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629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4629B1 KR102644629B1 KR1020180149607A KR20180149607A KR102644629B1 KR 102644629 B1 KR102644629 B1 KR 102644629B1 KR 1020180149607 A KR1020180149607 A KR 1020180149607A KR 20180149607 A KR20180149607 A KR 20180149607A KR 102644629 B1 KR102644629 B1 KR 102644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lage
- connecting member
- rotation axis
- combine
- barre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ZVAJINKPMORJF-UHFFFAOYSA-N Acetaminophen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169 Alopias vulp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조립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의 위치를 맞추는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 및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전후로 인접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48)와, 급동의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를 맞추는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 및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체는,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전후로 인접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7)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32a, 33a, 34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7)는, 구멍(32a, 33a, 34a)과 중복되어 있지 않다.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의 위치를 맞추는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 및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전후로 인접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48)와, 급동의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를 맞추는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 및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체는,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전후로 인접하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7)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32a, 33a, 34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7)는, 구멍(32a, 33a, 34a)과 중복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기」)가 구비되어 있다. 급동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문헌에서는 「지지축」)과,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문헌에서는 「급동 드럼」)를 가지고 있다. 동체는, 동체의 전후 전체 길이에 걸치는 단일의 동체부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다루어야 하여,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길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불리하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를 복수의 동체부로 나누어서 취급함으로써,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그 때, 위치 정렬부에 의해,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체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복수의 동체부가 회전 축심 둘레에서 위치 어긋나지 않고, 복수의 동체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즉,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조립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콤바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중첩시킬 필요가 없고, 전방측 동체부의 외주면과 후방측 동체부의 외주면이 단차가 없도록,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마련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에 의해,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동체부가 연결 부재에 대하여 회전 축심 방향에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연결 부재에 의한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는,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동체부의 전후방 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단부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돌기끼리의 사이에 진입한 진입부를 가지고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진입부가 돌기끼리의 사이에 진입하여,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진입부가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동체부가 연결 부재에 대하여 회전 축심 둘레에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진입부를 돌기끼리의 사이에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끼리의 간격 및 상기 진입부의 폭은, 상기 진입부가 상기 돌기끼리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게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진입부가 돌기끼리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동체부가 연결 부재에 대하여 회전 축심 둘레에서 회전하지 않고,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를 복수의 동체부로 나누어서 취급함으로써,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또한,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중첩시킬 필요가 없고, 전방측 동체부의 외주면과 후방측 동체부의 외주면이 단차가 없도록,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 때, 위치 정렬부에 의해,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동체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 회전 축심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연결 부재에 의한 전후의 인접하는 동체부 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즉,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조립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콤바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도 맞추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위치 정렬부에 의해, 회전 축심 주위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동체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 회전 축심 주위에서 위치 어긋남되는 일 없이, 연결 부재에 의한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를,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와는 따로 따로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전후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단부가 상기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가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동체부의 전후단부 중 연결 부재측 단부가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연결 부재가 동체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동체부의 전후단부 중 연결 부재측 단부를 돌기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전후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단부에, 상기 돌기가 진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가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돌기를 오목부로 진입하게 하기만 하면,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 정렬과,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 중 상기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면이 상기 동체의 외주면과 단차가 없도록 돌출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가령, 돌기가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급실 내의 곡간이 돌기에 걸려서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기 쉽다. 그러나,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급실 내의 곡간이 돌기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매치 마크에 의해 동체부와 연결 부재의 올바른 조합이 명확해져, 연결 부재에 대하여 잘못된 동체부가 설치되는 것(오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마련되고,
상기 매치 마크 중 상기 동체부측 마크는,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진입부에 마련되고,
상기 매치 마크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마크는, 상기 연결 부재 중 상기 돌기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매치 마크에 의해 동체부와 연결 부재의 올바른 조합이 명확해져, 연결 부재에 대하여 잘못된 동체부가 설치되는 것(오조합)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매치 마크가 돌기 및 진입부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진입부를 돌기끼리의 사이에 진입시킬 때에, 매치 마크가 눈에 띄기 쉽고, 동체부와 연결 부재의 올바른 조합을 확인하면서,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에 대한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세 개의 상기 동체부로 전후로 분할되어,
상기 연결 부재는, 전후로 연속되는 세 개의 상기 동체부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기 동체부와 중앙의 상기 동체부의 사이와, 후방측의 상기 동체부와 중앙의 상기 동체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매치 마크를 구성하는 마크와, 후방측의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매치 마크를 구성하는 마크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전방측의 연결 부재와 상기 후방측의 연결 부재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매치 마크에 의해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연결 부재와 후방측의 연결 부재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에 걸쳐 마련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상기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에 의해,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동체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전후 다른 쪽 상기 동체부가 전후 한쪽 상기 동체부에 대하여 회전 축심 둘레에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전후 한쪽 동체부와 전후 다른 쪽 동체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로 진입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를 오목부로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에 걸쳐 마련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상기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로 진입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진입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에 의해,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동체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전후 다른 쪽 상기 동체부가 전후 한쪽 상기 동체부에 대하여 회전 축심 둘레에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전후 한쪽 동체부와 전후 다른 쪽 동체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를 오목부로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동체부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가 진입부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에 의한 위치 정렬과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에 의한 위치 정렬이, 회전 축심 둘레의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행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각 위치 정렬 작업에 따라서, 예를 들어 동체를 회전시키거나, 작업 위치를 바꾸거나 할 필요가 없고, 이들의 위치 정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는, 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동체부의 롤 이음매는,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롤 이음매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체부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는, 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롤 이음매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체부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에, 상기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에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를 복수의 동체부로 나누어서 취급함으로써,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또한,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중첩시킬 필요가 없고, 전방측 동체부의 외주면과 후방측 동체부의 외주면이 단차가 없도록,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 부재가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급치의 기초부가 연결 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의 동체부에의 급치의 설치를 한번의 공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즉,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조립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콤바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급치의 기초부가 진입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급치의 기초부가 절결부로 진입함으로써, 연결부가 급치의 기초부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의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직립하는 리브가,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전방측 동체부와 후방측 동체부의 경계부에 있어서, 이들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둘레의 전체 둘레가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연결부가 회전 축심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리브에 의해 보강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전방측 동체부와 후방측 동체부를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회전 축심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하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리브의 내주측에,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가 존재하게 되고, 급동의 메인터넌스(예를 들어, 급치의 교환 등)를 행할 때에, 당해 개구에서 동체부의 내부로 손을 넣어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세 개 이상의 상기 동체부로 전후로 분할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전후로 연속되는 세 개의 상기 동체부 중 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중앙의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치는 전방측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후로 연속되는 세 개의 동체부 중 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중앙의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치는 후방측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방측 연결부와 상기 후방측 연결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후향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전후향부는, 상기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전방측 연결부와 후방측 연결부가 복수의 전후향부에 의해 연결되게 되고, 이에 의해, 연결 부재 전체로서의 구조적인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후향부가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급치의 기초부가 복수의 전후향부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전방측 동체부, 중앙의 동체부 및 후방측 동체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의 동체부에의 급치의 설치를 한번의 공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향부는, 상기 전방측 연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후방측 연결부의 내주면에 걸쳐 마련되고,
상기 전후향부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리브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와 같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전후향부가 리브의 내주단부로부터 회전 축심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리브의 내주측의 개구에서 동체의 내부에 손을 넣어서 급동의 메인터넌스(예를 들어, 급치의 교환 등)를 행할 때에, 전후향부가 작업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부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부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매치 마크에 의해 동체부와 연결부의 올바른 조합이 명확해져, 연결부에 대하여 잘못된 동체부가 설치되는 것(오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는, 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롤 이음매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체부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동체부의 롤 이음매를 이용하여,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체부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급동을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급동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전방측 동체부 및 후방측 동체부와 중간 동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체를 도시하는 분해 전개도다.
도 12는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급치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과 연결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연결부 위치 정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연결부 위치 정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급동을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급동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전방측 동체부 및 후방측 동체부와 중간 동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체를 도시하는 분해 전개도다.
도 12는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급치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과 연결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연결부 위치 정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연결부 위치 정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나타내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6)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왼쪽 옆에는, 탈곡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피드 체인(9)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11)에 의해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의 후방측에는, 배고 반송 장치(12)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피드 체인(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해서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한다.
〔예취부〕
예취부(6)는, 복수 예취 사양(예를 들어, 6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일으킴 장치(14)와, 절단 장치(15)와, 반송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3)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한다. 일으킴 장치(14)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일으킨다. 절단 장치(15)는, 일으켜진 식립 곡간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6)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를 향해서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상부에는, 급실(17)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7)에는, 급동(11)이 마련되어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Y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의 하방에는, 받침망(18)이 마련되어 있다. 급실(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0), 요동 선별 장치(20)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1), 일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일번 회수부(22), 이번물의 곡립(지경 부착 곡립 등)을 회수하는 이번 회수부(23)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일번 회수부(22)에는, 일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일번 스크루(24)가 마련되어 있다. 일번 스크루(24)의 우측 단부에는, 일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에 양곡 반송하는 양곡장치(2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번 회수부(23)에는, 이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이번 스크루(26)가 마련되어 있다. 이번 스크루(26)의 우측 단부에는, 이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로 환원하는 이번 환원 장치(27)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급동〕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28)과, 급동축(28)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29)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30)를 가지고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Y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은, 급동축(28)을 통해 급실(17)에 있어서의 전방벽(31F) 및 후방벽(31B)에 지지되어 있다.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예를 들어, 3분할)된 복수(예를 들어, 셋)의 동체부를 가지고 있다. 동체(30)는, 상기 동체부로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동체부(32)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동체부(33)와, 전방측 동체부(32)와 후방측 동체부(3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동체부(34)를 가지고 있다.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는, 이들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단일인 급동축(28)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의 전후 길이(L1), 후방측 동체부(33)의 전후 길이(L2) 및 중간 동체부(34)의 전후 길이(L3)는, 대략 동등하다. 즉,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대략 동등하다.
급동축(28)은, 전방 베어링(35)을 통해 전방벽(31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후방 베어링(36)을 통해 후방벽(3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급동축(28) 중 전방벽(31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풀리(37)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
전방측 동체부(32)는, 대략 원통 형상의 판재(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에는, 급치(29)의 기초부(볼트(29a))가 삽입되는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의 전방 단부 개구 모서리부에는, 전방 단부 개구를 막는 전방 판재(38)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전방 판재(38)의 후방면(동체(30)의 내부측의 면)에는, 전방측 보스(39)가 볼트(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 보스(39)는, 급동축(28)에 볼트(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 판재(38)는, 전방측 보스(39)를 통해 급동축(28)에 급동축(28)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 동체부〕
후방측 동체부(33)는, 대략 원통 형상의 판재(롤 성형된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 동체부(33)에는, 급치(29)의 기초부(볼트(29a))가 꽂히는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동체부(33)의 후방 단부 개구 모서리부에는, 후방 단부 개구를 막는 후방 판재(42)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후방 판재(42)의 전방면(동체(30)의 내부측의 면)에는, 후방측 보스(43)가 볼트(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 보스(43)는, 급동축(28)에 볼트(4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 판재(42)는, 후방측 보스(43)를 통해 급동축(28)에 급동축(28)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동체부〕
중간 동체부(34)는, 중간 동체부(34)가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예를 들어, 2분할)된 복수(예를 들어, 둘)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를 가지고 있다. 중간 동체부(34)에는, 급치(29)의 기초부(볼트(29a))가 꽂히는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판재(롤 성형된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동체부(34)는,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2분할된 절반 분할 구조이다. 두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동일한 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급치(29)의 배열이 동일하다(도 16 참조).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 중 동체(3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모서리부에는, 다른 쪽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와 연결되는 연결부(46a)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46a)는, 다른 쪽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에 내주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30)의 내부에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고, 또한,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7)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 부재(47)는, 전방측 연결부(48)(본 발명에 관한 「연결 부재」에 상당)와, 후방측 연결부(48)와, 복수의 전후향부(5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48)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의 사이와,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48) 및 후방측 연결부(48)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30)의 내부에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고, 또한,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7)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 부재(47)는, 전방측 연결부(48)와, 후방측 연결부(48)와, 복수의 전후향부(5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48)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의 사이와,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48) 및 후방측 연결부(48)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48)는, 동체(3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의 경계부에 있어서, 전방측 동체부(32)의 내주면과 중간 동체부(34)의 내주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48)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고, 또한, 동체(30)의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전방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전방측 연결부(48)는, 전방측 동체부(32)에 착탈 가능하도록 볼트(49A)에 의해 고정되며, 또한, 중간 동체부(34)(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에 착탈 가능하도록 볼트(49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부(48)는, 동체(30)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의 경계부에 있어서, 후방측 동체부(33)의 내주면과 중간 동체부(34)의 내주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부(48)는,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고, 또한, 동체(30)의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후방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후방측 연결부(48)는, 후방측 동체부(33)에 착탈 가능하도록 볼트(49A)에 의해 고정되며, 또한, 중간 동체부(34)(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에 착탈 가능하도록 볼트(49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볼트(49A, 49B)는, 볼트 머리부에 육각 구멍이 형성된 볼트이다.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의 고정에는, 볼트 머리부의 마모를 저감하기 위해, 볼트 머리부의 높이가 낮은 볼트(49A)를 사용하고 있다. 중간 동체부(34)의 고정에는, 볼트(49B)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 볼트 머리부의 높이가 높은 볼트(49B)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메인터넌스 시에 분리하게 되는 중간 동체부(34)에 대해, 그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48)는, 동체(30)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48)는, 동체(3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축심(Y1) 둘레의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48)는, 복수(예를 들어, 둘)의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부(48)는,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2분할된 절반 분할 구조이다. 두 연결부 구성 부재(51)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 구성 부재(51)는, 대략 반환(半環)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 구성 부재(51) 중 동체(3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다른 쪽 연결부 구성 부재(51)가 중첩되는 피중합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있어서, 피중합부(51a)와 그 외 부분의 경계부는, 피중합부(51a)가 상기 그 외의 부분보다도 동체(30)의 직경 방향의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구성 부재(51)에는, 볼트(49A, 49B)용의 볼트 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구성 부재(51)에는, 급치(29)의 기초부(볼트(29a))나 너트(29b)가 진입하는 절결부(51c)가 복수(예를 들어, 넷) 형성되어 있다(도6 및 도 10 참조).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있어서, 두 절결부(51c)가 회전 축심(Y1) 방향의 일방측으로 개구되고, 또한, 두 절결부(51c)가 회전 축심(Y1) 방향의 타방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일방측으로 개구되는 절결부(51c)와 타방측으로 개구되는 절결부(51c)는,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다.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 동체(30)의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세워지는 리브(50)가, 연결부(48)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Y1) 둘레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는, 회전 축심(Y1)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대략 동일을 포함)하다. 리브(50)의 내주측에는, 회전 축심(Y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50a)가 존재하고 있다. 리브(50) 중 피중합부(51a)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피중합부(51a)가 진입하는 오목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8)(연결부 구성 부재(51))에 형성된 개구(51d)에, 리브(50)에 마련된 돌기(50c)가 꽂혀 있다. 개구(51d)는, 연결부(48)에 있어서, 회전 축심(Y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넷) 형성되어 있다. 개구(51d)는,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긴, 긴 구멍이다.
돌기(50c)는, 리브(50)에 있어서, 회전 축심(Y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넷) 형성되어 있다. 돌기(50c)는, 리브(50) 중 연결부(48)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부분(리브(50)의 외주부)으로부터 동체(30)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돌기(50c)는, 연결부(48)로부터 동체(30)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태에서 회전 축심(Y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돌기(50c)는, 동체(3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연결부(48)의 외주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동체(30)의 외주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돌기(50c)는, 돌기(50c) 중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면이 동체(30)의 외주면과 단차 없도록(대략 단차 없음을 포함) 돌출되어 있다.
한쪽 연결부 구성 부재(51)가 다른 쪽 연결부 구성 부재(51)측 피중합부(51a)에 중첩된 상태에서, 또한, 돌기(50c)가 개구(51d)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연결부(48)와 리브(50)가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한쪽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과 다른 쪽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은 단차가 없도록 되어 있다. 즉, 한쪽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과 다른 쪽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은, 회전 축심(Y1)을 중심으로 하는 원(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전후향부(55)는, 전방측 연결부(48)와 후방측 연결부(48)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후향부(55)는, 전방측 연결부(48)의 내주면과 후방측 연결부(48)의 내주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전후향부(55)의 전방 단부는, 전방측 연결부(48)의 내주면 및 전방측의 리브(50)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후향부(55)의 후방 단부는, 후방측 연결부(48)의 내주면 및 후방측의 리브(50)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48)와 후방측 연결부(48)가 전후향부(55)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방측 연결부(48)와 후방측 연결부(48)가 일체화되어 있다. 즉, 전방측 연결부(48), 후방측 연결부(48) 및 전후향부(55)가 유닛으로서 구성(유닛화)되어 있다. 전후향부(55)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후향부(55)는, 회전 축심(Y1) 둘레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전후향부(55)는, 회전 축심(Y1)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네 개 배치되어 있다.
전후향부(55)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2)는, 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와 동일(대략 동일을 포함)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향부(55)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2)는, 전후향부(55)가 리브(50)의 내주연으로부터 개구(50a)측으로 비어져나오지 않는 높이(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보다도 약간 낮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연결부 위치 정렬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를 맞춤과 함께,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를 맞추는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를 맞춤과 함께,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를 맞추는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전방측 연결부(48)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는, 복수(예를 들어, 넷)의 돌기(50c)와, 복수(예를 들어, 둘)의 진입부(32b)를 가지고 있다. 진입부(32b)는,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진입하는 것이며, 전방측 동체부(32)의 전후방 단부 중 전방측 연결부(48)측 단부(후방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방 단부에 있어서의 진입부(32b)끼리의 사이에는, 돌기(50c)가 진입하는 오목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돌기(50c)끼리의 간격(d) 및 진입부(32b)의 폭(b)은, 진입부(32b)가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게 설정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는, 후방측 동체부(33)와 후방측 연결부(48)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는, 복수(예를 들어, 넷)의 돌기(50c)와, 복수(예를 들어, 둘)의 진입부(33b)를 가지고 있다. 진입부(33b)는,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진입하는 것이며, 후방측 동체부(33)의 전후방 단부 중 후방측 연결부(48)측 단부(전방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방 단부에 있어서의 진입부(33b)끼리의 사이에는, 돌기(50c)가 진입하는 오목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돌기(50c)끼리의 간격(d) 및 진입부(33b)의 폭(b)은, 진입부(33b)가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게 설정되어 있다.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한 중간 동체부(34)의 위치를 맞추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가 마련되어 있다.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는,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는, 복수(예를 들어, 둘)의 오목부(33d)와, 복수(예를 들어, 둘)의 볼록부(46b)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33d)는,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방 단부에 있어서의 진입부(33b)(구체적으로는, 진입부(33b)의 폭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6b)는, 오목부(33d)로 진입하는 것이며, 중간 동체부(34)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매치 마크〕
후방측 동체부(33)와 후방측 연결부(48)에 걸쳐, 후방측 동체부(33)와 후방측 연결부(48)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M)가 마련되어 있다. 매치 마크(M)는, 후방측 동체부(33)측 마크(오목부(33d))와,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3d)가 후방측 동체부(33)측 마크로서 기능한다. 마크(51e)는, 후방측 연결부(48) 중 돌기(50c)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마크(51e)는, 후방측을 향해서 개구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매치 마크(M)(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 및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는, 연결 부재(47)를 조립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47)를 조립할 때에,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 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와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전방측 연결부(48)와 후방측 연결부(48)가 위치 정렬되게 된다.
〔급동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급동(1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5에 의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11)의 제조 방법은,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도 12 참조)과, 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도 13 참조)과,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도 14 참조)과, 급치 설치 공정(도 15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음으로, 급동(1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5에 의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11)의 제조 방법은,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도 12 참조)과, 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도 13 참조)과,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도 14 참조)과, 급치 설치 공정(도 15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은, 후방측 동체부(33)를 후방측 연결부(48)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고정은, 볼트(49A)에 의해 행하여진다.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에 있어서, 진입부(33b)가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진입하여(바꾸어 말하면, 돌기(50c)가 오목부(33c)로 진입하여),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방 단부 중 오목부(33c)에 대응하는 부분이 돌기(50c)에 접촉함으로써, 후방측 연결부(48)가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방 단부 개구 모서리부에서 후방측 동체부(33)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 진입부(33b)가 돌기(50c)에 접촉함으로써, 후방측 동체부(33)가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하여 회전 축심(Y1) 둘레에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된다.
여기서, 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에 있어서, 잘못하여, 후방측 연결부(48)에 전방측 동체부(32)를 설치하려고 한 경우에도, 전방측 동체부(32)에는,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에 대응하는 마크가 없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오류를 알아차리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후방측 동체부(33)측 오목부(33d)가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에 대응함에 따라, 후방측 동체부(33)에 후방측 연결부(48)를 설치하려고 하고 있음(후방측 동체부(33)와 후방측 연결부(48)의 올바른 조합)을 알게 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은, 전방측 동체부(32)를 전방측 연결부(48)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고정은, 볼트(49A)에 의해 행하여진다.
전방측 동체부 설치 공정에 있어서, 진입부(32b)가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진입하여(바꾸어 말하면, 오목부(32c)에 돌기(50c)가 진입하여),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방 단부 중 오목부(32c)에 대응하는 부분이 돌기(50c)에 접촉함으로써, 전방측 연결부(48)가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방 단부 개구 모서리부에서 전방측 동체부(32)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 진입부(32b)가 돌기(50c)에 접촉함으로써, 전방측 동체부(32)가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해 회전 축심(Y1) 둘레에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된다.
여기서, 전방측 동체부(32)의 롤 이음매(P1) 및 후방측 동체부(33)의 롤 이음매(P2)는,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동체부(32)와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로서 기능한다. 롤 이음매(P1, P2)는, 롤 개시 위치로서 이해할 수 있다. 전방측 동체부(32)를 전방측 연결부(48)에 설치할 때에,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 전방측 동체부(32)의 롤 이음매(P1)를 후방측 동체부(33)의 롤 이음매(P2)에 위치 정렬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은, 중간 동체부(34)(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를 전방측 및 후방측 연결부(48)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및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중간 동체부(34)(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고정은, 볼트(49B)에 의해 행하여진다.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에 있어서, 볼록부(46b)를 오목부(33d)로 진입시킴으로써,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한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된다. 그리고,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전방 단부가 전방측의 돌기(50c)나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방 단부(진입부(32b))에 접촉하고, 또한,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후방 단부가 후방측의 돌기(50c)나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방 단부(진입부(33b))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치 설치 공정은,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급치(29)를 설치하는 공정이다. 급치 설치 공정에서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가, 연결 부재(47)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치(29)가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7)는, 전방측 동체부(32)의 구멍(32a), 후방측 동체부(33)의 구멍(33a) 및 중간 동체부(34)의 구멍(34a)과 중복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측 연결부(48)는, 전방측 동체부(32)의 구멍(32a) 및 중간 동체부(34)의 구멍(34a)과 중복되지 않고, 또한, 후방측 연결부(48)는, 후방측 동체부(33)의 구멍(33a) 및 중간 동체부(34)의 구멍(34a)과 중복되지 않고, 또한, 전후향부(55)는, 중간 동체부(34)의 구멍(34a)과 중복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가, 연결 부재(47)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치(29)가 연결 부재(47)와 간섭하지 않고, 급치(29)를 동체(30)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치 설치 공정에 있어서,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급치(29)가 설치된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동체부 설치 공정에 있어서, 중간 동체부(34)에 급치(29)가 설치되게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F)는, 진입부(32b)가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53B)는, 진입부(33b)가 돌기(50c)끼리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입부(32b)를 마련하지 않고,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방 단부가 돌기(50c)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진입부(33b)를 마련하지 않고,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방 단부가 돌기(50c)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해도 된다.
혹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동체부(32)의 내부에, 복수의 돌기(32d)가 회전 축심(Y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전방측 연결부(48)에, 돌기(32d)끼리의 사이에 진입하는 진입부(48a)가 마련되고, 진입부(48a)가 돌기(32d)끼리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전방측 동체부(32)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후방측 동체부(33)의 내부에, 복수의 돌기(33e)가 회전 축심(Y1) 둘레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후방측 연결부(48)에, 돌기(33e)끼리의 사이에 진입하는 진입부(48a)가 마련되고, 진입부(48a)가 돌기(33e)끼리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회전 축심(Y1)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48)에 대한 후방측 동체부(33)의 위치가 맞추어지게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는, 후방측 동체부(33)측 오목부(33d)와, 오목부(33d)로 진입하는 것이며, 중간 동체부(34)측 볼록부(46b)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는, 중간 동체부(34)측 오목부와, 당해 오목부로 진입하는 것이며, 후방측 동체부(33)측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여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56)가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 대신에 혹은 이것과 함께, 회전 축심(Y1) 둘레에 있어서의 전방측 동체부(32)에 대한 중간 동체부(34)의 위치를 맞추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가,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측 동체부(33)측 마크(오목부(33d))가 후방측 동체부(33) 중 진입부(33b)에 마련되고, 또한,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가 후방측 연결부(48) 중 돌기(50c)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후방측 동체부(33)측 마크(오목부(33d))를 마련하는 개소는, 후방측 동체부(33) 중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후방측 연결부(48)측 마크(51e)를 마련하는 개소는, 후방측 연결부(48) 중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50c)는, 돌기(50c) 중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면이 동체(30)의 외주면과 단차가 없도록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돌기(50c)는, 돌기(50c) 중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면이 동체(30)의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브(50)가 연결부(48)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Y1) 둘레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리브(50)가 연결부(48)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Y1) 둘레의 일부(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복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가 회전 축심(Y1)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하다. 그러나, 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가 회전 축심(Y1) 둘레에서 상이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향부(55)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2)는, 전후향부(55)가 리브(50)의 내주연으로부터 개구(50a)측으로 비어져나오지 않는 높이(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보다도 약간 낮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전후향부(55)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2)는, 전후향부(55)가 리브(50)의 내주연으로부터 개구(50a)측으로 비어져나온 높이(리브(50)의 연결부(48)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h1)보다도 약간 높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체(30)가 전후로 3분할되어 있다. 그러나, 동체(30)가 전후로 4분할 이상 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동체(30)가 전후로 2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동체부(34)가 동체(30)의 둘레 방향으 로 2분할되어 있다. 그러나, 중간 동체부(34)가 동체(30)의 둘레 방향으로 3분할 이상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10: 탈곡 장치
11: 급동
28: 급동축
29: 급치
29a: 기초부
30: 동체
32: 전방측 동체부(동체부)
32a: 구멍
32b: 진입부
32c: 오목부
33: 후방측 동체부(동체부)
33a: 구멍
33b: 진입부
33c: 오목부
33d: 오목부, 후방측 동체부측 마크
34: 중간 동체부(동체부)
34a: 구멍
46b: 볼록부
47: 연결 부재
48: 연결부(연결 부재)
50: 리브
50c: 돌기
51c: 절결부
51e: 후방측 연결부측 마크
53B: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위치 정렬부,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
53F: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위치 정렬부,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
55: 전후향부
56: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위치 정렬부,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
b: 폭
d: 간격
h1: 리브의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
h2: 전후향부의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
M: 매치 마크
P1: 롤 이음매
P2: 롤 이음매
Y1: 회전 축심
11: 급동
28: 급동축
29: 급치
29a: 기초부
30: 동체
32: 전방측 동체부(동체부)
32a: 구멍
32b: 진입부
32c: 오목부
33: 후방측 동체부(동체부)
33a: 구멍
33b: 진입부
33c: 오목부
33d: 오목부, 후방측 동체부측 마크
34: 중간 동체부(동체부)
34a: 구멍
46b: 볼록부
47: 연결 부재
48: 연결부(연결 부재)
50: 리브
50c: 돌기
51c: 절결부
51e: 후방측 연결부측 마크
53B: 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위치 정렬부,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
53F: 전방측 연결부 위치 정렬부(위치 정렬부,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
55: 전후향부
56: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위치 정렬부,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
b: 폭
d: 간격
h1: 리브의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
h2: 전후향부의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
M: 매치 마크
P1: 롤 이음매
P2: 롤 이음매
Y1: 회전 축심
Claims (27)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판재에 의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의 오조합을 방지하기 위한 매치 마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마련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 위치 정렬부는,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동체부의 전후 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단부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돌기끼리의 사이에 진입하는 진입부를 가지고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판재에 의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끼리의 간격 및 상기 진입부의 폭은, 상기 진입부가 상기 돌기끼리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게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마련되고,
상기 매치 마크 중 상기 동체부측 마크는,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진입부에 마련되고,
상기 매치 마크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마크는, 상기 연결 부재 중 상기 돌기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세 개의 상기 동체부로 전후로 분할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전후로 연속되는 세 개의 상기 동체부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기 동체부와 중앙의 상기 동체부의 사이와, 후방측의 상기 동체부와 상기 중앙의 동체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매치 마크를 구성하는 마크와, 후방측의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매치 마크를 구성하는 마크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전방측의 연결 부재와 상기 후방측의 연결 부재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에 걸쳐 마련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상기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로 진입하는 볼록부를 갖고 있는 콤바인. -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에 걸쳐 마련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전후 한쪽 상기 동체부에 대한 전후 다른 쪽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간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전후 한쪽 동체부 및 상기 전후 다른 쪽 동체부 중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로 진입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진입부에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는, 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동체부의 롤 이음매는, 상기 위치 정렬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롤 이음매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체부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전후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단부가 상기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가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판재에 의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도 맞추는 콤바인.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전후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측 단부에, 상기 돌기가 진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가 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동체부의 위치가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 중 상기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면이 상기 동체의 외주면과 단차가 없도록 돌출되어 있는 콤바인. -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는, 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롤 이음매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체부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에, 상기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부에서 있어서의 전방측 상기 동체부와 후방측 상기 동체부의 경계부에 있어서, 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쳐 마련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급치의 기초부가 진입하는 절결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로서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개구하는 전 절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후방측으로 개구하는 후 절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부에, 상기 급치의 기초부가 꽂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급치의 기초부가 진입하는 절결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로서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개구하는 전 절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후방측으로 개구하는 후 절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의 환 형상으로 형성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직립하는 리브가,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회전 축심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콤바인.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세 개 이상의 상기 동체부로 전후로 분할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전후로 연속되는 세 개의 상기 동체부 중 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중앙의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치는 전방측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후로 연속되는 세 개의 동체부 중 후방측 상기 동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중앙의 동체부의 내주면에 걸치는 후방측 상기 연결부와, 전방측 상기 연결부와 후방측 상기 연결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후향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전후향부는, 상기 구멍과 중복되어 있지 않은 콤바인.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향부는, 전방측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과 후방측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 걸쳐 마련되고,
상기 전후향부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리브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높이와 같은 콤바인.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 절결부와 상기 후 절결부는 상기 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 되고 있는 콤바인.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부에 걸쳐,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부의 올바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매치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는, 롤 성형된 판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 둘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체부의 롤 이음매가 위치 정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체부가 위치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28195 | 2017-11-28 | ||
JP2017228196A JP6971810B2 (ja) | 2017-11-28 | 2017-11-28 | コンバイン |
JPJP-P-2017-228197 | 2017-11-28 | ||
JPJP-P-2017-228196 | 2017-11-28 | ||
JP2017228197A JP6971811B2 (ja) | 2017-11-28 | 2017-11-28 | コンバイン |
JP2017228195A JP6971809B2 (ja) | 2017-11-28 | 2017-11-28 | コンバイ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2306A KR20190062306A (ko) | 2019-06-05 |
KR102644629B1 true KR102644629B1 (ko) | 2024-03-07 |
Family
ID=6684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9607A KR102644629B1 (ko) | 2017-11-28 | 2018-11-28 | 콤바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4629B1 (ko) |
CN (1) | CN109832017B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7140A (ja) | 1999-07-22 | 2001-02-09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回転系電気機器の位置合わせ構造 |
JP2006067910A (ja) | 2004-09-02 | 2006-03-16 | Kubota Corp | 脱穀装置の扱胴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8263U (ko) * | 1974-07-29 | 1976-02-10 | ||
JPS5253303U (ko) * | 1975-10-15 | 1977-04-16 | ||
JPS5358358A (en) * | 1976-11-06 | 1978-05-26 | Kubota Ltd | Treshing cylinder for thresher |
JPS55136233U (ko) * | 1979-03-22 | 1980-09-27 | ||
JPH07289067A (ja) * | 1994-04-20 | 1995-11-07 | Seirei Ind Co Ltd | 脱穀機の送塵物処理装置 |
JPH1128019A (ja) * | 1997-07-10 | 1999-02-02 | Kubota Corp | 脱穀装置の扱胴構造 |
KR100694736B1 (ko) * | 2004-09-13 | 2007-03-14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탈곡 장치 |
JP5022182B2 (ja) * | 2007-10-31 | 2012-09-12 | 株式会社クボタ |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
KR101070959B1 (ko) * | 2007-09-21 | 2011-10-06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탈곡 장치 |
JP5341445B2 (ja) | 2008-09-18 | 2013-11-13 | 株式会社クボタ | 脱穀機用扱胴 |
JP2011193784A (ja) * | 2010-03-19 | 2011-10-06 | Yanmar Co Ltd | 脱穀装置 |
JP6525830B2 (ja) * | 2015-09-11 | 2019-06-05 | 株式会社クボタ | 脱穀装置 |
CN206341610U (zh) * | 2016-10-25 | 2017-07-21 | 株式会社久保田 | 脱粒装置 |
-
2018
- 2018-11-27 CN CN201811424446.1A patent/CN109832017B/zh active Active
- 2018-11-28 KR KR1020180149607A patent/KR1026446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7140A (ja) | 1999-07-22 | 2001-02-09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回転系電気機器の位置合わせ構造 |
JP2006067910A (ja) | 2004-09-02 | 2006-03-16 | Kubota Corp | 脱穀装置の扱胴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832017B (zh) | 2022-08-23 |
KR20190062306A (ko) | 2019-06-05 |
CN109832017A (zh) | 2019-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1547B2 (en) | Blade assembly removal from a header of a plant cutting machine | |
US10405491B2 (en) | Slat insert for noise/wear attenuation in a feederhouse conveyor | |
EP3381266B1 (en) | Cogged feederhouse front drum | |
KR20130129097A (ko) | 콤바인 | |
KR102644629B1 (ko) | 콤바인 | |
JP2023026613A (ja) | コンバイン | |
US6935488B2 (en) | Blade pulley | |
JP2021184762A5 (ko) | ||
JP6971811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593759B1 (ko) |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 |
JP6971810B2 (ja) | コンバイン | |
BR102018003704A2 (pt) | arranjo acionador dentado | |
JP6971809B2 (ja) | コンバイン | |
CN112056094A (zh) | 拨禾轮指状件 | |
JP6840042B2 (ja) | 脱穀装置 | |
KR101677333B1 (ko) |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 |
EP4388857A1 (en) | Feeder driveshaft arrangement for agricultural vehicle | |
JP6941985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90001921A (ko) | 콤바인 | |
JP2019004852A (ja) | 脱穀装置 | |
JP2014161262A (ja) | 普通型コンバイン | |
KR101739171B1 (ko) | 콤바인의 오거 어셈블리 | |
US20190223382A1 (en) | Conveyor drum filler for debris exclusion | |
JP2021019560A (ja) | コンバイン | |
JP2005176735A (ja) | 汎用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