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405B1 - 의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405B1
KR101675405B1 KR1020150078042A KR20150078042A KR101675405B1 KR 101675405 B1 KR101675405 B1 KR 101675405B1 KR 1020150078042 A KR1020150078042 A KR 1020150078042A KR 20150078042 A KR20150078042 A KR 20150078042A KR 101675405 B1 KR101675405 B1 KR 10167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clothes
unit
air
phot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7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외부면에는 흡기공(111)과 배기공(112)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 위치에 의류(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13)가 장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상기 흡기공(111)과 배기공(112)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흡입영역(121)과 배출영역(122)으로 구획하는 격벽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둘레에 장착되며 거치된 의류(10)가 외부로부터 커버되도록 수용공간(131)을 제공하는 커버부(130); 상기 흡입영역(121) 내에 배치되며 흡기공(111)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거치된 의류(10)를 향해 하향 송풍하는 흡기팬(140);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31)의 내기를 흡입하여 배기공(112)을 통해 외부로 송풍하는 배기팬(150); 및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고 자외선광에 의해 광분해 반응하며 오존과 OH라디컬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풍되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광촉매부(163) 및, 상기 배출기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68)를 포함하는 정화모듈(160);을 포함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류 탈취장치{DEODORIZING APPARATUS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에 흡착된 냄새성분과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상태의 의류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의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의류 탈취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의류 탈취장치는 케이스(200) 내측에 자외선 램프(230)가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200) 내측면은 이산화티탄으로 코팅되어, 자외선과 이산화티탄의 반응을 통하여 거치된 의류의 살균 및 탈취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 탈취장치의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200)의 내측면에 코팅된 이산화티탄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자외선 램프(230)가 양측부와 하부에 길게 연장배치되어 넓은 범위로 발광구동하게 되나, 이 경우 조사되는 자외선이 거치된 의류에도 입사되어 색상이 짙은 의류나 동물성 섬유로 직조된 의류의 경우 쉽게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 탈취장치에는 케이스(200) 내측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가 구비되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의류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다량으로 부착된 경우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섬유 사이에 이물질이 흡착되면서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에는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에어홀(240)이 위치하는데, 이러한 에어홀(240)을 통해 정화되지 않은 의류의 냄새성분이나 의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주변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340호(2013.05.31),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분해 반응을 위해 조사되는 자외선광이 의류에 입사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어 냄새성분 제거를 위한 자외선광에 의해 의류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된 외기를 커버부 내에 거치된 의류로 송풍하여 섬유 사이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의 내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송풍함으로써 내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에 의해 주변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외부면에는 흡기공(111)과 배기공(112)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 위치에 의류(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13)가 장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상기 흡기공(111)과 배기공(112)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흡입영역(121)과 배출영역(122)으로 구획하는 격벽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둘레에 장착되며 거치된 의류(10)가 외부로부터 커버되도록 수용공간(131)을 제공하는 커버부(130); 상기 흡입영역(121) 내에 배치되며 흡기공(111)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거치된 의류(10)를 향해 하향 송풍하는 흡기팬(140);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31)의 내기를 흡입하여 배기공(112)을 통해 외부로 송풍하는 배기팬(150); 및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고 자외선광에 의해 광분해 반응하며 오존과 OH라디컬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풍되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광촉매부(163) 및, 상기 배출기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68)를 포함하는 정화모듈(160);을 포함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70); 및 상기 조작부(17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팬(140)을 회전구동시켜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흡기팬(140)을 정회전시켜 거치된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상기 광촉매부(163)의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배기팬(150)을 정회전시켜 분리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 및 제진 모드와, 상기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상기 흡기팬(140)을 역회전시켜 광촉매부(163)에서 생성된 오존과 OH라디컬을 상기 커버부(130)의 수용공간(131)으로 공급하여 상기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탈취 모드 및, 상기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배기팬(150)을 정회전시켜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 모드로 구분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16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직립배치되며 표면에는 광촉매물질이 배치된 광촉매판(164) 및, 상기 광촉매판(164)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165)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광촉매판(164)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며 와류형성부(169)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상하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상기 거치대(113)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91)의 회전력으로 상기 거치대(113)를 진동시켜 거치된 의류(10)에 흡착된 냄새성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진동모듈(1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진동모듈(190)은,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91)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113)는, 수평배치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ㄷ자 형상으로 외향절곡되어 옷걸이(20)가 거치되기 위한 걸이홈(117)이 형성된 절곡부(116)가 마련되고 일단은 상기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191)에 축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측벽에는 상기 거치대(113)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19)이 측방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19)과 거치대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거치대(113)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1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113)는, 수평배치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본체부(110)의 측벽에 측방 개구된 삽입공(119)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에는 옷걸이(20)가 거치되기 위한 걸이홈(117)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모듈(190)은,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91)와, 상기 구동모터(191)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92) 및, 일단은 상기 거치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판(192)상에서 편중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부(193)를 포함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부(16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직립배치되며 표면에는 광촉매물질이 배치된 광촉매판(164) 및, 상기 광촉매판(164)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165)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광촉매판(164)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며 와류형성부(169)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상하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자외선광에 의해 광분해 반응하는 광촉매부(163)는 케이싱된 상태로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10)의 배출영역(122)에 배치되고 탈취대상 의류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커버부(130)의 내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광원(165)이 발광구동하면서 자외선광이 조사되더라도 거치된 의류(10)에 입사되지 않으므로 상기 자외선광에 의해 의류가 변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163)의 하부에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68)가 배치되어 광촉매부(163)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광촉매부(163)에서 조사된 자외선광이 하부방향으로 입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영역(121)에는 흡기팬(140)이 배치되면서 흡입된 외기를 수용공간(131)에 거치된 의류(10)를 향해 송풍할 수 있으므로 의류(10)에 베어있는 냄새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의류(10)의 냄새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의류(10)의 섬유 사이에 부착된 이물질을 함께 분리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셋째, 상기 흡기팬(140)에 의해 수용공간(131) 내에서 의류(10)로부터 분리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은 배출영역(122)에 배치된 배기팬(150)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되, 상기 배출영역(122)에는 상기 광촉매부(163)와 필터부(168)로 이루어진 정화모듈(160)이 배치되어 상기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의류(10)로부터 분리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에 의해 주변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광촉매판(164)은 광촉매부(163) 내에서 직립배치되되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며 와류형성부(169)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상하로 연장형성되어, 수용공간(131) 내에서 흡입되어 배출영역(122)으로 유입된 배출기류는 절곡형성된 광촉매판(164)과 마찰되어 와류를 형성하므로 배출기류가 광촉매부(163) 내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증대시켜 공기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거치대(113)의 일측에 연결된 진동모듈(190)에 의해 거치대(113)를 진동시켜 거치된 의류(10)에 부착된 냄새성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흡기팬(140)과 함께 분리성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의류(10) 상에서 흡기팬(140)의 하향 송풍기류가 닿지 않는 부위의 냄새성분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류 탈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의 기능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듈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100)는, 광분해 반응을 위해 조사되는 자외선광이 거치된 의류에 입사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어 자외선광에 의해 의류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로부터 분리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에 의해 주변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탈취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격벽부(120), 커버부(130),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정화모듈(1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본체부(110)는, 의류 탈취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부재로서, 하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흡기공(111)과 배기공(112)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 중앙 위치에 의류(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13)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중앙에는 의류 탈취장치(100)를 옷장의 걸이봉, 스탠드 옷걸이 등의 거치대상에 걸어둘 수 있도록 후크부(114)가 배치되며, 전방면에는 의류 탈취장치(100)의 각종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70) 및 의류 탈취장치(100)의 동작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흡기공(111)과 배기공(112)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을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영역(121)과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영역(122)으로 각각 구획한다.
상기 커버부(130)는,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과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로서,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둘레에 장착되며 거치대(113)에 거치된 의류(10)가 외부로부터 커버되도록 밀폐된 수용공간(131)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30)는 본체부(110)와의 장착부위에 배치된 탈착수단(132)를 통해 본체부(11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수단(132)으로는 벨크로, 지퍼, 체결나사 등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다양한 체결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흡기팬(140)은 외기를 흡입하여 수용공간(131)으로 내부로 배출하는 팬부재로서,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격벽부(120)에 의해 구획된 흡입영역(121) 내에 배치되며 회전구동에 따라 수용공간(131) 내에 거치된 의류(10)를 향해 하향 송풍한다. 또한, 상기 흡기팬(140)은 후술되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영역(121)에는 흡기팬(140)이 배치되면서 흡입된 외기를 수용공간(131)에 거치된 의류(10)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의류(10)에 베어있는 냄새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의류(10)의 섬유 사이에 부착된 이물질을 함께 분리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150)은 내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팬부재로서,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격벽부(120)에 의해 구획된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며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31)의 내기를 흡입하여 배기공(112)을 통해 외부로 송풍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팬(150)은 흡기팬(1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상기 정화모듈(160)은 배기팬(1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고 자외선광에 의해 광분해 반응하며 오존과 OH라디컬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풍되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광촉매부(163) 및,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서 광촉매부(16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기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6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모듈(160)은 상부에는 통기공(162)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161)의 내부에 광촉매부(163)와 필터부(168)가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16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직립배치되며 표면에는 광촉매물질이 배치된 광촉매판(164) 및, 상기 광촉매판(164) 사이에 배치되어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165)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필터부(168)는 활성탄 재질로 이루어져 배출기류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탈취하면서 동시에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활성탄필터(166) 및, 헤파필터와 같이 이물질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미세필터(167)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168)는 광촉매부(163)의 하부 위치에 수평배치되어 광원(165)에서 조사된 자외선광이 개구된 하부를 통해 하향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외선광에 의해 광분해 반응하는 광촉매부(163)는 케이싱된 상태로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10)의 배출영역(122)에 배치되고 탈취대상 의류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커버부(130)의 내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광원(165)이 발광구동하면서 자외선광이 조사되더라도 거치된 의류(10)에 입사되지 않으므로 상기 자외선광에 의해 의류가 변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부(163)의 하부에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68)가 배치되어 광촉매부(163)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광촉매부(163)에서 조사된 자외선광이 하부방향으로 입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판(164)은 직립배치되되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며 와류형성부(169)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상하로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류형성부(169)에 의해 수용공간(131) 내에서 흡입되어 배출영역(122)으로 유입된 배출기류는 절곡형성된 광촉매판(164)과 마찰되어 와류를 형성하므로 배출기류가 광촉매부(163) 내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증대시켜 공기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광촉매판(164)은 배출기류가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배출기류가 절곡된 표면과 마찰되면서 이동방햐이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부(163)로 유입된 배출기류는 복수 개의 광촉매판(164)에 의해 구획된 각 정화공간으로 분리되어 각각 유입되며, 각 정화공간으로 유입된 배출기류는 각 광촉매판(164)의 절곡된 와류형성부(169)의 표면과 마찰되어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동하게 되어 광촉매판(164)을 통과하는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광촉매판(164)의 측방이격거리가 길이질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각 광촉매판(164)에 마찰되지 않고 각 광촉매판(164)의 이격된 사이로 그래도 배출되는 오염공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광촉매판(164)의 측방 절곡된 좌단의 와류형성부(169)는 인접된 광촉매판(164)의 측방절곡된 와류형성부(169)의 우단의 위치와 같거나 그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100)는 커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10)를 탈취하는 기능이외에 주변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70)와, 상기 조작부(170)의 입력신호에 따라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흡기팬(140)을 회전구동시켜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30)가 분리되어 본체부(110)의 개구된 하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흡기팬(140)이 회전구동하게 되면 흡입영역(121) 내에서 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공(112)을 통해 배출되는 흡입기류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흡입기류는 상술한 수용공간(131)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기류의 정화동작과 같이 정화모듈(16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부(168)를 거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광촉매부(163)를 거치면서 불쾌한 냄새성분이 제거된다. 이러한 주변공기 정화기능에 따라 의류 탈취장치(100)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100)는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다양한 동작모드로 구분하여 구동제어함으로써 필요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의류(10)의 탈취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흡기팬(140)을 정회전시켜 거치된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과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광촉매부(163)의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배기팬(150)을 정회전시켜 분리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 및 제진 모드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흡기팬(140)을 역회전시켜 광촉매부(163)에서 생성된 오존과 OH라디컬을 상기 커버부(130)의 수용공간(131)으로 공급하여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탈취 모드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배기팬(150)을 정회전시켜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 모드로 구분하여, 상기 조작부(17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의류(10)에 냄새와 이물질이 함께 많은 경우 탈취 및 제진 모드로 동작시키면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 제거와 부착된 이물질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의류(10)에 부착된 이물질은 없으나 베인 냄새가 많은 경우 탈취 모드로 동작시키면 수용공간(131)의 내부로 광촉매부(163)로부터 생성된 오존과 OH라디컬이 흡입기류와 함께 유입되면서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을 집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주변공기가 탁하거나 냄새가 심한 경우 커버부(130)를 분리한 상태에서 공기정화 모드로 동작시키면 주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취 및 제진 모드로 구동시킨 후 이어서 탈취 모드로 구동되도록 프로그램됨으로써, 의류(10)에 베인 냄새가 심하여 상기 탈취 및 제진 모드를 통해서도 제거되지 않은 잔여 냄새를 탈취 모드를 통해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탈취장치(100)는 흡기팬(140)의 송풍기류에 의한 의류(10)의 냄새성분 및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 이외에 진동모듈(19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됨으로써 분리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듈(190)은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거치대(113)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91)의 회전력으로 거치대(113)를 진동시켜 거치대(113)에 거치된 의류(10)에 부착된 냄새성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듈(190)은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다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9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113)는 수평배치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눕혀진 ㄷ자 형상으로 외향 절곡되어 옷걸이(20)가 거치되기 위한 걸이홈(117)이 형성된 절곡부(116)가 마련되고 일단은 상기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191)에 축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측벽에는 상기 거치대(113)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19)이 측방개구되어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19)과 거치대(113)의 일단 사이에는 거치대(113)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18a)이 배치되어 거치대(113)의 진동동작시 마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찰에 따른 저항력을 감소시켜 구동모터(191)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91)가 회전구동하게 되면 거치대(113)의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면서 거치대(113)에 거치된 의류(10)가 함게 회전하게 되어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원운동 이외에 거치대(113)를 전후방으로 수평왕복이동시켜 진동시킬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13)는 수평배치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본체부(110)의 측벽에 측방 개구된 삽입공(119)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에는 옷걸이(20)가 거치되기 위한 걸이홈(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모듈(190)은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91)와, 상기 구동모터(191)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92) 및, 일단은 상기 거치대(113)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판(192) 상에서 편중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부(19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91)가 회전구동하게 되면 거치대(113)가 수평축선을 따라 전,후방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거치대(113)에 거치된 의류(10)를 함께 이동시켜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119)과 거치대(113) 사이에는 거치대(11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118b)가 배치되어 거치대(11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흡기팬(140)을 회전구동시켜 수용공간(131)내에 위치한 의류(10)를 향해 흡입된 외기를 하향 송풍함에 있어서, 흡기팬(140)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구동제어하여 송풍기류가 맥동하며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송풍기류와 달리 일시적으로 송풍이 단절되는 스타카토(Staccato) 방식으로 송풍기류가 배출됨으로써 의류(10)의 외부를 타격하여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거치대(113)의 일측에 연결된 진동모듈(190)에 의해 거치대(113)를 진동시켜 거치된 의류(10)에 부착된 냄새성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흡기팬(140)과 함께 분리성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의류(10) 상에서 흡기팬(140)의 하향 송풍기류가 닿지 않는 부위의 냄새성분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의류 탈취장치 110...본체부
120...격벽부 111...흡기공
112...배기공 113...거치대
120...격벽부 130...커버부
131...수용공간 140...흡기팬
150...배기팬 160...정화모듈
170...조작부 180...제어부

Claims (4)

  1. 하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외부면에는 흡기공(111)과 배기공(112)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 위치에 의류(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13)가 장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 내에서 흡기공(111)과 배기공(112)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흡입영역(121)과 배출영역(122)으로 구획하는 격벽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둘레에 장착되며 거치된 의류(10)가 외부로부터 커버되도록 수용공간(131)을 제공하는 커버부(130); 상기 흡입영역(121) 내에 배치되며 흡기공(111)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거치된 의류(10)를 향해 하향 송풍하는 흡기팬(140);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며 수용공간(131)의 내기를 흡입하여 배기공(112)을 통해 외부로 송풍하는 배기팬(150); 상기 배출영역(122) 내에 배치되고 자외선광에 의해 광분해 반응하며 오존과 OH라디컬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풍되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광촉매부(163) 및, 배출기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68)를 포함하는 정화모듈(16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70); 및 상기 조작부(170)의 입력신호에 따라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팬(140)을 회전구동시켜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흡기팬(140)을 정회전시켜 거치된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상기 광촉매부(163)의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배기팬(150)을 정회전시켜 분리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 및 제진 모드와,
    상기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상기 흡기팬(140)을 역회전시켜 광촉매부(163)에서 생성된 오존과 OH라디컬을 상기 커버부(130)의 수용공간(131)으로 공급하여 상기 의류(10)에 베인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탈취 모드 및,
    상기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165)은 점등시키고 배기팬(150)을 정회전시켜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 모드로 구분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팬(140), 배기팬(150) 및 광촉매부(163)를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16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직립배치되며 표면에는 광촉매물질이 배치된 광촉매판(164) 및, 상기 광촉매판(164)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165)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광촉매판(164)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며 와류형성부(169)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상하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탈취장치.
KR1020150078042A 2015-06-02 2015-06-02 의류 탈취장치 KR10167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42A KR101675405B1 (ko) 2015-06-02 2015-06-02 의류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42A KR101675405B1 (ko) 2015-06-02 2015-06-02 의류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405B1 true KR101675405B1 (ko) 2016-11-11

Family

ID=5752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042A KR101675405B1 (ko) 2015-06-02 2015-06-02 의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9314A1 (fr) * 2020-04-21 2021-10-22 Jean-Philippe Deslys Dispositif de décontamination destiné à hygiéniser des tissus contaminés, en particulier des équipements de protection individuel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776Y1 (ko) * 2005-11-22 2006-02-03 최용림 다기능 살균 탈취장치
KR20110102586A (ko) * 2010-03-11 2011-09-19 노태호 냉난방 겸용 공기살균정화기
KR20130057340A (ko) 2011-11-23 2013-05-31 코웨이 주식회사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140111751A (ko) * 2013-03-12 2014-09-22 (주)에스디시스템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776Y1 (ko) * 2005-11-22 2006-02-03 최용림 다기능 살균 탈취장치
KR20110102586A (ko) * 2010-03-11 2011-09-19 노태호 냉난방 겸용 공기살균정화기
KR20130057340A (ko) 2011-11-23 2013-05-31 코웨이 주식회사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140111751A (ko) * 2013-03-12 2014-09-22 (주)에스디시스템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9314A1 (fr) * 2020-04-21 2021-10-22 Jean-Philippe Deslys Dispositif de décontamination destiné à hygiéniser des tissus contaminés, en particulier des équipements de protection individuelle
WO2021213993A1 (fr) * 2020-04-21 2021-10-28 Deslys Jean Philippe Dispositif de décontamination destiné à hygiéniser des tissus contaminés, en particulier des équipements de protection individuel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WO2007010894A1 (ja) 空気調節装置
KR20180068690A (ko) 공기청정기
KR20080059959A (ko) 공기 살균장치
WO2013047133A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KR102103934B1 (ko) 팬코일 유니트의 이온클러스터 발생장치
KR101675405B1 (ko) 의류 탈취장치
KR20060111037A (ko) 공기청정기
KR20180045570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2110122B1 (ko) 공기 청정기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102324913B1 (ko) 공기청정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에어샤워
JP7109109B2 (ja) 空気清浄装置
JP3903962B2 (ja) 空気清浄機
JP6050371B2 (ja) 除湿型空気清浄機
WO2020079789A1 (ja) 空気清浄装置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JP2004028382A (ja) 除湿機
KR10192637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20130022573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방향제 장착구조
KR100573391B1 (ko) 공기소독기
JP2007000731A (ja) 空気調和機
JPH09313846A (ja) 空気清浄器
KR102506387B1 (ko) 패널형 공기청정기
JP2006000212A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