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825B1 -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825B1
KR101139825B1 KR1020090120418A KR20090120418A KR101139825B1 KR 101139825 B1 KR101139825 B1 KR 101139825B1 KR 1020090120418 A KR1020090120418 A KR 1020090120418A KR 20090120418 A KR20090120418 A KR 20090120418A KR 101139825 B1 KR101139825 B1 KR 10113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retardant
resin
parts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005A (ko
Inventor
서강준
유금선
강성우
허재준
정명욱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8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착색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스티렌계-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이루어진 수지에 할로겐계 난연제 및 난연 보조제를 포함하는 열 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50 중량%,스티렌계-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 수지 30~7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5~35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할로겐계 난연제 1~35중량부 및 난연보조제 0.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는 내스크래치성, 착색성 및 난연특성이 우수하며,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염료, 또는 무기 첨가제를 더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WITH ANTI-SCRATCH, FLAME RETARDANT, AND COLOR PROPRETIES}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스티렌계-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이루어진 수지에 할로겐계 난연제 및 난연 보조제를 포함하는 열 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제품들은 대형화, 고기능화, 고급화 추세에 따라 수지의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기전자제품은 고성능의 사양이 보편화 됨에 따라 외장재료의 외관이 고광택성, 고급 질감의 색상 표현, 내스크래치성 등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ABS수지는 가공하기가 용이하고 광택성, 고충격, 고내열성 등 기계적 물성이나 특성을 기초수지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키기가 용이하여 전기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의 내외장재 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지이다
그러나 ABS 수지는 자기소화성을 지니지 않아 난연성능을 발현기 위해서는 난연제를 혼합하여야만 난연성능 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난연제를 혼합하면 기계적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광택특성이 크게 저하되어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등 기초수지의 물성저하를 동반하는 단점이 있다
PMMA수지는 뛰어난 투명성, 색상 선명성, 우수한 광투과율 등으로 광학기기와 디스플레이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지이다
그러나 PMMA 수지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에 비해 내충격성이 상당히 낮고 난연제를 혼합하여도 난연화가 어려워 난연성능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 제품의 외장재로 쓰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고급 색상 표현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고광택성 수지로써 ABS수지와 PMMA수지를 컴파운딩한 ABS/PMMA수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ABS/PMMA 얼로이수지는 가공하기가 용이하고 고광택성, 고급 질감의 색상 표현, 내스크래치성 등 외관 품질 특성 등이 뛰어나고, 충격강도, 수지흐름성 등 기계적 물성이나 특성을 기초수지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키기가 용이하여 고급 전기 전자제품, 특히 요즘 각광받고 있는 LCD/PDP TV 등의 외장재 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수지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788736에서는 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수지에 충격보강재 및 윤활유를 사용하여 내스크래치성, 충격강도 및 광택특성이 우수한 수지를 개발하였으나 난연특성에 대한 부분이 누락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0557686에서는 ABS 수지에 할로겐계 난연제 및 난연보조제를 사용하고 적하방지제로서 폴리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을 사용하여 우수한 난연성과 내충격성을 보유하며 특히 외관성능이 개선한 ABS 수지를 개발하였으나 내스크래치 특성에 대한 부분이 누락되어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0767428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에 인계난연제를 혼합하여 양호한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내스크래치 물성이 우수한 수지를 개발하였으나 고가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를 다량 사용하였기에 원가부담에 단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자제품의 하우징 재료가 요구하는 내스크래치성, 고착색성, 및 화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원가상승의 부담이 없이 사용 가능한 새로운 수지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스크러치성이 강한 신규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스크러칭성이 강하며, 난연성 및 착색성이 좋은 신규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조성물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 10~50 중량%, 스티렌계-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 (SAN 수지) 30~7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변성 MBS 수지) 5~35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할로겐계 난연제 1~35 중량부, 난연보조제 0.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광택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염료 또는 무기 첨가제를 더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투명성이 및 내후성이 탁월한 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 및 탄성류등의 기계적 강도, 표면광택, 접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모니터의 고광판, 확산판 등 디스플레이 투명소재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여타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내스크래치성 및 외관이 우수하여 각종 전자제품의 외장용 소재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 수지)는 성형성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유동성을 지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w이 60,000 - 120,000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Mw이 80,000에서 95,000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수지 조성물 내에서 10 -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충격 강도, 내스크래치성 및 착색성 등을 얻기 어렵고, 50 중량% 보다 과량이면 성형성이 안 좋아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틸린계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이들 2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SAN 수지)는 상기 PMMA수지와의 혼련성을 높일수 있도록 분자량 분포가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과 수 평균분자량의 비가 2.5에서 5.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분포가 넓어 중량평균분자량과 수 평균분자량의 비가 2.5 에서 5.5 가 되면 제품의 표면광택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수 있게 된 다. 이론적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분자랑 분포가 넓을 경우 저분자량 수지가 표면의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가능해 성형품의 평활성이 높아지게 되며 고분자량 수지가 성형품의 강성을 높여서 최종제품이 요구되는 내구성 등을 보유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분자량 분포가 너무 넓어서 5.5 이상이 되면 수지내에 거대 고분자, 즉 100만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가 생겨서 압출가공시 용융이 되지 않아 성형품 표면에 겔(gel)이나 피시아이(Fish-eye)와 같은 현상과 표면불량이 생기게 되며 또한 저분자량은 압출 가공 시 휘발되어 표면 광택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최종제품이 물리적 특성 특히 강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만에서 5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15-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량이 적으면 압출 시 수지의 분산저하가 발생하여 외관불량이 발생한다. 너무 많이 첨가되면 압출 시 외관은 좋으나 물성균형이 깨져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내스크래치성 및 충격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와 비닐시안계의 조성비율이 각각 60-90 중량% 및 10-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닐시안계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 중합체의 열안정성이 낮아지게 되며 스티렌계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에는 중합체의 강성이 약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충족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유화중합, 괴상 중합 또는 현탁 중합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스티렌-아크리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변성 MBS 수지)는 높은 고무함량을 가지는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R1, R2)로 이루어진 고무 라텍스 혼합물(R)에 메타크릴산 알킬아스테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및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염의 유화제와 분산제를 첨가하고 교반시켜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 수지는 평균 입경이 700~1500A인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R1) 5~25중량부와 평균 입경이 2000~4000A인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R2) 2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높은 고형분 함량의 고무 라텍스 혼합물(R)에 메타크릴산 알킬아스테르 화합물 20~40 중량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20 중량부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1~10 중량부를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공중합체는 5-3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5 중량부 미만 사용시에는 수지들간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수지들간의 상분리가 일어나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외 관불량이 발생한다. 3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압출시 문제가 발생하고 외관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할로겐계 난연제는 데카브로머다이페닐 옥사이드(DBDPO), 옥타브로머다이페닐 옥사이드(OBDPO), 테트라브로머비스페놀에이(TBBA), 2,4,6-트리브로머페녹시-1,3,5-트리잔(SR-245), 브로미네이트아로마틱 컴파운드(S-8010, S-4010)등의 브롬계 난연제와 브롬미네이트 에폭시 올리고머(BEO) 타입의 난연제가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화학식 1에 나타난 2,4,6-트리브로머페녹시 -1,3,5-트리잔(SR-245)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외 브롬계 난연제를 사용시에는 블랙도와 선명성 발현이 어려움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5350328-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2,4,6-트리브로머페녹시-1,3,5-트리잔(SR-245)의 사용량은 1~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3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중량부 미만 사용시에는 난연 성능 발현에 한계가 있고, 3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시에는 광택성 및 외관 특성 발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난연 보조제는 Sb2O3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량은 0.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어지는 기타 첨가제는 안료 및 염료 0.01-6중량부, 자외선흡수제 0.01~5.0 중량부, 활제 0.3~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제로 사용중인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혹은 HALS계를 각각 혹은 혼합하여 0.01~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제로 사용되는 활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혹은 폴리에틸렌왁스스테아린산, PE-wax, 아크릴계 고분자WAX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1-5.0 중량부를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0.2-3.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타 안료는 요구하는 칼라에 맞추어 조색하고 첨가 가능하며, 안료 및 염료량은 0.01-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밴버리 믹서, 압출기 같은 일반적인 혼합 용융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수지 성분들은 통상의 합성수지 제조방법으로 압출기에서 서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용융물을 냉각시켜 펠레트화 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및 난연성을 충족하는 내스크래치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 아크릴로니 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을 조절하여 내스크래치성 및 착색성을 개선하였고 난연제 및 난연보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1~5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하여 균일한 배합을 위하여 소형의 텀블러 믹서로 충분히 혼합한후 Φ=32mm 인 이축압출기에서 압출온도가 220℃ ~ 250℃ 범위에서 압출하여 냉각, 고화하여 펠렛 형태로 만든후 100℃가 유지된 순환 열풍 건조기에서 4시간 건조후 160톤 사출기에서 사출온도 230-250℃까지 변화시키고 금형온도를 65℃로 하여 테스트 시편을 제조한후 다음 규정의 방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100℃가 유지된 순환 열풍 건조기에서 4시간 건조 후 220톤 사출기에서 사출온도 220-250℃까지 변화시키고 금형온도를 70~150℃까지 변화 가능한 히팅 몰드(heating mold)에서 광택, 연필경도 등 외관 품질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제조한 후 다음 규정의 방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상기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이상의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에 따라 제조된 시편을 24시간 방치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펠렛은 건조후 유동성을 측정하 여 표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내스크래치성 측정
ASTM D336과 같이 500g 하중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값이 F 이상일때 내스크래치 수지에 적합하다는 판정을 하였다
시험은 연한연필(6B)에서 경한연필(9H) 순으로 진행하였다
5회정도 시험을 진행하며 시험편의 도막에 손상이 생길때의 연필 경도로 사용된다
(2) 멜트플로우 인덱스지수(g/10분)
ASTM D1238법을 사용하였으며 220℃, 10kg 이었다
(3) 아이조드 충격강도의 측정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ASTM D256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4) 광택도 측정
광택도는 Micro Haze Plu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착색성(Blackness성)
각 원료마다 Black을 낼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특히 투명소재에 Black을 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원료 선택이 필요하다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L값이 26 이하인 것을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6) 난연도 측정
UL 94 VB 난연규정에 따라 1/16 두께에서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7) 외관 특성
외관 특성은 금형온도를 70~150℃까지 변화 가능한 히팅 몰드(heating mold)에서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육안으로 판별하여 Weld-line 이색, Sink, Flow Mark, 표면 Pinhole이나 Fish-eye 등 외관에 이상이 없는 것을 양호하다고 판별하였다.
[표 1]
항목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1 2 3 4
조성
(A+B+C
=100중량%)
A 50 50 70 50 50 70 50
B 30 30 10 30 30 20 30
C 20 20 20 20 20 10 20
D 25 30 25 25 20 25
E 25
F 0.5 0.5 0.5 1 0.5 0.5 0.5
물성 연필경도 F F H F H F F
유동성 40 45 35 45 35 30 35
충격강도 14 10 8 12 17 10 15
광택성 93 90 90 90 93 90 90
착색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양호
난연도 V-0 V-0 V-0 V-0 V-1 V-0 V-2
Heating mold 온도(℃) 90 90 90 90 90 90 90
외관특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양호
(주)
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금호석유화학 SAN 326 중량평균분자량 12만, AN 26%)
B)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금호석유화학 M560)
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LG MMA, IF-870)
D) 2,4,6 트리브로머녹시 1,3,5 트리잔 (SR-245 일본제일공업)
E) 방향족인산에스테르올리고머 (PX-200, 大八化學工業)
F) 삼산화 안티몬 (Sb2O3 일성안티몬)
상기 표에서 보면 실시예 1~3의 경우 연필경도, 유동성, 충격강도, 광택성, 착색성,난연특성 및 외관특성이 비교예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좋은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난연성 및 외관 특성, 기계적 물성은 내스크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좋은 수지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내 스크래치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실시예 3에서 나타나 있는 바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의 감량과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을 증량하면 용이하게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
상기 표에서 비교 실시예 1을 보면 삼산화 안티몬의 함량을 1수준으로 증량할경우 외관특성의 저하로 고착색성을 발현하기 어렵다. 비교실시예 2를 보면 난연제의 함량을 20수준으로 감량할 경우 난연성능이 저하되어서 난연수지에 적합하지 않다. 비교실시예 3를보면 PMMA 수지를 감량할경우 착색성이 저하되어 만족할만한 외관특성을 얻기 어렵다. 비교실시예 4,를보면 인계 난연제 방향족인산에스테르올리고머를 사용했을경우 만족할만한 난연특성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50 중량%,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1-35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할로겐계 난연제 5-35 중량부와 난연 보조제 0.01-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과 수평균분자량의 비가 2.5에서 5.5인 난연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120,000인 난연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500,000이고,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스티렌 70-90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10-30 중량%로 이루어진 난연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는 평균 입경이 700~1500 Å인 부타디엔 고무 5-25 중량부; 평균 입경이 2000-4000 Å인 부타디엔고무 20-50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40 중량부; 스티렌 10-2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난연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안료 1~6 중량부, 산화방지제 0.01~5.0 중량부, 자외선흡수제 0.01~5.0 중량부 및 활제 0.3~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2,4,6-트리브로머페녹시-1,3,5-트리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75350328-pat00002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보조제는 Sb2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0090120418A 2009-12-07 2009-12-07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KR10113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18A KR101139825B1 (ko) 2009-12-07 2009-12-07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18A KR101139825B1 (ko) 2009-12-07 2009-12-07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05A KR20110064005A (ko) 2011-06-15
KR101139825B1 true KR101139825B1 (ko) 2012-04-30

Family

ID=4439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418A KR101139825B1 (ko) 2009-12-07 2009-12-07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8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36B1 (ko) 2006-12-18 2008-01-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무도장 외장재용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36B1 (ko) 2006-12-18 2008-01-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무도장 외장재용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05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77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132689B1 (ko)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광택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JP2001040204A (ja) 難燃性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2471865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mold release properties and good appearance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20110077881A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인계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조성물
KR2008004934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100453B1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9661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325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804547B1 (ko) 표면광택, 대전방지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066586B1 (ko) 내스크래치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788365B1 (ko) 폴리카보네이트―스티렌계 공중합체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228347B1 (ko) 영구 대전 방지성을 가진 고광택 내스크래치성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1139825B1 (ko)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KR2017007469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20070932A (ko) 표면광택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29957B1 (ko) 내스크래치성, 광택, 충격성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8007183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WI404763B (zh) 抗刮聚碳酸酯樹脂組成物及成形物件
KR20110077590A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KR102181558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22000972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69295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KR2022000972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345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