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549A -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549A
KR20200014549A KR1020180089842A KR20180089842A KR20200014549A KR 20200014549 A KR20200014549 A KR 20200014549A KR 1020180089842 A KR1020180089842 A KR 1020180089842A KR 20180089842 A KR20180089842 A KR 20180089842A KR 20200014549 A KR20200014549 A KR 2020001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ifeboat
drift ice
dav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795B1 (ko
Inventor
이윤한
류용희
황윤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7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03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08Coating a former, core or other substrate by spraying or fluidisation, e.g. sprayin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5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43/20F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67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1/00Applications
    • B63B2211/06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B63B2732/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완충 장치는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제를 분사하는 완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Shock absorbing apparatus and ship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은 탈출용 구명정을 구비할 수 있다. 해상을 운항 중인 선박 또는 해상에서 작업 중인 해양 플랫폼에서 사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승무원 및 승객은 구명정을 이용하여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에서 탈출할 수 있다.
그 중, 자유 낙하식 구명정은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의 특정 지점에 구비된 대빗에 설치될 수 있다. 대빗에는 구명정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잠금 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구명정이 해수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8712호 (2015.10.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이 해수면 뿐만 아니라 유빙에 둘러싸여 있는 경우에도 구명정과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켜 구명정 낙하를 통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완충 장치의 일 면(aspect)은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제를 분사하는 완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충제가 분사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구명정이 상기 대빗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완충부 및 상기 이탈 조절부를 제어한다.
상기 완충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1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2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와, 상기 제 1 완충 용액 및 상기 제 2 완충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생성하는 혼합부, 및 상기 생성된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체,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된 완충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장치는,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제를 분사하는 완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서 완충제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빙 감지부에 의하여 유빙이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 의하여 완충제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제가 유빙의 표면에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제로 구명정이 낙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10)는 이탈 조절부(100), 유빙 감지부(200), 완충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탈 조절부(100)는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davit)(22)에 구비되어 대빗(22)에 대한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빗(22)에 배치된 구명정은 중력 또는 별도로 작용된 힘(이하, 이탈 작용력이라 한다)으로 대빗(22)에서 이탈하여 자유 낙하할 수 있다. 이탈 조절부(100)는 이탈 작용력이 구명정에 작용하더라도 대빗(22)에서 구명정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거나 이탈을 허용할 수 있다.
이탈 조절부(100)는 걸림 수단(미도시)에 의한 걸림 또는 자력체(미도시)에 의한 자력 등으로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고, 걸림 수단의 걸림을 해제하거나 자력체의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탈 조절부(100)에 의한 구명정의 이탈 조절 방식이 걸림 방식 및 자력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이탈 조절부(100)의 이탈 조절이 구현될 수 있다.
유빙 감지부(200)는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빙 감지부(200)는 초음파를 분사하고, 수신된 신호를 참조하여 유빙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유빙 감지부(200)는 목표 지점을 촬영하고, 촬영물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하여 유빙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빙 감지부(200)에 의한 유빙 감지 여부 방식이 초음파 분석 및 영상 분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유빙 감지부(200)의 유빙 감지가 구현될 수 있다.
완충부(300)는 구명정과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제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완충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완충제는 유빙의 표면으로 분사되어 고체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고형화된 완충제로 구명정이 낙하함에 따라 구명정과 유빙간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탈 조절부(100), 유빙 감지부(200) 및 완충부(3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이탈 조절부(100) 및 완충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완충부(300)에서 완충제가 분사된 이후에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완충부(300) 및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완충제가 완충부(300)에서 분사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완충부(300) 및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은 액체 상태의 완충제가 분사된 이후에 고체로 상태 변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빗(22)에서 이탈한 구명정은 고체 상태의 완충제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완충제를 분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명정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10)는 선박(20)의 선체(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탈 조절부(100)는 대빗(22)에 배치되거나 대빗(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300)는 대빗(2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300)의 몸체는 선체(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완충부(300)의 분사부(340)는 선체(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340)를 통하여 완충제가 유빙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0)는 이탈 조절부(100), 완충부(300) 및 유빙 감지부(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제어부(400)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이탈 조절부(100), 완충부(300) 및 유빙 감지부(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조절부(100), 완충부(300) 및 유빙 감지부(200)와의 통신 범위에 포함되는 장소라면 해당 장소는 제어부(400)의 배치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서 완충제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0)는 하우징(310), 제 1 수용부(321), 제 2 수용부(322), 혼합부(330) 및 분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은 제 1 수용부(321), 제 2 수용부(322), 혼합부(330) 및 분사부(340)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310)에 의하여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완충부(300)가 일체형으로 운용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10)은 선박(20)의 선체(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 수용부(321)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1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수용부(322)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2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완충 용액 및 제 2 완충 용액은 완충제(500)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재료를 포함한다. 혼합부(330)는 제 1 완충 용액 및 제 2 완충 용액을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완충 용액 및 제 2 완충 용액이 혼합됨에 따라 발포성 폴리우레탄인 완충제(500)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완충 용액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일 수 있고, 제 2 완충 용액은 히드록시(hydroxy) 화합물 일 수 있다. 제 1 완충 용액과 제 2 완충 용액이 혼합됨에 따라 액체 상태의 발포성 폴리우레탄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발포성 폴리우레탄은 분사부(340)에 의하여 분사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발포성 폴리우레탄은 유빙으로 분사되어 넓게 펼쳐질 수 있다. 펼쳐진 액상의 발포성 폴리우레탄은 공기 중에 방치되어 고체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발포성 폴리우레탄은 상대적으로 높은 복원율을 갖기 때문에 유빙과 구명정간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분사부(340)에 의한 분사 압력을 발생시키는 분사 펌프(미도시) 및 제 1 수용부(321) 및 제 2 수용부(322)에서 혼합부(330)로 완충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주입 펌프(미도시)가 하우징(3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빙 감지부에 의하여 유빙이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에 의하여 완충제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제가 유빙의 표면에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제로 구명정이 낙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빙 감지부(200)는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유빙 감지부(200)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충부(300)는 완충제(500)를 분사할 수 있다. 유빙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완충부(300)를 제어하여 완충제(500)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완충제(500)는 유빙(40)의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제(500)는 유빙(4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도포된 완충제(500)는 구명정(30)의 낙하 가능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액체 상태로 분사된 완충제(500)는 공기 중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팽창하면서 고체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완충제(500)는 일정 크기 이상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명정(30)은 대빗(22)에서 이탈하여 완충제(500)로 낙하할 수 있다.
완충제(500)가 고체 상태로 변화되어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00)는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구명정(30)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완충제(500)가 분사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구명정(30)이 대빗(22)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에 의하여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참조하여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완충제(500)가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올바르게 도포된 경우 유빙 감지부(200)는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에 유빙(40)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유빙 감지부(200)로부터 유빙(4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감지 결과를 수신한 이후에 이탈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구명정(30)이 완충제(500)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완충 장치 20: 선박
21: 선체 22: 대빗
30: 구명정 40: 유빙
100: 이탈 조절부 200: 유빙 감지부
300: 완충부 310: 하우징
321: 제 1 수용부 322: 제 2 수용부
330: 혼합부 340: 분사부
400: 제어부

Claims (6)

  1.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제를 분사하는 완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충제가 분사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구명정이 상기 대빗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완충부 및 상기 이탈 조절부를 제어하는 완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1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2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
    상기 제 1 완충 용액 및 상기 제 2 완충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생성하는 혼합부; 및
    상기 생성된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5. 선체;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된 완충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장치는,
    구명정을 탑재하고 있는 대빗에 구비되어 상기 대빗에 대한 상기 구명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해제하는 이탈 조절부;
    상기 구명정의 낙하 지점에 유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빙 감지부;
    상기 구명정과 상기 유빙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제를 분사하는 완충부; 및
    상기 유빙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탈 조절부 및 상기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180089842A 2018-08-01 2018-08-01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13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842A KR102138795B1 (ko) 2018-08-01 2018-08-01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842A KR102138795B1 (ko) 2018-08-01 2018-08-01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549A true KR20200014549A (ko) 2020-02-11
KR102138795B1 KR102138795B1 (ko) 2020-07-28

Family

ID=6956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842A KR102138795B1 (ko) 2018-08-01 2018-08-01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7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12A (ko) 2014-04-15 2015-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20160148861A (ko) * 2015-06-17 2016-1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101781236B1 (ko) * 2009-11-23 2017-09-22 바스프 에스이 발포체 분배 장치
KR20170123464A (ko) * 2016-04-29 2017-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236B1 (ko) * 2009-11-23 2017-09-22 바스프 에스이 발포체 분배 장치
KR20150118712A (ko) 2014-04-15 2015-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20160148861A (ko) * 2015-06-17 2016-1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20170123464A (ko) * 2016-04-29 2017-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795B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160B2 (en) Emergency mechanical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ircraft
US87272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iding the localization of an aircraft wreck submerged in a sea
US8687375B2 (en) Automated distress locator transmission system
AU200929306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CA2699959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7819714B2 (en)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CA2904109A1 (fr)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JP2018034761A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小型飛行体
KR101866745B1 (ko)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KR20200013539A (ko) 비상 탈출용 구명정
KR20200014549A (ko)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US4295211A (en) Inertially released jettisonable airborne buoy
KR101626348B1 (ko)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1984979B1 (ko) 선박 또는 해양 설비용 탈출 장치
KR101826168B1 (ko)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KR20150118712A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102151600B1 (ko) 구명정 투하 방법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KR101563663B1 (ko) 헬리콥터 데크 장치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KR20140147504A (ko)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KR102448825B1 (ko) 완충 장치
KR20160032406A (ko) 선박의 복원성 회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복원성 회복방법
KR102292692B1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RU2707860C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авиадесантируем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