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378A - 콤바인의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378A
KR20150137378A KR1020140065128A KR20140065128A KR20150137378A KR 20150137378 A KR20150137378 A KR 20150137378A KR 1020140065128 A KR1020140065128 A KR 1020140065128A KR 20140065128 A KR20140065128 A KR 20140065128A KR 20150137378 A KR20150137378 A KR 2015013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main shaft
main
cylinder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513B1 (ko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의 탈곡실에 설치되며 하나의 주축(회전축) 상에 두 개의 탈곡통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의 콤바인의 탈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동축 상에 배치되고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주 탈곡통과 부 탈곡통으로 구성되며, 주 탈곡통은 주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 탈곡통 후방의 주축에 상기 부 탈곡통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주축 후단에 기어박스가 배치되고 기어박스에는 주축 후단으로부터 취출한 동력을 상기 부 탈곡통에 전달하는 기어들이 내설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장치{Threshing device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실에 설치되는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주축(회전축) 상에 회전속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탈곡통이 설치된 구성의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베는 일과 탈곡 및 선별하는 일을 동시에 하는 농업기계로서 콤바인이 잘 알려져 있다. 콤바인은 전ㅇ후ㅇ좌ㅇ우로 기동 가능한 주행기체 전방에 작물을 베어 내는 예취(刈取)부를 구비하며, 예취부를 통해 베어진 작물을 주행기체 측으로 반송시켜 탈곡, 선별, 짚처리 및 배출 등의 일련의 처리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탈곡부는 예취부를 통해 베어진 작물의 이삭으로부터 낟알을 분리해내는 일을 한다. 탈곡부는 급치가 부착된 원통형 탈곡통과, 탈곡통 하방에 배치되는 수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엔진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탈곡통에 부착된 급치가 탈곡부를 이동하는 이삭을 타격해 이삭으로부터 낟알을 떨어낸다.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탈곡통의 종류에는, 하나의 기다란 원통형상의 탈곡통 둘레면에 특정 패턴으로 다수의 급치를 부착한 싱글타입과, 하나의 주축(회전축) 상에 탈곡통을 두 개로 분리시켜 배치하고 두 개로 분리된 탈곡통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해 탈곡성능을 높인 구성의 트윈타입이 있다.
이 중 싱글타입은 탈곡장치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탈곡성능과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트윈타입은 싱글타입에 비해 탈곡성능과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두 개의 탈곡통을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구조가 상당히 복잡해 장치를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트윈타입 구조에서 부 탈곡통은 주 탈곡통에 비해 길이가 짧기 때문에 원통형의 외통에 특정 배열로 급치를 부착함에 있어 어려움이 수반되고, 특히 마모, 파손, 변형 등과 같은 급치 손상 시 급치 교환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다. 더하여 주축(회전축)에 대해 회전 자유로운 부 탈곡통의 동심도를 유지시키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5-222519호(공개일 1995. 8. 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주축 상에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주 탈곡통과 부 탈곡통으로 구성된 탈곡장치의 상기 부 탈곡통 동력전달구조의 단순화와 탈곡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탈곡과정에서 마모, 파손, 변형 등에 의해 급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급치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고, 부 탈곡통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의 탈곡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콤바인의 탈곡실에 설치되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동축 상에 배치되고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주 탈곡통과 부 탈곡통으로 구성되며, 주 탈곡통은 주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 탈곡통 후방의 주축에 상기 부 탈곡통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주축 후단에 기어박스가 배치되고 기어박스에는 주축 후단으로부터 취출한 동력을 상기 부 탈곡통에 전달하는 기어들이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 탈곡통은, 주축이 관통하는 홀 주변의 중앙부가 탈곡통 내측으로 함몰된 구성의 프론트 휠과 리어 휠, 그리고 프론트 휠과 리어 휠을 연결하며 급치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외통으로 구성되며, 함몰로 인한 리어 휠의 수용부에 상기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 랄곡통의 프론트 휠과 리어 휠의 함몰된 중앙부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은 원주방향으로 균등 분할된 다수의 원호형의 덮개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통을 구성하는 원호형 덮개는 6개일 수 있으며, 3개는 상기 프론트 휠과 리어 휠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덮개이고, 다른 3개는 고정덮개 사이사이에서 고정덮개에 결합되는 분리덮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들은, 상기 주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동기어와; 주축과 평행한 기어박스 내 지지축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주축의 원동기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 및 원동기어 전방의 주축에 회전 자유롭게 끼워져 상기 중간기어와 맞물리고 부 탈곡통과 결합되어 원동기어와 중간기어를 통해 증속된 주축의 회전력을 부 탈곡통에 전달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속도가 다른 주 탈곡통과 부 탈곡통이 동축 상에 배치된 트윈 탈곡통의 구조로서, 탈곡과정에서의 미탈립 곡립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 탈곡통의 외통이 다수의 덮개로 분할되고 그 중 일부 덮개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급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어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 탈곡통의 리어 휠을 함몰 형성시켜 확보된 공간에 주축에서 취출된 동력을 부 탈곡통에 증속시켜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취부함으로써, 부 탈곡통의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기어박스 취부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해 콤팩트한 구성으로 부 탈곡통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적 측면에서 봤을 때 부 탈곡통의 프론트 휠과 리어 휠의 중앙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함몰시켜 탈곡통 중앙에서 서로 접하는 형태가 되도록 부 탈곡통을 구성함에 따라, 주축과 부 탈곡통 사이의 동심도(concentricity, 同心度) 공차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부 탈곡통의 안정적인 회전과 회전 부하 또한 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의 탈곡부 및 선별부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탈곡부를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탈곡통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곡통의 횡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 탈곡통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부 탈곡통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분리덮개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의 개략적인 구성부터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과 관련한 콤바인은 크게, 주행기체(1)와, 주행기체(1) 전방의 예취부(3)로 구성된다. 주행기체(1)는 무한궤도식 주행륜(2)을 갖고, 예취부(3)는 상기 주행기체(1) 전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예취부 프레임(32)을 매개로 주행기체(1)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부(3)는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기를 구비하며, 예취기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예취부(3)를 구성하는 반송수단(부호 생략)을 통해 주행기체(1) 측의 공급체인(4)으로 안전하게 반송되고, 공급체인(4)에 의해 기체(1) 일측의 탈곡부(5)로 이동된다.
탈곡부(5)를 통과하면서 작물 이삭에 대한 탈곡이 행해지고, 탈곡 처리된 작물의 낟알은 탈곡부(5) 하방에 배치되는 선별부(8)로 반송되어 나락과 지푸라기 등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선별 과정을 거쳐 최종 선별된 낟알은 기체의 다른 측방 내측의 곡물탱크(9)로 반송되어 임시 저장되고 오거(auger, 6)를 통해 주행기체(1)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3) 승강 및 기체 주행과 관련한 조작은 주행기체(1) 타측 전방에 마련되는 기체 조작부(7, 운전석)의 여러 레버조작을 통해 행해지고, 기체 조작부(7) 즉, 운전석 하방과 곡물탱크(9) 사이의 여유공간으로는 실질적으로 기체 주행 및 콤바인에 마련되는 다양한 장치 구동을 위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이 배치된다.
도 4는 콤바인의 탈곡부와 탈곡부 하방의 선별부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취부(3)를 통해 예취된 작물이 공급체인(4)을 통해 탈곡부(5)로 반송된다. 탈곡부(5)는 탈곡통(50)과, 탈곡통(50) 하방에 배치되는 수망(57)를 포함하는 탈곡장치로 구성된다. 탈곡통(50)의 둘레에는 작물 이삭에 붙은 낟알을 훑어 내는 급치(55)가 일정한 배열로 부착되어 있으며, 수망(57)은 탈곡통의 하부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탈곡통(50)은 엔진 동력으로 회전되며, 탈곡통(50)의 회전에 따른 충격작용과, 급치에 의한 훑음 작용, 그리고 탈곡통(50)과 수망(57) 사이에서의 마찰작용 등에 의해 탈곡부(5)로 반송된 작물에 대한 탈곡(脫穀)이 행해지고, 이러한 탈곡과정을 거쳐 탈곡된 낟알은 수망(57)을 통과해 그 하방의 선별부(8)로 낙하 공급된다.
선별부(8)는 상기 탈곡부(5)를 통해 탈곡 처리된 곡물을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체(80)와, 중량선별을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선별풍 발생기(85)를 포함한다. 요동선별체(80)는 쭉정이나 티클을 걸러낼 때 사용되는 도구인 키를 까부르는 듯 한 형태로 전후좌우로 요동되며, 상기 선별풍 발생기(85)는 요동선별체(80)를 향해 선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한다.
다단에 걸친 보다 정밀한 선별을 위해, 요동선별체(80)는 피드 팬(feed pan, 82)과, 피드 팬 후방으로 연속된 채프시브(chaff sieve, 83), 그리고 이들을 감싸는 시브 케이스(81)로 구성된다. 피드 팬(82)은 곡물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쐐기형 요철편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채프시브(83)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채프 핀을 구비한다.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중이 비교적 무거운 낟알은 상기 선별풍 발생기(85) 후방의 제1 이송스크류(87) 측으로 낙하되고 이를 통해 기체 다른 측방 내측의 상기 곡물탱크(9)로 반송되며,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교적 가벼운 낟알과 검불 등은 선별풍 발생기(85)가 일으키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제2 이송스크류(89) 쪽으로 날려진다.
제2 이송스크류(89)로 보내진 선별 대상물(낟알과 검불 등)은 상기 제2 이송 스크류(89)를 통해 상기 피드 팬(82)으로 다시 반송되며, 중량 선별과정에서 걸러진 나락이나 지푸라기와 같은 검불 등은 상기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된 배진 팬(86)에 흡입된 뒤 기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기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탈곡부를 구성하는 탈곡장치 중 급치가 부착된 탈곡통에 대해서는 이후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탈곡통(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동력으로 회전하는 주축(59)에 설치된 주 탈곡통(50a)과 주 탈곡통(50a) 후방의 주축(59) 상에 배치되는 부 탈곡통(50b)으로 구성된다. 주 탈곡통(50a)은 주축(59)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부 탈곡통(50b)은 주축(59)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두 탈곡통(50a)(50b)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한다.
부 탈곡통(50b)은 주축(59)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56) 내 기어들을 거쳐 증속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주 탈곡통(50a) 후방에서 이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주 탈곡 후 미탈립된 곡립(낟알)들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부 탈곡통(50b) 측을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탈곡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로 인해 미탈립으로 인한 곡립(낟알)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기어박스(56)는 부 탈곡통(50b)에 인접한 주축(59)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기어박스(56)에는 주축(59) 후단으로부터 취출한 회전동력을 증속시켜 상기 부 탈곡통(50b)에 전달하는 기어들이 내설된다. 즉 기어박스(56)에 내설된 기어들에 의해 주축(59) 후단으로부터 취출된 회전동력이 증속되고 부 탈곡통(50b)에 전달됨으로써 부 탈곡통(50b)은 주 탈곡통(50a)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부 탈곡통(50b) 증속을 위한 기어들은 도 6과 도 7의 도시와 같이, 원동기어(560)와 중간기어(564)(565) 그리고 종동기어(566)로 구성된다. 원동기어(560)는 주축(59)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고정됨과 함께 베어링을 통해 기어박스(56)의 일측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중간기어(564)(565)는 기어박스(56) 내에 설치된 주축(59)과 평행한 지지축(562)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배치된다.
주축(59)에 끼워진 베어링을 통해 원동기어(560) 전방의 주축(59) 상에 상기 종동기어(566)가 회전 자유롭게 끼워져 상기 중간기어(565)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맞물리며, 종동기어(566) 일측은 부 탈곡통(50b)을 구성하는 프론트 휠(51)과 리어 휠(52)을 기어박스(56) 반대편에서 관통해 종동기어(566)에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 상기 부 탈곡통(50b)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된다.
원동기어(560)의 직경은 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564)의 직경보다 크고, 종동기어(566)의 직경은 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565)의 직경과 대략 비슷하다. 따라서 주축(59) 후단에서 취출된 동력이 맞물려 회전하는 원동기어(560)와 중간기어(564)를 거치면서 증속되고 다른 중간기어(565)를 통해 종동기어(566)에 전달됨으로써, 주축(59)과 일체로 회전하는 주 탈곡통(50a)보다 부 탈곡통(50b)이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기어박스(56) 후방의 주축(59) 말단에는 풀리(58)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58)는 탈곡처리를 거친 작물의 줄기를 콤바인 후방 측에 배치된 절단유닛(미도시) 측으로 반송시키는 컨베이어(미도시)의 풀리(58)와 벨트를 통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탈곡처리를 거친 작물줄기는 컨베이어를 통해 절단유닛으로 보내지고 적당한 크기로 잘려 기체 후방으로 배출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 탈곡통(50b)은 주축(59)이 관통하는 홀 주변의 중앙부가 탈곡통 내측으로 함몰된 구성의 프론트 휠(51)과 리어 휠(52) 그리고 프론트 휠(51)과 리어 휠(52)을 연결하며 둘레면을 따라 급치(55)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외통(54)으로 구성된다. 리어 휠(52)의 함몰로 인해 수용부(53)가 형성되고, 기어박스(56)가 상기 수용부(53)에 취부된다.
부 탈곡통(50b)의 리어 휠(52)을 함몰시켜 확보된 공간(수용부(53))에 주축(59)에서 취출된 동력을 부 탈곡통(50b)에 증속시켜 전달하는 상기 기어박스(56)가 취부됨으로써, 기어박스(56) 취부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해 공간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이 있고 동력전달구조를 포함하여 부 탈곡통(50b)을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도시와 같이, 부 탈곡통(50b)의 상기 프론트 휠(51)과 리어 휠(52)은 함몰된 중앙부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종동기어(566)를 고정하는 볼트(B)를 통해 상호 견고히 연결된다. 이에 따라 주축(59)과 부 탈곡통(50b) 사이의 동심도(concentricity, 同心度) 유지가 용이하여 큰 회전부하 없이 부 탈곡통(50b)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균등 분할된 다수의 원호형의 덮개(54-1)(54-2)를 통해 부 탈곡통(50b)의 외통(54)이 구성된다. 원호형 덮개 중 일부는 하나의 원호형 덮개 원주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간격을 두고 프론트 휠(51)과 리어 휠(52)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고정된 원호형 덮개 사이사이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외통(54)을 구성하는 상기 원호형 덮개의 개수는 바람직하게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은 6개일 수 있다. 이 경우 3개는 상기 프론트 휠(51)과 리어 휠(52)의 테두리부에 용접을 통해 부착 고정되는 고정덮개(54-1)가 되고, 다른 3개는 상기 고정덮개(54-1) 사이사이에서 고정덮개(54-1)에 탈부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분리덮개(54-2)가 된다.
부 탈곡통(50b)의 외통(54)이 다수의 덮개로 분할되고 그 중 일부 덮개(분리덮개)가 탈부착 가능함으로써, 마모, 파손, 변형 등과 같은 이유로 급치(55)가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교체 대상 급치(55)가 부착된 분리덮개나 교체 대상 급치(55)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분리덮개를 떼어내 급치(55)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주행기체 2 : 주행륜
3 : 예취부 4 : 공급체인
5 : 탈곡부 6 : 오거
7 : 기체 조작부(운전석) 8 : 선별부
9 : 곡물탱크 10 : 엔진
50 : 탈곡통 50a : 주 탈곡통
50b : 부 탈곡통 51 : 프론트 휠
52 : 리어 휠 53 : 수용부
54 : 외통 54-1 : 고정덮개
54-2 : 분리덮개 55 : 급치
56 : 기어박스 58 : 풀리
59 : 주축

Claims (7)

  1. 콤바인의 탈곡실에 설치되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동축 상에 배치되고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주 탈곡통과 부 탈곡통으로 구성되며, 주 탈곡통은 주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 탈곡통 후방의 주축에 상기 부 탈곡통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주축 후단에 기어박스가 배치되고 기어박스에는 주축 후단으로부터 취출한 동력을 상기 부 탈곡통에 전달하는 기어들이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탈곡통은, 주축이 관통하는 홀 주변의 중앙부가 탈곡통 내측으로 함몰된 구성의 프론트 휠과 리어 휠, 그리고 프론트 휠과 리어 휠을 연결하며 급치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외통으로 구성되며, 함몰로 인한 리어 휠의 수용부에 상기 기어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 랄곡통의 프론트 휠과 리어 휠의 함몰된 중앙부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원주방향으로 균등 분할된 다수의 원호형의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을 구성하는 원호형의 덮개는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의 덮개는,
    프론트 휠과 리어 휠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3개의 고정덮개와;
    고정덮개 사이사이에서 고정덮개에 결합되는 3개의 분리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들은,
    상기 주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동기어와;
    주축과 평행한 기어박스 내 지지축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주축의 원동기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 및
    원동기어 전방의 주축에 회전 자유롭게 끼워져 상기 중간기어와 맞물리고 부 탈곡통과 결합되어 원동기어와 중간기어를 통해 증속된 주축의 회전력을 부 탈곡통에 전달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20140065128A 2014-05-29 2014-05-29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228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128A KR102282513B1 (ko) 2014-05-29 2014-05-29 콤바인의 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128A KR102282513B1 (ko) 2014-05-29 2014-05-29 콤바인의 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378A true KR20150137378A (ko) 2015-12-09
KR102282513B1 KR102282513B1 (ko) 2021-07-28

Family

ID=5487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128A KR102282513B1 (ko) 2014-05-29 2014-05-29 콤바인의 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1670A (zh) * 2017-06-28 2019-01-04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CN109964658A (zh) * 2019-04-30 2019-07-05 叶丽 一种用于松塔脱粒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661A (ja) * 1993-03-03 1994-09-13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扱胴構造
JPH07222519A (ja) 1994-02-09 1995-08-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扱胴
JPH07222522A (ja) * 1994-02-09 1995-08-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における扱胴伝動装置
JPH10276556A (ja) * 1997-03-31 1998-10-20 Seirei Ind Co Ltd 脱穀装置
JP2003000039A (ja) * 2001-06-22 2003-01-07 Kubota Corp 扱 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661A (ja) * 1993-03-03 1994-09-13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扱胴構造
JPH07222519A (ja) 1994-02-09 1995-08-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扱胴
JPH07222522A (ja) * 1994-02-09 1995-08-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における扱胴伝動装置
JPH10276556A (ja) * 1997-03-31 1998-10-20 Seirei Ind Co Ltd 脱穀装置
JP2003000039A (ja) * 2001-06-22 2003-01-07 Kubota Corp 扱 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1670A (zh) * 2017-06-28 2019-01-04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CN109964658A (zh) * 2019-04-30 2019-07-05 叶丽 一种用于松塔脱粒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513B1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6953B2 (ja) コンバイン
JP2018000189A (ja) コンバイン
JP2011250751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0187569A (ja) コンバイン
KR20150137378A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4610573B2 (ja) コンバイン
JP5336113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2020018198A (ja) 脱穀装置
JP2017035015A (ja) コンバイン
JP4664935B2 (ja) 脱穀装置
JP2008136399A (ja) 脱穀装置
JP2014233237A (ja) コンバイン
JP5355943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5524529B2 (ja) コンバイン
JP2008215587A (ja) 軸受装置、該軸受装置を用いたプーリ、該プーリを有するベルト張力調節装置、及び、該ベルト張力調節装置を有するコンバイン
JP2020048475A (ja) コンバイン
JP5769600B2 (ja) 揺動選別装置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7130486B2 (ja) コンバイン
JP5484814B2 (ja) コンバイン
JP4782260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4427638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構造
JP2021145628A (ja) コンバイン
JP2011015637A (ja) コンバイン
JP2019106967A (ja) 排藁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