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592A -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592A
KR20160058592A KR1020140160278A KR20140160278A KR20160058592A KR 20160058592 A KR20160058592 A KR 20160058592A KR 1020140160278 A KR1020140160278 A KR 1020140160278A KR 20140160278 A KR20140160278 A KR 20140160278A KR 20160058592 A KR20160058592 A KR 20160058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ype
well region
deepwe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8592A/ko
Priority to US14/691,277 priority patent/US9449916B2/en
Priority to TW104114111A priority patent/TWI666750B/zh
Priority to CN201510303450.2A priority patent/CN106206572A/zh
Publication of KR2016005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7Induc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6Via connection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95Body region, i.e. base region, of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92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2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2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01L2223/6661High-frequency adaptations for passive devices
    • H01L2223/6672High-frequency adaptations for passive devices for integrated passive components, e.g. semiconductor device with passive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3/645Indu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10I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알에프 집적회로는, 기판과, 기판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기판 내에서 노출되는 n형의 딥웰영역과, 그리고 딥웰영역 위에서 절연층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인덕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RF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들은 알에프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덕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실리콘 시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술을 이용한 알에프(RF) 집적회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알에프 집적회로는 시모스 프로세스의 미세화와 모스 소자의 고성능화에 의해 전체적인 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알에프 집적회로에서 모스 소자의 고성능화만으로 알에프 집적회로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는 알에프 집적회로 내에 많은 아날로그 수동소자, 예컨대 온칩 인덕터 소자 등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온칩 인덕터는 실리콘 기판의 기생 효과가 특성에 영향을 크게 미져 공정기술의 미세화만으로는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온칩 인덕터의 성능을 향ㅇ상시키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는데, 그 가운데 한 가지 방법은 실리콘 기판을 고저항화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시모스 프로세스를 진행하면서 실리콘 기판을 고저항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소자의 특성이 유지되도록 웰 구조나, 소스/드레인영역의 농도나, 또는 소자간분리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제약이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덕터 하부의 기판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인덕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에프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위와 같은 알에프 집적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는, 기판과, 기판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기판 내에서 노출되는 n형의 딥웰영역과, 그리고 딥웰영역 위에서 절연층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인덕터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n형의 제1 딥웰영역 및 제2 딥웰영역과, 제1 딥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반도체소자와, 그리고 제2 딥웰영역 위에서 절연층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인덕터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은,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n형 제1 딥웰영역 및 n형 제2 딥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n형 제1 딥웰영역 내에 p형 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p형 웰영역 내에 n형 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p형 웰영역에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n형 웰영역에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 딥웰영역 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인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은,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n형 제1 딥웰영역 및 n형 제2 딥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n형 제1 딥웰영역 내에 n형 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n형 웰영역 내에 p형 웰영역을 형성하되, p형 웰영역의 하부면이 n형 제1 딥웰영역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하는 단계와, p형 웰영역에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 딥웰영역 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인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덕터가 높은 저항 특성을 갖는 n형 딥웰영역의 노출된 상부면 위에 배치됨으로써 인덕터의 큐-인자(Q-factor)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알에프 집적회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4의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본 출원의 예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하부", 또는 "측면"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의 기재는, 다른 구성 요소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연결 관계 또는 접속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알에프 집적회로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도 2의 선 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 구조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다른 알에프 집적회로(100)는, 인덕터 요소(inductor element)(140, 151, 152)가 기판(110) 위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기판(110)은 p형 도전형을 갖는 실리콘기판일 수 있다. 비록 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기판(110)의 다른 영역에는 레지스터나 커패시터와 같은 다른 아날로그 수동 소자나 시모스(C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소자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기판(110)의 상부 영역에는 n형 딥웰영역(DNW)(120)이 배치된다. n형 딥웰영역(DNW)(120)의 측면 및 바닥면은 기판(110)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부면만 기판(110) 내에서 노출된다. n형 딥웰영역(DNW)(120)은, 일반적인 모스(MOS) 트랜지스터 내의 웰영역과는 다른 확산영역이다. 본 예에서의 n형 딥웰영역(DNW)(120)은, 알에프(RF) 집적회로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undesired interference)을 줄이고 노이즈(noise)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른 웰들보다 깊게 형성되는 확산영역이다. n형 딥웰영역(DNW)(120) 내에는 어떠한 다른 확산영역도 존재하지 않는다. n형 딥웰영역(DNW)(120)의 상부면은 기판(110)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서 n형 딥웰영역(DNW)(120)은, 1.2㎛ 내지 1.7㎛의 투사범위(Rp; projection range)를 가지며, 이에 따라 확산 공정의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는 있지만, 적어도 1.5㎛ 내지 2㎛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n형 딥웰영역(DNW)(120)의 도즈(dose)는 대략 1013/㎠이다.
n형 딥웰영역(DNW)(120)의 상부면과, 이를 둘러싸는 기판(110)의 노출면 위에는 절연층(130)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절연층(130)은 실리콘옥사이드(silicon oxide)층일 수 있다. 절연층(130) 내에는 인덕터 요소를 구성하는 하부 도전층(140)이 배치된다. 하부 도전층(140)은 절연층(130) 내에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절연층(140) 위에는, 하부 도전층(140)과 함께 인덕터 요소를 구성하는 제1 상부 도전층(151) 및 제2 상부 도전층(152)이 배치된다. 제1 상부 도전층(151)은 절연층(130) 내의 제1 비아(161)를 통해 하부 도전층(140)의 상부 표면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상부 도전층(152)은 절연층(130) 내의 제2 비아(162)를 통해 하부 도전층(140)의 상부 표면의 다른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도전층(151) 및 제2 상부 도전층(152)은, 제1 비아(161), 하부 도전층(140), 및 제2 비아(16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비아(161)에 연결되는 제1 상부 도전층(151)은 플래너 나선(planar spiral) 형태로 배치된다. 제1 상부 도전층(151)은 팔각형 형태의 표준(standard) 인덕터 구조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151)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스트라이프 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151)은, 저항률이 1-3Ω 정도로 매우 낮은 일반적인 실리콘 기판에서 발생하는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억제시키는 PGS(Patterned Ground Shield)를 적용한 인덕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151)은, 같은 면적에서 큰 인덕턴스 구현이 가능한 스택 인덕터 구조나, 또는 두 개의 금속층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공정상의 제한된 금속층의 유효 두께를 증가시킨 다층(multilayer) 인덕터 구조일 수도 있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층(130) 내의 하부 도전층(140)은 제1 상부 금속층(151) 및 제2 상부 금속층(15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 금속층(140), 제1 상부 금속층(151), 및 제2 상부 금속층(152)을 포함하는 인덕터 요소가 평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은, n형 딥웰영역(120)이 기판(110) 내에서 노출되는 상부면의 면적보다 작다. 인덕터 요소의 전체 평면 구조는 n형 딥웰영역(120)의 평면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인덕터 요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Q 지수(Q factor)는 식 Q=ωL/rs로 나타낼 수 있다. 식 Q=ωL/rs에서, ω는 각주파수이고, L은 인덕턴스이며, rs는 인덕터 요소의 배선의 직류저항과 표피 효과(skin effect) 성분 및 실리콘 기판 내에서의 손실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실리콘 기판 내에서의 손실은 기생 용량성 결합 및 에디 전류 생성에 의한 신호 손실에 의한 손실일 수 있다. 위 수학식 1에 따르면, 인덕터 요소의 Q 지수는 실리콘 기판 내에서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에 있어서, 인덕터 요소가 고저항 영역을 구성하는 n형 딥웰영역(DNW)(120) 위에 배치됨으로써, 실리콘 기판 내에서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인덕터 요소의 Q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다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300)는,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 및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를 포함하는 시모스(CMOS) 반도체소자와, 인덕터 요소(300C)가 동일한 기판(310)에 배치된다. 시모스 반도체소자는 기판(310)의 제1 영역(310-1)에 배치되고, 인덕터 요소(300C)는 기판(310)의 제2 영역(310-2)에 배치된다. 일 예에서 기판(310)은 p형의 실리콘기판일 수 있다. 제1 영역(310-1)에서 기판(310)의 상부영역에는 n형의 제1 딥웰영역(DNW1)(321)이 배치된다. 제2 영역(310-2)에서 기판(310)의 상부영역에는 n형의 제2 딥웰영역(DNW2)(322)이 배치된다. 비록 본 예에서는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제2 딥웰영역(DNW2)(322)이, 각각 기판(310)의 제1 영역(310-1) 및 제2 영역(310-2)에 배치되지만, 다른 예에서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제2 딥웰영역(DNW2)(322)은 기판(310)의 제1 영역(310-1) 및 제2 영역(310-2)에 걸쳐서 하나의 단일 딥웰영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딥웰영역(DNW1)(321)은, 알에프(RF) 집적회로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undesired interference)을 줄이고 노이즈(noise)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른 웰들보다 깊게 형성되는 확산영역이다. 제2 딥웰영역(DNW2)(322)은, 이와 같은 제1 딥웰영역(DNW1)(321) 형성시에 함께 형성된다. 즉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제2 딥웰영역(DNW2)(322)은, 동일한 이온주입공정 및 확산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제1 딥웰영역(DNW1)(321) 내에는 시모스 반도체소자를 구성하는 여러 확산영역들이 존재하지만, 제2 딥웰영역(DNW2)(322) 내에는 어떠한 다른 확산영역도 존재하지 않는다. 제2 딥웰영역(DNW2)(322)의 상부면은 기판(310)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서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제2 딥웰영역(DNW2)(322)은, 1.2㎛ 내지 1.7㎛의 투사범위(Rp; projection range)를 가지며, 이에 따라 확산 공정의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는 있지만, 적어도 1.5㎛ 내지 2㎛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제2 딥웰영역(DNW2)(322)의 도즈(dose)는 대략 1013/㎠이다.
제1 딥웰영역(DNW1)(321)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p형 웰영역(370)이 배치된다. p형 웰영역(370)의 일부 표면 부근의 영역은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의 채널영역(373)으로 작용한다. p형 웰영역(37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n형 웰영역(380)이 배치된다. n형 웰영역(380)의 일부 표면 부근의 영역은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의 채널영역(383)으로 작용한다. p형 웰영역(37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채널영역(373)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n+형 소스영역(371) 및 n+형 드레인영역(372)이 배치된다. 채널영역(373) 위에는 게이트절연층(391N) 및 게이트전극층(392N)이 배치된다. 게이트절연층(391N) 및 게이트전극층(392N)은, n+형 소스영역(371) 및 n+형 드레인영역(372)과, 그 사이의 채널영역(373)과 함께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를 구성한다.
n형 웰영역(38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채널영역(383)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p+형 소스영역(381) 및 p+형 드레인영역(382)이 배치된다. 채널영역(383) 위에는 게이트절연층(391P) 및 게이트전극층(392P)이 배치된다. 게이트절연층(391P) 및 게이트전극층(392P)은, p+형 소스영역(381) 및 p+형 드레인영역(382)과, 그 사이의 채널영역(383)과 함께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를 구성한다.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와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 사이에는 트랜치소자분리층(315)이 배치된다. 또한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와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를 포함하는 시모스 반도체소자 둘레에도 트랜치소자분리층(315)이 배치된다.
비록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1 딥웰영역(DNW1)(321)은 바이어스 인가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딥웰영역(DNW1)(321)은 바이어스 인가 라인으로부터 높은 포지티브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제1 딥웰영역(DNW1)(321)은, p형 웰영역(370)과 함께 제1 기생 pn 다이오드를 구성한다. 또한 p형 기판(310)과 함께 제2 기생 pn 다이오드를 구성한다. 제1 딥웰영역(DNW1)(321)에 높은 포지티브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기생 pn 다이오드 및 제2 기생 pn 다이오드는 턴 오프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기판(310)은 크로스-토크(cross-talk)로부터 절연된다.
제2 딥웰영역(DNW2)(322)의 상부면과, 이를 둘러싸는 기판(310)의 제2 영역(310-2)의 노출면 위에는 절연층(330)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절연층(330)은 실리콘옥사이드(silicon oxide)층일 수 있다. 절연층(330) 내에는 인덕터 요소(300C)를 구성하는 하부 도전층(340)이 배치된다. 하부 도전층(340)은 절연층(330) 내에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절연층(340) 위에는, 하부 도전층(340)과 함께 인덕터 요소를 구성하는 제1 상부 도전층(351) 및 제2 상부 도전층(352)이 배치된다. 제1 상부 도전층(351)은 절연층(330) 내의 제1 비아(361)를 통해 하부 도전층(340)의 상부 표면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상부 도전층(352)은 절연층(330) 내의 제2 비아(362)를 통해 하부 도전층(340)의 상부 표면의 다른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도전층(351) 및 제2 상부 도전층(352)은, 제1 비아(361), 하부 도전층(340), 및 제2 비아(36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덕터 요소(300C)를 구성하는 제1 상부 도전층(35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래너 나선(planar spiral) 형태로 배치된다. 제1 상부 도전층(351)은 팔각형 형태의 표준(standard) 인덕터 구조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351)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스트라이프 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351)은, 저항률이 1-3Ω 정도로 매우 낮은 일반적인 실리콘 기판에서 발생하는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억제시키는 PGS(Patterned Ground Shield)를 적용한 인덕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351)은, 같은 면적에서 큰 인덕턴스 구현이 가능한 스택 인덕터 구조나, 또는 두 개의 금속층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공정상의 제한된 금속층의 유효 두께를 증가시킨 다층(multilayer) 인덕터 구조일 수도 있다. 절연층(330) 내의 하부 도전층(340)은 제1 상부 금속층(351) 및 제2 상부 금속층(35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 금속층(340), 제1 상부 금속층(351), 및 제2 상부 금속층(352)을 포함하는 인덕터 요소(300C)가 평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은, 제2 딥웰영역(DNW2)(322)이 기판(310) 내에서 노출되는 상부면의 면적보다 작다. 인덕터 요소(300C)의 전체 평면 구조는 제2 딥웰영역(DNW2)(322)의 평면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식 Q=ωL/rs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덕터 요소(300C)의 특성을 나타내는 Q 지수(Q factor)는, 기판 내에서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에 있어서, 인덕터 요소(300C)가 고저항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딥웰영역(DNW2)(322) 위에 배치됨으로써, 기판(310) 내에서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인덕터 요소(300C)의 Q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예에서 기판(310)의 제1 영역(310-1)에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 및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가 함께 배치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예에서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가 단독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가 단독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가 단독으로 배치되는 경우, p형 웰영역(370) 내에 n형 웰영역(38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400)는,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와, 인덕터 요소(400C)가 동일한 기판(410)에 배치된다.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는 기판(410)의 제1 영역(410-1)에 배치되고, 인덕터 요소(400C)는 기판(410)의 제2 영역(410-2)에 배치된다. 일 예에서 기판(410)은 p형의 실리콘기판일 수 있다. 제1 영역(410-1)에서 기판(410)의 상부영역에는 n형의 제1 딥웰영역(DNW1)(421)이 배치된다. 제2 영역(410-2)에서 기판(410)의 상부영역에는 n형의 제2 딥웰영역(DNW2)(422)이 배치된다. 비록 본 예에서는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제2 딥웰영역(DNW2)(422)이, 각각 기판(410)의 제1 영역(410-1) 및 제2 영역(410-2)에 배치되지만, 다른 예에서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제2 딥웰영역(DNW2)(422)은 기판(410)의 제1 영역(410-1) 및 제2 영역(410-2)에 걸쳐서 하나의 단일 딥웰영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딥웰영역(DNW1)(421)은, 알에프(RF) 집적회로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undesired interference)을 줄이고 노이즈(noise)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른 웰들보다 깊게 형성되는 확산영역이다. 제2 딥웰영역(DNW2)(422)은, 이와 같은 제1 딥웰영역(DNW1)(421) 형성시에 함께 형성된다. 즉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제2 딥웰영역(DNW2)(422)은, 동일한 이온주입공정 및 확산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제1 딥웰영역(DNW1)(421) 내에는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를 구성하는 여러 확산영역들이 존재하지만, 제2 딥웰영역(DNW2)(422) 내에는 어떠한 다른 확산영역도 존재하지 않는다. 제2 딥웰영역(DNW2)(422)의 상부면은 기판(410)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서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제2 딥웰영역(DNW2)(422)은, 1.2㎛ 내지 1.7㎛의 투사범위(Rp; projection range)를 가지며, 이에 따라 확산 공정의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는 있지만, 적어도 1.5㎛ 내지 2㎛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제2 딥웰영역(DNW2)(422)의 도즈(dose)는 대략 1013/㎠이다.
제1 딥웰영역(DNW1)(421)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n형 웰영역(425)이 배치된다. n형 웰영역(425) 내에는 p형 웰영역(470)이 배치된다. p형 웰영역(470)의 하부면은 제1 딥웰영역(DNW1)(421)의 상부면과 접한다. p형 웰영역(470)의 측면은 n형 웰영역(425)에 의해 둘러싸인다. p형 웰영역(470)의 일부 표면 부근의 영역은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의 채널영역(473)으로 작용한다. p형 웰영역(47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채널영역(473)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n+형 소스영역(471) 및 n+형 드레인영역(472)이 배치된다. 채널영역(473) 위에는 게이트절연층(491N) 및 게이트전극층(492N)이 배치된다. 게이트절연층(491N) 및 게이트전극층(492N)은, n+형 소스영역(471) 및 n+형 드레인영역(472)과, 그 사이의 채널영역(473)과 함께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를 구성한다.
n형 웰영역(425)의 상부 표면 부근에는 n+형 웰컨택영역(427)이 배치된다. n+형 웰컨택영역(427)은 컨택을 통해 바이어스를 인가받으며, 이 바이어스는 n형 웰영역(425)을 통해 제1 딥웰영역(DNW1)(421)으로 인가된다. p형 웰영역(470)의 상부 표면 부근에는 p+형 웰컨택영역(474)이 배치된다. p+형 웰컨택영역(474)은 컨택을 통해 바이어스를 인가받으며, 이 바이어스는 p형 웰영역(470)으로 인가될 수 있다. p형 웰영역(470)과 n형 웰영역(425) 사이의 상부와, p+형 웰컨택영역(474)과 n+형 웰컨택영역(427) 사이에는 트랜치소자분리층(415)이 배치된다.
제1 딥웰영역(DNW1)(421)은, p형 웰영역(470)과 함께 제1 기생 pn 다이오드를 구성한다. 또한 p형 기판(310)과 함께 제2 기생 pn 다이오드를 구성한다. 제1 딥웰영역(DNW1)에 높은 포지티브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기생 pn 다이오드 및 제2 기생 pn 다이오드는 턴 오프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기판(310)은 크로스-토크(cross-talk)로부터 절연된다.
제2 딥웰영역(DNW2)(422)의 상부면과, 이를 둘러싸는 기판(410)의 제2 영역(410-2)의 노출면 위에는 절연층(430)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절연층(430)은 실리콘옥사이드(silicon oxide)층일 수 있다. 절연층(430) 내에는 인덕터 요소(400C)를 구성하는 하부 도전층(440)이 배치된다. 하부 도전층(440)은 절연층(430) 내에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절연층(440) 위에는, 하부 도전층(440)과 함께 인덕터 요소를 구성하는 제1 상부 도전층(451) 및 제2 상부 도전층(452)이 배치된다. 제1 상부 도전층(451)은 절연층(430) 내의 제1 비아(461)를 통해 하부 도전층(440)의 상부 표면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상부 도전층(452)은 절연층(430) 내의 제2 비아(462)를 통해 하부 도전층(440)의 상부 표면의 다른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도전층(451) 및 제2 상부 도전층(452)은, 제1 비아(461), 하부 도전층(440), 및 제2 비아(46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덕터 요소(400C)를 구성하는 제1 상부 도전층(45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래너 나선(planar spiral) 형태로 배치된다. 제1 상부 도전층(451)은 팔각형 형태의 표준(standard) 인덕터 구조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451)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스트라이프 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451)은, 저항률이 1-3Ω 정도로 매우 낮은 일반적인 실리콘 기판에서 발생하는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억제시키는 PGS(Patterned Ground Shield)를 적용한 인덕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도전층(451)은, 같은 면적에서 큰 인덕턴스 구현이 가능한 스택 인덕터 구조나, 또는 두 개의 금속층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공정상의 제한된 금속층의 유효 두께를 증가시킨 다층(multilayer) 인덕터 구조일 수도 있다. 절연층(430) 내의 하부 도전층(440)은 제1 상부 금속층(451) 및 제2 상부 금속층(45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 금속층(440), 제1 상부 금속층(451), 및 제2 상부 금속층(452)을 포함하는 인덕터 요소(400C)가 평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은, 제2 딥웰영역(DNW2)(422)이 기판(410) 내에서 노출되는 상부면의 면적보다 작다. 인덕터 요소(400C)의 전체 평면 구조는 제2 딥웰영역(DNW2)(422)의 평면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식 Q=ωL/rs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덕터 요소(400C)의 특성을 나타내는 Q 지수(Q factor)는, 기판 내에서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알에프 집적회로(400)에 있어서, 인덕터 요소(400C)가 고저항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딥웰영역(DNW2)(422) 위에 배치됨으로써, 기판(410) 내에서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인덕터 요소의 Q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예에서 기판(410)의 제1 영역(410-1)에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가 배치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예에서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도 있고,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와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가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310-1) 및 제2 영역(310-2)을 갖는 기판(310)에 트랜치소자분리층(315)을 형성한다. 기판(310)은 p형의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트랜치소자분리층(315)은 액티브영역을 한정한다. 다음에 이온주입공정 및 확산공정을 수행하여, 기판(310)의 제1 영역(310-1) 및 제2 영역(310-2)에 각각 n형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을 형성한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 형성을 위해 기판(310) 위에 이온주입마스크패턴을 미리 형성할 수 있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합깊이 및 도즈를 갖는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공정은, 대략 1.2㎛ 내지 1.7㎛의 투사범위(Rp; projection range)를 갖는 조건과, 대략 1013/㎠의 도즈 조건으로 수행한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3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은 적어도 1.5㎛ 내지 2㎛의 깊이를 갖는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제1 딥웰영역(DNW1)(321) 내에 p형 웰영역(370)을 형성한다. p형 웰영역(370) 내에 n형 웰영역(380)을 형성한다. n형 웰영역(380)의 일부 표면 위와 p형 웰영역(370)의 일부 표면 위에, 각각 게이트절연층(391P) 및 게이트전극층(392P)의 게이트구조와, 게이트절연층(391N) 및 게이트전극층(392N)의 게이트구조를 형성한다. 이 게이트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해, n형 웰영역(380) 및 p형 웰영역(370)의 상부 일정 영역에 각각 문턱전압 조절용 이온주입공정을 수행하여 채널영역들(383, 37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게이트구조들의 각각은 채널영역들(383, 373)의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중첩된다. 다음에 n+형 불순물의 선택적 이온주입을 수행하여, n+형 소스영역(371) 및 n+형 드레인영역(372)을 형성한다. 또한 p+형 불순물의 선택적 이온주입을 수행하여, p+형 소스영역(381) 및 p+형 드레인영역(382)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기판(310)의 제1 영역(301-1)에는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P)와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300N)로 이루어지는 시모스 반도체소자가 만들어진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310)의 제2 영역(310-2)에 인덕터 요소(300C)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기판(310)의 노출부분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의 상부면 위에 절연층(330)을 형성한다. 일 예에서 절연층(330)은 실리콘옥사이드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금속층(340)은 절연층(330) 내에 매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절연층(330)은 복수의 형성 단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속층(340)은 수직 방향으로 n형 제2 딥웰영역(DNW2)(322)과 중첩된다. 하부 금속층(340)의 양 단부는 각각 제1 비아(361) 및 제2 비아(362)에 연결된다. 제1 비아(361) 및 제2 비아(362)는 절연층(330)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제1 비아(361)에 연결되는 제1 상부 금속층(351)과, 제2 비아(362)에 연결되는 제2 상부 금속층(352)을 형성하여 인덕터 요소(300C)를 형성한다. 제1 상부 금속층(35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평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4의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410-1) 및 제2 영역(410-2)을 갖는 기판(410)에 트랜치소자분리층(415)을 형성한다. 기판(410)은 p형의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트랜치소자분리층(415)은 액티브영역을 한정한다. 다음에 이온주입공정 및 확산공정을 수행하여, 기판(410)의 제1 영역(410-1) 및 제2 영역(410-2)에 각각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을 형성한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 형성을 위해 기판(410) 위에 이온주입마스크패턴을 미리 형성할 수 있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합깊이 및 도즈를 갖는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공정은, 대략 1.2㎛ 내지 1.7㎛의 투사범위(Rp; projection range)를 갖는 조건과, 대략 1013/㎠의 도즈 조건으로 수행한다.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은 적어도 1.5㎛ 내지 2㎛의 깊이를 갖는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내에 n형 웰영역(425)을 형성한다. n형 웰영역(425)의 측면 및 하부면은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에 의해 둘러싸인다. 일 예에서 n형 웰영역(425)의 측면 상부는 트랜치소자분리층(415)과 접할 수 있다. n형 웰영역(425)의 접합 깊이는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보다 얕으며, 이를 위해 n형 웰영역(425)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은,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에서의 투사범위(Rp)보다 낮은 투사범위(Rp)를 갖는 조건으로 수행된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웰영역(425) 내에 p형 웰영역(470)을 형성한다. p형 웰영역(470)의 측면은 n형 웰영역(425)에 의해 둘러싸인다. p형 웰영역(470)의 바닥면은 n형 제1 딥웰영역(DNW1)(421)의 상부면과 직접 접한다. 다음에 p형 웰영역(470)의 일부 표면 위에 게이트절연층(491N) 및 게이트전극층(492N)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불순물의 선택적 이온주입을 수행하여, n+형 소스영역(471) 및 n+형 드레인영역(472)과, 그리고 n+형 웰컨택영역(427)을 형성한다. n+형 소스영역(471) 및 n+형 드레인영역(472)은 p형 웰영역(470)의 상부에 형성되고, n+형 웰컨택영역(427)은 n형 웰영역(470) 상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p+형 불순물의 선택적 이온주입을 수행하여, p+형 웰컨택영역(474)을 형성한다. p+형 웰컨택영역(474)은, p형 웰영역(470)의 상부에서 n+형 소스영역(471) 및 n+형 드레인영역(472)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p+형 웰컨택영역(474)과 n+형 소스영역(471) 및 n+형 드레인영역(472) 사이에는 트랜치 소자분리층(415)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기판(410)의 제1 영역(410-1)에는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가 만들어진다. 이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400N)는, n+형 웰컨택영역(427), p+형 웰컨택영역(474), n+형 소스영역(471), n+형 드레인영역(472), 및 게이트전극층(492N)이 각각의 단자(terminal)에 연결되는 5 단자 구조를 갖는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410)의 제2 영역(410-2)에 인덕터 요소(400C)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기판(410)의 노출부분 및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의 상부면 위에 절연층(430)을 형성한다. 일 예에서 절연층(430)은 실리콘옥사이드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금속층(440)은 절연층(430) 내에 매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절연층(430)은 복수의 형성 단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속층(440)은 수직 방향으로 n형 제2 딥웰영역(DNW2)(422)과 중첩된다. 하부 금속층(440)의 양 단부는 각각 제1 비아(461) 및 제2 비아(462)에 연결된다. 제1 비아(461) 및 제2 비아(462)는 절연층(430)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제1 비아(461)에 연결되는 제1 상부 금속층(451)과, 제2 비아(462)에 연결되는 제2 상부 금속층(452)을 형성하여 인덕터 요소(400C)를 형성한다. 제1 상부 금속층(45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평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100...인덕터 요소 110...기판
120...딥웰영역(DNW) 130...절연층
140...하부 금속층 161...제1 비아
162...제2 비아 151...제1 상부 금속층
152...제2 상부 금속층

Claims (24)

  1.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기판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n형의 딥웰영역; 및
    상기 딥웰영역 위에서 절연층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절연층 내에 배치되는 하부 금속층;
    상기 하부 금속층의 일 단에 제1 비아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상부 금속층; 및
    상기 하부 금속층의 다른 단에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상부 금속층을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딥웰영역의 상부면과 상기 절연층의 하부면은 집적 접촉되는 알에프 집적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과, 제1 상부 금속층 및 제2 상부 금속층의 하부면은 집적 접촉되는 알에프 집적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딥웰영역은, 1.2㎛ 내지 1.7㎛의 투사범위(projection range)를 갖는 알에프 집적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전체 평면 구조는 상기 딥웰영역의 평면 구조 내부에 위치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7.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n형의 제1 딥웰영역 및 제2 딥웰영역;
    상기 제1 딥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반도체소자; 및
    상기 제2 딥웰영역 위에서 절연층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딥웰영역은 상부면이 상기 제2 영역의 기판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알에프 집적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절연층 내에 배치되는 하부 금속층;
    상기 하부 금속층의 일 단에 제1 비아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상부 금속층; 및
    상기 하부 금속층의 다른 단에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상부 금속층을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딥웰영역의 상부면과 상기 절연층의 하부면은 집적 접촉되는 알에프 집적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과, 상기 제1 상부 금속층 및 제2 상부 금속층의 하부면은 집적 접촉되는 알에프 집적회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전체 평면 구조는 상기 제2 딥웰영역의 평면 구조 내부에 위치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딥웰영역 및 제2 딥웰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투사범위를 갖는 알에프 집적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범위는, 1.2㎛ 내지 1.7㎛인 알에프 집적회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는,
    상기 제1 딥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p형의 웰영역;
    상기 p형의 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n형의 웰영역; 및
    상기 n형의 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는,
    상기 제1 딥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p형의 웰영역; 및
    상기 p형의 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는,
    상기 제1 딥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p형의 웰영역;
    상기 p형의 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n형의 웰영역;
    상기 n형의 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p형의 웰영역 내에서 상기 n형의 웰영역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는,
    상기 제1 딥웰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p형의 웰영역;
    상기 제1 딥웰영역의 상부와 접하면서 상기 p형의 웰영역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n형의 웰영역; 및
    상기 p형의 웰영역 내에 배치되는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19.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n형 제1 딥웰영역 및 n형 제2 딥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제1 딥웰영역 내에 p형 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웰영역 내에 n형 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웰영역에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웰영역에 p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딥웰영역 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인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1 딥웰영역 및 n형 제2 딥웰영역은, 1.2㎛ 내지 1.7㎛의 투사범위를 갖는 조건의 이온주입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하는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층 내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금속층의 양 단에 각각 제1 비아 및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 위에 제1 상부 금속층 및 제2 상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2.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n형 제1 딥웰영역 및 n형 제2 딥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제1 딥웰영역 내에 n형 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웰영역 내에 p형 웰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p형 웰영역의 하부면이 상기 n형 제1 딥웰영역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p형 웰영역에 n채널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딥웰영역 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인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1 딥웰영역 및 n형 제2 딥웰영역은, 1.2㎛ 내지 1.7㎛의 투사범위를 갖는 조건의 이온주입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하는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층 내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금속층의 양 단에 각각 제1 비아 및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 위에 제1 상부 금속층 및 제2 상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KR1020140160278A 2014-11-17 2014-11-17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8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78A KR20160058592A (ko) 2014-11-17 2014-11-17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US14/691,277 US9449916B2 (en) 2014-11-17 2015-04-20 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including inductor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TW104114111A TWI666750B (zh) 2014-11-17 2015-05-04 含有電感器的射頻積體電路及製造其之方法
CN201510303450.2A CN106206572A (zh) 2014-11-17 2015-06-04 包括电感器的射频集成电路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78A KR20160058592A (ko) 2014-11-17 2014-11-17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92A true KR20160058592A (ko) 2016-05-25

Family

ID=5596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278A KR20160058592A (ko) 2014-11-17 2014-11-17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49916B2 (ko)
KR (1) KR20160058592A (ko)
CN (1) CN106206572A (ko)
TW (1) TWI666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4267B2 (en) * 2017-09-28 2020-10-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mbedded semiconductor region for latch-up susceptibility improvement
CN109786080A (zh) * 2019-03-11 2019-05-21 中国计量大学 一种光控集成片上电感
KR20210099947A (ko) * 2020-02-05 2021-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고주파 패키지 및 고주파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3922A (en) * 1987-11-27 1990-11-27 At&T Bell Laboratories Voltage controlled variable capacitor and oscillator using it
US6407441B1 (en) * 1997-12-29 2002-06-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using porous silicon to achieve component isolation in radio frequency applications
US20020125537A1 (en) 2000-05-30 2002-09-12 Ting-Wah Wong Integrated radio frequency circuits
US6608362B1 (en) * 2002-08-20 2003-08-19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capacitive and magnetic effects from a substrate by using a schottky diode under passive components
US6841847B2 (en) * 2002-09-04 2005-01-11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3-D spiral stacked inductor on semiconductor material
US6989578B2 (en) * 2003-07-31 2006-01-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Inductor Q value improvement
US7460001B2 (en) * 2003-09-25 2008-12-0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inductor for integrated circuit and printed circuit board
US6949440B2 (en) * 2003-11-11 2005-09-27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a varactor
US7376212B2 (en) * 2004-06-03 2008-05-20 Silicon Laboratories Inc. RF isolator with differential input/output
CN101312186A (zh) * 2007-05-21 2008-11-2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集成电路内电感及其制造方法
KR100954919B1 (ko) * 2007-12-17 2010-04-2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용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5268345B2 (ja) * 2007-12-20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ダクタ
TWI438696B (zh) * 2009-08-21 2014-05-21 Univ Nat Chiao Tung Chip i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42393B2 (ja) * 2011-06-10 2016-01-13 富士通株式会社 受光デバイス、これを用いた光受信機、及び受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8610247B2 (en) * 2011-12-30 2013-12-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ucture and method for a transformer with magnetic features
CN103474415B (zh) * 2012-06-06 2016-08-3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电感及其形成方法
US9048284B2 (en) * 2012-06-28 2015-06-02 Skyworks Solutions, Inc. Integrated RF front end system
JP6055275B2 (ja) * 2012-11-05 2016-12-27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411086B2 (en) * 2014-04-07 2019-09-1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High voltage capacit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0109A (zh) 2016-06-01
US20160141245A1 (en) 2016-05-19
CN106206572A (zh) 2016-12-07
TWI666750B (zh) 2019-07-21
US9449916B2 (en)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843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JP7311941B2 (ja) 寄生容量が低減されたデバイスアイソレーター
US7285453B2 (en) Triple wel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11227B (zh) 具有改善之通道間絕緣的積體濾波器結構
JP6131114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000561B2 (en) Patterned ground shield structures and semiconductor devices
JP2007067012A (ja) 半導体装置
WO2018088165A1 (ja) 半導体装置
US812010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201401519A (zh) 積體電路裝置及其製造方法
US9236471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40183B (zh) 超高電壓n型金屬氧化物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KR20160058592A (ko) 알에프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US9876006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9397090B1 (en) Semiconductor device
US9443754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high-voltage diode
KR10217725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59649A (ko) 높은 q-인자를 갖는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알에프 집적회로
JP5068057B2 (ja) 半導体装置
TW201539745A (zh) 高壓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TW201351612A (zh) 半導體元件、其製造方法及其操作方法
US8669639B2 (en) Semiconducto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054656A1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658999A (zh) 用于多层结构的层间连接件
US7863644B1 (en)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bipolar transistor with a backside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