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529A -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529A
KR20160052529A KR1020167002459A KR20167002459A KR20160052529A KR 20160052529 A KR20160052529 A KR 20160052529A KR 1020167002459 A KR1020167002459 A KR 1020167002459A KR 20167002459 A KR20167002459 A KR 20167002459A KR 20160052529 A KR20160052529 A KR 2016005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urifying
purifying case
engine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후미 코니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151)의 지지 구조 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농업 기계 또는 건설 기계 등의 작업 차량에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151)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151)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의 배기관(119)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151)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주행 기체(1)에 엔진룸 프레임(91)을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91)에 의해 엔진룸(97)을 형성하고, 엔진룸(97) 내에 디젤엔진(14)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151)를 고착해서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114)을 구비하고, 디젤엔진(14) 또는 엔진룸 프레임(91)에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114)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ENGINE DEVICE TO BE MOUNTED ON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엔진을 탑재한 농업 기계(콤바인, 트랙터) 또는 건설 기계(불도저, 유압삽, 로드) 등의 작업 차량에 관계되고, 보다 자세하게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매연, 파티큘레이트), 또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질(NOx) 등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가스 정화 케이스)가 구비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기로서의 콤바인은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에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를 설치하고,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를 구동 제어해서 포장 등을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은 포장에 세워 심은 미예취 곡간(穀稈)의 밑둥을 예취날 장치에 의해 절단하고, 곡간 반송 수단으로서의 곡간 반송 장치에 의해 탈곡 장치에 그 곡간을 반송하고, 탈곡 장치에 의해 그 곡간을 탈곡해서 곡립을 수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종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가스 정화 케이스)가 엔진의 상면에 배치되고,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향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0-209813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은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매연, 파티큘레이트)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질(NOx)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가 설치되는 구조에서는 엔진룸 내에 엔진과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엔진룸의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용적 등이 서로 제한됨과 아울러,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지지 구조 등을 간략화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화물 자동차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주행 기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배기가스 정화 장치 내의 배기가스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저하되고, 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것들의 현재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동일 원주 상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縱置) 자세로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된 기계 프레임 또는 인접하는 작업부의 기계 프레임에 상기 각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가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종치 자세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과 측면 지지 브래킷을 배치하고, 상기 앞면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주로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측면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주로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센서 브래킷의 기단측을 고착시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부터 외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상기 센서 브래킷의 선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차압 센서를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하단측에 드레인구를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걸이 금구체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한편,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테일 파이프를 접속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고착해서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 또는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동일 원주 상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각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각종 작업기의 섀시 프레임 등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다면적(다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어,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젤엔진에 대하여 이간된 상기 섀시 프레임 등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횡치(橫置) 지지 구조에 비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근접시킨 위치에서, 그 배기 매니폴드보다 고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디젤엔진과 주변 기기(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등)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작업기에 상기 디젤엔진을 설치한 상태 하에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조작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된 기계 프레임 또는 인접하는 작업부의 기계 프레임에 상기 각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내진성을 향상시켜서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디젤엔진과 작업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가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종치 자세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과 측면 지지 브래킷을 배치하고, 상기 앞면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주로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측면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주로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하는 종치 자세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근접시킨 위치에서, 그 배기 매니폴드보다 고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디젤엔진과 주변 기기(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등)의 장착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젤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센서 브래킷의 기단측을 고착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부터 외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상기 센서 브래킷의 선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차압 센서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상기 엔진룸 용적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용적이 제한되지 않는 것이면서, 상기 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고온부에 대하여 상기 차압 센서를 이간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차압 센서에 대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온도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압 센서 등에 대한 전기 배선도 간략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하단측에 드레인구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상기 드레인구로부터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걸이 금구체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등에 상기 걸이 금구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매달아서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한편,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테일 파이프를 접속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상기 엔진룸 용적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용적이 제한되지 않는 것이면서, 상기 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엔진룸과, 인접하는 작업부(상기 탈곡 장치 또는 상기 곡물 탱크 등) 사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치 자세의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하단측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최단거리로 접속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접하는 작업부(상기 탈곡 장치 등)의 고위치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어, 상기 테일 파이프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고착해서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 또는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지지 구조 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농업 기계 또는 건설 기계 등의 작업 차량에 상기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유닛으로서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콤팩트하게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자기 재생 능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엔진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6조 예취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부의 배면시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정면시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8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6조 예취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부의 배면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정면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6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로서의 도 1∼도 3(제 2 실시형태의 도 9∼도 11)을 참조하여, 디젤엔진이 탑재된 작업기로서의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순히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순히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3(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2)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수확하는 6조 예취용의 예취 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주위에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 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그 탈곡 장치(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물 탱크(7)가 횡배열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 장치(5)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 좌측에, 곡물 탱크(7)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선회 가능한 배출 오거(8)가 설치되어 곡물 탱크(7)의 내부의 곡립이 배출 오거(8)의 벼 배출구(9)로부터 트럭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3)의 우측방이며 곡물 탱크(7)의 전측방에는 운전 캐빈(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10)의 앞면 하부에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통해서 주행 기체(1)에 운전 캐빈(10)의 앞면 하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기 외측방을 향해서 운전 캐빈(1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 주위에서 운전 캐빈(10)을 전방을 향해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내에는 조종 핸들(11)과, 운전 좌석(12)과, 주변속 레버(15)와, 부변속 스위치(16)와,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를 접속/차단 조작하는 작업 클러치 레버(17)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하방의 주행 기체(1)에는 동력원으로서의 디젤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과, 조종 핸들(11)을 설치한 핸들 컬럼과, 상기 각 레버(15, 17) 및 스위치(16) 등을 설치한 레버 컬럼이 배치되어 있다.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14)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와,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유지하는 중간 롤러(25)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전방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후방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 도 2(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의 예취 회동 지점축(4a)에 연결한 예취 프레임(51)의 하방에는 포장에 세워 심은 미예취 곡간(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51)의 전방에는 포장에 세워 심은 미예취 곡간을 일으키는 6조분의 곡간 일으킴 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일으킴 장치(53)와 피드 체인(6)의 전단부(이송 시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52)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54)가 배치된다. 또한, 곡간 일으킴 장치(53)의 하부 전방에는 미예취 곡간을 분초하는 6조분의 분초체(55)가 돌출되어 있다.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3)에 의해 포장에 세워 심은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한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도 9 및 도 11)를 참조하여 탈곡 장치(5)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의 급동(56)과, 급동(56)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57) 및 풍구팬(58)과, 급동(56)의 후방부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동(59)과, 요동 선별반(57)의 후방부의 배진을 배출하는 배진팬(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취 장치(3)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5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은 피드 체인(6)에 계승되어서, 탈곡 장치(5)에 반입되어서 급동(56)에 의해 탈곡된다.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57)에 의해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61)와, 지경부착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반(57)은 급동(56)의 하방에 장설(張設)된 받침망(67)으로부터 누하(漏下)된 탈곡물이 피드팬(68) 및 채프 시브(69)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57)으로부터 낙하한 곡립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팬(5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1번 컨베이어(61)에 낙하한다. 1번 컨베이어(6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양곡 컨베이어(63)를 통해서 곡물 탱크(7)에 반입되어, 곡물 탱크(7)에 수집된다.
또한,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은 요동 선별에 의해 채프 시브(69)로부터 지경부착곡립 등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62)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채프 시브(69)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2번물을 바람에 의해 선별하는 선별팬(71)을 구비한다. 채프 시브(69)로부터 낙하한 2번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 및 짚 부스러기가 선별팬(71)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2번 컨베이어(62)에 낙하한다. 2번 컨베이어(62)의 종단부는 환원 컨베이어(66)를 통해서 피드팬(68)의 후방부의 상면측에 연통 접속되어, 2번물을 요동 선별반(67)의 상면측으로 되돌려서 재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배고(排藁) 체인(64)과 배고 커터(65)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으로부터 배고 체인(64)에 계승된 배고(곡립이 탈립된 벼)는 긴 상태로 주행 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5)의 후방부에 설치된 배고 커터(65)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뒤, 주행 기체(1)의 후방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도 4∼도 8을 참조하여 연속 재생 가능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 DPF, 셀렉티브 캐털리틱 리덕션: SCR)로서의,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을 제거하는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및 그 부착 구조와,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질(NOx)을 제거하는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 및 그 부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는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연속 재생식의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는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를 갖는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79)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수트필터(80)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도 8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직렬로 배열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 내의 디젤 산화 촉매(79)와 수트필터(80)에 의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152)와, 산화 촉매(153)가 내설된다.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세로로 긴 장척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내부에 SCR 촉매(152)와 산화 촉매(153)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도 8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직렬로 배열하고 있다.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통형상 하단측에는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SCR 입구관(154)을 설치하고 있다.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통형상 상단측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SCR 출구관(15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로부터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 송급되는 배기가스 중에 요소수를 혼합시키는 요소 혼합관(15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정화 출구관(82)에 요소 혼합관(156)의 입구측을 접속시켜, 요소 혼합관(156) 내에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소 혼합관(156)의 출구측에 SCR 입구관(154)을 접속시킴과 아울러, SCR 출구관(155)에 테일 파이프(83)를 연결하고 있다.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을 약 90도 변경하는 요소 혼합관(156)의 엘보관부에 요소수 분사 노즐(157)을 설치하고, SCR 입구관(74)에 접속시키는 요소 혼합관(156)의 장척인 원통상의 직관부의 안쪽 구멍을 향해서 요소수 분사 노즐(157)로부터 요소수용액을 분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요소수 탱크 내의 요소수용액을 압송하는 요소수 분사 펌프와, 요소수 분사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요소수 분사 펌프에 요소수 분사관을 통해서 요소수 분사 노즐(157)을 접속시켜 요소 혼합관(156)의 내부에 요소수 분사 노즐(157)로부터 요소수용액을 분무하는 것이며, 요소 혼합관(156) 내에 공급되는 요소수가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로부터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 이르는 배기가스 중에 암모니아로서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산화 촉매(79) 및 수트필터(80)에 의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된다. 이어서, 요소 혼합관(156)의 내부에서 디젤엔진(5)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요소수 분사 노즐(157)로부터의 요소수가 혼합된다. 그리고,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 내의 SCR 촉매(152), 산화 촉매(153)에 의해 요소수가 암모니아로서 혼합된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질(NOx)을 저감시킨다. 즉,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나, 질소산화물질(NOx)이 저감된 배기가스를 테일 파이프(83)로부터 기 외로 방출시킨다.
또한,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76)에 배기가스 입구관으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용접 고정함과 아울러, 출구측 덮개체(78)에 배기가스 출구관으로서의 정화 출구관(82)을 고착한다. 요소 혼합관(156)에 정화 출구관(82)을 접속하고 있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가 정화 입구관(81)으로부터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로 도입되고,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배기가스가 정화 출구관(82)으로부터 요소 혼합관(156)으로 배출되고,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 송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는 복수 세트의 후판상 중간 플랜지체(84)와 복수개의 볼트(8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 촉매(79)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수트필터(80) 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수트필터(80)에 포집되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 상에 엔진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주행 기체(1) 상면측에 적재한 디젤엔진(14)의 뒷면측을 엔진룸 프레임(91)으로 둘러싼다. 엔진룸 프레임(91)은 좌측의 각파이프상 지주체(92)와, 우측의 각파이프상 지주체(93)와, 좌우의 지주체(92, 93)에 양단측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는 각파이프상 횡프레임(94)을 갖는다. 또한, 운전 캐빈(10)의 저면 후방부에 고무제의 압접 다리체(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횡프레임(94)의 좌우의 받침대(96) 상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운전 캐빈(10) 저부의 압접 다리체를 접촉하고, 횡프레임(94)의 각 받침대(96)에 운전 캐빈(10)의 후방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저면측과 엔진룸 프레임(91)으로 형성되는 엔진룸(97)에 디젤엔진(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횡프레임(94)에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를 일체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또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과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외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으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의 전방부를 후측방으로부터 감착(嵌着)시켜,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측면과 앞면 지지 브래킷(114)에 좌우 방향으로부터 나사 고정 조작하는 볼트(116)에 의해,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즉, 엔진룸 프레임(91)에 의해 엔진룸(97)을 형성하고, 엔진룸(97) 내에 디젤엔진(14)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고착해서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앞면 지지 브래킷(114)(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구비하고, 디젤엔진(14) 또는 엔진룸 프레임(91)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즉, 캐빈(10)의 하방측에 엔진룸(97)을 형성함과 아울러, 주행 기체(1)의 전방 상방(기 외측방)을 향해서 캐빈(1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캐빈(10)을 지지하는 받침대(96)와,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지지하는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를 엔진룸 프레임(91)의 동일 부위[횡프레임(94)]에 배치하고,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 대하여 캐빈(10)을 접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캐빈(10) 배면에 설치된 공기 조절용 팬(115)의 공기 배출부에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외측면에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외측면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과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으로 배치한다. 측면 지지 브래킷(141)에 장착 조절판(142)의 일단측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체결함과 아울러, 탈곡 장치(5)의 기계 하우징 프레임(144) 우측면에 본기측 지지 브래킷(143)을 체결하고, 장착 조절판(142)의 타단측에 본기측 지지 브래킷(143)을 체결한다. 장착 조절판(142)을 통해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측면 지지 브래킷(141)과 본기측 지지 브래킷(143)을 연결 고정시킨다.
즉,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 프레임(91)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통해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가 종치 자세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하단측의 배기가스 공급측 중,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앞측면에 정화 입구관(81)을 획측 전방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하고, 엔진(14) 상면측(기체 전방)을 향해서 정화 입구관(81)을 연장 설치하고 있다. 출력축(112)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주행 기체(1)에 탑재한 엔진(14)의 앞면측 상부에 배기 매니폴드(117)와 과급기(118)를 배치하고 있다. 정화 입구관(81)에 절곡 가능한 주름상자상 관(98)을 통해서 배기 연결관(119)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과급기(118)의 배기 출구관(99)에 배기 연결관(119)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117)에 과급기(118)와 배기 연결관(119)을 통해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가 연통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우측방에 있어서 곡물 탱크(7)의 앞면과 캐빈(10)의 뒷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상(종치 자세)의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배치하고, 배기 매니폴드(117), 과급기(118), 배기 연결관(119)을 통해서 엔진(14)의 배기가스가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도입됨과 아울러, 요소 혼합관(156)을 통해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배기가스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 도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탈곡 장치(5)와 곡물 탱크(7)간의 상면측에서 후측방을 향해서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배기 지지 브래킷(147)을 고착하고, 배기 지지 브래킷(147)에 파이프 지지체(148)의 하단측을 체결한다. 배기 지지 브래킷(147)에 세워서 설치시키는 파이프 지지체(148)의 상단측에 SCR 출구관(155)의 하면측을 고착시킨다. 배기 지지 브래킷(147)과 파이프 지지체(148)를 통해서 SCR 출구관(155)[테일 파이프(83)와의 접속부]이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종대 브래킷(88)과 지지대 브래킷(89)을 통해서 테일 파이프(83)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소경측의 SCR 출구관(155)과 대경측의 테일 파이프(83)의 접속부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며, SCR 출구관(155)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외기를 혼합해서 배기 온도가 저하된 배기가스를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출구측 케이스(77)에 복수 세트의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를 통해서 출구측 덮개체(78)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고 있다.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하단측에 드레인구(13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 등을 드레인구(133)로부터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고,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부의 구성 부품이 녹슬어서 부식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걸이 금구체(13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콤바인의 조립 공장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또는 호이스트 등의 하역 걸이 장치의 훅에 걸이 금구체(134)를 록킹시켜, 상기 체인 블록 등에 걸이 금구체(134)를 통해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매달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의 일부로서 걸이 금구체(13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에도 걸이 금구체(134)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의 타단측에 센서 브래킷(121)을 볼트 체결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상단측의 외면측에 센서 브래킷(121)을 배치시킨다. 전기 배선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차압 센서(122)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센서 브래킷(121)의 평탄한 상면에 부착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에 센서 브래킷(121)을 통해서 차압 센서(122)가 배치된다. 또한, 차압 센서(122)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 센서 배관과 하류측 센서 배관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수트필터(80)를 사이에 두도록,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배치된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센서 배관 보스체(125, 126)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기 각 센서 배관의 타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트필터(80)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수트필터(80)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122)를 통해서 검출된다. 수트필터(80)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수트필터(80)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122)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수트필터(80)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재생 제어 가능 범위 이상으로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더욱 증가했을 때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착탈 분해하고 수트필터(80)를 청소하여 입자상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진다.
또한, 차압 센서(122)의 외측 케이스부에 전기 배선 커넥터(127)를 일체적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도입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와,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를 구비한다.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의 전기 배선 커넥터(131)를 센서 브래킷(121)에 고착한다.
즉, 배출 오거(8)를 지지하는 인출 컨베이어(8a)에 곡물 탱크(7)의 후방부를 지지하고, 곡물 탱크(7) 주위에서 곡물 탱크(7)의 전방측을 수평 회동시켜서 기 외측방을 향해서 곡물 탱크(7)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에 있어서, 엔진룸 프레임(91)과 곡물 탱크(7) 사이에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배치하고 있다. 공기 조절용 팬(115)의 배기측에 대향 배치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측면에 지지 브래킷(121)을 통해서 배기가스용 차압 센서(122)와, 배기 온도 센서용 커넥터로서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 13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압 센서(122)의 전기 배선 커넥터(127)와,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의 전기 배선 커넥터(131)의 각 접속 방향을 동일 방향을 향한 자세로 상기 각 커넥터(127, 129, 131)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조절용 팬(115)의 배기에 의해 차압 센서(122) 또는 각 커넥터(127, 129, 131)의 배선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측의 배기열에 의해 그것들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것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9∼도 1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도 1∼도 8)에서는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설치하여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고 있지만, 제 2 실시형태(도 9∼도 16)는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생략하고 있다. 즉, 제 2 실시형태(도 9∼도 16)에서는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만을 설치하고 있다. 디젤엔진이 탑재된 작업기로서의 콤바인의 전체 구조(제 2 실시형태의 도 9∼도 11)는 제 1 실시형태(도 1∼도 3)와 동일하기 때문에, 콤바인의 전체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도 16을 참조하여,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로서의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및 그 부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는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연속 재생식의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는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를 갖는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79)(가스 정화체)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수트필터(80)(가스 정화체)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도 7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직렬로 배열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 내의 디젤 산화 촉매(79)와 수트필터(80)에 의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76)에 배기가스 입구관으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용접 고정함과 아울러, 출구측 덮개체(78)에 배기가스 출구관으로서의 정화 출구관(82)을 고착한다. 배기관으로서의 테일 파이프(83)에 정화 출구관(82)을 접속하고 있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가 정화 입구관(81)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로 도입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배기가스가 정화 출구관(82)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3)로 배출되어 기 외로 방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는 복수 세트의 후판상 중간 플랜지체(84)와 복수개의 볼트(8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 촉매(79)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수트필터(80) 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수트필터(80)에 포집되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12∼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 상에 엔진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주행 기체(1) 상면측에 적재한 디젤엔진(14)의 뒷면측을 엔진룸 프레임(91)으로 둘러싼다. 엔진룸 프레임(91)은 좌측의 각파이프상 지주체(92)와, 우측의 각파이프상 지주체(93)와, 좌우의 지주체(92, 93)에 양단측을 일체로 용접 고착하는 각파이프상 횡프레임(94)을 갖는다. 또한, 운전 캐빈(10)의 저면 후방부에 고무제의 압접 다리체(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횡프레임(94)의 좌우의 받침대(96) 상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운전 캐빈(10) 저부의 압접 다리체를 접촉하고, 횡프레임(94)의 각 받침대(96)에 운전 캐빈(10)의 후방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저면측과 엔진룸 프레임(91)으로 형성되는 엔진룸(97)에 디젤엔진(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횡프레임(94)에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를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입구측 케이스(76)의 외측면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의 전방부를 후측방으로부터 감착시키고,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측면과 앞면 지지 브래킷(114)에 좌우 방향으로부터 나사 고정 조작하는 볼트(116)에 의해,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즉, 캐빈(10)의 하방측에 엔진룸(97)을 형성함과 아울러, 주행 기체(1)의 전방 상방(기 외측방)을 향해서 캐빈(1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캐빈(10)을 지지하는 받침대(96)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지지하는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를 엔진룸 프레임(91)의 동일 부위[횡프레임(94)]에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대하여 캐빈(10)을 접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캐빈(10) 배면에 설치된 공기 조절용 팬(115)의 공기 배출부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입구측 케이스(76)의 외측면에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의 외측면 중 동일 원주 상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과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으로 배치한다. 측면 지지 브래킷(141)에 장착 조절판(142)의 일단측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체결함과 아울러, 탈곡 장치(5)의 기계 하우징 프레임(144) 우측면에 본기측 지지 브래킷(143)을 체결하고, 장착 조절판(142)의 타단측에 본기측 지지 브래킷(143)을 체결한다. 장착 조절판(142)을 통해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측면 지지 브래킷(141)과 본기측 지지 브래킷(143)을 연결 고정시킨다.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측면과 탈곡 장치(5)의 우측이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3∼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 프레임(91)에 입구측 케이스(7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중간부가 종치 자세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하단측의 배기가스 공급측 중,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전방측면에 정화 입구관(81)을 횡측 전방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하고, 엔진(14) 상면측(기체 전방)을 향해서 정화 입구관(81)을 연장 설치하고 있다. 출력축(112)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주행 기체(1)에 탑재한 엔진(14)의 앞면측 상부에 배기 매니폴드(117)와 과급기(118)를 배치하고 있다. 정화 입구관(81)에 절곡 가능한 주름상자상 관(98)을 통해서 배기 연결관(119)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과급기(118)의 배기 출구관(99)에 배기 연결관(119)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117)에 과급기(118)와 배기 연결관(119)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가 연통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우측방에 있어서 곡물 탱크(7)의 앞면과 캐빈(10)의 뒷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상(종치 자세)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배치하고, 배기 매니폴드(117), 과급기(118), 배기 연결관(119)을 통해서 엔진(14)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탈곡 장치(5)와 곡물 탱크(7)간의 상면측에서 후측방을 향해서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12, 도 13,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배기 지지 브래킷(147)을 고착하고, 배기 지지 브래킷(147)에 파이프 지지체(148)의 하단측을 체결하고 있다. 기립상으로 세워서 설치시키는 파이프 지지체(148)의 상단측에 정화 출구관(82)과 테일 파이프(83)의 접속부의 하면측을 고착시킨다. 배기 지지 브래킷(147)과 파이프 지지체(148)를 통해서 정화 출구관(82)과 테일 파이프(83)의 접속부가 탈곡 장치(5)의 상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소경측의 정화 출구관(82)과 대경측의 테일 파이프(83)의 접속부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며, 정화 출구관(82)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외기를 혼합하여 배기 온도가 저하된 배기가스를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2∼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출구측 케이스(77)에 복수 세트의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를 통해서 출구측 덮개체(78)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고 있다. 출구측 케이스(77)의 외주 방향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의 일단측에, 횡대 브래킷(87)과 종대 브래킷(88)과 지지대 브래킷(89)을 통해서 정화 출구관(82)의 중간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출구측 케이스(77)에 정화 출구관(8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외측면 중 이 하단측에 드레인구(13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 등을 드레인구(133)로부터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내부의 구성 부품이 녹슬어서 부식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걸이 금구체(13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콤바인의 조립 공장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또는 호이스트 등의 하역 걸이 장치의 훅에 걸이 금구체(134)를 록킹시켜, 상기 체인 블록 등에 걸이 금구체(134)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매달 수 있고, 무거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용이하게 운반 이동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의 일부로서 걸이 금구체(13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출구측 케이스(77)의 외주 방향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후판상 상단 플랜지체(86)의 타단측에 센서 브래킷(121)을 볼트 체결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상단측의 외면측에 센서 브래킷(121)을 배치시킨다. 전기 배선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차압 센서(122)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센서 브래킷(121)의 평탄한 상면에 부착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에 센서 브래킷(121)을 통해서 차압 센서(122)가 배치된다. 또한, 차압 센서(122)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 센서 배관과 하류측 센서 배관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수트필터(80)를 사이에 두도록,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배치된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센서 배관 보스체(125, 126)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기 각 센서 배관의 타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트필터(80)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수트필터(80)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122)를 통해서 검출된다. 수트필터(80)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수트필터(80)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122)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수트필터(80)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재생 제어 가능 범위 이상으로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더욱 증가했을 때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착탈 분해하고 수트필터(80)를 청소하여 입자상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진다.
또한, 차압 센서(122)의 외측 케이스부에 전기 배선 커넥터(127)를 일체적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도입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와,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를 구비한다.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의 전기 배선 커넥터(131)를 센서 브래킷(121)에 고착한다.
즉, 배출 오거(8)를 지지하는 인출 컨베이어(8a)에 곡물 탱크(7)의 후방부를 지지하고, 곡물 탱크(7) 주위에서 곡물 탱크(7)의 전방측을 수평 회동시켜 기 외측방을 향해서 곡물 탱크(7)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에 있어서, 엔진룸 프레임(91)과 곡물 탱크(7)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배치하고 있다. 공기 조절용 팬(115)의 배기측에 대향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측면에 지지 브래킷(121)을 통해서 배기가스용 차압 센서(122)와, 배기 온도 센서용 커넥터로서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 13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압 센서(122)의 전기 배선 커넥터(127)와,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의 전기 배선 커넥터(131)의 각 접속 방향을 동일 방향을 향한 자세로 상기 각 커넥터(127, 129, 131)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조절용 팬(115)의 배기에 의해 차압 센서(122) 또는 각 커넥터(127, 129, 131)의 배선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측의 배기열에 의해 그것들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것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8, 도 9∼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서의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의 배기관으로서의 배기 연결관(119)에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주행 기체(1)에 엔진룸 프레임(91)을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91)에 의해 엔진룸(97)을 형성하고, 엔진룸(97) 내에 디젤엔진(14)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고착해서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114)을 구비하고, 디젤엔진(14) 또는 엔진룸 프레임(91)에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114)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의 지지 구조 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농업 기계 또는 건설 기계 등의 작업 차량에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유닛으로서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디젤엔진(14)에 근접시켜서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콤팩트하게 배치하고,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등의 자기 재생 능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4)이 배치되는 엔진룸(97)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 1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와 제 2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151)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 도 4∼도 8, 도 9, 도 12∼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의 배기관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배기가스 취입구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종치 자세로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하단측에 정화 입구관(81)을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로서의 정화 출구관(82)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횡치 자세로 지지하는 구조 등에 비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디젤엔진(14)의 배기 매니폴드(117)에 근접시킨 위치에서, 그 배기 매니폴드(117)보다 고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디젤엔진(14)과 주변 기기[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등]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작업기에 상기 디젤엔진(14)을 설치한 상태 하에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조작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114) 또는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하단측에 드레인구(13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드레인구(133)로부터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 또는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걸이 금구체(13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등에 걸이 금구체(134)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매달아서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을 탑재한 주행 기체(1)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3)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5)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7)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1)에 엔진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91)에 의해 엔진룸(97)을 형성하고, 엔진룸(97) 내에 엔진(14)이 배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엔진룸 프레임(91)의 외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종치 자세로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하단측에 엔진(14)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한편,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단측에 테일 파이프(83)를 접속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룸(97) 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엔진룸(97)의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용적이 규제되지 않는 것이면서, 엔진(14)에 근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룸(97)과, 인접하는 작업부[탈곡 장치(5) 또는 곡물 탱크(7) 등]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치 자세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하단측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엔진(14)의 배기 매니폴드(117)에 최단거리로 접속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접하는 작업부[탈곡 장치(5)]의 고위치에 테일 파이프(83)를 지지할 수 있어, 테일 파이프(83)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의 배기관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배기가스 취입구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동일 원주 상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114) 및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앞면 지지 브래킷(114) 및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통해서 각종 작업기의 섀시 프레임[엔진룸 프레임(91) 또는 탈곡 장치(5)의 기계 하우징 프레임(144)] 등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다면적(다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어,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젤엔진(14)에 대하여 이간된 섀시 프레임 등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114)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이 배치된 기계 프레임[엔진룸 프레임(91)] 또는 인접하는 작업부로서의 탈곡 장치(5)의 기계 프레임[기계 하우징 프레임(144)]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 및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종치 자세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내진성을 높여서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4)과 작업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가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종치 자세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설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114)과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배치하고, 앞면 지지 브래킷(114)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주로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측면 지지 브래킷(141)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주로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하단측에 정화 입구관(81)을 배치하고,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정화 출구관(82)]를 배치하는 종치 자세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디젤엔진(14)의 배기 매니폴드(117)에 근접시킨 위치에서, 그 배기 매니폴드(117)보다 고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젤엔진(14)과 주변 기기[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등]의 장착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4)을 탑재한 주행 기체(1)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3)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5)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7)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1)에 엔진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91)에 의해 엔진룸(97)을 형성하고, 엔진룸(97) 내에 상기 디젤엔진(14)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엔진룸 프레임(91)의 외측에 앞면 지지 브래킷(114)을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종치 자세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센서 브래킷(121)의 기단측을 고정시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로부터 외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센서 브래킷(121)의 선단측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차압 센서(122)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룸(97) 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엔진룸(97)의 용적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용적이 제한되지 않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4)에 근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고온부에 대하여 차압 센서(122)를 이간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차압 센서(122)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온도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차압 센서(122) 등에 대한 전기 배선도 간략화할 수 있다.
1 : 주행 기체 3 : 예취 장치
5 : 탈곡 장치 7 : 곡물 탱크
14 : 디젤엔진 75 :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81 : 정화 입구관(배기가스 취입구)
91 : 엔진룸 프레임 97 : 엔진룸
114 : 앞면 지지 브래킷(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 지지 브래킷체)
121 : 센서 브래킷 122 : 차압 센서
141 : 측면 지지 브래킷(지지 브래킷체)

Claims (9)

  1.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동일 원주 상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 브래킷체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된 기계 프레임 또는 인접하는 작업부의 기계 프레임에 상기 각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가스가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종치 자세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앞면 지지 브래킷과 측면 지지 브래킷을 배치하고, 상기 앞면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주로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측면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주로 좌우 방향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센서 브래킷의 기단측을 고착시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부터 외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상기 센서 브래킷의 선단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차압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하단측에 드레인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하폭 중간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걸이 금구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곡립을 인출하는 곡물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종치 자세로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한편,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상단측에 테일 파이프를 접속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주행 기체에 엔진룸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상기 디젤엔진이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복수 또는 단일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고착해서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디젤엔진 또는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유닛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KR1020167002459A 2013-09-05 2013-09-13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KR20160052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4342 2013-09-05
JP2013184342A JP2015052274A (ja) 2013-09-05 2013-09-05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PCT/JP2013/074914 WO2015033480A1 (ja) 2013-09-05 2013-09-13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529A true KR20160052529A (ko) 2016-05-12

Family

ID=5262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459A KR20160052529A (ko) 2013-09-05 2013-09-13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052274A (ko)
KR (1) KR20160052529A (ko)
CN (1) CN105518268A (ko)
WO (1) WO2015033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2995B2 (ja) * 2015-08-21 2019-05-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16214105A (ja) * 2015-05-15 2016-12-2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JP6879715B2 (ja) * 2015-12-22 2021-06-02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6579946B2 (ja) * 2015-12-22 2019-09-25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WO2017110530A1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7216884A (ja) * 2016-06-03 2017-12-1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20180023809A (ko) * 2016-08-26 2018-03-0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TR201618056A2 (tr) * 2016-12-07 2018-06-21 Ford Otomotiv Sanayi As Modüler egzoz çikiş borusu
JP6418259B2 (ja) * 2017-02-23 2018-11-0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DE102017124942A1 (de) * 2017-10-25 2019-04-25 Agco International Gmbh Fahrzeug, insbesondere geländegängiges Fahrzeug, mit einer Abgasnachbehandlungseinrichtung
JP6624233B2 (ja) * 2018-04-25 2019-12-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9488422A (zh) * 2018-10-29 2019-03-19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船用低速柴油机scr装置的管路及支撑平台布置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925A (ja) * 1999-07-22 2001-02-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枠構造
JP2008106665A (ja) * 2006-10-25 2008-05-08 Yanma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排気浄化装置
JPWO2008136203A1 (ja) * 2007-05-01 2010-07-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785803B2 (ja) * 2007-08-02 2011-10-0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4286888B2 (ja) * 2007-09-28 2009-07-0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5276403B2 (ja) * 2008-10-01 2013-08-28 ヤンマー株式会社 ロールベーラ
JP4981016B2 (ja) * 2008-12-12 2012-07-18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0209813A (ja) * 2009-03-11 2010-09-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534143B2 (ja) * 2009-07-28 2014-06-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616194B2 (ja) * 2010-01-14 2014-10-2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5521574B2 (ja) * 2010-01-22 2014-06-1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649896B2 (ja) * 2010-09-29 2015-01-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2219624A (ja) * 2011-04-04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505389B2 (ja) * 2011-09-27 2014-05-2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3104394A (ja) * 2011-11-16 2013-05-30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3480A1 (ja) 2015-03-12
JP2015052274A (ja) 2015-03-19
CN105518268A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529A (ko)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KR102519242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21079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1978539B1 (ko) 콤바인
KR20180034574A (ko) 콤바인
KR101306071B1 (ko) 콤바인
CN105992863B (zh) 发动机装置
JP2016168975A (ja) コンバイン
JP6305277B2 (ja) コンバイン
JP6227859B2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2016214105A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KR102040352B1 (ko)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JP2014025392A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6416025B2 (ja) コンバイン
JP6245759B2 (ja) コンバイン
JP2014136976A (ja) コンバイン
JP202211629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