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501B1 -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501B1
KR102275501B1 KR1020140024327A KR20140024327A KR102275501B1 KR 102275501 B1 KR102275501 B1 KR 102275501B1 KR 1020140024327 A KR1020140024327 A KR 1020140024327A KR 20140024327 A KR20140024327 A KR 20140024327A KR 102275501 B1 KR102275501 B1 KR 10227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hreshing
treatment member
toot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451A (ko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02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0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8Devices for adjusting the conc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곡장치의 급치는, 급치부 하단에 상기 급치부에 대해 직각으로 일체화된 조립단부를 형성한 제1 급치부재 및 제1 급치부재와 접하는 형태로 쌍을 이뤄 하나의 급치를 구성하는 제1 급치부재와 대칭인 제2 급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급치부재와 제2 급치부재의 조립단부에는 볼트구멍이 있고 볼트구멍 저부에 너트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Teeth of threshing device and Combine with the same, Teeth assembling methods of combine threshing device}
본 발명은 탈곡장치의 급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확작물로부터 낟알을 떨어내는 회전형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급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베는 일과 탈곡 및 선별하는 일을 동시에 하는 농업기계로서 콤바인이 잘 알려져 있다. 콤바인은 전ㅇ후ㅇ좌ㅇ우로 기동 가능한 주행기체 전방에 작물을 베어 내는 예취(刈取)부를 구비하며, 예취부를 통해 베어진 작물을 주행기체 측으로 반송시켜 탈곡, 선별, 짚처리 및 배출 등의 일련의 처리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탈곡부는 예취부를 통해 베어진 작물의 이삭으로부터 낟알을 분리해내는 일을 한다. 이와 같은 탈곡부는 급치가 부착된 원통형 탈곡통과, 탈곡통 하방에 배치되는 수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곡통은 엔진 동력으로 회전되며, 탈곡통에 부착된 급치가 탈곡부를 이동하는 이삭을 타격하게 됨으로써 이삭으로부터 낟알이 분리되는 것이다.
탈곡과정에서 상기 급치는 회전되면서 작물의 이삭에 충격되고 마찰됨에 따라 마모, 파손, 변형 등의 손상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탈곡 성능이 크게 떨어져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적절한 시기에 급치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콤바인의 탈곡부에 적용되는 탈곡통의 급치 교체 과정에 대해 도 1을 참조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탈곡통(100)의 둘레에는 분리 가능한 원판 덮개(102)가 여러 개소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급치(110)를 교체함에 있어서는, 교체가 필요한 급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원판덮개(102)의 볼트를 풀어 이를 탈거한 뒤 구멍(104)을 통해 탈곡통(100) 안으로 손을 넣어 해당 급치의 고정너트(115)를 풀고 급치(110)를 분리함으로써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
즉 종래 콤바인에 탑재된 탈곡통의 급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원판 덮개를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 원판 덮개를 분리하고, 탈곡통 안쪽으로 손을 넣어 해당 급치의 너트를 풀어 교체 대상 급치를 분리하고, 새것으로 교체한 뒤 분리 과정의 역순으로 급치를 조립하는 것과 같이 과정이 많고 복잡하여 급치 교체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182768호(공개일 2011. 9. 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모, 파손, 변형 등으로 급치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탈곡통의 일부(원판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도 교체 가능하며, 따라서 급치 교체의 용이함과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치부 하단에 상기 급치부에 대해 직각으로 일체화된 조립단부를 형성한 제1 급치부재; 및
상기 제1 급치부재와 접하는 형태로 쌍을 이뤄 하나의 급치를 구성하는 제1 급치부재와 대칭인 제2 급치부재;를 포함하며, 제1 급치부재와 제2 급치부재의 조립단부에는 볼트구멍이 있고 볼트구멍 저부에 너트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급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급치부는, 볼록하게 만곡진 내치와, 간격을 두고 상기 내치를 둘러싸는 외치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치는 조립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제2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상기 내치 주면에는 홀 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 또는 요홈을 형성한 급치부재의 내치 주면과 맞닿는 다른 급치부재의 내치 주면에는 상기 홀 또는 요홈에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 가능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제2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에는 다른 한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는 고리모양의 수용단부가 일체로 더 형성되며, 제1, 제2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상기 외치 상단 주면에는 볼록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 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 가능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급치부재와 제2 급치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일 측면에 따른 급치와; 상기 급치의 조립단부가 진입되는 급치 조립공이 원주면에 일정한 배열로 천공된 탈곡통;을 포함하며, 급치 조립 시 급치의 조립단부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일치하는 체결구멍이 상기 급치 조립공 좌우 양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급치 조립공은 탈곡통을 평면 형태로 전개했을 때 탈곡통의 중심 축선에 대해 소정 각 기울어진 형태로 서로 평행한 기준선을 따라 탈곡통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공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탈곡통에 상기 급치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제1 급치부재의 조립단부에 부착된 너트 인접 상부에 제2 급치부재 조립단부의 너트가 위치하도록 제1, 제2 급치부재의 조립단부를 맞댄 상태로 탈곡통의 급치 조립공에 끼우고, 제1, 제2 급치부재 조립단부의 볼트구멍과 탈곡통에 형성된 체결구멍이 일치되도록 각각의 급치부재를 탈곡통 반경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전개시킨 후 탈곡통 바깥쪽에서 상기 체결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탈곡통과 급치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탈곡통의 일부(원판덮개)를 분리하지 않고도 탈곡통 외측에서 교체가 필요한 급치만을 낱개로 교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급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교체의 용이함과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정비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함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통의 급치 교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콤바인 탈곡부 및 선별부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탈곡부를 구성하는 급치가 부착된 탈곡통의 사시도.
도 7은 급치 부착 전 탈곡통의 사시도 및 평면 전개도.
도 8은 탈곡통에 부착되는 급치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탈곡통에 급치가 부착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탈곡통에 급치가 부착된 부분을 절개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탈곡통에 급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통 급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의 개략적인 구성부터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은 크게, 주행기체(1)와, 주행기체(1) 전방의 예취부(3)로 구성된다. 주행기체(1)는 무한궤도식 주행륜(2)을 갖고, 예취부(3)는 상기 주행기체(1) 전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예취부 프레임(32)을 매개로 주행기체(1)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부(3)는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기를 구비하며, 예취기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예취부(3)를 구성하는 반송수단(부호 생략)을 통해 주행기체(1) 측의 공급체인(4)으로 안전하게 반송되고, 공급체인(4)에 의해 기체(1) 일측의 탈곡부(5)로 이동된다.
탈곡부(5)를 통과하면서 작물 이삭에 대한 탈곡이 행해지고, 탈곡 처리된 작물의 낟알은 탈곡부(5) 하방에 배치되는 선별부(8)로 반송되어 나락과 지푸라기 등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선별 과정을 거쳐 최종 선별된 낟알은 기체의 다른 측방 내측의 곡물탱크(9)로 반송되어 임시 저장되고 오거(auger, 6)를 통해 주행기체(1)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3) 승강 및 기체 주행과 관련한 조작은 주행기체(1) 타측 전방에 마련되는 기체 조작부(7, 운전석)의 여러 레버조작을 통해 행해지고, 기체 조작부(7) 즉, 운전석 하방과 곡물탱크(9) 사이의 여유공간으로는 실질적으로 기체 주행 및 콤바인에 마련되는 다양한 장치 구동을 위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이 배치된다.
도 5는 예취부로부터 제공되는 작물의 탈곡을 위한 콤바인의 탈곡부와 그 하방에 배치되는 선별부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취부(3)를 통해 예취된 작물이 공급체인(4)을 통해 탈곡부(5)로 반송된다. 탈곡부(5)는 탈곡용 탈곡통(50)과, 탈곡통(50) 하방에 배치되는 수망(54)을 포함한다. 탈곡통(50)의 둘레면에는 작물 이삭에 붙은 낟알을 훑어 내는 급치(52)가 일정한 배열로 부착되어 있으며, 수망(54)은 상기 탈곡통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탈곡통의 하부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탈곡통(50)은 엔진 동력으로 회전되며, 탈곡통(50)의 회전에 따른 충격작용과, 급치에 의한 훑음 작용, 그리고 탈곡통(50)과 수망(54) 사이에서의 마찰작용 등에 의해 탈곡부(5)로 반송된 작물에 대한 탈곡(脫穀)이 행해지고, 이러한 탈곡과정을 거쳐 탈곡된 낟알은 수망(54)을 통과해 그 하방의 선별부(8)로 낙하 공급된다.
선별부(8)는 상기 탈곡부(5)를 통해 탈곡 처리된 곡물을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체(80)와, 중량선별을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선별풍 발생기(85)를 포함한다. 요동선별체(80)는 쭉정이나 티클을 걸러낼 때 사용되는 도구인 키를 까부르는 듯 한 형태로 전후좌우로 요동되며, 상기 선별풍 발생기(85)는 요동선별체(80)를 향해 선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한다.
다단에 걸친 보다 정밀한 선별을 위해, 요동선별체(80)는 피드 팬(feed pan, 82)과, 피드 팬 후방으로 연속된 채프시브(chaff sieve, 83), 그리고 이들을 감싸는 시브 케이스(81)로 구성된다. 피드 팬(82)은 곡물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쐐기형 요철편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채프시브(83)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채프 핀을 구비한다.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중이 비교적 무거운 낟알은 상기 선별풍 발생기(85) 후방의 제1 이송스크류(87) 측으로 낙하되고 이를 통해 기체 다른 측방 내측의 상기 곡물탱크(9)로 반송되며,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교적 가벼운 낟알과 검불 등은 선별풍 발생기(85)가 일으키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제2 이송스크류(89) 쪽으로 날려진다.
제2 이송스크류(89)로 보내진 선별 대상물(낟알과 검불 등)은 상기 제2 이송 스크류(89)를 통해 상기 피드 팬(82)으로 다시 반송되며, 중량 선별과정에서 걸러진 나락이나 지푸라기와 같은 검불 등은 상기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된 배진 팬(86)에 흡입된 뒤 기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기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탈곡부를 구성하는 급치가 부착된 탈곡통에 대해서는 이후 도 6과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탈곡통(50)의 둘레면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작물 이삭에 붙은 낟알을 훑어 내는 급치(52)가 일정한 배열로 부착된다. 후술하게 될 좌우 대칭인 한 쌍의 급치부재(52a)(52b)가 서로 맞닿는 형태로 접함으로써 하나의 급치(52)를 이루고, 탈곡통(50)의 원주면에는 급치(52) 조립을 위해 급치(52) 조립단부(524)가 진입되는 급치 조립공(500)이 일정한 배열로 천공되어 있다.
각각의 급치 조립공(500) 좌우 양측에는 급치(52) 조립 시 급치(52)의 상기 조립단부(524)에 형성된 볼트구멍(525)(이후 도 8 내지 도 10 참조)과 일치하는 체결구멍(502)이 형성되며, 이때 급치 조립공(500)과 체결구멍(502)은 도 7 (b)의 전개도와 같이, 탈곡통(50)의 중심 축선(A1)에 대해 소정 각 기울어진 형태로 서로 평행한 기준선(A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7의 (b)와 같은 형태로 급치 조립공(500)과 체결구멍(502)이 형성됨에 따라 원통형 탈곡통(50)의 둘레면에 이 탈곡통(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중 나선(Multiple helix)을 이루는 형태로 급치(52)가 부착되는데, 각각의 급치(52)는 상기 탈곡통(50)의 외측에서 교체가 필요한 급치(52)만을 낱개로 교환 가능한 형태로 부착된다.
급치의 구성과 급치와 탈곡통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급치(52)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서로 대칭인 좌우 한 쌍의 제1 급치부재(52a)와 제2 급치부재(52b)로 구성된다. 제1 급치부재(52a)와 제2 급치부재(52b)는 급치부(520)와, 급치부(520)의 하단에 상기 급치부(520)에 대해 직각으로 일체화된 조립단부(524)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단부(524)에는 볼트구멍(525)이 있고 볼트구멍(525)에 저부에는 너트(526)가 일체로 구비된다.
마주보는 제1 급치부재(52a)의 급치부(520) 일면과 제2 급치부재(52b)의 급치부(520) 일면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밀착되어 하나의 급치(52)를 형성하게 되며, 급치부(520)는 볼록하게 만곡진 내치(521)와, 간격을 두고 상기 내치(521)를 둘러싸는 외치(523)로 구성된다. 이때 외치(523)는 조립단부(524)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급치부재(52a)와 제2 급치부재(52b) 둘 중 한 급치부재(52a)의 상기 내치(521) 주면에는 홀 또는 요홈(522a)이 형성되며, 상기 홀 또는 요홈을 형성한 급치부재(52a)의 내치(521) 주면과 맞닿는 다른 급치부재(52b)의 내치(521) 주면에는 상기 홀 또는 요홈에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되는 돌기(522b)가 형성됨으로써, 급치(52) 조립 후 두 부재는 서로에 대해 밀림이나 틀어짐이 방지된다.
제1 급치부재(52a)와 제2 급치부재(52b)로 구성된 상기 급치(52)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각 급치부재(52a)의 조립단부(524)가 탈곡통(50)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급치 조립공(500)에 끼운 뒤, 각 급치부재(52a)(52b)의 상기 조립단부(524)의 상면이 탈곡통(50) 내주면과 접하도록 자세를 바꾸고 탈곡통(50) 바깥에서 볼트(527)를 체결함으로써, 급치부(520)가 탈곡통(50)의 둘레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탈곡통에 급치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탈곡통(50)에 급치(52)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11과 같이 제1 급치부재(52a)와 제2 급치부재(52b)가 서로 대향되는 배치를 이루도록 가로로 뉘여 마주하는 제1 급치부재(52a)의 조립단부(524)와 제2 급치부재(52b)의 조립단부(524)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하되, 제1 급치부재(52a)의 조립단부(524)에 부착된 너트(526) 인접 상부에 제2 급치부재(52b) 조립단부(524)의 너트(526)가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다음, 서로 맞닿도록 배치시킨 각 급치부재(52a)의 조립단부(524)를 도 12와 같이 급치가 조립될 위치에 천공된 탈곡통(50)의 급치 조립공(500)에 끼우고, 제1, 제2 급치부재(52b) 조립단부(524)의 볼트구멍(525)과 탈곡통(50)에 형성된 체결구멍(502)이 일치되도록 각각의 급치부재(52a)(52b)를 탈곡통(50)의 반경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을 향해 수직으로 전개시킨다.
수직으로 전개된 두 급치부재(52a)(52b)의 급치부(520)를 탈곡통(50) 바깥쪽에서 동시에 쥐어 두 급치부재(52a)의 조립단부(524) 상면이 탈곡통(5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당긴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탈곡통(50) 바깥쪽에서 급치 조립공(500) 좌우 양측의 상기 체결구멍(502)에 볼트(527)를 체결함으로써 탈곡통(50)에 대한 급치(52)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탈곡통에 대한 급치의 분리는 상기 조립 과정의 역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따른 전술한 탈곡통 급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같이, 제1, 제2 급치부재(52a)(52b) 중 어느 한 급치부재(52a)의 외치(521) 상단에는 다른 급치부재(52b)의 외치(521) 상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는 고리모양의 수용단부(528)가 일체로 형성되며, 두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상기 외치(521) 상단 주면에는 볼록한 돌기(529a)가 형성되고, 다른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 주면에는 상기 돌기(529a)가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 가능한 오목한 요홈(529b)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탈곡통의 일부(원판덮개)를 분리하지 않고도 탈곡통 외측에서 교체가 필요한 급치만을 낱개로 교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급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교체의 용이함과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정비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함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주행기체 2 : 주행륜
3 : 예취부 4 : 공급체인
5 : 탈곡부 6 : 오거
7 : 기체 조작부(운전석) 8 : 선별부
9 : 곡물탱크 10 : 엔진
50 : 탈곡통 52 : 급치
52a : 제1 급치부재 52b : 제2 급치부재
54 : 수망 500 : 급치 조립공
502 : 체결구멍 520 : 급치부
521 : 내치 522a : 홀 또는 홈
522b : 돌기 524 : 조립단부
525 : 볼트구멍 526 : 너트
527 : 볼트

Claims (8)

  1. 볼록하게 만곡진 내치와, 간격을 두고 상기 내치를 둘러싸는 외치로 구성된 급치부 하단에 상기 급치부에 대해 직각으로 일체화된 조립단부를 형성한 제1 급치부재; 및
    상기 제1 급치부재와 접하는 형태로 쌍을 이뤄 하나의 급치를 구성하는 제1 급치부재와 대칭인 제2 급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급치부재와 제2 급치부재의 조립단부에는 볼트구멍이 있고 볼트구멍 저부에 너트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상기 내치 주면에는 홀 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 또는 요홈을 형성한 급치부재의 내치 주면과 맞닿는 다른 한 급치부재의 내치 주면에는 상기 홀 또는 요홈에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 가능한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급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치는 조립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급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 제2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에는 다른 한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는 고리모양의 수용단부가 일체로 더 형성되며,
    제1, 제2 급치부재 중 어느 한 급치부재의 상기 외치 상단 주면에는 볼록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급치부재의 외치 상단 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맞물리는 형태로 접속 가능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급치.
  6. 제1 급치부재와 제2 급치부재로 이루어진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급치와;
    상기 급치의 조립단부가 진입되는 급치 조립공이 원주면에 일정한 배열로 천공된 탈곡통;을 포함하며,
    급치 조립 시 급치의 조립단부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일치하는 체결구멍이 상기 급치 조립공 좌우 양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40024327A 2014-02-28 2014-02-28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KR10227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327A KR102275501B1 (ko) 2014-02-28 2014-02-28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327A KR102275501B1 (ko) 2014-02-28 2014-02-28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51A KR20150102451A (ko) 2015-09-07
KR102275501B1 true KR102275501B1 (ko) 2021-07-09

Family

ID=5424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327A KR102275501B1 (ko) 2014-02-28 2014-02-28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426B1 (ko) 2020-11-05 2023-06-1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 변경이 가능한 콩 콤바인 탈곡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3784A (ja) * 2010-03-19 2011-10-06 Yanmar Co Ltd 脱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607Y1 (ko) * 1979-02-10 1980-05-22 곽광수 탈맥기용 급치
JPS6242743U (ko) * 1985-09-02 1987-03-14
JPH04341117A (ja) * 1991-05-17 1992-11-27 Iseki & Co Ltd 脱穀扱歯
JP2011182768A (ja) 2010-03-04 2011-09-22 Chiyoda Kinzoku Industry Co Ltd 扱胴への扱歯装着方法と扱胴への扱歯分離方法及び扱胴への扱歯装着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3784A (ja) * 2010-03-19 2011-10-06 Yanmar Co Ltd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51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779B2 (ja) 脱穀装置の扱胴構造
US10143141B2 (en) Harvester concave with modularized independently configurable and detachable assemblies
JP4148978B2 (ja) 脱穀装置
JP2011193784A (ja) 脱穀装置
JP6472357B2 (ja) コンバイン
JP2023026613A (ja) コンバイン
JP2016039834A5 (ko)
JP2023026613A5 (ko)
JP2012231703A (ja) コンバインの扱胴
KR102275501B1 (ko)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JP646637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WO2006025818A1 (en) Harvesting device
KR102282513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4488445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5336113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5797940B2 (ja) コンバインの扱胴
JP4484956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5179974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2013201964A (ja) 脱穀装置及びこの脱穀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JP2020065474A (ja) コンバイン
JP5769600B2 (ja) 揺動選別装置
JP5643868B2 (ja) 脱穀装置及び脱穀装置を搭載した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355944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7117992B2 (ja) コンバイン
JP7134006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