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844A -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844A
KR20160048844A KR1020167007227A KR20167007227A KR20160048844A KR 20160048844 A KR20160048844 A KR 20160048844A KR 1020167007227 A KR1020167007227 A KR 1020167007227A KR 20167007227 A KR20167007227 A KR 20167007227A KR 20160048844 A KR20160048844 A KR 2016004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p
product
plant
officinalis
colo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547B1 (ko
Inventor
필립 라곳
에스더 폰즈
버나드 맘퐁
세드릭 루소
Original Assignee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에스더블유엠 룩셈부르크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에스더블유엠 룩셈부르크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4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5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6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23F3/38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from tea extract
    • A23F3/385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from tea extract using flocculating, precipitating, adsorbing or complex-forming agents, or ion-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L1/221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23L2/395Dry compositions in a particular shape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33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품은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이에 적용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의약품,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제품이나 적용 또는 치료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하는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식물은 원하는 의약품,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관심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모든 식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PRODUCT COMPRISING A PLANT FOR MEDICINAL, COSMETIC, COLORING OR DERMATOLOGIC USE}
본 발명은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품은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이에 적용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에 상응하는 방법 및 이를 의약품,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제품 또는 적용 또는 치료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식물은 원하는 의약, 화장품, 착색 또는 피부과적 효과를 얻기 위해 관심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모든 식물일 수 있다.
오늘날, 식물로부터 기원한 물질들이 다수의 적용처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천연 성분의 선호도로 인해 착색 물품 또는 헤어 또는 식품이나 피부에서와 같이, 식물계 제품의 사용이 의도되는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용매 종류, 수분 함량, 온도, pH 등과 같이 특정 조건을 요구하며, 최종 결과물을 얻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실제로, 식물 제품이, 예를 들어 분말 형태로, 예를 들어 헤어나 피부 상에 적용되는 경우에, 두 가지가 일어나는데, 하나는 물질(들)의 추출이고, 또 하나는 헤어나 피부 상에 이의 고정이다. 사실, 이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긴 접촉 시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헤어나 피부는 미량의 중금속, 농약, 폴리페놀과 같이 식물 내 물질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관심 물질(들)의 양은 천연 성분(들)의 가변성에 기인하여 하나의 적용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적용에 대해 반드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동일한 향의 헤어 착색 제품을 적용하는 것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술한 예는 화장품, 의약품 또는 피부과 용도와 같이 식물 재료의 다른 용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금까지 식물 재료들로부터 얻어진 많은 물질들은 상기 물질이 이의 효과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시간에 기인하여 의약 또는 피부과적 적용처에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다수의 적용처에서, 특정 의약적 또는 피부과적 효과에 필요한 물질의 농도는, 예를 들어 정제의 크기에 기인하여 달성될 수 없거나, 또는 투여가 어려울 수 있었다. 식물 재료는 불충분한 양의 물질을 방출하며, 그리고/또는 낮은 방출율을 가질 수 있다. 설하 투여는 동일한 이유로 매우 종종 불가능하다. 또한, 의약 또는 피부과적 용도에서, 이는 식물(들)의 보다 많은 물질들 또는 복합 추출물의 조합만이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때로는 이러한 조합이 어떻게 작동하고 무슨 물질이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지 전적으로 알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 식물(들)에 함유된 대부분의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물질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잠재적으로 독성인 식물 성분과 같이 원하지 않는 물질로부터 특정의 원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해 식물 재료 유래의 제품을 개선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원하는 의약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 또는 피부과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조건 및 시간뿐만 아니라 식물 재료 유래의 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원료로 식물 재료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품은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성 식물 제품은 식물의 고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식물 추출물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성 식물 제품은 그 위에 식물 추출물이 적용되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제 2 층을 형성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식물 제품에 들어가거나 관통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섬유성 식물 제품은 조각, 시트 또는 분말과 같이 어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식물 추출물은 마찬가지로 섬유성 식물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 물질을 우선 분리하고, 후속적으로 잔존하거나 분리된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용이한 경우에, 하나의 식물이 식물 추출물 및 섬유성 식물 제품으로 분리된다. 후속적으로,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식물 추출물이 혼합되어 향상된 특성을 갖는 개조되거나 재구성된 버전의 본래의 식물을 얻는다. 예를 들어, 본래 식물의 특정 물질들은 쉽게 수용성이 되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물질의 방출 또는 추출 속도를 촉진하거나 심지어 조절하여 의약 또는 화장 또는 착색 또는 피부과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식물과 비교하여 더 높은 농도의 특정 또는 모든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섬유성 식물 제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른 식물들의 블렌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식물들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또한 예를 들어, 다른 식물들의 블렌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식물들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물질은, 예를 들어, 식물의 뿌리, 스템(stem), 몸통, 줄기(caulis), 잎, 라미나(lamina), 열매, 꽃, 씨 또는 껍질 중 하나 이상에서와 같이, 식물의 특정 부분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용해성, 예를 들어 수-용해성 또는 분산성일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섬유성 식물 제품의 하나 이상의 종류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식물 추출물을 위한 원료(들)로 사용되는 식물(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식물은 하나 이상의 허브, 약용 식물, 차, 채소, 염료 식물 또는 향신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식물의 예는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된다. 식물들의 리스트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식물들의 개요를 제공할 것이다. 식물들의 각 적용에서의 구분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의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식물은 또한 안토시아닌 또는 카로티노이드, 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의약 또는 화장 또는 착색 또는 피부과적 적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원하는 물질을 갖는 모든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위한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식물의 어느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품은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식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은 그 위에 식물 추출물의 층이 형성되는 섬유성 식물 제품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섬유성 식물 제품에 침투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식물 추출물층을 가진 다층 제품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각층은 특정 효과를 제공하도록 특정 물질(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층 제품의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침투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유체 또는 겔 또는 슬러리 또는 분말로서 섬유성 식물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층 제품은 그 위에 식물 추출물의 층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성 식물 제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 섬유 및/또는 셀룰로오스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것과 같은 물질의 부가적인 층들이 도 1b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상부/하부)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의 장점은 재구성된 물질로부터 활성 분자 운반을 유지하면서 습윤 강도, 인장 강도와 같은 특정 물리적 제품 특성을 개발하고 그리고/또는 향상시키고, 그리고/또는 외관 및 느낌, 색상 및 부드러움과 같은 제품 외관 및 소비자 기대를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다층 구조는 또한 식물 추출물을 갖는 보다 많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구조는 예를 들어, 안면 마스크, 붕대, 패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섬유성 식물 제품은 하나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섬유성 식물 제품을 적어도 약 30중량%, 또는 적어도 약 40중량% 또는 적어도 약 50중량% 또는 적어도 약 60중량% 또는 적어도 약 70중량% 또는 적어도 약 80중량% 또는 적어도 약 90중량% 또는 적어도 약 10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식물 추출물은 하나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식물 추출물을 적어도 약 30중량% 또는 적어도 약 40중량% 또는 적어도 약 50중량% 또는 적어도 약 60중량% 또는 적어도 약 70중량% 또는 적어도 약 80중량% 또는 적어도 약 90중량% 또는 약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의도된 용도에 따라, 제품은 예를 들어 페이퍼형 시트와 같은 시트 또는 분말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포옴 또는 액체 또는 정제 또는 펠렛 또는 과립일 수 있다. 제품은 실질적으로 건조될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 전에 재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색, 틴팅(tinting), 하이라이팅과 같은 헤어 착색 또는 표백에 사용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건조 착색 분말이 물 또는 다른 액체 또는 용매로 재수화되어 헤어에 적용될 조성물이 획득될 수 있다. 재수화될 분말 및/또는 시트는 또한 예를 들어, 미용용 안면 마스크 또는 의약용 상처 드레싱 또는 밴드 등과 같은 다른 적용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물 또는 다른 액체 또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예를 들어 피부 상에 적용되는 것과 같이 사용되기 전에 제품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이 보관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특정 적용을 위해 완결되거나(finalized) 예비-완결되는(pre-finalized) 것과 같이 추가 처리되는 경우에, 이는 보관 또는 완결 공정을 위한 수송을 위해 분말이나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약물 또는 약제, 의료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화장제, 착색제, 피부과 제, 항박테리아제, 항바이러스제, 항곰팡이제, 또는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은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포함하는 약제, 착색제, 화장품 또는 피부과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포함하는 의약, 화장품 또는 피부과 장치 또는 부품 키트(kit of part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적용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될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견지는, 헤어 또는 피부의 착색에 관한 것으로, 즉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 착색될 헤어 또는 피부에 적용된다. 마찬가지로, 섬유 또는 식품과 같은 다른 아이템들이 착색될 수 있다. 착색 제품은 시트형류 또는 페이스트 또는 슬러리 또는 분말 또는 포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질은 농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려진 제품으로부터 방출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방출될 수 있으므로, 잘 알려진 형태의 투여 외에, 식물 재료는 또한 설하 또는 경피 투여 또는 츄잉 검을 통한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여 식물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상기 잔류물을 정련하는 단계;
d) 상기 잔류물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시트형 제품(sheet like product)을 제조하는 단계;
e)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농축 또는 정재 또는 가향(aromatizing)하는 단계;
f) 단계 d)의 시트에 단계 b) 또는 e)의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g) 선택적으로, 단계 f)의 제품을 건조하는 단계
제품이 단계 d)에서 제조되기 전에, 상기 잔류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부분을 선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단계 e)는 또한 선택적으로 특정 물질의 선택 및 원하지 않는 물질의 필터링을 포함한다. 식물의 선택은 제품에 관한 각각의 설명과 유사하다.
스텝 a)에서, 용매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매는 극성의 양성자성(protic), 비극성의 양성자성, 극성의 비양성자성(aprotic), 비극성의 비양성자성 용매와 같은 어느 공지된 용매일 수 있다. 또한 용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용매는 처리될 식물(들) 및 추출될 물질(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또는 용매에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는 것은 기계적 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기계적 힘을 통해 물질(들)을 추출하기 위해 식물(들)은 공지된 기계적 프레스에 의해 또는 주위 압력을 변경함으로써 프레스될 수 있다. 추출될 식물(들) 및 물질(들)에 따라, 단순 필터링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일부 식물들이 컷팅 후에 예를 들어, 액체 형태로 물질이 유리되는 것과 같이 용매(들) 또는 기계적 힘에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필터링 수단은 예를 들어, 식물로부터 꽃가루와 같은 고형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기계적 진동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출 단계는 하나의 식물 또는 식물의 블렌드의 성분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과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식물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은 시트를 제조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식물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부분과 혼합될 수 있다. 다른 기원으로부터 유래하며, 그리고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약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진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어 원하는 제품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은 시트를 제조하기 전에 안정화제와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성 잔류물은 특정한 기계적 특성을 얻기 위해 합성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와 혼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비가용성이며 그리고/또는 식품, 의약 및/또는 화장품 법에 의해 승인된 것이다.
단계 b) 또는 e)의 식물 추출물은, 시트에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식물의 식물 추출물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단계 b) 또는 e)의 식물 추출물은, 시트에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기 전에 텍스쳐제와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 또는 안정화제 또는 인산염 또는 반죽 컨디셔너와 같은 텍스처제가 제품의 전체적인 질감, 색상, 식감 또는 표면을 부가하거나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계 d)의 시트에 단계 b) 또는 단계 e)의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기 전에 구성분(ingredients)을 추가하거나, 또는 식물 추출물로부터 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않은 화합물 또는 불순물과 같은 성분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방법은 단계 d)의 시트에 단계 b) 또는 단계 e)의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기 전에 구성분을 부가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 잔류물로부터 성분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g)의 조성물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모양의 형태 또는 분말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포옴 또는 액체 또는 펠렛 또는 과립을 얻기 위해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제품이 예를 들어, 페이스트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함유하는 경우, 특정량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식물 추출물이 섬유성 식물 제품 또는 섬유성 식물 제품의 각 조각으로부터 용해되거나 추출될 수 있다. 즉, 유체를 첨가함으로써 단계 g)의 조성물을 추가 처리하는 것은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제품의 이점은 유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색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분말 또는 페이스트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를 얻기 위해 시트형 제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처리 단계는 절삭 또는 분쇄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은 추가로 처리되어 예를 들어, 페이스트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 후자의 단계는 분말에 유체를 첨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물질이 섬유성 식물 제품으로부터 방출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모든 물질들이 예를 들어, 페이스트에 여전히 존재하므로 모든 이점을 여전히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하나 이상의 식물을 처리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 및 식물 추출물을 얻는 것이다. 섬유성 잔류물 및 식물 추출물 모두 처리되고, 최종적으로 배합되어 사용된 물질의 양 및 타입에 따라 이의 특성이 제어될 수 있는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식물로부터 유래되지 않은 다른 물질이, 예를 들어 특정 기계적 특성을 얻기 위해 또는 풍미를 부가하기 위해 또는 전체 또는 특정 물질의 방출 속도의 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과 같이, 결과적으로 얻어진 제품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제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다층 제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다층 안면 마스크의 예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패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상처 드레싱 적용의 예이다.
도 3은 통상적인 플랜트 인 백(plant in bag)과 비교하여, 함침 식물 제품에 대해 온수에서의 총 추출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으로부터 물질이 방출하는 속도와 관련하여, 온수에서의 총 추출 시간 및 향상된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통상적인 플랜트 인 백과 비교하여, 함침 식물 제품에 대해 냉수에서의 총 추출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통상적인 식물로 채워진 스탠다드 셀룰로오스 식물 백의 추출 성능과 비교하여, 통상적인 식물로 채워진 본 발명의 식물 백의 추출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60g/㎡의 평량에서 본 발명의 식물 백의 추출 성능과 비교하여, 120g/㎡의 평량에서 본 발명의 식물 백의 추출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3분의 인퓨전 후에 습윤 강화제의 사용 없이 일 예에서 재구성된 차를 나타낸다. 사진은 물질이 감퇴됨을 보여준다.
도 9는 3분의 인퓨전 후에 습윤 강화제의 사용으로 일 예에서 재구성된 차를 나타낸다. 사진은 물질이 실질적으로 감퇴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10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재구성된 물질을 나타낸다. 재구성된 차(D - 고 용해성 함량)는 C(스탠다드 용해성 수준)보다 더 높은 인퓨전 수준을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재구성된 물질을 나타낸다. 보다 낮은 평량을 갖는 재구성된 차 A는 C보다 더 빠른 인퓨전 수준을 나타낸다.
도 12는 재구성된 녹차 및 천연 물질의 관능 프로필을 나타낸다.
도 13은 재구성된 루이보스 및 천연 물질(루이보스 잎)의 관능 분석을 나타낸다.
도 14는 재구성된 루이보스 물질의 인퓨전 성능을 나타낸다.
도 15는 재구성된 백리향과 비교된 백리향 잎의 관능 프로필을 나타낸다.
도 16은 재구성된 백리향 물질의 인퓨전 성능을 나타낸다.
도 17은 천연 블렌드(blend)와 비교된 재구성된 백리향과 홍차의 관능 분석을 나타낸다.
도 18은 재구성된 월계수와 백리향 대 천연 블렌드(월계수와 백리향 잎)의 관능 분석을 나타낸다.
도 19는 재구성된 민트 대 본래의 민트 물질(멘타 x 피페리타(Mentha x piperita))의 관능 분석을 나타낸다.
도 20은 재구성된 민트와 녹차 대 본래의 블렌드의 관능 분석을 나타낸다.
도 21a-k는 다른 종류의 적용에 제공되는 다른 물리적 형태의 재구성된 물질을 나타낸다.
도 22는 재구성된 커피 물질의 인퓨전 성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1 층(1)은 섬유성 식물 산물(product)을 포함하고, 제 2 층(2)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제 1 층은 100㎛ 내지 0.5cm,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실질적으로 별도의 층을 갖는 대신에, 식물 추출물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섬유성 식물 제품 내로 들어가거나 침투할 수 있다. 제 1 층(1)은 식물 추출물이 섬유성 식물 제품 내로 들어가는 것을 촉진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섬유성 식물 제품은 어느 형상 또는 페이스트 또는 분말의 작은 조각일 수 있으며, 그리고 식물 추출물은 식물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예를 들어, 섬유성 식물 제품을 포함하는 제 1 층, 제 1 물질(들)과 함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 2 층, 제 2 물질(들)과 함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 3 층(미도시) 등과 같이 2개,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은 특정 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층에 추가적인 층 또는 각 물질은, 물질이 제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순서 및/또는 양 및/또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및 섬유성 식물 제품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 바람직하게는 천연 기원의 비가교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머와 같은 텍스처제의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텍스처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카로브검, 구아검, 펙틴,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아가-아가, 아라비아검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식물 기원의 천연 제제;
● 잔탄검 천연 제제, 겔란검, 히알루론산 및 덱스트란과 같은 미생물 기원의 것;
● 젤라틴, 콜라겐 및 키토산 천연 제제와 같은 동물 기원의 것;
● 클레이 및 실리카와 같은 미네랄 제제 및 폴리아크릴릭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제제와 같은 합성 폴리머.
본 발명은 의약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사용 또는 이러한 분야의 어느 조합을 위한 것과 같이 다수의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영역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음의 논의는 기본적인 개념이 동일한 정도로 제한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정 적용과 관련하여 언급된 식물은 다른 적용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적용이 단일 제품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물질 농도 및 물질 방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향상된 특성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식물 제품 투여 방법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설하 투여와 같이 식물 제품 투여에 지금까지 어려운 방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의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들)의 처리로 인해, 선택된 물질의 제어된 양이 제품, 즉 섬유성 식물 제품 또는 식물 추출물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 하나의 식물은, 최종 제품이 원료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물질을 포함하도록 재구성되거나 개조될 수 있다. 개조된 제품은, 개조된 제품으로부터 물질이 예를 들어, 천연 식물로부터 방출되는 것보다 신속히 조절된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어, 본래의 식물에 비해 유리하다. 또한, 다른 식물의 다른 물질 또는 합성 물질을 제품에 혼합하여 이의 기계적 또는 의약/피부과적/화장품/착색제 특성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살충제, 금속 또는 폴리페놀과 같이 특정의 원하지 않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또한 다른 효과를 위한 다른 물질을 포함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특히, 제품은 다른 시간 및 속도로 다른 물질을 방출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물질이 제 1 효과를 제공하고, 이후의 제 2 물질은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질이 효과를 제공하는 시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냉각 효과를 제공하고, 후속적으로 또는 중첩하여 화끈거림 또는 따끔함과 같이 불쾌한 부작용을 갖는 물질을 방출하는 피부과적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의약품은 원하는 의약 효과를 제공하는 물질뿐만 아니라 어린이, 성인 또는 동물에 대해 보다 쾌적한 투여를 이루기 위한 향이나 향신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 적용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의약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개선된 특성에 기인하여, 의약 물질의 투여는 더 효율적으로 된다.
특정 식물 제품의 설하 투여는, 달성된 농도가 원하는 의약 효과를 얻기에는 너무 낮아, 매우 종종 불가능하였다. 상기 물질(들)의 보다 더 높은 농도, 상기 물질(들)의 보다 더 높은 유리 속도, 및 보다 우수한 용해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은 식물 제품의 설하 투여를 가능하게 만든다. 설하 투여는 경구 투여에 비해 특정한 이점이 있다. 이것은 종종 더 신속하며, 그리고 물질이 혈류에 들어가기 전에 타액 효소에 의해서만 분해될 위험이 있게 되는 것을 확실히 한다. 경구 투여 약물은 위산이나 담즙, 또는 내부의 많은 효소에 의해 이들을 분해 및 대사할 위험이 있는 위장관의 적대적인 환경을 거쳐 생존하여 통과해야 한다. 또한, 위장관으로부터 흡수 후, 이러한 약물은 광범위하게 대사될 수 있는 간을 통해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설하 방식으로 특정 물질을 투여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의약 족욕조과 같은 욕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은 분말 또는 페이퍼형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제품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작은 컷 피스(cut pieces)와 같이, 통상적인 식물 제품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으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형태의 제품이 제품으로부터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냉수, 따뜻한 물 또는 뜨거운 물과 같은 용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용매는 제품으로부터 방출된 물질이 풍부해지게 되고, 그 풍부해진 용매는 예를 들어, 의약 족욕조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용매는 흡입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백 형태의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다른 의약 조(baths) 또는 액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의약 적용을 위한 식물은 하나 이상의 아칠레아 밀레폴리움 L.(Achillea millefolium L.); 아드하토바 바시카 니스(Adhatoda vasica Nees); 아에스컬러스 히포카스타넘 L.(Aesculus hippocastanum L.);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 L.(Agrimonia eupatoria L.); 아그로피론 레펜스 (L.)(Agropyron repens (L.)); 아그로피론 레펜스 (L.) P. 보우브.(Agropyron repens (L.) P. Beauv.); 알리움 사티범 L.(Allium sativum L.); 알리움 세파 L.(Allium cepa L.); 알로에 바바덴시스 밀러(Aloe barbadensis Miller); 알로에 페록스 밀러(Aloe ferox Miller);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 L.(Althaea officinalis L.); 안드로그래피스 파니큘라타 니스(Andrographis paniculata Nees); 안젤리카 시넨시스 (올리브.) 디엘스(Angelica sinensis)(Oliv.) Diels; 아크티움 라파 L.(Arctium lappa L.); 아크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L.) 스프렝.(Arctostaphylos uva-ursi (L.) Spreng.); 아르니카 몬타나 L.(Arnica montana L.); 아르테미시아 압신티움 L.(Artemisia absinthium L.); 아베나 사티바 L.(Avena sativa L.); 베툴라 펜둘라 로스(Betula pendula Roth); 베툴라 퍼브신스 어르(Betula pubescens Ehrh);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 L.(Calendula officinalis L.); 카멜리아 시넨시스 (L.) 쿤츠(Camellis sinensis (L.) Kuntze); 캡셀라 버사-파스토리스(L.) 메디커스(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us); 캡시컴 아눔 L. 헤이서(Capsicum annuum L. Heiser); 카럼 카비 L.(Carum carvi L.); 카시아 세나 L.(Cassia senna L.); 카시아 앵거스티폴리아 발(Cassia angustifolis Vahl); 센타우리움 에리트라에아 라픈(Centaurium erythraea Rafn); 센텔라 아시아티카 L. 우반(Centella asiatica L. Urban); 세트라리아 이슬란디카(L.) 아카리우스 s.l.(Cetraria의 islandica (L.) Acharius s.l); 차마에멜럼 노빌(L.)(Chamaemelum nobile (L.) syn.; 안데미스 노빌리스 L.(Anthemis nobilis L.); 카모밀라 레커티타(L.) 라우스처트(Chamomilla recutita (L.) Rauschert); 마트리카리아 레쿠티타 (L.)(Matricaria recutita (L.)); 첼리도니움 마주스 L.(Chelidonium majus L.); 시코리움 인티버스 L.(Cichorium intybus L.); 시미시퓨가 라세모사 (L.) 너트(Cimicifuga racemosa (L.) Nut); 신나모멈 베럼 J. S. 프레슬(Cinnamomum verum J. S. Presl); 신나모멈 제일라니컴 니스(Cinnamomum zeylanicum Nees); 시트러스 버가미아 리소(Citrus bergamia Risso); 시트러스 버가미아 Risso & Poiteau.(Citrus bergamia Risso & Poiteau.); 시트러스 spp.(Citrus spp.); 콜라 니티다(벤트.)(Cola nitida (Vent.); 콜라 아커미나타(P. Beauv.)(Cola acuminata (P. Beauv.)); 콜라 아커미나타(P. Beauv.) Schott et Endl.(Cola acuminata (P. Beauv.) Schott et Endl.); 코미포라 몰몰 엥글러(Commiphora molmol Engler); 크라타에거스 모노지나 Jacq. (Lindm.)(Crataegus monogyna Jacq. (Lindm.)); 크라타에거스 라에비가타 (Poir.) DC(Crataegus laevigata (Poir.) DC); 커커비타 페포 L.(Cucurbita pepo L.); 커큐마 롱가 L.(Curcuma longa L.); 시나라 스콜리머스 L.(Cynara scolymus L.); 커큐마 잔토르히자 Roxb.(Curcuma xanthorrhiza Roxb.); C. 잔토르히자 D. Dietrich.(C. xanthorrhiza D. Dietrich.); 에치나세아 앵거스티폴리아 DC(Echinacea angustifolia DC); 에치나세아 팔리다(Nutt.) 너트.(Echinacea pallida(Nutt.) Nutt.; 에티나세아 퍼르퍼레아(L.) Moench.(Echinacea purpurea (L.) Moench.); 엘레우테로코커스 센티코서스 (Rupr. et Maxim.) Maxim.(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et Maxim.) Maxim.); 에퀴세텀 아르벤스 L.(Equisetum arvense L.); 에리시멈 오피시날 L.(Erysimum officinale L.); 에스크스촐트지아 캘리포니아 Cham.(Eschscholtzia California Cham.); 유칼립투스 글로벌러스 Labill.(Eucalyptus globulus Labill.); 유칼립투스 폴리박테아 R.T. Baker(Eucalyptus polybractea R.T. Baker); 유칼립투서 스미딜 R.T. Baker(Eucalyptus smithii R.T. Baker.); 유프라시아 오피시날리스 L.(Euphrasia officinalis L.); 필리펜둘라 울마리아(L.) Maxim.(Filipendula ulmaria (L.) Maxim.); 스피라에아 울마리아 L.(Spiraea ulmaria L.); 포이컬럼 불가레 Miller subsp. vulgare var. vulgare(Foeniculum vulgare Miller subsp. vulgare var. vulgare); 프라가리아 버스카 L.(Fragaria vesca L.); 프락시너스 엑셀시오르 L.(Fraxinus excelsior L.); 퍼커스 베지컬러스 L.(Fucus vesiculus L.);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 L.(Fumaria officinalis L.); 겐티아나 루테아 L.(Gentiana lutea L.); 징코 빌로바 L.(Ginkgo biloba L.); 글리시르히자 글라브라 L.(Glycyrrhiza glabra L.); 글리시르히자 인플라타 Bat.(Glycyrrhiza inflata Bat.); 글리시르히자 우랄렌시스 Fisch.(Glycyrrhiza uralensis Fisch.); 그린델라 로버스타 Nutt.(Grindelia robusta Nutt.); 그린델라 스쿠아로사(Pursh) Dunal(Grindelia squarrosa (Pursh) Dunal); 그린델리아 휴밀리스 Hook, et Arn., Grindel(Grindelia humilis Hook, et Arn., Grindel); 라벤듈라 앵거스티폴리아 Mill.(Lavandula angustifolia Mill.);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 차익스(Lavendula officinalis Chaix); 레오너러스 카르디아카 L.(Leonurus cardiaca L.); 레비스티컴 오피시날 Koch.(Levisticum officinale Koch.); 리넘 우시타티시멈 L.(Linum usitatissimum L.); 마루비움 불가레 L.(Marrubium vulgare L.); 마트리카리아 레큐티타 L.(Matricaria recutita L.); 멜라루카 알테니폴리아(Maiden 및 Betche) Cheel(Melaleuca alternifolia (Maiden and Betche) Cheel; 멜리오터스 오피시날리스(L.) Lam.(Melilotus officinalis (L.) Lam.); 멜리사 오피시날리스 L.(Melissa officinalis L.); 멘타 x 피페리타 L.(Mentha x piperita L.); 오에노테라 비엔니스 L.(Oenothera biennis L.); 오에노테라 라마키아나 L.(Oenothera lamarckiana L.); 올레아 유로파에아 L.(Olea europaea L.); 오노니스 스피노사 L.(Ononis spinosa L.); 오논니스 아르벤시스 L.(Ononis arvensis L.); 오리가넘 딕타머스 L.(Origanum dictamnus L.); 오르토시폰 스타미누스(Orthosiphon stamineus); 오르토시폰 스타미누스 Benth.(Orthosiphon stamineus Benth.); 파낙스 진셍 C. A. Meyer.(Panax ginseng C. A. Meyer.);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L.(Passiflora incarnata L.); 폴리니아 큐파나 컨스(Paullinia cupana Kunth);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DC(Pelargonium sidoides DC); 펠라고니움 레니포메 Curt.(Pelargonium reniforme Curt.); 퓨머스 볼더스 몰리나(Peumus boldus Molina); 파세울러스 불가리스 L.(Phaseolus vulgaris L.); 피크로리자 커로아 로일 ex. Benth(Picrorhiza kurroa Royle ex. Benth.); 핌피넬라 아니섬 L.(Pimpinella anisum L.); 플란타고 란세올라타 L.(Plantago lanceolata L.); 플란타고 오바타 Forssk.(Plantago ovata Forssk.); 플란타고 아프라 L.(Plantago afra L.); 플란타고 인디카 L.(Plantago indica L.); 폴리포디움 불가레 L.(Polypodium vulgare L.); 포텐틸라 에렉타 (L.) Raeusch.(Potentilla erecta (L.) Raeusch.); 프리멀라 베리스 L.(Primula veris L.); 프리멀라 엘라티오르 (L.) Hill(Primula elatior (L.) Hill); 프루너스 아프리카나 (Hook f.) Kalkm.(Prunus africana (Hook f.) Kalkm.); 쿼커스 로버 L.(Quercus robur L.); 쿼커스 페트라에아 (Matt.) Liebl.(Quercus petraea (Matt.) Liebl.); 쿼커스 퍼브신스 Willd.(Quercus pubescens Willd.); 람너스 퍼시아너스 D.C.(Rhamnus purshianus D.C.); 람너스 프랑굴라 L.(Rhamnus frangula L.); 레움 팔마텀 L.(Rheum palmatum L.); 레움 오피시날 베일론(Rheum officinale Baillon); 로디올라 로세아 L.(Rhodiola rosea L.); 리베스 니그럼 L.(Ribes nigrum L.); 로사 센티폴리아 L.(Rosa centifolia L.); 로사 갈리카 L.(Rosa gallica L.); 로사 다마세나 Mill.(Rosa damascena Mill.);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 L.(Rosmarinus officinalis L.); 루버스 이다에우스 L.(Rubus idaeus L.);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 L.(Ruscus aculeatus L.); 살릭스(Salix)[S. 푸르푸레아 L.(S. purpurea L.); S. 다포이데스 빌.(S. daphnoides Vill.); S. 프라질리스 L.(S. fragilis L.)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L.(Salvia officinalis L.); 삼버커스 니그라 L.(Sambucus nigra L.); 세레노아 레펜스(바르트람) 스몰(Serenoa repens (Bartram) Small); 사발 세룰라타(미카우스) 니콜스(Sabal serrulata (Michaux) Nichols); 실리범 마리아넘 L. Gaertner(Silybum marianum L. Gaertner); 솔라넘 덜카마라 L.(Solanum dulcamara L.);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 L.(Solidago virgaurea L.); 심피텀 오피시날 L.(Symphytum officinale L.); 시지지움 아로마티컴 (L.)(Syzygium aromaticum (L.)); 시지지움 아로마티컴 (L.) Merill et L. M. Perry(Syzygium aromaticum (L.) Merill et L. M. Perry); 타나세텀 파테니움 (L.) Schultz Bip.(Tanacetum parthenium (L.) Schultz Bip.; 타락사컴 오피시날 Weber ex Wigg.(Taraxacum officinale Weber ex Wigg.); 티머스 불가리스 L.(Thymus vulgaris L.); 티머스 지지스 Loefi. ex L.(Thymus zygis Loefi. ex L.); 틸리아 코다타 Miller(Tilia cordata Miller); 틸리아 플라티필로스 Scop.(Tilia platyphyllos Scop.); 틸리아 x 불가리스 Heyne(Tilia x vulgaris Heyne); 틸리아 토멘토사 Moench(Tilia tomentosa Moench); 트리고넬라 포넘-그래컴 L.(Trigonella foenum-graecum L.); 운카리아에 토멘토사에(Willd.) DC(Uncariae tomentosae (Willd.) DC);우티카 디오이카 L.(Urtica dioica L.); 우티카 우렌스 L.(Urtica urens L.); 바시니움 미르틸러스 L.(Vaccinium myrtillus L.);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 L.(Valeriana officinalis L.); 버바스컴 탭서스 L.(Verbascum thapsus L.); 버바스컴 덴시플로럼 Bertol.(Verbascum densiflorum Bertol.); V. 탭시포메 스크래드(V. thapsiforme Schrad); 버바스컴 플로모이데스 L.(Verbascum phlomoides L.); 비올라 트리컬러 L.(Viola tricolor L.); 비스컴 알범 L.(Viscum album L.); 비텍스 아그너스-카스터스 L.(Vitex agnus-castus L.); 비티스 비니페라 L.(Vitis vinifera L.); 징지버 오피시날리스 L.(Zingiber officinalis L.)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의약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적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원하는 물질을 갖는 모든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위한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피부과적 적용
또한, 본 발명의 제품은 피부과 제품 또는 의약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치 또는 마스크는 접착 영역(3) 및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영역(4)을 포함할 수 있다. 패치는 처리될 피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한편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영역(4)은 처리될 피부를 향해 향한다. 처리될 피부에 대해 프레싱함으로써 패치가 적용되면, 접착 영역(3)은 피부에 대해 패치를 고정시키고,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영역(4)은 이의 효과를 낸다. 패치 또는 마스크는 예를 들어, 코, 눈 또는 입을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인간 안면에 상응하는 예비 성형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피부 자극을 피하기 위해 접착 영역(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스크는 예를 들어,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다른 액체 또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 전에 재수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영역(4)에 함유된 물질의 방출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영역(3) 및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영역(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접착 영역(3)은 이것이 필요없는 경우에 또는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영역(4)이 접착성의 주된 효과 또는 부작용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도 2b는 활성 영역이 재구성된 차(샘플 1562A1)에 의해 형성된 예시적인 패치를 나타내며, 이는 일면에 16-gsm 합성(레이온 섬유) 필름으로 라미네이팅되었다.
식물 추출물 및 섬유성 식물 제품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특히 그 안에 함유된 물질은 예를 들어, 피부 내로의 확산이나 침투에 의해, 또는 단순히 피부와의 표면 접촉의 영향에 의해 피부에 작용할 수 있다. 다음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카모마일, 야생 팬지(wild pansy), 알로에 베라, 차나무(tea tree), 세인트 존스 워트(St. John's Wort), 우엉, 위치 하젤, 버드 나무, 민들레 또는 오레가노(oregano). 피부과적 적용을 위한 추가 예시적인 식물에 대해서는 이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 하기 문헌들로 참조가 이루어진다:
● ESCOP Monographs, 3 books, Ed. Thieme ISBN 978-1-901964-08-0; 및
● Barnes J., Anderson A.L., Phillipson D. 2007. Herbal Medicines, Ed. Pharmaceutical Press, 710 pages, ISBN 978 0 85369 623 0.
예시적인 다층 안면 마스크를 도 1b 및 1b에 도시하였다. 층(8)은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식물 추출물과 함께 재구성된 물질을 포함한다. 층(9)는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보다 낮은 층이며, 예를 들어 아바카와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며, 이는 부드럽고 백색의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층(9)는 10gsm 내지 100gsm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층(9)는 식물 추출물이 피부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다공성이다. 층(9)는 또한 식물 추출물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소수성 또는 친수성 용액(물 또는 습윤제 또는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를 함유할 수 있다. 동일한 용액은 또한, 추출물, 향, 착색제, 보존제, 유화제, 윤활제, pH를 조절하기 위한 산 및/또는 염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층(7)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텐셀과 같은 레이온 및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외부)층이다. 층(7)은 제품 적용에 따라 10gsm 내지 500gsm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층(7)은 최종 제품에 적합한 물리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예를 들면, 이마 및 볼 부위를 위한 제 1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 눈 부위를 위한 제 2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 및 코 부위를 위한 제 3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과 같이 다양한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편입된 (2013년 12월 3일에 US 8,597,667 B2로 등록됨) 미국 특허 출원 US 2009/0280150 A1에는, 여러 피부 질환의 표적된 동시 치료 용 미용 안면 마스크가 개시되어있다(예, 27문단 참조). 마스크는 눈, 코 및 입을 위한 개구부를 갖는 안면 특징에 맞게 형성된 플렉시블 물질로서 기재되어 있다(예, 10 및 28문단 참조). 기질은 방출가능한 운반을 위한 다른 피부 효과 제제로 함침된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격리 부위를 포함한다(예, 5문단 참조). 본 발명의 재구성된 식물 물질은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US 2009/0280150 A1의 5 및 10문단에 기재된 피부 효과제의 미용 시트 및 표적 운반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6과 함께 26 내지 33문단에 기재된 미용 마스크와 관련되어 기재된 바와 같은 재구성된 식물 물질로부터 운반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제공하는 격리 부위를 갖는 물질의 형태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의약 적용을 위한 추가 예시적인 식물은 하나 이상의 아비에스 spp.(Abies spp.); 아칠레아 오피시날리스(Achillea officinalis); 아에스컬러스 히포카스타넘(Aesculus hippocastanum);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알로에 spp.(Aloe spp.);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아크티움 마저스(Arctium majus); 아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발사미타 메이저(Balsamita major); 브라시카 spp.(Brassica spp.);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캡셀라 버사 파스토리스(Capsella bursa pastoris);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신초나 spp.(Cinchona spp.); 코클레아리아 아르모라시아(Cochlearia armoracia); 코미포라 spp.(Commiphora spp.); 코릴러스 아벨라나(Coryllus avelana); 크로커스 사티버스(Crocus sativus); 큐프레서스 셈퍼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에리시멈 spp.(Erysimum spp.); 유칼립투스 spp.(Eucalyptus spp.); 피카리아 라넌큘로이데스(Ficaria ranunculoides);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퍼커스 베지큘로서스(Fucus vesiculosus);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시르히자 spp.(Glycyrrhiza spp.); 하마멜리스 비르지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주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크라메리아 테트란드라(Krameria tetrandra); 라미움 spp.(Lamium spp.); 라반둘라 spp.(Lavandula spp.); 리피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매트리카리아 레큐티타(Matricaria recutita); 멜라루카 spp.(Melaleuca spp.); 멜리오투스 오피시날리스(Melilotus officinalis); 멘타 spp.(Mentha spp.); 누파 루테움(Nuphar luteum);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폴리니아 큐파나(Paullinia cupana); 페트로셀리넘 크리스펌(Petroselinum crispum); 피너스 spp.(Pinus spp.); 플란타고 spp.(Plantago spp.); 폴리고넘 비스토르타(Polygonum bistorta); 포펄러스 spp.(Populus spp.); 포텐틸라 에렉타(Potentilla erecta); 쿼커스 spp.(Quercus spp.); 라파너스 사티버스(Raphanus sativus); 레움 오피시날(Rheum officinale);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로사 spp.(Rosa spp.); 러버스 spp.(Rubus spp.);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Ruscus aculeatus); 살리카리아 오피시날리스(Salicaria officinalis); 살릭스 spp.(Salix spp.); 살비아 spp.(Salvia spp.); 사투레이아 몬타나(Satureia montana); 심피텀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테아 spp.(The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틸리아 spp.(Tilia spp.); 트로파에올럼 마저스(Tropaeolum majus);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버바스컴 탭시포르메(Verbascum thapsiforme);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비버넘 spp.(Viburnum spp.); 비올라 spp.(Viola spp.);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지지퍼스 주주바(Ziziphus jujuba)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의약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적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원하는 물질을 갖는 모든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위한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바람직한 물질은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항라디칼제, 탈색 방지제, 리포레귤레이팅제(liporegulating agent), 항여드름제, 항지루성 제제(antiseborrhoeic agent), 노화 방지제, 연화제, 주름 방지제, 항염증제, 치유 제, 수화제, 항균제, 항진균제,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 지방산 오일, 정유제, 피토스테롤, 세라마이드, 클레이 및 UV 필터로부터 선택된다.
화장품 적용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화장품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미용 마스크는 피부과적 적용의 문맥에서 설명된 마스크에 상응할 수 있으나, 의약 및/또는 피부과적 효과를 갖는 물질보다는 미용 효과를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미용, 피부과적 및 의약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스크와 같이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유사하게, 의약 족욕조 적용과 관련하여 언급된 백이 또한 화장품 및/또는 착색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용과 마찬가지로, 또한 화장품 적용에서 원하는 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살충제, 금속, 폴리 페놀 또는 증감제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폴리 페놀과 같은 분자가 헤어 또는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물, 향, 착색제, 보존제, 유화제, 윤활제 또는 pH를 조절하기 위한 산 또는 염기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형성된 제품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화장품 적용을 위한 식물은 하나 이상의 아칠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악티니디아 치넨시스(Actinidia chinensis); 아에스컬러스 히포 카스타넘(Aesculus hippo castanum);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아그로피럼 레펜스(Agropyrum repens); 알로에 spp.(Aloe spp.); 알타에아 spp.(Althaea spp.); 아미리스 발사미페라(Amyris balsamifera); 아나나스 사티버스(Ananas sativus); 아네텀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안젤리카 아르챈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 아르크티움 마저스(Arctium majus);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 우르시(Arctostaphyllos uva ursi); 아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테미시아 spp.(Artemisia spp.); 밤버사 아란디나세아(Bambusa arandinacea); 아르토카퍼스 헤테로필러스(Artocarpus heterophyllus); 아스코필럼 노도섬(Ascophyllum nodosum);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밤버사 아란디나세아(Bambusa arandinacea); 반데이라에아 심플리시폴리아(Bandeiraea simplicifolia); 베르게니아 크라시폴리아(Bergenia crassifolia); 베툴라 spp.(Betula spp.); 보에르하비아 디퓨사(Boerhavia diffusa); 보스웰리아 카테리(Boswellia carteri); 브라시카 spp.(Brassica spp.); 브루소네티아 파피리페라(Broussonetia papyrifera);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칼루나 불가리스(Calluna vulgaris); 카멜리아 spp.(Camellia spp.); 카나가 오도라타(Cananga odorata); 캡시컴 spp.(Capsicum spp.); 카라파 구아이아넨시스(Carapa guaianensis);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카람 카르비(Caram carvi); 카시아 spp.(Cassia spp.); 카스타네아 spp.(Castanea spp.);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카모밀라 spp.(Chamomilla spp.); 체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 콘드라스 크리스퍼스(Chondras crispus); 크리산텔럼 인디컴(Chrysanthellum indicum); 크리산테멈 시네라리아에폴리움(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시코리움 인티버스(Cichorium intybus); 신코나 spp.(Cinchona spp.); 신나노멈 spp.(Cinnamomum spp.); 시스터스 랍다니페라스(Cistus labdaniferas); 시트랄러스 spp.(Citrallus spp.); 시트러스 spp.(Citrus spp.); 크니커스 베네딕터스(Cnicus benedictus); 코클레아리아 오피시날리스(Cochlearia officinalis); 커피 spp.(Coffea spp.);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 코리안드람 사티범(Coriandram sativum); 코릴러스 아벨라나(Corylus avelana); 크리트멈 마리티멈(Crithmum maritimum); 크로커스 spp.(Crocus spp.); 커커미스 사티버스(Cucumis sativus); 커커비타 spp.(Cucurbita spp.); 큐프레서스 셈퍼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커컬리고 오치오이데스(Curculigo orchioides); 커커마 spp.(Curcuma spp.); 시아티아 메듈라리스(Cyathea medullaris); 시도니아 불가리스(Cydonia vulgaris); 심보포곤 spp.(Cymbopogon spp.); 시나라 스콜리머스(Cynara scolymus); 다우커스 카로타(Daucus carota); 디오스코레아 spp.(Dioscorea spp.); 드로세라 spp.(Drosera spp.); 에키나세아 spp.(Echinacea spp.); 에클립타 프로스트라타(Eclipta prostrata); 에필로비움 앙거스티폴리움(Epilobium angustifolium);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에리카 시네레아(Erica cinerea); 유노니머스 유로파에우스(Euonymus europaeus); 유포비아 spp.(Euphorbia spp.); 유프라시아 오피시날리스(Euphrasia officinalis);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포에니컬럼 spp.(Foeniculum spp.); 프라가리아 spp.(Fragaria spp.); 프락시너스 spp.(Fraxinus spp.); 퍼커스 spp.(Fucus spp.); 퓨마리아 오피시날리스(Fumaria officinalis); 가르시니아 캠보드지아(Garcinia cambodgia); 가울테리아 프로컴벤스(Gaultheria procumbens); 제라늄 로버티아넘(Geranium robertianum);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신 소자(Glycine soja); 글리시르히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고시피움 sp.(Gossypium sp.); 그린델리아 spp.(Grindelia spp.); 헤마톡실럼 캠페치아넘(Haematoxylum campechianum); 하마멜리스 버지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하파고피텀 프로큐벤스(Harpagophytum procumbens);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헬리안터스 안누스(Helianthus annuus); 헬리크립섬 이탈리컴(Helichrysum italicum);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히에라시움 필로셀라(Hieracium pilosella); 히만탈리아 엘론가타(Himanthalia elongata); 휴멀러스 루펄러스(Humulus lupulus);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히소퍼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일렉스 spp.(Ilex spp.); 이포모에아 spp.(Ipomoea spp.); 아이리스 spp.(Iris spp.); 자스넘 spp.(Jasminum spp.); 주니퍼라스 spp.(Juniperas spp.); 크라메리아 트리안드라(Krameria triandra); 라릭스 데시듀아(Larix decidua); 라미나리아 spp.(Laminaria spp.); 라미움 spp.(Lamium spp.); 라레아 디바리티카(Larrea divaritica); 라우라스 노빌리스(Lauras nobilis); 라반듈라 spp.(Lavandula spp.); 리토탐니움 칼카레움(Lithothamnium calcareum); 리트람 살리카리아(Lythram salicaria); 망지페라 인디카(Mangifera indica); 마라비움 불가레(Marrabium vulgare); 마르스데니아 콘더란고(Marsdenia condurango); 멜라루카 spp.(Melaleuca spp.); 멜리오터스 오피시날리스(Melilotus officinalis);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멘타 spp.(Mentha spp.); 뮤쿠나 프라리엔스(Mucuna prariens); 뮤사 spp.(Musa spp.); 미르터스 콤머니스(Myrtus communis); 미리카 세리페라(Myrica cerifera); 나스터티움 오피시날리스(Nasturtium officinalis); 넬룸보 너시페라(Nelumbo nucifera); 네펠리움 롱가나(Nephelium longana); 니코티아나 spp.(Nicotiana spp.);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누파르 spp.(Nuphar spp.); 오시멈 바실리컴(Ocimum basilicum);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오펀티아 spp.(Opuntia spp.); 오키스 마스컬라(Orchis mascula); 오리가넘 spp.(Origanum spp.); 오리자 spp.(Oryza spp.); 팔마리아 팔마타(Palmaria palmata);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울리니아 큐파나(Paullinia cupana); 페르세아 spp.(Persea spp.); 페트로셀리움 spp.(Petroselinum spp.); 파세울러스 spp.(Phaseolus spp.); 피멘타 spp.(Pimenta spp.); 피너스 spp.(Pinus spp.); 플란타고 spp.(Plantago spp.); 플렉트란터스 바라터스(Plectranthus barbatus); 폴리갈라 spp.(Polygala spp.); 폴리고넘 spp.(Polygonum spp.); 포퓰러스 니그라(Populus nigra); 포피라 움빌리칼리스(Porphyra umbilicalis); 포르툴라카 올레라세아(Portulaca oleracea); 포텐틸라 spp.(Potentilla spp.); 프리물라 spp.(Primula spp.); 프라너스 spp.(Pranus spp.); 퓨니카 그라나텀(Punica granatum); 피제움 아프리카넘(Pygeum africanum); 피라스 말러스(Pyras malus); 콰시아 아마라(Quassia amara); 퀘르커스 spp.(Quercus spp.); 퀼라자 사포나리아(Quillaja saponaria); 라넌컬러스 피카리아(Ranunculus ficaria); 라파너스 spp.(Raphanus spp.); 라폰티컴 spp.(Rhaponticum spp.); 라벤사나 아로마티카(Ravensana aromatica); 레움 spp.(Rheum spp.); 로디올라 로세아(Rhodiola rosea);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로사 spp.(Rosa spp.); 로스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비아 틴크토리움(Rubia tinctorium); 루버스 spp.(Rubus spp.); 루멕스 오시덴탈리스(Rumex occidentalis);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Ruscus aculeatus); 사카람 오피시나람(Saccharam officinaram); 사투레이아 몬타나(Satureia montana);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spp.(Salvia spp.); 삼버커스 니그라(Sambucus nigra); 쉬너스 몰레(Schinus molle); 세나 spp.(Senna spp.); 세레노아 레펜스(Serenoa repens); 실리범 마리아넘(Silybum marianum); 솔라넘 spp.(Solanum spp.); 솔리다고 spp.(Solidago spp.); 소포라자포니카( Sophorajaponica); 스테컬리아 spp.(Sterculia spp.); 심피티움 오피시날(Symphytium officinale); 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타게테스 spp.(Tagetes spp.); 타마린더스 인디카(Tamarindus indica); 타나세텀 spp.(Tanacetum spp.);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테오브로마 spp.(Theobrom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틸리아 spp.(Tilia spp.); 트리고넬라 포에넘 그라에컴(Trigonella foenum graecum); 트리티컴 벌가레(Triticum vulgare); 트로파에올럼 spp.(Tropaeolum spp.); 터실라고 파르파라(Tussilago farfara); 운다리아 spp.(Undaria spp.); 우르티카 디오이카(Urtica dioica); 우스네아 spp.(Usnea spp.);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스컴 spp.(Verbascum spp.);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베로니카 spp.(Veronica spp.); 비올라 오도라타(Viola odorata); 비버넘 spp.(Viburnum spp.); 빈카 마이너(Vinca minor);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제아 메이스(Zea mays); 징지버 오피시날(Zingiber officinale)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의약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적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원하는 물질을 갖는 모든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위한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 적용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헤어, 피부 및 옷이나 가방 또는 식품과 같은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착색과 같은 착색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착색은 틴팅(tinting), 염색, 하일라이팅 및 표백과 같은 모든 착색 처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색 제품은 피부과적 적용과 관련하여 언급된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는 착색 물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은 동시에 주어진 물질의 중량에 대해 천연 식물로부터 방출되는 것보다 더 많은 착색제가 재구성된 식물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견지에서 보다 효과적인 착색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은 추출 또는 유리(liberation)가 천연 식물보다 더 신속하기 때문에, 이와 동일한 비재구성된 식물보다 더 신속한 착색을 가능케 한다. 실제로, 착색제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품의 표면 상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물과 같은 용매와 접촉되자마자 방출될 수 있다. 착색제는 가용성일 수 있다. 가용물 또는 착색제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그 양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표준 수준으로 감소 또는 증가), 이는 보다 우수한 제어를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제품은 항상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하나의 생산에서 또 다른 하나의 생산으로 동일한 양의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착색 효과의 변화가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다. 이는 다른 모든 적용, 즉, 의약, 화장품 및 피부과적 적용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색소에 있어서, 특정 색을 얻기 위해 다양한 식물,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 향료를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옅은 헤어를 어두운 헤어로 착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헤나와 인디고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제품에 의해 포함되는 물질로 착색될 수 있는 패브릭(fabric) 또는 가죽 또는 텍스틸(textiles) 또는 식품 또는 다른 항목과 착색 상품 제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또는 착색 적용을 위해 바람직한 식물은 인디고페라 틴크토리아(Indigofera Tinctoria), 로소니아 이너미스(Lawsonia Inermis), 큐레마 롱가(Cureuma Longa), 주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루비아 틴크토럼(Rubia Tinctorum), 퀼라자 사포나리아(Quillaja Saponaria), 카마에멜럼 노빌(Chamaemelum Nobile)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하나 이상이다.
다음은 각 식물을 이용한 일부 예시적인 적용을 제공한다:
● 착색제: 헤마톡실럼 캄페치아넘(Haematoxylum Campechianum), 로소니아 이너미스(Lawsonia Inermis), 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 헤어-라이트닝: 카모마일(Camomile);
● 퍼밍 업: 스페노피타(Sphenophyta);
● 수화: 푸쿠스(Fucus),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카모마일(Camomile).
본 발명의 제품에서, 식물은 예를 들어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화장품 적용을 위한 예시적인 식물은 다음과 같다:
레드/브라운: 아스퍼룰라 틴크토리아(Asperula tinctoria);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카멜리아 spp.(Camellia spp.); 갈륨 오도라텀(Galium odoratum); 로소니아 이너미스(Lawsonia inermis); 피톨라카 데칸드라(Phytolacca decandra); 피너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폴리고넘 아비큘라레(Polygonum aviculare); 프테로카르퍼스 산탈리너스(Pterocarpus santalinus); 람너스 알라터너스(Rhamnus alaternus); 루비아 틴크토리아(Rubia tinctoria) 및 루비아 spp.(Rubia spp.); 트리고넬라 포에넘-그라에컴(Trigonella foenum-graecum);
블랙/다크: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주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쿼커스 인펙토리아(Quercus infectoria); 쿼커스 spp.(Quercus spp.); 터미날리아 spp.(Terminalia spp.); 운카리아 갬비어(Uncaria gambier);
레드/퍼플: 알카나 틴크토리아(Alkanna tinctoria); 베타 불가리스(Beta vulgaris); 카에살피니아 브라실리엔시스(Caesalpinia brasiliensis); 카에살피니아 사판(Caesalpinia sappan); 캡시컴 안넘(Capsicum annuum); 다우커스 카로타(Daucus carota); 퍼커스 spp.(Fucus spp.); 모라스 니그라(Moras nigra); 파파버 로에아스(Papaver rhoeas); 퓨니카 그라나텀(Punica granatum); 리베스 니그람(Ribes nigram); 러버스 프라티코서스(Rubus fraticosus); 로셀라 틴크토리아(Rocella tinctoria) 또는 오리셀라(Oricella); 살릭스 퍼퍼레아(Salix purpurea); 삼버커스 니그라(Sambucus nigra); 바시니움 마크로카폰(Vaccinium macrocarpon); 바시니움 spp.(Vaccinium spp.);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옐로우/오렌지: 안테미스 틴크토리아(Anthemis tinctoria); 아버터스 우네도(Arbutus unedo); 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신나모멈 spp.(Cinnamomum spp.); 커큐마 spp.(Curcuma spp.); 크로커스 사티버스(Crocus sativus); 갈레옵시스 테트라히트(Galeopsis tetrahit); 제니스타 틴크토리아(Genista tinctoria);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매트리카리아 spp.(Matricaria spp.); 메메시톤 틴크토리우스(Memecyton tinctorius); 모라스 틴크토리아(Moras tinctoria); 퓨니카 그라나텀(Punica granatum); 쿼커스 틴크토리우스(Quercus tinctorius); 쿼커스 벨루티나(Quercus velutina); 레세다 루테올라(Reseda luteola); 레움 팔마텀(Rheum palmatum);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Solidago virgaurea);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 스피레아 아란커스(Spirea arancus); 타게테스 파튤라(Tagetes patula); 타나세텀 불가레(Tanacetum vulgare); 터실라고 파파라(Tussilago farfara);
그린: 알리움 포람(Allium poram); 베르베리스 불가리스(Berberis vulgaris); 글라디아터스 코머니스(Gladiatus communis); 리거스트람 불가레(Ligustram vulgare); 람너스 카타티카(Rhamnus cathartica); 솔라넘 니그람(Solanum nigram);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Spinacia oleracea);
블루: 밥티시아 틴크토리아(Baptisia tinctoria);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크로조포라 틴크토리아(Chrozophora tinctoria); 헤마톡실럼 캠페치아넘(Hematoxylum campechianum); 인디고페라 spp.(Indigofera spp.); 이사티스 틴크토리아(Isatis tinctoria); 론코카퍼스 시아네센스(Lonchocarpus cyanescens); 마호니아 멀티플로람(Mahonia multifloram); 마르스데니아 틴크토리아(Marsdenia tinctoria); 네리움 틴크토리움(Nerium tinctorium); 오크리올라리아 오크리나(Ocriolaria ocrina); 폴리고넘 틴크토리움(Polygonum tinctorium); 라이티아 틴크토리아(Wrightia tinctoria).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의약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적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원하는 물질을 갖는 모든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위한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적용
하기 예시적인 적용에서 이에 상응하는 식물이 함께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적용은 또한 추가의 식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용과 관련되어 언급된 식물들은 또한 다른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효과를 갖는 둘 이상의 식물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
●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신나모멈 캄포라(Cinnamomum camphora), 라벤듈라 spp.(Lavendula spp.)
● 살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카멜리아 spp.(Camellia spp.)
● 피부 클리닝, 포밍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 탈취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커커미스 사티버스(Cucumis sativus), 심피텀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 기피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심보포곤 윈터리아너스(Cymbopogon winterianus)
● 진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알로에 spp.(Aloe spp.), 심피텀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라눈컬러스 피카리아(Ranunculus ficaria), 글리시르히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 충혈 완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 붉은 반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 이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라벤듈라 spp.(Lavendul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 항염증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알로에 spp.(Aloe spp.), 라미나리아 spp.(Laminaria spp.)
● 혈관보호제(phlebotonic)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아에스컬러스 히포 카스타넘(Aesculus hippo castanum),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 유연제(emollient)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커커미스 사티버스(Cucumis sativus), 심피텀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 수렴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헤마톡실럼 캄페치아넘(Haematoxylum campechianum), 살비아 spp.(Salvia spp.)
● 자극/토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에치나카에 spp.(Echinacae spp.)
● 퍼밍 업(firming up)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커피 spp.(Coffea spp.).
● 재활성화(revitalizing)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퍼커스 spp.(Fucus spp.), 라미나리아 spp.(Laminaria spp.)
●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카멜리아 spp.(Camelli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오리가너스 spp.(Origanus spp.)
● 수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퍼커스 spp.(Fucus spp.), 알타에아 spp.(Althaea spp.)
● 슬리밍(slimming)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커피 spp.(Coffea spp.), 퍼커스 spp.(Fucus spp.),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 리후레쉬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커커미스 사티버스(Cucumis sativus), 멘타 spp.(Mentha spp.)
● 탈색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아칠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 모세혈관 저항(capillary fragility) 및 정맥 문제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아에스컬러스 히포카스타넘(Aesculus hippocastanum),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캡셀라 버사 파스토리스(Capsella bursa pastori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코릴러스 아벨라나(Coryllus avelana), 큐프레서스 셈퍼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피카리아 라넌컬로이데스(Ficaria ranunculoides),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하마멜리스 버지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크라메리아 테트란드라(Krameria tetrandra), 멜리오터스 오피시날리스(Melilotus officinalis), 폴리고넘 비스토르타(Polygonum bistorta), 포텐틸라 에렉타(Potentilla erecta), 쿼커스 spp.(Quercus spp.),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Ruscus aculeatus), 살리카리아 오피시날리스(Salicaria officinalis),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비버넘 spp.(Viburnum spp.), 비스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 피부 상처 및 부상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코미포라 spp.(Commiphora spp.), 라반듈라 spp.(Lavandula spp.), 사투레이아 몬타나(Satureia montana), 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살비아 spp.(Salvi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 두피 가려움증(scalp itch) 및 비듬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신코나 spp.(Cinchona spp.), 유칼립투스 spp.(Eucalyptus spp.), 주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라미움 spp.(Lamium spp.), 멘타 spp.(Mentha spp.), 살비아 spp.(Salvia spp.), 트로파에올럼 마주스(Tropaeolum majus).
● 피부 표면 균열, 건조증, 벌레 물림, 피부 벗겨짐, 화상 및 기저귀 발진의 경우에 피부 진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아칠레아 오피시날리스(Achillea officinalis), 알로에 spp.(Aloe spp.),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아르크티움 마주스(Arctium majus), 발사미타 메이저(Balsamita major),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리피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매트리카리아 레쿠티타(Matricaria recutita), 멘타 spp.(Mentha spp.), 누파 루테움(Nuphar luteum),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페트로셀리넘 크리스펌(Petroselinum crispum), 플란타고 spp.(Plantago spp.), 포풀러스 spp.(Populus spp.), 라파너스 사티버스(Raphanus sativus), 로사 spp.(Rosa spp.), 심피텀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틸리아 spp.(Tilia spp.), 베르바스컴 탭시포르메(Verbascum thapsiforme), 비올라 spp.(Viola spp.).
● 티딩(teething)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알로에 spp.(Aloe spp.), 크로커스 사티버스(Crocus sativus),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레움 오피시날(Rheum officinale), 살릭스 spp.(Salix spp.), 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 체중감량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퍼커스 베시큘로서스(Fucus vesiculosus), 포울리니아 큐파나(Paullinia cupana), 테아 spp.(Thea spp.).
● 눈 자극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하마멜리스 버지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매트리카리아 레큐티타(Matricaria recutita), 멜릴로터스 오피시날리스(Melilotus officinalis), 플란타고 spp.(Plantago spp.),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 기관지 질환, 기침, 감기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아비에스 spp.(Abies spp.), 브라시카 spp.(Brassica spp.), 유칼립투스 spp.(Eucalyptus spp.), 멜라루카 spp.(Melaleuca spp.), 피너스 spp.(Pinus spp.), 포퓰러스 spp.(Populus spp.).
● 경구 적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코클레라아 아르모라시아(Cochlearia armoracia), 에리시멈 spp.(Erysimum spp.), 글리시르히자 spp.(Glycyrrhiza spp.),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멘타 spp.(Mentha spp.), 피너스 spp.(Pinus spp.), 러버스 spp.(Rubus spp.), 살리카리아 오피시날리스(Salicaria officinalis), 지지퍼스 주주바(Ziziphus jujuba).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여 식물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 잔류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상기 잔류물을 정제하는 단계;
d) 상기 잔류물로부터 시트형 제품을 제조하며, 선택적으로 시트형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e)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농축 또는 정제하거나 이에 가향(aromatizing)하는 단계;
f) 단계 d)의 시트에 단계 (b) 또는 e)의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
g) 선택적으로, 단계 f)의 제품을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으로, 예를 들어, 줄기, 스크랩, 잎, 미분, 더스트 및/또는 쇼츠(shorts)와 같은 하나 이상의 식물 성분(식물 물질 또는 식물 퍼니쉬(furnish))은 상승된 온도에서 용매(예, 물 및/또는 다른 화합물)와 우선 혼합된다. 예를 들어, 알코올(예, 에탄올)과 같은 수-혼화성의 다양한 용매가 물과 혼합되어 수성 용매를 형성한다. 수성 용매의 물 함량은, 일부 경우에서, 용매의 50중량%를 넘을 수 있다. 일 구현으로, 물 함량은 용매의 적어도 약 70중량%, 또는 적어도 약 80중량%, 또는 적어도 약 90중량% 또는 약 100중량%이다. 탈이온수, 증류수 또는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다. 현탁액에서 용매의 양은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현탁액의 75중량% 내지 약 99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용매의 양은 용매의 성질, 추출이 수행되는 온도, 식물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용매/식물 퍼니쉬 혼합물을 형성한 후, 퍼니위 혼합물의 가용성 추출물 분획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혼합물로부터 분리(예를 들어, 추출)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수성 용매/식물 퍼니쉬 혼합물은 추출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혼합물을 스터링, 쉐이킹 또는 다른 혼합에 의해 추출 중에 교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추출은 약 0.5시간 내지 약 6시간 동안 수행된다. 또한, 필요하지 않지만, 전형적인 추출 온도는 약 10℃ 내지 약 100℃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추출 단계 전에,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을 파쇄하여 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해, 선택적인 분쇄 또는 절단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용액 불용성 잔류물로부터 분리되면, 가용성 추출물 분획은 선택적으로 진공 증발기와 같은 어느 알려진 종류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일 구현으로, 가용성 성분이 고도로 농축될 수 있다. 또한, 농축 또는 농축되지 가용성 추출물 분획을 원하는 어느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성 추출물 분획은 향료 물질로서 이용되거나 일부는 불용성 잔류물 분획에 첨가될 수 있다.
추출되면, 불용성 잔류물 분획은 선택적으로 섬유성 펄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계적 정련기에 가해질 수 있다. 적합한 정련기의 일부 예로는 디스크 정련기, 원추형 정련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용성 잔류물 분획은 원하는 어느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용성 잔류물 분획은, 또한 본 명세서에 재구성된 식물 물질로 언급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향료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불용성 잔류물 분획은 제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지 스테이션은 형성 장치를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성형 와이어, 중력 드레인, 흡입 드레인, 펠트 프레스, 양키 드라이어, 드럼 드라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용성 잔류물 분획은 펄프의 형태일 수 있다 펄프. 형성 장치에 있어서, 펄프는 시트형 형상을 형성하는 와이어 벨트 상에 배치된다. 과량의 물은 중력 배수, 흡입 하수구, 프레스 및 건조기를 사용하여 시트에서 제거된다. 원하는 경우, 그 후, 상기 가용성 추출물 분획의 일부가 불용성 잔류물 분획을 다시 적용될 수 있다. 불용성 잔류물 분획이 가용성 분획과 재결합되는 경우, 결과적으로 형성된 식물 제품은 일반적으로 "재구성된 식물 물질"이라 칭하여진다.
재구성된 식물 물질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으로, 밴드 캐스팅이 재구성된 식물 물질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밴드 캐스팅은 전형적으로 아라비아검, 구아검, 알기네이트, 잔탄,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MC),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펙틴 또는 전분과 같은 바인더와 혼합된 미세 분할된 식물 부분의 슬러리를 사용하여, 이는 스틸 밴드 상에 코팅된 다음 건조된다. 일 구현으로,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편입된, 미국 특허 제 3,353,541호; 제 3,420,241호; 제 3,386,449호; 제 3,760,815호; 및 제 4,674,519호에 기재된 통상적인 담배 재구성 공정과 유사한 공정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또한 어느 식물 성분(줄기, 스크랩, 잎, 미분, 더스트 및/또는 쇼츠(shorts))을 페이퍼형 제품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제지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의 일부 예는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편입된, 미국 특허 제 3,428,053호; 제 3,415,253호; 제 3,561,451호; 제 3,467,109호; 제 3,483,874호; 제 3,860,012호; 제 3,847,164호; 제 4,182,349호; 제 5,715,844호; 제 5,724,998호; 및 제 5,765,570호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지 기술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품의 형성은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 이로부터 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가용성 성분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를 정련(refine)하는 단계, 웹을 형성하는 단계, 농축된 가용성 성분을 재적용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및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되면, 불용성 고형 부분은 선택적으로 섬유성 펄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계적 정련기에 가해질 수 있다. 적합한 정련기의 일부 예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디스크 정련기, 원추형 정련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정련기로부터 펄프는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제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성형 와이어, 중력 드레인, 흡입 드레인, 펠트 프레스, 양키 드라이어, 드럼 드라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성 장치에서, 펄프는 시트형 형상을 형성하는 와이어 벨트 상에 배치되며, 과량의 물은 중력 드레인 및 흡입 드레인 및 프레스에 의해 제거된다. 식물 용액(식물 추출물)의 불용성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면, 가용성 부분은 선택적으로 진공 증발기와 같은 어느 공지된 종류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물에서 인퓨전되는 것과 같이, 액체(예, 물)와 접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습윤 강화제가 바람직하게 재구성된 물질의 잠재적 분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섬유 부분에 첨가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진, 폴리(아미노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진,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알킬 케텐 다이머, 알킬 숙시닉 안하이드리드, 폴리비닐아민, 산화 폴리사카라이드(산화 분해 전분과 같은), 글리옥살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이민과 같은 폴리이민과 같은 어느 적절한 습윤 강화제, 바람직하게는 식품,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적 적용을 위해 선택된 습윤 강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습윤 강화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BFR(Bundesinstitut fur Risikobewertung) XXXVI 및 BFR XXXVI/1 또는 FDA(Food & Drug Administration) 21 176.170, FDA 21 CFR 176.110, FDA 21 CFR 176.120, FDA 21 CFR 176.1180과 같은 성분 규격에 기재되어 있다. 습윤 강화제는 예를 들어, 약 1%w/w 내지 약 20%w/w, 바람직하게 약 0.1%w/w 내지 약 10%w/w, 보다 바람직하게 약 5%w/w의 양으로 사용된다. 습윤 강화제는 바람직하게 시트형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또는 이전에 섬유성 부분에 첨가된다(단계 d) 참조).
일 구현으로, 추출에 사용되는 물은 온수, 바람직하게는 약 30-100℃, 약 40-90℃, 또는 약 50-80℃,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약 70℃의 온수이다.
일 구현으로, 상기 섬유 웹 상에 가용성 부분의 코팅률은 약 5-80%(w/w), 약 10-70%(w/w),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50%(w/w)이다. 일부 구현으로, 베이스 웹(섬유 웹)에 다시 추가되는 코팅률 또는 가용성 부분은 본래 식물에 함유되고 추출된 가용물의 부분(소위 "표준 수준(standard level)")과 유사하다.
일 구현으로, 최종 제품의 베이스 중량은 약 20g/㎡ 내지 약 200g/㎡(건조 기준), 보다 바람직하게 약 90g/㎡ 내지 약 120g/㎡이다.
추출 시간은 추출 공정에 가해지는 허브, 약용 식물,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으로, 추출 시간은 약 15~60분, 바람직하게 45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일 구현에서, 추출 단계는 식물들의 블렌드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다른 구현에서, 추출 단계는 단일 식물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추출은 또한 온수를 이용하는 것과 다른 수단에 의해, 즉 이산화탄소와 같은 초임계 가스를 이용한 추출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에탄올, 헥산, 아세톤, R134a(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으로, 추출은 실온 및 대기압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추출은 다른 용매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구현으로, 추출은 예컨대 다른 온도 및 다른 압력 및 다른 상태(액체 또는 가스)에서 R134a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은 액체 상태에서(실온에서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인 용매와 같이), 미임계 상태에서(100℃가 넘는 온도 및 1bar가 넘는 압력에서 물과 같이), 초임계 상태에서(31가 넘는 온도 및 73bar가 넘는 압력에서 이산화 탄소와 같이)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식물들은, 온도 민감성이거나 특정 추출 조건에 가해지지 않아야 하는 그 안에 함유된 성분들에 기인하여 특정 추출 조건(시간, 온도, 고체/액체 비율)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마토로부터 리코펜의 추출은 토마토 세포로부터 그 산물을 유리시키기 위하여 특정 효소를 사용하여 수행해야만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pH 조절제(예, NaOH 또는 유기산과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압력, 초음파,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셀룰로오스 및/또는 펙티나아제와 같은 공정 보조제가 추출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출(extraction)"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때마다, 상기 용어는 전술한 대체 추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추출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추출 조건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Handbook of Separation Techniques for Chemical Engineers, 제3판(1997년 3월), Philip A. Schweitzer, McGraw-Hill Inc.와 같은 표준 교과서에 기재되어 있다.
일 구현으로, 추출 및/또는 프레싱은 뿌리, 줄기, 트렁크(trunk), 경부(caulis), 잎, 라미나(lamina), 열매, 꽃, 씨 또는 수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신선하거나 냉동되거나 건조된 식물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불용성 부분(고형 식물 입자)으로부터 가용성 부분(식물 추출물)의 분리는, 예를 들어 압력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여과에 의해, 원심분리 또는 실험실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방법들에 의해 고형상으로부터 액체상을 분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식물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구현에서, 식물의 불용성 부분은 시트를 제조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식물의 불용성 부분과 혼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특정 구현은 단계 b)의 가용성 부분 또는 단계 e)의 농축된 가용성 부분을 사용하며, 이는 상기 가용성 부분 또는 농축된 가용성 부분을 시트에 적용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식물의 가용성 부분 또는 농축된 가용성 부분과 혼합된다.
특정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 전에 식물 추출물 및/또는 불용성 식물 입자에 또는 이로부터 구성분(ingredients) 또는 성분(components)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조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은 완성 제품의 화학적, 물리적 및/또는 관능 특성을 변형/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단계 b)의 가용성 부분 또는 단계 c)의 농축된 가용성 부분을 단계 d)의 시트에 적용하기 전에 가용성 부분(식물 추출물)로부터 그리고/또는 불용성 부분(고형 식물 입자)으로부터 성분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단계 g)에서 얻어진 시트 또는 시트형 제품은 웹 또는 섬유-웹이다. 시트형 제품 또는 웹은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단계 g)의 조성물은 작고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의 형태로 더욱 절단되거나 부서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분쇄에 의해 분말을 얻기 위해 처리된다. 원하는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시트 또는 섬유 웹을 절단 또는 부수는 것에 부가적으로, 원하는 최종 수분 함량으로 건조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분쇄 방법은 극저온 분쇄이다. 냉동 밀링, 냉동 분쇄 또는 크라이오밀링(cryomilling)으로도 알려진 극저온 분쇄는 물질을 냉각 또는 칠링(chilling)한 다음, 이를 소입자로 감소시키는 행위이다. 열 및 산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표준 분쇄 기술로 물질에서 일어난다. 저온 분쇄에 의해, 효소, 비타민 및 기타 여러 활성 분자들이 이러한 반응에서 보존된다. 이 기술은 약용 식물 분말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또한 예를 들어 정제 또는 과립을 생성하도록 펠릿화 될 수 있다. 펠릿화는 물질을 펠렛 형상으로 압축 또는 성형하는 처리이다.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우선 그 성분의 입자 크기를 줄이기 위해 망치질 처리된다. 그 다음, 성분들은 배치(batch)된 다음, 합쳐지고, 피드 믹서에 의해 완전히 혼합된다. 이 단계에 공급물이 준비되면, 공급물은 펠렛화될 준비가 된다. 펠렛화는 펠렛 밀에서 이루어지며, 여기서 공급물은 펠렛 밀의 맞춤 컨디셔너에서 일반적으로 컨디셔닝되고 열 처리된다. 그 다음, 공급물은 홀 및 펠렛 다이를 통해 밀려지고, 펠렛화된 공급물로서 펠렛 밀을 빠져나간다. 펠렛화 후, 펠렛은 냉각기로 공급물 아래의 온도가 되도록 냉각된다. 다른 펠렛화 후 적용은 펠렛화 후 컨디셔닝, 스크린을 통한 정렬(sorting) 및 필요한 경우 아마도 코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은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향료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예시적인 식물은 특정 적용과 관련하여 이미 전술하였다.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은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의 섬유를 약 5-100%(w/w),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90%, 또는 약 100% 포함하는 섬유-웹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으로, 상기 섬유-웹은 추가로 셀룰로오스 및/또는 합성 섬유, 및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의 섬유를 예를 들어, 40/60(w/w), 50/50(w/w), 60/40(w/w), 70/30(w/w) 또는 20/80(w/w)의 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의 섬유-웹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즉 상기 방법의 단계 d)에서 중간 산물로서 획득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즉 단계 d)에서 획득가능한 섬유-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으로, 상기 섬유-웹은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의 가용성 부분(식물 추출물)을 갖는 코팅 또는 함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코팅 또는 함침은, 조(bath) 내에서와 같이 식물 추출물로 섬유-웹 또는 시트형 구조물을 적용하거나 또는 처리하거나, 스프레이와 같은 특별한 도포 수단에 의해 적용하거나 또는 처리하는 것과 같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된다. 또한, 향 또는 색 처리와 같은 다양한 다른 성분이 또한 웹에 적용될 수 있다. 가용 부분 및/또는 다른 성분들이 적용되는 경우, 일부 구현으로 섬유성 시트 물질은 그 다음 예를 들어, 터널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되어 20중량% 미만, 특히 약 9-14중량%의 전형적인 수분 함량을 갖는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즉 단계 g)에서 획득가능한 함침되거나 코팅된 섬유-웹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섬유-웹은 상기 허브, 약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 및/또는 향료의 가용성 부분(식물 추출물)을 갖는 코팅 또는 함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의 섬유-웹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즉 상기 방법의 단계 g)에서 최종 제품으로서 획득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품은 주어진 중량의 물질에 대해 천연 식물 성분보다 더 많은 가용물이 방출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추출(최고 약 100%까지의 가용물이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음)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제품은 또한 (천연의 비변형된 형태에서 식물성 물질로부터 이루어진 통상적인 추출보다) 더 신속한 추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끓는물 또는 비-가열된 물이나 실온의 물에서 향상된 효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또한, 가용성 부분 또는 불용성 부분(들)로부터 예를 들어, 외부 물질, 향을 변화시키는 성분 또는 카페인, 살충제, 중금속, 마이코톡신, 독성물 및 쿠마린, 파르네솔, 제라니올, 리모넨, 리날롤, 사프롤, 메틸루게놀과 같은 알레르기성 분자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또는 가용성 부분 또는 불용성 부분(들)에 예를 들어, 방부제, 향료, 방충제, 진정제와 같은 원하는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제품의 최종 조성을 구체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다른 구현으로, 본 발명의 재구성된 물질에서 가용성 부분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표준 수준에 비해 감소되거나, 표준 수준으로 되거나, 또는 표준 수준에 비해 증가됨). 주요 이점은 재구성된 물질 내 성분들의 수준이 본래의 천연 형태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정밀하게 증가될 수 있어, 원하는 물질의 보다 높은 농도를 갖는 제품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성분들의 조절은 물질의 자연적인 변화, 즉 식물 내 활성 성분의 자연적인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전달 성분의 일정하고 표준화된 수준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선택적으로 원하지 않는 성분(천연 성분, 농약,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것과 같이, 물질로부터 원하지 않는 화합물의 감소를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가용성 부분(식물 추출물) 또는 불용성 부분(고형 식물 입자)으로부터 또는 둘 모두로부터, 액체-액체 추출, 물리적 흡착, 원심분리,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데칸테이션, 데시미터의 사용, 건조, 증류, 전기영동, 일루트리에이션(elutriation), 증발, 고체상 또는 액체-액체 추출, 부유, 응집, 여과(예를 들어, 멤브레인을 이용함), 기-액 분리, 및/또는 승화 및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수단들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웹에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기 전에, 성분들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분 첨가와 관련하여, 클로로필, 안토시안, 카라멜, 카로티노이드와 같이, 다른 공급원 및 기원의 추출물, 향료, 착색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특정 의약, 화장품, 착색 또는 피부과적 목적을 위해 다양한 식물과 허브를 블렌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차 또는 민트 잎과 같은 단일 식물 대신에, 차는 예를 들어, 리프레시 적용에 대해 50% 녹차(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50% 민트(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잎(w/w); 슬리밍 적용에 대해 50% 메이트(일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및 30% 아이비(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잎 및 20% 커피콩(커피 spp(Coffea spp)(w/w); 항-노화 목적으로 40%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잎 및 40% 커큐마 롱가 리좀(Curcuma longa rhizome) 및 20% 로즈마리(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emarinus officinalis) 잎(w/w); 피부 착색을 위해 40% 홍차(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30% 히비스커스 플라워(히비스커스 샙다리파(Hibiscus sabdariffa) 및 30% 헤이즐(코릴러스 아벨라나(Corylus avellana)) 잎; 및 다수의 다른 조합과 같이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식물(동일한 식물 또는 블렌드)로부터의 추출물로 함침된 단일 섬유로 재구성하는 공정을 통한 다른 식물 물질들의 조합은 상가적 효과(additive effects) 또는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식물 추출물들의 조합 또는 특정 식물 성분들의 조합은, 예를 들어, 불면증 및 각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홉(hops) 및 발레리안(valerian) 추출물들의 혼합물(Blumenthal and al., J. Herbal Medicine, expanded Commission E monographs, American Botanical Council, Austin, 2000, 394-400), 또는 H. 파일로리(H. pylori)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오레가노 및 크랜베리 추출물의 혼합물(Lin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December 2005, vol. 71, no. 12, 8558-8564), 또는 전립선암 세포주에서 이들의 상가적 효과 또는 상승 효과에 대해 시험된 S. 바이칼렌시스(S. baicalensis), D. 모리폴리움(D. morifolium), G. 우랄렌시스(G. uralensis) 및 R. 루베센스(R. rubescens)의 추출물들의 다양한 혼합물(Adams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6 March; 3(1): 117-124)과 같이 상가적 효과 또는 상승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조 방법은 또한 제지 공정 중에 고온 때문에 최종 제품의 미생물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품은 경제적 포장/배송을 가능케 하는 작은 면을 갖는 가벼운 물질을 제공한다. 소비자를 위해, 본 발명의 제품은 수송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품은 냉수에도 쉽게 추출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온수를 준비하기 위해 열이나 전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소비자에게 특히 이점을 갖는다.
제품은 또한 잎, 스틱, 디스크 등의 모든 모양, 치수 및 형식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로고로 특별주문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재구성 식물 제품은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과 이점을 제공한다.
● 보다 높은 추출 수율 및 추출 속도를 갖는 제품의 제공;
● 바람직하게 분산가능하며 생분해가능한 제품의 제공;
● 일정한 조성을 제공하기 위한 (폴리페놀, 정유 등과 같은) 활성 성분의 양을 조절하는 능력;
● (살충제, 카페인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의 함량을 조절(감소)할 수 있는 능력;
● (향료, 다양 식물의 혼합물 등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관능 특성을 제공하는 능력;
● 제조 공정 중에 박테리아 부하의 감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현들을 더욱 설명하고 보여준다.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이의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재구성된 식물 제품 제조방법
원료로서 홍차 식물을 사용하였다. 식물은 식물/물을 1:5의 중량비로 물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20분간 85℃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수성부를 유압 프레스에서 추출 단계에 의해 섬유성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후, 섬유성 잔류물을 다시 식물/물을 1:5의 중량비로 85℃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또한, 수성부를 유압 프레스에서 추출 단계에 의해 섬유성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다음, 샘플을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Valley) 히터에서 정련(refine)하였다. 다음 단계로서, 셀룰로오스 섬유 및 특히 (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섬유성 5:1의 중량비로 잔류물/목재 펄프로 섬유성 잔류물에 첨가하고, 핸드 시트를 제조하였다. 프레싱에 의해 분리된 수성부분을 증발기에서 50% 고형분 농도로 농축하였다.
농축 수성 부분은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가용성 수준은 건조 마감 제품에서 전형적으로 27% 내지 37%이다. 재구성된 식물의 가용성 수준은 실험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통상의 식물의 가용성 함량인 약 27%이었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획득된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디스크 형태를 가졌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 대 통상적인 식물의 비교
카페인은 차잎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문헌에는 농도가 2.5-5%(w/w)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 및 대사 자극제이며, 졸음이 발생할 경우 육체 피로를 감소시키고 각성도를 복원하기 위해 기분전환으로 그리고 의학적으로 모두 사용된다. 이는 증가된 각성, 사고의 보다 신속하고 명확한 흐름, 증가된 집중력, 및 보다 일반적인 신체 조정을 생성한다. 이는 종종 셀룰라이트 및 부운 눈을 감소시키는 것을 요구하는 스킨-케어 제품에 포함된다.
카페인의 검출 및 정량은 274nm의 파장에서 UV 검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획득된 재구성된 식물을 이의 특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또한, 통상의 홍차 식물을 비교 인퓨전 제조를 위해 통상의 셀룰로오스 백에 충전하였다. 특성을 검출하기 위해, 용액의 광학 밀도는 274nm에서 측정하였다. 재구성된 식물 및 기존 식물 모두 온수(90℃)에 삽입하였다. 동일한 중량의 식물 물질과 동일한 실험 조건을 사용하였다. 비이커에 200㎖의 물(ref. Cristaline)을 채우고, 90℃로 가열하였다. 실험의 출발지점에서, 즉 T=0에서 가열을 정지시키고, 통상의 홍차를 가진 백을 물에 침지시켰다.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비이커의 내용물을 균질화하기 위해 회전 자석을 이용하였다.
30초 단계에서 여섯 개의 물 샘플을 취하였다. 그 다음, 샘플의 흡광도를 274nm의 파장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레퍼런스 테스트를 위해, 90℃로 가열된 맑은 물(Cristaline)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포함하는 백으로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구성된 식물 제품에 대해 추출 3분 후에 측정된 광학 밀도는 0.69이었으나, 반명 통상의 식물에 대해서는 0.63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통상의 식물 제품에 비해 예를 들어 카페인과 같은 가용물의 보다 높은 추출률을 제공하였다. 특히, 이 시험에서 추출 비율은 통상의 백에 비해 +10%이었다. 재구성된 식물은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가능케 하였다(식물로부터 최고 약 100%까지의 가용물이 추출되었음). 즉, 동일한 양의 물질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카페인과 같이 보다 많은 가용물이 표준 셀룰로오스 백에서 통상의 식물 제품으로부터 방출되는 것보다 많이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다른 추출 시간을 사용하거나, 또는 재구성된 식물을 느슨한 형태, 즉 셀룰로오스 백을 사용하지 않은 천연 홍차와 비교한 경우에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 결과는 재구성된 식물의 향상된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 즉 향상된 물질 방출은, 예를 들어, 다른 용매를 사용하거나 또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적용에 대해 동등하게 의미가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얻어진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제 1 추출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한편, 통상의 셀룰로오스 백에 담긴 천연 홍차는 제 2 추출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제 1 및 제 2 추출 속도는 가용물의 속도를 나타내며, 주로 이 실시예에서 카페인이 식물 제품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그 결과를 도 4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재구성된 식물을 90℃의 물에 침지시키고, 광학 밀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식물 제품을 90℃의 물에 침지 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다 많은 가용물, 주로 카페인이 식물로부터 방출되었으며, 각 물의 보다 높은 광학 밀도가 존재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구성된 식물을 이용한 물(점선)의 광학 밀도는 통상의 식물을 이용한 물(실선)보다 빠르게 변한다. 0.6의 광학 밀도가 20초 이내에 재구성된 식물에 의해 도달하였다. 대조적으로, 동일한 광학 밀도는 단지 약 2분 후, 종래의 식물에 의해 도달하였다.
이것은 다시 재구성된 식물이, 식물 제품으로부터 물질이 방출될 수 있는 속도에 관하여, 향상된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느슨한 형태의 천연 홍차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물이 실온, 즉 20℃이었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설정이 사용되었다.
도 5에 나타내 바와 같이, 재구성된 식물을 사용한 물(점선)의 광학 밀도는 통상의 식물을 사용한 물(실선)보다 더 빠르게 변한다. 재구성된 식물을 사용한 물은 약 30초 내에 0.3의 광학 밀도에 도달하였으며, 약 2분 내에 0.6의 광학 밀도에 도달하였다. 이와 상반적으로, 백에 담긴 통상의 식물은 0.3의 광학 밀도를 제공하는데 약 6배 더 긴 시간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백에 담긴 통상의 식물보다 가용물, 주로 카페인의 보다 신속한 추출을 제공한다.
재구성된 식물을 느슨한 형태의 천연 홍차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재구성된 식물 산물에 존재하는 가용성 및 활성 성분의 양의 조절성(표준보다 더 높거나 낮음)을 입증한다. 가용성 함량은 추출 전 및 후에, 주어진 샘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홍차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었다. 대조군으로서, 26%(w/w)의 양으로 가용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홍차가 사용되었다.
코팅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가용물의 양은 세 가지 다른 실행으로, 5%(w/w; 감소된 수준), 26%(w/w; 표준 수준) 및 50%(w/w; 증가된 수준)로 조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제품의 조절성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고유의 변동을 나타내는 천연 제품에 비해 가용성/활성 성분의 일관되고 표준화된 운반 수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샘플 1(느슨한 형태의 본래 식물)
느슨한 형태의 천연 홍차에 대하여 가용물의 양은 약 30%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샘플 2(셀룰로오스 백 내의 본래 식물)
통상의 이중 챔버 셀룰로오스 백에 담긴 천연 홍차, 즉 샘플 1에서와 동일한 차에 대해, 가용물의 양은 약 30%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샘플 3(표준량의 가용물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식물)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홍차로부터 제조하였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디스크의 형태이고, 표준 건조 평량, 즉 100gsm을 가졌다. 재구성된 샘플에 대한 코팅 비율에 상응하는 가용물의 양은 천연 식물의 것과 동일한, 즉 30%이었다.
샘플 4(감소된 양의 가용물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식물)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홍차로부터 제조하였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디스크의 형태이고, 표준 건조 평량을 가졌다. 가용물의 양은 20%이었으며, 이에 따라 30%의 표준에 비해 감소하였다.
샘플 5(증가된 양의 가용물로 재구성된 식물)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홍차로부터 제조하였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디스크의 형태이고, 표준 건조 평량을 가졌다. 가용물의 양은 50%이었으며, 이에 따라 30%의 표준에 비해 증가하였다.
샘플 6(감소된 건조 평량으로 재구성된 식물)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홍차로부터 제조하였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은 디스크의 형태이고, 100gsm의 표준 건조 평량에 비해 60gsm의 감소된 건조 평량을 가졌다. 가용물의 양은 천연 식물과 동일한, 즉 30%이었다.
샘플들의 특성 비교, 특히 샘플 3과 샘플 1 및 2의 비교; 샘플 3과 샘플 4 및 5의 비교; 및 샘플 3과 샘플 6의 비교는 앞선 실시예의 결과를 확인시켜주었다. 즉, 재구성된 식물은 보다 우수한 추출률 및 보다 빠른 추출을 제공하며, 방출된 가용물/활성 성분(차에 있어서 카페인과 같은)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실시예 6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포함하는 백을 제조하는 방법
홍차를 1:5의 식물/물 중량비로 물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20분간 85℃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수성 부분을 유압 프레스에서 추출 단계에 의해 섬유성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후, 섬유성 잔류물을 다시 1:5의 식물/물 중량비로 10분간 85℃로 가열하였다. 또한, 수성 부분을 유압 프레스에서 추출 단계에 의해 섬유성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다음, 샘플을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Valley beater)에서 정련하였다. 다음 단계로서, 다른 샘플들을 제조하고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다양한 수준으로 섬유성 식물에 첨가하였다. 핸드 시트는 이후에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되었다.
하기 비율의 식물/셀룰로오스 섬유가 백을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첫 번째 샘플: 40/60(w/w);
두 번째 샘플: 60/40(w/w);
세 번째 샘플: 80/20(w/w).
샘플 백은 통상의 홍차로 채워지고 다른 어떤 식물 추출물도 백에 배치되지 않았다.
재구성된 식물 제품을 포함하는 백 대 통상의 셀룰로오스 백의 비교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은 동일한 양의 홍차를 함유하는 통상의 셀룰로오스 백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하였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이는 바와 같이, 80/20 비율에 상응하는 샘플(첫 번째 샘플)의 추출 성능은 광학 밀도에 의한 측정시 통상적인 셀룰로오스 백의 추출 성능과 매치되었다.
실시예 7
추출 단계의 식물 추출물은 실시예 6의 섬유 웹을 함침하는데 사용되어 총 중량의 5-50%의 식물 추출물의 양을 갖는 함침 백이 획득되었다. 상기 백은 홍차로 채워졌다.
동일한 양의 식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셀룰로오스 백과 비교한 상기 제조된 백의 추출 성능의 측정은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으로부터 보다 많은 가용물이 방출되었으며, 그리고 추출률은 백 내에 함유된 홍차로부터 나오는 천연 추출에 부가적으로, 코팅으로부터 물질의 추가적인 방출(식물 추출물)에 기인하여 더 높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샘플 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로 함칭되었다. 90℃의 물을 사용하여, 제품은 35%(w/w) 식물 가용물을 물에 방출하였다.
실시예 8
다음 제품이 생산되었다:
1) 식물 백의 형태의 제품을 약 5% 가용물(w/w) 및 약 120g/㎡(w/w)의 건조 평량으로 제조하고;
2) 식물 백의 형태의 제품을 약 5% 가용물(w/w) 및 약 60g/㎡(w/w)의 건조 평량으로 제조하였다.
두 제품은 식물로 채워지지 않았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약 120g/㎡(w/w)의 건조 평량을 포함하는 첫 번째 제품은 약 60g/㎡(w/w)의 건조 평량을 포함하는 두 번째 제품에 비해 더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물질을 방출한다.
실시예 9
물에 재구성된 물질의 일부의 잠재적 분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을 습윤 강화제(여기서는 양이온성 폴리아미드 아민 수지)의 추가 사용으로 반복하였다. 습윤 강화제는 섬유성 부분에 첨가되었다.
차 제품은 이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홍차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차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차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차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차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가용성 수준은 전형적으로 건조 마감 제품에서 27% 내지 37%이다. 본 실시예에서, 재구성된 차의 가용성 수준은 약 27%이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통상의 차의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주입 시험은 온수(약 90℃)에서 수행되었으며, 습윤 강화제를 이용한 제품은 이 제제를 이용하지 않은 동일한 물질보다 물에 더 적은 분해성을 보였다.
도 8은 주입 3분 후, 습윤 강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일 실시예에서 재구성된 차를 보여준다. 사진은 물질이 분해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주입 3분 후, 습윤 강화제를 사용한 일 실시예에서 재구성된 차를 보여준다. 사진은 물질이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은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0
재구성된 차 가용성 함량 및 주입 프로필에서의 건조 평량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차 제품은 이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홍차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차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차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차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차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가용성 수준은 전형적으로 건조 마감 제품에서 27% 내지 37%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기 제품이 제조되었다:
제품 A: 재구성된 차의 가용성 수준은 22%이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통상의 차의 가용성 함량이다. 상기 물질의 건조 평량은 ㎡ 당 70grs(건조 기준)이었다.
제품 C: 재구성된 차의 가용성 수준은 22%이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통상의 차의 가용성 함량이다. 이 물질의 건조 평량은 ㎡ 당 170grs(건조 기준)이었으며, 이는 A보다 143% 더 높은 것이다.
제품 D: 재구성된 차의 가용성 수준은 38%이었으며, 이는 A보다 73% 더 높은 것이다. D 물질의 건조 평량은 또한 ㎡ 당 170grs(건조 기준)이었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A, C 및 D)는 차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이들의 특성에 대해 시험하고 비교하였다. 제품 모두 차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고, 용액(차)의 광학 밀도를 274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에 대해, 온수(90℃)에서의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차 물질(2.5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을 사용하였다: 500ml의 물을 함유하는 비이커를 90℃로 가열하였다. T=0에서, 즉, 실험 시작시, 가열을 중단하고 차 스트립을 물에 침지하였다. 회전 자석을 사용하여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비이커의 내용물을 균질화 하였다.
물 샘플은 정기적으로 그리고 5분까지 취하였다. 그 다음, 샘플의 광학 밀도는 274nm의 파장(카페인의 최대 흡광도)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레퍼런스/블랭크 테스트는 90℃로 가열된 맑은 물의 샘플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도 10 및 1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0: 재구성된 차(D - 고 가용성 함량)는 C(표준 가용성 수준)보다 더 높은 인퓨전 수준의 차 가용물을 나타낸다. (274nm에서 10 x 광학 밀도로 표기된) 8.3의 인퓨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샘플 C를 사용하여 300초가 걸리는 반면에, D 물에 대해서는 단지 40초가 소요된다(87%가 더 빠름). 차 패널 그룹에 의해 수행된 관능 평가는 또한 인퓨전 5분 후에 C보다 D에서 더 강한 차 향 및 맛을 보여주었다. 이는 차 카페인 수준이 재구성된 차 물질의 가용성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도 11은 보다 낮은 평량으로 재구성된 차 A가 C보다 더 빠른 인퓨전 수준의 차 가용물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도면들은 (274nm에서 10 x 광학 밀도로 표기된) 8.3의 인퓨전 속도가 A 샘플에 대해 120초 내에 도달하나, 한편 C에 대해서는 300초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A를 이용한 인퓨전은 C보다 60% 더 빠르다. 실제로, 주어진 중량의 물질에 대해 보다 낮은 평량은 보다 중요한 접촉 표면을 수반하며, 이는 최종적으로 카페인 인퓨전 동역학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1
녹차 인퓨전 관능 프로필에 미치는 재구성 처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차 제품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녹차(중국 엽차(Sencha))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차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차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차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차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36%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의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차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차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차 물질을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향, 색 및 맛이 천연 물질에서보다 재구성된 차에서 더 강한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떫은 맛과 쓴 맛은 천연 물질보다 재구성된 차에서 유의하게 더 낮다.
실시예 12
루이보스 잎의 재구성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이보스(아스팔라터스 리네아리스(Aspalathus linearis))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루이보스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루이보스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루이보스/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루이보스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루이보스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22%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의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루이보스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루이보스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루이보스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루이보스 물질을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재구성된 루이보스 차가 본래의 물질보다 더 강한 맛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더욱이, 색이 더 강하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재구성된 루이보스 및 이의 본래 물질을 인퓨전 제조시 이들의 특성에 대해 시험하고,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를 인퓨전 제조에 사용하고, 용액의 광학 밀도를 450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에 대해, 온수(90℃)에서의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차 물질(2.5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을 사용하였다: 500ml의 물을 함유하는 비이커를 90℃로 가열하였다. T=0에서, 즉, 실험 시작시, 가열을 중단하고 재구성된 루이보스 스트립을 물에 침지하였다. 회전 자석을 사용하여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비이커의 내용물을 균질화 하였다.
루이보스는 이의 카페인 부재 및 아스팔라틴, 노토파긴 및 루테인과 같은 항산화제의 높은 수준에 기인하여 특히 건강에 민감한 소비자들 사이에서 더 인기를 끌고있다. 루테인은 카로티노이드, 루이보스의 붉은 색에 기여하는 붉은 색소이다. 또한 특별히 눈에 대해, 항산화 및 라디칼 스캐빈저로서 기능한다. 루이보스는 또한 피부 제품에 사용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의 일부 증거를 나타낸다.
루테인의 검출과 정량은 450nm 파장에서 UV 검출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물 샘플은 정기적으로 최고 5분까지 취하였다. 그 다음, 샘플의 광학 밀도는 450nm의 파장(루테인의 최대 흡광도)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레퍼런스/블랭크 테스트는 90℃에 가열된 맑은 물의 샘플로 실행되었다.
재구성된 루이보스 물질에 대한 인퓨전 성능을 도 14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루이보스 제품의 인퓨전은 상당하다. 그러나, 재구성된 루이보스는 예를 들어, 루테인의 보다 완전한 추출을 제공하는 것이 입증된다. 5분 인퓨전 후, 재구성된 루이보스로 제조된 액체의 광학 밀도는 본래 물질에 대해 0.9인과 비교하여 1.1이다(+22%).
실시예 13
백리향 잎의 재구성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백리향(티머스 불가리스(Thymus vularis))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백리향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백리향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백리향/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백리향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백리향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30%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의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백리향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백리향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백리향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백리향 물질을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색상에 있어서 재구성된 백리향이 천연 잎에 비해 더 황색을 나타내며 그리고 더 녹색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전반적인 향 및 허브 분위기(note)는 천연 백리향에서 더 높다. 그러나, 백리향의 맛은 재구성된 물질에서 더 높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재구성된 백리향 및 이의 본래 물질을 인퓨전 제조시 이들의 특성에 대해 시험하고,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를 인퓨전 제조에 사용하고, 용액의 광학 밀도를 326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에 대해, 온수(90℃)에서의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물질(2.5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을 사용하였다: 500ml의 물을 함유하는 비이커를 90℃로 가열하였다. T=0에서, 즉, 실험 시작시, 가열을 중단하고 재구성된 백리향 스트립을 물에 침지하였다. 회전 자석을 사용하여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비이커의 내용물을 균질화 하였다.
로즈마린산은 다양한 식물, 특히 백리향(티머스 불가리스(Thymus vularis))에서 발견된 카페인산 에스테르이다. 이는 항산화, 의약 및 피부과적 특성을 갖는다.
로즈마린산의 검출과 정량은 326nm 파장에서 UV 검출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물 샘플은 정기적으로 최고 5분까지 취하였다. 그 다음, 샘플의 광학 밀도는 326nm의 파장(로즈마린산의 최대 흡광도)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레퍼런스/블랭크 테스트는 90℃에 가열된 맑은 물의 샘플로 실행되었다. 그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은 재구성된 백리향 인퓨전이 매우 신속히 일어남을 보여준다. 90초 인퓨전 후, 본래 물질의 광학 밀도는 2.3인 반면에 재구성된 백리향의 액체의 광학 밀도는 5.3이며, 이는 130% 더 높은 것이다.
실시예 14
백리향 및 홍차 잎의 재구성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백리향(티머스 불가리스(Thymus vularis)) 및 홍차(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ia sinensis)) 천연 잎은 우선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블렌드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블렌드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블렌드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블렌드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25%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물질의 나머지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블렌드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인퓨전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블렌드를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7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색상 및 전체적인 맛에 있어서 재구성된 잎이 더 높음을 보여준다. 또한, 백리향 및 홍차 분위기가 더 높다. 하지만, 제품의 떪은맛은 재구성된 물질에서 더 낮다.
실시예 15
백리향 및 월계수 잎("부케 가르니(bouquet garni")의 재구성
제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백리향(티머스 불가리스(Thymus vularis)) 및 월계수(라우러스 노빌리스(Laurus nobilis)) 천연 잎은 우선 50/50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블렌드를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블렌드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블렌드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블렌드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블렌드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34%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물질의 나머지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차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차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차 물질을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두 제품이 매우 상이함을 보여준다. 색은 재구성된 제품에서 더 황색이고, 본래의 블렌드에서 더 녹색이다. 맛은 본래 블렌드에서 허브쪽 맛이고, 재구성된 물질에서는 보다 탄쪽의 맛이다. 전체적으로, 맛과 향은 본래의 블렌드에서 더 높다. 그러나, 맛과 향은 재구성된 물질의 가용성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식용 향료, 식용 색소 또는 색 및 향 특성을 갖는 다른 식물 추출물과 같은 성분들을 첨가함으로써 재구성된 물질에 대해 조절 및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 16
민트 잎의 재구성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민트(멘타 x 피페리타(Mentha x piperita))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민트/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루이보스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민트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민트/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민트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블렌드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50%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의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민트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민트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민트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민트 물질을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9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재구성된 제품에서, 신선도/멘톨 분위기가 본래 민트 물질에 비해 감소되었으나, 전체적인 맛은 더 강한 것으로 보여주었다.
실시예 17
민트 ( 멘타 x 피페리타 ( Mentha x piperita )) 및 녹차 잎(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의 재구성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민트(멘타 x 피페리타(Mentha x piperita)) 및 녹차(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천연 잎은 우선 50/50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블렌드는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블렌드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블렌드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블렌드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블렌드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되고, L-멘톨이 상기 용액에 6%로 첨가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35%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물질의 나머지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이의 관능 특성에 대해 테스트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된 천연 블렌드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인퓨전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물질(2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2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고, 블렌드를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 5분 후, 두 제품의 관능 프로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0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재구성 공정으로 인한 차 잎으로부터 카페인의 제거
차로부터 특성 성분의 양을 감소시키는 본 발명의 잠재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차로부터 카페인 함량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개발하고 실험실 스케일로 시험하였다.
문헌에는 카페인과 같은 알칼로이드 화합물이 가용성 부분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실험은 분리 단계 후, 차의 액체 부분에서 실행되었다.
홍차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차/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차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그 다음, 차의 수성 부분을 분말 형태의 차콜(charcoal)과 혼합하였다. 약 23g의 활성 차콜을 500ml의 차 액체에 첨가하고, 60℃에서 혼합하고, 1시간 동안 350rpm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여과 후에 LC-MS 방법을 통해 액체 내 카페인 수준을 측정하였다.
다음 샘플들을 제조하였다:
- 컨트롤: 활성탄 차콜 처리하지 않은 표준 차 액체
- A: CECA의 활성 차콜 Acticarbone P13으로 처리된 차 액체
- B: CECA의 활성 차콜 Acticarbone 25W로 처리된 차 액체
- C: CECA의 활성 차콜 Acticarbone 3SA로 처리된 차 액체
- D: CECA의 활성 차콜 Acticarbone CPL로 처리된 차 액체
차 액체 내 카페인 함량은 다음과 같다:
- 컨트롤: 22700㎎/㎏
- A: <10㎎/㎏
- B: <10㎎/㎏
- C: <10㎎/㎏
- D:<14㎎/㎏
카페인 수준은 차 액체에서 활성 차콜을 사용하여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9
재구성 공정을 통한 차의 미생물 부하의 감소
실험 7 중에 제조된 재구성된 차 물질을 본래의 차 물질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박테리아 수의 카운팅을 수행하였다(30℃에서 48시간 후 에어로빅 플레이트 카운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01

결과는 재구성 공정이 미생물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공정에 따라 모두 적용된 온도는 미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갖는다.
실시예 20
재구성된 물질은 다양한 종류의 적용을 위해 제공되는 다른 물리적 형태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낸 제품이 차 인퓨전을 편리하게 준비할 수 있게 하는 예이다.
실시예 21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커피(커피 spp(Coffea spp))는 우선 중량으로 1:5의 커피/물 비율로 60℃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커피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회수된 커피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커피/물 비율로 60℃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각각의 비율이 60/10/30인 아바카, 경재 및 연재 펄프의 블렌드)를 중량으로 5:1의 블렌드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블렌드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된 다음, 매뉴얼 사이즈-프레스 상의 핸드 시트에서 코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30% 추출물 함량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실험의 출발물질의 가용성 함량이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제품은 커피 제조시 이의 특성에 대해 시험하고 본래의 물질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커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용액(커피)의 광학 밀도는 274nm에서 측정되었다. 모든 샘플에 있어서, 온수(90℃) 중에서 총 인퓨전 시간은 5분이었다. 동일한 중량의 커피 물질(2.5grs) 및 동일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500㎖의 물을 함유한 비이커를 90℃로 가열하였다. T=0, 즉 실험 시작시, 가열을 정지하고, 커피 스트립을 물에 침지하였다. 회전 자석을 사용하여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비이커의 내용물을 균질화 하였다.
물 샘플은 정기적으로 그리고 5분까지 취하였다. 그 다음, 샘플의 광학 밀도는 274nm의 파장(카페인의 최대 흡광도)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레퍼런스/블랭크 테스트는 90℃로 가열된 맑은 물의 샘플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본래의 커필 물질로 제조된 인퓨전은 1분 후에 처음 50초 동안 더 신속하나, 두 샘플의 인퓨전 프로필은 유사하다.
실시예 22
페퍼민트( 멘타 x 피페리타 ( Mentha x piperita )) 및 녹차 잎(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의 재구성
재구성된 제품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페퍼민트(멘타 x 피페리타(Mentha x piperita)) 및 녹차(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천연 잎은 우선 50/50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블렌드는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20분간 가열되었다. 블렌드 섬유 부분으로부터 수성 부분을 분리하는 유압 프레스에서의 추출 단계가 이에 뒤따랐다. 블렌드 섬유 부분은 다시 중량으로 1:5의 블렌드/물 비율로 85℃에서 10분간 가열되었다. (프레싱에 의한) 추가 추출 후, 그 다음 섬유 부분은 10분 동안 1.4% 컨시스턴시로 밸리 비터에서 정련되었다. 정련 후, 셀룰로오스 섬유(아바카 펄프)를 중량으로 5:1의 블렌드 섬유/목재 펄프 비율로 블렌드 섬유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습윤 강화제를 5% w/w의 수준으로 섬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수성 부분은 증발기에서 50%의 고형분 농도로 농축되었다. 다양한 제품이 다른 평량/가용물 비율로 제조되었다. 코팅된 핸드 시트를 플래이트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샘플은 관능 패널에 의해 피부 적용에 대해 평가되었다. 제품은 실온의 물에 2분간 침지되고, 이후에 패널리스트 안면에 적용되었다. 다양한 샘플들의 색, 향, 드레이프(안면에 시트를 느슨하게 배치하는 경향) 및 습윤 강도를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2

예상대로, 첨가된 추출물 수준이 높을수록, 샘플 색상은 더 녹색이 된다(37%를 함유한 샘플의 경우, 녹색을 띈 색상에서 진한 녹색으로 됨). 모든 샘플은 특히 보다 높은 추출물 수준에서 기분 좋고 신선한 향을 제공한다. 드레이프는 보다 낮은 평량 및 저 수준의 추출물에서 더 낫다. 그러나, 80gsm 미만의 평량을 갖는 샘플의 거동은 모든 패널리스트들에 의해 안면 적용에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제품은 고르게 각 영역(들)을 덮음). 결국, 모든 샘플의 습윤 조건에서 결합성은, 상기 물질이 현저하게 찢지 않고 수 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하다. 5분 적용 후, 피부 상의 신선도 느낌은 패널리스트 그룹에 의해 만장일치로 언급되었다.

Claims (56)

  1. 섬유성 식물 제품층 및 이에 적용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성 식물 제품은 하나 이상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허브, 약용 식물, 차, 식물성 염료 식물(vegetables dye plants) 및 향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품 용도를 위한 제품으로서, 상기 식물은 아칠레아 밀레폴리움 L.(Achillea millefolium L.); 아드하토바 바시카 니스(Adhatoda vasica Nees); 아에스컬러스 히포카스타넘 L.(Aesculus hippocastanum L.);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 L.(Agrimonia eupatoria L.); 아그로피론 레펜스 (L.)(Agropyron repens (L.)); 아그로피론 레펜스 (L.) P. 보우브.(Agropyron repens (L.) P. Beauv.); 알리움 사티범 L.(Allium sativum L.); 알리움 세파 L.(Allium cepa L.); 알로에 바바덴시스 밀러(Aloe barbadensis Miller); 알로에 페록스 밀러(Aloe ferox Miller);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 L.(Althaea officinalis L.); 안드로그래피스 파니큘라타 니스(Andrographis paniculata Nees); 안젤리카 시넨시스 (올리브.) 디엘스(Angelica sinensis)(Oliv.) Diels; 아크티움 라파 L.(Arctium lappa L.); 아크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L.) 스프렝.(Arctostaphylos uva-ursi (L.) Spreng.); 아르니카 몬타나 L.(Arnica montana L.); 아르테미시아 압신티움 L.(Artemisia absinthium L.); 아베나 사티바 L.(Avena sativa L.); 베툴라 펜둘라 로스(Betula pendula Roth); 베툴라 퍼브신스 어르(Betula pubescens Ehrh);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 L.(Calendula officinalis L.); 카멜리아 시넨시스 (L.) 쿤츠(Camellis sinensis (L.) Kuntze); 캡셀라 버사-파스토리스(L.) 메디커스(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us); 캡시컴 아눔 L. 헤이서(Capsicum annuum L. Heiser); 카럼 카비 L.(Carum carvi L.); 카시아 세나 L.(Cassia senna L.); 카시아 앵거스티폴리아 발(Cassia angustifolis Vahl); 센타우리움 에리트라에아 라픈(Centaurium erythraea Rafn); 센텔라 아시아티카 L. 우반(Centella asiatica L. Urban); 세트라리아 이슬란디카(L.) 아카리우스 s.l.(Cetraria의 islandica (L.) Acharius s.l); 차마에멜럼 노빌(L.)(Chamaemelum nobile (L.)); 안테미스 노빌리스 L.(Chamaemelum nobile L.); 카모밀라 레커티타(L.) 라우스처트(Chamomilla recutita (L.) Rauschert); 마트리카리아 레쿠티타 (L.)(Matricaria recutita (L.)); 첼리도니움 마주스 L.(Chelidonium majus L.); 시코리움 인티버스 L.(Cichorium intybus L.); 시미시퓨가 라세모사 (L.) 너트(Cimicifuga racemosa (L.) Nut); 신나모멈 베럼 J. S. 프레슬(Cinnamomum verum J. S. Presl); 신나모멈 제일라니컴 니스(Cinnamomum zeylanicum Nees); 시트러스 버가미아 리소(Citrus bergamia Risso); 시트러스 버가미아 Risso & Poiteau.(Citrus bergamia Risso & Poiteau.); 시트러스 spp.(Citrus spp.); 콜라 니티다(벤트.)(Cola nitida (Vent.); 콜라 아커미나타(P. Beauv.)(Cola acuminata (P. Beauv.)); 콜라 아커미나타(P. Beauv.) Schott et Endl.(Cola acuminata (P. Beauv.) Schott et Endl.); 코미포라 몰몰 엥글러(Commiphora molmol Engler); 크라타에거스 모노지나 Jacq. (Lindm.)(Crataegus monogyna Jacq. (Lindm.)); 크라타에거스 라에비가타 (Poir.) DC(Crataegus laevigata (Poir.) DC); 커커비타 페포 L.(Cucurbita pepo L.); 커큐마 롱가 L.(Curcuma longa L.); 시나라 스콜리머스 L.(Cynara scolymus L.); 커큐마 잔토르히자 Roxb.(Curcuma xanthorrhiza Roxb.); C. 잔토르히자 D. Dietrich.(C. xanthorrhiza D. Dietrich.); 에치나세아 앵거스티폴리아 DC(Echinacea angustifolia DC); 에치나세아 팔리다(Nutt.) 너트.(Echinacea pallida(Nutt.) Nutt.; 에티나세아 퍼르퍼레아(L.) Moench.(Echinacea purpurea (L.) Moench.); 엘레우테로코커스 센티코서스 (Rupr. et Maxim.) Maxim.(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et Maxim.) Maxim.); 에퀴세텀 아르벤스 L.(Equisetum arvense L.); 에리시멈 오피시날 L.(Erysimum officinale L.); 에스크스촐트지아 캘리포니아 Cham.(Eschscholtzia California Cham.); 유칼립투스 글로벌러스 Labill.(Eucalyptus globulus Labill.); 유칼립투스 폴리박테아 R.T. Baker(Eucalyptus polybractea R.T. Baker); 유칼립투서 스미딜 R.T. Baker(Eucalyptus smithii R.T. Baker.); 유프라시아 오피시날리스 L.(Euphrasia officinalis L.); 필리펜둘라 울마리아(L.) Maxim.(Filipendula ulmaria (L.) Maxim.); 스피라에아 울마리아 L.(Spiraea ulmaria L.); 포이컬럼 불가레 Miller subsp. vulgare var. vulgare(Foeniculum vulgare Miller subsp. vulgare var. vulgare); 프라가리아 버스카 L.(Fragaria vesca L.); 프락시너스 엑셀시오르 L.(Fraxinus excelsior L.); 퍼커스 베지컬러스 L.(Fucus vesiculus L.);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 L.(Fumaria officinalis L.); 겐티아나 루테아 L.(Gentiana lutea L.); 징코 빌로바 L.(Ginkgo biloba L.); 글리시르히자 글라브라 L.(Glycyrrhiza glabra L.); 글리시르히자 인플라타 Bat.(Glycyrrhiza inflata Bat.); 글리시르히자 우랄렌시스 Fisch.(Glycyrrhiza uralensis Fisch.); 그린델라 로버스타 Nutt.(Grindelia robusta Nutt.); 그린델라 스쿠아로사(Pursh) Dunal(Grindelia squarrosa (Pursh) Dunal); 그린델리아 휴밀리스 Hook, et Arn., Grindel(Grindelia humilis Hook, et Arn., Grindel); 라벤듈라 앵거스티폴리아 Mill.(Lavandula angustifolia Mill.);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 차익스(Lavendula officinalis Chaix); 레오너러스 카르디아카 L.(Leonurus cardiaca L.); 레비스티컴 오피시날 Koch.(Levisticum officinale Koch.); 리넘 우시타티시멈 L.(Linum usitatissimum L.); 마루비움 불가레 L.(Marrubium vulgare L.); 마트리카리아 레큐티타 L.(Matricaria recutita L.); 멜라루카 알테니폴리아(Maiden 및 Betche) Cheel(Melaleuca alternifolia (Maiden and Betche) Cheel; 멜리오터스 오피시날리스(L.) Lam.(Melilotus officinalis (L.) Lam.); 멜리사 오피시날리스 L.(Melissa officinalis L.); 멘타 x 피페리타 L.(Mentha x piperita L.); 오에노테라 비엔니스 L.(Oenothera biennis L.); 오에노테라 라마키아나 L.(Oenothera lamarckiana L.); 올레아 유로파에아 L.(Olea europaea L.); 오노니스 스피노사 L.(Ononis spinosa L.); 오논니스 아르벤시스 L.(Ononis arvensis L.); 오리가넘 딕타머스 L.(Origanum dictamnus L.); 오르토시폰 스타미누스(Orthosiphon stamineus); 오르토시폰 스타미누스 Benth.(Orthosiphon stamineus Benth.); 파낙스 진셍 C. A. Meyer.(Panax ginseng C. A. Meyer.);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L.(Passiflora incarnata L.); 폴리니아 큐파나 컨스(Paullinia cupana Kunth);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DC(Pelargonium sidoides DC); 펠라고니움 레니포메 Curt.(Pelargonium reniforme Curt.); 퓨머스 볼더스 몰리나(Peumus boldus Molina); 파세울러스 불가리스 L.(Phaseolus vulgaris L.); 피크로리자 커로아 로일 ex. Benth(Picrorhiza kurroa Royle ex. Benth.); 핌피넬라 아니섬 L.(Pimpinella anisum L.); 플란타고 란세올라타 L.(Plantago lanceolata L.); 플란타고 오바타 Forssk.(Plantago ovata Forssk.); 플란타고 아프라 L.(Plantago afra L.); 플란타고 인디카 L.(Plantago indica L.); 폴리포디움 불가레 L.(Polypodium vulgare L.); 포텐틸라 에렉타 (L.) Raeusch.(Potentilla erecta (L.) Raeusch.); 프리멀라 베리스 L.(Primula veris L.); 프리멀라 엘라티오르 (L.) Hill(Primula elatior (L.) Hill); 프루너스 아프리카나 (Hook f.) Kalkm.(Prunus africana (Hook f.) Kalkm.); 쿼커스 로버 L.(Quercus robur L.); 쿼커스 페트라에아 (Matt.) Liebl.(Quercus petraea (Matt.) Liebl.); 쿼커스 퍼브신스 Willd.(Quercus pubescens Willd.); 람너스 퍼시아너스 D.C.(Rhamnus purshianus D.C.); 람너스 프랑굴라 L.(Rhamnus frangula L.); 레움 팔마텀 L.(Rheum palmatum L.); 레움 오피시날 베일론(Rheum officinale Baillon); 로디올라 로세아 L.(Rhodiola rosea L.); 리베스 니그럼 L.(Ribes nigrum L.); 로사 센티폴리아 L.(Rosa centifolia L.); 로사 갈리카 L.(Rosa gallica L.); 로사 다마세나 Mill.(Rosa damascena Mill.);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 L.(Rosmarinus officinalis L.); 루버스 이다에우스 L.(Rubus idaeus L.);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 L.(Ruscus aculeatus L.); 살릭스(Salix)[S. 푸르푸레아 L.(S. purpurea L.); S. 다포이데스 빌.(S. daphnoides Vill.); S. 프라질리스 L.(S. fragilis L.)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L.(Salvia officinalis L.); 삼버커스 니그라 L.(Sambucus nigra L.); 세레노아 레펜스(바르트람) 스몰(Serenoa repens (Bartram) Small); 사발 세룰라타(미카우스) 니콜스(Sabal serrulata (Michaux) Nichols); 실리범 마리아넘 L. Gaertner(Silybum marianum L. Gaertner); 솔라넘 덜카마라 L.(Solanum dulcamara L.);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 L.(Solidago virgaurea L.); 심피텀 오피시날 L.(Symphytum officinale L.); 시지지움 아로마티컴 (L.)(Syzygium aromaticum (L.)); 시지지움 아로마티컴 (L.) Merill et L. M. Perry(Syzygium aromaticum (L.) Merill et L. M. Perry); 타나세텀 파테니움 (L.) Schultz Bip.(Tanacetum parthenium (L.) Schultz Bip.; 타락사컴 오피시날 Weber ex Wigg.(Taraxacum officinale Weber ex Wigg.); 티머스 불가리스 L.(Thymus vulgaris L.); 티머스 지지스 Loefi. ex L.(Thymus zygis Loefi. ex L.); 틸리아 코다타 Miller(Tilia cordata Miller); 틸리아 플라티필로스 Scop.(Tilia platyphyllos Scop.); 틸리아 x 불가리스 Heyne(Tilia x vulgaris Heyne); 틸리아 토멘토사 Moench(Tilia tomentosa Moench); 트리고넬라 포넘-그래컴 L.(Trigonella foenum-graecum L.); 운카리아에 토멘토사에(Willd.) DC(Uncariae tomentosae (Willd.) DC);우티카 디오이카 L.(Urtica dioica L.); 우티카 우렌스 L.(Urtica urens L.); 바시니움 미르틸러스 L.(Vaccinium myrtillus L.);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 L.(Valeriana officinalis L.); 버바스컴 탭서스 L.(Verbascum thapsus L.); 버바스컴 덴시플로럼 Bertol.(Verbascum densiflorum Bertol.); V. 탭시포메 스크래드(V. thapsiforme Schrad); 버바스컴 플로모이데스 L.(Verbascum phlomoides L.); 비올라 트리컬러 L.(Viola tricolor L.); 비스컴 알범 L.(Viscum album L.); 비텍스 아그너스-카스터스 L.(Vitex agnus-castus L.); 비티스 비니페라 L.(Vitis vinifera L.); 징지버 오피시날리스 L.(Zingiber officinalis L.)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품 용도를 위한 제품으로서, 상기 식물은 아칠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악티니디아 치넨시스(Actinidia chinensis); 아에스컬러스 히포 카스타넘(Aesculus hippo castanum);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아그로피럼 레펜스(Agropyrum repens); 알로에 spp.(Aloe spp.); 알타에아 spp.(Althaea spp.); 아미리스 발사미페라(Amyris balsamifera); 아나나스 사티버스(Ananas sativus); 아네텀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안젤리카 아르챈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 아르크티움 마저스(Arctium majus);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 우르시(Arctostaphyllos uva ursi); 아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테미시아 spp.(Artemisia spp.); 밤버사 아란디나세아(Bambusa arandinacea); 아르토카퍼스 헤테로필러스(Artocarpus heterophyllus); 아스코필럼 노도섬(Ascophyllum nodosum);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밤버사 아란디나세아(Bambusa arandinacea); 반데이라에아 심플리시폴리아(Bandeiraea simplicifolia); 베르게니아 크라시폴리아(Bergenia crassifolia); 베툴라 spp.(Betula spp.); 보에르하비아 디퓨사(Boerhavia diffusa); 보스웰리아 카테리(Boswellia carteri); 브라시카 spp.(Brassica spp.); 브루소네티아 파피리페라(Broussonetia papyrifera);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칼루나 불가리스(Calluna vulgaris); 카멜리아 spp.(Camellia spp.); 카나가 오도라타(Cananga odorata); 캡시컴 spp.(Capsicum spp.); 카라파 구아이아넨시스(Carapa guaianensis);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카람 카르비(Caram carvi); 카시아 spp.(Cassia spp.); 카스타네아 spp.(Castanea spp.);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카모밀라 spp.(Chamomilla spp.); 체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 콘드라스 크리스퍼스(Chondras crispus); 크리산텔럼 인디컴(Chrysanthellum indicum); 크리산테멈 시네라리아에폴리움(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시코리움 인티버스(Cichorium intybus); 신코나 spp.(Cinchona spp.); 신나노멈 spp.(Cinnamomum spp.); 시스터스 랍다니페라스(Cistus labdaniferas); 시트랄러스 spp.(Citrallus spp.); 시트러스 spp.(Citrus spp.); 크니커스 베네딕터스(Cnicus benedictus); 코클레아리아 오피시날리스(Cochlearia officinalis); 커피 spp.(Coffea spp.);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 코리안드람 사티범(Coriandram sativum); 코릴러스 아벨라나(Corylus avelana); 크리트멈 마리티멈(Crithmum maritimum); 크로커스 spp.(Crocus spp.); 커커미스 사티버스(Cucumis sativus); 커커비타 spp.(Cucurbita spp.); 큐프레서스 셈퍼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커컬리고 오치오이데스(Curculigo orchioides); 커커마 spp.(Curcuma spp.); 시아티아 메듈라리스(Cyathea medullaris); 시도니아 불가리스(Cydonia vulgaris); 심보포곤 spp.(Cymbopogon spp.); 시나라 스콜리머스(Cynara scolymus); 다우커스 카로타(Daucus carota); 디오스코레아 spp.(Dioscorea spp.); 드로세라 spp.(Drosera spp.); 에키나세아 spp.(Echinacea spp.); 에클립타 프로스트라타(Eclipta prostrata); 에필로비움 앙거스티폴리움(Epilobium angustifolium);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에리카 시네레아(Erica cinerea); 유노니머스 유로파에우스(Euonymus europaeus); 유포비아 spp.(Euphorbia spp.); 유프라시아 오피시날리스(Euphrasia officinalis);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포에니컬럼 spp.(Foeniculum spp.); 프라가리아 spp.(Fragaria spp.); 프락시너스 spp.(Fraxinus spp.); 퍼커스 spp.(Fucus spp.); 퓨마리아 오피시날리스(Fumaria officinalis); 가르시니아 캠보드지아(Garcinia cambodgia); 가울테리아 프로컴벤스(Gaultheria procumbens); 제라늄 로버티아넘(Geranium robertianum);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신 소자(Glycine soja); 글리시르히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고시피움 sp.(Gossypium sp.); 그린델리아 spp.(Grindelia spp.); 헤마톡실럼 캠페치아넘(Haematoxylum campechianum); 하마멜리스 버지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하파고피텀 프로큐벤스(Harpagophytum procumbens);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헬리안터스 안누스(Helianthus annuus); 헬리크립섬 이탈리컴(Helichrysum italicum);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히에라시움 필로셀라(Hieracium pilosella); 히만탈리아 엘론가타(Himanthalia elongata); 휴멀러스 루펄러스(Humulus lupulus);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히소퍼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일렉스 spp.(Ilex spp.); 이포모에아 spp.(Ipomoea spp.); 아이리스 spp.(Iris spp.); 자스넘 spp.(Jasminum spp.); 주니퍼라스 spp.(Juniperas spp.); 크라메리아 트리안드라(Krameria triandra); 라릭스 데시듀아(Larix decidua); 라미나리아 spp.(Laminaria spp.); 라미움 spp.(Lamium spp.); 라레아 디바리티카(Larrea divaritica); 라우라스 노빌리스(Lauras nobilis); 라반듈라 spp.(Lavandula spp.); 리토탐니움 칼카레움(Lithothamnium calcareum); 리트람 살리카리아(Lythram salicaria); 망지페라 인디카(Mangifera indica); 마라비움 불가레(Marrabium vulgare); 마르스데니아 콘더란고(Marsdenia condurango); 멜라루카 spp.(Melaleuca spp.); 멜리오터스 오피시날리스(Melilotus officinalis);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멘타 spp.(Mentha spp.); 뮤쿠나 프라리엔스(Mucuna prariens); 뮤사 spp.(Musa spp.); 미르터스 콤머니스(Myrtus communis); 미리카 세리페라(Myrica cerifera); 나스터티움 오피시날리스(Nasturtium officinalis); 넬룸보 너시페라(Nelumbo nucifera); 네펠리움 롱가나(Nephelium longana); 니코티아나 spp.(Nicotiana spp.);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누파르 spp.(Nuphar spp.); 오시멈 바실리컴(Ocimum basilicum);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오펀티아 spp.(Opuntia spp.); 오키스 마스컬라(Orchis mascula); 오리가넘 spp.(Origanum spp.); 오리자 spp.(Oryza spp.); 팔마리아 팔마타(Palmaria palmata);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울리니아 큐파나(Paullinia cupana); 페르세아 spp.(Persea spp.); 페트로셀리움 spp.(Petroselinum spp.); 파세울러스 spp.(Phaseolus spp.); 피멘타 spp.(Pimenta spp.); 피너스 spp.(Pinus spp.); 플란타고 spp.(Plantago spp.); 플렉트란터스 바라터스(Plectranthus barbatus); 폴리갈라 spp.(Polygala spp.); 폴리고넘 spp.(Polygonum spp.); 포퓰러스 니그라(Populus nigra); 포피라 움빌리칼리스(Porphyra umbilicalis); 포르툴라카 올레라세아(Portulaca oleracea); 포텐틸라 spp.(Potentilla spp.); 프리물라 spp.(Primula spp.); 프라너스 spp.(Pranus spp.); 퓨니카 그라나텀(Punica granatum); 피제움 아프리카넘(Pygeum africanum); 피라스 말러스(Pyras malus); 콰시아 아마라(Quassia amara); 퀘르커스 spp.(Quercus spp.); 퀼라자 사포나리아(Quillaja saponaria); 라넌컬러스 피카리아(Ranunculus ficaria); 라파너스 spp.(Raphanus spp.); 라폰티컴 spp.(Rhaponticum spp.); 라벤사나 아로마티카(Ravensana aromatica); 레움 spp.(Rheum spp.); 로디올라 로세아(Rhodiola rosea);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로사 spp.(Rosa spp.); 로스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비아 틴크토리움(Rubia tinctorium); 루버스 spp.(Rubus spp.); 루멕스 오시덴탈리스(Rumex occidentalis);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Ruscus aculeatus); 사카람 오피시나람(Saccharam officinaram); 사투레이아 몬타나(Satureia montana);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spp.(Salvia spp.); 삼버커스 니그라(Sambucus nigra); 쉬너스 몰레(Schinus molle); 세나 spp.(Senna spp.); 세레노아 레펜스(Serenoa repens); 실리범 마리아넘(Silybum marianum); 솔라넘 spp.(Solanum spp.); 솔리다고 spp.(Solidago spp.); 소포라자포니카( Sophorajaponica); 스테컬리아 spp.(Sterculia spp.); 심피티움 오피시날(Symphytium officinale); 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타게테스 spp.(Tagetes spp.); 타마린더스 인디카(Tamarindus indica); 타나세텀 spp.(Tanacetum spp.);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테오브로마 spp.(Theobrom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틸리아 spp.(Tilia spp.); 트리고넬라 포에넘 그라에컴(Trigonella foenum graecum); 트리티컴 벌가레(Triticum vulgare); 트로파에올럼 spp.(Tropaeolum spp.); 터실라고 파르파라(Tussilago farfara); 운다리아 spp.(Undaria spp.); 우르티카 디오이카(Urtica dioica); 우스네아 spp.(Usnea spp.);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스컴 spp.(Verbascum spp.);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베로니카 spp.(Veronica spp.); 비올라 오도라타(Viola odorata); 비버넘 spp.(Viburnum spp.); 빈카 마이너(Vinca minor);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제아 메이스(Zea mays); 징지버 오피시날(Zingiber officinal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으로서, 상기 식물은 아비에스 spp.(Abies spp.); 아칠레아 오피시날리스(Achillea officinalis); 아에스컬러스 히포카스타넘(Aesculus hippocastanum);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알로에 spp.(Aloe spp.);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아크티움 마저스(Arctium majus); 아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발사미타 메이저(Balsamita major); 브라시카 spp.(Brassica spp.);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캡셀라 버사 파스토리스(Capsella bursa pastoris);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신초나 spp.(Cinchona spp.); 코클레아리아 아르모라시아(Cochlearia armoracia); 코미포라 spp.(Commiphora spp.); 코릴러스 아벨라나(Coryllus avelana); 크로커스 사티버스(Crocus sativus); 큐프레서스 셈퍼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에리시멈 spp.(Erysimum spp.); 유칼립투스 spp.(Eucalyptus spp.); 피카리아 라넌큘로이데스(Ficaria ranunculoides);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퍼커스 베지큘로서스(Fucus vesiculosus);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시르히자 spp.(Glycyrrhiza spp.); 하마멜리스 비르지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주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크라메리아 테트란드라(Krameria tetrandra); 라미움 spp.(Lamium spp.); 라반둘라 spp.(Lavandula spp.); 리피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매트리카리아 레큐티타(Matricaria recutita); 멜라루카 spp.(Melaleuca spp.); 멜리오투스 오피시날리스(Melilotus officinalis); 멘타 spp.(Mentha spp.); 누파 루테움(Nuphar luteum);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폴리니아 큐파나(Paullinia cupana); 페트로셀리넘 크리스펌(Petroselinum crispum); 피너스 spp.(Pinus spp.); 플란타고 spp.(Plantago spp.); 폴리고넘 비스토르타(Polygonum bistorta); 포펄러스 spp.(Populus spp.); 포텐틸라 에렉타(Potentilla erecta); 쿼커스 spp.(Quercus spp.); 라파너스 사티버스(Raphanus sativus); 레움 오피시날(Rheum officinale);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로사 spp.(Rosa spp.); 러버스 spp.(Rubus spp.); 러스커스 아큘레아터스(Ruscus aculeatus); 살리카리아 오피시날리스(Salicaria officinalis); 살릭스 spp.(Salix spp.); 살비아 spp.(Salvia spp.); 사투레이아 몬타나(Satureia montana); 심피텀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테아 spp.(Thea spp.); 티머스 spp.(Thymus spp.); 틸리아 spp.(Tilia spp.); 트로파에올럼 마저스(Tropaeolum majus);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버바스컴 탭시포르메(Verbascum thapsiforme);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비버넘 spp.(Viburnum spp.); 비올라 spp.(Viola spp.);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지지퍼스 주주바(Ziziphus jujub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제 용도를 위한 제품으로서, 상기 식물은

    레드 또는 브라운 색상용으로: 아스퍼룰라 틴크토리아(Asperula tinctoria);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카멜리아 spp.(Camellia spp.); 갈륨 오도라텀(Galium odoratum); 로소니아 이너미스(Lawsonia inermis); 피톨라카 데칸드라(Phytolacca decandra); 피너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폴리고넘 아비큘라레(Polygonum aviculare); 프테로카르퍼스 산탈리너스(Pterocarpus santalinus); 람너스 알라터너스(Rhamnus alaternus); 루비아 틴크토리아(Rubia tinctoria) 및 루비아 spp.(Rubia spp.); 트리고넬라 포에넘-그라에컴(Trigonella foenum-graecum);

    블랙 또는 다크 색상용으로: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주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쿼커스 인펙토리아(Quercus infectoria); 쿼커스 spp.(Quercus spp.); 터미날리아 spp.(Terminalia spp.); 운카리아 갬비어(Uncaria gambier);

    레드 또는 퍼플 색상용으로: 알카나 틴크토리아(Alkanna tinctoria); 베타 불가리스(Beta vulgaris); 카에살피니아 브라실리엔시스(Caesalpinia brasiliensis); 카에살피니아 사판(Caesalpinia sappan); 캡시컴 안넘(Capsicum annuum); 다우커스 카로타(Daucus carota); 퍼커스 spp.(Fucus spp.); 모라스 니그라(Moras nigra); 파파버 로에아스(Papaver rhoeas); 퓨니카 그라나텀(Punica granatum); 리베스 니그람(Ribes nigram); 러버스 프라티코서스(Rubus fraticosus); 로셀라 틴크토리아(Rocella tinctoria) 또는 오리셀라(Oricella); 살릭스 퍼퍼레아(Salix purpurea); 삼버커스 니그라(Sambucus nigra); 바시니움 마크로카폰(Vaccinium macrocarpon); 바시니움 spp.(Vaccinium spp.);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옐로우 또는 오렌지 색상용으로: 안테미스 틴크토리아(Anthemis tinctoria); 아버터스 우네도(Arbutus unedo); 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신나모멈 spp.(Cinnamomum spp.); 커큐마 spp.(Curcuma spp.); 크로커스 사티버스(Crocus sativus); 갈레옵시스 테트라히트(Galeopsis tetrahit); 제니스타 틴크토리아(Genista tinctoria); 하이퍼리컴 퍼포라텀(Hypericum perforatum); 매트리카리아 spp.(Matricaria spp.); 메메시톤 틴크토리우스(Memecyton tinctorius); 모라스 틴크토리아(Moras tinctoria); 퓨니카 그라나텀(Punica granatum); 쿼커스 틴크토리우스(Quercus tinctorius); 쿼커스 벨루티나(Quercus velutina); 레세다 루테올라(Reseda luteola); 레움 팔마텀(Rheum palmatum);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Solidago virgaurea);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 스피레아 아란커스(Spirea arancus); 타게테스 파튤라(Tagetes patula); 타나세텀 불가레(Tanacetum vulgare); 터실라고 파파라(Tussilago farfara);

    그린 색상용으로: 알리움 포람(Allium poram); 베르베리스 불가리스(Berberis vulgaris); 글라디아터스 코머니스(Gladiatus communis); 리거스트람 불가레(Ligustram vulgare); 람너스 카타티카(Rhamnus cathartica); 솔라넘 니그람(Solanum nigram);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Spinacia oleracea);

    블루 색상용으로: 밥티시아 틴크토리아(Baptisia tinctoria); 센타우레아 시아너스(Centaurea cyanus); 크로조포라 틴크토리아(Chrozophora tinctoria); 헤마톡실럼 캠페치아넘(Hematoxylum campechianum); 인디고페라 spp.(Indigofera spp.); 이사티스 틴크토리아(Isatis tinctoria); 론코카퍼스 시아네센스(Lonchocarpus cyanescens); 마호니아 멀티플로람(Mahonia multifloram); 마르스데니아 틴크토리아(Marsdenia tinctoria); 네리움 틴크토리움(Nerium tinctorium); 오크리올라리아 오크리나(Ocriolaria ocrina); 폴리고넘 틴크토리움(Polygonum tinctorium); 라이티아 틴크토리아(Wrightia tinctori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섬유성 식물 제품층 상에 위치하는 층을 형성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섬유성 식물 제품 내로 부분적으로 침투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섬유성 식물 제품에 유체 또는 겔 또는 슬러리 또는 분말로서 적용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섬유성 식물 제품의 하나 이상의 타입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성 식물 제품은 다른 식물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다른 식물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성 식물 제품은 하나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섬유성 식물 제품을 적어도 30중량% 또는 40중량% 또는 50중량% 또는 60중량% 또는 70중량% 또는 80중량% 또는 90중량% 또는 100중량%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하나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식물 추출물을 적어도 30중량% 또는 40중량% 또는 50중량% 또는 60중량% 또는 70중량% 또는 80중량% 또는 90중량% 또는 100중량%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가용성 또는 분산성 또는 수용성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시트 또는 분말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포옴 또는 액체 또는 펠렛 또는 과립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의약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백(bag) 또는 마스크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1.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의료 장치의 적어도 일부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2.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화장제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3.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착색제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4.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피부과 제제(dermatologic agent)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5.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항박테리아제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6.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항바이러스제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7.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살곰팡이제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8.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살균제(germicidal agent)인,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2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
  3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32.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피부과 조성물.
  33.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34.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kit of parts).
  35.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의 의약 적용용 용도.
  36.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의 화장품 적용용 용도.
  37.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의 피부과 적용용 용도.
  38.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착색될 헤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 착색 방법.
  3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착색될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색 방법.
  4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 치료 방법.
  41.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품은 섬유성 식물 제품 및 이에 적용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여 식물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상기 잔류물을 정련하는(refining) 단계;
    d) 상기 잔류물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시트형 제품(sheet like product)을 제조하는 단계;
    e)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농축 또는 정제 또는 가향(aromatizing)하는 단계;
    f) 단계 d)의 시트에 단계 b) 또는 e)의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g) 선택적으로, 단계 f)의 제품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용매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압력으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단계는 단일 식물 또는 식물들의 블렌드의 성분(components)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은 시트 제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식물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부분과 혼합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은 시트 제조 전에 안정화제와 혼합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7. 제4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또는 e)의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시트에 적용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식물의 식물 추출물과 혼합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또는 e)의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시트에 적용하기 전에 텍스처제(texturing agent)와 혼합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49. 제4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또는 단계 e)의 식물 추출물을 단계 d)의 시트에 적용하기 전에 상기 식물 추출물로부터 구성분(ingredients)을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50. 제4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또는 단계 e)의 식물 추출물을 단계 d)의 시트에 적용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성의 잔류물로부터 구성분을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51. 제4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g)의 조성물은 추가 처리되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모양의 형태 또는 분말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포옴 또는 액체 또는 펠렛 또는 과립을 얻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52. 제4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은 허브, 약용 식물, 초, 차, 식물성 염료 식물(vegetables dye plants) 및 향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제품의 제조방법.
  53. 제4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시트형 제품을 절단 또는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4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색소 제조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에 유체를 첨가하여 페이스트 또는 크림 또는 슬러리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색소 제조방법.
  55. 제41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품을 포함하는 색소.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헤어 착색용이며, 그리고 분말 또는 페이스트인, 색소.
KR1020167007227A 2013-08-20 2014-08-18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Active KR10228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67814P 2013-08-20 2013-08-20
US61/867,814 2013-08-20
PCT/EP2014/067579 WO2015024908A1 (en) 2013-08-20 2014-08-18 Product comprising a plant for medicinal, cosmetic, coloring or dermatologic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844A true KR20160048844A (ko) 2016-05-04
KR102280547B1 KR102280547B1 (ko) 2021-07-27

Family

ID=513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227A Active KR102280547B1 (ko) 2013-08-20 2014-08-18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29662B2 (ko)
EP (1) EP3035946A1 (ko)
JP (2) JP6727126B2 (ko)
KR (1) KR102280547B1 (ko)
CN (1) CN106456680B (ko)
AU (1) AU2014310655B2 (ko)
CA (1) CA2921630A1 (ko)
RU (1) RU2693413C2 (ko)
WO (1) WO201502490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01B1 (ko) * 2016-06-08 2017-02-10 주식회사 차밍코스메틱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191A (ko) * 2016-09-05 2019-05-02 라보라투와르 클라란스 딸기나무 열매 추출물의 화장적 용도
KR20190066886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수목원관리원 자란초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미백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2210A (ko) * 2016-11-02 2019-07-09 알파노소스 에스.에이.에스.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WO2020054972A1 (ko) * 2018-09-14 2020-03-19 (주)더원코스메틱 참풀가사리, 덜스, 바다 스파게티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주름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5671A (ko) 2019-11-27 2021-06-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20210074807A (ko) * 2019-12-12 2021-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꽃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6700B1 (fr) 2010-10-29 2013-01-11 Bernard Mompon Procede de fabrication d?articles d?origine vegetale impregnes de substance liquide vegetale
US11484497B2 (en) 2013-02-28 2022-11-01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or herbal and vegetable broths
AU2014223431B2 (en) 2013-02-28 2017-05-04 Swm Luxembourg S.A.R.L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or herbal and vegetable broths
CN117502539A (zh) 2013-08-02 2024-02-06 施韦特-莫迪国际公司 包含经重构植物材料的可食用产品
KR102280547B1 (ko) 2013-08-20 2021-07-27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US9351921B1 (en) * 2013-09-10 2016-05-31 Spa De Soleil, Inc. Microdermabrasion cream
FR3027228B1 (fr) * 2014-10-20 2016-12-09 Valbiotis Composition comprenant un melange d'extraits vegetaux et utilisation pour agir sur le metabolisme glucidique et/ou lipidique
US11737472B2 (en) 2015-03-02 2023-08-29 Mativ Holdings, Inc. Low bulk density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having reduced dust or fines
WO2016149424A1 (en) 2015-03-16 2016-09-22 Nature's Sunshine Products, Inc. Phytocomplexes exhibiting multiple, synergistic antioxidant activities useful in foods, dietary supplement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P6538421B2 (ja) * 2015-05-20 2019-07-03 エステー株式会社 浴用剤
EP3115316B1 (de) 2015-07-07 2018-04-04 Swiss Coffee Innovation AG Getränkepulver enthaltende kapsel, insbesondere zur zubereitung von gebrühtem kaffee
WO2017025896A2 (en) * 2015-08-09 2017-02-16 Red Swan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wounds
US10813910B2 (en) * 2015-08-25 2020-10-27 Vivek Anand Parachur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ge related macular diseases
CN106798669A (zh) * 2015-11-26 2017-06-06 上海优莱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硅油的抗敏消炎保湿抗老的bb霜及其制备方法
CN106798713A (zh) * 2015-11-26 2017-06-06 上海优莱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硅油的保湿美白亮肤乳霜及其制备方法
KR101808114B1 (ko) 2015-11-27 2018-01-18 문외숙 한방 허브 및 진주미네랄 수가 함유된 파우더 염모제 조성물
DE102016105029A1 (de) * 2016-03-18 2017-09-21 Ocean Research & Development Gmbh Hautaufhellendes Kosmetikum
FR3049620B1 (fr) * 2016-04-05 2020-06-12 Swm Luxembourg Sarl Papier vegetal comprenant des fibres d'une plante
RU2631620C1 (ru) * 2016-08-04 2017-09-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плат-Косметика" (Ооо "Сплат-Косметика") Протеиново-аминокисло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DE102016216866A1 (de) * 2016-09-06 2018-03-08 Henkel Ag & Co. Kgaa Oxidatives Haarfärbemittel mit optimierter Liftleistung
CN106580777A (zh) * 2016-12-12 2017-04-26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中草药抑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IT201700003045A1 (it) * 2017-01-12 2018-07-12 Giuliani Spa Estratto vegetale per prevenire e trattare la caduta dei capelli
CN106619469A (zh) * 2017-02-11 2017-05-10 佛山市芊茹化妆品有限公司 一种去红血丝面贴膜
US10947667B2 (en) * 2017-04-01 2021-03-16 Bestee Material (Tsingtao)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textile fibers, kettle automatic operation devices, and textile fiber products
MX2019015615A (es) * 2017-06-27 2020-08-03 Dupont Nutrition Usa Inc Texturizantes colorantes de origen vegetal.
CN107334675B (zh) * 2017-07-13 2019-01-04 广州无添加主义化妆品有限公司 防晒植物复配提取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374999A (zh) * 2017-07-18 2017-11-24 佛山实瑞先导材料研究院(普通合伙) 一种抗炎剂及其应用
CN107308063B (zh) * 2017-08-08 2019-12-13 广州蜜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皱眼睛露及其制备方法
WO2019034326A1 (en) * 2017-08-17 2019-02-21 Unilever N.V. TOPICAL COMPOSITIONS FOR IMPROVING BARRIER FUNCTION
FR3071154B1 (fr) * 2017-09-17 2020-01-10 Samuel Cohen C comme autrefois – la coloration autrement
CN107753403A (zh) * 2017-11-28 2018-03-06 湖南康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营养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929125A (zh) * 2017-12-04 2018-04-20 刘晓冰 一种缬草美白面膜
CN107875069B (zh) * 2017-12-22 2022-08-23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矿物泥面膜及其制备方法
EP3511266A1 (de) * 2018-01-15 2019-07-17 Axel Nickel Getränkepulver und füllstoff enthaltende kapsel, insbesondere zur zubereitung von gebrühtem kaffee
CN108316046B (zh) * 2018-02-10 2020-12-15 广州白云山维一实业股份有限公司 含有构皮浆的面膜纸及其面膜制备方法
FR3082747B1 (fr) * 2018-06-21 2022-02-04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d'un extrait de grindelia robusta
CN108770890A (zh) * 2018-07-16 2018-11-09 王婧宁 一种新型抗病毒杀菌功能的空气净化组合物
RU2699220C1 (ru) * 2018-09-18 2019-09-04 Константин Николаевич Брыкин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EP3852717A4 (en) 2018-09-18 2022-06-15 Mary Kay Inc. PLANT EXTRACTS TO REDUCE THE APPEARANCE OF HYPERPIGMENTED SKIN OR TO LIGHTEN SKIN
CN109157453B (zh) * 2018-10-22 2021-07-02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亲肤缓释组合物及其化妆品
FR3088827B1 (fr) 2018-11-26 2021-10-15 Swm Luxembourg Sarl Masque a usage cosmetique comprenant un papier vegetal et humectant
KR102142487B1 (ko) * 2018-12-28 2020-08-10 주식회사 비오엘연구소 항균 코팅용 조성물
US11388925B2 (en) 2019-02-11 2022-07-19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Cannabis wrapper for smoking articles
WO2020167808A1 (en) 2019-02-11 2020-08-20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Reconstituted cannabis material for generating aerosols
KR20210125562A (ko) 2019-02-11 2021-10-18 에스더블유엠 룩셈부르크 흡연 물품용 코코아 래퍼
AU2020223088A1 (en) 2019-02-11 2021-08-19 Swm Luxembourg Reconstituted cocoa material for generating aerosols
JP7674250B2 (ja) 2019-02-11 2025-05-09 エスダブリュエム ホルコ ルクセンブルク エアロゾル生成材料をブレンドした充填材料
FR3097122B1 (fr) * 2019-06-11 2021-06-18 Valbiotis Melange d’extraits de plantes pour son utilisation dans la prevention et/ou le traitement des maladies chroniques inflammatoires de l’intestin
CN110279620B (zh) * 2019-06-13 2022-04-26 上海曜昕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北美柳兰提取物制备方法和应用
CN110200870A (zh) * 2019-06-27 2019-09-06 福建师范大学 一种含白毛藤和木槿花提取物的修复保湿水
EP3766473A1 (en) * 2019-07-18 2021-01-20 ETH Zurich Cosmetic preparations comprising natural activators
CA3145688A1 (en) * 2019-07-25 2021-01-28 Guy Chamberland Methods and compositions of a botanical extract to promote and boost plant growth and prevent and suppress plant diseases
US20220313588A1 (en) * 2019-09-11 2022-10-06 Amorepacific Corporation Additive composition for preventing vitamin c precipitation
CN110613672A (zh) * 2019-11-05 2019-12-27 湖北创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焕颜亮肤面膜组合物、面膜及制备方法
CN110731940A (zh) * 2019-11-21 2020-01-31 南通大学 添加天然透皮吸收促渗剂作为染色渗透剂的中药染黑发剂的制备方法
WO2021113885A1 (en) * 2019-12-04 2021-06-10 Sunstar Joint Stock Company Herb hair dye preparations
CN113134027A (zh) * 2020-01-16 2021-07-20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青钱柳提取液用于提升减脂基因表现量、提升基础代谢率及/或抑制脂肪堆积的用途
WO2021184125A1 (en) * 2020-03-19 2021-09-23 Idunn Technologies Discovery of fifteen new anti-aging plant extracts and identification of cellular processes they affect as new caloric restriction mimetics
FR3111542B1 (fr) * 2020-06-21 2023-01-13 Bruno Eto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diététique contenant de l’extrait aqueux de la lavande et utilisable comme antibactérien et antifungique
CN111617023B (zh) * 2020-07-14 2022-07-01 北昊干细胞与再生医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眼部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671714B (zh) * 2020-07-30 2022-01-28 宋慧君 一种养发护发的植物染发剂及其染发方法
CN111686054B (zh) * 2020-08-04 2022-07-29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舒缓并可持续作用的植物组合物与应用
CN112126990A (zh) * 2020-08-06 2020-12-25 广东荣翘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草本纳米抗菌面料及其制作工艺
CN112190509B (zh) * 2020-09-11 2023-04-07 广州优理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植物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748910C1 (ru) * 2021-01-26 2021-06-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МНИ" Распыляемое средство с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м эффектом
CN112842970A (zh) * 2021-03-29 2021-05-28 重庆文理学院 一种儿童润肤乳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73899B1 (ko) * 2021-06-14 2022-03-14 유지영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ES2985335T3 (es) * 2021-06-15 2024-11-05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embalaje de artículos
CN113648450A (zh) * 2021-08-11 2021-11-16 杭州仁世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医用杀菌敷料及其制备方法
CN113662982A (zh) * 2021-09-24 2021-11-19 杭州配方师科技有限公司 一种灰毛豆籽和玫瑰茄花的提取物、提取方法及用途
US12193457B2 (en) * 2021-10-01 2025-01-14 Pmi Nutrition, Llc Feed addi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4259055A (zh) * 2021-11-02 2022-04-01 郑州和合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拮抗幽门螺旋杆菌的组合物
CN115381755B (zh) * 2021-12-23 2023-10-27 广州花出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敏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306167B (zh) * 2022-01-15 2022-10-21 广州市蒂洲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复合植物提取物的美白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730694B1 (en) 2022-05-25 2023-08-22 L'oreal Hair colo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R3138305A1 (fr) * 2022-07-27 2024-02-02 Theradev Composition d’extraits de plantes pour son utilisation dans le cadre du prédiabète
KR102771350B1 (ko) * 2022-10-14 2025-02-24 김연태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5814460A (zh) * 2022-12-09 2023-03-21 贵州省蚕业研究所(贵州省辣椒研究所) 一种超临界萃取法提取桑枝总黄酮的方法
CN116159176B (zh) * 2023-02-15 2024-10-22 南通大学 一种止血绷带及其制备方法
CN115836992B (zh) * 2023-02-27 2023-04-28 北京普世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洗发水及其制备方法
CN116019752B (zh) * 2023-03-01 2025-03-14 广州市瑞芬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油分仓乳化型舒缓修复面膜液及其制备方法及面膜
CN116492385B (zh) * 2023-06-27 2023-09-19 江西瑞秀朗科技有限公司 一种修复皮肤的复方精油和含有其的药物组合物
KR102731188B1 (ko) * 2023-12-01 2024-11-18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업사이클링 아보카도 유래 발효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8453476B (zh) * 2024-05-27 2025-05-16 上海尊雅实业有限公司 一种修护、抗衰功效组合物和一种修护、抗衰化妆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882A (ja) * 2007-03-29 2008-10-16 Velveteen Bunni Llc 天然顔料を伴う化粧品および皮膚科用配合物ならびに使用方法
WO2012056141A2 (fr) 2010-10-29 2012-05-03 Bernard Mompon Procédé de fabrication d'articles d'origine végétale imprégnés de substance liquide végétale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053A (en) 1965-10-07 1969-02-18 American Tobacco Co Production of reconstituted tobacco
US3386449A (en) 1966-06-16 1968-06-04 Philip Morris Inc Method of making a reconstituted tobacco sheet
US3353541A (en) 1966-06-16 1967-11-21 Philip Morris Inc Tobacco sheet material
US3415253A (en) 1967-01-13 1968-12-10 Philip Morri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reconstituted tobacco sheet material in a substantially closed system
US3420241A (en) 1967-04-28 1969-01-07 Philip Morris Inc Method of preparing a reconstituted tobacco sheet employing a pectin adhesive
US3561451A (en) 1967-05-17 1971-02-09 American Mach & Foundry Process of manufacturing reconstituted tobacco of light color
US3467109A (en) 1967-06-12 1969-09-16 Lorillard Co Inc P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reconstituted tobacco
US3483874A (en) 1967-11-29 1969-12-16 Philip Morris Inc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tobacco
US3760815A (en) 1971-01-06 1973-09-25 Philip Morris Inc Preparation of reconstituted tobacco
GB1341069A (en) 1971-09-24 1973-12-1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materials
US3860012A (en) 1973-05-21 1975-01-14 Kimberly Clark Co Method of producing a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
US3847164A (en) * 1973-10-11 1974-11-12 Kimberly Clark Co Method of making reconstituted tobacco having reduced nitrates
US4182349A (en) 1977-11-04 1980-01-08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reconstituted tobacco
US4674519A (en) 1984-05-25 1987-06-23 Philip Morris Incorporated Cohesive tobacco composition
US4891232A (en) 1988-10-11 1990-01-02 Dahl Derek W Beverage infusion device
US5099862A (en) 1990-04-05 1992-03-3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extraction process
JPH081539U (ja) * 1991-03-13 1996-11-01 合名会社釜屋商店 発熱体貼設用薬草剤プラスター
JP3681410B2 (ja) 1992-04-09 2005-08-1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タバコ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及び使用法
WO1994009653A1 (en) 1992-11-02 1994-05-11 Quest International B.V. Tobacco material containing micro-organism cells
AU685073B2 (en) 1992-12-22 1998-01-15 Unilever Plc Process for manufacturing cold water soluble and chill stable ready to drink tea, and product
US5377698A (en) 1993-04-30 1995-01-03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
US7001629B1 (en) 1993-05-11 2006-02-21 Archimex Method and plant for solvent-free microwave extraction of natural products
US5533530A (en) 1994-09-01 1996-07-0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reconstitution process
JPH09163930A (ja) 1995-12-15 1997-06-24 Fukujiyuen:Kk ペースト茶、粉末茶及びシート状茶の製造方法
JP2007098152A (ja) * 1997-04-09 2007-04-19 Daiki:Kk 衛生用紙
JPH10304822A (ja) 1997-05-08 1998-11-17 Harada Seichiya Kk インスタント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18234B1 (en) 1999-08-27 2004-11-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Dietary food supplement containing natural cyclooxygen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ain and inflammation
JP2001131866A (ja) 1999-10-29 2001-05-15 Shinko Kk ウコン抽出物溶液による繊維の抗菌加工製造法
GB9929349D0 (en) 1999-12-13 2000-02-02 Crompton J R Plc Beverage infusion packages and materials therefor
GB0016312D0 (en) 2000-07-04 2000-08-23 Zylepsis Ltd Separation method
IN188857B (ko) 2000-07-14 2002-11-16 Govind Kane Dr Shantaram
US7595428B2 (en) 2000-11-22 2009-09-29 Nippon Shokubai Co., Ltd. Water-absorbing a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bsorptive article and absorbing material
JP2002209788A (ja) * 2001-01-16 2002-07-30 Uni Charm Corp ウエットワイパー
CN1329855A (zh) 2001-07-31 2002-01-09 杜荣安 一种以烟梗、烟末为原料制造烟叶纸的方法
US20030187055A1 (en) 2002-02-25 2003-10-02 Riker Donald K.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binations for treating obesity
EP1518020A1 (en) 2002-04-25 2005-03-30 Weyerhaeuser Company Method for making tissue and towel products containing crosslinked cellulosic fibers
US6761918B2 (en) 2002-07-18 2004-07-13 Tata Tea Ltd. Method of processing green tea leaves to produce black tea that can be brewed in cold water
US20040180077A1 (en) 2003-03-05 2004-09-16 Riker Donald K. Rapidly dissolving edible strips for treating obesity
CN100353873C (zh) 2003-06-13 2007-12-12 广东省金叶烟草薄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以烟梗和烟末为原料生产造纸法再造烟叶的工艺
US20050088632A1 (en) 2003-07-21 2005-04-28 Sadi Sonja J. Vitasolve dissolving film strips with supplements pharmaceutical drug(RX), +vitamins
JP4373280B2 (ja) * 2003-07-29 2009-11-25 花王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JP2005119967A (ja) * 2003-08-26 2005-05-12 Oji Paper Co Ltd 動物用食器の下敷きシート
WO2005063184A1 (en) 2003-12-22 2005-07-14 Imre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oral hygiene
JP2005306742A (ja) 2004-04-19 2005-11-04 Asahipen Corp チップ状植物害虫忌避具
US8062683B2 (en) 2004-05-05 2011-11-22 Columbus E. Aps Disposable brewing device
JP3872805B2 (ja) 2004-08-11 2007-01-24 株式会社富士見養蜂園 アガリクス茸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アガリクス茸抽出物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健康食品組成物
US20060165756A1 (en) 2005-01-27 2006-07-27 Catani Steven J Method for weight management
JP2006249599A (ja) 2005-03-09 2006-09-21 Lion Corp 繊維防臭剤、繊維防臭組成物、および繊維防臭方法
JP4037415B2 (ja) 2005-03-11 2008-01-23 株式会社エイオーエイ ルイボスティー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ルイボスティー製品
JP2006256968A (ja) 2005-03-15 2006-09-28 Kaneka Corp 骨代謝改善剤とその製造方法
KR20070090286A (ko) 2006-03-02 2007-09-06 김효주 필름형 혹은 시트형 차(茶)류
US20070243273A1 (en) 2006-04-12 2007-10-18 Savipu Pharmaceuticals Reduction of the Deleterious Effects of Tobacco Smoking
CN100546508C (zh) * 2006-11-22 2009-10-07 厦门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茶叶再造薄片制备方法及其在烟草制品中的应用
GB0704095D0 (en) 2007-03-02 2007-04-11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material
JPWO2009022434A1 (ja) * 2007-08-13 2010-11-11 株式会社工房やまだ 植物の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47328A1 (en) 2007-08-16 2009-02-19 Peter Cunningham Caffeine delivery systems
EP2196208A4 (en) 2007-09-26 2010-09-22 Takasago Perfumery Co Ltd PLANT EXTRACT AND ITS USE
EP2198721B1 (en) * 2007-10-05 2015-04-29 Ka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processed tea
US20090169654A1 (en) 2007-12-14 2009-07-02 Conopco, Inc. D/B/A Unilever Tea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4841003B2 (ja) 2008-04-28 2011-12-21 株式会社大貴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US8597667B2 (en) 2008-05-09 2013-12-03 Elc Management Llc Targeted and individualized cosmetic delivery
EP2308184A4 (en) * 2008-07-30 2014-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DCCH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99965B2 (en) 2008-08-07 2013-08-06 Wanda Sheffield Dispenser for an orally dissolvable strip
US20100032444A1 (en) 2008-08-07 2010-02-11 Wanda Sheffield Dispenser For An Orally Dissolvable Strip
JP2010159215A (ja) * 2009-01-06 2010-07-22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自己免疫過剰活性抑制剤、貼付薬シート、及び自己免疫過剰活性の抑制方法
EP2230195B1 (en) 2009-03-19 2018-04-25 Nestec S.A. Capsule with filtering insert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KR20100114348A (ko) 2009-04-15 2010-10-25 이성진 마테 추출액을 이용한 다이어트차의 제조방법
WO2011010368A1 (ja) 2009-07-21 2011-01-27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飲料の気泡保持能強化方法
DE202010001912U1 (de) 2010-01-08 2011-02-24 Krüger Gmbh & Co. Kg Zusammensetzung für ein Getränk, insbesondere Teegetränk
WO2011092852A1 (ja) 2010-01-29 2011-08-04 株式会社 伊藤園 茶葉顆粒及び茶葉顆粒の製造方法
JP2011182783A (ja) 2010-02-15 2011-09-22 Kishu Hosokawa:Kk シート状又はタブレット状の成形食品の製造方法
US20110236502A1 (en) 2010-03-29 2011-09-29 Joseph Marcel Guillory Vitamin Strip (V1)
JO3752B1 (ar) * 2011-06-10 2021-01-31 Schweitzer Mauduit Int Inc مواد تبغ تحتوي على جسيمات دقيقة من كربونات الكالسيوم غير متساوية القياس
WO2013133685A1 (en) * 2012-03-09 2013-09-12 Biotropics Malaysia Berhad Extract formulations of rhodamnia cinerea and uses thereof
CA2878680C (en) 2012-07-23 2019-09-17 Crayola, Llc Dissolvable fil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2919430A (zh) 2012-11-06 2013-02-13 易晓食品(衢州)有限公司 一种速溶茶粉的制作方法
CN103054156A (zh) * 2012-12-18 2013-04-24 内蒙古昆明卷烟有限责任公司 冬虫夏草萃余物在再造烟叶中的应用
AU2014223431B2 (en) 2013-02-28 2017-05-04 Swm Luxembourg S.A.R.L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or herbal and vegetable broths
US11484497B2 (en) 2013-02-28 2022-11-01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or herbal and vegetable broths
US9220296B2 (en) 2013-03-15 2015-12-29 Safall Fall Method of reducing tobacco-specific nitrosamines
CN117502539A (zh) 2013-08-02 2024-02-06 施韦特-莫迪国际公司 包含经重构植物材料的可食用产品
KR102280547B1 (ko) 2013-08-20 2021-07-27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US11737472B2 (en) 2015-03-02 2023-08-29 Mativ Holdings, Inc. Low bulk density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having reduced dust or f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882A (ja) * 2007-03-29 2008-10-16 Velveteen Bunni Llc 天然顔料を伴う化粧品および皮膚科用配合物ならびに使用方法
WO2012056141A2 (fr) 2010-10-29 2012-05-03 Bernard Mompon Procédé de fabrication d'articles d'origine végétale imprégnés de substance liquide végéta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01B1 (ko) * 2016-06-08 2017-02-10 주식회사 차밍코스메틱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191A (ko) * 2016-09-05 2019-05-02 라보라투와르 클라란스 딸기나무 열매 추출물의 화장적 용도
KR20190082210A (ko) * 2016-11-02 2019-07-09 알파노소스 에스.에이.에스.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KR20190066886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수목원관리원 자란초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미백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54972A1 (ko) * 2018-09-14 2020-03-19 (주)더원코스메틱 참풀가사리, 덜스, 바다 스파게티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주름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5671A (ko) 2019-11-27 2021-06-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20210074807A (ko) * 2019-12-12 2021-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꽃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93413C2 (ru) 2019-07-02
WO2015024908A1 (en) 2015-02-26
CN106456680A (zh) 2017-02-22
EP3035946A1 (en) 2016-06-29
US20150056255A1 (en) 2015-02-26
CN106456680B (zh) 2021-05-25
JP6727126B2 (ja) 2020-07-22
JP2020114841A (ja) 2020-07-30
JP2016534109A (ja) 2016-11-04
AU2014310655B2 (en) 2020-03-05
KR102280547B1 (ko) 2021-07-27
CA2921630A1 (en) 2015-02-26
US10729662B2 (en) 2020-08-04
RU2016109924A (ru) 2017-09-26
AU2014310655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547B1 (ko)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US11666530B2 (en) Edible product comprising reconstituted plant material
US10981084B2 (en) Use of coconut water as extraction solvent
EP3250200A1 (en) Methods for preparation of cannabis oil extracts and compositions
US20220395435A1 (en) Fibrous Product For Medicinal, Cosmetic or Dermatologic Use
FR3069450A1 (fr) Utilisation de carbonate de dialkyle comme solvant d&#39;extraction
US20190167569A1 (en) Enhanced herbal extrac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WO2019040035A2 (en) DISPERSION OF LIPOSOMES
WO2019074959A1 (en) COMPOSITION OF CANNABINOIDS AND PRODUCTS COMPRISING ALPHA-TOCOPHEROL
KR100512929B1 (ko) 녹두분, 지각 또는 당귀의 한약재를 함유한 목욕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목욕제
Elias et al. Cosmeceutical Lipids for Barrier Rep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