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06A -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 Google Patents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06A
KR20160040006A KR1020140133437A KR20140133437A KR20160040006A KR 20160040006 A KR20160040006 A KR 20160040006A KR 1020140133437 A KR1020140133437 A KR 1020140133437A KR 20140133437 A KR20140133437 A KR 20140133437A KR 20160040006 A KR20160040006 A KR 2016004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bread
outer skin
shaped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62B1 (ko
Inventor
홍경표
Original Assignee
홍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표 filed Critical 홍경표
Priority to KR102014013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7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형상의 빵틀에 마늘 가루를 투입하여 마늘빵에 마늘 향을 살리면서 마늘의 풍미를 극대화시킨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에 관한 것으로, 마늘빵의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외피 반죽물을 마늘빵으로 성형하기 위해 성형기에 넣는 단계; 상기 성형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구워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빵을 기 설정된 양만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Manufacturing method of onion bread and onion bread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형상의 빵틀에 마늘 가루를 투입하여 마늘빵에 마늘 향을 살리면서 마늘의 풍미를 극대화시킨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금속의 틀로서 물고기나 꽃, 과일 등의 다양한 모양과 형상의 부조로 이루어진 빵틀을 이융하여 외피의 반죽물과 외피에 팥소 등을 투입하여 빵틀을 가열하여 빵을 구워낸다. 이러한 빵들은 빵틀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 붕어빵, 국화빵, 잉어빵, 바나나빵 또는 고구마빵 등으로 구워내게 되지만, 형상에 따른 맛을 함께 내면서, 건강에 좋은 성분을 함유하는 빵은 드물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강한 냄새를 제외하고는 100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하여 일해백리(一害百利)라고 부른다. 오늘날에는 마늘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져 웰빙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2002년 미국 타임(Time)지는 마늘을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하였으며, 마늘은 그 자체로 먹어도 좋고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해도 좋은 기능성 식품이라 예찬하였다.
미국암연구소(NCI)가 1992년에 발표한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Designer food(좋은 식품을 적극적으로 섭취함으로써 70세에 질병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프로그램)' 피라미드의 최상위에 마늘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식욕 증진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많은 음식에 이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836호(2010. 10. 29 공개)는 붕어빵 외피용 생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뽕잎 분말 및 현미찹쌀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이러한 붕어빵 외피용 생지 조성물은 뽕잎 분말 0.1 내지 30 중량%; 현미찹쌀가루 0.1 내지 30 중량%; 설탕 0.8 내지 1.2 중량%; 마가린 13 내지 14 중량%; 소금 0.2 내지 0.3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04 내지 0.09 중량%; 우유 0.1 내지 0.6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5049호(2006. 04. 24 등록)는 붕어빵 외피용 밀가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붕어빵 등과 같은 신주철로 제작된 빵틀을 사용하여 즉석으로 구워내는 빵류의 외피로 사용되며, 제빵 시 맛이 부드럽고, 빛깔이 좋으며, 빵틀에 달라붙음이 없이 빵틀의 형상대로 모양이 우수하게 나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도 충분한 붕어빵 외피용 밀가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물 36.00 내지 40.00중량%, 밀가루 38.40 내지 48.60중량%, 소다 0.03 내지 0.05중량%, 백설탕 1.40 내지 2.60중량%, 소금 0.25 내지 0.90중량%, 마가린 12.78 내지 15.00중량%, 튀김가루 0.26 내지 0.90중량%, 전지분유 0.41 내지 1.31중량%, 쌀가루 0.26 내지 0.82중량%, 제빵개량제 0.01 내지 0.02중량%를 혼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늘빵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붕어빵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외피 속에 팥과 같은 내용물을 투입하여 마늘빵을 제조함으로써, 빵틀 형상만 다를 뿐 붕어빵 제조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여 마늘빵의 형상이나 색깔은 좋으나 마늘빵의 특색을 살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영양분도 충분하지 못하여 간식용으로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83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7504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늘 형상의 빵틀에 마늘 가루를 투입하여 마늘빵에 마늘 향을 살리면서 마늘의 풍미를 극대화시킨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마늘빵의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외피 반죽물을 마늘빵으로 성형하기 위해 성형기에 넣는 단계; 상기 성형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구워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빵을 기 설정된 양만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피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외피 반죽물을 기 설정된 온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피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밀가루 190~210g, 설탕 57~63g, 소금 0.95~1.05g, 베이킹파우더 57~63g, 달걀 47.5~52.2g, 우유 93.59~103.45g, 버터 28.5~31.5g, 바닐라향 14.25~15.75g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피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사과추출물 5.5~9.5g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넣는 단계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틀로 이루어진 성형기에 상기 외피 반죽물을 넣어 마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넣는 단계는, 상기 틀의 한쪽에 마늘을 갈아 기 설정된 시간동안 건조시킨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틀의 양쪽에 상기 외피 반죽물을 기 설정된 양만큼 넣는 단계; 상기 외피 반죽물에 내용물을 기 설정된 양만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틀 양쪽을 서로 닫아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용물은, 팥 180~230g, 연유 22~28g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용물은, 슈크림 180~230g, 연유 22~28g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기를 120℃ 내지 130℃에서 2 내지 3분 동안 구워 마늘빵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하는 단계는, 상기 마늘빵을 마늘 형상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PE)에 넣어 진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늘 형상의 빵틀에 마늘 가루를 투입하여 마늘빵에 마늘 향을 살리면서 마늘의 풍미를 극대화시킨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에 관한 것으로써, 빵 특유의 쫄깃하고 단백한 맛을 지니면서 마늘 향과 맛이 더해져 보다 높은 영양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식욕을 돋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늘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넣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늘빵 제조방법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늘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늘빵 제조방법은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 성형기에 넣는 단계(S200),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 포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우선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 이전에, 설정하는 단계(미도시)를 거치게 되는데, 설정하는 단계(미도시)에서는 마늘빵을 만드는 개수, 마늘빵을 만드는 재료, 재료의 양, 시간 등을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설정하는 단계(미도시)는 입력된 설정 값에 따라, 마늘빵의 외피재료, 속에 들어가는 내용물 등을 만들기 위해 외피재료들을 준비하도록 한다.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는 마늘빵의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도록 한다.
외피재료는 밀가루, 설탕, 소금, 베이킹파우더, 달걀, 우유, 버터, 바닐라향일 수 있으며, 이를 준비하여 혼합기에 투입되어 외피재료를 회전으로 혼합하도록 하며 적어도 5분 이상 혼합하여 외피 반죽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밀가루는 기능성 밀가루로 버섯 분말이 함유될 수 있으며, 버섯 분말은 -70 내지 -20℃의 온도 및 3 내지 8torr의 압력 상태에서 5 내지 48시간 동안 버섯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5 내지 100㎛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는 마늘빵 외피 15개(마늘빵 개당 20g)를 기준으로 밀가루 190~210g, 설탕 57~63g, 소금 0.95~1.05g, 베이킹파우더 57~63g, 달걀 47.5~52.2g, 우유 93.59~103.45g, 버터 28.5~31.5g, 바닐라향 14.25~15.75g을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는 마늘빵 외피 15개(마늘빵 개당 20g)를 기준으로 밀가루 190~210g, 설탕 57~63g, 소금 0.95~1.05g, 베이킹파우더 57~63g, 달걀 47.5~52.2g, 우유 93.59~103.45g, 버터 28.5~31.5g, 바닐라향 14.25~15.75g에 사과추출물 5.5~9.5g을 더 혼합할 수 있으며, 이는 마늘향이 날 수 있으므로 마늘향을 줄이기 위해 효과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는 밀가루 33.87~43.87중량%, 설탕 10.16~13.16중량%, 소금 0.17~0.21중량%, 베이킹파우더 10.16~13.16중량%, 달걀 8.47~10.97중량%, 우유 16.69~21.61중량%, 버터 5.08~6.58중량%, 바닐라향 2.54~3.33중량%로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는 위에서 설명한 외피재료와 동일하며 그 중 버터 대신 마가린을 사용할 수 있는데, 마가린은 열을 가하여 용융된 액체마가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하는 단계(S100)에서 제조된 외피 반죽물은 다음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성형기로 이송되거나 일정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넣는 단계(S200)는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외피 반죽물을 성형기에 넣어 마늘빵으로 성형하도록 한다.
넣는 단계(S200)에서 성형기는, 육쪽마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육쪽마늘 형상의 성형기에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외피 반죽물을 넣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넣는 단계(S200)는 외피 반죽물을 성형기에 넣어 주기 전에 130~150℃의 온도로 성형기의 표면을 달구어줄 수 있다. 이는 외피 반죽물이 마늘빵으로 가공되면서 마늘빵을 좀 더 바삭하게 쫄깃쫄깃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마늘빵의 표면이 노릇노릇하게 구워져 먹음직스럽게 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넣는 단계(S200)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틀로 이루어진 성형기에 외피 반죽물을 넣어 마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는 성형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구워 마늘빵을 가공한다.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는 육쪽마늘 형상의 성형기에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외피 반죽물을 넣어 기 설정된 온도로 굽게 되면 육쪽마늘 형상의 마늘빵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는 성형기를 직화로 120℃ 내지 130℃에서 2 내지 3분 동안 구워 마늘빵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마늘빵이 열에 의해 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단계(미도시)에서 설정된 관찰 시간에 맞춰 두 개의 틀로 이루어진 성형기를 열어주어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는 가공된 마늘빵을 식히는 단계(미도시)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식히는 단계(미도시)는 팬을 돌려 2 내지 3분 동안 마늘빵의 열기를 식혀 주면서 바삭함을 더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는 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골고루 가열시켜 마늘빵으로 가공할 수 있다. 성형기의 양측에 축을 마련하여 축을 중심으로 성형기를 돌려가면서 성형기를 가열하여 마늘빵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된 마늘빵은 포장하도록 하는데(S400), 포장하는 단계(S400)는 설정하는 단계(미도시)에서 설정된 값만큼 수량을 파악하여 포장기로 이송해준다. 여기서 포장하는 단계(S400)는 기 설정된 양만큼 수용용기로 이송되어 포장그릇, 포장비닐, 포장팩 또는 비닐박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투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하는 단계(S400)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PE)에 가공된 마늘빵을 넣어 진공포장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PE)은 환경호르몬에 무해한 것으로 포장용 필름, 섬유, 파이프, 각종 용기 등에 사용되며, 살균된 것이므로 마늘빵을 상온에서 보관해도 무관하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하는 단계(S400)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CPP)에 가공된 마늘빵을 넣어 진공포장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CPP)은 인체에 무해한 데다 전자레인지 사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된 마늘빵을 전자레인지에 가동시켜 따뜻하게 데워 먹을 수 있어 편리하다.
포장하는 단계(S400)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된 포장용기에 마늘빵을 넣고 포장하기 때문에 마늘빵의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어 마늘을 먹는 듯한 심미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넣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넣는 단계(S200)는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S210), 외피 반죽물을 넣는 단계(S220),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S230) 및 서로 닫아주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S210)는 도 1에서 설명한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S100)에서 제조된 외피 반죽물을 성형기에 넣기 전에 마늘 가루를 생성시킨다.
우선,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S210) 이전에 성형기 틀의 양쪽에 식용유, 올리브유 등과 같은 기름이 묻은 붓으로 틀을 문질러 줄 수 있는데, 이는 외피 반죽물이 마늘빵으로 가공될 때 성형기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늘 가루는 물기를 제거한 뒤 기 설정된 수량만큼의 마늘을 분쇄기에 투입시켜 기 설정된 시간만큼 갈아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늘빵에서 밀가루는 찬 성질의 음식으로 전체적으로 속을 차게할 수 있는데, 여기에 따뜻한 성질의 마늘 가루를 투입함으로써, 속을 편하게 하여 부담없이 먹을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일 실시 예에서, 마늘 가루는 5~30g일 수 있으며, 분말이 될 정도로 분쇄시켜줄 수 있다.
성형기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S210)는 두 개의 틀 중 어느 한쪽에 마늘 가루를 투입시킨다.
마늘은 암예방에 좋으며, 혈전을 녹여 막힌 혈관을 뚫고 혈액순환을 촉진해주는 성분이 들어있고 혈 중 콜레스테롤를 제거해주며, 항산화 작용과 체력증강,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능이 있다.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S210)에서 마늘을 1 내지 3g 정도 성형기에 투입시킬 수 있으며, 투입 후에 외피 반죽물을 넣어준다(S220).
외피 반죽물을 넣는 단계(S220)는 틀의 양쪽에 기 설정된 양만큼 외피 반죽물을 넣게 되는데, 이는 마늘 형상과 같이 입체감 있게 마늘빵을 가공시키기 위해 효과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피 반죽물을 넣는 단계(S220)는 틀에 가득 차지 않을 만큼의 높이정도 외피 반죽물을 넣어줄 수 있다.
이 후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S230)는 외피 반죽물을 넣는 단계(S220)에서 넣은 외피 반죽물 속에 기 설정된 양만큼 내용물을 투입하며, 틀의 양쪽 중 한쪽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내용물은 팥과 연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팥 180~230g, 연유 22~28g으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팥은 생팥 22.80중량%, 정제수 54.50중량%, 황설탕 8.00중량%, 흑설탕 8.00중량%, 물엿 0.50중량%, 옥수수전분 3.70중량%, 고구마전분 0.30중량%, 정제염 1.20중량%가 혼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용물은 슈크림과 연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팥 180~230g, 연유 22~28g으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슈크림은 슈가파우더 10~12중량%, 정제수 65~70중량%, 전지분유5~7 중량%, 옥수수전분13~17 중량%, 비타민 B2 0.005~0.01중량%, 카스타드향 0.03~0.1중량%, 버트향 0.04~0.15중량%, 바닐린 0.3~0.5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내용물을 투입한 다음 틀의 양쪽을 서로 닫아주는 단계(S240)가 진행되는데, 이때 닫아주는 단계(S240)는 틀의 한쪽은 고정된 상태로 나머지 한쪽을 이동시키거나, 틀의 양쪽을 서로 이동시켜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닫아줄 수 있다.
넣는 단계(S200)는 서로 닫아주는 단계(S240) 이전에 외피 반죽물에 마늘 후레이크를 넣는 단계(미도시)를 진행할 수 있는데, 마늘로 이용하여 후레이크를 제조한 마늘 후레이크를 틀의 양쪽을 서로 닫아주기 전에 올려줄 수 있다.
여기서 마늘 후레이크는, 마늘을 깨끗이 씻어 최대한 얇게 편으로 썰어 물기를 제거한 후 기름에 고온으로 튀겨 낼 수 있다. 마늘 후레이크는 내용물과 함께 투입됨으로써, 마늘빵의 바삭한 씹힘성을 제공하면서 부드러운 식감을 줄 수 있어 마늘빵의 품질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늘 후레이크를 넣는 단계(미도시)는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S230)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데, 마늘 후레이크 마늘 후레이크는 빵 틀의 안쪽 내용물과 함께 넣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늘 후레이크를 넣는 단계(미도시)는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S23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는데 외피반죽물 위에 얹혀진 내용물 위에 마늘 후레이크를 뿌려준 뒤 틀의 양쪽을 서로 닫아줄 수 있다(S240).
이 후 도 1에서 설명한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S300)가 진행되기 위해 가열로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본 실시 예에 마늘빵에 따르면, 마늘의 외형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늘맛과 향이 가미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마늘빵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0 :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
S110 : 숙성시키는 단계
S200 : 성형기에 넣는 단계
S210 : 마늘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S220 : 외피 반죽물을 넣는 단계
S230 :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
S240 : 닫아주는 단계
S300 :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
S400 : 포장하는 단계

Claims (11)

  1. 마늘빵의 외피재료를 혼합하여 외피 반죽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외피 반죽물을 마늘빵으로 성형하기 위해 성형기에 넣는 단계;
    상기 성형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구워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빵을 기 설정된 양만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외피 반죽물을 기 설정된 온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밀가루 190~210g, 설탕 57~63g, 소금 0.95~1.05g, 베이킹파우더 57~63g, 달걀 47.5~52.2g, 우유 93.59~103.45g, 버터 28.5~31.5g, 바닐라향 14.25~15.75g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사과추출물 5.5~9.5g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넣는 단계는,
    마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틀로 이루어진 성형기에 상기 외피 반죽물을 넣어 마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넣는 단계는,
    상기 틀의 한쪽에 마늘을 갈아 기 설정된 시간동안 건조시킨 마늘 가루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틀의 양쪽에 기 설정된 양만큼 상기 외피 반죽물을 넣는 단계;
    상기 외피 반죽물에 기 설정된 양만큼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틀의 양쪽을 서로 닫아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팥 180~230g, 연유 22~28g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슈크림 180~230g, 연유 22~28g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빵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기를 120℃ 내지 130℃에서 2 내지 3분 동안 구워 마늘빵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하는 단계는,
    상기 마늘빵을 마늘 형상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PE)에 넣어 진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빵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마늘빵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KR1020140133437A 2014-10-02 2014-10-02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KR10168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37A KR101685762B1 (ko) 2014-10-02 2014-10-02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37A KR101685762B1 (ko) 2014-10-02 2014-10-02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06A true KR20160040006A (ko) 2016-04-12
KR101685762B1 KR101685762B1 (ko) 2016-12-12

Family

ID=5580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437A KR101685762B1 (ko) 2014-10-02 2014-10-02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693B1 (ko) 2020-08-31 2021-09-09 농협회사법인 생제비공동체(주)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KR102346733B1 (ko) 2021-03-19 2022-01-04 홍현주 마늘 빵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049B1 (ko) 2003-03-21 2006-04-28 남두현 붕어빵 외피용 밀가루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00115836A (ko) 2009-04-21 2010-10-29 배기석 붕어빵 외피용 생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0959A (ko) * 2009-07-27 2011-02-08 이동열 건강 기능성 산삼 배양근 호두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42289B1 (ko) * 2011-08-05 2012-05-07 (주)서해테크 사과빵의 제조방법
KR20130008938A (ko) * 2011-07-13 2013-01-23 고광철 오디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2206A (ko) * 2011-12-03 2013-06-12 윤기용 감귤과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049B1 (ko) 2003-03-21 2006-04-28 남두현 붕어빵 외피용 밀가루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00115836A (ko) 2009-04-21 2010-10-29 배기석 붕어빵 외피용 생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0959A (ko) * 2009-07-27 2011-02-08 이동열 건강 기능성 산삼 배양근 호두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8938A (ko) * 2011-07-13 2013-01-23 고광철 오디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2289B1 (ko) * 2011-08-05 2012-05-07 (주)서해테크 사과빵의 제조방법
KR20130062206A (ko) * 2011-12-03 2013-06-12 윤기용 감귤과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762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529B1 (ko) 사과빵의 제조방법
CN105310004A (zh) 马铃薯雪媚娘及其制备方法
CN101288460A (zh) 一种香菇泡芙
KR101724664B1 (ko) 고구마 앙금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762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늘빵
KR20100110471A (ko) 과일 슬라이스 및 과일 퓨레를 함유하는 과일 빵류 및 그 제조방법
CN104542869A (zh) 油炸鸡枞云腿月饼及其制作方法
KR20150128249A (ko) 현미누룽지 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1682280B1 (ko) 인삼 파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810463A (zh) 一种青稞低糖酥皮月饼及其制作方法
KR101963498B1 (ko) 파스타치오와 고구마 및 치즈 찐빵의 제조방법
CN102228068B (zh) 魔芋保健葱花烙饼及其制备方法
KR101393488B1 (ko) 진피반죽 제조방법 및 진피반죽으로 만든 진피쿠키와 진피빵
KR20170011921A (ko) 곡물이 함유된 마카롱의 제조방법
KR101477987B1 (ko) 호떡 및 호떡의 제조방법
CN104585676A (zh) 一种烤地瓜风味食品的制作工艺
CN107439645A (zh) 一种风味红稗营养馅饼
KR100881433B1 (ko) 두부 스낵 제조방법
CN106332935A (zh) 一种玫瑰软香酥生产方法
KR20140097819A (ko) 닭국수 제조방법
CN104686617A (zh) 抹茶味花生饼干的制备方法
KR20140107005A (ko) 틀에 구운 영양밥의 제조방법
KR20190114159A (ko) 꽃게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92048B1 (ko) 어육과 보리분말을 이용한 향기나는 굴비빵의 제조방법
CN1659979A (zh) 一种方便型烩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