는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에서 세탁물을 애벌 세탁한 후, 애벌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곧바로 서랍식 워셔(130) 내에 넣어 본 세탁을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서랍식 워셔(130)는 서랍 프레임(132)과, 외조(133)와, 내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은 서랍식 워셔(13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은 캐비닛(110)에 전후로 인출될 수 있다. 레일(131)은 서랍 프레임(132)의 양측에 설치되어 서랍 프레임(132)은 캐비닛(110)에서 전후로 인출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은 캐비닛(110) 내로 들어가는 부분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조(133) 및 내조(134)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의 상측은 개구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의 상측에는 서랍 프레임(132)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135)가 설치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의 전방부 상측에는 서랍식 워셔(13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표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부(미표기)가 배치될 수 있다.
외조(133)는 서랍 프레임(132)의 빈 공간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다. 외조(133)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조(134)는 외조(133)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내조(134)는 상단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35)를 개방한 후 서랍 프레임(132)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투입된 세탁물은 외조(133)의 개방된 상단을 지나 내조(134)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내조(13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내조(134)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통공(134a)이 형성될 수 있다. 외조(133) 내에 수용된 세탁수는 복수개의 통공(134a)을 통해 내조(134) 내로 출입할 수 있다.
내조(134) 내의 바닥면에는 펄세이터(13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펄세이터(136)는 회전되는 경우 내조(134) 내의 세탁수에 회전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서랍 프레임(132) 내에는 모터(137)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137)는 서랍 프레임(132) 내에서 외조(13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137)의 회전축(137a)은 수직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137)의 회전축(137a)은 외조(133)의 바닥면 및 내조(134)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외조(133)의 바닥면과 펄세이터(136) 사이에는 클러치(138)가 배치될 수 있다. 클러치(138)는 내조(134) 및 펄세이터(136)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연결할 수 있다. 클러치(138)가 내조(134)를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연결하는 경우, 내조(134)는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클러치(138)가 펄세이터(136)를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연결하는 경우, 펄세이터(136)는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클러치(138)가 내조(134) 및 펄세이터(136)를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연결하는 경우, 내조(134) 및 펄세이터(136)는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수전(125)은, 수전 수용홈(126)에 수용되는 수평부(125a)와, 수평부(125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싱크 보울(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장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전(125)은 싱크 보울(1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수평부(125a)는 수전 수용홈(126)에서 돌출되고,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수평부(125a)는 수전 수용홈(126)에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125b)는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가깝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25b)의 배면에는 걸림홈(125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패널(150)에는 수전(125)이 수전 수용홈(126)에서 돌출되었을 때 걸림홈(125e)에 걸림되는 걸림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드(140)를 개방한 후 수전(125)의 수평부(125a)를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걸림돌기(151)가 걸림홈(125e)에 걸림됨으로써, 수전(125)은 수전 수용홈(126)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전(125)이 수전 수용홈(126)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전(125)의 수평부(125a)를 아래로 누르면 수전(125)은 아래로 이동되면서 걸림돌기(151)가 걸림홈(125e)에 빠져나와, 수전(125)의 수평부(125a)는 수전 수용홈(126)에 수용될 수 있다. 걸림돌기(151)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홈(125e)은 제1 걸림홈(125c)과, 제1 걸림홈(125c)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걸림홈(125d)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125e)이 제1 걸림홈(125c) 및 제2 걸림홈(125d)으로 구성되는 경우, 수전(125)이 싱크 보울(1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애벌 세탁부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전(125)은 급수유로(171,172)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171,172)는 수전(125)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유로(171,172)에는 급수밸브(173,174)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밸브(173,174)는 급수유로(171,172)를 개폐할 수 있다. 급수밸브(173,174)가 개방되는 경우 수전(125)은 급수유로(171,172)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유로(171,172)는 냉수 급수유로(171) 및 온수 급수유로(17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급수유로(171)는 수전(125)으로 냉수를 공급할 수 있고, 온수 급수유로(172)는 수전(125)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밸브(173,174)는 냉수 급수밸브(173) 및 온수 급수밸브(174)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급수밸브(173)는 냉수 급수유로(171)에 설치될 수 있고, 온수 급수밸브(174)는 온수 급수유로(172)에 설치될 수 있다. 냉수 급수밸브(173)는 냉수 급수유로(171)를 개폐할 수 있고, 온수 급수밸브(174)는 온수 급수유로(172)를 개폐할 수 있다. 냉수 급수밸브(173)가 개방되는 경우 수전(125)은 냉수 급수유로(171)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공급할 수 있고, 온수 급수밸브(174)가 개방되는 경우 수전(125)은 온수 급수유로(172)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싱크 보울(120)은 배수유로(181)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유로(181)는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다. 배수유로(181)는 싱크 보울(120)의 바닥면의 하측에서 배수구(1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유로(181)에는 배수밸브(18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182)는 배수유로(181)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밸브(182)가 개방되는 경우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세탁수는 배수유로(181)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유로(181)에는 배수펌프(18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수펌프(183)는 배수유로(181)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배수펌프(183)는 배수밸브(182)가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배수유로(181)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애벌 세탁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애벌 세탁부(100)는 컨트롤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90)는 급수 조작부(116,117)로부터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밸브(173,174)를 개방할 수 있다.
급수 조작부(116,117)는 기계식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터치식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급수 조작부(116,117)는 사용자가 한번 누르거나 터치하는 경우 상기 급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급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조작부(116,117)는 사용자가 다시 한번 누르거나 터치하는 경우 단수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단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90)는 급수 조작부(116,117)로부터 상기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밸브(173,174)를 개방하고, 상기 단수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밸브(173,174)를 닫을 수 있다. 급수밸브(173,174)가 개방되는 경우 수전(125)은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고, 급수밸브(173,174)가 닫히는 경우 수전(125)은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세탁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급수 조작부(116,117)는 냉수 급수 조작부(116) 및 온수 급수 조작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급수 조작부(116)는 사용자에 의해 한번 눌리거나 터치되는 경우, 냉수 급수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냉수 급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190)는 냉수 급수 조작부(116)로부터 상기 냉수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냉수 급수밸브(173)를 개방하여, 수전(125)이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냉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냉수 급수 조작부(116)는 사용자에 의해 다시 한번 눌리거나 터치되는 경우, 냉수 단수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냉수 단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190)는 냉수 급수 조작부(116)로부터 상기 냉수 단수신호가 입력되면, 냉수 급수밸브(173)를 닫아서, 수전(125)이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냉수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온수 급수 조작부(117)는 사용자에 의해 한번 눌리거나 터치되는 경우, 온수 급수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온수 급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190)는 온수 급수 조작부(117)로부터 상기 온수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온수 급수밸브(174)를 개방하여, 수전(125)이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온수 급수 조작부(117)는 사용자에 의해 다시 한번 눌리거나 터치되는 경우, 온수 단수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온수 단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190)는 온수 급수 조작부(117)로부터 상기 온수 단수신호가 입력되면, 온수 급수밸브(174)를 닫아서, 수전(125)이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으로 온수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지나친 애벌 세탁 시간 및 불림 시간으로 인한 세탁물의 탈색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배수유로(181)에 배수밸브(182) 및 배수펌프(183)가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정지키시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8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세탁코스 조작부(115)는 기계식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터치식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탁코스 신호는 제1 세탁코스 신호 및 제2 세탁코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세탁코스 조작부(115)는 사용자에 의해 한번 눌리거나 터치되는 경우 제1 세탁코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생성된 제1 세탁코스 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세탁코스 조작부(115)는 사용자에 의해 다시 한번 눌리거나 터치되는 경우 제2 세탁코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생성된 제2 세탁코스 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상기 제1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제1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정지키시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할 수 있다. 물론, 배수유로(181)에 배수밸브(182) 및 배수펌프(183)가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상기 제1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제1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정지키시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8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상기 제2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제2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할 수 있다. 물론, 배수유로(181)에 배수밸브(182) 및 배수펌프(183)가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상기 제2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상기 제2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8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시간은 상기 제1 설정시간과 상이한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시간은 상기 제1 설정시간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에 수용되는 세탁수가 냉수인 경우, 사용자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를 조작하여 상기 제1 세탁코스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에 수용되는 세탁수가 온수인 경우, 사용자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세탁코스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도 7은 애벌 세탁부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애벌 세탁부의 제어방법을, 애벌 세탁부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리드(140)를 개방한 후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 내에 세탁물을 넣고, 급수 조작부(116,117)를 조작하여 급수신호를 생성시킨다. 이리하면, 급수 조작부(116,117)에서 생성된 상기 급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S1). 사용자가 리드(140)를 개방한 후 수용공간(121) 내에 세탁물을 넣고, 냉수 급수 조작부(116)를 조작하는 경우 냉수 급수신호가 생성되고, 냉수 급수 조작부(116)에서 생성된 상기 냉수 급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리드(140)를 개방한 후 수용공간(121) 내에 세탁물을 넣고, 온수 급수 조작부(117)를 조작하는 경우 온수 급수신호가 생성되고, 온수 급수 조작부(117)에서 생성된 상기 온수 급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190)는 급수 조작부(116,117)로부터 상기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밸브(173,174)를 개방한다(S2). 컨트롤러(190)는 냉수 급수 조작부(116)로부터 상기 냉수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냉수 급수밸브(173)를 개방하고, 온수 급수 조작부(117)로부터 상기 온수 급수신호가 입력되면 온수 급수밸브(174)를 개방한다.
사용자는 싱크 보울(120)의 수용공간(121)에 원하는 만큼의 세탁수가 채워지면, 급수 조작부(116,117)를 다시 한번 조작하여 단수신호를 생성시킨다. 이리하면, 급수 조작부(116,117)에서 생성된 상기 단수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S3).
컨트롤러(190)는 급수 조작부(116,117)로부터 상기 단수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밸브(173,174)를 닫는다(S4).
이후, 사용자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를 조작하여 세탁코스 신호를 생성시키고, 리드(140)를 닫는다. 이리하면, 세탁코스 조작부(115)에서 생성된 상기 세탁코스 신호는 컨트롤러(190)로 입력된다(S5).
컨트롤러(190)는 세탁코스 조작부(115)로부터 상기 세탁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수류생성기(123)를 구동시킨다(S6).
이후, 컨트롤러(190)는 수류생성기(123)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7). 컨트롤러(190)는 수류생성기(123)의 구동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미만이면 수류생성기(123)를 계속 구동시킨다(S6). 또한, 컨트롤러(190)는 수류생성기(123)의 구동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이상이면 수류생성기(123)를 정지키고, 배수밸브(182)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83)를 구동시킨다(S8).
본 세탁부(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세탁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세탁부의 드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세탁부의 터브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세탁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1)과, 캐비닛(211) 내로 포가 출입하도록 캐비닛(211)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212)와, 캐비닛(211)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211)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222)와, 터브(222)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224)과, 드럼(224)에 토크를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드럼모터(2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233)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며 세탁기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214)을 포함한다.
캐비닛(211)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출입홀(211a)이 형성된다. 캐비닛(211)에는 포출입홀(21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2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비닛(211)에는 컨트롤패널(214)이 구비된다. 캐비닛(211)에는 세제박스(2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222)는 캐비닛(211) 내부에 스프링(215) 및 댐퍼(2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2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222)는 드럼(224)의 외부에 드럼(224)를 감싸며 배치된다.
터브(222)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터브본체(222a)와, 터브본체(222a)의 전방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전면터브커버(222b)와, 터브본체(222a)의 후방에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후면터브커버(222c)를 포함한다. 이하, 전방은 도어(212) 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드럼모터(213)측을 의미한다.
전면터브커버(222b)에는 터브홀(222d)이 형성된다. 터브홀(222d)은 드럼(224) 내부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출입홀(211a)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드럼모터(213)는 후면터브커버(222c)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한다. 드럼모터(213)는 회전축(216)과 연결되어 드럼(224)을 회전시킨다. 드럼모터(213)는 드럼(2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모터(213)는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미도시)와, 코일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한다.
회전축(216)은 드럼모터(213)와 드럼(224)을 연결한다. 회전축(216)은 드럼모터(213)의 회전력을 드럼(224)에 전달하여 드럼(224)을 회전시킨다. 회전축(216)의 일단은 드럼(224) 후방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며, 타단은 드럼모터(213)의 회전자(미도시)와 결합된다.
드럼(224)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224)은 터브(222)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224)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2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드럼(224)은 드럼모터(2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드럼(224)의 전방에는 드럼홀(224a)이 형성된다. 드럼홀(224a)은 드럼(224) 내부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출입홀(211a) 및 터브홀(222d)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드럼(224)의 전방 테두리에는 전방 가이드레일(225)이 결합되고, 드럼(224)의 후방 테두리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이 결합된다.
개스킷(228)은 터브(222)와 캐비닛(2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228)은 터브(222)의 입구와 포출입홀(211a)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228)은 드럼(224)의 회전시 도어(2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2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228)에는 드럼(2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노즐(227)이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233)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233)는 캐비닛(2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2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222) 내로 유입된다.
캐비닛(211)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밸브(231)와, 급수밸브에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233)로 흐르는 급수유로(232)와, 세제박스(2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222) 내로 유입하는 급수관(2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211) 내부에는 터브(2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235)과,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236)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237)와, 세탁수가 드럼(224) 내로 유입하는 순환노즐(227)과,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유로(2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236)는 순환 펌프와 배수 펌프로 구비되어 각각 순환유로(237)와 배수유로(238)로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235)에는 터브(222)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22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기(221)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전극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으로 수위를 측정한다.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은 드럼(224)의 전방 가이드레일(225)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은 후방 가이드레일(226)을 따라 이동하여 드럼(224)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킨다. 이 때, 드럼(224)의 무게 중심이란 드럼(224) 자체의 무게 중심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드럼(224)과, 드럼(224)의 회전시 드럼(224)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224)에 수용된 포, 전방 가이드레일(225), 후방 가이드레일(226),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및 기타 드럼(224)에 부착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체들의 공통 무게 중심을 의미한다.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은 드럼(224) 전방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고,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10)은 드럼(224) 후방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여, 포가 편중된 경우 드럼(224)의 무게 중심을 조정한다. 포가 편중되어 드럼(224)이 회전하는 경우, 드럼(224)의 회전축(216)(회전중심) 자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실제 드럼(224)의 무게 중심이 불일치를 하는 언밸런스(unbalance)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은 드럼(224)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216)에 근접하도록 하여 드럼(224)의 언밸런스를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은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으로 2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은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과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으로 2개가 구비된다.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은 전방 가이드레일(225)을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은 후방 가이드레일(226)을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한다. 능동적 이동이란 자체 동력에 의하여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또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이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방 가이드레일(225)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이 이동하는 통로이고, 후방 가이드레일(226)은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전방 가이드레일(225)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럼(224)의 전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후방 가이드레일(226)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럼(224)의 후단 테두리에 결합된다. 전방 가이드레일(225) 및 후방 가이드레일(226) 각각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이 이탈되지 않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가이드레일(225)에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방 가이드레일전선(225a)이 구비되고, 후방 가이드레일(226)에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전력을 전달하는 후방 가이드레일전선(226a)이 구비된다. 전방 가이드레일전선(225a) 및 후방 가이드레일전선(226a)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연결된다.
터브(222)에는 터브(222)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진동감지센서(229)가 구비된다. 드럼(224)의 언밸런스에 의한 진동은 회전축(216)에 의하여 터브(222)에 전달되어 터브(222)의 진동을 유발한다. 복수의 진동감지센서(229)는 터브(222)의 진동량을 감지하여 드럼(224)의 언밸런스 정도를 측정한다.
복수의 진동감지센서(229)는 터브(222)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동감지센서(229)는 터브본체(222a)에 구비되어 캐비닛(211)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동감지센서(229)는 캐비닛(211)과 터브(222) 사이 거리의 변위를 통하여 진동량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동감지센서(229)는, 터브본체(222a)의 전방에 배치되어 터브(222) 전방의 진동량인 전방 진동량을 감지하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와, 터브본체(222a)의 후방에 배치되어 터브(222) 후방의 진동량인 후방 진동량을 감지하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2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동작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와, 본 세탁부(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은, 차체(201), 몸체(202), 바퀴(203), 모터(204), 접촉단자(205) 및 브레이크(206)를 포함한다.
차체(201)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퀴(203), 몸체(202), 모터(204) 등 다른 요소가 결합된다. 차체(201)는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의 형상에 맞추어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2)는 질량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중량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라, 바퀴(203)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이 이동 가능하도록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을 따라 구른다. 바퀴(203)는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퀴(203)는 모터(204)에 의하여 회전한다. 바퀴(203)는 실시예에 따라 기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니언 기어 또는 웜 기어가 될 수 있다. 또한, 바퀴(203)가 기어로 대체될 경우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에는 랙 기어 또는 웜 휠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204)는 바퀴(203)를 회전한다. 모터(204)는 접촉단자(205)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접촉단자(205)는 전방 가이드레일전선(225a)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전선(226a)과 접촉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모터(204)에 전달한다. 접촉단자(205)는 전방 가이드레일전선(225a)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전선(226a)과 접촉을 유지하고 전력손실이 없도록 마찰력이 낮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206)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이 가이드 레일(225)의 특정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은 드럼(224)과 함께 회전하므로,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이 자유 회전할 수 없도록 브레이크(206)가 필요하다. 브레이크(206)는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에 마찰력을 가하여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각각을 전방 가이드레일(225) 또는 후방 가이드레일(226)에 고정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세탁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290)는 컨트롤패널(214)가 입력 받은 동작 명령에 따라 본 세탁부(200)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본 세탁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및 저장장치, 기타 전자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에 따라 각 행정의 진행 여부나 각 행정 내에서의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및 건조 등의 동작 여부 및 시간, 반복 횟수 등을 결정하여, 급수밸브(231), 드럼모터(213) 및 펌프(236)를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세탁초기시 측정된 포의 무게인 포량 및 수위감지기(221)가 측정한 터브(222)의 수위에 따라 급수밸브(231), 드럼모터(213) 및 펌프(236)를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에 따라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 및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을 제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세탁부의 탈수 진입 및 탈수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세탁부의 탈수 진입 및 탈수시 밸런싱유닛에 대한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헹굼>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포가 상승한 뒤 드럼(224)의 내주면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도록 드럼(224)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헹굼을 수행한다(S201). 헹굼은 1G 이하의 원심력을 가지는 회전속도로 드럼(224)을 회전하여 포의 잔류세제 및 오염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제어부(290)는 펌프(236)를 제어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순환하여 순환노즐(227)를 통하여 드럼(2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다. 헹굼시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이 46RPM으로 일정기간 회전하고 정지한 후 다시 46RPM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한다.
<밸런싱유닛 정렬>
제어부(290)는 헹굼의 종반에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또는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이동하여, 드럼(224)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사이각이 180도가 되도록 하고,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 및/또는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을 이동하여, 드럼(224)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한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과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의 사이각이 180도가 되도록 한다(S202). 이 때,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이 1G 이하의 원심력을 가지는 회전속도인 46RPM으로 일정기간 회전하고 정지한 후 다시 46RPM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여 헹굼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은 모두 전방 가이드레일(225)을 따라 이동하거나, 어느 하나가 멈춘 상태에서 다른 하나가 전방 가이드레일(225)을 따라 이동하여, 도 14의 (a)와 같이 드럼(224)의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한 사이각이 180도가 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 및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은 모두 후방 가이드레일(226)을 따라 이동하거나, 어느 하나가 멈춘 상태에서 다른 하나가 후방 가이드레일(226)을 따라 이동하여, 도 14의 (a)와 같이 드럼(224)의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한 사이각이 180도가 되도록 한다.
제어부(290)는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사이각이 180도가 되도록 하고,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과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의 사이각이 180도가 되도록 하여, 후술할 1차 러프밸런싱에서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의한 언밸런스를 최소화한다.
<배수>
제어부(290)는 펌프(236)를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한다(S203). 제어부(290)는 배수시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의 가속과 감속을 반복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위감지기(221)가 측정한 터브(222)의 수위가 탈수를 위한 탈수수위까지 낮아지면 펌프(236)의 동작을 멈추어 배수를 중단한다.
<포분산>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가속하였다가 감속하는 것을 반복하며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또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을 통하여 터브(222)의 진동량을 감지한다(S204).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포가 드럼(224) 내주면에 붙기 시작하는 회전속도인 80RPM으로 드럼(224)을 가속한 후 감속하는 것을 반복하여 포분산을 수행한다. 포분산은 1G 정도의 원심력을 가지는 회전속도로 드럼(224)을 가속한 후 감속하여 드럼(224) 내의 포가 한 곳에 편중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는 것이다.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또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는 드럼(224)이 가속과 감속을 반복할 때 터브(222)의 진동량을 측정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또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탈수진입진동량을 넘는 경우 드럼(224)의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계속하여 포분산을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또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탈수진입진동량을 넘지 않는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포는 드럼(224)의 후방에 집중되어 배치되는 바 터브(222) 전방의 진동량보다 터브(222) 후방의 진동량이 더 크게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탈수진입진동량을 넘지 않는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1차 러프밸런싱>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포가 드럼(224) 내주면에 붙기 시작하는 회전속도인 80RPM으로 회전하며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1차 러프밸런싱을 수행한다(S205). 1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펌프(236)를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90)는 드럼(224)이 1G 정도의 원심력을 가지는 회전속도인 8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모터(213)를 제어한다. 드럼(224)이 8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1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직접 밸런싱을 수행한다.
직접 밸런싱은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이동하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하는 것이다. 이 때,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다.
이하, 도 14의 (b) 및 (c)를 참조하여, 직접 밸런싱에 대하여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예로 설명한다.
제어부(290)는 도 14의 (b)와 같이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줄어들 때까지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늘어나면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동일한 반대쪽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이동을 멈춘다.
제어부(290)는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최소가 되게 한 후, 도 14의 (c)와 같이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줄어들 때까지 드럼(224)의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사이각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이동하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늘어나면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사이각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이동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이동을 멈춘다.
제어부(290)는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최소가 되게 한 후, 다시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 및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최소가 되게 하는 것을 반복한다.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직접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 및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직접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먼저 수행한 후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브(222) 전방의 진동량보다 터브(222) 후방의 진동량이 더 크게 발생하므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먼저 수행하고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수행한다.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이 완료된 후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의 수행할 때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의 이동으로 인하여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중 어느 한 쪽의 복수의 밸런싱유닛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완료한 경우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거나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큰 경우 다른 쪽의 복수의 밸런싱유닛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수행한다. 즉,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 중 어느 한 쪽의 복수의 밸런싱유닛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완료하였을 때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으면,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의 반복을 중단한다.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반복하여 수행하되 그 반복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정지하고 상술한 포분산을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으면 제어부(290)는 드럼(224)을 가속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2차 러프밸런싱>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포가 드럼(224) 내주면에 붙어 회전하는 회전속도인 150RPM으로 회전하며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2차 러프밸런싱을 수행한다(S206). 2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펌프(236)를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90)는 드럼(224)이 1G 초과의 원심력을 가지는 회전속도인 15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모터(213)를 제어한다. 드럼(224)이 15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2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상술한 직접 밸런싱을 수행한다.
2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이동하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한다. 이 때,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다. 또한,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고,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다.
2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상술한 1차 러프밸런싱시의 직접 밸런싱과 동일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으면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과도 밸런싱>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350RPM까지 가속하며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를 통하여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을 측정하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과도진동량을 넘거나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과도진동량을 넘는 경우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과도 밸런싱을 수행한다(S207).
드럼(224)이 150RPM에서 350RPM까지 가속하는 동안 본 세탁부(200)는 바닥면과의 공진으로 인하여 큰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진은 바닥면의 고유진동수와 본 세탁부(200)의 진동수가 일치하거나 배수관계일 때 일시적으로 발생하므로 매우 심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드럼(224)을 350RPM까지 가속하고 매우 심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과도 밸런싱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전방 과도진동량을 넘지 않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후방 과도진동량을 넘지 않으면 드럼(224)을 350RPM까지 가속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도 밸런싱을 수행한다. 이 때, 전방 과도진동량은 후방 과도진동량보다 크다. 또한, 전방 과도진동량은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고, 후방 과도진동량은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다.
과도 밸런싱은 드럼(224)의 가속 중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전방 과도진동량을 넘거나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후방 과도진동량이 넘으면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하여 상술한 직접 밸런싱을 수행하는 것이다.
과도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과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이동하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과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한다. 이 때, 후방 과도밸런싱진동량은 전방 과도밸런싱진동량보다 크다. 또한, 전방 과도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전방 과도진동량보다 작지만 상술한 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거나 같고, 후방 과도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후방 과도진동량보다 작지만 상술한 후방 2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거나 같다.
과도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상술한 1차 및 2차 러프밸런싱시의 직접 밸런싱과 동일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과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과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드럼(224)의 회전속도가 350RPM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3차 러프밸런싱>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350RPM으로 회전하며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3차 러프밸런싱을 수행한다(S207). 3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펌프(236)를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224)이 35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3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상술한 직접 밸런싱을 수행한다.
3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이동하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한다. 드럼(224)의 회전속도가 350RPM을 넘어가면 작은 언밸런스에도 갑작스러운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작고, 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후방 1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작다. 또한, 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은 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크거나 같다.
3차 러프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상술한 1차 및 2차 러프밸런싱시의 직접 밸런싱과 동일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으면 제어부(290)는 드럼(224)을 가속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1차 파인밸런싱>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460RPM으로 회전하며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1차 파인밸런싱을 수행한다(S207). 1차 파인밸런싱시 제어부(290)는 펌프(236)를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224)이 46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1차 파인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상술한 직접 밸런싱과 교정 밸런싱을 수행한다.
드럼(224)의 회전속도를 600RPM 이상으로 회전할 때 포에 함유된 세탁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드럼(224)의 무게 중심이 변화됨에 따라 언밸런스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224)의 회전속도가 460RPM을 넘어가면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은 모터(204)에 의한 능동적 이동을 할 수 없어 밸런싱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드럼(224)이 600RPM 이상으로 회전할 때(후술할 "물빼기" 구간) 포의 함수율 저하에 따른 언밸런스 변화를 예측하여 밸런싱을 수행하는 교정 밸런싱을 460RPM에서 수행한다.
1차 파인밸런싱의 직접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이동하고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도록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한다. 드럼(224)의 회전속도가 350RPM을 넘어가면 작은 언밸런스에도 갑작스러운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작고, 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은 상술한 후방 3차러프밸런싱진동량보다 작다. 또한, 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은 전방 파인밸런싱진동량보다 크거나 같다.
1차 파인밸런싱의 직접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상술한 러프밸런싱시의 직접 밸런싱과 동일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90)는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파인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파인밸런싱진동량과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에 대한 직접 밸런싱과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에 대한 직접 밸런싱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가 측정한 터브(222)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고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가 측정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이 기설정된 전방 파인밸런싱진동량을 넘지 않으면 제어부(290)는 교정 밸런싱을 수행한다.
교정 밸런싱은 드럼(224)이 600RPM 이상으로 회전할 때 포의 함수율 저하에 따른 언밸런스 변화를 예측하여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하는 것이다. 교정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포의 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함수율 변동을 적용하여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이동한다. 제어부(290)는 사용자가 포의 종류에 따라 설정한 세탁 코스에 따라 포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세탁초기시 측정된 포의 무게인 포량과 1차 내지 3차 밸런싱을 수행하며 측정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터브(222)의 후방 진동량으로부터 포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포의 종류에 따른 함수율 변동으로 인한 언밸런스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산출하고 이러한 언밸런스 변화에 따른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의 사이각의 변동값인 전방 1차변동값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의 사이각의 변동값인 후방 1차변동값을 산출하여 저장한다.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사이각을 기설정된 전방 1차변동값만큼 변동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과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의 사이각을 기설정된 후방 1차변동값만큼 변동한다.
일반적으로 드럼(224)이 600RPM 이상으로 회전할 때 포의 함수율은 낮아지게 되므로 전방 1차변동값 및 후방 1차변동값은 그 사이각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1차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의 사이각을 전방 1차변동값만큼 늘리고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의 사이각을 후방 1차변동값만큼 늘린다.
1차 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이 완료되면 제어부(290)는 드럼 모터(204)를 제어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포의 종류 및 세탁코스에 따라 1차 파인밸런싱시 상술한 교정 밸런싱은 생략될 수 있다.
<1차 물빼기>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950RPM까지 가속하여 포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전방 진동감지센서(229a) 및 후방 진동감지센서(229b)를 통하여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을 측정하는 1차 물빼기를 수행한다(S210). 1차 물빼기시 제어부는 펌프(236)를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한다.
1차 물빼기시 측정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은 후술할 2차 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시 이용된다.
제어부(290)는 드럼(224)의 회전속도가 950RPM에 도달하며 드럼(224)의 회전속도를 수초간 유지한 후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고속포량감지>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제동하여 포의 무게인 포량을 감지한다(S211).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제동한 후 드럼(224)이 기설정된 회전속도(본 실시예에서 500RPM)까지 감속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감속시간이 길수록 포의 무게가 많아 포량의 레벨이 높다. 실험을 통하여 감속시간과 포량의 관계를 저장하고 제어부(290)는 이를 통하여 포량을 산출한다. 제어부(290)는 감지된 포량에 따라 후술한 2차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과 2차 물빼기를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포량감지 후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460RPM으로 회전하며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2차 파인밸런싱>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460RPM으로 회전하며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2차 파인밸런싱을 수행한다(S212). 드럼(224)이 460RPM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2차 파인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제어하여 상술한 직접 밸런싱과 상술한 교정 밸런싱을 수행한다.
2차 파인밸런싱시 직접 밸런싱은 1차 파인밸런싱시 직접 밸런싱과 완전히 동일한 바 설명을 생략한다.
2차 파인밸런싱시 교정 밸런싱은 1차 파인밸런싱시 교정 밸런싱의 목적과 동일한다. 그러나, 2차 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시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의 사이각의 변동값인 전방 2차변동값 및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의 사이각의 변동값인 후방 2차변동값을 1차 물빼기시 측정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과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에 따라 설정한다. 후술할 2차 물빼기시 드럼(224)은 매우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므로 작은 언밸런스 변화에도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 정교한 교정 밸런싱이 요구된다.
포의 종류에 따른 함수율 변동과 더불어 1차 물빼기시 측정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과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에 따라 전방 2차변동값 및 후방 2차변동값을 산출하여 저장한다.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전방 밸런싱유닛(210a)과 제 2 전방 밸런싱유닛(210b)의 사이각을 기설정된 전방 2차변동값만큼 변동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후방 밸런싱유닛(220a)과 제 2 후방 밸런싱유닛(220b)의 사이각을 기설정된 후방 2차변동값만큼 변동한다.
전방 2차변동값 및 후방 2차변동값은 포의 함수율뿐만 아니라 1차 물빼기시 측정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과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을 고려하여 설정되므로 그 사이각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1차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시 제어부(290)는 복수의 전방 밸런싱유닛(210)의 사이각을 전방 1차변동값만큼 늘리거나 줄이고 복수의 후방 밸런싱유닛(220)의 사이각을 후방 1차변동값만큼 늘리거나 줄인다.
2차 파인밸런싱의 교정 밸런싱이 완료되면 제어부(290)는 드럼 모터(204)를 제어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포의 종류, 세탁코스,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 1차 물빼기시 측정된 터브(222)의 전방 진동량 및 후방 진동량에 따라 2차 파인밸런싱시 상술한 교정 밸런싱은 생략될 수 있다.
<2차 물빼기>
제어부(290)는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최대회전속도까지 가속한 후 드럼(224)을 최대회전속도로 유지하며 포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2차 물빼기를 수행한다(S213). 드럼(224)의 회전속도가 1000RPM을 넘을 때 본 세탁부(200)와 바닥면 간의 공진이 발생하므로 제어부(290)는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에 따라 최대회전속도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90)는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고속포량보다 낮은 경우 최대회전속도를 1060RPM으로 설정하고 고속포량감지시 측정된 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고속포량보다 높은 경우 최대회전속도를 1010RPM으로 설정한다. 2차 물빼기시 제어부는 펌프(236)를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터브(222) 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2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한다.
제어부(29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럼(224)을 최대회전속도로 유지하며 회전한 후 드럼모터(213)를 제어하여 드럼(224)을 제동한 후 탈수를 종료한다.
건조부(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건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면, 케이싱(310)은 건조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드럼(304)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310)은 전면 패널(311), 우측판(312), 좌측판(313), 베이스(314), 탑플레이트(316) 및 백 패널(31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4)는 대략 수평한 판체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전면 패널(311), 우측판(312), 좌측판(313) 및 백 패널(315)이 설치된다. 전면 패널(311), 우측판(312), 좌측판(313), 탑플레이트(316) 및 백 패널(315)은 각각 케이싱(310)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상면 및 배면을 구성한다.
전면 패널(311)에는 투입구(311h)가 형성될 수 있고, 투입구(311h)를 여닫는 도어(3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320)는 전면 패널(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321)과 도어 프레임(321)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21)은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도어 글래스(3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글래스(322)는 사용자가 드럼(304)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지며, 드럼(304)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
전면 패널(3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317)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7)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싱(310) 내에는 드럼(30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310) 내에는 드럼(304)을 회전시키기 위한 메인 모터(324)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4)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전면은 투입구(311h)와 연통되어 있다.
드럼(304)의 내주면에는, 의류를 퍼 올리기 위한 리프터(306)가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306)는 드럼(304)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프터(306)는 드럼(304)의 내주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4)이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306)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된다.
케이싱(310) 내에는 드럼(30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서포터(305)와 후방 서포터(308)가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서포터(305)와 후방 서포터(308)는 각각 드럼(304)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한다. 전방 서포터(305)와 후방 서포터(308)에는 링 형태의 돌기 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4)의 전단 또는 후단이 상기 가이드와 맞물림으로써, 드럼(304)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방 서포터(305)와 후방 서포터(308)에는 각각 드럼(304)을 지지하는 롤러(319)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4)의 외주면이 롤러(319)와 접촉될 수 있다.
브래킷(329)은 베이스(314) 상에 고정되고, 메인 모터(324)는 브래킷(32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메인 모터(324)는 드럼(304)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송풍팬(32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메인 모터(324)는 양축 모터로써, 송풍팬(326)과 결합되는 제 1 구동축(324a)과, 드럼(304)에 감긴 밸트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갖는 제 2 구동축(32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328)가 브래킷(329)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트는 상기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328)에 걸린 상태로 다시 드럼(30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메인 모터(324)의 구동 시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상기 밸트가 이송되고, 상기 밸트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304)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송풍팬(326)은 메인 모터(32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송풍팬(326)의 회전에 의해, 드럼(304) 내의 공기가 흡기덕트(331) 내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전방 서포터(305)에는 입구(305h) 하측에 드럼(304) 내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는 통로(미도시)가 형성되고, 흡기덕트(331)는 상기 통로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송풍팬(326)으로 안내한다.
송풍팬(326)의 회전 시, 드럼(30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기덕트(331)에 의해 안내되어 송풍팬(326)으로 공급된다. 흡기덕트(331)는 전방 서포터(305)의 전면에 결합되며, 송풍팬(326)의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송풍팬(326)은 메인 모터(324)의 제 1 구동축(324a)에 결합된 원심팬(326a)과, 원심팬(326a)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326b)을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326b)은 흡기덕트(331)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원심팬(326a)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외기와 연통된 배기덕트(343)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동기가 배기덕트(343)를 통해 케이싱(3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전방 서포터(305)에는 필터 어셈블리(318)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18)는, 드럼(30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린트(lint)를 채집한다. 필터 어셈블리(318)는 전방 서포터(305)에 고정되는 필터 케이스(318a, 318b)와, 필터 케이스(318a, 318b)에 착탈되는 린트 필터(318c)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8a, 318b)는 린트 필터(318c)가 수용되는 공간(이하, "수용공간"이라고 함.)을 형성하고, 수용공간 내로 린트 필터(318c)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는 필터 삽입구가 형성된다. 린트 필터(318c)는 상기 필터 삽입구를 통해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거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8a, 318b)는 전면 케이스(318a)와 후면 케이스(318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318a)는 전방 서포터(305)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318b)는 전면 케이스(318a)의 배면에 결합되어, 전면 케이스(318a)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 케이스(318b)에는 드럼(304) 내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릴(318e)이 형성될 수 있다.
린트 필터(318c)는 미세한 소공을 갖는 망사 구조의 필터 스크린(318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318e)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 스크린(318d)에 의해 걸러진 후, 전방 서포터(305)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흡입덕트(331)로 안내된다.
후면 케이스(318b)에는 전극 센서(358, 도 18 참조.)가 구비될 수 잇다. 전극 센서(358)는 서로 이격된 양극과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과 음극은 드럼(304) 내로 노출되어 있다. 드럼(304)의 회전 시 의류가 상기 양극과 음극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양 전극이 도통됨으로써 폐쇄 회로가 구성된다. 이때, 의류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기 때문에, 상기 회로에 흐르는 전류값이 달라지고,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류값을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건조도를 구할 뿐만 아니라,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310) 내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42)가 구비될 수 있다. 후방 서포터(308)에는 급기구(308h)가 형성되고, 드럼(304) 내부는 급기구(308h)를 통해 급기덕트(327)와 연통되어 있다.
급기덕트(327)는 케이싱(310) 내부의 공기를 드럼(304) 내로 안내하는 것으로써, 송풍팬(326)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304) 내에 부압이 작용하면, 히터(342)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급기덕트(327)의 입구(327a)로 유입된 후, 출구(327b)를 통해 드럼(304) 내로 공급된다.
도 17은 도 15의 건조부를 내부가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절개한 도면 (내부 구조가 잘 보이도록, 케이싱을 포함한 외형은 연한 선으로 도시하고, 우측판은 제거하였음.), 도 18은 바스켓이 설치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19는 바스켓과 케이싱의 결합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21은 도 18의 B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건조부(300)는 드럼(304)과 별도로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350a)을 포함한다. 바스켓(350a)은 케이싱(310)에 착탈될 수 있다. 건조하고자 하는 의류 중의 일부를 분리하여 건조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바스켓(350a)을 설치하고, 그 안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바스켓(350a)에 의해 형성된 공간(즉,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드럼(304)의 내측에 위치되고, 바스켓(350a)에는 드럼(304) 내로 공급된 열풍이 상기 공간 내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통공(352h)이 형성된다.
바스켓(350a)은 전면 패널(31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350a)은 전면 패널(311)에 형성된 투입구(311h)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바스켓(350a)은 의류가 투입되는 입구가 전방에 위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은 드럼(304)의 내측에 위치된다. 바스켓(350a)의 입구는 도어(320)에 의해 여닫아진다. 도어(3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글래스(322)는 바스켓(350a)의 내측까지 삽입된다.
바스켓(350a)은 의류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플랜지(351)와, 플랜지(351)로부터 함몰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기(3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통공(352h)은 수용기(352)에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350a)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플랜지(351)는 전면 패널(311)과 접하고, 수용기(352)는 드럼(304)의 내측에 위치된다.
수용기(352) 내의 공간을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으로 구획하는 바스켓 커버(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 커버(360)는 바스켓(350a)과 분리된 별도의 부재이며, 바스켓(350a) 내로 삽입되거나 바스켓(350a)의 외측으로 인출이 가능하다. 수용기(352)에 의류를 투입하고 바스켓 커버(360)를 삽입한 후, 도어(320)를 닫으면, 바스켓 커버(360)의 후방(즉, 후방영역)에는 의류가 위치하고, 전방(즉, 전방영역)에는 도어 글래스(322)가 수용된다. 도어(320)를 개방하더라도, 바스켓 커버(360)에 의해 수용기(352) 내의 의류가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스켓 커버(360)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이 다소간의 변형이 형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바스켓 커버(360)는 수용기(352)를 여닫도록, 바스켓(35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바스켓(350a)은 수용기(352)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35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전단은 플랜지(351)와 연결되어 있다.
바스켓(350a)에는 플랜지(351)의 후방에 투입구(311h)의 둘레가 삽입되는 착탈 홈(531, 도 20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51)는, 착탈 홈(353a) 내에 투입구(311h)의 둘레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면 패널(311)과 밀착될 수 있다.
착탈 홈(353a)은 리브(353)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353)는 투입구(311h)의 둘레보다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 착탈 홈(353a)의 입구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353)가 투입구(311h)의 둘레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로 인해, 바스켓(350a)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투입구(311h)의 둘레가 리브(353)와 간섭될 수 있다. 그러나, 리브(353)가 합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리브(353)를 포함하는 바스켓(350a)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투입구(311h)의 둘레와 간섭될 시 다소간의 변형이 이루어져, 착탈 홈(353a) 내로 투입구(311h)의 둘레가 삽입될 수 있다.
리브(353)는 착탈 홈(353a)의 입구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수용기(352)와 접근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53b)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경사면(353b)은 수용기(352)와 만나는 부분에 이르기까지 경사를 이루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착탈 홈(353a)의 입구로부터 연장된 소정의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투입구(311h)로부터 바스켓(350a)을 탈거할 시, 투입구(311h) 둘레가 착탈 홈(353a)으로부터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착탈 홈(353a)의 입구에서 경사면(353b)이 시작되는 부분은, 리브(353)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바스켓(350a)을 투입구(311h) 내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투입구(311h)의 둘레가 경사면(353b)과 접촉되나, 바스켓(350a)을 계속하여 밀면 착탈 홈(353a)이 투입구(311h)의 둘레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게 되고, 투입구(311h)의 둘레가 착탈 홈(353a) 내로 삽입된다.
한편, 전면 패널(311)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패널(31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금속판재에 투입구(311h)와 대응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케이싱(310)의 내측으로 컬링(curling)함으로써, 투입구(311h)의 둘레를 따라 햄(hem, 112)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서포터(305)의 입구(5h)를 통해, 투입구(311h)와 드럼(304)의 입구가 연통된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입구(305h) 내에 투입구(311h)가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햄(311a)이 입구(305h) 내에 위치된다.
리브(353)는 수용기(352)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수용기(352)의 상측부와, 좌측부, 우측부에 각각 리브(353)가 형성되고, 각 리브(353)에 형성된 착탈 홈(353a)에 햄(121)이 끼워져, 바스켓(350a)의 상측, 좌, 우측 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제지되나, 리브(353)의 위치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바스켓(350a)은 수용기(352)로부터 연장되고, 그릴(318e)에 걸리는 앵커(3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릴(318e)의 구멍은 후방을 향해 개구되고, 앵커(354)는 그릴(318e)의 후방에서,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후크(354a)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350a)은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350a)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앵커(354)가 그릴(318e)에 걸려 있기 때문에, 투입구(311h) 내에서 바스켓(350a)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354)는 둘 이상이 형성되며, 바스켓(350a)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350a)을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바스켓(350a)을 투입구(311h) 내로 비스듬하게 삽입하여, 앵커(354)를 그릴(318e)에 건다. 이 상태에서, 바스켓(350a)을 수평하게 정렬하고, 투입구(311h) 내로 더 깊숙이 밀어 넣는다. 그 과정에서 투입구(311h)의 둘레를 이루는 햄(311a)이 리브(353)의 경사면(353b)과 간섭되게 되나, 바스켓(350a)을 더 깊숙이 밀어 넣으면, 간섭을 극복하고 착탈 홈(353a) 내에 햄(311a)이 삽입되고 바스켓(350a)의 장착이 완료된다.
다림질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다림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습 및 다림질 모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습유닛의 구성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제습 및 다림질 모듈에서 제1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제습 및 다림질 모듈에서 제2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다림질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2 내지 도 27를 참조하면, 다림질부(400)는 제습 및 다림질 모듈(410)과 건조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 및 다림질 모듈(410)은 실내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건조 모듈(420)은 실내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 및 다림질 모듈(410)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토출할 수 있고, 세탁물을 다림질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 모듈(420)은 옷걸이(421)가 걸리는 걸이부(422)를 가질 수 있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옷걸이(421)에 걸린 세탁물로 송풍할 수 있다. 옷걸이(421)에 걸린 세탁물은 건조 모듈(420)이 송풍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제습 및 다림질 모듈(410)은 캐비닛(411)과, 캐비닛(411) 내에 설치되는 제습유닛(412)과, 캐비닛(4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송풍유닛(413)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411)은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411)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어퍼 패널(4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패널(411a)은 캐비닛(411)의 상측면을 형성하고, 평평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411)의 상면은 제2 어퍼 패널(411a)로 인해 수평하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캐비닛(411)의 평평한 상면에 다리미판(1)을 놓은 후, 다리미판(1) 위에 세탁물을 놓아서 세탁물을 다림질할 수 있다.
캐비닛(411)의 개구된 전면에는 제1 수납장(414) 및 제2 수납장(415)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납장(414)은 제2 수납장(41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수납장(415)은 제1 수납장(4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납장(414)은 캐비닛(411)에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고, 제2 수납장(415)도 캐비닛(411)에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제1 수납장(414)은 개방되었을 시 캐비닛(4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닫혔을 시 캐비닛(411) 내의 빈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납장(415)도 개방되었을 시 캐비닛(41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닫혔을 시 캐비닛(411) 내의 빈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수납장(414)에는 다리미판(1)이 수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을 다림질하고자 할 경우 제1 수납장(414)을 개방한 후 제1 수납장(414)에서 다리미판(1)을 꺼내서 캐비닛(411)의 상면에 놓고 상기 세탁물을 다림질할 수 있다.
제2 수납장(415)은 제1 수납부(415a) 및 제2 수납부(4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부(415a) 및 제2 수납부(415b)는 제2 수납장(415)에 설치된 격벽(415c)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1 수납부(415a)에는 응축수통(2)이 수납될 수 있고, 제2 수납부(415b)에는 다리미(3), 스티머(4) 및 리무버(5) 중 적어도 하나가 수납될 수 있다.
응축수통(2)은 제습유닛(412)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시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용기일 수 있다.
다리미(3)는 전력을 열로 변환하여 세탁물을 다림질하는 기구일 수 있다. 다리미(3)는 스팀분사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다리미판(1) 위에 세탁물을 놓은 후 다리미(3)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다림질할 수 있다.
스티머(4)는 세탁물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세탁물을 다림질하는 기구일 수 있다. 사용자는 옷걸이(421)에 세탁물을 걸은 후 옷걸이(421)를 걸이부(422)에 걸어 놓은 채로, 스티머(4)로 세탁물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세탁물을 다림질 할 수 있다.
리무버(5)는 세탁물에서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떼어내는 기구이다. 사용자는 옷걸이(421)에 세탁물을 걸은 후 옷걸이(421)를 걸이부(422)에 걸어 놓은 채로, 리무버(5)를 세탁물에 대고 문질러서 세탁물에서 보푸라기를 떼어낼 수 있다.
캐비닛(411)의 상측에는 무선충전유닛(411c)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유닛(411c)은 내부에 무선충전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유닛(411c)은 상면이 캐비닛(4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유닛(411c)은 제2 어퍼 패널(411a)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리미(3), 스티머(4) 및 리무버(5)와 같은 다림질기구는 무선충전유닛(411c) 위에 놓여져서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다리미(3), 스티머(4) 및 리무버(5)에는 각각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무선충전코일과 전기적 반응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코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411)에는 흡입그릴(411b)이 설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411b)은 복수개의 공기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그릴(411b)은 공기흡입구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흡입구는 캐비닛(411)의 전면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캐비닛(411)의 전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공기흡입구는 캐비닛(411)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흡입그릴(411b)은 제2 수납장(415)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캐비닛(411)은 흡입그릴(411b)을 통해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제습유닛(412)은 캐비닛(411) 내에 배치되어, 흡입그릴(411b)을 통해 캐비닛(411) 내로 흡입된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제습유닛(412)은 냉매를 이용한 냉각사이클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습유닛(412)은 압축기(412a)와 응축기(412b)와 팽창기(412c)와 증발기(412d)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2a)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고, 응축기(412b)는 압축기(412a)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으며, 팽창기(412c)는 응축기(412b)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고, 증발기(412d)는 팽창기(412c)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증발기(412d)는 흡입그릴(411b)을 통해 캐비닛(411) 내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그릴(411b)을 통해 캐비닛(411) 내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서 제습할 수 있다. 증발기(412d)가 캐비닛(411) 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경우, 캐비닛(411) 내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냉각되어 응축수로 변하고 증발기(412d)에 맺힐 수 있다. 응축수통(2)은 증발기(412d)의 하측에 배치되어 증발기(412d)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압축기(412a) 및 응축기(412b)는 제1 냉매배관(412e)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412b) 및 팽창기(412c)는 제2 냉매배관(412f)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팽창기(412c) 및 증발기(412d)는 제3 냉매배관(412g)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412d) 및 압축기(412a)는 제4 냉매배관(412h)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412a), 제1 냉매배관(412e), 응축기(412b), 제2 냉매배관(412f), 팽창기(412c), 제3 냉매배관(412g), 증발기(412d) 및 제4 냉매배관(412h)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후 순환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은 제습유닛(412)에 의해 캐비닛(411) 내에서 제습된 공기를 캐비닛(411)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은 작동시 캐비닛(411) 내에서 인출될 수 있고, 정지시 캐비닛(4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은 작동시 캐비닛(411) 내에서 인출되어 캐비닛(41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은 정지시 캐비닛(411) 내로 삽입되어 상면이 캐비닛(411)이 상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411)의 상측에는 제1 송풍유닛(413)이 출입하는 출입홀(411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홀(411d)은 제2 어퍼 패널(411a)의 후단에 가깝게 형성되어, 제2 어퍼 패널(411a)은 출입홀(411d)의 전방부분이 다리미판(1)이 놓여질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가지게 된다.
제1 송풍유닛(413)은 케이스(413a)와, 제습유닛(412)에 의해 캐비닛(411) 내에서 제습된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412a) 내로 송풍하는 팬(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3a)에는 전면에 토출그릴(413c)이 설치될 수 있다. 토출그릴(413c)은 복수개의 공기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그릴(413c)은 공기토출구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팬(413b)이 송풍하는 상기 제습된 공기가 케이스(413a)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413a)의 하단은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413b)은 캐비닛(411)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팬(413b)은 증발기(412d)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413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413b)은 상하방향으로 케이스(413a) 및 증발기(412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413b)은 회전축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413b)은 회전되는 경우 증발기(412d)에서 제습된 캐비닛(41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413a) 내로 송풍할 수 있고, 케이스(413a)는 팬(413b)이 송풍하는 제습된 공기를 토출그릴(413c)를 통해 케이스(413a)의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케이스(413a)는 팬(413b)이 구동되는 경우, 제2 어퍼 패널(411a)에 형성된 출입홀(411d)을 통해 캐비닛(4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팬(413b)이 송풍하는 제습된 공기를 토출그릴(413c)을 통해 케이스(413a)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13a)는 팬(413b)이 정지되는 경우, 출입홀(411d)을 통해 캐비닛(4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413a)가 출입홀(411d)을 통해 캐비닛(41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케이스(413a)의 상측면은 제2 어퍼 패널(411a)의 상측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413b)이 구동되는 경우 케이스(413a)가 캐비닛(41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팬(413b)이 정지되는 경우 케이스(413a)가 캐비닛(4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413a)는 제2 어퍼 패널(411a)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건조 모듈(420)은 제2 송풍유닛(424)과, 제2 송풍유닛(424)에 설치된 걸이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유닛(424)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옷걸이(421)를 통해 걸이부(422)에 걸린 세탁물로 송풍할 수 있다. 세탁물은 제2 송풍유닛(424)이 송풍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이 토출하는 제습된 공기를 통해 세탁물 주변의 공기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제2 송풍유닛(424)이 토출하는 공기를 통해 상기 세탁물이 건조되므로, 상기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2 송풍유닛(424)은 공기흡입구(미도시) 및 공기토출구(미표기)가 형성된 하우징(미표기)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유닛(424)은 하측 후방부에 토출그릴(424)이 배치된다. 토출그릴(424)은 상기 공기토출구를 복수개 형성한다. 토출그릴(424)은 전단이 높이가 높고 후단은 높이가 낮게 경사져서 배치되어, 전방 하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은 걸이부(422)보다 후방 하측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해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풍유닛(424)은 걸이부(422)보다 후방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413)이 상기 세탁물의 하측으로 상기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고, 제2 송풍유닛(424)은 제1 송풍유닛(413)이 토출한 상기 제습된 공기가 있는 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송풍유닛(424)이 옷걸이(421)에 걸린 세탁물로 송풍한 공기는,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증기와 섞인 후, 제1 송풍유닛(413)이 토출한 제습된 공기와 만나게 됨으로써, 상기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림질부(400)는 습도센서(416)와 컨트롤러(4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센서(416)는 주변 공기의 습도값을 감지할 수 있다. 습도센서(416)가 감지한 상기 습도값은 컨트롤러(417)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417)는 습도센서(416)가 감지한 상기 습도값이 입력되면 상기 습도값을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컨트롤러(417)는 습도센서(416)로부터 입력된 상기 습도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제습유닛(412) 및 제1 송풍유닛(413)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17)는 습도센서(416)로부터 입력된 상기 습도값이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제습유닛(412) 및 제1 송풍유닛(413)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부(400)는 상기 세탁물을 건조할 시 상기 세탁물 주변의 습도에 따라 제습유닛(412) 및 제1 송풍유닛(413)이 자동으로 작동되고 비작동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옷걸이(421)를 통해 걸이부(422)에 걸린 세탁물 주변의 공기의 습도가 상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제습유닛(412) 및 제1 송풍유닛(413)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습도센서(416)는 옷걸이(421)를 통해 걸이부(422)에 걸린 세탁물과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습도센서(416)는 캐비닛(411)의 상측인 제2 어퍼 패널(411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0)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싱크 보울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세탁물을 애벌 세탁하는 애벌 세탁부;
    상기 애벌 세탁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애벌 세탁부에서 애벌 세탁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본 세탁, 헹굼 및 탈수하는 본 세탁부;
    상기 본 세탁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본 세탁부에서 탈수된 상기 세탁물이 전방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세탁물을 다림질하기 위한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다림질부;
    상기 본 세탁부 및 상기 건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제1 어퍼 패널;
    상기 다림질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 어퍼 패널; 및
    상기 애벌 세탁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상면이 상기 제1 어패패널의 상면 및 상기 제2 어퍼패널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벌 세탁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다림질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 사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 세탁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어퍼 패널의 전방 하측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건조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어퍼 패널의 전방 하측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벌 세탁부는,
    상기 싱크 보울 및 상기 리드가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
    상기 싱크 보울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수전; 및
    상기 싱크 보울 중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키는 수류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류생성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세탁수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수류를 형성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보울에는 상기 수전이 수용되는 수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은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리드가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측을 닫은 상태일 때 상기 수전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리드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전은,
    상기 수전 수용홈에 수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싱크 보울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리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배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에는 상기 수전이 상기 수전 수용홈에서 돌출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보울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측에 복수개의 세탁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보울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에 전후로 출입하고,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하는 서랍식 워셔;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림질부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어퍼 패널이 상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로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유닛에 의해 상기 캐비닛 내에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송풍유닛; 및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옷걸이가 걸리는 걸이부가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옷걸이에 걸린 세탁물로 송풍하는 제2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송풍유닛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송풍유닛은, 작동시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 내에서 인출되고, 정지시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 내로 삽입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유닛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제습유닛에 의해 상기 캐비닛 내에서 제습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케이스 내로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유닛은 상기 걸이부보다 후방 하측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해 상기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2 송풍유닛은 상기 걸이부보다 후방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와,
    상기 팽창기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로 가는 냉매를 증발시키고, 상기 캐비닛 내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무선충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다리미판이 수납되는 제1 수납장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제2 수납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납장에는 상기 제습유닛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통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장에는 다리미, 스티머 및 리무버 중 적어도 하나가 수납되는 제2 수납부가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에 걸린 상기 세탁물 주변 공기의 습도값을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습도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습유닛 및 상기 제1 송풍유닛을 구동시키고, 상기 습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습도값이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습유닛 및 상기 제1 송풍유닛을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70064246A 2017-05-24 2017-05-24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2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46A KR102322514B1 (ko) 2017-05-24 2017-05-24 세탁물 처리기기
US15/988,518 US10774461B2 (en) 2017-05-24 2018-05-2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8273438A AU2018273438B2 (en) 2017-05-24 2018-05-24 Laundry handling apparatus
CN201880050203.8A CN110998010B (zh) 2017-05-24 2018-05-24 洗涤物处理设备
EP18806880.3A EP3633092B1 (en) 2017-05-24 2018-05-24 Laundry handling apparatus
PCT/KR2018/005893 WO2018217029A1 (ko) 2017-05-24 2018-05-24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46A KR102322514B1 (ko) 2017-05-24 2017-05-24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46A true KR20180128746A (ko) 2018-12-04
KR102322514B1 KR102322514B1 (ko) 2021-11-04

Family

ID=6439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46A KR102322514B1 (ko) 2017-05-24 2017-05-24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4461B2 (ko)
EP (1) EP3633092B1 (ko)
KR (1) KR102322514B1 (ko)
CN (1) CN110998010B (ko)
AU (1) AU2018273438B2 (ko)
WO (1) WO2018217029A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517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제어방법
EP4206385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2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8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4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3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91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1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90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6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7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9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KR20230105504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13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78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1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5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0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2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2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7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3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66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9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4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3628B2 (en) * 2017-07-07 2021-07-06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ircuit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1371180B2 (en) * 2018-12-0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pray arm assembly
CN109722840B (zh) * 2019-02-01 2023-12-26 广东顺德博辰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浴室柜
CN112442826B (zh) * 2019-08-27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373855A (zh) * 2019-09-04 2019-10-25 安徽赛畅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干衣、熨烫一体机
US11814780B2 (en) 2021-07-09 2023-11-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 including induction ironing assembly
CN114645442B (zh) * 2022-02-28 2023-10-20 安徽荣事达智能家电家居有限公司 一种移动式蒸汽喷射装置及其衣物护理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310A (ja) * 1996-05-09 1997-11-25 Yokogawa Denshi Kiki Kk 食器洗浄機
US20050056059A1 (en) * 2003-09-15 2005-03-17 Boris Usherovich Top-load sink/laundry combo
KR100826205B1 (ko) * 2007-02-23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191204B1 (ko) * 2009-12-15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90825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US20150259845A1 (en) * 2004-10-22 2015-09-17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laund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1226A (en) * 1967-07-18 Laundry apparatus
US1814698A (en) * 1930-06-05 1931-07-14 Marie W Huber Combination laundry tray and washboard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031871A (en) * 1961-06-26 1962-05-01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having combination shelf and access arrangement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US5253493A (en) * 1992-02-18 1993-10-19 Shigeo Ohashi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KR100220751B1 (ko) 1997-08-12 1999-09-1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US6889449B2 (en) 2002-05-07 2005-05-10 Steve Silver Sanitizing cabinet for sports equipment
US20040168481A1 (en) * 2003-02-27 2004-09-02 Boris Usherovich Front-load sink/laundry combo
US20070151300A1 (en) * 2005-12-30 2007-07-05 Sunshine Richard A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 module spanning two laundry appliances
US20070151303A1 (en) * 2005-12-30 2007-07-05 Doyle Colleen M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having a functional element
KR100662364B1 (ko) 2004-11-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장치
US8033038B2 (en) * 2005-12-30 2011-10-11 Whirlpool Corporation Ironing station
PL1860227T3 (pl) * 2006-05-26 2011-12-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Aparat do obróbki wyrobu tekstylnego, mający ultradźwiękowy zespół czyszczący
KR101265598B1 (ko) * 2006-06-23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시스템
EP1925703B1 (en) * 2006-11-24 2010-01-20 CANDY S.p.A. Equipment for carrying out multiple operations on laundry articles
KR101366331B1 (ko) 2007-06-1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7826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시스템
KR101467752B1 (ko) 2007-11-2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35811B1 (ko) 2007-11-2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0547142C (zh) * 2008-01-18 2009-10-07 胡杰波 一种多功能集成的清洁器具一体机
KR20090115103A (ko) * 2009-09-25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식 세탁장치
KR20110084006A (ko) 2010-01-15 2011-07-21 최명갑 다리미판이 내장된 화장대
CN201670975U (zh) * 2010-06-07 2010-12-15 江门市汉宇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洗手功能的洗衣机
KR101392640B1 (ko) 2011-08-26 2014-05-07 박석조 이동용 입식 다기능 세면대
TW201338333A (zh) * 2011-12-06 2013-09-16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便攜式加熱應用之選擇性屏蔽
KR102146019B1 (ko) * 2013-08-01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2099179B1 (ko) 2013-12-05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50209B1 (ko) 2014-02-25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US20160102425A1 (en) 2014-10-09 2016-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appliance spray hose assembly
KR20160089669A (ko) * 2015-01-20 2016-07-28 (주)하나투자정보연구소 만능 옷장
KR102424696B1 (ko) * 2015-09-01 202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310A (ja) * 1996-05-09 1997-11-25 Yokogawa Denshi Kiki Kk 食器洗浄機
US20050056059A1 (en) * 2003-09-15 2005-03-17 Boris Usherovich Top-load sink/laundry combo
US20150259845A1 (en) * 2004-10-22 2015-09-17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laundry system
KR100826205B1 (ko) * 2007-02-23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191204B1 (ko) * 2009-12-15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90825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517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제어방법
EP4206385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2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8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4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3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91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1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90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6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7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EP4206389A1 (en)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KR20230105504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13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12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78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1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0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7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5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499A (ko)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0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5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0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1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8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4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2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2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1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7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3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3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66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9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4A (ko)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514B1 (ko) 2021-11-04
CN110998010A (zh) 2020-04-10
WO2018217029A1 (ko) 2018-11-29
CN110998010B (zh) 2022-03-11
US10774461B2 (en) 2020-09-15
EP3633092B1 (en) 2022-08-10
AU2018273438A1 (en) 2020-01-23
US20180340288A1 (en) 2018-11-29
EP3633092A4 (en) 2021-04-28
EP3633092A1 (en) 2020-04-08
AU2018273438B2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8746A (ko) 세탁물 처리기기
AU2005203177B2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133203B1 (en) Clothes dryer
JP5452802B2 (ja) 洗濯乾燥機
US112800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0998016B (zh) 洗涤物处理设备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US11021832B2 (en) Detergent box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CN109629168B (zh) 洗涤干燥机
JP6609442B2 (ja) 自動洗濯機
JP5599932B2 (ja) 洗濯乾燥機
KR102373024B1 (ko) 의류 건조기
JP2013188332A (ja) 洗濯機
JP2021142178A (ja) 洗濯乾燥機
KR20240076648A (ko) 의류처리시스템
KR20240075644A (ko) 의류처리시스템
KR2024007664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시스템
KR20240075636A (ko) 의류처리시스템
KR20210122718A (ko) 의류처리장치
JP5600608B2 (ja) 洗濯乾燥機
JP2014064727A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895949B2 (ja) 洗濯機
JP2008264129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