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759B1 -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759B1
KR102593759B1 KR1020180070621A KR20180070621A KR102593759B1 KR 102593759 B1 KR102593759 B1 KR 102593759B1 KR 1020180070621 A KR1020180070621 A KR 1020180070621A KR 20180070621 A KR20180070621 A KR 20180070621A KR 102593759 B1 KR102593759 B1 KR 10259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connecting member
threshing device
radial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915A (ko
Inventor
류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6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00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6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00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조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조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의 제조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급동(1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28)과, 급동축(28)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29)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30)를 갖고 있다.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된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갖고 있다. 동체(30)의 내부에,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 중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하는 동체부 연결부(4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동(1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28)과, 급동축(28)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29)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30)를 갖고 있다. 동체(3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부에, 급동축(28)과 동체(3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THRES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SHING CYLINDER}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탈곡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기」)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급동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문헌에서는 「지지축」)과,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문헌에서는 「급동 드럼」)를 갖고 있다. 동체는, 동체의 전후 전장에 걸치는 단일의 동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체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급동축에 지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6875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곡 장치에서는,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해야 하므로, 노동력을 요한다. 또한,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길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곡 장치에서는, 동체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부가 급동축에 지지되어 있지 않아, 강도면에서 불리하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조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의 제조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동체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동체부 중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하는 전후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를 복수의 동체부로 나누어 취급함으로써,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그 때,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전후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중첩할 필요가 없어, 전방측의 동체부의 외주면과 후방측의 동체부의 외주면이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전후 연결 부재가 급실 내의 곡간에 접촉하여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음과 함께, 전후 연결 부재가 급실 내의 곡간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일이 없다. 또한, 각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즉,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전후 연결 부재 사이에,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연결 부재가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동체부의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지 않아, 전후 연결 부재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연결 부재 중 상기 동체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이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돌기를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에 대는 것만으로, 전후 연결 부재가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동체부의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상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적합하다.
가령, 돌기가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급실 내의 곡간이 돌기에 걸려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기 쉽다. 그러나,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급실 내의 곡간이 돌기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르는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연결 부재가 동체의 내주면의 전주에 걸쳐 접촉하는 상태에서,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상기 급치를 상기 동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들어가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연결 부재가 고정구와 간섭하지 않고,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동축과 상기 전후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 연결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동체의 전후 중간부가 직경 방향 연결 부재를 통하여 급동축에 지지되게 되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상기 급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메인터넌스(예를 들어, 급치의 교환 등)를 행할 때에, 개구로부터 동체부의 내부에 손을 넣어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연결 부재가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동체부의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지 않아, 전후 연결 부재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쉽다. 또한, 전후 연결 부재에 형성된 개구에,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마련된 돌기를 삽입함으로써, 전후 연결 부재와 직경 방향 연결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가 구비되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있는 급동의 제조 방법이며,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 중 한쪽의 동체부에 전후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과,
전후로 인접하는 상기 동체부 중 다른 쪽의 동체부를,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한쪽의 동체부에 연결하는 전후 연결 공정이 구비된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를 복수의 동체부로 나누어 취급함으로써,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그 때,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전후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중첩할 필요가 없어, 전방측의 동체부의 외주면과 후방측의 동체부의 외주면이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즉,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의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동체부는, 상기 다른 쪽의 동체부가 상기 동체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전후 연결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동체부 구성 부재를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한쪽의 동체부에 연결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다른 쪽의 동체부를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로 나누어 취급함으로써, 다른 쪽의 동체부 전체를 일체적으로 다루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또한, 각 동체부 구성 부재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한쪽의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한쪽의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부에 의해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동체부에 상기 전후 연결 부재를 설치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연결 부재가 한쪽의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한쪽의 동체부의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지 않아, 전후 연결 부재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부에, 상기 급동축과 상기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동체의 전후 중간부와 급동축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동체의 전후 중간부가 연결 부재를 통하여 급동축에 지지되게 되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즉,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강도면에서 유리한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급동축에 상기 급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급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연결 부재와 급동축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 급동축의 회전에 수반하는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르는 외주부와, 상기 급동축과 상기 외주부에 걸치는 직경 방향부를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외주부가 동체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동체부가 직경 방향부를 통하여 급동축에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동체부의 하중이 연결 부재를 통하여 급동축에 전해지게 되어, 동체의 전후 중간부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부에, 상기 급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메인터넌스(예를 들어, 급치의 교환 등)를 행할 때에, 개구로부터 동체의 내부로 손을 넣어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동체부 중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를 복수의 동체부로 나누어 취급함으로써, 동체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그 때,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중첩할 필요가 없어, 전방측의 동체부의 외주면과 후방측의 동체부의 외주면이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체부의 전후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 중 적어도 한쪽의 동체부는, 상기 동체부가 상기 동체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체부 구성 부재는, 탈착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조립 시에, 동체부를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로 나누어 취급함으로써, 동체부 전체를 일체적으로 다루는 것보다도 노동력이 적어진다. 또한, 각 동체부 구성 부재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게다가, 동체부 구성 부재를 떼어냄으로써, 동체 중 동체부 구성 부재가 떼어내어진 개소로부터 동체의 내부에 손을 넣어 메인터넌스 작업(예를 들어, 급치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동체부의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지 않아, 연결 부재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연결 부재 중 상기 동체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이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돌기를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에 대는 것만으로, 연결 부재가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동체부의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상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적합하다.
가령, 돌기가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급실 내의 곡간이 돌기에 걸려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기 쉽다. 그러나,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탈곡 처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급실 내의 곡간이 돌기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급치를 상기 동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들어가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고정구와 간섭하지 않고,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급동을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급동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전방측 동체부 및 후방측 동체부와 중간 동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급치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급동축 설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후 연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1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급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급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옆에는, 탈곡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피드 체인(9)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11)에 의해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의 후방측에는, 배고 반송 장치(1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피드 체인(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하여 반송한다.
〔예취부〕
예취부(6)는, 복수 베기 사양(예를 들어, 6조 베기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확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세우기 장치(14)와, 절단 장치(15)와, 반송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3)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한다. 세우기 장치(14)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세운다. 절단 장치(15)는, 세워진 식립 곡간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6)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상부에는, 급실(17)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7)에는, 급동(11)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의 하방에는, 수망(18)이 설치되어 있다. 급실(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기체 후방에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0), 요동 선별 장치(20)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1),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22), 2번물의 곡립(지경 부착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3) 등이 설치되어 있다.
1번 회수부(22)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24)가 설치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의 우측 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에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2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2번 회수부(23)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26)가 설치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의 우측 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7)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급동〕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28)과, 급동축(28)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29)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30)를 갖고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은, 급동축(28)을 통하여 급실(17)에 있어서의 전방벽(31F) 및 후방벽(31B)에 지지되어 있다. 동체(30)는 동체(30)가 전후로 분할(예를 들어, 3분할)된 복수(예를 들어, 3개)의 동체부를 갖고 있다. 동체(30)는, 상기 동체부로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동체부(32)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동체부(33)와, 전방측 동체부(32)와 후방측 동체부(3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동체부(34)를 갖고 있다.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는, 이들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단일의 급동축(28)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의 전후 길이 L1, 후방측 동체부(33)의 전후 길이 L2 및 중간 동체부(34)의 전후 길이 L3은, 대략 동등하다. 즉,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대략 동등하다.
급동축(28)은, 전방 베어링(35)을 통하여 전방벽(31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후방 베어링(36)을 통하여 후방벽(3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급동축(28) 중 전방벽(31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풀리(37)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
전방측 동체부(32)는, 대략 원통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동체부(32)의 전단 개구 에지부에는, 전단 개구를 막는 전방 판재(38)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전방 판재(38)의 후방면(동체(30)의 내부측의 면)에는, 전방측 보스(39)가 볼트(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 보스(39)는, 급동축(28)에 볼트(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 판재(38)는, 전방측 보스(39)를 통하여 급동축(28)에 급동축(28)과 일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 동체부〕
후방측 동체부(33)는, 대략 원통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 동체부(33)의 후단 개구 에지부에는, 후단 개구를 막는 후방 판재(42)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후방 판재(42)의 전방면(동체(30)의 내부측의 면)에는, 후방측 보스(43)가 볼트(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 보스(43)는, 급동축(28)에 볼트(4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 판재(42)는, 후방측 보스(43)를 통하여 급동축(28)에 급동축(28)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동체부〕
중간 동체부(34)는, 중간 동체부(34)가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예를 들어, 2분할)된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본 발명에 관한 「동체부 구성 부재」에 상당)를 갖고 있다.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 동체부(34)는,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2분할된 절반 분할 구조이다. 2개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급치(29)의 배열이 동일하다.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 중 동체(30)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에지부에는, 다른 쪽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와 연결되는 연결부(46a)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46a)는, 다른 쪽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에 내주측으로부터 압박된 상태에서 볼트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3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부에는, 전방측의 연결 부재(48) 및 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동체(3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며, 또한, 급동축(28)과 전방측 동체부(32) 및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며, 또한, 동체(30)의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전단부끼리 연결하고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전방측 동체부(32) 및 중간 동체부(34)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동체(30)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며, 또한, 급동축(28)과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며, 또한, 동체(30)의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후단부끼리 연결하고 있다.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 및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8)는, 동체(30)의 내주면을 따르는 동체부 연결부(49)(본 발명에 관한 「전후 연결 부재」에 상당)와, 급동축(28)과 동체부 연결부(49)에 걸치는 직경 방향 연결부(50)(본 발명에 관한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상당)를 갖고 있다.
또한, 전방측의 연결 부재(48) 및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8)는, 동체(30)의 내주면을 따르는 동체부 연결부(49)(본 발명에 관한 「외주부」에 상당)와, 급동축(28)과 동체부 연결부(49)에 걸치는 직경 방향 연결부(50)(본 발명에 관한 「직경 방향부」에 상당)를 갖고 있다.
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는, 전방측 동체부(32)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며, 또한, 동체(30)의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전단부끼리 연결하고 있다. 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에 대하여,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가 탈착 가능하다. 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는, 후방측 동체부(33)와 중간 동체부(34)를 연결하며, 또한, 동체(30)의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의 후단부끼리 연결하고 있다. 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에 대하여,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가 탈착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 연결부(49)는, 동체(3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49)는, 동체(30)의 내주면을 따르는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49)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동체부 연결부(49)는,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2분할된 절반 분할 구조이다. 2개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는, 대략 반환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 중 동체(30)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다른 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가 중첩되는 피중합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있어서, 피중합부(51a)와 그 밖의 부분의 경계부는, 피중합부(51a)가 상기 그 밖의 부분보다도 동체(30)의 직경 방향의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에는, 볼트(47)용의 볼트 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에는, 급치(29)를 동체(30)에 고정하는 볼트(29a)(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에 상당) 및 너트(29b)(동일 「고정구」에 상당)가 들어가는 노치부(51c)가 복수(예를 들어, 4개) 형성되어 있다(도 6 및 도 10 참조).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있어서, 2개의 노치부(51c)가 회전 축심 Y1 방향의 일방측에 개구되며, 또한, 2개의 노치부(51c)가 회전 축심 Y1 방향의 타방측에 개구되어 있다. 일방측에 개구되는 노치부(51c)와 타방측에 개구되는 노치부(51c)는,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다.
전방측의 직경 방향 연결부(50)는, 급동축(28)과 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를 연결되어 있다. 전방측의 직경 방향 연결부(50)의 전방면에는, 중간 보스(52)가 볼트(5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중간 보스(52)는, 급동축(28)에 볼트(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중간 보스(52)를 통하여 급동축(28)에 급동축(28)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의 직경 방향 연결부(50)는 급동축(28)과 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를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의 직경 방향 연결부(50)의 후방면에는, 중간 보스(52)가 볼트(5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중간 보스(52)는, 급동축(28)에 볼트(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는, 중간 보스(52)를 통하여 급동축(28)에 급동축(28)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직경 방향 연결부(50)는, 회전 축심 Y1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는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연결부(50)에는, 회전 축심 Y1 방향으로 개구되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개구(50a)가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연결부(50) 중 피중합부(51a)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피중합부(51a)가 들어가는 오목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와 후방측의 연결 부재(48)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연결 로드(55)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부재(48)와 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연결 로드(55)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방측의 연결 부재(48)와 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일체화되어 있다. 즉, 전방측의 연결 부재(48), 후방측의 연결 부재(48) 및 연결 로드(55)가 유닛으로서 구성(유닛화)되어 있다. 연결 로드(55)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로드(55)는, 회전 축심 Y1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로드(55)는, 회전 축심 Y1 주위에 90도 간격으로 4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동체부와 연결 부재(48) 사이에는, 연결 부재(48)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56)가 설치되어 있다(도 6 및 도 10 참조). 동체부 연결부(49)(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에 형성된 개구(51d)에, 직경 방향 연결부(50)에 형성된 돌기(50c)가 삽입됨으로써, 규제부(56)가 구성되어 있다. 개구(51d)는, 동체부 연결부(49)에 있어서, 회전 축심 Y1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예를 들어, 4개) 형성되어 있다. 개구(51d)는,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긴 장공이다.
돌기(50c)는, 직경 방향 연결부(50)에 있어서, 회전 축심 Y1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예를 들어, 4개) 형성되어 있다. 돌기(50c)는, 직경 방향 연결부(50) 중 동체(30)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부분(직경 방향 연결부(50)의 외주부)으로부터 동체(30)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50c)는, 동체(3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동체부 연결부(49)의 외주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동체(30)의 외주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한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가 다른 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측의 피중합부(51a)에 중첩된 상태이며, 또한, 돌기(50c)가 개구(51d)에 감입된 상태에서, 동체부 연결부(49)와 직경 방향 연결부(50)가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됨으로써, 연결 부재(48)가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과 다른 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은, 동일 평면상으로 되어 있다. 즉, 한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과 다른 쪽의 동체부 연결부 구성 부재(51)의 외주면은, 회전 축심 Y1을 중심으로 하는 원(동심원) 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는,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단 개구 에지부로부터 전방측 동체부(32)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단 개구 에지부에 볼트(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때, 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단 개구 에지부로부터 전방측 동체부(3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부(56)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 돌기(50c)가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단 개구 에지부에 접촉함으로써, 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더 이상 전방측 동판부(32)의 내부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는,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단 개구 에지부로부터 후방측 동체부(33)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단 개구 에지부에 볼트(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때, 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단 개구 에지부로부터 후방측 동체부(33)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부(56)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 돌기(50c)가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단 개구 에지부에 접촉함으로써, 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더 이상 후방측 동판부(33)의 내부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중간 동체부(34)(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는, 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의 후반부 및 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의 전반부에 볼트(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볼트(47)를 떼어냄으로써,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를 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 및 후방측의 동체부 연결부(49)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급동의 제조 방법〕
이어서, 급동(1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에 의해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11)의 제조 방법은, 급치 설치 공정과,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과, 급동축 설치 공정과, 전후 연결 공정을 마련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치 설치 공정은,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에 급치(29)를 설치하는 공정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은,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전방측 동체부(32)에 설치함과 함께,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후방측 동체부(33)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급치 설치 공정이 행하여진 후,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에 있어서,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전방측 동체부(32)에 볼트(47)에 의해 고정함과 함께,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후방측 동체부(33)에 볼트(47)에 의해 고정한다. 그 때, 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단 개구 에지부로부터 전방측 동체부(3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부(56)에 의해 규제한 상태에서, 전방측 동체부(32)의 후단 개구 에지부에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볼트(47)에 의해 고정함과 함께, 후방측의 연결 부재(48)가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단 개구 에지부로부터 후방측 동체부(33)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부(56)에 의해 규제한 상태에서, 후방측 동체부(33)의 전단 개구 에지부에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볼트(47)에 의해 고정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축 설치 공정은, 급동축(28)을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전후 연결 부재 설치 공정이 행하여진 후, 급동축 설치 공정에 있어서, 급동축(28)을, 전방측 보스(39)에 볼트(41)에 의해 고정하며, 또한, 전방측의 중간 보스(52)에 볼트(54)에 의해 고정하며, 또한, 후방측의 중간 보스(52)에 볼트(54)에 의해 고정하며, 또한, 후방측 보스(43)에 볼트(45)에 의해 고정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연결 공정은, 중간 동체부(34)를, 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통하여 전방측 동체부(32)에 연결하며, 또한, 후방측의 연결 부재(48)를 통하여 후방측 동체부(33)에 연결하는 공정이다. 급동축 설치 공정이 행하여진 후, 전후 연결 공정에 있어서,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를, 전방측의 연결 부재(48)에 볼트(47)에 의해 고정하며, 또한, 후방측의 연결 부재(48)에 볼트(47)에 의해 고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체(30)가 전후로 3분할되어 있다. 그러나, 동체(30)가 전후로 4분할 이상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동체(30)가 전후로 2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 동체부(32)를 2개의 전방측 동체부 구성 부재에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2분할하여 구성함과 함께, 각 전방측 동체부 구성 부재를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혹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동체부(33)를 2개의 후방측 동체부 구성 부재에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2분할하여 구성함과 함께, 각 후방측 동체부 구성 부재를 전방측 동체부(3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대략 동등하다. 그러나,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이해도 된다. 이 경우, 중간 동체부(34)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의 각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동체부(34)가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그러나, 전방측 동체부(32), 후방측 동체부(33) 및 중간 동체부(34) 중 어느 동체부가 탈착 가능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동체부(34)가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2분할되어 있다. 그러나, 중간 동체부(34)가 동체(30)의 주위 방향으로 3분할 이상 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가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그러나, 2개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 중 한쪽만이 전방측 동체부(32) 및 후방측 동체부(33)에 대하여 탈착 가능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가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급치(29)의 배열이 동일하다. 그러나, 2개의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46)가 상이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급치(29)의 배열이 상이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48)(직경 방향 연결부(50))에, 개구(50a)가 4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 부재(48)(직경 방향 연결부(50))에, 개구(50a)가 하나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체(30)의 주위벽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동체(30)의 주위벽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도,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10: 탈곡 장치
11: 급동
28: 급동축
29: 급치
29a: 볼트(고정구)
29b: 너트(고정구)
30: 동체
32: 전방측 동체부(동체부)
33: 후방측 동체부(동체부)
34: 중간 동체부(동체부)
46: 중간 동체부 구성 부재(동체부 구성 부재)
48: 연결 부재
49: 동체부 연결부(전후 연결 부재)(외주부)
50: 직경 방향 연결부(직경 방향 연결 부재)(직경 방향부)
50a: 개구
50c: 돌기
51c: 노치부
51d: 개구
56: 규제부
Y1: 회전 축심

Claims (36)

  1.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동체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동체부 중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연결하는 전후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상기 급치를 상기 동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들어가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전후 연결 부재 사이에,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탈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연결 부재 중 상기 동체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인, 탈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상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탈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르는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축과 상기 전후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 연결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탈곡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축과 상기 전후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 연결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탈곡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상기 급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상기 급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연결 부재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직경 방향 연결 부재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후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이며,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동축과, 상기 급동축에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급치가 외주부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를 갖고,
    상기 동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부에, 상기 급동축과 상기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급치를 상기 동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들어가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급동축에 상기 급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탈곡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르는 외주부와, 상기 급동축과 상기 외주부에 걸치는 직경 방향부를 갖고 있는, 탈곡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부에, 상기 급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31.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가 전후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동체부 중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끼리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탈곡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로 인접하는 동체부 중 적어도 한쪽의 동체부는, 상기 동체부가 상기 동체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동체부 구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체부 구성 부재는, 탈착 가능한, 탈곡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동체부의 개구 에지부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탈곡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동체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연결 부재 중 상기 동체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인, 탈곡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동체의 외주면보다도 상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탈곡 장치.
  36. 삭제
KR1020180070621A 2017-06-28 2018-06-20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KR102593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6699 2017-06-28
JP2017126698A JP6840042B2 (ja) 2017-06-28 2017-06-28 脱穀装置
JPJP-P-2017-126698 2017-06-28
JP2017126699A JP6840043B2 (ja) 2017-06-28 2017-06-28 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15A KR20190001915A (ko) 2019-01-07
KR102593759B1 true KR102593759B1 (ko) 2023-10-25

Family

ID=6480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21A KR102593759B1 (ko) 2017-06-28 2018-06-20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3759B1 (ko)
CN (1) CN10912174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039A (ja) * 2001-06-22 2003-01-07 Kubota Corp 扱 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8263U (ko) * 1974-07-29 1976-02-10
JPS5358358A (en) * 1976-11-06 1978-05-26 Kubota Ltd Treshing cylinder for thresher
JPH1118558A (ja) * 1997-07-09 1999-01-26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2000041471A (ja) * 1998-07-29 2000-02-1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扱胴構造
JP4530695B2 (ja) * 2004-03-25 2010-08-25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4484779B2 (ja) * 2005-07-14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5341445B2 (ja) 2008-09-18 2013-11-13 株式会社クボタ 脱穀機用扱胴
CN101595789A (zh) * 2009-07-03 2009-12-09 中机南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联合收割机的多功能脱粒装置
CN102077744B (zh) * 2009-11-26 2013-05-29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脱粒装置及具有该装置的联合收割机
JP2012165662A (ja) * 2011-02-10 2012-09-06 Yanmar Co Ltd 普通型コンバイン
JP5943620B2 (ja) * 2012-01-31 2016-07-05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039A (ja) * 2001-06-22 2003-01-07 Kubota Corp 扱 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21740B (zh) 2022-07-05
KR20190001915A (ko) 2019-01-07
CN109121740A (zh)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7969B2 (en) Adjusting system for fingerstyle grates of an agricultural harvester
EP3219195B1 (en) Agricultural feeder assembly with a shielded sprocket
KR20130129097A (ko) 콤바인
KR102593759B1 (ko)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JP5804937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7270441B2 (ja) コンバイン
JP663996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23026613A (ja) コンバイン
JP2023026613A5 (ko)
JP2021184762A5 (ko)
KR102644629B1 (ko) 콤바인
KR102282513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7292021B2 (ja) 脱穀装置
JP6840042B2 (ja) 脱穀装置
JP5936575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9004848A (ja) コンバイン
JP7134006B2 (ja) コンバイン
JP6941985B2 (ja) コンバイン
KR102275501B1 (ko)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JP2019004852A (ja) 脱穀装置
JP5936565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US20230210055A1 (en) Variable cross-section vane for transition cone in combine harvester
JP7134007B2 (ja) コンバイン
KR20190001921A (ko) 콤바인
JP6832834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