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540A -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540A
KR20160028540A KR1020140116672A KR20140116672A KR20160028540A KR 20160028540 A KR20160028540 A KR 20160028540A KR 1020140116672 A KR1020140116672 A KR 1020140116672A KR 20140116672 A KR20140116672 A KR 20140116672A KR 20160028540 A KR20160028540 A KR 20160028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air mat
swash plate
ship
can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348B1 (ko
Inventor
서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장치는, 선박에 마련된 구명보트를 진수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구명보트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선박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비상시 개방되는 캐니스터; 및 평상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비상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면서 해수면을 향해 경사지게 펼쳐지는 에어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Lifeboat launching device of lifeboat using air mat}
본 발명은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는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구명보트(lifeboat)가 설치되어 있다. 구명보트는 해상에서 모선을 버리고 탈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보트로서, 일반적으로 자유낙하 방식(Free fall launching type)과 대빗 진수 방식(Davit launching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유낙하 방식은 선박의 갑판 상에 마련된 경사면에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되, 후크(hook)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선박에 체결되어, 배가 침몰하는 등과 같은 사고나 재난 시에 사람들이 구명보트로 승선한 뒤 구명보트 안에서 후크를 이탈시키게 되면 구명보트 하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모선으로부터 미끄러져 해상으로 낙하하는 방식이다.
대빗 진수 방식은 전폐형 구명보트(totally enclosed lifeboat)라고도 하며, 선박의 갑판실 양 측부에서 대빗 장치에 의해 각각 매달려 있으면서 전체 인원이 모두 탑승한 후 힌지 타입(Hinge type) 혹은 루핑 타입(Luffing type) 대빗 장치를 통해 구명보트가 해상면에 낙하하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16957호에는 구명보트를 진수 혹은 회수할 수 있는 데빗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자유낙하 방식은 자중을 이용하여 낙하하게 되므로, 입수시 구명보트 탑승자들에게 자중의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그 충격량이 고스란히 탑승자에게 전해지므로 부상을 초래할 수 있고 공포감을 증대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빗 진수 방식은 구명보트를 해상면까지 하역할 경우에는 안전하게 입수할 수는 있지만 그 속도가 느리고 윈치와 같은 대빗 장치의 작동 불능시 야기되는 문제로 인해 긴급 탈출 용도로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16957호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자유낙하 방식을 따르되 구명보트의 사출시에 사출장치의 끝단에서 수면 위로 에어메트가 비스듬히 펼쳐지도록 하여 구명보트가 에어매트 상에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입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입수시 충격을 저감시킨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매트의 경사각이 작아 구명보트가 에어매트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보트 바닥에 있는 레버를 푸쉬하여 레버의 끝단에 형성된 첨단부를 통해 에어매트에 구멍을 내어 부력을 제거함으로써 구명보트가 용이하게 탈출 가능하게 하는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마련된 구명보트를 진수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구명보트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선박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비상시 개방되는 캐니스터; 및 평상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비상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면서 해수면을 향해 경사지게 펼쳐지는 에어매트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경사판 상에서 상기 구명보트의 안착지점 전방에 이동 방지구가 돌출 높이 혹은 경사각 가변이 가능하게 돌설되어 있거나 상기 구명보트에 대한 그립 상태가 전환되는 그립 수단이 상기 구명보트의 안착지점 후방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는 내부가 빈 반구 형상으로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하부에 힌지 연결된 제1 몸체와, 내부가 빈 반구 형상으로 상기 제1 몸체의 최하점에서 힌지 연결된 제2 몸체를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제1 몸체의 개방면과 상기 제2 몸체의 개방면이 만나 결합되어 있고, 비상시에는 상기 구명보트의 탑승자에 의해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팽창 상태의 상기 에어매트의 상부 끝단은 상기 제1 몸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팽창 상태의 상기 에어매트의 하부 끝단은 상기 에어매트의 중심부분에 대해 소정 경사각을 가지도록 꺾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매트는 팽창 상태에서 최소한 하부 끝단이 해수면에 닿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매트의 길이(L)는 상기 선박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흘수선과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사이의 간격(H)과 상기 경사판의 경사각(θ)과의 관계에서
Figure pat00001
을 만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끝단이 뾰족한 첨단부로 이루어진 푸싱 레버가 상기 구명보트의 내부 선저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푸싱 레버는 걸림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없을 때에는 상기 첨단부가 상기 선저면에 형성된 보관홈 내에 위치하고 있고, 하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첨단부가 상기 선저면에서 돌출되어 선저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에어매트의 상면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상기 에어매트는 팽창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밸브가 열려 상기 에어매트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자유낙하 방식을 따르되 구명보트의 사출시에 사출장치의 끝단에서 수면 위로 에어메트가 비스듬히 펼쳐지도록 하여 구명보트가 에어매트 상에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입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입수시 충격을 저감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매트의 경사각이 작아 구명보트가 에어매트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보트 바닥에 있는 레버를 푸쉬하여 레버의 끝단에 형성된 첨단부를 통해 에어매트에 구멍을 내어 부력을 제거함으로써 구명보트가 용이하게 탈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캐니스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에어매트의 길이에 관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에어매트 부력 제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캐니스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에어매트의 길이에 관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에어매트 부력 제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선박(1), 구명보트(5), 구명보트 진수장치(10), 프레임(11), 경사판(12), 캐니스터(13), 힌지(30), 에어매트(14), 제1 몸체(21), 제2 몸체(22), 선저면(50), 푸싱 레버(60), 스프링(70), 첨단부(64), 걸림부(62), 보관홈(55)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장치(10)는 비상시에 구명보트가 경사판에서 연장되는 에어매트를 따라 해수면까지 슬라이딩하여 입수하도록 함으로써 입수충격을 저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매트의 각도가 완만하여 원활한 입수가 어려울 경우 에어매트에 데미지를 가하여 부력을 제거함으로써 구명보트가 원활히 에어매트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박(1)에 구명보트(5)가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선박(1) 이외에 해양플랜트, FPSO 등의 해양구조물에도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장치(10)는 프레임(11), 경사판(12), 캐니스터(13), 에어매트(14)를 포함한다.
프레임(11)은 선박(1)의 측부 혹은 선미 측에 설치되며, 평상시 구명보트(5)를 격납 혹은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프레임(11)의 중심에는 소정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판(12)이 선박(1)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12)의 상면에는 구명보트(5)가 안착되게 된다.
평상시 구명보트(5)가 경사판(1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구(미도시)가 구명보트(5)의 안착지점 전방에 돌설되어 있을 수 있다. 비상시에 이동 방지구는 돌출 높이가 가변되어 경사판(12) 내로 삽입되거나 경사각이 가변되어 경사판(12)에 평행하게 기울어짐으로써 구명보트(5)에 대한 지지력이 제거되어, 구명보트(5)가 자중에 의해 경사판(1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평상시 구명보트(5)를 잡아주는 그립 수단(미도시)이 안착지점 후방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비상시에 그립 수단은 구명보트(5)에 대한 그립을 해제함으로써 구명보트(5)에 대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여, 구명보트(5)가 자중에 의해 경사판(1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경사판(12) 상에는 구명보트(5)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비상시에 선박(1)이 선수측 혹은 선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구명보트(5)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박(1)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안전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경사판(12)의 출구측 하단에는 캐니스터(13)가 힌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니스터(13)는 결합에 의해 내부가 빈 구체가 되는 반구 형상의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를 포함한다.
제1 몸체(21)가 경사판(12)의 출구측 하단에 힌지(30)를 통해 연결되어 있게 되며, 제2 몸체(22)는 제1 몸체(21)의 개방면 최하점에서 힌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캐니스터(13)는 평상시 제1 몸체(21)의 개방면과 제2 몸체(22)의 개방면이 서로 만나도록 결합되어 있다. 비상시에는 구명보트 탑승자의 동작에 의해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개방면 둘레에 고정되는 안전핀(미도시)에 의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핀에는 로프가 연결되어 있어, 구명보트 탑승자가 로프를 잡아당김으로써 안전핀이 제거되도록 하면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그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캐니스터(13)의 내부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 상태의 유지 혹은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제1 몸체(21)의 개방면과 제2 몸체(22)의 개방면이 서로 만나도록 구동 수단이 동작하며, 비상시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몸체(21)의 개방면과 제2 몸체(22)의 개방면이 서로 멀어지도록 구동 수단이 동작할 수 있다.
캐니스터(13)는 결합 상태에서 그 내부공간에 압축된 에어매트(14)를 수용하고 있다.
에어매트(14)는 평상시에는 공기가 제거되어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면서 압축 상태로 있다가, 비상시에는 에어매트 팽창용 압축공기탱크의 밸브가 열려 압축공기가 에어매트(14) 내로 주입되면서 에어매트(14)가 팽창하여 해수면을 향해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압축공기탱크는 캐니스터(13) 내에 설치되어 캐니스터(13)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는 압축공기탱크는 캐니스터(13)의 외부에 설치되고, 고압호스(미도시)가 캐니스터(13) 내의 에어매트(14)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완전히 펼쳐진 에어매트(14)의 상부 끝단은 캐니스터(13)의 제1 몸체(21)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제1 몸체(21)는 경사판(12)의 출구측에 힌지(30)로 연결되어 있기에, 해수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에어매트(14)가 해수면 상에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경사판(12)에서 사출된 구명보트(5)는 에어매트(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부 끝단을 벗어나 입수하게 된다.
에어매트(14)의 형상 및/또는 길이는 구명보트(5)의 형태, 선박(1)에서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에어매트(14)는 구명보트(5)의 입수시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팽창 상태에서 하부 끝단이 중심부분과 비교할 때 소정 경사각을 가지도록 꺾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팽창 상태에서 에어매트(14)의 하부 끝단은 해수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매우 작은 경사각을 가지게 되어 구명보트(5)의 입수각을 작게 함으로써 입수면적을 넓게 하여 입수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매트(14)는 팽창 상태에서 최소한 하부 끝단이 해수면에 닿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1)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흘수선을 가정할 때, 경사판(12)의 출구측과 흘수선 사이의 간격(H)과 경사판(12)의 경사각(θ)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매트(14)의 길이(L)가 결정될 수 있다.
에어매트(14)의 경사각을 경사판(12)의 경사각보다 완만하게 하기 위해서는 에어매트(14)의 경사각이 경사판(12)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우의 에어매트(14)의 길이(Lmin)보다 그 길이를 길게 하면 된다.
따라서, 에어매트(14)의 길이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1과 같이 에어매트(14)의 길이가 결정되면, 에어매트(14)가 팽창된 경우 에어매트(14)의 경사각이 경사판(12)의 경사각(θ) 이하가 된다. 이 경우 경사판(12)에서 사출된 구명보트(5)는 에어매트(14)에서 완만하게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입수시 충격이 보다 저감될 수 있다.
하지만, 선박(1)의 침수 정도 혹은 기울기에 따라 해수면과 이루는 에어매트(14)의 경사각이 작아 경사판(12)을 벗어난 구명보트(5)가 에어매트(14) 상에 놓여질 뿐 해수면 상으로는 탈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에어매트(14)는 팽창에 의해 펼쳐진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밸브(미도시)가 열려 에어매트(14)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부력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
또는 구명보트(5)의 내부 선저면(50)에 에어매트(14)의 부력을 상실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푸싱 레버(6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푸싱 레버(60)는 끝단이 뾰족한 첨단부(64)로 이루어져 있다. 푸싱 레버(60)는 걸림부(62)가 스프링(7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첨단부(64)가 선저면(50)에 형성된 보관홈(55) 내에 위치하고 선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푸싱 레버(60)에 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보관홈(55) 내에 위치하던 첨단부(64)가 선저 외부로 돌출되면서 선저에 접촉되어 있는 에어매트(14)의 상면에 구멍을 내어 에어매트(14)가 부력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
에어매트(14)가 부력을 상실하게 되면, 에어매트(14) 상에 놓여져 있던 구명보트(5)는 천천히 입수할 수 있게 되어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선박 5: 구명보트
10: 구명보트 진수장치 11: 프레임
12: 경사판 13: 캐니스터
14: 에어매트 21: 제1 몸체
22: 제2 몸체 30: 힌지
50: 선저면 55: 보관홈
60: 푸싱 레버 62: 걸림부
64: 첨단부 70: 스프링

Claims (6)

  1. 선박에 마련된 구명보트를 진수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구명보트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선박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비상시 개방되는 캐니스터; 및
    평상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비상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면서 해수면을 향해 경사지게 펼쳐지는 에어매트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상에서 상기 구명보트의 안착지점 전방에 이동 방지구가 돌출 높이 혹은 경사각 가변이 가능하게 돌설되어 있거나 상기 구명보트에 대한 그립 상태가 전환되는 그립 수단이 상기 구명보트의 안착지점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구명보트 진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는 내부가 빈 반구 형상으로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하부에 힌지 연결된 제1 몸체와, 내부가 빈 반구 형상으로 상기 제1 몸체의 최하점에서 힌지 연결된 제2 몸체를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제1 몸체의 개방면과 상기 제2 몸체의 개방면이 만나 결합되어 있고, 비상시에는 상기 구명보트의 탑승자에 의해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구명보트 진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는 팽창 상태에서 최소한 하부 끝단이 해수면에 닿는 길이를 가지는 구명보트 진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의 길이(L)는 상기 선박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흘수선과 상기 경사판의 출구측 사이의 간격(H)과 상기 경사판의 경사각(θ)과의 관계에서
    Figure pat00003
    을 만족하도록 결정되는 구명보트 진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끝단이 뾰족한 첨단부로 이루어진 푸싱 레버가 상기 구명보트의 내부 선저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푸싱 레버는 걸림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없을 때에는 상기 첨단부가 상기 선저면에 형성된 보관홈 내에 위치하고 있고, 하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첨단부가 상기 선저면에서 돌출되어 선저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에어매트의 상면에 구멍을 내는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20140116672A 2014-09-03 2014-09-03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162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72A KR101626348B1 (ko) 2014-09-03 2014-09-03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72A KR101626348B1 (ko) 2014-09-03 2014-09-03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540A true KR20160028540A (ko) 2016-03-14
KR101626348B1 KR101626348B1 (ko) 2016-06-02

Family

ID=5554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672A KR101626348B1 (ko) 2014-09-03 2014-09-03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528A (zh) * 2017-12-27 2018-05-04 大连理工大学 一种可移动的救生舱室
KR20200025688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1538B (zh) * 2018-06-11 2019-07-16 江阴市北海救生设备有限公司 一种无人艇收放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677A (en) * 1986-07-28 1987-04-28 Conoco Inc. Personnel evacuation apparatus for an offshore platform
JPH09201423A (ja) * 1996-01-26 1997-08-05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常用脱出装置
KR20040016957A (ko) 2004-02-05 2004-02-25 최재도 데빗시스템
KR20090058998A (ko) * 2007-12-05 2009-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 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
KR20130110930A (ko) * 2012-03-30 2013-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의 입수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677A (en) * 1986-07-28 1987-04-28 Conoco Inc. Personnel evacuation apparatus for an offshore platform
JPH09201423A (ja) * 1996-01-26 1997-08-05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常用脱出装置
KR20040016957A (ko) 2004-02-05 2004-02-25 최재도 데빗시스템
KR20090058998A (ko) * 2007-12-05 2009-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 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
KR20130110930A (ko) * 2012-03-30 2013-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의 입수 안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528A (zh) * 2017-12-27 2018-05-04 大连理工大学 一种可移动的救生舱室
KR20200025688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348B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aunch and recovery of a marine vessel
JP4067121B2 (ja) 小型ボートの着水および回収のための装置
KR101626348B1 (ko)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1454847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0948272B1 (ko) 구명 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
KR20160030738A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KR101487933B1 (ko)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KR101497442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ATE343514T1 (de) System zum verstauen und aussetzen einer rettungsinsel
KR101826168B1 (ko)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US10974795B2 (en) Lifeboat launch control system
KR101563663B1 (ko) 헬리콥터 데크 장치
US3874013A (en) Buoy device for locating and retrieving sunken vessels
KR20140002105U (ko) 선박용 구명부표 보관장치
KR101814456B1 (ko) 구명정 진수장치
KR200485056Y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1917890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KR200480499Y1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KR20170001136U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로프 분리장치
KR20150015820A (ko) 추를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200014549A (ko)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60146388A (ko) 구명정 진수 장치
KR20160001138A (ko) 구명 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
KR20150134179A (ko) 수중 낙하산을 이용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KR20140005792U (ko) 선박의 구명보트 계류 로프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