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126A -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126A
KR20160049126A KR1020140145178A KR20140145178A KR20160049126A KR 20160049126 A KR20160049126 A KR 20160049126A KR 1020140145178 A KR1020140145178 A KR 1020140145178A KR 20140145178 A KR20140145178 A KR 20140145178A KR 20160049126 A KR20160049126 A KR 2016004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finger
auger
auger drum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333B1 (ko
Inventor
강영선
김수경
전창환
이관호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3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01D57/02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using 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는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를 제안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Augar Assembly for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오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구성 부품의 조립이 편리함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구성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오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일본 특허 제4594875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보통형 콤바인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풀피드형과 하프피드형 콤바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풀피드형 콤바인은, 보통형 콤바인이라고도 불려지는 것으로, 예취된 곡간 전체를 탈곡장치 내부로 제공하여, 탈곡 장치 내부에서의 탈곡처리를 통하여 곡립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프피드형 콤바인은 예취된 곡간의 일부만을 탈곡장치의 내부로 공급하여 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의 콤바인을 말한다. 이하 종래의 기술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선행 기술에 기재된 도면을 그대로 인용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면서,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개시하고 있는 풀피드형 콤바인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풀피드형 콤바인은,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크롤러 주행장치(1)에 의하여 주행하면서, 대상물을 예취하고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콤바인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예취장치(7)와, 상기 예취장치(7)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탈곡하는 탈곡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장치(7)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은 피더(6)를 통하여 탈곡장치(2)로 이송된다.
상기 예취장치(7)에서 예취된 곡간은 피더(6)를 통하여 탈곡장치(2)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예취장치(7)는, 피더(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8)를 통하여 일점(P)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예취장치(7)의 상하 이동은 작업 상태에 따라서 그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예취장치(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디바이더(15)에 의하여, 예취할 작물과 예취하지 않을 작물을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예취장치(7)는, 예취프레임(8)에, 배면을 이루는 배판(9)과, 저면을 이루는 반송데크(10), 그리고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11,12)을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하여 고정한 프레임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데크(10)의 전면을 따라서 바리칸 형태의 예취날(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예취날(13)이 예취한 곡간을 피더(6)의 입구 부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예취오거(14)가 예취프레임(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디바이더(15)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작물은, 회전하는 레이크릴(17)에 의하여 후방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예취날(13)에 의하여 예취된다. 이렇게 예취된 곡간은, 예취오거(14)에 의하여 피더(6)의 전방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피더(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더컨베어에 의하여 그 후방에 위치하는 탈곡장치(2)로 공급되어, 그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탈곡통의 회전에 의하여 공급되는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이 수행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거(14)는, 원통 형상의 오거드럼(20)의 외주면에 전방 회전에 수반하는 피더(6)의 전단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으로 절단된 곡간을 모아주는 한 쌍의 스크류형 날개(21)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피더(6)의 입구 부분을 향하여 가로 방향 영역에서 오거드럼(20)에서 출입하는 봉형상의 핑거(22)가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거드럼(20)의 좌우 양단부 근처 내부에는 측면판(24,2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중간지지판(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상 우측의 측면판(25)과 중간지지판(26)의 각각의 중심에 걸쳐 회전지지축(27)이 관통되고 있으며, 더욱이 회전지지축(27)은 오거드럼(20)의 중심(오거 축중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거드럼(20)의 우단부에서 돌출된 회전지지축(27)은, 우측의 측판(12)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 브라켓(28)에 베어링(29)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중간지지판(26)의 지지공(26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회전지지축(27)의 외측면에는 입력스프라켓(32)이 키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이러한 입력스프라켓(32)에는 레이크릴(19)로의 동력전달을 수행하는 출력 스프라켓(33)도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축(27)의 회전은 우측의 측면덮개(25)를 통하여 오거드럼(20) 자체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측판(11)에는, 고정지지축(35)이 연결플랜지(35a)를 통하여 오거의 축중심이 동심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오거드럼(20)에서의 좌측의 측면덮개(24)에 부착된 베어링 브라켓(36)에 베어링(37)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관통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에는 연결플랜지(35a) 및 베어링 브라켓(36)이 통과할 수 있는 지름의 측면조립공(11a)이 형성되어 있음과 같이 측판조립공(11a)을 덮는 사각형상의 커버판(38)이 측판(11)의 외측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지축(35)의 내측부분에는, 지지브라켓(41)이 키연결에 의하여 고정되고, 회전지지축(27)의 내측단부에는 지지브라켓(41)이 베어링(43)을 통하여 오거 축중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지지브라켓(41,42)의 선단부를 따라서 편심지지축(44)이 오거의 축중심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41,4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지지축(44)의 편심량(y)은 오거 축중심(x)에 대하여 전방측 하부로 편심된 위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편심지지축(44)에는, 다수의 핑거(22) 및 보조핑거(23)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9개의 부착보스(45)가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어 있고, 각 부착보스(45)에 핑거(22) 및 보조핑거(23)의 내측단부가 나사결합 등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각 부착부소(45)를 통하여 편심지지축(4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핑거(22) 및 보조핑거(23)는, 오거드럼(20)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부착된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더푸쉬(46)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오거드럼(20)에서의 외주의 좌우에는 조립공(20a)가 형성되어 있어서 착탈 가능한 커버(47)(도 9 참고)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취오거(14)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좌우 한 쌍의 측판(11,12) 사이에서 지지되고 있으며, 회전지지축(27)이 회전하여 오거드럼(20)이 전방으로 회전하면, 각각의 핑거(22,23)는 이에 추종하여 편심지지축(44)의 편심축(y) 주위로 회동한다. 이 때 편심지지축(44)과 슬라이더푸쉬(46)과의 거리가 회전 위상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각각의 핑거(22,23)는 오거드럼(20)에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상기 오거축중심(x)과 편심지지축(44)의 축중심(y)을 연결하는 전방의 연장선상에서 핑거의 돌출량이 최대로 되고, 그 역위상에서 핑거의 돌출량이 최소로 된다. 따라서 스크류 날개(21)로 가로 방향으로 이송된 곡간은 크게 돌출된 핑거(22) 및 보조핑거(23)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져서 반송데크(10)를 따라서 후방으로 보내져서 피더(6)의 입구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고정지지축(35)과 지지브라켓(41)은 키이(key)에 의하여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상 분해 조립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고정지지축(35)과 지지브라켓(41)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로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측판(11)에 조립공을 크게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편심지지축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고정지지축(35)을 오거드럼 내부에서 외부로 분리하는 것은 그 자체도 손쉬운 일이 아님은 당연하고, 고정지지축(35)을 완전히 외부로 분리한 후에는 오거드럼이 정확한 위치(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재조립하는 과정도 거쳐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의 문제점 및 그외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시 본 발명의 구성과 상세하게 비교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편심지지축(핑거지지축)을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리하지 않고서도, 핑거지지축에 설치되는 부품 등을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착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거 드럼 내부의 부품의 교환 및 수리를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오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거드럼 어셈블리는,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오거드럼과; 상기 오거드럼의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면을 관통하여 지지되고,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오거드럼을 같이 회전시키는 회전지지축; 상기 오거드럼의 타측에서, 제2지지면을 관통하면서 오거드럼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축; 상기 회전지지축의 내측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고정지지축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와 각각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고,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지지되며, 삽입된 보스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수의 핑거를 구비하는 핑거지지축을 포함한다. 여기서 핑거지지축이 제1 및 제2연결부재와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핑거지지축과 제1지지면(242) 및 제2지지면(244) 사이의 각각의 간격의 합은 상기 연결부재 및 보스의 폭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 또는 제2연결부재는, 핑거지지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로 고정되는 제1연결부에 의하여 핑거지지축과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 또는 제2연결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핑거지지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핑아암과, 상기 클램핑아암의 단부를 체결하는 고정용볼트에 의하여 핑거지지축과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연결부재는, 핑거지지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로 고정되는 제1연결부에 의하여 핑거지지축과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핑거지지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핑아암과 상기 클램핑아암의 단부를 체결하는 고정용볼트에 의하여 고정지지축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핑거지지축이 보다 쉽게 분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렇게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분리된 핑거지지축에서 관련된 구성부품을 분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거드럼 내부의 핑거지지축 및 그에 포함된 부품들을 보다 간단하게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예취 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예취 오거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예취 오거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예취 오거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예취 오거의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예취 오거의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예취 오거의 분해 상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예취부의 예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거의 정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 오거의 부분 예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오거의 부분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예취부(100)는, 콤바인의 본체에 지지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좌우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112)을 구비하는 예취프레임(110)과, 상기 예취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거(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예취프레임(110)의 전방에는 디바이더(160)가 설치되어 있어서, 주행 시 예취될 작물을 내부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예취프레임(110)은 좌우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면판(11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측면판(112)에는 오거(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 외측에 높이조절 플레이트(11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 플레이트(114)는 오거(200)가 예취프레임(110)의 저면(118)에 대하여 정해진 높이를 가지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높이조절 플레이트(114)는 측면판(112)의 외측에 다수의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112)에는 오거(200)와 상기 높이조절 플레이트(114)의 연결을 위하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200)는 이와 같이 지지되면서, 예취프레임(110)의 측면판(112) 외측에 설치되는 체인기구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오거(200)는, 원통 형상의 오거드럼(201)과, 상기 오거드럼(201)의 외측면에 부착된 스크류 형상의 한 쌍의 블레이드(202,2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202,204)는 오거드럼(200)의 회전에 따라서 예취된 곡간을 피더의 입구 부분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11을 같이 참조하면서, 오거(200)의 내부 구조를 같이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11은 콤바인의 운전석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거(200)는, 오거드럼(201)의 일측면(도면 상 우측)을 관통하고 있는 회전지지축(210)과, 오거드럼(201)의 타측면(도면 상의 좌측)을 관통하고 있는 고정지지축(220),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축(220) 및 회전지지축(210)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핑거지지축(2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예취프레임(110)의 측면판(112)의 구성은 생략하고 있다.
상기 회전지지축(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에서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오거드럼(20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지지축(210)은 도 1에서 설명한 높이조절 플레이트(11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높이조절 플레이트(114)에 부착된 베어링부재(21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축(210)은, 오거드럼(201)의 제1측면(232)과 상기 측면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면(242)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측면(232)과 회전지지축(210)은 연결브라켓(236)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지지축(210)이 회전하게 되면 오거드럼(20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지축(220)의 좌측은, 타측(도면 상 우측)의 높이조절 플레이트(11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제2측면(234) 및 제2지지면(244)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축(220)은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고, 이에 비하여 오거드럼(201)의 제2측면(234) 및 제2지지면(244)은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측면(234) 및 제2지지면(242)에서 상기 고정지지축(220)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각각 베어링부재(222,224)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지지축(220)에 대하여 오거드럼(20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축(210)과 고정지지축(220)의 내측단부에는, 각각 연결부재(252,254)를 통하여 핑거지지축(230)가 설치된다. 상기 핑거지지축(230)에는 예취된 곡간을 피더의 내측으로 밀어주기 위한 다수의 핑거(2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핑거(240)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핑거지지축(230)에 유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보스(243)에 하단부가 지지되어 있고, 외측단부는 방사상으로 지지되면서 오거드럼(20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스(243)가 유격을 가지고 핑거지지축(230)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핑거(240) 및 보스(243)가 핑거지지축(2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핑거지지축(230)은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52,25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오거드럼(201)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축(220)이 연결브라켓(236)을 통하여 오거드럼(201)의 제1측면(232)에 연결되어 있어서, 오거드럼(201)은 회전지지축(210)과 같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재(252)의 내부에는 베어링(252a)이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지지축(210)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핑거지지축(23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거드럼(20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핑거지지축(230)이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는 오거드럼(201)에 대하여 상기 핑거(240)는 오거드럼(20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 길이가 회전에 따라서 가변된다. 예를 들면 예취프레임(110)의 저면(118)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핑거(240)의 돌출량이 많고, 피더의 입구 부분에서는 돌출량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핑거(240)가 오거드럼(20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길이의 변화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을 피더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핑거지지축(230)을 외부로 분리하지 않고, 오거드럼(20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핑거지지축(230)에 설치된 핑거(240) 및 보스(243), 그리고 상술한 연결부재(252,254)를 교환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착안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핑거지지축(230)이 제1연결부재(252) 및 제2연결부재(254)와 각각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에는 핑거지지축(230)과, 회전지지축(210) 및 고정지지축(220)의 연결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2를 같이 참고하면서, 고정지지축(220)과 핑거지지축(23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54)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254)는, 핑거지지축(23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254a)와, 고정지지축(22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254b),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254a)와 제2연결부(254b)를 연결하는 연결부(254d)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254a)는, 원통상으로 성형되어 핑거지지축(230)을 내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핑거지지축(230)이 제1연결부(254a)에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용볼트(Ba)을 제1연결부(254a)를 관통하여 핑거지지축(230)에 조임으로써, 제2연결부(254a)와 핑거지지축(230)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볼트(Ba)가 접촉하는 핑거지지축(230)에는 환형(테두리 형상)의 홈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254)의 제1연결부(254a)는 고정용볼트(Ba)를 이용하여, 핑거지지축(230)과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254b)는, 슬릿(254c)에 의하여 구분되는 한 쌍의 클램핑아암(254m,254n)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아암(254m,254n)에서 서로 마주 보는 부분에는, 고정지지축(220)의 단부(220a)의 외형에 상응하는 홈이 성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지지축(220)의 단부(220a)를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성형하면, 상기 한 쌍의 클램핑아암(254m,254n) 사이에는 사각형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지지축(220)의 단부(220a)가 한 쌍의 클램핑아암(254m,254n)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핑아암(254m,254n)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용볼트(Bb)가 클램핑아암(254m,254n)의 단부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지지축(220)의 단부(220a)가 클램핑아암(254m,254n) 사이에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축(220)의 단부(220a), 즉 클램핑아암(254m,254n)과 연결되는 부분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회전력의 전달에 유리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사각형 단면 이외에도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고정지지축(220)의 단부(220a)가 결합되는 클램핑아암(254m,254n)의 내측에는 동일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야 한 것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제2연결부(254b)의 구성을 제1연결부(254a)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핑거지지축(230)과 제2연결부재(254)를 서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제1연결부(254a) 또는 제2연결부(254b)의 어느 하나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254a)와 제2연결부(254b)를 연결하는 연결부(254d)는 실질적으로 핑거지지축(230)의 편심량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제1연결부(254a) 및 제2연결부(254b)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연결부재(254)는 실질적으로 고정용볼트(Ba,Bb)를 이용함으로써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1에서 우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252)의 상세 구성을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252)는, 회전하는 회전지지축(210)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핑거지지축(230)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연결부재(252)는, 핑거지지축(23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252a)와, 회전지지축(2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연결부(252b),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252a)와 제2연결부(252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52d) 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52)의 제1연결부(252a)의 구성은, 상술한 제2연결부재(254)의 제1연결부(25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252a)는, 핑거지지축(230)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성형하고, 그 외측에서 고정볼트(Bc)를 이용하여 양자를 고정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252b)는, 회전하는 회전지지축(210)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베어링부재로 구성된다. 즉, 베어링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제2연결부(252b)는, 회전하는 회전지지축(210)을 고정된 상태의 제1연결부재(252)에 지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제1연결부(252a)는 고정용볼트(Bc)를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핑거지지축(230)을 보다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연결부재(254)는 고정용볼트(Ba,Bb)를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지지축(220) 및 핑거지지축(230)을 각각 손쉽게 분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부재(252)도 핑거지지축(230)과 손쉽게 분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핑거지지축(230)은, 제1연결부재(252) 및 제2연결부재(254)에서 용이하게 분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고정지지축(220)도 제2연결부재(254)로부터 외측으로 분해가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용볼트(Ba,Bb,Bc)를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핑거지지축(230)이 오거드럼(201)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핑거지지축(230)에는 다수의 핑거(240)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24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스(243)는 실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손상되기 쉽고, 작업 중의 과도한 하중에 의하여 상기 핑거(240)도 손상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상기 핑거(240) 및 보스(243)을 교환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핑거지지축(23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52,254)도 상기 핑거지지축(230)에서 분리(제거)되어야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조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을 기준으로, 제1지지면(242)와 제1연결부재(252) 사이의 간격을 "A"라고 하고, 제2지지면(244)와 제2연결부재(254) 사이의 간격을 "B"라고 한다. 그리고 핑거(240)를 지지하는 보스(243)의 좌우 폭을 "C"라고 하고, 연결부재(252,254)의 좌우 폭을 "D"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술한 연결부재(252,254)에서 핑거지지축(2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핑거지지축(230)은 좌우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핑거지지축(2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는 것은, 고정용볼트(Ba,Bc)를 풀어서 핑거지지축(230)이 연결부재(252,254)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핑거지지축(230)과 제1지지면(242) 또는 제2지지면(244) 사이의 간격은 A+B가 된다. 즉, 상기 핑거지지축(23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제1지지면(242) 또는 제2지지면(244)에 핑거지지축(230)을 밀착시키면, 상기 핑지지축(230)과 어느 일측의 지지면(242 또는 244) 사이에는 A+B 만큼의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상술한 연결부재(252,254) 및 보스(243)을 빼내기 위해서는, 간격(A+B)이 연결부재(252,254)의 폭(D) 및 보스(243)의 폭(C)의 각각 보다 커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간격(A+B)을 통하여, 연결부재(252,254) 및 핑거(240)을 구비하는 보스(243)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핑거지지축(230)에 설치되어 있는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핑거지지축(230)을 오거드럼(201)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 즉 오거드럼(201)의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도 핑거지지축(230)에 설치되는 부품의 교환 및 수리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핑거지지축(230)이 연결부재(252,254)와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오거드럼(201)의 내부에서 핑거지지축(230)이 충분히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핑거지지축(230)과 지지면(242,244) 사이의 간격의 설정을 통하여 핑거지지축(230)에 설치되는 부품의 수리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잇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114 ..... 높이조절 플레이트
200 ..... 예취오거
202 ..... 스크류 블레이드
204 ..... 오거드럼
210 ..... 회전지지축
212 ..... 베어링부재
220 ..... 고정지지축
222, 224 ..... 베어링부재
230 ..... 핑거지지축
232 ..... 제1측면
234 ..... 제2측면
240 ..... 핑거
243 ..... 보스
242 ..... 제1지지면
244 ..... 제2지지면
244a ..... 통과공
252 ..... 제1연결부재
254 ..... 제2연결부재
A ..... 제1지지면과 제1연결부재 사이의 간격
B ..... 제2지지면과 제2연결부재 사이의 간격
C ..... 핑거를 지지하는 보스의 폭
D ..... 연결부재의 폭

Claims (4)

  1.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지지면(242) 및 제2지지면(244)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오거드럼(201)과;
    상기 오거드럼의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면을 관통하여 지지되고,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오거드럼을 같이 회전시키는 회전지지축(210);
    상기 오거드럼의 타측에서, 제2지지면을 관통하면서 오거드럼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축(220);
    상기 회전지지축의 내측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252);
    상기 고정지지축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254);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와 각각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고, 오거드럼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지지되며, 삽입된 보스(243)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수의 핑거(240)를 구비하는 핑거지지축(230)을 포함하고;
    상기 핑거지지축이 제1 및 제2연결부재(252,254)와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핑거지지축과 제1지지면(242) 및 제2지지면(244) 사이의 각각의 간격의 합(A+B)은 상기 연결부재(252,254) 및 보스(243)의 폭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오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또는 제2연결부재는, 핑거지지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Ba)로 고정되는 제1연결부에 의하여 핑거지지축과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는 콤바인의 오거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또는 제2연결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핑거지지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핑아암과, 상기 클램핑아암의 단부를 체결하는 고정용볼트에 의하여 핑거지지축과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는 콤바인의 오거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핑거지지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Ba)로 고정되는 제1연결부에 의하여 핑거지지축과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핑거지지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핑아암과 상기 클램핑아암의 단부를 체결하는 고정용볼트에 의하여 고정지지축과 연결되는 콤바인의 오거어셈블리.




KR1020140145178A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KR10167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78A KR101677333B1 (ko)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78A KR101677333B1 (ko)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26A true KR20160049126A (ko) 2016-05-09
KR101677333B1 KR101677333B1 (ko) 2016-11-18

Family

ID=5602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78A KR101677333B1 (ko)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3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545A (ja) * 1994-03-14 1995-10-0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扱胴軸架構造
JP2004097038A (ja) * 2002-09-06 2004-04-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215453A (ja) * 2006-02-15 2007-08-30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オーガ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545A (ja) * 1994-03-14 1995-10-0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扱胴軸架構造
JP2004097038A (ja) * 2002-09-06 2004-04-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215453A (ja) * 2006-02-15 2007-08-30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オーガ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333B1 (ko) 201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20504A (ru) Жатка комбайна или 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варианты)
US9386741B2 (en) Cutting drum for agricultural machine
JP2011193784A (ja) 脱穀装置
JP2011177084A (ja) 脱穀装置の上部構造
JP2018000189A (ja) コンバイン
US10575467B2 (en) Agricultural header
JP2017176052A (ja) コンバイン
KR101677333B1 (ko)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CN102918987B (zh) 稻麦收割机用脱粒滚筒组件和切草组件组合装置
KR101739171B1 (ko)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CN107333532B (zh) 滚筒式输送器和农业收割割台
JP663996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525830B2 (ja) 脱穀装置
JP2017035015A (ja) コンバイン
JP6870710B2 (ja) コンバイン
JP2015146802A (ja) 脱穀装置
JP2019076040A (ja) 排藁細断装置
JP7059144B2 (ja) コンバイン
CN112437602A (zh) 联合收割机
JP2016154512A (ja) 脱穀装置
JP6537417B2 (ja) 収穫機
JP6833968B1 (ja) 収穫機
KR102644629B1 (ko) 콤바인
KR20150137378A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6272739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