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005A -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005A
KR20160060005A KR1020157032204A KR20157032204A KR20160060005A KR 20160060005 A KR20160060005 A KR 20160060005A KR 1020157032204 A KR1020157032204 A KR 1020157032204A KR 20157032204 A KR20157032204 A KR 20157032204A KR 20160060005 A KR20160060005 A KR 2016006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weight
parts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이와이
노리유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7/028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09J2201/128
    • C09J2201/60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기기 본체로부터의 부품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기재는,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480 ∼ 580 % 이고, 겉보기 밀도가 0.4 ∼ 0.6 g/㎤ 이며,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200 ∼ 600 ㎪ 인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점착제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만 ∼ 100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 30 ∼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기기 본체로부터의 부품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의 휴대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손에서 바닥으로 낙하하는 것을 고려하여 충격이 가해져도 부품이 빠지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도록 부품의 고정 배치 또는 기기 본체의 디자인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부품을 기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도,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부품이 빠지는 경우가 없고, 또한, 부품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요망되고 있다.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충격 흡수 테이프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에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고, 기재층이, 특정한 가교도 및 기포의 어스펙트비를 갖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인 충격 흡수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 전자 기기를 보다 더 얇고 가볍게 하는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어, 휴대 전자 기기가 낙하하면, 지금까지 이상의 매우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또, 휴대 전자 기기가 낙하하는 환경에 의해서도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기기 본체로부터 부품이 박리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8274호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기기 본체로부터의 부품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기재는,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480 ∼ 580 % 이고, 겉보기 밀도가 0.4 ∼ 0.6 g/㎤ 이며,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200 ∼ 600 ㎪ 인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점착제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만 ∼ 100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 30 ∼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는 휴대 전자 기기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기기 본체로부터 부품이 박리되어 버리는 원인이,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의 파괴에 있는 것을 알아내고, 기재의 강도를 높이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기재의 강도를 지나치게 높이면, 기재의 유연성이 현저하게 저해되어, 점착제층과의 계면에서 박리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본 발명자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인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 겉보기 밀도 및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강도와 유연성의 양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강도와 유연성의 양방이 우수한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특정한 아크릴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는 점착력이 높은 점착제층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기기 본체로부터의 부품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즉,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상기 기재는,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480 ∼ 580 % 이고, 겉보기 밀도가 0.4 ∼ 0.6 g/㎤ 이며,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200 ∼ 600 ㎪ 인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 겉보기 밀도 및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강도와 유연성의 양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480 ∼ 580 % 이다.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480 %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점착제층과의 계면에서 박리되기 쉬워진다.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580 %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강도가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파괴되기 쉬워진다.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505 %, 바람직한 상한은 565 %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1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55 % 이다.
또한, MD 방향 (machine direction) 이란,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시트상으로 압출 가공할 때의 압출 방향을 말한다. 파단 신도란, JIS K-6767 에 준거하여 파단점 신도 a (%) 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파단점 신도 a (%) 를 하기 식 (1) 에 기초하여 보정한 것을 말한다.
파단 신도 (%) = 측정된 파단점 신도 a × (1/(18 × b)) (1)
단, b 는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 (g/㎤) 를 나타낸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겉보기 밀도가 0.4 ∼ 0.6 g/㎤ 이다. 겉보기 밀도가 0.4 g/㎤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강도가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파괴되기 쉬워진다. 겉보기 밀도가 0.6 g/㎤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점착제층과의 계면에서 박리되기 쉬워진다. 겉보기 밀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0.42 g/㎤, 바람직한 상한은 0.57 g/㎤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45 g/㎤,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55 g/㎤ 이다.
또한, 겉보기 밀도는 JIS K-6767 에 준거하여 미라쥬사 제조의 전자 비중계 (상품명 「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200 ∼ 600 ㎪ 이다.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200 ㎪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강도가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파괴되기 쉬워진다.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600 ㎪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점착제층과의 계면에서 박리되기 쉬워진다.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50 ㎪, 바람직한 상한은 500 ㎪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 ㎪ 이다.
또한,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는, JIS K-6767 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 × 5 ㎝ 로 재단한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중첩하고 두께 25 ㎝ 의 적층체를 제작하여 상온하에 방치한 후, 상온하에서, 이 적층체의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를 측정하면 된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발포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발포체, 폴리프로필렌계 발포체, 에틸렌-프로필렌계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는데,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 겉보기 밀도 및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중합 촉매로서 4 가의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발포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탈로센계 폴리올레핀 발포체」라고도 한다) 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발포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라고도 한다)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카민스키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에 함유되는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예를 들어,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틸렌과,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α-올레핀으로서, 예를 들어, 프로펜, 1-부텐, 1-펜텐, 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더하여, 추가로, 다른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올레핀계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은, 4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이면, 상기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두께가 얇아도 높은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가교함으로써,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 겉보기 밀도 및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가교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에 전자선, α 선, β 선, γ 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에 미리 배합해 둔 유기 과산화물을 가열에 의해 분해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발포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압출 가공할 때에 발포제를 발포시켜, 얻어진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필요에 따라 가교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0 ∼ 300 ㎛ 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120 ㎛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강도가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300 ㎛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점착제층과의 계면에서 박리되는 경우가 있고, 또, 피착체의 형상을 따라 밀착시켜 첩합 (貼合) 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점착제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만 ∼ 100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 30 ∼ 50 중량부를 함유한다. 이와 같은 조성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적어도 일방의 점착제층이 이와 같은 조성이면, 양면의 점착제층이 동일한 조성이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조성이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진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40 ∼ 80 중량% 이다.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상기 점착제층은, 지나치게 유연해져 응집력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80 중량% 를 초과하면, 상기 점착제층은, 단단해져 점착력 또는 택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10 ∼ 40 중량% 이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력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40 중량% 를 초과하면, 상기 점착제층은, 지나치게 유연해져 응집력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3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3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定溫)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서, 예를 들어,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2,5-디메틸-2,5-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조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40 만 ∼ 100 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만 미만이면, 상기 점착제층은, 응집력이 저하되어, 피착체 계면의 점착력이 저하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 만을 초과하면,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력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되기 쉬워진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만, 바람직한 상한은 70 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 중합 온도 등의 중합 조건을 조정하면 된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점착 부여 수지를 30 ∼ 50 중량부 함유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점착제층은,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피착체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박리 응력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진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점착제층은 단단해져 점착력 또는 택이 저하되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를 들어,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쿠마론 인덴계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및/또는 상기 점착 부여 수지) 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질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중의 알코올성 수산기가 반응하여, 상기 점착제층의 가교가 느슨해진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은, 단속적으로 가해지는 박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피착체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박리 응력에 대해,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내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3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가교도는 지나치게 높거나 지나치게 낮아도, 상기 점착제층이 피착체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박리 응력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5 ∼ 40 중량% 가 바람직하고, 10 ∼ 4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 35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가교도는 점착제층을 W1 (g) 채취하고, 이 점착제층을 아세트산에틸 중에 23 ℃ 에서 24 시간 침지시켜 불용해분을 200 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하여, 철망 상의 잔류물을 진공 건조시켜 건조 잔류물의 중량 W2 (g) 를 측정하고, 하기 식 (2) 에 의해 산출한다.
가교도 (중량%) = 100 × W2/W1 (2)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의 두께 (편면의 점착제층의 두께) 가 1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 미만이면, 상기 점착제층은, 내충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150 ㎛ 를 초과하면, 상기 점착제층은, 리워크성 또는 재박리성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가 150 ∼ 4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 두께가 150 ㎛ 미만이면, 양면 점착 테이프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총 두께가 400 ㎛ 를 초과하면, 양면 점착 테이프는,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키는 용도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먼저, 아크릴 공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필요에 따라 가교제 등에 용제를 첨가하여 점착제 A 의 용액을 제작하고, 이 점착제 A 의 용액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용액 중의 용제를 완전하게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 A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형성된 점착제층 A 위에 이형 필름을 그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 A 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킨다.
이어서, 상기 이형 필름과는 다른 이형 필름을 준비하고, 이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점착제 B 의 용액을 도포하고, 용액 중의 용제를 완전하게 건조 제거 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 B 가 형성된 적층 필름을 제조한다. 얻어진 적층 필름을 점착제층 A 가 형성된 기재의 이면에, 점착제층 B 가 기재의 이면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켜 적층체를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적층체를 고무 롤러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이 이형 필름으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또, 동일한 요령으로 적층 필름을 2 쌍 제조하고, 이들 적층 필름을 기재의 양면의 각각에, 적층 필름의 점착제층을 기재에 대향시킨 상태로 중첩시켜 적층체를 제조하고, 이 적층체를 고무 롤러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이 이형 필름으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어도 된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키는 용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의 액정 표시 패널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키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용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방형, 액자상, 원형, 타원형, 도너츠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기기 본체로부터의 부품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낙하 충격 시험의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 (1) 의 조제)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76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1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80 중량부를 첨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반응기 내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70 ℃, 5 시간 환류시켜, 아크릴 공중합체 (a) 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a) 에 대해, 칼럼으로서 Water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el」을 이용하여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1 만이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a) 의 용액에 함유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a) 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중합 로진 에스테르 14 중량부,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10 중량부,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12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 2.2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1) 을 얻었다.
(점착제 (2) 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 58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4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 공중합체 (a) 와 동일하게 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68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b) 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b) 의 용액에 함유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b) 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중합 로진 에스테르 14 중량부,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10 중량부,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12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 2.2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2) 를 얻었다.
(점착제 (3) 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 79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9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 공중합체 (a) 와 동일하게 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45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c) 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c) 의 용액에 함유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c) 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중합 로진 에스테르 14 중량부,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12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 1.4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3) 을 얻었다.
(점착제 (4) 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2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 공중합체 (a) 와 동일하게 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126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d) 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d) 의 용액에 함유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d) 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중합 로진 에스테르 14 중량부,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10 중량부,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12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 1.2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4) 를 얻었다.
(점착제 (5) 의 조제)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a) 의 용액에 함유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a) 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테르펜페놀 60 중량부,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12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 2.2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5) 를 얻었다.
(실시예 1)
두께 150 ㎛ 의 이형지를 준비하고, 이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에 점착제 (1) 을 도포하고, 10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30 ㎛ 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두께 140 ㎛ 의 가교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552 %, 겉보기 밀도:0.44 g/㎤,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208 ㎪) 의 표면과 첩합시켰다. 이어서, 동일한 요령으로, 이 가교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반대 표면에도 상기와 동일한 점착제층을 첩합시켰다. 이로써, 두께 150 ㎛ 의 이형지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2 ∼ 10, 비교예 1 ∼ 13)
표 2, 3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재 및 점착제의 종류 및 두께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하기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 3 에 나타낸다.
(1) 낙하 충격 시험
<시험 장치의 제조>
도 1 에,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낙하 충격 시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를 외경이 폭 46 ㎜, 길이 61 ㎜, 내경이 폭 44 ㎜, 길이 59 ㎜ 로 타발하고, 폭 1 ㎜ 의 프레임상의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폭 38 ㎜, 길이 50 ㎜ 의 네모난 구멍이 뚫린 두께 2 ㎜ 의 폴리카보네이트판 (3) 에 대해 이형지를 박리한 시험편 (1) 을 네모난 구멍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첩부한 후, 시험편 (1) 의 상면으로부터 폭 55 ㎜, 길이 65 ㎜, 두께 1 ㎜ 의 폴리카보네이트판 (2) 을 시험편 (1) 이 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첩부하여, 시험 장치를 조립하였다.
그 후, 시험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폴리카보네이트판측으로부터 5 kgf 의 압력을 10 초간 가하여 상하에 위치하는 폴리카보네이트판과 시험편을 압착하여,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하였다.
<내낙하 충격성의 판정>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한 시험 장치를 뒤집어 지지대에 고정시키고, 네모난 구멍을 통과하는 크기의 300 g 무게의 철구 (4) 를 네모난 구멍을 통과하도록 떨어뜨렸다. 철구를 떨어뜨리는 높이를 서서히 높게 하고, 철구의 낙하에 의해 가해진 충격에 의해 시험편과 폴리카보네이트판이 박리되었을 때의 철구를 떨어뜨린 높이를 계측하여, 「1 ㎜ 폭에서의 낙하 충격 시험[㎝]」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폭 2 ㎜ 의 프레임상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의해 「2 ㎜ 폭에서의 낙하 충격 시험[㎝]」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1 ㎜ 폭에서의 낙하 충격 시험[㎝]」의 결과가 60 ㎝ 이상이고, 또한, 「2 ㎜ 폭에서의 낙하 충격시험[㎝]」의 결과가 120 ㎝ 이상이었을 경우에 내낙하 충격성의 판정을 ○ 로 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에 내낙하 충격성의 판정을 × 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기기 본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기기 본체로부터의 부품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 : 시험편 (프레임상)
2 : 폴리카보네이트판 (두께 1 ㎜)
3 : 폴리카보네이트판 (두께 2 ㎜)
4 : 철구 (300 g)

Claims (3)

  1.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기재는 MD 방향의 23 ℃ 의 파단 신도가 480 ∼ 580 % 이고, 겉보기 밀도가 0.4 ∼ 0.6 g/㎤ 이며, 두께 방향의 25 % 압축 강도가 200 ∼ 600 ㎪ 인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점착제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만 ∼ 100 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 30 ∼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의 두께가 120 ∼ 3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가 150 ∼ 4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57032204A 2013-09-20 2014-09-19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60060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95572 2013-09-20
JPJP-P-2013-195572 2013-09-20
PCT/JP2014/074823 WO2015041313A1 (ja) 2013-09-20 2014-09-19 携帯電子機器用両面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005A true KR20160060005A (ko) 2016-05-27

Family

ID=5268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204A KR20160060005A (ko) 2013-09-20 2014-09-19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57470B2 (ko)
KR (1) KR20160060005A (ko)
CN (1) CN105378016B (ko)
TW (1) TWI642752B (ko)
WO (1) WO20150413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375A (ko) * 2019-04-24 2021-06-2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7599B2 (ja)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CN104650757A (zh) * 2013-11-22 2015-05-27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粘合片
CN106957615B (zh) * 2017-04-01 2020-07-14 江苏澳盛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发泡板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7193229B2 (ja) * 2017-09-29 2022-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07779117A (zh) * 2017-12-15 2018-03-09 常熟市长江胶带有限公司 一种变压器用高强高粘结力胶带
KR20210135229A (ko) * 2019-03-04 2021-11-1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점착 테이프 및 접착체
JP2022052802A (ja) * 2020-09-24 2022-04-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847A (ja) * 1994-11-17 1996-06-04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JP4707816B2 (ja) * 2000-10-23 2011-06-2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リサイクル部品用粘着テープ
JP2008260825A (ja) * 2007-04-11 2008-10-30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JP5534854B2 (ja) * 2010-02-19 2014-07-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5299596B1 (ja) * 2011-12-26 2013-09-2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375A (ko) * 2019-04-24 2021-06-2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8016B (zh) 2019-07-19
CN105378016A (zh) 2016-03-02
JPWO2015041313A1 (ja) 2017-03-02
TWI642752B (zh) 2018-12-01
JP6557470B2 (ja) 2019-08-07
WO2015041313A1 (ja) 2015-03-26
TW201520301A (zh)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0005A (ko)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JP6426887B2 (ja) 携帯電子機器用アクリル粘着剤及び携帯電子機器用両面粘着テープ
EP2385090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EP2551315B1 (en) Acrylic adhesive tape
JP2016183274A (ja) 耐衝撃用両面粘着テープ
JP641245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KR20170052525A (ko) 휴대 전자 기기용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9077880A (ja) 両面粘着テープ
CN106232757B (zh) 双面粘合带
JP6523725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6505518B2 (ja) 両面粘着テープ
EP3202868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6557501B2 (ja) 粘着テープ
JP2019214739A (ja) アクリル粘着剤及び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2016037592A (ja) アクリル粘着剤及び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6511314B2 (ja) 粘着テープ
JP2016069611A (ja) 両面粘着テープ
JP6523125B2 (ja) 両面粘着テープ、電子機器部品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車載部品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9094512A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16125044A (ja) 両面粘着テープ
JP6460788B2 (ja) 粘着シート
WO2020175368A1 (ja) 両面粘着テープ、電子機器部品及び電子機器
JP2019065301A (ja) 粘着シート
JP2016098259A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1910494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