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464A -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464A
KR20170123464A KR1020160052923A KR20160052923A KR20170123464A KR 20170123464 A KR20170123464 A KR 20170123464A KR 1020160052923 A KR1020160052923 A KR 1020160052923A KR 20160052923 A KR20160052923 A KR 20160052923A KR 20170123464 A KR20170123464 A KR 2017012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compressed air
jetting
obsta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168B1 (ko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6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2Rigid guides, e.g. having arms pivoted near water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43/20F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1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steam or othe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6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jets or by rudders carrying jets
    • B63B2732/00
    • B63B2734/00
    • B63B2752/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선체에 설치되어 구명보트가 슬라이딩 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활주대를 갖는 지지 프레임; 상기 구명보트에 제공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력 발생부; 및 상기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애물 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Launching device of life boat for ships}
본 발명은 항해 중 비상 상황 발생시 선박의 외부로 구명보트를 낙하하여 입수시키는 선박용 구명보트의 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명 보트를 안전한 낙하지점으로 진수시킬 수 있는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작업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선은 여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여 운임 수입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을 말하며, 이것을 다시 화물선, 화객선, 여객선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은 선박은 비상시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위하여 구명보트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구명보트는 갑판(deck) 상에 설치되어 비상시 탑승자를 태우고 해상으로 투하됨으로써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구명보트는 그 종류가 다양하며, 대형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수면의 입수 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로는 대빗런처블(davit launchable) 방식의 보편적인 타입의 구명보트가 있으며, 둘째로는 자유낙하방식(free fall type)의 구명보트가 있다. 여기서 자유낙하방식의 구명보트는 수면으로 입수하여 위치에너지에 의해 수중에서 전진하여 수면으로 부상하는 방식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구명보트 및 이를 위한 입수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종래의 선박용 구명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갑판 상의 지지구조물(4)에 경사지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구명보트(2)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6)와, 구명보트(2)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전하여 구명보트(2)를 인양한 다음 후방으로 복귀하여 구명보트(2)를 지지대 상에 위치시키는 이송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따라서 탈출시 구명보트의 고정을 해체하게 되면, 구명보트는 지지대로부터 미끄러져서 해수면으로 입수하여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명보트 및 입수 가이드 장치는 입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낙하 예상 지점에 장애물(해빙이나 선박에서 떨어져 나간 부유물)이 위치하는 경우 구명보트가 해수면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로 구명보트가 손상되거나 또는 구명보트에 탑승한 승객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2780(2015.07.15. 공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비상시 구명보트가 안전하게 해상으로 진수될 수 있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구명보트의 낙하 예상 지점의 장애물 유무에 따라 구명보트의 낙하 지점을 변경할 수 있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어 구명보트가 슬라이딩 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활주대를 갖는 지지 프레임; 상기 구명보트에 제공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력 발생부; 및 상기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애물 탐지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물 탐지부는 상기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해수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해수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명보트가 진수될 해수면 상에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장애물 판별부; 및 상기 장애물 판별부로부터 제공받은 장애물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구명보트가 장애물을 회피하여 진수될 수 있도록 상기 추진력 발생부의 추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 또는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상기 구명보트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력 발생부는 상기 구명 보트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구명 보트의 진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한 번에 배출되도록 개방되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압축 공기의 분출 속도 및 분출량 조절을 통해 상기 구명 보트의 진수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여 압축 공기의 분출 속도 및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력 발생부는 상기 구명 보트의 후미부분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들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구명 보트의 진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추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분사부 후방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압축공기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 펜스를 밀어내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명보트 진수시 낙하 예상 지점의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여 장애물과 구명보트의 충돌로 인한 구명보트의 손상 및 충격으로 인한 탑승자의 상해 등과 같은 안전가소를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 보트 진수 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구명보트의 진수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추진력 발생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선박용 구명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 보트 진수 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수 장치(100)는 선박(10)의 선체(800)에 설치된다. 일 예로, 진수 장치(100)는 선원들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 선체(800)에 제공되는 거주구역(81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진수 장치(100)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구명 보트(200)를 해양으로 진수시키고, 해양으로부터 구명 보트(200)를 인양할 수 있다. 진수 장치(100)는 구명 보트 이외에도 픽업 보트, 해난 구조선 등을 해양으로 진수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수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진수 장치(100)는 구명 보트(200), 지지프레임(110), 추진력 발생부(300) 그리고 장애물 탐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선체(800)(도 1에 도시됨)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110)들은 복수개의 지주 프레임(1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 프레임(112)들은 선체(800)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들에는 구명 보트(200)가 안착되고 구명 보트(2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활주대(120)가 설치된다.
활주대(120)는 구명보트(200)가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을 정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활주대(120)는 구명보트(200)가 미끄러져 내려갈 때 구명보트(200)가 활주대(120)의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명보트(200)의 양측에 경사지게 제공되는 슬라이딩 프레임(122)과, 슬라이딩 프레임(12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내 롤러(124)들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 프레임(110)에는 탑승자가 구명보트(200)에 승선할 수 있도록 사다리 또는 계단과 같은 승선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10)에는 활주대(120)상에 위치된 구명보트(200)가 임의로 미끄러 내려가지 않도록 구명보트(200)를 붙잡고 있는 잠금 장치와, 잠금 장치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구명 보트(200)는 선박에 탑승한 탑승자가 위급시 신속한 탈출을 위해 제공된다. 구명보트(200)는 상부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구(미도시됨)가 구비된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의 탑승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몸체(210)는 극도의 변형을 견딜 수 있도록 매우 튼튼하게 제조되며, 도어를 닫게 되면 구명보트(200)의 내부공간은 완전히 방수될 수 있다.
추진력 발생부(300)는 구명 보트(200)에 설치된다. 추진력 발생부(300)는 구명 보트에 제공하는 추진력을 제어하여 구명보트(200)의 진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추진력 발생부(300)는 저장탱크(310) 및 분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310)에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저장탱크(310)는 구명보트(200)의 후미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탱크(310)의 설치 개수는 가변 가능하다. 분사부(320)는 저장탱크(310)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분사부(320)는 구명 보트(200)의 진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가변노즐과 같은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사부(320)는 가변노즐을 적용하여 압축공기의 분출 속도 또는 분출량을 통해 구명 보트의 진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110)은 분사부 후방과 대향되는 위치에 압축공기 펜스(130)가 설치된다. 즉, 분사부(320)는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압축공기 펜스(130)를 밀어내며 추진력을 얻게 된다.
장애물 탐지부(400)는 구명보트(200)의 진수 예상 지점에 해당되는 해수면의 장애물(사물)을 탐지하기 위한 것이다.
장애물 탐지부(400)는 센서(410), 장애물 판별부(420) 그리고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10)는 구명보트(200)의 진수 예상 지점의 해수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410)는 적외선 발광부와 적외선 수광부를 구비한 적외선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센서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는 물론 장애물까지의 거리도 파악할 수 있다. 센서(410)는 구명보트(200)의 진수 예상 지점에 해당되는 해수면을 스캔할 수 있도록 활주대(120)의 선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410)의 장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410)는 구명보트(200)의 진수 예상 지점을 스캔할 수 있는 위치라면 지지 프레임(100)이나 선체 등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 센서(410)는 카메라와 같이 인식된 영상을 통하여 해수면의 장애물(사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초음파 센서와 같이 장애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통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센서(410)는 적외선 센서 이외에도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 또는 초음파센서와 같이 장애물(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센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센서(410)로부터 획득된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해수면 정보는 장애물 판별부(420)로 제공될 수 있다. 장애물 판별부(420)는 센서(410)로부터 제공받은 해수면 정보를 분석하여 구명보트(200)가 진수될 해수면 상에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430)는 장애물 판별부(420)로부터 제공받은 장애물 존재 유무에 따라 구명보트(200)가 장애물을 회피하여 진수될 수 있도록 추진력 발생부(300)의 추진력을 제어한다.
도 8은 추진력 발생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추진력 발생부(300a)는 복수의 저장탱크(310a)들 및 복수의 저장탱크(310a)들 각각과 연결되는 분사부(32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분사부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한 번에 배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른 추진력 발생부(300a)는 분사부(320a)들의 압축공기의 분출 속도 또는 분출량을 통해 구명 보트의 진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부(320a)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추진력을 제어한다는데 그 차이점이 있다. 즉 장애물 탐지부(400)의 제어부(430)가 분사부(320a)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구명 보트의 진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분사부(320a)들이 모두 개방되면 가장 큰 추진력을 얻게 되고, 2개의 분사부(320a)들만 개방될 경우 그 보다 작은 추진력을 얻게 됨으로 구명 보트의 진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구명보트의 진수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구명보트의 진수 과정은 크게 장애물 탐지 단계, 활주대 조절 단계, 구명보트 진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탐지 단계)
구명보트(200)가 진수되지 전, 센서(410)는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해수면 정보는 획득하여 장애물 판별부(420)로 제공한다. 장애물 판별부(420)에서는 센서(410)로부터 제공받은 해수면 정보를 분석하여 구명보트(200)가 진수될 해수면 상에 장애물(20)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활주대 조절 단계)
장애물 판별부(420)에서 장애물(2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며, 제어부(430)는 추진력 발생부(300)의 분사부(320)를 제어하여 구명보트의 추진력을 조절한다. 구명보트의 추진력 조절을 통해 결과적으로 구명보트(200)의 진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구명보트 진수시 장애물(20)을 회피하여 진수될 수 있다. 참고로, 진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다시 장애물 탐지 과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구명보트 진수 단계)
구명보트(200)에 탑승한 탑승자는 내부에서 조작버튼을 눌러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면, 구명보트(200)는 추진력 발생부(300)의 분사부(310)로부터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게 되면서 빠른 속도로 활주대(120)에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면서 바다에 안정적으로 낙하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진수 장치 200 : 구명 보트
110 : 지지프레임 300 : 추진력 발생부
400 : 장애물 탐지부

Claims (6)

  1. 선체에 설치되어 구명보트가 슬라이딩 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활주대를 갖는 지지 프레임;
    상기 구명보트에 제공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력 발생부; 및
    상기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애물 탐지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탐지부는
    상기 구명보트의 진수 예상 지점의 해수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해수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명보트가 진수될 해수면 상에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장애물 판별부; 및
    상기 장애물 판별부로부터 제공받은 장애물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구명보트가 장애물을 회피하여 진수될 수 있도록 상기 추진력 발생부의 추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발생부는
    상기 구명 보트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구명 보트의 진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압축 공기의 분출 속도 및 분출량 조절을 통해 상기 구명 보트의 진수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여 압축 공기의 분출 속도 및 분출량을 조절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발생부는
    상기 구명 보트의 후미부분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들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구명 보트의 진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추진력을 제어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분사부 후방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압축공기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 펜스를 밀어내며 추진력을 얻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20160052923A 2016-04-29 2016-04-29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182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23A KR101826168B1 (ko) 2016-04-29 2016-04-29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23A KR101826168B1 (ko) 2016-04-29 2016-04-29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4A true KR20170123464A (ko) 2017-11-08
KR101826168B1 KR101826168B1 (ko) 2018-03-22

Family

ID=6038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23A KR101826168B1 (ko) 2016-04-29 2016-04-29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49A (ko) * 2018-08-01 2020-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200025688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49A (ko) * 2018-08-01 2020-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200025688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68B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aunch and recovery of a marine vessel
US7350475B2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US7296528B1 (en) Angled landing platform
AU2016236771A1 (en) A system, towed submersible and docking station for towed underwater recreational sightseeing
NO317830B1 (no) Apparat for utsetting og opptagning av bater
EP0228167B1 (en) Off-shore drilling installation evacuation system
KR101826168B1 (ko)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WO2015063200A1 (en) Advanced rescue device
US8156886B2 (en) Device, system, structure,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ntrol system
US2022019452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vering a sailing vessel
WO2015143491A1 (en)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object at sea
KR20150058789A (ko)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US10351215B2 (en) Vessel with moving stern swim platform supporting steps sliding over fixed stern steps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US20020038623A1 (en) Garage and swimming area for yachts, trawlers and the like
RU2323121C1 (ru) Плавучий причал
KR20110045199A (ko) 선박용 구명보트의 추진형 입수 가이드 장치
US20040123789A1 (en) Rescue boat
RU2174088C1 (ru) Система коллективного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с пл-танкера в аварийном положении при значительных крене и дифференте
RU2707860C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авиадесантируемая система
KR20150057772A (ko) 선박에서의 탈출시 입수 낙하속도 완화장치
Lee et al. A buoyancy device design for antisink ships
KR20200057762A (ko) 선박을 위한 픽업 디바이스 및 픽업 방법
US11541967B2 (en) Maritime automated alignment and connection system
GB2439732A (en) Automated waterborne vessel fender deploy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