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96A -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및 동기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및 동기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96A
KR20160035996A KR1020150134698A KR20150134698A KR20160035996A KR 20160035996 A KR20160035996 A KR 20160035996A KR 1020150134698 A KR1020150134698 A KR 1020150134698A KR 20150134698 A KR20150134698 A KR 20150134698A KR 20160035996 A KR20160035996 A KR 2016003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s
photographing
camera
synchronou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다나카
가즈아키 하기와라
가즈야 나라
도시야 기소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04N5/067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N5/073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for mutually locking plural sources of synchronising signals, e.g. studios or relay stations
    • H04N5/0733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for mutually locking plural sources of synchronising signals, e.g. studios or relay stations for distributing synchronisation pulses to different TV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225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친기 카메라, 다른 카메라가 자기 카메라로 되고, 상기 친기 카메라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사이에서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지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및 동기 촬영 방법{SYNCHRONOUS PHOTOGRAPHING SYSTEM, OPERATION TERMINAL. AND SYNCHRONOUS PHOTOGRAPHING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한 동기한 촬영을 제어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동기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를 취하여 촬영하는 동기 촬영이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동기 촬영은 앵글 전환이나 합성 편집 등을 목적으로 하여, 다(多) 시점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을 연동해서 재생시키기 위해 실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촬영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GPS 신호에 의거하여 기준 시각을 동기하는 촬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225826호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 각 카메라에 있어서 각종 설정을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복수대의 카메라에 의해서 동기 촬영을 실행함에 있어서, 유저에 있어서의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동기 촬영에 이용하는 카메라의 수가 증가할수록 현저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친기(親機) 카메라, 다른 카메라가 자기(子機) 카메라로 되고, 상기 친기 카메라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사이에서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지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조작 단말로서,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출력부와, 복수의 카메라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와, 제어부로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부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취득한 각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유저 조작에 따라 동기 촬영에 참가시키는 복수의 카메라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카메라에 의한 동기 촬영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동기 촬영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를 친기 카메라, 다른 카메라를 자기 카메라로 설정하고, 상기 친기 카메라에 있어서,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사이에서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조작 단말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복수의 카메라에 지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동기 촬영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동기 촬영 방법으로서,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상기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작 단말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특정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상기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된 카메라 이외의 다른 카메라와 상기 조작 단말이 무선 통신의 스테이션으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 중, 촬상 동기 제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장치에 의한 프로파일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설정 처리 후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미지도이다.
도 8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에 의한 카메라 선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카메라 선택 처리에 있어서의 촬상 제어 장치에 표시되는 촬상 장치의 일람 표시의 이미지도이다.
도 10은 카메라 선택 처리에 있어서의 촬상 제어 장치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의 화면예의 이미지도이다.
도 11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촬영 조건 설정 처리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 설정 화면의 접수 화면예의 이미지도이다.
도 13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동기 통신 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동기 통신 개시 처리에 있어서, 촬상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예의 이미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테스트 셔터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본 셔터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 중,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의한 화상 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제어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촬상 제어 장치(1)와, 촬상 장치(2a∼2n)로 구성된다. 촬상 장치(2a∼2n)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단지 「촬상 장치(2)」로 하는 경우가 있다.
촬상 제어 장치(1)와 촬상 장치(2)는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 혹은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통신에 의해서, 상호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촬상 장치(2)는 친기의 촬상 장치(2)와 자기의 촬상 장치(2)로 되도록 설정된다.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의 촬상 개시 신호는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된다. 친기의 촬상 장치(2)가 수신한 촬상 개시 신호는 친기의 촬상 장치(2)로부터 자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된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촬상 제어 장치(1)는 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로서 구성되며, 촬상 장치(2)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제어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촬상부(16)와, 센서부(17)와, 입력부(18)와, 출력부(19)와, 기억부(20)와, 통신부(21)와, 드라이브(22)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장치(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1)와, ROM(Read Only Memory)(32)과, RAM(Random Access Memory)(33)과, 버스(3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35)와, 촬상부(36)와, 센서부(37)와, 입력부(38)와, 출력부(39)와, 기억부(40)와, 통신부(41)와, 드라이브(4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는 각각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촬상 제어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촬상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갖는 부분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20)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CPU(11)는 후술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촬상 동기 제어 처리를 실행하거나 한다.
CPU(11),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은 제어부를 구성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센서부(17), 입력부(18), 출력부(19), 기억부(20), 통신부(21) 및 드라이브(22)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16)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및 조리개부나 셔터부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에는 또, 초점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나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DC 모터 등의 제어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 광학 렌즈부에는 필요에 따라,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마련된다.
피사체의 줌의 조정은 DC 모터가 줌 렌즈의 위치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초점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촬영 대상의 화각을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일정시간 축적하고, 축적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해서 AFE에 순차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해,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센서부(17)는 온도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및 지축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8)는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유저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나 음성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19)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20)는 하드 디스크 혹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21)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2)에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30)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2)에 의해서 리무버블 미디어(30)로부터 읽어내어진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20)에 인스톨된다. 또, 리무버블 미디어(30)는 기억부(2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20)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기능적 구성]
도 3은 이러한 촬상 제어 시스템(100)의 기능적 구성 중, 촬상 동기 제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촬상 동기 제어 처리는 복수의 촬상 장치(2)에 있어서, 촬상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촬상까지의 기체간의 오차를 조정하여 동기 촬영을 실현하도록, 촬상 제어 장치(1)에 의해 제어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상 동기 제어 처리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제어 장치(1)의 CPU(1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71)와, 카메라 선택 처리부(72)와,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와,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와, 테스트 셔터 처리부(75)와, 본 셔터 처리부(76)와, 촬영후 처리부(77)와, 화상 표시 처리부(78)가 기능한다.
또, 촬상 장치(2)의 CPU(31)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와,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92)와,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와,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와, 테스트 셔터 처리부(95)와, 본 셔터 처리부(96)가 기능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71)는 촬상 장치(2) 중, 친기의 촬상 장치(2)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을 접수하여 통신부(21)를 통해 친기의 촬상 장치(2)와 접속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촬상 장치(2) 중에서, 동기 촬영에 참가 가능한(프로파일 화상 설정 처리 및 무선 통신 설정 처리가 실행된) 촬상 장치(2)를 일람 표시하고, 유저의 선택을 접수하여, 촬상 동기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2)를 등록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는 각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을 취득하여 표시하고, 유저의 촬영 조건의 설정을 접수한다.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는 접수한 촬영 조건을 친기의 촬상 장치(2)를 통해 각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여기서, 접수하는 촬영 조건 설정은 각 촬상 장치(2)마다 다른 설정값이 설정되는 경우와, 각 촬상 장치(2)에 공통하는 촬영 조건 설정의 값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촬영 조건 설정은 그 촬영 조건마다, 다른 설정값을 정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과, 다른 설정값을 정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공통된 설정값이 설정되는 것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촬상 장치(2)에 공통하는 설정값은 디폴트에서는 친기의 촬상 장치(2)의 설정값이 반영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NTP(Network Time Protocol)의 원리를 이용하고 친기의 촬상 장치(2)에 동기 통신 개시의 지시를 송신하고, 친기의 촬상 장치(2)에 각 촬상 장치(2)의 통신의 전파 지연에 수반하는 시간차(타임 스탬프의 시간차)를 산출시키는 동시에, 각 촬상 장치(2)의 시각 맞춤을 실행한다.
또한, 각 촬상 장치(2)의 시각 맞춤은 동기 통신 개시 처리 당초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간격마다 정기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정기적으로 시각 맞춤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예정되어 있던 화상의 데이터가 모두 취득될 때까지(본 동작이 실행될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되어도 좋다.
또,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각 촬상 장치(2)의 폴더 구성의 정보를 취득하여, 각 촬상 장치(2)에 공통된 폴더명을 결정하고, 각 촬상 장치(2)에 공통된 명칭의 폴더를 작성하도록 폴더의 작성 지시를 송신한다.
상세하게는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다른 번호를 포함하는 폴더명 또는 파일명에 의해 복수의 촬영 화상을 식별해서 관리되는 복수의 촬상 장치(2) 각각에 대해, 단독으로 촬영을 실행해서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마지막에 기록했을 때에 이용한 번호에 대해 소정 수를 더한 번호를 새로이 기록하는 촬영 화상의 폴더명 또는 파일명에 부가해서 기록시키는 관리를 실행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 동기한 촬영을 실행한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이 마지막에 기록했을 때에 이용한 번호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복수의 번호 중에서 최대의 번호를 특정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이 특정한 번호에 대해 소정 수를 더한 번호를, 이 동기한 촬영에 의해 각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기록할 때의 폴더명 또는 파일명에 부가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스텝 S97에 있어서 취득한 각 촬상 장치(2)의 폴더명의 숫자 중, 가장 큰 숫자를 특정한다. 그리고,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특정한 가장 큰 숫자에 1을 가산한 숫자 및 동기 촬영에 의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텍스트로부터 폴더명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각 촬상 장치의 폴더명의 숫자 중 100이 가장 큰 숫자이면, 「101_sync」라는 폴더명을 결정해서 지시한다.
또한,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의 작성을 지시하는 폴더는 동기한 촬영을 실행할 때마다 작성하도록 지시를 실행하며, 복수의 촬상 장치(2)에 공통하는 폴더명의 폴더가 작성된다. 그리고,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의 작성을 지시하는 폴더에는 동기 촬영을 실행한 파일이 보존되고, 보존되는 파일은 동일한 타이밍에서 촬영한 촬영 화상끼리를 동일한 파일명으로 해서 보존된다.
이와 같이 작성된 공통된 명칭의 폴더는 각 촬상 장치(2)마다 보존되는 화상의 데이터에 대해 동기 촬영에 의한 것인 것을 특정할 수 있고, 후술하는 화상 표시 처리에 있어서는 공통된 명칭의 폴더에 의거해서 동기 촬영에 의한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촬상 제어 장치(1)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75)는 유저에 의한 테스트 셔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주변 환경의 촬영에 적합한 촬영 조건 설정이 되도록 기구부의 구동을 미리 실행하도록, 각 촬상 장치(2)에 촬영 준비 지시를 송신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본 셔터 처리부(76)는 유저에 의한 본 셔터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에 있어서 산출한 타임 스탬프의 시간차 및 클럭 어긋남에 의거하여, 동기해서 촬영되도록 촬영 지시를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후 처리부(77)는 유저에 의한 촬상 장치(2)의 선택을 접수하고, 동기 촬영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촬영된 화상을 표시한다.
촬상 제어 장치(1)의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폴더명에 의거하여 동기 촬영의 화상을 취득하고, 동일한 동기 촬영에 의해 보존된 각 촬상 장치(2)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촬상 장치(2)의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미리 준비한 디폴트의 프로파일 화상 후보 또는 유저가 촬영한 임의의 화상을 프로파일 화상으로서 접수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화상은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2) 중, 어느 촬상 장치(2)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기능을 나타내는 화상을 말한다. 프로파일 화상이 촬상 제어 장치(1)에 표시되는 것에 의해, 표시된 촬상 장치(2)가 어디에 배치된 촬상 장치(2)인지, 어떠한 역할의 촬상 장치(2)인지를 직감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촬상 장치(2)의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92)는 등록하는 친자 관계에 의거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통신부(41)를 통해 촬상 제어 장치(1) 또는 다른 촬상 장치(2)에 접속한다.
여기서, 친자 관계는 촬상 제어 장치(1)와의 직접 접속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관계를 말한다. 친기는 촬상 제어 장치(1)와 직접 접속하는 촬상 장치(2)이고, 자기는 촬상 제어 장치(1)와 직접 접속하지 않고 친기로부터(친기를 통해)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는 촬상 장치(2)이다.
예를 들면,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 친기의 촬상 장치(2)에 동기 촬영의 설정 지시를 송신하고, 친기의 촬상 장치(2)는 동기 촬영의 설정 지시에 의거하여 설정을 등록하는 동시에, 자기의 촬상 장치(2)에 동기 촬영의 설정 지시를 송신한다. 자기의 촬상 장치(2)는 친기의 촬상 장치(2)로부터 수신한 동기 촬영의 설정 지시에 의거하여, 설정을 등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친기로서 설정하는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로 되는 「Access Point 모드」를 말하고, 자기로서 설정하는 모드는 스테이션으로 되는 「Station 모드」를 말한다. 즉, 친기의 촬상 장치(2)가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자기의 촬상 장치(2) 및 촬상 제어 장치(1)가 스테이션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 직접 각 촬상 장치(2)에 접속해도 좋지만, 촬상 제어 장치(1)와 촬상 장치(2)의 사이의 통신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촬상 제어 장치(1)는 각 촬상 장치(2) 중, 친기의 촬상 장치(2)에만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촬상 장치(2)에, 친자 관계를 등록할 때에, 해당 촬상 장치(2)에 다른 촬상 장치(2)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일람 표시하여, 해당 촬상 장치(2) 및 다른 촬상 장치(2) 중 어느 하나의 촬상 장치(2)를 친기(액세스 포인트)로서 선택시켜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2)에 표시되는 액세스 포인트에는 동기 촬영과는 관계가 없는 단말에 대해서도 선택지로서 나타나 있지만, 촬상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71)에 있어서, 동기 촬영이 개시된 후에는 촬상 장치(2)에 있어서의 일람 표시시에는 동기 촬영에 관계없는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는 표시시키지 않도록 해도 좋다.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촬상 제어 장치(1) 또는 친기의 촬상 장치(2)로부터 촬영 조건 설정을 수신하고, 촬영 조건 설정을 등록한다.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친기의 촬상 장치(2)와 자기의 촬상 장치(2)의 사이에 있어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것에 의해, 패킷의 송수신시의 타임 스탬프의 시간차를 산출한다. 또,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각 촬상 장치(2)의 시각을 맞추는 것에 의해, 타이밍 제어부를 동기한다.
또,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촬상 제어 장치(1) 또는 친기의 촬상 장치(2)로부터 수신한 폴더의 작성 지시에 의거하여, 폴더를 작성한다.
촬상 장치(2)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주변 환경을 계측하는 것에 의해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한 촬영 조건이 되도록 기구부를 구동하여, 노광 직전까지의 촬영 시퀀스를 실행한다.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에 있어서 산출한 타임 스탬프의 시간차 및 클럭 어긋남에 의거하여, 동기해서 촬영되도록 촬상 제어 장치(1)에 있어서 작성된 촬영 지시에 의해,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셔터 처리부(76)는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를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가 작성한 폴더에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동작]
도 4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촬상 동기 제어 처리는 유저에 의한 입력부(18)에의 촬상 동기 제어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된다.
스텝 S1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프로파일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파일 설정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71) 및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92)는 무선 통신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무선 통신 설정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카메라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 카메라 선택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 및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촬영 조건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 및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동기 통신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동기 통신 개시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테스트 셔터 처리부(75) 및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테스트 셔터 처리를 실행한다. 테스트 셔터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본 셔터 처리부(76) 및 본 셔터 처리부(96)는 본 셔터 처리를 실행한다. 본 셔터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촬영 후 처리부(77)는 촬영 후 처리를 실행한다. 촬영 후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9에 있어서,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화상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표시 처리의 상세한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는 종료한다.
도 5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장치(2)에 의한 프로파일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1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미리 준비되어 있는 디폴트의 카메라 식별용 프로파일 화상 후보 및 임의의 화상 선택 아이콘을 일람 표시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일람 표시한 프로파일 화상 후보의 선택 또는 화상 선택 아이콘의 선택을 접수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접수한 선택이 화상 선택 아이콘인지를 판정한다.
화상 선택 아이콘인 경우, 스텝 S13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4로 이행한다.
한편, 화상 선택 아이콘이 아닌 경우, 스텝 S13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5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유저가 촬영한(또는 준비한) 임의의 화상을 접수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프로파일 설정 처리부(91)는 스텝 S11에 있어서 유저가 선택한 프로파일 화상 후보 또는 스텝 S14에 있어서 접수한 임의의 화상을, 프로파일 화상으로서 기억부(40)에 기억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도 6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무선 통신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31에 있어서, 촬상 장치(2) 중, 친기로서 등록하는 촬상 장치(2)의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92)는 WiFi를 Access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기동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촬상 장치(2) 중, 자기로서 등록하는 촬상 장치(2)의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92)는 WiFi를 Station 모드로 설정하고, Access Point를 선택해서 기동한다.
스텝 S31의 친기의 기동 후 및 스텝 S32의 자기의 기동 후, 각각의 촬상 장치(2)가 어느 모드에서 접속하는지를 나타내는 도 7과 같은 이미지를 출력부(19)에 표시시킨다. 도 7은 촬상 장치(2)에 있어서 무선 통신 설정 처리 후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미지도이다. 도 7의 (a)는 친기로서 등록된 촬상 장치(2)가 스텝 S31의 처리 후에 표시되는 이미지예이며, 촬상 제어 장치(1)나 자기의 촬상 장치(2)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나 텍스트가 표시된다. 도 7의 (b)는 자기로서 등록된 촬상 장치(2)가 스텝 S32의 처리 후에 표시되는 이미지예이며, 촬상 제어 장치(1)나 친기의 촬상 장치(2)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나 텍스트가 표시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 설정 처리부(71)는 WiFi를 Station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Access Point 모드를 선택해서 기동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도 8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에 의한 카메라 선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51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기기 중에서, 동기 촬영에 참가 가능한 촬상 장치(2)로부터 프로파일 화상의 정보를 취득해서 일람 표시한다.
스텝 S51에 있어서 일람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는 스텝 S51에 있어서의 일람 표시의 이미지도이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51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프로파일 화상이 촬상 제어 장치(1)에 표시된다. 또한, 각 촬상 장치(2)에 있어서는 도 9의 (b)와 같이, 무선 통신 중인 것이 표시된다.
스텝 S52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조작을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조작은 예를 들면, 프로파일 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이다.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조작을 접수한 경우, 스텝 S52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53으로 이행한다.
한편,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조작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52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56으로 이행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조작(프로파일 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2)로부터 라이브 뷰 화상을 취득해서 프로파일 화상 대신에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킨다.
스텝 S53에 있어서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의 화면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은 스텝 S53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 화면예의 이미지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53에 있어서는 프로파일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프레임 V1에, 프로파일 화상 대신에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프로파일 화상의 프레임의 아래에는 후술하는 스텝 S54에서 판정되는 라이브 뷰 화상의 줌을 변경시키는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 ZB가 설치되어 있다.
스텝 S54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라이브 뷰 화상의 줌을 변경시키는 조작을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라이브 뷰 화상의 줌을 변경시키는 조작은 예를 들면, 각 프로파일 화상에 마련된 조작부 ZB에 대해 실행되는 슬라이드 조작이다.
라이브 뷰의 줌을 변경시키는 조작을 접수한 경우, 스텝 S54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55로 이행한다.
한편, 라이브 뷰의 줌을 변경시키는 조작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54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56으로 이행한다.
스텝 S56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동기 촬영에 참가시키는 카메라의 프로파일 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을 접수한다.
스텝 S57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카메라 선택을 결정하는 조작을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선택을 결정하는 조작을 접수한 경우, 스텝 S57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58로 이행한다.
한편, 카메라 선택을 결정하는 조작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57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52로 이행하며, 카메라 선택 처리는 반복된다.
스텝 S58에 있어서,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선택된 프로파일 화상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2)를 등록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도 11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촬영 조건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71에 있어서, 자기의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촬영 조건 설정을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스텝 S72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수신한 자기의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 및 친기의 촬영 조건 설정을 촬상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스텝 S73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는 수신한 각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을 표시한다.
스텝 S74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는 1대의 촬상 장치(2) 또는 모든 촬상 장치(2)를 설정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동기 촬영시의 촬영 조건 설정을 접수한다.
동기 촬영시의 촬영 조건 설정은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입력 화면에 의해 접수한다. 도 12는 스텝 S74에 있어서의 촬영 조건 설정의 접수 화면예의 이미지도이다. 도 12의 (a)에 있어서는 단사·고속 연사·동화상 등의 촬영 모드의 선택을 접수하고, 도 12의 (b)에 있어서는 셔터 스피드·ISO 감도·EV 시프트·플래시 등을 설정한다.
촬영 조건 설정을 실행할 때에는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친기의 촬상 장치(2) 등의 임의의 촬상 장치(2)에 촬영 조건 설정을 맞추도록 설정하는 선택부를 마련해도 좋다.
스텝 S75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73)는 1대의 카메라 또는 모든 카메라를 설정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동기 촬영시의 촬영 조건 설정을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스텝 S76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수신한 동기 촬영시의 촬영 조건 설정을 지정된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스텝 S77에 있어서,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수신한 동기 촬영시의 촬영 조건 설정을 등록한다. 그 후, 동기 촬영 처리로 되돌린다.
도 13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동기 통신 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91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친기의 촬상 장치(2)에 동기 통신 개시의 지시를 송신한다.
또한,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스텝 S98에 있어서의 동기 완료 통지를 수신할 때까지는 동기 통신중인 취지의 도 14와 같은 표시를 해도 좋다. 도 14는 스텝 S91의 처리에서 스텝 S98의 처리에 이르기까지 촬상 제어 장치(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미지도이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촬상 제어 장치(1)에 있어서는 동기 통신을 캔슬하지 않는 한, 다른 조작이 제한되는 동시에, 동기 완료까지의 예측 시간이 카운트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스텝 S92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자기의 촬상 장치(2)에 동기 패킷을 송신한다.
스텝 S93에 있어서, 자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응답 패킷을 회신한다.
스텝 S94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자기의 촬상 장치(2)로부터 수신한 응답 패킷의 수신 시간에 의거해서 타임 스탬프의 시간차 및 촬영 중의 클럭 어긋남을 산출한다.
스텝 S95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스텝 S94에 있어서 산출된 시간차가 아닌) 각 촬상 장치(2)의 타이밍 제어부를 동기하는 지시를 자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타이밍 제어부를 동기하는 지시를 수신한 자기의 촬상 장치(2)는 타이밍 제어부를 동기하는 지시에 의거하여, 동일 시각이 되도록 타이밍 제어부를 동기한다. 또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동기되는 타이밍 제어부를, 촬영 타이밍의 어긋남이 소정 정밀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1/100초 이하의 정밀도의 시각을 맞춘다. 동일 시각이 되도록 타이밍 제어부를 동기할 때에는 친기의 촬상 장치(2)를 기준으로 해서 동기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도 15의 (a)와 같이, 각 촬상 장치(2)마다 어긋나 있던 타이밍 제어부의 시각을 도 15의 (b)와 같이 동일 시각이 되도록 동기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스텝 S97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각 촬상 장치(2)의 기억부(40) 또는 리무버블 미디어(51)의 폴더 구성의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98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취득한 폴더 구성에 중복되지 않는 폴더명을 결정하여, 친기의 촬상 장치(2)를 통해 각 촬상 장치(2)에 폴더의 작성 지시를 송신한다. 각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수신한 폴더의 작성 지시에 의거하여, 각 촬상 장치(2)에 공통하는 폴더명의 폴더를 작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에 의해 작성하는 폴더는 스텝 S97에 있어서 취득한 각 촬상 장치(2)의 폴더명의 숫자 중, 가장 큰 숫자를 특정한다. 그리고,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특정한 가장 큰 숫자에 1을 가산한 숫자 및 동기 촬영에 의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텍스트로부터 폴더명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촬상 제어 장치(1)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각 촬상 장치의 폴더명의 숫자 중, 100이 가장 큰 숫자이면, 「101_sync」라는 폴더명을 결정해서 지시한다.
또한, 모든 카메라에서 공통의 폴더명을 지시하는 것 이외에, 「101_sync_CameraA」, 「101_sync_CameraB」와 같이, 동기 촬영에 공통하는 문자열 부분(번호 부분)과, 각 카메라를 식별하는 문자열 부분을 연결한 폴더명을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파일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모든 카메라에서 공통의 파일명을 지시하는 것 이외에, 동기 촬영에 공통하는 문자열 부분(번호 부분)과, 각 카메라를 식별하는 문자열 부분을 연결한 파일명을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98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동기가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기가 완료한 경우에는 스텝 S98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00으로 진행한다.
동기가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98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99로 진행한다.
스텝 S99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99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92로 되롤린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99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99로 되롤린다.
스텝 S100에 있어서, 친기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94)는 촬상 제어 장치(1)에 동기 완료를 통지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도 16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테스트 셔터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75)는 테스트 셔터 조작을 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테스트 셔터 조작을 한 경우에는 스텝 S101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한다.
테스트 셔터 조작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1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01로 되롤린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75)는 친기의 촬상 장치(2) 및 친기의 촬상 장치(2)를 통해 자기의 촬상 장치(2)에 대해, 테스트 셔터 처리를 지시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촬상 장치(2)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피사체의 상태 등의 주변 환경을 계측하는 것에 의해 촬영 조건 설정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주변 환경을 센서부(37)에 의해 계측하여, 피사체의 상태 등의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는 AF 기능, AE 기능 및 AWB 등의 촬영 조건 설정에 대해 설정값을 결정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촬상 장치(2)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스텝 S103에 있어서 결정한 촬영 조건 설정이 되도록 기구부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스텝 S103에서 결정한 설정값에 의거하여, 렌즈의 동작이나 센서의 구동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스텝 S104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촬상 장치(2)나 주변 환경마다 다른 렌즈의 동작이나 센서의 구동 등의 기구부의 구동의 차이에 의한 촬영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의 어긋남을 본 셔터 처리에 있어서 감소시킬 수 있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5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대기 상태로 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105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동화상을 촬영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파일을 작성하고, 파일을 오픈해서 촬영의 준비를 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자기의 촬상 장치(2)의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촬영 준비의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도 15의 (c)와 같이, 테스트 셔터에서 촬영 가능 타이밍까지 각 촬상 장치(2)의 발생하는 어긋남을 미리 조정해 두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본 셔터 처리에 있어서, 기구부의 구동이나 파일의 오픈 등에 의한 촬영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7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본 셔터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31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본 셔터 처리부(76)는 본 셔터 조작을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셔터 조작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1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대기 상태로 된다.
본 셔터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131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32로 진행한다.
스텝 S132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본 셔터 처리부(76)는 본 셔터 처리의 지시를 친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스텝 S133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동기 통신 개시 처리의 스텝 S94에 있어서 결정한 타임 스탬프의 시간차에 의거해서 촬영 예정 시각을 결정한다.
스텝 S134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촬영 예정 시각의 타임 스탬프를 송신한다.
스텝 S135에 있어서, 자기의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수신한 촬영 예정 시각의 타임 스탬프에 자기의 시간차를 더해서 자기의 촬영 시각을 결정한다.
스텝 S136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자기의 촬영 시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기의 촬영 시각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136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36으로 되돌린다.
자기의 촬영 시각인 경우에는 스텝 S136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37로 진행한다.
스텝 S137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촬영을 실행해서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동기 통신 개시 처리의 스텝 S97에 있어서 작성한 폴더에 화상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촬영 모드가 동영상 촬영인 경우에는 친기의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소정의 시간을 경과할 때마다, 동기 통신 개시 처리의 스텝 S94에 있어서 산출한 클럭 어긋남에 의거해서, 제일 동작이 느린(클럭 주기의 간격이 큰) 촬상 장치(2)에 맞도록 클럭 보정 지시를 자기의 촬상 장치(2)에 송신한다. 자기의 촬상 장치(2)는 수신한 클럭 보정 지시에 의거하여, 촬영 시점을 느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장치(2) 내장의 수정 진동자의 정밀도에 의해 다를 가능성이 있는 클럭 어긋남을 시정해서, 동영상 촬영 중에 생기는 동기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클럭 어긋남을 시정하는 동기 유지 동작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타이밍 제어부의 동기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보존되는 화상의 데이터에 대해, 파일명은 폴더명과 마찬가지의 명칭이 부가되어도 좋고, 연속 촬영과 같이 하나의 동기 촬영(동기 촬영용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상태에서 순차 실행한 동기 촬영)에 있어서 복수의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폴더에 보존되는 동시에, 폴더내에서 구별할 수 있도록 촬영의 전후 관계가 되도록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다른 촬상 장치(2)에 있어서 동 시기의 촬영된 파일이 명확하게 되도록 다른 촬상 장치(2)와 동일한 명칭이 부여된다. 예를 들면, 폴더명에, 촬영 회수마다 가산되는 숫자를 더한 명칭을 파일명으로 해도 좋다. 또한, 파일(화상의 데이터)에는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도 좋고, 파일명에 의해 특정된 동 시기에 촬영된 파일과, 파일에 부가된 시각 정보에 의거하여, 촬영 타이밍의 어긋남이 소정 정밀도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도 좋다.
스텝 S138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촬영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8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39로 진행한다.
촬영이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 S138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9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촬영 실패를 촬상 제어 장치(1)에 통지한다.
스텝 S140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본 셔터 처리부(96)는 촬영의 성공 여부를 일람 표시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본 셔터 처리는 도 1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임 스탬프의 시간차에 의거해서 자기의 촬영 시각이 결정되기 때문에, 통신의 전파 지연에 수반하는 시간차에 관계없이 동기해서 촬영할 수 있다.
도 15의 (d)에서는 촬영까지 실행되는 기구부의 구동이나 파일의 오픈 등의 촬영 시퀀스는 테스트 셔터 처리에 의해 이미 완료해 있기 때문에, 「8」의 타이밍보다 빨리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 시퀀스를 실행한 경우에 가장 늦게 촬영 시퀀스가 완료하는 「8」의 타이밍에 촬영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8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촬영 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61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후 처리부(77)는 촬상 장치(2)의 선택을 지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상 장치(2)의 선택을 지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1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64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4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촬상 장치(2)의 선택을 지시한 경우에는 스텝 S161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62로 진행한다.
스텝 S162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후 처리부(77)는 선택된 촬상 장치(2)로부터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163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후 처리부(77)는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화상을 표시한다.
스텝 S164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후 처리부(77)는 유저에 의한 종료 조작을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종료 조작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4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61로 되돌린다.
종료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164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65로 진행한다.
스텝 S165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촬영 후 처리부(77)는 동기 해제의 지시를 송신한다.
스텝 S166에 있어서, 각 촬상 장치(2)의 동기 통신 개시 처리부(74)는 동기를 해제한다. 그 후,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도 19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2의 촬상 제어 시스템(100)이 실행하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 중,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의한 화상 표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81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각 촬상 장치(2)의 기억부(40) 또는 리무버블 미디어(51)의 폴더 구성의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82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특정의 폴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특정의 폴더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82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특정의 폴더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82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8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83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폴더내의 동일 파일명의 화상을 취득한다.
스텝 S184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취득한 화상을 일람 표시한다.
스텝 S185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화상 표시 처리부(78)는 다음의 화상을 표시하는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의 화상을 표시하는 지시가 있던 경우에는 스텝 S185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83으로 되돌린다.
다음의 화상을 표시하는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85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촬상 동기 제어 처리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촬상 제어 장치(1)와, 복수의 촬상 장치(2)를 구비한다.
복수의 촬상 장치(2)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2) 중의 1대가 친기의 촬상 장치(2), 다른 촬상 장치(2)가 자기의 촬상 장치(2)로 되고, 친기의 촬상 장치(2)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2)의 사이에서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촬상 제어 장치(1)는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복수의 촬상 장치(2)에 지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친기의 촬상 장치(2)를 중심으로 동기 촬영의 설정을 실행하면 좋고,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촬상 제어 장치(1)와, 복수의 촬상 장치(2)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기간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2) 중의 1대가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이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된 촬상 장치(2) 이외의 다른 촬상 장치(2)와, 촬상 제어 장치(1)가 무선 통신의 스테이션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장치(2) 각각이 촬상 제어 장치(1)와 통신하지 않고, 액세스 포인트로 된 촬상 장치(2)를 통해 통신하므로 전파 지연이 생기기 어렵고, 유저는 각각의 통신 상황을 고려할 필요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친기의 촬상 장치(2)가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촬상 제어 장치(1) 및 자기의 촬상 장치(2)가 스테이션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통신의 거점으로 되는 액세스 포인트와, 설정의 중심으로 되는 친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유저는 복잡한 설정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장치(1)는 출력부(19)를 구비한다.
출력부(19)는 화면 표시를 실행한다.
촬상 제어 장치(1)는 출력부(19)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동기 촬영 가능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2)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촬상 장치(2)의 식별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동기 촬영에 참가시키는 카메라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제어 장치(1)에 있어서, 동기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2)를 간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유저는 촬상 제어 장치(1)를 보면, 동기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2)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장치(1)는 출력부(19)에 의한 화면 표시에 있어서, 친기의 촬상 장치(2)와 자기의 촬상 장치(2)를 식별해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설정의 중심으로 되는 친기의 촬상 장치(2)와 자기의 촬상 장치(2)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장치(1)는 출력부(19)에 의한 화면 표시에 있어서, 복수의 촬상 장치(2)의 각각의 식별 정보인 프로파일 화상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프로파일 화상 중에서 선택, 또는 임의로 선택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작성해서 등록한 프로파일 화상 중에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파일 화상을 보면, 직감적으로 각 촬상 장치(2)의 배치나 역할 등을 파악할 수 있고,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장치(1)는 출력부(19)에 의한 화면 표시에 있어서, 일람 표시되어 있는 프로파일 화상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 화상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2)의 라이브 뷰 화상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프로파일 화상 대신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프로파일 화상에 의해 파악되는 배치나 역할 등을 파악한 후에, 유저가 필요하다고 느꼈을 때에 실제의 촬영 화면을 라이브 뷰에 의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라이브 뷰가 표시되어 라이브 뷰를 상세하게 보지 않으면 안 되어 직감적으로 알기 어려워지는 일은 없으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2)는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를 더 구비한다.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개개의 촬상 장치(2), 또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모든 촬상 장치(2)에 일괄해서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개개의 촬상 장치(2)를 직접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설정을 할 필요는 없으며, 촬상 제어 장치(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다른 촬상 장치(2)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으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영 조건 설정 처리부(93)는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자기의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을, 친기의 촬상 장치(2)의 촬영 조건에 맞추거나, 촬상 제어 장치(1)의 조작으로 유저가 지정한 촬영 조건을 복수의 촬상 장치(2)에 설정할지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복수의 촬상 장치(2)에 공통하는 설정을 촬상 장치(2)마다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대의 촬상 장치(2)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촬상 제어 장치(1)와, 이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2)로 이루어진다.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촬상 제어 장치(1)와, 촬상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촬상 제어 장치(1)와 복수의 촬상 장치(2)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기간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2) 중의 1대가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된 촬상 장치(2) 이외의 다른 촬상 장치(2)와 촬상 제어 장치(1)가 무선 통신의 스테이션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친기의 촬상 장치(2)가 액세스 포인트가 되고, 자기의 촬상 장치(2)와 촬상 제어 장치(1)가 스테이션으로 되기 때문에, 각각 촬상 장치(2)가 촬상 제어 장치(1)와 통신하지 않고, 친기의 촬상 장치(2)를 통해 통신하므로 전파 지연이 생기기 어렵고, 유저는 각각의 통신 상황을 고려할 필요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화면 표시를 실행한다.
촬상 장치(2)의 각각은 무선 LAN에 접속할 때에,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일람 표시해서 선택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 기능을 갖는다.
촬상 제어 장치(1)는 카메라 선택 처리부(72)에 의한 화면 표시에 있어서, 동기 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최초로 액세스 포인트로 되는 촬상 장치(2)를 설정한 후, 스테이션으로 되는 촬상 장치(2)가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때에, 동기 촬영에 관계없는 기기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지로서 표시시키지 않게 한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때에, 동기 촬영에 관계없는 기기는 표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유저는 동기 촬영을 실행할 때에 동기 촬영을 실행할 수 없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일은 없어지고,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촬상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촬상 장치(2) 중의 어느 하나가 촬상 제어 장치(1)의 기능을 겸용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장치(2) 이외에 별도로 촬상 제어 장치(1)를 준비하지 않아도 동기 촬영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제어 장치(1)는 출력부(19)와 통신부(21)를 구비한다. 촬상 제어 장치(1)는 카메라 선택 처리부(72)와, 본 셔터 처리부(76)를 구비한다.
출력부(19)는 화면 표시를 실행한다.
통신부(21)는 복수의 촬상 장치(2)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카메라 선택 처리부(72)는 출력부(19)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동기 촬영 가능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2)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촬상 장치(2)의 식별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동기 촬영에 참가시키는 카메라를 선택한다.
본 셔터 처리부(76)는 유저 조작에 따라 통신부(21)에 의해 카메라 선택 처리부(72)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촬상 장치에 의한 동기 촬영의 실행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제어 장치(1)에 있어서, 동기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2)를 간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유저는 촬상 제어 장치(1)를 보면, 동기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2)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복수대의 카메라로 동기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의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테스트 셔터 처리부(95)가 노광 직전까지의 촬영 시퀀스를 실행하고, 본 셔터 처리부(96)는 이미 촬영 시퀀스가 실행되고 있지만, 촬영 시퀀스를 실행한 경우에 가장 느린 타이밍에 있어서 촬영을 실행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노광 직전까지의 촬영 시퀀스를 실행해서 실행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본 셔터 처리부(96)에 있어서, 촬영 시퀀스를 실행하고 노광 직전까지의 촬영 시퀀스의 시간의 가장 느린 촬상 장치(2)에 맞도록 촬영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테스트 셔터 처리부(95)는 노광 직전까지의 촬영 시퀀스를 실행해, 본 셔터 처리부(96)에 있어서, 촬영 시퀀스를 실행하지 않고, 또한 촬영 시퀀스에 걸리는 시간을 조정하지 않고 촬영을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미, 촬영 시퀀스를 테스트 셔터 처리시에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 시퀀스에 있어서 생기는 어긋남은 없으며, 촬영 시퀀스에 시간을 소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15의 (d) 「8」보다 빠른 타이밍에 있어서 동기해서 촬영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환언하면, 도 2나 도 3 등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촬상 제어 시스템(100)에 구비되어 있으면 좋으며,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 블록을 이용할 것인지는 특히 도 3 등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좋으며, 그들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제어 장치(1) 및 촬상 장치(2)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적 구성은 다른 기기에 구비되면 좋으며, 도 2 및 도 3 등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2) 중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친기의 촬상 장치(2))는 촬상 장치(2)의 기능적 구성에 부가해서, 촬상 제어 장치(1)의 기능적 구성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좋다. 또, 컴퓨터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좋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리무버블 미디어(30)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리무버블 미디어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 포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Blu-ray(등록상표) Disc(블루레이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2의 ROM(12)이나, 도 2의 기억부(20)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의 용어는 복수의 장치나 복수의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전체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밖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촬상 제어 장치 2; 촬상 장치
11, 31; CPU 12, 32; ROM
13, 33; RAM 14, 34; 버스
15, 35; 입출력 인터페이스 17; 촬상부
18; 입력부 19; 출력부
20; 기억부 21; 통신부
22; 드라이브 36; GSP부
37; 센서부 38; 입력부
39; 출력부 40; 기억부
41; 통신부 42; 드라이브

Claims (20)

  1.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친기 카메라, 다른 카메라가 자기 카메라로 되고,
    상기 친기 카메라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사이에서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지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특정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이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된 카메라 이외의 다른 카메라와, 상기 조작 단말이 무선 통신의 스테이션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기 카메라가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상기 조작 단말 및 상기 자기 카메라가 스테이션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동기 촬영 가능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동기 촬영에 참가시키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친기 카메라와 자기 카메라를 식별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의 식별 정보인 프로파일 화상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프로파일 화상 중에서 선택, 또는 선택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작성해서 등록한 프로파일 화상 중에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일람 표시되어 있는 프로파일 화상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 화상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라이브 뷰 화상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프로파일 화상 대신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개개의 카메라, 또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모든 카메라에 일괄해서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자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상기 친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맞추거나, 상기 조작 단말의 조작으로 유저가 지정한 촬영 조건을 복수의 카메라로 설정할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10.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동기 촬영 시스템으로서,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상기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작 단말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특정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상기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된 카메라 이외의 다른 카메라와 상기 조작 단말이 무선 통신의 스테이션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의 각각은 무선 LAN에 접속할 때에,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일람 표시해서 선택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 기능을 갖고,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동기 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최초로 액세스 포인트로 되는 카메라를 설정한 후, 스테이션으로 되는 카메라가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때에, 동기 촬영에 관계없는 기기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지로서 표시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조작 단말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조작 단말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
  14.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출력부와,
    복수의 카메라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와,
    제어부로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부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취득한 각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유저 조작에 따라 동기 촬영에 참가시키는 복수의 카메라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카메라에 의한 동기 촬영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친기 카메라, 다른 카메라가 자기 카메라로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친기 카메라와 자기 카메라를 식별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단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의 식별 정보인 프로파일 화상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프로파일 화상 중에서 선택, 또는 선택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작성해서 등록한 프로파일 화상 중에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일람 표시되어 있는 프로파일 화상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 화상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라이브 뷰 화상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프로파일 화상 대신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단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 의해, 개개의 카메라, 또는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모든 카메라에 일괄해서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단말.
  19.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동기 촬영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동기 촬영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를 친기 카메라, 다른 카메라를 자기 카메라로 설정하고,
    상기 친기 카메라에 있어서,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사이에서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조작 단말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을 복수의 카메라에 지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방법.
  20.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기한 촬영을 실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동기 촬영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동기 촬영 방법으로서,
    촬영 조작을 실행하는 상기 조작 단말과, 이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작 단말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특정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기 촬영에 참가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의 1대가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되고, 상기 무선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 된 카메라 이외의 다른 카메라와 상기 조작 단말이 무선 통신의 스테이션으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촬영 방법.
KR1020150134698A 2014-09-24 2015-09-23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및 동기 촬영 방법 KR20160035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4439A JP6060953B2 (ja) 2014-09-24 2014-09-24 同期撮影システム、操作端末、同期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194439 2014-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96A true KR20160035996A (ko) 2016-04-01

Family

ID=5552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698A KR20160035996A (ko) 2014-09-24 2015-09-23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및 동기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60088209A1 (ko)
JP (1) JP6060953B2 (ko)
KR (1) KR20160035996A (ko)
CN (1) CN1054509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6741B2 (ja) * 2016-09-05 2020-10-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45261A1 (zh) * 2017-02-08 2018-08-1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多功能相机及其控制方法、穿戴设备、云台、飞行器
CN107231533B (zh) * 2017-06-12 2019-12-13 深圳市瑞立视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同步曝光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19023868A1 (zh) * 2017-07-31 2019-02-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08174119B (zh) * 2017-12-29 2020-05-12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摄像装置的控制方法、多光谱摄像设备、无人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24855B2 (ja) 2018-11-02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491083A (zh) * 2019-02-26 2021-10-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摄像机影像传输重放系统、构成该系统的摄像机及查看器
JP6891913B2 (ja) * 2019-03-25 2021-06-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11953958B (zh) * 2019-05-16 2022-08-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时延测量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1147690A (zh) * 2019-12-24 2020-05-12 浙江未来技术研究院(嘉兴) 一种多图像传感器摄像机的帧同步装置及方法
JP7483394B2 (ja) 2020-02-03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93342A1 (ja) * 2020-03-27 2021-09-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通信方法、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
WO2022160328A1 (en) * 2021-02-01 2022-08-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system for wireless synchronized capturing, and a smart device
CN114143527B (zh) * 2021-11-09 2023-05-26 长沙眸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式拍摄指令控制方法、装置、系统、电子装置和存储介质
US11778129B1 (en) * 2022-07-28 2023-10-03 Gopro, Inc. Synchronization of image capture devices prior to cap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329A1 (en) * 2001-11-08 2003-11-13 Aagaard Kenneth Joseph Video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a video system
US8949154B2 (en) * 2005-10-07 2015-02-03 Google Inc. Content feed user interface with gallery display of same-type items
JP2007235449A (ja) * 2006-02-28 2007-09-13 Olympus Imaging Corp 画像装置、画像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983729B2 (ja) * 2008-06-05 2012-07-2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撮影装置
JP5451260B2 (ja) * 2009-08-28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コマンド送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5517668B2 (ja) * 2010-02-19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3187826A (ja) * 2012-03-09 2013-09-19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US20150334258A1 (en) * 2014-04-03 2015-11-19 Olloclip, Llc Auxiliary photography systems for mobile devices
US9544492B2 (en) * 2014-07-17 2017-01-10 EYEDEAS Ltd. Camera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8209A1 (en) 2016-03-24
JP6060953B2 (ja) 2017-01-18
JP2016066898A (ja) 2016-04-28
CN105450925A (zh) 2016-03-30
US20170223252A1 (en)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5996A (ko) 동기 촬영 시스템, 조작 단말, 및 동기 촬영 방법
KR20160035997A (ko) 촬영 제어 장치, 동기 촬영 시스템, 동기 촬영 방법
JP5517668B2 (ja) 通信装置、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1389789B1 (ko) 촬상 장치, 촬상 시스템, 촬상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70013807A1 (en) Digital camera
JP2016123137A (ja) 画像通信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241467B2 (ja) 撮像装置、撮像制御装置、撮像方法、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200847A1 (en) Intelligent interface for interchangeable sensors
JP6320503B1 (ja) 撮像装置、フリッカ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36019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803868B2 (ja) 動画処理装置、動画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66900A (ja) 撮影制御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72117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system that determines a common delay time with at least one other image capture apparatus based on exposure delay times and communication delay times
JPWO2012120814A1 (ja) 撮像装置
CN107800954A (zh) 摄像控制装置、摄像装置、摄像控制方法、摄像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90394385A1 (en) Image pickup system capable of executing continuous image pickup,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5019118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512818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89205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78435A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48213B2 (en) Image sens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20107971A (ja) 撮像装置、録音装置、情報処理装置、撮像方法、録音方法、動画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07031A (ja)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16127451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03972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