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103A - 드럼식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103A
KR20090115103A KR1020090091053A KR20090091053A KR20090115103A KR 20090115103 A KR20090115103 A KR 20090115103A KR 1020090091053 A KR1020090091053 A KR 1020090091053A KR 20090091053 A KR20090091053 A KR 20090091053A KR 20090115103 A KR20090115103 A KR 2009011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ing board
laundry
drum type
drum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안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103A/ko
Publication of KR2009011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이외에도 그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보조하는 보조 장치가 구비된 드럼식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의 상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도록 보조 공간이 형성된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세탁 장치, 보조 장치, 다리미판

Description

드럼식 세탁장치{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나 드럼 세탁기와 같은 드럼식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 이외에도 그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보조하는 보조 장치가 구비된 드럼식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각종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상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탁 장치 중 의류 건조기와, 드럼 세탁기는 드럼이 수평 방향으로 누워져 있는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장착 높이가 낮아 공간 활용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도시한 도 1과 같이 상기한 의류 건조기(10)와 드럼 세탁기(20)는 서로 나란히 붙여 사용함으로써 세탁과 건조가 동일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실용적인 측면으로의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의류 건조기(10) 및 드럼 세탁기(20)가 나란히 구비되는 종래의 구성은 그 상부 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상기 상부 공간이 각종 빨랫감 등이나 여타의 각종 물품의 적재를 위 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상기한 용도를 위한 공간에 비해 여유 공간이 상당히 컸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류 건조기와 세탁기가 나란히 붙어 있는 형태의 세탁 장치에 따른 전반적인 구조를 개선하여 여유 공간에 대한 활용이 다양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의 상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도록 보조 공간이 형성된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장치는 보조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기능은 수납, 거치, 다림질, 소량의 세탁 대상물 세탁, 소량의 건조 대상물 건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의 상부 공간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를 수행하는 각종 세탁 장치 중 투입구가 전방측에 위치된 드럼식 세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 장치의 상면 후방측을 따라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리미판과, 상기 몸체를 복수개로 구획한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수납 공간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다리미판이 수용됨과 더불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리미판에 형성된 힌지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가 구비된 드럼식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리미판은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수납이 이루어졌을 경우 단측부는 세탁 장치의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단측부보다 긴 장측부는 세탁 장치의 넓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수납 공간 중 다리미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 공간에는 상기 다리미판이 세탁 장치의 상면으로 회동 되었을 경우 상기 다리미판의 단측부의 저면을 받치는 받침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미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 공간은 상기 몸체의 좌측편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수납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납 공간에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콘센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조 장치는 의류 건조기 및 드럼 세탁기 등 각종 세탁 장치의 상부 후방측에 구비되어 다리미질 등의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세탁 장치의 상부 공간을 보다 활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는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를 수행하는 각종 세탁 장치 중 투입구가 전방측에 위치된 드럼식 세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 장치의 상면 후방측을 따라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리미판과, 상기 몸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수납 공간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장치용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다리미판은 세탁 장치를 후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수납이 이루어졌을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부위는 세탁 장치의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긴 부위는 세탁 장치의 넓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드럼식 세탁 장치가 드럼 세탁기 및 의류 건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럼 세탁기 및 의류 건조기가 서로 나란히 붙어서 배치된 형태에 적용됨을 그 실시예로 한다.
우선, 도시한 도 2는 의류 건조기(10) 및 드럼 세탁기(20)가 서로 나란히 붙어서 배치된 구성에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는 몸체(100)와, 다리미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100)는 상기 세탁 장치의 상면 후방측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납 공간(111,11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100)는 그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1/4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나 이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몸체(100)를 상기 세탁 장치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세탁 장치의 상면 전방측은 다리미질 등의 작업 수행 위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임과 더불어 보조 장치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여타의 각종 물품을 적재해 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다리미판(200)이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다리미판(200)이 수용된 상태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홈(12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20) 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리미판(200)에 형성된 힌지(201)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121)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다리미판(200)이 상기 수용홈(120) 내에 수용되었을 경우의 상태는 상기 다리미판의 상대적으로 짧은 부위(이하, “단측부”라 한다)(210)가 세탁 장치의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긴 부위(이하, “장측부”라 한다)(220)는 세탁 장치의 넓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물론, 상기 다리미판(200)을 단순히 회동 가능하게만 구성한다면 상기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수용홈(120)은 단지 상기 다리미판(2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100)의 후방측 모서리 부위에 상기 다리미판(200)의 단측부(210)를 힌지 결합하면 된다.
하지만, 이의 경우 상기 다리미판(200)이 회동할 수 있도록 세탁 장치의 후면과 벽면 사이에는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어야 되기 때문에 크게 바람직하지는 않 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각 수납 공간(111,112) 중 다리미판(20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 공간(이하, “제1수납 공간”이라 한다)(111)에는 상기 다리미판(200)이 세탁 장치의 상면으로 회동 되었을 경우 상기 다리미판(200)의 단측부(210) 저면을 받치는 받침판(130)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수납 공간(111)은 상기 몸체(100)의 각 부위 중 가장 좌측편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리미판(200)이 인출되어 회동될 경우 상기 다리미판(200)의 끝단이 상기 세탁 장치를 최대한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어느 한 수납 공간(이하, “제2수납 공간”이라 한다)(112) 내부에는 다리미(300)가 수납되며, 상기 제2수납 공간(112)의 내벽면에는 상기 다리미(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14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콘센트(14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구조는 일반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가정 등의 벽면에 형성하는 콘센트의 구조와 동일하며,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미판(200)은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201) 장착되며, 세탁 장치를 후면에서 볼 때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후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리미판(200)의 장측부(220)는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그 보관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다리미판(200)의 길이가 드럼식 세탁 장치의 넓이에 비해 과도 하게 클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의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측부(220)의 일단(대략 중앙측 부위)을 분리하여 상호 힌지(202) 결합시킴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조작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다리미 작업을 하기 위해 다리미판(200)을 인출한다면 상기 다리미판은 도시한 도 3의 최초 상태에서 수용홈(120) 내부를 따라 상향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다리미판(200)의 끝단 양측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힌지(201)는 상기 수용홈(120) 내의 이동홈(121)을 따라 이동된다.
이의 과정에서 도시한 도 4와 같이 상기 다리미판(200)이 설정된 위치에 까지 상승된다면 상기 다리미판(200)은 상기 힌지(201)를 기준으로 전방측을 향하여 회동된다.
이 때, 상기 다리미판(200)의 단측부(210) 전방측에는 제1수납 공간(111)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다리미판(200)의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하는 다리미판(200)의 단측부(210)는 상기 제1수납 공간(111)상에 형성된 받침판(130)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그 지지가 이루어진다.
이의 상태는 도시한 도 5와 같다.
이후, 사용자는 제2수납 공간(112)에 수납되어 있던 다리미(300)를 취출하여 다리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 때, 상기 다리미(300)는 상기 제2수납 공간(112)상에 형성되어 있는 콘센트(140)와 전원 연결됨으로써 그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와 의류 건조기가 나란히 구축된 세탁 장치에 본 발명의 보조 장치를 구비한다면 상기 보조 장치의 많은 여유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여유 공간에는 도시된 도 2 및 도 4와 같이 각종 세제의 보관을 위한 통을 형성하거나, 세제의 잔존량 등을 확인하기 위한 지시계(indicator)(410)를 더 구비하거나, 별도의 수도 꼭지(420)를 장착하거나, 기타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등 그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실시예는 그 활용성이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세탁 장치를 구성하는 세탁기 및 의류 건조기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가 적용된 세탁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세탁 장치의 배면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의 다리미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11. 제1수납 공간
112. 제2수납 공간 120. 수용홈
121. 이동홈 130. 받침판
140. 콘센트 200. 다리미판
210. 단측부 220. 장측부
300. 다리미

Claims (9)

  1. 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의 상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도록 보조 공간이 형성된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보조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능은 수납, 거치, 다림질, 소량의 세탁 대상물 세탁, 소량의 건조 대상물 건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드럼식 세탁장치의 상부 공간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5.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를 수행하는 각종 세탁 장치 중 투입구가 전방측에 위치된 드럼식 세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 장치의 상면 후방측을 따라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리미판과, 상기 몸체를 복수개로 구획한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수납 공간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다리미판이 수용됨과 더불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리미판에 형성된 힌지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이 형성된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수납이 이루어졌을 경우 단측부는 세탁 장치의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단측부보다 긴 장측부는 세탁 장치의 넓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 공간 중 다리미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 공간에는
    상기 다리미판이 세탁 장치의 상면으로 회동 되었을 경우 상기 다리미판의 단측부의 저면을 받치는 받침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 공간은 상기 몸체의 좌측편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납 공간에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콘센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KR1020090091053A 2009-09-25 2009-09-25 드럼식 세탁장치 KR20090115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53A KR20090115103A (ko) 2009-09-25 2009-09-25 드럼식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53A KR20090115103A (ko) 2009-09-25 2009-09-25 드럼식 세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398A Division KR100937410B1 (ko) 2002-12-24 2002-12-24 드럼식 세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103A true KR20090115103A (ko) 2009-11-04

Family

ID=4155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053A KR20090115103A (ko) 2009-09-25 2009-09-25 드럼식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1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4464B2 (en) 2018-09-12 2020-09-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 having an ironing assembly
EP3633092A4 (en) * 2017-05-24 2021-04-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LIANCE
CN113046990A (zh) * 2019-12-27 2021-06-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3092A4 (en) * 2017-05-24 2021-04-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LIANCE
US10774464B2 (en) 2018-09-12 2020-09-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 having an ironing assembly
CN113046990A (zh) * 2019-12-27 2021-06-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4880B2 (en)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KR102658738B1 (ko) 의류처리장치
EP258690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CN102037175B (zh) 衣物处理装置
WO2011128745A2 (en) Fully openable multifunction drawer for household appliances
CN101970745B (zh) 洗衣机
US20180230635A1 (en) Clothing processing device
CN110644184B (zh) 洗涤物处理设备
KR20090115103A (ko) 드럼식 세탁장치
EP194440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006522B2 (en) Liquid detergent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20080032362A (ko) 세탁기용 받침대
KR100937410B1 (ko) 드럼식 세탁 장치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KR20070002287A (ko) 복합 세탁 장치
CN104727060A (zh) 其中具有烘干机的滚筒式洗衣机
KR20120108473A (ko) 세탁기
KR101598522B1 (ko) 세탁장치
KR100784714B1 (ko) 세탁기 상부판 고정 장치
KR20090057792A (ko) 의류 처리장치
EP2065507B1 (en) Laundry machine
KR1020707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04937B1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