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688A -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688A
KR20200025688A KR1020180103447A KR20180103447A KR20200025688A KR 20200025688 A KR20200025688 A KR 20200025688A KR 1020180103447 A KR1020180103447 A KR 1020180103447A KR 20180103447 A KR20180103447 A KR 20180103447A KR 20200025688 A KR20200025688 A KR 20200025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ifeboat
unit
drift ice
dav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825B1 (ko
Inventor
이윤한
류용희
황윤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8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03One-shot shock absorbers
    • B63B2732/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완충 장치는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수용하거나 발사하는 완충 수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 수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완충 장치{Shock absorb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은 탈출용 구명정을 구비할 수 있다. 해상을 운항 중인 선박 또는 해상에서 작업 중인 해양 플랫폼에서 사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승무원 및 승객은 구명정을 이용하여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에서 탈출할 수 있다.
그 중, 자유 낙하식 구명정은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의 특정 지점에 구비된 대빗에 설치될 수 있다. 대빗에는 구명정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잠금 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구명정이 해수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8712호 (2015.10.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이 해수면 뿐만 아니라 유빙에 둘러싸여 있는 경우에도 구명정과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켜 구명정 낙하를 통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완충 장치의 일 면(aspect)은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수용하거나 발사하는 완충 수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 수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충부가 상기 완충 수용부에서 발사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구명정이 상기 대빗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완충 수용부 및 상기 이탈 조절부를 제어한다.
상기 완충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완충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 수용부에서 발사된 이후에 전개되어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낙하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 수용부는 상기 완충부를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완충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 수용부에서 발사된 이후에 일단이 상기 완충 수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유빙에 인접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수용부에서 완충부가 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빙 감지부에 의하여 유빙이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서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로 구명정이 낙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완충 수용부에서 전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완충부로 구명정이 낙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10)는 이탈 조절부(100), 유빙 감지부(200), 완충 수용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탈 조절부(100)는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davit)(22)에 구비되어 대빗(22)에 대한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빗(22)에 배치된 구명정은 중력 또는 별도로 작용된 힘(이하, 이탈 작용력이라 한다)으로 대빗(22)에서 이탈하여 자유 낙하할 수 있다. 이탈 조절부(100)는 이탈 작용력이 구명정에 작용하더라도 대빗(22)에서 구명정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거나 이탈을 허용할 수 있다.
이탈 조절부(100)는 걸림 수단(미도시)에 의한 걸림 또는 자력체(미도시)에 의한 자력 등으로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고, 걸림 수단의 걸림을 해제하거나 자력체의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탈 조절부(100)에 의한 구명정의 이탈 조절 방식이 걸림 방식 및 자력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이탈 조절부(100)의 이탈 조절이 구현될 수 있다.
유빙 감지부(200)는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빙 감지부(200)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수신된 신호를 참조하여 유빙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유빙 감지부(200)는 목표 지점을 촬영하고, 촬영물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하여 유빙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빙 감지부(200)에 의한 유빙 감지 여부 방식이 초음파 분석 및 영상 분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유빙 감지부(200)의 유빙 감지가 구현될 수 있다.
완충 수용부(300)는 구명정과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수용하거나 발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완충 수용부(300)는 완충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완충부는 유빙과 구명정의 사이로 전개되어 유빙과 구명정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충 수용부(300)는 도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10)가 개방되면서 완충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수용 공간에서 발사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탈 조절부(100), 유빙 감지부(200) 및 완충 수용부(3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이탈 조절부(100) 및 완충 수용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완충 수용부(300)에서 완충부가 발사된 이후에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완충 수용부(300) 및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완충부가 완충 수용부(300)에서 발사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완충 수용부(300) 및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빗(22)에서 이탈한 구명정은 안정적으로 완충부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완충부를 발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10)는 선박(20)의 선체(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탈 조절부(100)는 대빗(22)에 배치되거나 대빗(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완충 수용부(300)는 대빗(2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수용부(300)의 몸체는 선체(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완충 수용부(300)의 도어(310)는 선체(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도어(310)가 개방됨에 따라 완충부가 외부로 발사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0)는 이탈 조절부(100), 완충 수용부(300) 및 유빙 감지부(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제어부(400)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이탈 조절부(100), 완충 수용부(300) 및 유빙 감지부(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조절부(100), 완충 수용부(300) 및 유빙 감지부(200)와의 통신 범위에 포함되는 장소라면 해당 장소는 제어부(400)의 배치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수용부에서 완충부가 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완충부(500)는 완충 수용부(300)에서 발사될 수 있다. 완충부(500)의 발사를 위하여 완충 수용부(300)의 도어(310)가 개방될 수 있다. 도어(31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충부(500)는 에어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완충부(500)는 수축된 상태로 완충 수용부(300)에 수용되고, 완충 수용부(300)에서 발사된 이후에 전개될 수 있다. 전개된 완충부(500)의 면적은 구명정의 낙하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완충부(500)의 신속한 전개를 위하여 완충부(500)의 내부에는 완충부(500)를 팽창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500)의 내부에는 아지드화나트륨과 산화철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아지드화나트륨과 산화철이 결합하는 경우 다량의 질소가 빠른 시간 내에 발생된다. 제어부(400)는 완충부(500)를 전개하고자 할 때 아지드화나트륨과 산화철을 결합시켜 생성된 질소에 의하여 완충부(500)가 팽창하도록 할 수 있다.
완충부(500)는 넓은 판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이에, 넓은 범위에 걸쳐 구명정의 안정된 낙하 가능 영역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수용부(300)는 발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사부(320)는 완충 수용부(300)에서 완충부(500)를 발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사부(320)는 발사판(321) 및 격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사판(321)은 완충 수용부(300)의 내부 수용 공간 중 일측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사판(321)은 완충 수용부(300)의 개구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격발부(322)는 미는 힘을 발사판(321)에 작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격발부(322)는 탄성체의 형태로 구현되어 탄성력으로 발사판(321)을 밀 수 있다. 완충부(500)의 발사 이전에 발사판(321)은 완충 수용부(30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탄성체인 격발부(322)가 발사판(321)에 미는 힘을 작용하지만, 발사판(321)은 걸림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완충 수용부(300)의 내측면에 밀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걸림 수단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격발부(322)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사판(321)이 완충부(500)를 밀 수 있다. 발사판(321)의 미는 힘에 의하여 완충부(500)는 완충 수용부(300)에서 발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빙 감지부에 의하여 유빙이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서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로 구명정이 낙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빙 감지부(200)는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유빙 감지부(200)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 수용부(300)는 완충부(500)를 발사할 수 있다.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완충 수용부(300)를 제어하여 완충부(500)가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완충부(500)는 전개되어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의 형태로 구현된 완충부(500)는 완충 수용부(300)에서 발사되면서 팽창할 수 있다. 완충부(500)는 완충 수용부(300)의 내부에서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완충 수용부(300)에서 이탈하면서 팽창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완충부(500)의 팽창은 유빙(40)에 안착하기 이전에만 수행될 수 있으며, 유빙(40)에 안착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명정(30)은 대빗(22)에서 이탈하여 완충부(500)로 낙하할 수 있다.
완충부(500)가 유빙(40)에 안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00)는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구명정(30)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완충부(500)가 발사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구명정(30)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에 의하여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참조하여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완충부(500)가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올바르게 안착된 경우 유빙 감지부(200)는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로부터 유빙(4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감지 결과를 수신한 이후에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구명정(30)이 완충부(500)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완충 수용부에서 전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완충부로 구명정이 낙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501)는 수축된 상태로 완충 수용부(300)에 수용되고, 완충 수용부(300)에서 발사된 이후에 일단이 완충 수용부(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빙(40)에 인접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501)는 비스듬한 판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명정(30)은 완충부(501)로 낙하할 수 있다. 완충부(501)가 선체(21)에서 유빙(40)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구명정(30)은 해수면 또는 유빙(40)에 대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완충부(501)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501)에 도달한 구명정(30)은 완충부(50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해수면 또는 유빙(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빗(22)에서 낙하하는 구명정(30)은 완충부(501)에 도달하면서 그 낙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감속된 구명정(30)은 완충부(501)에 슬라이드되어 안정적으로 해수면 또는 유빙(40)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완충 장치 20: 선박
21: 선체 22: 대빗
30: 구명정 40: 유빙
100: 이탈 조절부 200: 유빙 감지부
300: 완충 수용부 310: 도어
320: 발사부 321: 발사판
322: 격발부 400: 제어부
500, 501: 완충부

Claims (5)

  1.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수용하거나 발사하는 완충 수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 수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충부가 상기 완충 수용부에서 발사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구명정이 상기 대빗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완충 수용부 및 상기 이탈 조절부를 제어하는 완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완충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 수용부에서 발사된 이후에 전개되어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낙하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수용부는 상기 완충부를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완충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 수용부에서 발사된 이후에 일단이 상기 완충 수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유빙에 인접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
KR1020180103447A 2018-08-31 2018-08-31 완충 장치 KR10244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47A KR102448825B1 (ko) 2018-08-31 2018-08-31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47A KR102448825B1 (ko) 2018-08-31 2018-08-31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88A true KR20200025688A (ko) 2020-03-10
KR102448825B1 KR102448825B1 (ko) 2022-09-28

Family

ID=6980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47A KR102448825B1 (ko) 2018-08-31 2018-08-31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8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12A (ko) 2014-04-15 2015-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20160028540A (ko) * 2014-09-03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20170123464A (ko) * 2016-04-29 2017-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12A (ko) 2014-04-15 2015-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20160028540A (ko) * 2014-09-03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20170123464A (ko) * 2016-04-29 2017-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825B1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379C (en) Watercraft arresting system
CA2699959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79462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7337741B1 (en) Pre-positioning deployment system for small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S7819714B2 (en)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KR102106610B1 (ko) 비상 탈출용 구명정
KR102448825B1 (ko) 완충 장치
US20050245149A1 (en)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US5537947A (en) Expendable underwater vehicle
US5973994A (en) Surface launched sonobuoy
KR20160030738A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US20140066236A1 (en) Airbag projectile for impeding surface vessel
EP1894834A1 (en) Float for a device air-launched into the sea, in particular for a countermeasure
KR101626348B1 (ko)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1957046B1 (ko) 미사일 요격 시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3724374A (en) Underwater sound source
KR20150118712A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20200014549A (ko)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JPH08175489A (ja) 水上危険物処分装置
US3088136A (en) Recovery pack for air dropped test weapons
US20170106952A1 (en) Jettison device for a ship, platform or other vessels
CA2202980C (en) Expendable underwater vehicle
JP2024073161A (ja) 回収システム及び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