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01B1 -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801B1 KR101705801B1 KR1020160071111A KR20160071111A KR101705801B1 KR 101705801 B1 KR101705801 B1 KR 101705801B1 KR 1020160071111 A KR1020160071111 A KR 1020160071111A KR 20160071111 A KR20160071111 A KR 20160071111A KR 101705801 B1 KR101705801 B1 KR 101705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root
- ski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참마 뿌리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하여 수득한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이 조화를 이루어 피부 진정,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염증 완화, 피부 수분 지속 및 피부 탄력 증가의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갖는 사람들의 미용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이 조화를 이루어 피부 진정,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염증 완화, 피부 수분 지속 및 피부 탄력 증가의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갖는 사람들의 미용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참마 뿌리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하여 수득한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피부 진정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피부 염증 완화 효과, 피부 수분 지속 효과 및 피부 탄력 증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효능 이외에도 미백과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등의 특수 기능이 추가되어 기능성 화장품으로 발전되었고, 소비자의 욕구뿐만 아니라 의학적 기능이 가미되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으로 관련 기술이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인의 피부가 민감해지면서 피부 자극 완화 기능이 우수하고, 피부 진정 효과 또한 뛰어난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로 변화하고 있다. 피부가 민감해지는 원인으로는 외적인 기상변화, 각종 공해 및 일상생활에서의 수많은 스트레스 등으로 다양하며, 자극성 있는 화학물질의 남용으로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지치게 되고, 탄력을 잃어가게 되면서 더욱 민감해진다.
민감성 피부는 정상적인 피부보다 신경 감각의 입력신호가 과장되어 있으며 작은 피부 자극에도 과도한 신경학적 자극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극성 피부는 정상적인 피부와 다른 신경 말단 조직을 가지고 있거나 많은 양의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한다. 또는 신경 전달 물질(Neurotransmitter)의 제거가 느리거나 특별한 신경 전달 과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만성적으로 신경 말단에 손상을 입어 유발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민감성 피부의 경우 면역 반응이 증가되어 과도한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서 비정상적인 피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민감성 피부는 피부 장벽이 손상된 경우로 이로 인하여 적절하게 신경 전달 물질을 여러 가지 자극 물질로부터 보호하지 못해 증가된 신경 감각의 입력 신호가 증폭되고 많은 양의 항원이 침투하여 증가된 항원, 항체 반응을 유도하게 되며 다양한 생리학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민감성 피부는 염증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s)이나 류코트리엔(Leukotrienes) 등의 염증 매개 물질(inflammatory mediator)의 분비 양상이 정상적인 피부를 가진 사람들과 다른 경우도 있다.
저농도의 세정제 음이온계면활성제나 각종 합성 화학성 물질이 함유된 화장품과 스테로이드제 등의 인공적인 화학 약품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피부 조직은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다양한 비가역적인 피부 생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피부의 수분 부족 또한 민감성 피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정상피부에서 각질층의 수분은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주며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각질화(Keratinization)로 생성된 각질층 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 ~ 20%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물질 및 화장료 관련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에도 피부 보습,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진정 기능이 뛰어나 민감성 피부에도 적용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320호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9990호는 천문동 및 마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문동 및 마카를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천문동 및 마카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민감성 피부에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이고, 피부 탄력 및 피부 보습 기능이 뛰어나 특히 민감성 피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참마(Dioscorea japonica) 뿌리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하여 수득한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Pueraria mirifica)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Porphyra umbilicalis)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은 참마 뿌리에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3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참마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참마 뿌리 추출물이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35 내지 40℃에서 1 내지 3일간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타이칡 뿌리 추출물은 타이칡 뿌리에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3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추출물은 식물을 2,0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화하여 용융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에 물을 가하고 가열 추출하여 미네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네랄 추출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물로는 미역, 다시마, 대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연필향나무, 호장근 및 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은 포피라움 빌리칼리스에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3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 상기 타이칡 뿌리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 상기 미네랄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 상기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류, 로션류, 크림류 및 에센스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이 조화를 이루어 피부 진정,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염증 완화, 피부 수분 지속 및 피부 탄력 증가의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갖는 사람들의 미용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일산화질소(NO) 생성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COX-2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mRNA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5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일산화질소(NO) 생성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COX-2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mRNA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5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로 참마(Dioscorea japonica) 뿌리 추출물을 발효하여 여과한 발효물이다. 참마는 한국, 일본, 중국지역과 아열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며 국내에서는 진주,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하고 있는 덩굴성의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길이가 5 ~ 10cm, 폭 2 ~ 2.5cm로서 긴 타원형이나 좁은 삼각형으로 끝은 뾰족하다. 꽃은 자웅이주(dioecism)로서 6 ~ 7월에 피며, 줄기는 물체에 감기고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뿌리는 긴 원주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마의 일반 성분으로는 수분 함량(70 ~ 80%)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략 20.0%의 전분 함량이며 전분질을 제외하고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C, B1 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점액질 성분으로 인해 점성이 높다. 그 외 디오스신(Dioscin), 바타타신(Batatasin), 매넌(Mannan), 아밀로오스(Amylose), 콜린(Cholin), 사포닌(Saponins), 뮤신(Mucin), 알란토인(Allantoin), 아르기닌(Arginine), 요노게닌(Yonogenin), 크립토게닌(Kryptogenin), 디오스게닌(Diosgenin), 다포게닌(Dapogenin)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마 뿌리 추출물은 참마 뿌리를 원료로 하고 통상적인 식물체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 저급알코올 등 통상적으로 식물체의 추출에 이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에서도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은 3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면 별도의 가열과정 없이도 본 발명에 적합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이용하여 참마 뿌리 추출물을 발효할 때, 추출에 사용한 용매의 존재는 물을 제외하고 경우에 따라 발효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에 이용하는 참마 뿌리 추출물은 추출에 사용된 물 이외의 용매가 제거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제거는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농축과정에 사용하는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참마 뿌리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타이칡 뿌리 추출물은 타이칡 뿌리로부터 추출하여 여과한 추출물이다. 타이칡 뿌리 추출물은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에서 찾을 수 있는 Pueraria 속 식물중 하나이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타이칡 뿌리 추출물은 타이칡 뿌리를 원료로 하고 통상적인 식물체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 저급알코올 등 통상적으로 식물체의 추출에 이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에서도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은 3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면 별도의 가열과정 없이도 본 발명에 적합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추출에 포함된 용매가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에서 용매를 제거한 상태로 화장료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제거는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농축과정에 사용하는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미네랄 추출물은 식물을 2,0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화하여 수득할 수 있는 미네랄이다. 특정 식물체를 2,0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화하여 용융물을 수득한 다음 용융물에 물을 가하여 가열함으로써 물에 용해된 상태의 미네랄을 추출할 수 있으며, 미네랄 수용액을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적용하기 용이한 미네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본등록특허 제4759337호(등록일: 2011. 6. 10) "식물 미네랄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참고하여 원료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특히 미네랄 추출을 위한 식물 재료로 미역, 다시마, 대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연필향나무, 호장근 및 쑥을 사용하면 본 발명에 보다 적합한 미네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은 포피라 움빌리칼리스로부터 추출하여 여과한 추출물이다. 포피라 움빌리칼리스(Porphyra umbilicalis)는 김과에 속하는 홍조류로 엽상체는 탄수화물이 매우 풍부하다. 포피라 움빌리칼리스에는 아르기닌, 알라닌, 류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 산, 발린, 프롤린, 페닐알라닌, 세린, 이소류신, 리신, 메티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트레오닌, 히스티딘 및 시스테인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칼륨, 칼슘, 나트륨, 인, 마그네슘, 철,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레늄, 코발트, 비타민 C, 비타민 B1(티아민), B2(리보플라빈), B6(피리독신), B9(엽산), B12(코발라민) 및 카로티노이드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은 포피라 움빌리칼리스를 원료로 하고 통상적인 식물체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 저급알코올 등 통상적으로 식물체의 추출에 이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에서도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은 3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면 별도의 가열과정 없이도 본 발명에 적합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추출에 포함된 용매가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에서 용매를 제거한 상태로 화장료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제거는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농축과정에 사용하는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원료 중량에 대해 상기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은 이 발효물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 상기 타이칡 뿌리 추출물은 이 추출물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 상기 미네랄 추출물은 이 추출물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 상기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은 이 추출물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하기 실시예(효능측정) 1 내지 9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평가 시험, 일산화질소(NO) 생성량 측정 시험, COX-2 단백질 발현량 측정 시험,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량 측정 시험, TNF-α, IL-1β 및 IL-6 분비량 측정 시험, 수분 지속력 측정 시험, 피부 자극 완화 확인 시험 및 피부 탄력도 측정 시험 결과에 따라 한정한 수치이며, 본 발명에서 한정한 비율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우수한 피부 진정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피부 염증 완화 효과, 피부 수분 지속 효과 및 피부 탄력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류, 로션류, 크림류 및 에센스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백분류, 화운데이션류, 립스틱류, 연지류, 눈화장재료류, 비누류, 햇빛을 막는 화장료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후술하는 실시예(분석 시험)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1-1.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제조
1-1-1. 참마 뿌리 추출물 제조
참마를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세척하여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 건조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분쇄물인 분말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분말 100g에 94%(v/v) 에탄올 수용액(대정화금) 2ℓ를 가하여 7일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다음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에탄올이 제거된 상태의 추출농축액으로 약 100g을 얻었다. 만약 이를 동결건조할 경우 약 5g의 추출건조물을 수득할 수 있다.
1-1-2. 참마 뿌리 추출물 발효
발효에 사용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분양을 받아 MRS 배지에서 계대배양 후 사용하였다.
상기 1-1-1에서 준비된 추출농축액을 멸균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의 MRS 배지 배양액(약 3×106 cells/㎖)을 1%(v/v)로 접종한 다음 37℃에서 48시간 동안 50 ~ 6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발효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이후 여과하여 발효액을 수득하였으며 통상적인 사멸과정을 통해 균을 제거하고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였다.
1-2. 타이칡 뿌리 추출물 제조
타이칡 뿌리를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세척하여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분쇄물인 분말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분말 100g에 94%(v/v) 에탄올 수용액(대정화금) 1ℓ를 가하여 7일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다음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약 4.4g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1-3. 미네랄 추출물 제조
미네랄 추출물은 일본등록특허 제4759337호(등록일: 2011. 6. 10) "식물 미네랄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에서 일부 변형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역, 다시마, 대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연필향나무, 호장근 및 쑥을 채취하여 물에 3회 이상 세척하여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분말화하여 분쇄물인 분말을 수득하였다. 동일한 중량의 각 분말을 1,000℃에서 태우는 열처리를 하였다. 열처리된 각 탄화물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탄화물의 총 합이 10,000g이 되도록 하였다. 이 탄화물을 다시 2000℃로 가열하여 용융화시켰으며 용융물을 1 : 1 비율로 정제수와 함께 혼합한 후 가열하여 무기원소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농축액을 여과하고 활성탄처리를 하였다. 2차 농축과정을 거쳐 무기원소체를 채취한 뒤,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11g(수득률 0.11%)을 획득하였다.
1-4.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 제조
포피라 움빌리칼리스를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세척하여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 건조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분쇄물인 분말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분말 100g에 94%(v/v) 에탄올 수용액(대정화금) 1ℓ를 가하여 7일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다음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약 3.4g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1-5.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1-1 내지 1-4에서 준비한 건조된 분말 상태의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의 함유 비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실험군과 비교군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이용되는 기타 성분들과 혼합하여 스킨토너의 제형으로 제조하였으며, 성분의 함유 비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배합순서 | 배합목적 | 원료(성분)명 | 실험군 | 비교군1 | 비교군2 | 비교군3 | 비교군4 |
1 | 용해제 | 정제수 | 30.0 | 30.0 | 30.0 | 30.0 | 30.0 |
2 | 점증제 | 카보머 | 0.10 | 0.10 | 0.10 | 0.10 | 0.10 |
3 | 스킨컨디셔닝제 | 참마뿌리추출발효물 | 1.0 | - | 2.0 | 3.0 | 3.0 |
4 | 스킨컨디셔닝제 | 타이칡뿌리추출물 | 1.0 | 1.0 | - | 2.0 | 3.0 |
5 | 스킨컨디셔닝제 | 미네랄추출물 | 1.0 | 5.0 | 3.0 | - | 1.0 |
6 | 스킨컨디셔닝제 | 포피라움빌리칼리스추출물 | 1.0 | 3.0 | 2.0 | 1.0 | - |
7 | 보습제 | 부틸렌글라이콜 | 5.0 | 5.0 | 5.0 | 5.0 | 5.0 |
8 | 보습제 | 글리세린 | 5.0 | 5.0 | 5.0 | 5.0 | 5.0 |
9 | 보습제 | 소듐하이아루네이트(1.0%) | - | 5.0 | - | - | - |
10 | 스킨컨디셔닝제 | 가수분해콜라겐파우더 | - | 1.0 | - | - | - |
11 | 중화제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0.1 | 0.1 | 0.1 |
12 | 킬레이션 | 소듐이디티에이 | 0.05 | 0.05 | 0.05 | 0.05 | 0.05 |
13 | 보존제 | 메칠파라벤 | 0.20 | 0.20 | 0.20 | 0.20 | 0.20 |
14 | 가용화제 | 폴리소르베이트80 | 0.5 | 0.5 | 0.5 | 0.5 | 0.5 |
15 | 향료 | 향료 | 0.05 | 0.05 | 0.05 | 0.05 | 0.05 |
16 | 용해제 | 정제수 | 55.00 | 44.00 | 52.00 | 53.00 | 52.00 |
(단위 : 중량%)
본 발명에 사용된 가수분해 콜라겐파우더는 (주)유로코스텍(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으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일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제조방법
1단계 : 배합순서가 1인 정제수에 배합순서가 2인 카보머를 완전 분산시켜서 용해한다.
2단계 : 카보머 용해액에 배합순서 3 내지 10의 원료를 순서대로 투입한다.
3단계 : 상기 배합순서 1 내지 10의 원료가 배합된 상태로, 배합순서 11의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중화시킨다.
4단계 : 중화된 상태에서 배합순서 12 내지 13의 원료를 순서대로 투입한 뒤, 배합순서 15의 향료를 배합순서 14의 폴리소르베이트80에 넣어 가용화시킨 것을 추가로 투입한다.
5단계 : 마지막으로 정제수를 투입하여 전체 함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조절한 뒤, 여과하였으며, 여과된 화장료 조성물은 1일 동안 숙성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세포독성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2-1. 세포독성 평가 시험 방법
본 세포독성 평가 시험 시험에 사용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서울, 대한민국)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BRL)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세포독성 유무를 평가하고자 Cell Counting Kit-8(CCK-8; Dojindo, Japan)을 이용하여 Raw264.7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접종하고 12시간 배양한 다음,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를 각각 1%(v/v)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Well 당 10㎕의 CCK-8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2. 세포독성 평가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1% 농도 처리 시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 모두에서 100% 이상의 생존률을 보임에 따라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3-1.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시험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전염증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인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Griess reagent 반응법을 이용하여 NO assay를 실시하였다. Raw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접종하고 12시간 배양한 다음, LPS(1㎍/㎖)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를 각각 1%(v/v)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동일한 양의 Griess reagent(1% sulfanilamide 및 0.1% N-[1-naphthy]-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in 5% phosphoric acid)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농도는 NaNO2 표준액을 이용하여 정량곡선을 작성한 후,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3-2.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LPS만 처리한 대조군의 NO 생성량은 약 25μM 이상으로 LPS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에 비해 약 9배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에서는 NO 생성량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험군은 비교군 1 내지 4 보다 NO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Nitric oxide)는 생체에서 염증반응을 촉진시키고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NO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으로써,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4-1.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염증매개물질인 prostaglandin E2(PGE2)를 합성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2(COX-2)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 cells/well로 접종하고 12시간 배양한 다음, LPS(1㎍/㎖)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를 각각 1%(v/v)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버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Gibco BRL)로 2회 세척한 후, RIPA buffer(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를 이용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얻었다. BCA protein assay kit(Pierce,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후, 20㎍씩 동일한 양의 각 단백질을 10% SDS-PAGE gel에 전기영동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Whatman, Dassel, Germany) 상으로 이동시켰다. 항체의 비특이적인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membrane에 5% skim milk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다음, COX-2(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또는 β-actin(Sigma, USA)에 대한 항체가 첨가된 5% skim milk로 교체하여 4℃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TBST(50mM Tris-HCl (pH 7.5)), 150mM NaCl, 0.1% Tween-20)로 5분간 3회 세척하고 각각에 대한 이차항체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ECL 용액(GE Healthcare Life Science, Pittsburgh, PA, USA)을 이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4-2.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LPS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에서 COX-2 단백질 발현이 관찰되지 않은 반면, LPS를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COX-2 단백질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1 내지 4 처리 시 COX-2 단백질 발현은 크게 억제되지 않은 반면, 실험군 처리 시에는 염증매개물질인 prostaglandin E2(PGE2)를 합성하는 효소인 COX-2 단백질 발현이 크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5-1.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 cells/well로 접종하고 12시간 배양한 다음, LPS(1㎍/㎖)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를 각각 1%(v/v) 농도로 처리하여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2회 세척한 후, total RNA extraction kit(iNtRON Biotechnology Inc.,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세포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Total RNA를 정량하고, RT-PreMix(iNtRON Biotechnology Inc.)를 이용하여 1㎍씩 동일한 양의 각 total RNA로부터 각각의 cDNA를 합성하였다. TNF-α 유전자에 해당하는 프라이머(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15), IL-1β 유전자에 해당하는 프라이머(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09) 및 IL-6 유전자에 해당하는 프라이머(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13)를 사용하여 denaturation 94℃에서 1분, annealing 58℃에서 40초, extension 72℃에서 1분, 총 30 cycle의 조건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5-2.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 모두 LPS 처리 시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1 내지 4 처리 시에는 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이 다소 감소된 반면 실험군 처리 시엔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TNF-α보다는 IL-1β 및 IL-6 mRNA 발현의 감소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TNF
-α, IL-1β 및 IL-6 분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TNF-α, IL-1β 및 IL-6 분비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6-1. TNF-α, IL-1β 및 IL-6 분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접종하고 12시간 배양한 다음, LPS(1㎍/㎖)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를 각각 1%(v/v)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각각의 배양액을 수집하고 각 배양액에 함유된 TNF-α, IL-1β 및 IL-6 분비량을 해당 ELISA Kit(R&D Systems, Minneapolis, MI,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2. TNF-α, IL-1β 및 IL-6 분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TNF-α, IL-1β 및 IL-6 분비 억제 효과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도 5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비교군 1 내지 4 처리 시 보다는 실험군 처리 시 TNF-α, IL-1β 및 IL-6 분비량이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5의 시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TNF-α, IL-1β 및 IL-6 분비량 또한 TNF-α에 비해 IL-1β 및 IL-6에서 크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코네오미터(corneometer)를 이용한 수분 지속력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수분 지속력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7-1. 코네오미터(corneometer) 이용한 수분 지속력 평가 시험 방법
피부가 건강하고 최근 3개월 동안 피부과 치료를 하지 않은 건강한 35 ~ 50대 여성 50명(평균 연령: 43.7세)을 상대로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의 시료 도포 전후의 피부 수분 보유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온도 23℃, 상대 습도 50 ~ 55%의 조건에서 측정할 부위를 동일한 클렌징 제품으로 자가 세척을 하도록 하고 제조된 스킨 토너를 도포하였다. 1회 각 도포 분량은 0.7g씩 되도록 도포하였으며, 도포 부위는 우측 팔 안쪽 곡지 부위에서 손 부위 쪽으로 4cm2 넓이를 가지도록 2cm 간격으로 도포하되,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의 시료 순으로 동일인에게 도포하였다. 도포 4시간 및 8시간 경과 후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5(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aH,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단위 : AU(Arbitrary Unit)).
7-2. 코네오미터(corneometer) 이용한 수분 지속력 평가 시험 결과
하기 표 2는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에 대한 수분 지속력 평가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포 전 | 도포 4시간 후 | 도포 8시간 후 | |
실험군 | 24.1 ± 4.33 | 40.8 ± 2.17 | 39.7 ± 1.18 |
비교군 1 | 24.8 ± 4.24 | 35.5 ± 3.28 | 32.2 ± 1.25 |
비교군 2 | 24.8 ± 6.28 | 32.8 ± 2.51 | 28.8 ± 2.84 |
비교군 3 | 25.2 ± 5.68 | 32.5 ± 2.58 | 29.0 ± 1.69 |
비교군 4 | 25.7 ± 4.11 | 31.5 ± 3.08 | 27.8 ± 0.70 |
관련 문헌(Th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Volume 8 Number 1, 68-75 Page, Device evaluation for skin effect, 2006, 소병화(so byeong-hwa))에 의하면 팔 부위는 측정값이 29 이하일 경우 피부가 건조한 상태를 나타내며, 측정값이 30 ~ 39일 경우 보습력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즉, 측정 시험 결과 수치가 높을수록 보습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포 전의 경우 시험에 참가한 여성들의 평균 측정값은 모두 건조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소량의 참마뿌리추출발효물이 함유된 실험군을 도포한 부위는 보습능력이 우수한 대표적인 보습제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비교군1 보다 보습력이 더 우수하였으며, 4시간과 8시간 경과 후에도 피부 상태가 보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군 2 내지 4를 도포한 피부는 4시간 경과 후에도 피부가 건조한 상태이었으며 8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보습력이 현저히 떨어져서 건조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과량으로 첨가되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며 피부에 도포 시에도 끈적임이 발생되는 등의 사용감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강력한 보습제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비교군 1보다 수분 지속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8]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8-1.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평가 시험 방법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의 병력이 없고,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정된 건강한 성인 중 본 실험에 참여하고자 하는 피험자들을 측정대상으로 포함시켰다. 여성 15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연령분포는 25 ~ 35세, 평균연령은 28.9세이다.
측정 할 부위를 동일한 클렌징 제품으로 자가 세척을 하도록 하고 1회 각 도포 분량은 0.7g씩 되도록 도포하였으며, 도포 부위는 우측 팔 안쪽 곡지 부위에서 손 부위 쪽으로 4cm2 넓이를 가지도록 2cm 간격으로 도포하였다. 피부 자극 완화 확인 시험에서는 sodium lauryl sulfate(SLS, 98% purity, WAKO, JAPAN)를 2%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된 검사시약을 사용하였다. 2% SLS 용액과 혼합하는 정제수 또는 실험군 또는 비교군은 모두 도포 직전 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피검자의 우측 전완부 곡지부위에 2% SLS 용액 + 정제수, 2% SLS 용액 + 실험군, 2% SLS 용액 + 비교군 1, 2% SLS 용액 + 비교군 2, 2% SLS 용액 + 비교군 3, 2% SLS 용액 + 비교군 4 및 정제수를 도포할 부위를 표시하여, SLS용액 도포부위를 실험군과 비교군, 증류수만을 도포한 부위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부위에서 검사 전에 피부 상태에 대한 홍반지수를 측정하였다. 직경 12㎜의 large Finn chambers(Epitest, Hyryla Finland)를 이용하여 60㎕의 검사 용액을 24시간 동안 첩포를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 1일 후, 1주 후, 2주 후에 홍반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홍반지수의 측정은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공간에서 피검자가 검사 부위를 노출한 다음 30분 동안 안정을 취한 후 시행하였다. 홍반지수의 측정은 DermaspectrometeTM(Cortex Technology, Denmark)를 이용하였다. 실내온도는 20 ~ 24℃, 상대습도는 40 ~ 55%의 상태에서 매일 오후 동일 시간대에 홍반지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홍반지수의 차이와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8-2.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평가 시험 결과
하기 표 3은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에 대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평가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시료 | 기준선 (Baseline) |
첩포 제거 30분 후 | 1일 후 | 1주일 후 | 2주일 후 |
SLS 2% + 정제수 |
9.7 ± 3.08 | 12.5 ± 3.28 | 11.5 ± 2.80 | 11.4 ± 2.99 | 10.8 ± 2.16 |
SLS 2% + 실험군 |
9.9 ± 2.99 | 10.1 ± 2.85 | 10.0 ± 2.24 | 9.9 ± 1.98 | 9.9 ± 1.01 |
SLS 2% + 비교군 1 |
9.9 ± 2.35 | 12.0 ± 3.25 | 11.5 ± 3.57 | 11.1 ± 1.62 | 10.8 ± 1.60 |
SLS 2% + 비교군 2 |
9.7 ± 2.09 | 11.9 ± 2.10 | 11.2 ± 2.19 | 11.0 ± 2.78 | 10.5 ± 2.64 |
SLS 2% + 비교군 3 |
9.8 ± 1.44 | 12.0 ± 2.05 | 11.2 ± 2.95 | 10.8 ± 2.69 | 10.3 ± 1.55 |
SLS 2% + 비교군 4 |
9.7 ± 3.05 | 12.8 ± 3.96 | 11.2 ± 4.19 | 10.9 ± 2.01 | 10.5 ± 2.52 |
정제수+ 정제수 | 9.5 ± 1.48 | 10.5 ± 3.22 | 10.1 ± 3.22 | 9.9 ± 2.72 | 9.6 ± 3.25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자극 완화 확인 시험 결과에 따르면, SLS 2% + 정제수 시료는 도포 2주 후에도 도포전과 비교하여 홍반지수가 높은 지수로 발견이 되었으나 SLS 2% + 실험군 시료는 2주 후에는 도포전과 같은 상태로 피부상태가 회복된 것으로 알 수 있다. 비교군 1 내지 4를 포함시킨 시료는 실험군을 포함시킨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을 통하여 실험군,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홍반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피부 자극에 대한 자극 완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9]
피부 탄력도 측정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9-1. 피부 탄력도 측정 시험 방법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의 병력이 없고,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정된 건강한 성인 중 본 실험에 참여하고자 하는 피험자들을 측정대상으로 포함시켰다. 20명(남자: 5명, 여자: 15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연령분포는 25 ~ 30세, 평균연령은 27.1세이다.
도포 부위는 얼굴 볼 부위로 코 옆에서 각 3㎝ 떨어진 지점의 우측부위에 실험군을 도포하고, 좌측부위에 비교군 1을 도포하되, 각 1.0g씩을 20일간 도포하도록 하였으며 타 화장품은 사용을 금지하였다. 본 시험의 피부탄력측정기는 큐토미터(Cutometer MPA 580 (Courage and Kazaka, Germany))로 측정 하되, 정상피부의 측정모드에서 음압 450mbr에서 측정하였다. 탄력측정지수는 음압에 피부의 회복률에 따른 총탄력도 R2의 값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근사값이 1에 근접하는 것이 보다 더 탄력적인 커브를 뜻하는 것이다. Ue는 피부를 흡입력으로 당겼을 때 바로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고, Uv는 피부의 점탄성에 의해 추가로 늘어나는 부분을 나타내며, Ua는 피부를 당겼다 놓았을 때 바로 원상태로 돌아가는 정도를 나타낸다. Uf는 Ue와 Uv를 합한 것으로 피부가 늘어날 수 있는 최대치를 말해주며, 흔히 신장력(Distensibility)이라고 표현된다. 즉, R2 값은 R2 = Ua/Uf로 나타낼 수 있다. 측정 부위는 시료를 도포한 부위이며 측정 시 흡입시간 2초, 이완시간 2초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되, 3회로 고정하여 측정하였으며, 정량적인 결과는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9-2. 피부 탄력도 측정 시험 결과
하기 표 4는 실험군과 비교군 1에 대한 피부 탄력도 측정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포 전 | 10일 후 | 20일 후 | |
실험군 | 0.847 ± 0.014 | 0.865 ± 0.025 | 0.905 ± 0.010 |
비교군 1 | 0.843 ± 0.091 | 0.838 ± 0.016 | 0.855 ± 0.008 |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탄력도를 측정한 시험 결과에 따르면, 실험군이 비교군 1 보다 10일 후와 20일 후의 R2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실험군이 비교군 1 보다 탄력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이 포함되지 않고 우수한 보습제인 소듐하이아루네이트와 탄력성분인 가수분해콜라겐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비교군 1 보다 피부 탄력 효과가 더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9의 시험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LPS로 염증이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고, COX-2 단백질 발현 또한 억제할 뿐만 아니라, TNF-α, IL-1β 및 IL-6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염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분 지속력 측정, 피부 자극 완화 시험 및 피부 탄력도 측정 시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배합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이고, 피부 탄력 및 피부 보습 기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 참마 뿌리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하여 수득한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은
참마 뿌리에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3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참마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참마 뿌리 추출물이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35 내지 40℃에서 1 내지 3일간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한 것이고,
상기 타이칡 뿌리 추출물은
타이칡 뿌리에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3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며,
상기 미네랄 추출물은
식물을 2,0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화하여 용융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에 물을 가하고 가열 추출하여 미네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네랄 추출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한 것이고,
상기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은
포피라 움빌리칼리스에 80 내지 99%(v/v) 에탄올 용액을 가하고 3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
상기 타이칡 뿌리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
상기 미네랄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
상기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류, 로션류, 크림류 및 에센스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111A KR101705801B1 (ko) | 2016-06-08 | 2016-06-08 |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111A KR101705801B1 (ko) | 2016-06-08 | 2016-06-08 |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5801B1 true KR101705801B1 (ko) | 2017-02-10 |
Family
ID=5812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1111A KR101705801B1 (ko) | 2016-06-08 | 2016-06-08 |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80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9396A (ko) * | 2002-05-16 | 2003-11-21 | (주)케비젠 | 퓨에라리아 속 식물 뿌리의 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KR20130005177A (ko) * | 2011-07-05 | 2013-01-15 |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1319990B1 (ko) | 2013-07-01 | 2013-10-18 | 주식회사 더마랩 | 천문동 및 마카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KR20140030442A (ko) * | 2012-08-29 | 2014-03-12 | 태남홀딩스주식회사 | 새싹 발효액과 인삼열매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조성물 |
KR101566320B1 (ko) | 2015-08-27 | 2015-11-05 | 정용문 |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KR20160048844A (ko) * | 2013-08-20 | 2016-05-04 |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
-
2016
- 2016-06-08 KR KR1020160071111A patent/KR1017058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9396A (ko) * | 2002-05-16 | 2003-11-21 | (주)케비젠 | 퓨에라리아 속 식물 뿌리의 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KR20130005177A (ko) * | 2011-07-05 | 2013-01-15 |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40030442A (ko) * | 2012-08-29 | 2014-03-12 | 태남홀딩스주식회사 | 새싹 발효액과 인삼열매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조성물 |
KR101319990B1 (ko) | 2013-07-01 | 2013-10-18 | 주식회사 더마랩 | 천문동 및 마카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KR20160048844A (ko) * | 2013-08-20 | 2016-05-04 |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 의약, 화장품, 착색제 또는 피부과 용도를 위한 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
KR101566320B1 (ko) | 2015-08-27 | 2015-11-05 | 정용문 |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2560B1 (ko) |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220218595A1 (en) | Method of using soothing cream including maca 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0982883B1 (ko) |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24045614A (ja) |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 |
KR102587666B1 (ko) | 지질 나노 입자로 안정화된 글루타치온 및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07049896A (zh) | 石斛多效原液及其制作方法 | |
JP2011088845A (ja) |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 |
KR102220534B1 (ko) |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474340B1 (ko) |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 |
CN107308044A (zh) |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 |
KR102300581B1 (ko) |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1397160B1 (ko) |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00117652A (ko) | 혼합추출물을 활용한 아토피, 여드름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73950B1 (ko) |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 |
KR101834795B1 (ko) | 초음파 병행 저온 압착법으로 추출된 흰목이버섯과 참마 혼합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14985B1 (ko) |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0513659B1 (ko) |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
KR20240142281A (ko) |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3644B1 (ko) |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81066B1 (ko) |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 |
KR101790185B1 (ko) |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50927B1 (ko) |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 |
KR102374994B1 (ko) | 제주 용암해수와 조릿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54444B1 (ko) |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05801B1 (ko) |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