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590A -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 Google Patents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590A
KR20110077590A KR1020090134216A KR20090134216A KR20110077590A KR 20110077590 A KR20110077590 A KR 20110077590A KR 1020090134216 A KR1020090134216 A KR 1020090134216A KR 20090134216 A KR20090134216 A KR 20090134216A KR 20110077590 A KR20110077590 A KR 2011007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flame retardant
phosphate
tri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진
안성희
황성덕
손세범
공성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7590A/ko
Publication of KR2011007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5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08K5/5337Esters of phosphonic acids containing also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할로겐-인계 난연제 3∼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열가소성 수지, 할로겐-인계 난연제, 투명성, 난연성

Description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Transparency}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할로겐-인계 난연제를 적용하여 난연보조제 없이 난연성,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제품 및 사무기기 투명창 및 게임기 하우징 등 최근 생산되는 제품의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의 투명성과 같은 고기능성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유럽 등의 국가에서는 전기·전자제품 등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난연성을 보유한 수지를 전기·전자제품 내·외장 부품의 성형품 제조에 사용하도록 법제화하고 있으므로 투명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가진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종래 투명수지로는 폴리스티렌(이하, P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이하, SAN),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PMMA)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충격 강도와 같은 물성이 낮고 난연성 발현이 어려워 용도가 제한적이었다. 특히 난연도를 얻기 위해 난연보조제인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을 적용하는데, 이를 적용할 경우 투명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투명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은 폴리카보네이트가 있으나, 투명성과 상온 내충격성은 우수하나 내약품성이 약하고 저온 내충격성이 좋지 못하며 가공성이 부족하여 대형부품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투명 열가소성 수지에 할로겐-인계 난연제를 소량 적용하면 내화학성, 가공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난연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할로겐-인계 난연제를 적용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할로겐-인계 난연제를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B) 할로겐-인계 난연제는 (RP)3P=O (R은 모노클로로하이드로카빌기, 폴리클로로하이드로카빌기, 모노브로모하이드로카빌기, 폴리브로모하이드로카빌기)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할로겐-인계 난연제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A)는 투명성을 가지고 있으면 족하고,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MABS),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투명 열가소성 수지(A)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가지 이상의 모노머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또는 시안화 비닐 단량체 수지 등과 공중합된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모노머 10 내지 100 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모노머 0 내지 90 중량%; 및 고무질 중합체 0 내지 90 중량%를 중합한 수지이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방향족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 고무질 중합체의 비율은 투명성을 갖도록 수지 매트릭스와 고무의 굴절율을 일치시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아크릴산 부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헥실 에스테르, 아크릴산 2-에틸헥실 에스테르, 또는 이에 상응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성분비는 1∼100 %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 %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 스티렌, p-메틸스티렌, 파라 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아크릴로니트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시안화 비닐 단량체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고무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에 공중합될 수도 있지만, 방향족 비닐 단량체 또는 시안화 비닐 단량체 등과 공중합된 후 아크릴계 수지와 블렌딩될 수도 있다.
 
(B) 할로겐-인계 난연제
본 발명의 할로겐-인계 난연제는 알킬렌 옥사이드와 포스포러스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들은 할로겐화 포스페이트 에스터 구조를 갖는다. 할로겐화 포스페이트 에스터 구조는 (RP)3P=O (R은 모노클로로하이드로카빌기, 폴리클로로하이드로카빌기, 모노브로모하이드로카빌기, 폴리브로모하이드로카빌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 할로겐화 포스페이트 에스터 구조를 갖는 할로겐-인계 난연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tris(2-chloroethyl)phosphate), 트리스(2-클로로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tris(2-chloroisopropyl)phosphate), 트리스(2-클로로-1-(클로로메틸)에틸)포스페이트 (Tris(2-chloro-1-(chloromethyl)ethyl)phosphate), 테트라키스(2-클로로에틸)다이클로로아이소펜틸다이포스페이트 (tetrakis(2-chloroethyl)dichloroisopentyldiphosphate), 트리스(2-브로모에틸)포스페이트 (tris(2-bromoethyl)phosphate), 트리스(2-브로모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tris(2-bromoisopropyl)phosphate), 트리스(3-브로모-2,2(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 (tris(3-bromo-2,2(bomomethyl)propyl)phosphate), 테트라키스(2-브로모에틸)다이브로모아이소펜틸다이포스페이트 (tetrakis(2-bromoehtyl)dibromoisopentyldiphosphat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 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할로겐-인계 난연제는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부로 사용한다. 3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우수한 난연성이 발연되지 않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투명성, 물성 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투명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가 부가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블렌드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열안정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염료, 안료 또는 무기물 첨가제 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의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펠렛은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엄격한 난연 규격이 적용되는 TV, 컴퓨터, 오디오, 에어컨, 사무자동화 기기의 하우징 등과 같은 전기·전자 제품의 외장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이러한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압출성형, 사출성형, 중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A1)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일본 Teigin사의 Panlite L-1225 Grade를 사용하였다.
(A2)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5 %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40,000인 SAN 수지를 사 용하였다.
(A3) 폴리스티렌(PS) 수지
Chimei사의 GP-5000을 사용하였다.
(A4)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수지
LG MMA사의 L84를 사용하였다.
(B) 난연제
(B1) 할로겐-인계 난연제 (TMC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할로겐-인계 난연제는 트리스(2-클로로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로 알버말社에서 제조된 ANTIBLAZE TMCP이다. 난연제의 인함량은 9.4 %이고, 염소함량은 32.4 %이다.
(B2) 브롬계 난연제 (SAYTEX 4010)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브롬계 난연제는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으로 알버말社에서 제조된 SAYTEX 4010이다. 난연제의 브롬함량은 82 %이다.
(C) 열안정제
열안정제는 Irganox 1076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헨셀 믹서기에서 3∼10 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은 통상의 이축 압 출기에서 압출온도 180∼280 ℃, 스크류 회전속도 150∼300 rpm, 조성물 공급속도 30∼60 kg/hr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80 ℃에서 3 시간 건조 후 6 Oz 사출기에서 성형온도 180∼280 ℃, 금형온도 40∼80 ℃의 조건으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은 23 ℃, 상대습도 50 %에서 40 시간 방치한 후 UL 94 VB 난연규정에 따라 1/8" 두께에서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Izod 충격강도는 ASTM D4812 (1/8" Unnotched)에 따라 측정하였다(단위: kgfㆍ㎝/㎝). 투명성은 시편의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Haze는 Nippon denshoku사 NDH 5000W-Hazemeter로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81702449-PAT00001
상기 표에 의하여 할로겐-인계 난연제를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4가 브롬계 난연제를 적용한 비교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투명성, Haze 및 난연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A)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B) 할로겐-인계 난연제 3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투명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M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SAN), 폴리스티렌(PS),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투명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모노머 10 내지 100 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모노머 0 내지 90 중량%; 및 고무질 중합체 0 내지 90 중량%를 중합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할로겐-인계 난연제는 할로겐화 포스페이트 에스터 구조 (RP)3P=O (R은 모노클로로하이드로카빌기, 폴리클로로하이드로카빌기, 모노브로모하이드로카빌기, 폴리브로모하이드로카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할로겐-인계 난연제는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phosphate), 트리스(2-클로로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tris(2-chloroisopropyl)phosphate), 트리스(2-클로로-1-(클로로메틸)에틸)포스페이트(Tris(2-chloro-1-(chloromethyl)ethyl)phosphate), 테트라키스(2-클로로에틸)다이클로로아이소펜틸다이포스페이트(tetrakis(2-chloroethyl)dichloroisopentyldiphosphate), 트리스(2-브로모에틸)포스페이트(tris(2-bromoethyl)phosphate), 트리스(2-브로모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tris(2-bromoisopropyl)phosphate), 트리스(3-브로모-2,2(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tris(3-bromo-2,2(bomomethyl)propyl)phosphate), 테트라키스(2-브로모에틸)다이브로모아이소펜틸다이포스페이트(tetrakis(2- bromoehtyl)dibromoisopentyldiphosph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에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적하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물 첨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KR1020090134216A 2009-12-30 2009-12-30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KR20110077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216A KR20110077590A (ko) 2009-12-30 2009-12-30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216A KR20110077590A (ko) 2009-12-30 2009-12-30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590A true KR20110077590A (ko) 2011-07-07

Family

ID=4491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216A KR20110077590A (ko) 2009-12-30 2009-12-30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7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12B1 (ko) * 2018-12-11 2020-05-07 한화토탈 주식회사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4410099A (zh) * 2022-01-10 2022-04-29 上海金山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透明阻燃mppo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898029B2 (en) 2019-06-13 2024-02-13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12B1 (ko) * 2018-12-11 2020-05-07 한화토탈 주식회사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1898029B2 (en) 2019-06-13 2024-02-13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14410099A (zh) * 2022-01-10 2022-04-29 上海金山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透明阻燃mppo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410099B (zh) * 2022-01-10 2023-10-20 上海金山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透明阻燃mppo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173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93789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10077881A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인계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조성물
EP1966304A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03890093A (zh) 玻璃纤维增强的聚碳酸酯阻燃树脂组合物
CN101228222A (zh) 包含聚合物树脂和羧酸次膦酸盐化合物的聚合物组合物
KR20110077590A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EP3042931B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JP4674254B2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難燃樹脂組成物
JP2015172169A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7381988B2 (ja)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537858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10077473A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1792583B (zh) 抗刮聚碳酸酯树脂组合物
JP7459443B2 (ja)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JP7470301B2 (ja)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JP7470302B2 (ja)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KR10210669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65885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KR101029957B1 (ko) 내스크래치성, 광택, 충격성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83907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139825B1 (ko) 내스크래치성, 난연성 및 착색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KR20150143020A (ko) 스크래치 보강제, 내스크래치성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22174462A (ja)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電子機器、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