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876A - 고분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876A
KR20160044876A KR1020140139909A KR20140139909A KR20160044876A KR 20160044876 A KR20160044876 A KR 20160044876A KR 1020140139909 A KR1020140139909 A KR 1020140139909A KR 20140139909 A KR20140139909 A KR 20140139909A KR 20160044876 A KR20160044876 A KR 2016004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copolymer
aromatic vinyl
unsaturated nitrile
diene rubb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792B1 (ko
Inventor
손동철
이계윤
신종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792B1/ko
Priority to CN201580055382.0A priority patent/CN106795299A/zh
Priority to JP2017519631A priority patent/JP6637496B2/ja
Priority to EP15850989.3A priority patent/EP3208311A4/en
Priority to PCT/KR2015/010789 priority patent/WO2016060446A1/ko
Priority to US15/518,563 priority patent/US20170275444A1/en
Publication of KR2016004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저광택성 및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 조성물{POLYM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탄성 강도를 가지므로 강화 플라스틱, 도료, 필름, 성형용 수지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의복의 섬유 재료로도 쓰여지고 있다. 또한, 최근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그 특징적인 물성으로 인하여,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용 자재 등의 분야에 사용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상기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용 자재, 옥외용 외장재(外裝材) 등의 분야는 온도, 습도 등의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내구성 또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지를 블렌딩 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품에 도장 또는 도금과 같은 후가공을 하는 등의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고분자 수지 조성물들은 특히, 자동차용 내/외장재로 사용하기 충분한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갖지 못하였으며, 도장 등의 방법은 공정이 복잡해지고, 불량률 및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우수한 내구성,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의 개발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전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을 보완 또는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정한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성분의 혼합에 따른 향상 효과 또는 상호보완적인 상승 효과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고,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 무도장 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고 무도장 조건 하에서도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종래 자동차 재료 등으로 사용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던 도장과 같은 후가공 공정이 없이도, 자동차의 내외장재로 적용이 가능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유리 섬유를 혼합하면, 충분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우수한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바이오 소재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이며, 저광성이 우수한 무정형의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내스크래치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유리 섬유를 포함함에 따라서, 내열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도장과 같은 후가공 공정 없이도, 자동차의 내/외장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트리메탈레이트 5 내지 95 중량%;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1 내지 50 중량%; 및 유리 섬유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및 장치를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유리 섬유;를 통상적인 혼합기, 믹서기 또는 텀블러 등에 넣고 이축혼련압출기를 통해 혼합함으로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수지들 각각은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바이오 소재로서 친환경적이며, 고분자 주쇄의 지그재그 구조에 따른 분자간 쌓임성(Stacking)이 우수하여 높은 인장강도 및 표면 접동성(Slippimg property)의 특징을 가지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과 비교하여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결정화속도 측면에서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보다는 다소 느리지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보다는 훨씬 빠르기 때문에, 사출용 소재로서의 실용성도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 내지 15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내지 12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데, 특히,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저광성을 나타내어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용 자재 등의 외부 노출이 많은 재료로 사용될 때 안정성 및 고급스런 질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무도장 특성을 부여하여 비용절감의 효과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벌크중합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화중합 또는 벌크중합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유화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자경이 대략 0.3㎛으로 작고, 동그란 공 모양을 나타내어 우수한 광택을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존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광택성이 우수하여, 무도장 특성이 필요한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용 자재 등으로 사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공중합체와는 달리 무정형으로 빛을 난반사 시키는 저광택의 벌크중합으로 제조된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보다 우수한 저광택 특성으로 인해 고급스러운 질감을 부품에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 입자경이 약 1 내지 4㎛ 인 코어-쉘 고무(Core-Shell Rubber)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평균 입자경이 1㎛ 미만으로 너무 작은 경우 광택이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무도장용으로 적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평균 입자경이 4㎛ 초과로 너무 큰 경우에도 저광성의 특징을 가지나 분산성 및 기계적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쉘 고무 형태의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Core)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이고, 쉘(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불포화니트릴은 강성 및 내화학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포화니트릴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 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불포화니트릴 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면 보다 우수한 고강성 특징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고무를 포함함으로써, 내충격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엔계고무로 부타디엔형 고무 또는 이소프렌형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방향족비닐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상기 방향족비닐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 메틸스티렌비닐톨루엔, t- 부틸스티렌, 할로겐치환스티렌, 1,3-디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ABS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특히 저광성이 우수하면서도, 우수한 인장강도, 내열성 등을 나타내어, 내스크래치성이 필요한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용 자재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유리 섬유(Glass Fiber) 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가 강한 특징을 가지므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과 함께 상기 유리 섬유를 포함하여, 내열성, 인장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스크래치성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섬유(Glass Fiber)는 직경이 약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 일 수 있고, 길이가 약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7 mm일 수 있다. 직경 및 길이가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유리 섬유는 특히, 취적의 취급성 및 피딩성(feeding characteristics)을 가지므로 압출과정에서의 원활한 혼련 및 기계적 물성 발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섬유(Glass Fiber)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아령, 마름모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PAN(Polyacrylonitrile) 수지, 실리카(Silica), 및 실리콘 비드(Silicone bead)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광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폴리에스터 제품내에서 우수한 분산성 및 광택성을 낮추는 특징을 갖는 첨가제로, 이를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저광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광제로는 PAN(Polyacrylonitrile) 수지, 실리카(Silica), 실리콘 비드(Silicone bead)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 조성물 중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 충진제, 안정제, UV첨가제, 활제, 산화방지제, 항균제, 이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열, UV, 습도 등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우수한 내후성, 내광성, 내열성 등을 나타내므로 자동차 내/외장재, 가전제품, 건축용 자재 등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에어벤트 윙블레이드(Airvent wing blade), 인사이드 도어 핸들 하우징(Inside door handle housing), 컵 홀더(Cup holder), 콘솔(Console) 등의 자동차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무도장 조건 하에서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재료, 가전제품 등으로 사용시 도장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폭의 원가절감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1>
(1)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중량%, 유리 섬유 20중량%, 상기 세가지 성분을 합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 1 중량부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PTT 제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본 Nippon A&L사의 ET-70, 유리섬유는 국내 Owens Corning사의 952(직경: 10㎛, 길이: 4mm), 실리카는 일본 Tosoh Silica사의 E-220A,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스위스 Clariant사의 Igarfos 168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0중량%, 유리 섬유 20중량%, 상기 세가지 성분을 합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 1 중량부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PTT 제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본 Nippon A&L사의 ET-70, 유리섬유는 국내 Owens Corning사의 952, 실리카는 일본 Tosoh Silica사의 E-220A,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스위스 Clariant사의 Igarfos 168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75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중량%, 유리 섬유 15중량%, 상기 세가지 성분을 합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2 중량부와,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PTT 제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본 Nippon A&L사의 ET-70, 유리섬유는 국내 Owens Corning사의 952,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은 국내 한나노텍사의 AM-10,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스위스 Clariant사의 Igarfos 168 제품을 사용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중량%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BB-8050) 60중량%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중량% 대신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대만 장춘화학사의 1200-211M) 60중량%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참고예 1>
벌크중합으로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0중량% 대신에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제조사:금호석유화학, 제품명:HR-181) 20중량%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2 및 참고예 1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30℃ 에서 동일하게 사출한 후, 사출된 시험편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태조절을 하고, 하기와 같이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충격강도 측정
ASTM D 256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아이조드 충격기(Impact Tester, Toyoseiki)를 사용, 충격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 인장특성 측정
ASTM D 63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신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 내열성 측정
ASTM D 64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내열도시험기(HD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 : 광택 측정
ASTM D 523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광택도시험기(Glossmeter)를 사용하여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5 : 내스크래치 측정
JIS K671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내스크래치시험기(Scratch Tester)를 사용하여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다.
이 때, 내스크래치성의 판정 기준은 하기 표 1와 같고, 참고로, 국내 현대자동차의 경우에는 3급 이상부터 합격 등급을 받으며,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등급 판정기준
스크래치폭(㎛) 외관
5 20 이하 표면손상이 거의 없음
4 100~200 표면 손상이 인지되지 않음
3 200~300 미세한 표면손상이 인지됨
2 300~400 분명한 표면손상으로 백화발생
1 400 이상 매우 심한 표면 손상
구 분 단위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
1 2 3 1 2 1
아이조드충격강도(1/8”)
J/m 60 60 40 65 55 80
아이조드충격강도(1/4”) J/m 55 58 40 60 55 70
인장강도 kg/cm2 1,200 1,140 1,100 1,100 940 900
신율 % 3.5 3.0 3.5 3.5 3.5 3.5
내열도
(1.82MPa)
185 170 175 78 167 150
광택도 1.2 1.3 2.5 3.5 3.5 10.0
내스크래치성 3 3 3 2 3 2
상기 측정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기존에 자동차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를 포함하는 비교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동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특히, 비교예에 비하여 낮은 광택도와,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실시예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바이오 소재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저광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외부 노출이 많은 재료로 사용될 때 안정성 및 고급스런 질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무도장 특성을 부여하여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용 자재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탈레이트 5 내지 95 중량%;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1 내지 50 중량%; 및
    유리 섬유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 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벌크중합으로 제조된 것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 입자경이 1 내지 4㎛인 코어-쉘 고무(Core-Shell Rubber)형태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Core)의 유리전이온도는 -20℃ 이하이고, 쉘(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고무는 부타디엔형 고무 또는 이소프렌형 고무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비닐은 스티렌, α- 메틸스티렌비닐톨루엔, t-부틸스티렌, 할로겐치환스티렌, 1,3-디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및 에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직경이 0.1 내지 30 ㎛이고, 길이가 0.1 내지 10 mm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PAN(Polyacrylonitrile) 수지, 실리카(Silica), 및 실리콘 비드(Silicone bead)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광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충격보강제, 충진제, 안정제, UV첨가제, 활제, 산화방지제, 항균제, 이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140139909A 2014-10-16 2014-10-16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20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09A KR102208792B1 (ko) 2014-10-16 2014-10-16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201580055382.0A CN106795299A (zh) 2014-10-16 2015-10-13 聚合物树脂组合物
JP2017519631A JP6637496B2 (ja) 2014-10-16 2015-10-13 高分子樹脂組成物
EP15850989.3A EP3208311A4 (en) 2014-10-16 2015-10-13 Polymer resin composition
PCT/KR2015/010789 WO2016060446A1 (ko) 2014-10-16 2015-10-13 고분자 수지 조성물
US15/518,563 US20170275444A1 (en) 2014-10-16 2015-10-13 Polymer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09A KR102208792B1 (ko) 2014-10-16 2014-10-16 고분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76A true KR20160044876A (ko) 2016-04-26
KR102208792B1 KR102208792B1 (ko) 2021-01-27

Family

ID=5574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909A KR102208792B1 (ko) 2014-10-16 2014-10-16 고분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75444A1 (ko)
EP (1) EP3208311A4 (ko)
JP (1) JP6637496B2 (ko)
KR (1) KR102208792B1 (ko)
CN (1) CN106795299A (ko)
WO (1) WO2016060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00B1 (ko) * 2017-12-29 2019-08-0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10016208A (zh) * 2019-04-02 2019-07-16 苏州海晨塑胶有限公司 一种耐高温热稳定聚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514285B (zh) * 2020-08-28 2024-01-26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模制品
KR20220072141A (ko) * 2020-11-25 2022-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441A (ja) * 2008-04-15 2009-11-05 Asahi Kasei Chemicals Corp 摺動部品
KR20110066598A (ko) * 2009-12-11 2011-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066A (en) * 1976-11-22 1979-04-17 Daicel Ltd. Flame-retarding resin composition
AU594039B2 (en) * 1985-02-01 1990-03-01 Dow Chemical Company, The ABS compositions having trimodal rubber particle distributions and process
DE4030512A1 (de) * 1990-09-27 1992-04-0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s-formmassen
US5470915A (en) * 1993-06-28 1995-11-28 Miwon Petrochemical Corporation ABS resins having impact resistance and low-gloss properti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DE102004054632A1 (de) * 2004-11-11 2006-05-18 Basf Ag Polymerblends aus Polyestern und linearen oligomeren Polycarbonaten
US20090215934A1 (en) * 2006-03-06 2009-08-27 Makoto Nakamur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product
US8383720B2 (en) * 2008-06-19 2013-02-26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
US20100160529A1 (en) * 2008-12-18 2010-06-2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212673B1 (ko) * 2009-07-31 2012-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2043794A1 (ja) * 2010-09-30 2012-04-0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射出成形体
KR101281834B1 (ko) * 2011-04-18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KR101367251B1 (ko) * 2011-06-23 2014-02-25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3958613B (zh) * 2011-11-25 2017-04-26 Lg化学株式会社 树脂共混物
KR101486567B1 (ko) * 2011-12-26 2015-01-26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7218A (ko) * 2014-10-22 2016-05-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부산물의 함량이 낮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연속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441A (ja) * 2008-04-15 2009-11-05 Asahi Kasei Chemicals Corp 摺動部品
KR20110066598A (ko) * 2009-12-11 2011-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7496B2 (ja) 2020-01-29
EP3208311A1 (en) 2017-08-23
EP3208311A4 (en) 2018-04-25
JP2017531080A (ja) 2017-10-19
US20170275444A1 (en) 2017-09-28
WO2016060446A1 (ko) 2016-04-21
CN106795299A (zh) 2017-05-31
KR102208792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14530263A (ja)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10501622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2208792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6622877B2 (ja)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層形成用組成物、キット、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425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565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7974065A (zh) 聚碳酸酯-聚酯组合物及其应用
WO2017110458A1 (ja)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層形成用組成物、キット、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102532769B (zh) 丙烯酸类树脂组合物和使用其的模制品
JP200903002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6084045B2 (ja) 高分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42931B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CN104937031A (zh) 耐热、阻燃的聚乳酸配混物
KR10080275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2145797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사출 성형품
WO2017063261A1 (zh) 汽车内饰件用复合abs塑料
JP6837336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1139825B1 (ko)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KR1018299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23157863A (ja) 樹脂組成物、ペレット、および、成形品
JPH0672203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17179352A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170014250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