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016A - 차량의 흡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흡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016A
KR20160045016A KR1020150142745A KR20150142745A KR20160045016A KR 20160045016 A KR20160045016 A KR 20160045016A KR 1020150142745 A KR1020150142745 A KR 1020150142745A KR 20150142745 A KR20150142745 A KR 20150142745A KR 20160045016 A KR20160045016 A KR 2016004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self
wall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7013B1 (ko
Inventor
도시오 다나하시
요지 가네하라
고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49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fixed to the intake system; Electric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15D1/06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21Plastics; Composites;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상기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는,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제한된 범위 내의 상기 흡기 통로벽 표면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흡기 장치{INTAK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평) 5-238438에는 차량의 엔진 또는 엔진과 관련된 부재에 방전 안테나 등의 방전 장치를 설치하고, 엔진부에 발생하거나 또는 축적되는 고압 전기, 정전기 등을 외부에 방전, 방출하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평) 5-238438에서는, 차량에 정전기가 대전되는 것 및 이 차량에 대전된 정전기가 차량의 운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에 대전된 정전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이유로 어떤 영향을 차량의 운전에 부여하고 있는지는 잘 알 수 없다. 이렇게 차량에 대전된 정전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이유로 어떤 영향을 차량의 운전에 부여하고 있는지 잘 알 수 없으면, 차량에의 정전기의 대전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특히 차량의 흡기계에 주목하여, 차량에 대전된 정전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이유로 어떤 영향을 차량의 흡기계에 부여하고 있는지를 추구하고, 추구 결과, 흡입 공기의 흡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적절한 제전 방법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형태에 관한 차량의 흡기 장치는, 상기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고,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제한된 범위 내의 상기 흡기 통로벽 표면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흡기 통로벽의 외벽면 위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의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흡기 장치에의 공기 도입구, 에어 클리너 출구 및 서지탱크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흡기 장치에의 공기 도입구, 에어 클리너 출구 및 서지탱크 출구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모든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의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대전 전하량이 증대되면 흡기 통로벽의 내벽면 위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박리를 발생시키는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기 통로벽은 합성 수지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흡기 통로 벽면 위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금속박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자기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너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함으로써 흡입 공기의 흡기 효율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 특징, 장점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도시적으로 나타낸 차량의 흡기 장치의 전체도.
도 2a는 에어 클리너에의 흡입 공기 도입관의 사시도.
도 2b는 에어 클리너에의 흡입 공기 도입관의 사시도.
도 3은 에어 클리너로부터 서지탱크를 향하여 연장되는 흡입 공기 덕트의 사시도.
도 4는 서지탱크로부터 엔진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기 지관의 사시도.
도 5a는 에어 클리너에의 흡입 공기 도입관 및 서지탱크로부터 엔진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기 지관 내에 있어서의 흡입 공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에어 클리너에의 흡입 공기 도입관 및 서지탱크로부터 엔진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기 지관 내에 있어서의 흡입 공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흡입 공기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b는 흡입 공기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c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에 의한 제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b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에 의한 제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c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에 의한 제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자기 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b는 자기 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에 차량의 흡기 장치를 도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은 엔진, 참조 부호 2는 흡기 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장치(2)는 에어 클리너(3)와, 서지탱크(4)와, 에어 클리너(3)에의 흡입 공기 도입관(5)과, 에어 클리너(3)로부터 서지탱크(4)를 향하여 연장되는 흡입 공기 덕트(6), 서지탱크(4)로부터 엔진(1)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기 지관(7)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파선(8)은 에어 필터를 나타내고 있다. 흡입 공기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흡입 공기 도입구(5a)로부터 흡입 공기 도입관(5)을 통하여 에어 클리너(3) 내에 유입되고, 계속하여 흡입 공기는 에어 필터(8)를 통하여 흡입 공기 덕트(6) 내에 유입된다. 계속해서, 흡입 공기는 흡입 공기 덕트(6)로부터 서지탱크(4) 내에 유입하고, 계속하여 흡기 지관(7)을 통하여 엔진(1)에 공급된다.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서는, 흡입 공기 도입구(5a)부터 흡기 지관(7)의 하류단부까지가 흡기 통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흡기 통로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벽, 에어 클리너(3)의 주위벽, 흡입 공기 덕트(6)의 관벽, 서지탱크(4)의 주위벽 및 흡기 지관(7)의 관벽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서는, 이들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벽, 에어 클리너(3)의 주위벽, 흡입 공기 덕트(6)의 관벽, 서지탱크(4)의 주위벽 및 흡기 지관(7)의 관벽이,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을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서는, 이들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벽, 에어 클리너(3)의 주위벽, 흡입 공기 덕트(6)의 관벽, 서지탱크(4)의 주위벽 및 흡기 지관(7)의 관벽, 즉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은 비도전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되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되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다른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흡입 공기 덕트(6)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지관(7)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타이어의 각 부가 노면에 대하여 접촉, 박리를 반복함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고, 또한 엔진(1)의 구성 부품이나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 부품이 상대 운동함으로써도 정전기가 발생한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에 공기가 차량의 외주면 위를 마찰 접촉하면서 흐름으로써도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들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차량의 바디, 엔진(1) 등에는 전하가 대전되고, 흡기 장치(2)에도 전하가 대전된다. 이때, 흡기 장치(2), 즉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 위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게다가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의 전압값은 1000(v) 이상의 고전압이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서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벽, 에어 클리너(3)의 주위벽, 흡입 공기 덕트(6)의 관벽, 서지탱크(4)의 주위벽 및 흡기 지관(7)의 관벽 표면의 전압값은 1000(v) 이상의 고전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흡기 통로벽과 같은 비도전성 합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박육벽의 표면의 전압값이 높아지면, 박육벽의 표면을 따르는 공기의 흐름이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처음에, 박육벽의 표면을 따르는 공기의 흐름이, 박육벽의 표면의 전압값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본 발명자가 실험에 의해 확인한 현상으로부터 설명을 행한다. 도 6a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박육벽(9)의 표면을 따라 공기가 흐르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공기는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도 6a는, 정으로 대전된 공기가,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박육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도 6a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값이 낮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기는 박육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 이에 반하여, 파선의 화살표는,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값이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기는 박육벽(9)의 표면이 하방을 향하여 만곡된 지점에서, 즉 공기류가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운 지점에서,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흐른다.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 박육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주류의 유속 U과,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거리 S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유속 U의 속도비 U/U의 X 지점(도 6a)에 있어서의 실측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b에 있어서 흑색 마름모형으로 나타내는 각 점은,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b에 있어서 흑색의 사각형으로 나타내는 각 점은,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로부터,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속도 경계층이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a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흐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는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공기의 일부는 정의 공기 이온(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으면 정의 공기 이온과 박육벽(9)의 표면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6a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는 박육벽(9)의 표면이 하방을 향하여 만곡된 지점에서, 즉 공기류가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워진 지점에서,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흐르게 된다. 이렇게 박육벽(9)의 표면에의 정의 전하의 대전에 의해 박육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류가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은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이 경우,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값이 높아질수록, 박육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류가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박육벽(9)의 표면 형상이 공기류의 박리를 발생시키기 쉬운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공기류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지만,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면, 공기류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기류의 박리의 크기가 증대된 것도 확인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면, 전기적인 반발력에 기초하여, 공기류가 박육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혹은 공기가 박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을 때에, 박육벽(9)의 표면을 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의 공기의 흐름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박육벽(9)의 표면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제거하고, 즉 박육벽(9)의 표면을 제전하고, 그것에 의해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값을 저하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박육벽(9)의 표면을 제전하기 위하여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의 일례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대표적인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평면도 및 측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도 7c에는 별도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평면 형상을 이룸과 함께 박육벽(9)의 표면 위에 도전성 접착제(12)에 의해 접착되어지는 금속박(11)을 포함한다. 한편, 도 7c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박육벽(9)의 표면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사용하여, 박육벽(9)의 표면의 일부를 제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의 일부를 제전하도록 하고 있다.
도 8a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표면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표면에 설치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한된 범위 내의 박육벽(9)의 표면의 대전 전하량이 저하되어, 그 결과 도 8c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한된 범위 내의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박육벽(9)의 표면을 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박육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의 공기의 흐름으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에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의 공기의 흐름으로 되돌리고 싶은 개소의 박육벽(9)의 표면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된다. 이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이면에 설치해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한된 범위 내의 박육벽(9)의 표면의 대전 전하량, 즉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 경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의해 박육벽(9)의 표면 제전이 행하여질 때의 제전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명백하지 않으나, 아마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로부터의 정의 전하의 방전 작용에 의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 주위의 박육벽(9)의 표면 제전 작용이 행하여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어서, 박육벽(9)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9a와 도 9a에 도시하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단부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 9b를 참조하면서, 박육벽(9)의 표면에 있어서 행하여지고 있다고 추측되는 제전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박육벽(9)은 비도전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박육벽(9)이 비도전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박육벽(9)의 내부에는 전하가 대전되지 않고, 박육벽(9)의 표면에 전하가 대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통로벽은,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의 어느 쪽에도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이 흡기 통로벽의 표면의 일부를 제전하도록 하고 있으며, 따라서 흡기 통로벽의 표면을 제전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 9a에는 박육벽(9)의 표면 및 이면의 어느 쪽에든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전성 접착제(12)에 의해 박육벽(9)의 표면에 접착된 금속박(11)을 포함한다. 금속박(11) 및 도전성 접착제(12)는 모두 도전성이며, 따라서 금속박(11)의 내부, 즉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내부에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게 된다.
그런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압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과 거의 동등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압은 상당히 높게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는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공기의 일부는 정의 공기 이온(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 이온의 전위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위를 비교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위 쪽이 공기 이온의 전위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이온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에 근접하면,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의 전계 강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온의 전자의 일부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 이온의 정의 대전량이 증대되어(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내로 이동한 전자에 의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가 중화된다. 일단, 방전이 행하여지면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져, 별도의 공기 이온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로 근접하면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즉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공기가 이동하고 있으면, 공기 이온이 연속적으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에 근접하고, 따라서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방전이 발생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가 연속적으로 중화되어, 그 결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량이 감소된다.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량이 감소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박육벽(9)의 표면 위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내로 이동하고,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박육벽(9)의 표면 위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도 감소된다. 그 결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및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이 서서히 저하되어 가게 된다. 이러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및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의 저하 작용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압이 낮아져 방전 작용이 정지될 때까지 계속되고, 그 결과,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한된 범위 내의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 대전량이 증대된 공기 이온(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이 생성되고, 이 정의 대전량이 증대된 공기 이온은 주위의 공기 중에 비산한다. 이 정의 대전량이 증대된 공기 이온의 양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에 비교하면 매우 소량이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공기가 정체하고 있으며, 공기 이온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방전이 발생하지 않아,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은 저하되지 않는다. 즉,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사이의 방전은,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 혹은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변부의 첨단부(14) 사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사이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변부에 코너부(13) 외에, 다수의 첨단부(14)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제작할 때에는, 큰 치수의 금속박을 절단함으로써 금속박(11)을 제작할 때에, 절단면에 첨단부(14)와 같은 버어가 발생하도록, 금속박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금속박(11)은, 연성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금속박(11)은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박(1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50㎜ 내지 100㎜ 정도이고, 두께는 0.05㎜ 내지 0.2㎜ 정도이다. 이 경우, 도 8c에 있어서 전압의 저하되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한된 범위의 직경 D는 150㎜ 내지 200㎜ 정도로 된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로서, 알루미늄박(11)에 도전성 접착제(12)의 층이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육벽(9)의 표면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전성 박막의 주변부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너부(13) 외에, 다수의 첨단부(14)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이면에 설치해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한된 범위 내의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은 저하된다. 단,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이면에 설치한 경우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표면에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의 저하량은 적어진다. 이렇게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박육벽(9)의 이면에 설치해도,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이 저하되는 것은, 박육벽(9)의 이면에 있어서의 전압의 저하가 박육벽(9)의 표면의 전압의 저하로서 박육벽(9)의 표면에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서는,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의 전압값, 즉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벽, 에어 클리너(3)의 주위벽, 흡입 공기 덕트(6)의 관벽, 서지탱크(4)의 주위벽 및 흡기 지관(7)의 관벽 표면의 전압값은 1000(v) 이상의 고전압으로 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실험 결과로부터 판단하면, 이 고전압에 의해 흡기 장치(2) 내를 흐르는 흡입 공기의 흐름이 변화되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흡입 효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흡입 효율에 대하여 실험을 행한 결과, 흡기 통로벽 표면의 대전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고전압이 흡입 효율을 저하시키고 있는 것이 판명되고, 이 경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흡입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에 있어서,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제한된 범위 내의 흡기 통로벽 표면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있어서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가 흡입 효율의 향상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어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바람직한 설치 개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자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바람직한 설치 개소에 대하여 실험 및 검토를 행한 결과,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 있어서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흡입 효율이 각별히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이 경우,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최초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는,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이다. 따라서 먼저 처음에,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 즉 흡입 공기 도입관(5)의 확대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5a를 참조하면서,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에 있어서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바람직한 설치 개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흡입 공기 도입관(5)은 균일한 유로 단면을 갖는 관상부(5b)와, 관상부(5b)의 선단부로부터 흡입 공기 도입구(5a)를 향하여 점차 확대 개방되는 확대 개방부(5c)를 갖는다. 또한, 도 5a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전압이 낮을 때의 흡입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파선의 화살표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전압이 높을 때의 흡입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확대 개방부(5c)의 내주면의 형상은, 흡입 공기 도입구(5a)로부터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유입된 흡입 공기가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된 후, 가능한 한 관상부(5b)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전압이 낮을 때에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 공기 도입구(5a)로부터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유입된 흡입 공기는,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된 후, 관상부(5b)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된다.
그런데, 도 5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는 흡입 공기의 흐름 방향은, 관상부(5b) 내로의 입구 부근에서는 유로 단면의 중심부쪽을 향하고 있으며, 따라서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는 흡입 공기는 관상부(5b) 내의 입구 부근에서는 관상부(5b)의 내벽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운 흐름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전압이 높아지면,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유입되는 흡입 공기는, 관상부(5b) 내에 유입될 때에,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해, 관상부(5b)의 내벽면으로부터 박리되고, 그 후 잠시 진행된 후에, 관상부(5b)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되게 된다.
흡입 공기의 유로가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하면,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됨으로써, 흡입 저항이 증대된다. 그 결과, 흡입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를 야기하는 대전 전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 작용이 발생하는 장소, 즉 확대 개방부(5c)측의 관상부(5b)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확대 개방부(5c)측의 관상부(5b)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중심으로 한 일정 범위 내의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 및 관상부(5b)의 내벽면의 전압이 저하되고, 따라서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는 흡입 공기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 개방부(5c)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된 후, 관상부(5b)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되게 된다. 그 결과, 흡입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 5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관상부(5b)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관상부(5b)의 외벽면 위에 배치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부(5b)가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관상부(5b)의 외주 방향에 있어서 일직선 상에 정렬되도록 관상부(5b)의 외벽면 위에 배치된다.
한편,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관상부(5b)의 내벽면 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관상부(5b)의 내벽면 위에 설치하면, 방전에 의해 정의 대전량이 증대된 공기 이온이 하류측으로 송입되어, 하류측에도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하류측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있어서의 방전 작용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관상부(5b)의 내벽면 위에 설치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탈락된 경우에 엔진(1)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관상부(5b)의 외벽면 위, 즉 흡기 통로벽의 외벽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전압이 낮을 때는 물론,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전압이 높아져도, 흡입 공기가 관상부(5b) 내에 유입된 후 잠시 진행된 후에는, 관상부(5b)의 내벽면을 따라 진행된다. 즉,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전 전하가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을 변화시키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관상부(5b)의 하류측에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한편, 흡입 공기가 흡입 공기 도입관(5)으로부터 에어 클리너(3) 내에 유입될 때에는 흡입 공기류는 퍼질 뿐이므로, 이때에도 대전 전하가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따라서 흡입 공기 도입관(5)의 출구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즉, 흡입 공기 도입관(5)에 대하여 보면, 확대 개방부(5c)측의 관상부(5b)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만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충분하다.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다음에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는, 에어 클리너(3)의 출구, 즉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이다. 흡입 공기가 흡입 공기 덕트(6) 내에 유입된 후는 흡입 공기가 흡기 지관(7) 내에 유입될 때까지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가 야기되지 않고,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다음에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는, 서지탱크(4)의 출구, 즉 흡기 지관(7)의 입구부이다. 흡입 공기가 흡기 지관(7) 내에 유입된 후는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가 야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흡기 장치(2)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나머지의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는, 흡입 공기 덕트(6)에의 입구부와 흡기 지관(7)의 입구부뿐이다.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와 흡기 지관(7)의 입구부는 형상이 유사하고, 따라서 이들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 및 흡기 지관(7)의 입구부에서는 마찬가지의 흡입 공기의 흐름으로 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와 흡기 지관(7)의 입구부에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바람직한 설치 개소는 마찬가지가 된다. 따라서, 이어서, 서지탱크(4)의 출구, 즉 흡기 지관(7)의 확대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5b를 참조하면서, 서지탱크(4)의 출구에 있어서의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바람직한 설치 개소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흡기 지관(7)은 서지탱크(4)의 평탄한 내벽면 상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으므로, 서지탱크(4)로부터 흡기 지관(7) 내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류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기 지관(7)의 전압이 낮을 때에도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 지관(7)의 입구부에 있어서 박리된다. 이 경우에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기 지관(7)의 전압이 높아지면,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 지관(7)의 입구부에 있어서의 흡입 공기류의 박리의 정도가 커진다. 흡기 지관(7)의 입구부에 있어서의 흡입 공기류의 박리의 정도가 커지면,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크게 축소됨으로써, 흡입 저항이 증대된다. 그 결과, 흡입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를 야기하는 대전 전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 작용이 발생하는 장소, 즉, 서지탱크(4)측의 흡기 지관(7)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지탱크(4)측의 흡기 지관(7)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중심으로 한 일정 범위 내의 서지탱크(4)의 내벽면 및 흡기 지관(7)의 내벽면의 전압이 저하되고, 따라서 서지탱크(4)로부터 흡기 지관(7) 내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류의 박리의 정도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아진다. 그 결과, 흡입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 예에서도,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 5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흡기 지관(7)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흡기 지관(7)의 외벽면 위에 배치된다.
한편, 흡입 공기 덕트(6)도, 도 1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3)의 평탄한 내벽면 위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으므로, 에어 클리너(3)로부터 흡입 공기 덕트(6) 내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류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덕트(6)의 전압이 낮을 때에도,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에 있어서 박리되고, 도 5b에 도시한 흡기 지관(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흡입 공기 덕트(6)의 전압이 높아지면,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에 있어서의 흡입 공기류의 박리의 정도가 커진다.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에 있어서의 흡입 공기류의 박리의 정도가 커지면,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크게 축소됨으로써, 흡입 저항이 증대된다. 그 결과, 흡입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이 흡입 공기 덕트(6)에 대해서도,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를 야기하는 대전 전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 작용이 발생하는 장소, 즉, 에어 클리너(3)측의 흡입 공기 덕트(6)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에어 클리너(3)측의 흡입 공기 덕트(6)의 단부의 외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중심으로 한 일정 범위 내의 에어 클리너(3)의 내벽면 및 흡입 공기 덕트(6)의 내벽면의 전압이 저하되고, 따라서 에어 클리너(3)로부터 흡입 공기 덕트(6) 내에 유입되는 흡입 공기류의 박리의 정도는 작아진다. 그 결과, 흡입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 예에서도,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흡입 공기 덕트(6)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흡입 공기 덕트(6)의 외벽면 위에 배치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의 흡기 통로 벽면 위, 즉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 에어 클리너(3)의 출구 또는 서지탱크(4)의 출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상부(5b)의 입구부의 외벽면 위,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의 외벽면 위 및 흡기 지관(7)의 입구부의 외벽면 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이 경우, 가장 높은 흡기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모든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의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 에어 클리너(3)의 출구 및 서지탱크(4)의 출구 모두에,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입 공기 도입관(5)의 관상부(5b)의 입구부의 외벽면 위, 흡입 공기 덕트(6)의 입구부의 외벽면 위 및 흡기 지관(7)의 입구부의 외벽면 위 모두에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 이외에는, 즉,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 에어 클리너(3)의 출구 및 서지탱크(4)의 출구이외에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 에어 클리너(3)의 출구 또는 서지탱크(4)의 출구에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기 통로벽의 대전 전하량이 증대되면, 이 대전 전하에 의해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의 축소가 야기되어, 이때 흡입 공기의 박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대전 전하량이 증대되면 흡기 통로벽의 내벽면 위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박리를 발생시키는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흡기 통로를 획정하는 흡기 통로벽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제한된 범위 내의 상기 흡기 통로벽 표면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흡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기 통로벽의 외벽면 위에 설치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의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5a), 에어 클리너(3) 출구 및 서지탱크(4)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기 장치(2)에의 공기 도입구(5a), 에어 클리너(3) 출구 및 서지탱크(4) 출구에만 설치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입 공기의 유로 상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유로 단면이 축소되는 모든 흡입 공기 유로 단면 축소부의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대전 전하량이 증대되면 흡기 통로벽의 내벽면 위에 있어서 흡입 공기의 박리를 발생시키는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설치되는, 차량의 흡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통로벽은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흡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흡기 통로 벽면 위에 도전성 접착제(12)에 의해 접착된 금속박(11)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흡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자기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너부(13)를 갖고 있는, 차량의 흡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는, 차량의 흡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상기 흡기 통로 벽면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흡기 장치.
KR1020150142745A 2014-10-16 2015-10-13 차량의 흡기 장치 KR101777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1952 2014-10-16
JP2014211952A JP6128093B2 (ja) 2014-10-16 2014-10-16 車両の吸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016A true KR20160045016A (ko) 2016-04-26
KR101777013B1 KR101777013B1 (ko) 2017-09-08

Family

ID=5429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745A KR101777013B1 (ko) 2014-10-16 2015-10-13 차량의 흡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59171B2 (ko)
EP (1) EP3009653B1 (ko)
JP (1) JP6128093B2 (ko)
KR (1) KR101777013B1 (ko)
CN (1) CN105526028B (ko)
BR (1) BR102015026358A2 (ko)
RU (1) RU262031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8157B2 (ja) 2013-10-30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4020B2 (ja) 2014-08-29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帯電電荷低減装置
JP6160603B2 (ja) 2014-12-19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冷却装置
JP6201980B2 (ja) 2014-12-25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15559B2 (ja) 2014-12-26 2017-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JP6146405B2 (ja) 2014-12-26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の製造方法
JP6183383B2 (ja) 2015-01-1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365316B2 (ja) 2015-01-19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潤滑油又は燃料の供給装置
EP3048017B1 (en) 2015-01-23 2017-11-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amping force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JP6281501B2 (ja) 2015-01-29 2018-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輪支持装置
JP6248962B2 (ja) 2015-02-10 2017-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力発生装置
JP6344292B2 (ja) * 2015-04-03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558313B2 (ja) * 2016-06-29 2019-08-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51701B2 (ja) * 2016-06-29 2019-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5549B2 (ja) * 2018-03-23 2023-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吸気装置
JP7050600B2 (ja) * 2018-07-09 2022-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除電装置および車両
JP7268558B2 (ja) * 2019-09-25 2023-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吸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7668A (en) 1968-10-17 1971-08-03 Goro Fujii Electrostatic charger for liquid fuel by friction
GB1356769A (en) 1973-03-27 1974-06-12 Cit Alcatel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thin layers on a substrate
US4610284A (en) * 1984-11-06 1986-09-09 Proprietary Technology Automotive fuel filler system
JPS61194999A (ja) 1985-02-23 1986-08-29 Terumo Corp 超音波探触子
US5095400A (en) 1988-12-06 1992-03-10 Saito Kohk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static electricity
RU2008501C1 (ru) * 1990-10-09 1994-02-28 Валерий Андреевич Попов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5238438A (ja) 1992-02-28 1993-09-17 Shizuo Kawai 自動車、オートバイ等車輛の燃費向上方法
US5382359A (en) 1993-05-13 1995-01-17 Parr Manufacturing, Inc. Plastic fuel filter with conductive coating for providing an evaporative barrier and for dissipating electrostatic charges
CN1185524A (zh) * 1996-12-17 1998-06-24 有限会社俊和电子企画 高效的发动机辅助燃烧系统
JP3065590B2 (ja) 1998-04-28 2000-07-17 株式会社ダブリュ・エフ・エヌ 物質活性化方法および装置
JP3226889B2 (ja) 1998-05-06 2001-11-05 シンワ プロダクト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導電性粘着テープ
DE69934777T2 (de) * 1998-11-13 2007-10-11 W.F.N. Co. Ltd. Substanz aktivierendes verfahren und vorrichtung
JP2001355524A (ja) * 2000-06-14 2001-12-26 Sigma Science Kk 燃費向上等の流体活性化方法およびそのシート
JP2002104106A (ja) * 2000-09-27 2002-04-10 Achilles Corp 産業車両の除電装置
US20080036241A1 (en) 2001-02-15 2008-02-14 Integral Technologies, Inc. Vehicle body, chassis, and braking system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 loaded resin-based materials
EP1391699B1 (en) * 2001-05-24 2016-10-05 Hitachi, Ltd. Heating resistor type flow measuring device
US6703557B2 (en) 2001-05-29 2004-03-09 Philip Alper Vehicle antistatic device
JP3953348B2 (ja) 2002-03-27 2007-08-08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
JP2004011563A (ja) * 2002-06-10 2004-01-15 Enshuya:Kk 燃費向上用イオン化体
TWI313054B (en) 2003-07-22 2009-08-01 Trinc Or Static eliminator
WO2006077635A1 (ja) * 2005-01-19 2006-07-27 W.F.N Co., Ltd. 物質活性化装置
JP2006234093A (ja) 2005-02-25 2006-09-07 Nsk Ltd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装置
JP4936372B2 (ja) 2007-01-23 2012-05-2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大気圧放電プラズマ発生装置
US7971689B2 (en) 2008-03-28 2011-07-05 Wayne-Ian Moore Hydraulic caliper brake assembly for a bicycle
WO2009154177A1 (ja) 2008-06-16 2009-12-2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静電吸着シート
US7684169B1 (en) 2008-11-05 2010-03-23 Alpha Innovation, Inc. Protective ionizing surface for eliminating static
JP5324944B2 (ja) 2009-01-30 2013-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鉛蓄電池
JP5431746B2 (ja) 2009-02-17 2014-03-05 徹 中井 電荷サプライヤ
US8640677B2 (en) * 2009-04-01 2014-02-04 James Gonzales Electrostatic air charg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191852A (ja) * 2009-05-25 2009-08-27 Wfn:Kk 物質活性化装置
US7832528B1 (en) 2009-06-16 2010-11-16 Amtai Medical Equipment, Inc. Brake mechanism for operating table
JP5334751B2 (ja) 2009-08-26 2013-11-0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2012024746A (ja) * 2010-07-21 2012-02-09 Daisuke Tano 流体の性質を変化させる改質装置
JP6168157B2 (ja) 2013-10-30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4020B2 (ja) 2014-08-29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帯電電荷低減装置
JP6160603B2 (ja) 2014-12-19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冷却装置
JP6201980B2 (ja) 2014-12-25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15559B2 (ja) 2014-12-26 2017-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JP6183383B2 (ja) 2015-01-1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365316B2 (ja) 2015-01-19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潤滑油又は燃料の供給装置
EP3048017B1 (en) 2015-01-23 2017-11-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amping force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JP6281501B2 (ja) 2015-01-29 2018-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輪支持装置
JP6248962B2 (ja) 2015-02-10 2017-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力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013B1 (ko) 2017-09-08
US20160108868A1 (en) 2016-04-21
US9759171B2 (en) 2017-09-12
EP3009653A1 (en) 2016-04-20
CN105526028A (zh) 2016-04-27
RU2620312C2 (ru) 2017-05-24
BR102015026358A2 (pt) 2016-08-02
JP2016078640A (ja) 2016-05-16
EP3009653B1 (en) 2019-05-01
JP6128093B2 (ja) 2017-05-17
RU2015144060A (ru) 2017-04-19
CN105526028B (zh)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13B1 (ko) 차량의 흡기 장치
KR101767786B1 (ko) 차량의 배기 장치
KR101914880B1 (ko) 차량의 흡기 장치
KR101757072B1 (ko) 차량의 냉각 장치
US77440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ws with electrical pulses
US10024284B2 (en) Feed system of lubricating oil or fuel of vehicle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JP6146405B2 (ja) 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の製造方法
CN107539249B (zh) 车辆及其制造方法
WO2008136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of a gas
KR101396209B1 (ko) 철도차량용 공기저항 감소장치
EP3594069B1 (en) Vehicular static eliminating device and vehicle
JP2011231928A (ja) ディフューザ
JP2011076732A (ja) イオン発生器およびイオン発生器の配置方法
CN108243549A (zh) 具有开槽通气结构的等离子体激励器
JPS60166053A (ja) 吸引ダスト予備荷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