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539A - 비상 탈출용 구명정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용 구명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539A
KR20200013539A KR1020180088852A KR20180088852A KR20200013539A KR 20200013539 A KR20200013539 A KR 20200013539A KR 1020180088852 A KR1020180088852 A KR 1020180088852A KR 20180088852 A KR20180088852 A KR 20180088852A KR 20200013539 A KR20200013539 A KR 20200013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psule
hatch
impac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610B1 (ko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6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5/00Liquid springs in which the liquid works as a spring by compression, e.g. combined with throttling action; Combinations of devices including liq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비상 탈출용 구명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방 내부에 충격 완충 가능하게 제공되는 충격 댐퍼부; 상기 충격 댐퍼부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충격 댐퍼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탑승객이 탑승 가능하도록 탑승 공간이 형성되고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체로 구성되는 탑승 캡슐;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는 해치 수단; 및 상기 탑승 캡슐의 하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탑승 캡슐을 상부로 밀어내는 발사 수단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탈출용 구명정{LIFE BOAT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구명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항 중인 대형 선박이나 바닷속 자원인 석유나 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발굴, 시추 또는 생산하기 위해 바다에 구축되는 해양 플랜트 등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 인명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의 화재나 폭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선박은 이와 같은 비상시에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위하여 구명정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구명정은 데크 상에 설치되어 해상으로 투하됨으로써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구명정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진수 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대별되는데, 첫째는 대빗 런처블(davit launchable) 방식의 보편적인 타입의 구명정이 있으며, 두 번째로는 자유 낙하 방식(free fall type)의 구명정이 있다.
자유 낙하 방식의 구명정은 선박의 선미에 마련된 경사면에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위치 에너지에 의해 입수하여 수중에서 전진하여 수면으로 부상하는 방식이다. 자유 낙하 방식의 구명정은 선체에서 수면으로 바로 낙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은 있지만, 구명정의 입수 과정에서 물과 최초로 접촉하는 전방 부분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해상 상황이 좋지 않거나 선박이 심하게 기울어 구명정의 낙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구명정이 초기 설계된 입수 조건과 다른 조건에서 입수하게 되는바, 이러한 경우에는 초기 설계시 예상했던 입수 충격보다 더 큰 입수 충격을 받게 되어 구명정이 심하게 파손될 우려가 있고 탑승객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638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에서 비상 탈출시 자유 낙하 방식으로 진수되는 구명정이 바다에 입수할 때 물과 최초로 접촉하는 전방 부분의 충격량을 최소화하고 입수 후에는 탑승 공간이 구명정에서 자동으로 분리되어 부상할 수 있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방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충격 댐퍼부; 상기 충격 댐퍼부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상기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충격 댐퍼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고,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체로 구성되는 탑승 캡슐;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되는 해치 수단; 및 상기 탑승 캡슐의 하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탑승 캡슐을 상부로 밀어내는 발사 수단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댐퍼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충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채워진 에어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감지부는 상기 충격 댐퍼부와 연통되어 상기 충격 댐퍼부에 가해진 충격량에 비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감지부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해치 수단에 먼저 보내어 상기 해치 수단을 먼저 작동시킨 후 상기 발사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치 수단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해치 도어; 및 상기 해치 도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해치 도어에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해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사 수단은, 상기 탑승 캡슐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부의 자화시 자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에 부착되며, 상기 탑승 캡슐의 지지하는 이동체; 및 상기 전자석부와 상기 이동체 사이에 탄성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부의 비자화시 팽창되어 상기 이동체에 상방향의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선박에서 비상 탈출시 자유 낙하 방식으로 진수되는 구명정이 해수에 입수할 때 물과 최초로 접촉하는 전방 부분의 충격량을 감소시켜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입수 후에는 탑승 공간이 구명정에서 자동으로 분리되어 부상하기 때문에 탑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구명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구명정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구명정에서 해치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구명정에서 발사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구명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구명정(10)은 선박에서 예컨대 화재와 같은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탑승원을 태우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해상으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로서, 바디부(100), 충격 댐퍼부(200), 충격 감지부(300), 제어부(400), 탑승 캡슐(500), 해치 수단(600) 및 발사 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구명정(1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해수면에 입수가 용이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타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부(100)는 해수면으로 투하될 때 수면과의 충격을 줄여서 부드럽게 진수되도록 바디부(100)의 전방부는 뾰족하면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충격 댐퍼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전방 내부에 수용되어 바디부(100)가 해수면에 입수할 때 바디부(100)의 전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바디부(100)의 전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됨에 따라 탑승 캡슐(500)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충격 댐퍼부(200)는 바디부(100)의 전방에 수용되기 때문에 바디부(100)의 전방 구조에 맞추어 앞은 뾰족하고 뒤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디부(100)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충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채워진 에어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격 댐퍼부(200)에 충진되는 기체는 공기나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0)가 해수면에 입수할 때 해수면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은 충격 댐퍼부(200)에 전달되고, 충격 댐퍼부(200)는 충격 에너지가 입력되면 그 내부에 충진된 기체가 압축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 또는 완충하여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충격 감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댐퍼부(200)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 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요소이다.
충격 감지부(300)는 충격 댐퍼부(20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충격 감지부(300)가 충격 댐퍼부(2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충격 댐퍼부(200)와 연결관(310)을 매개로 연통되어 충격 댐퍼부(200)에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충격 감지부(300)는 충격 댐퍼부(200)에 충진된 기체를 제공받고, 그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격 댐퍼부(200)에 가해진 충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감지부(300)는 충격 댐퍼부(200)에 가해진 충격량에 비례하여 소정의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충격 감지부(300)에서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 설정된 값(기준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충격 감지부(300)를 통해 충격 댐퍼부(200)에 가해진 충격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구명정(10)이 해수면에 입수한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때 그 제어 신호를 해치 수단(600)에 먼저 보내어 해치 수단(600)을 먼저 작동시킨 후 발사 수단(700)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탑승 캡슐(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바디부(100) 내에서 충격 댐퍼부(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구명정(10)이 입수할 때의 충격이 탑승 캡슐(500)에 전달되기 전에 충격 댐퍼부(200)에서 완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승 캡슐(500)은 선원이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 크기의 탑승 공간이 형성되며, 비상 탈출 및 탑승에 필요한 각종 수단(예컨대, 의자 및 안전벨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탑승 캡슐(500)은 구명정(10)이 해수면에 입수하기 전에는 바디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되지만, 비상 탈출 상황에서 구명정(10)이 일단 해수면에 입수하고 나면 바디부(100)로부터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되고 난 후에는 바다에서 가라앉지 않고 뜰 수 있도록 부력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 캡슐(500)은 그 전체가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체의 소재로 구성되거나 탑승 캡슐(500)의 몸체 내부에 에어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해치 수단(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해치 수단(600)은 바디부(100)가 바다에 입수하였을 때, 탑승 캡슐(500)이 바디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바디부(10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성으로서, 해치 수단(600)은 바디부(100)에서 탑승 캡슐(500)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발사 수단(700)보다 먼저 작동되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치 수단(600)은, 해치 도어(610) 및 해치 구동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해치 도어(610)는 탑승 캡슐(5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디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소이다. 해치 도어(610)는 회전축(6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치 도어(6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해치 도어(610)는 바디부(100)에 1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해상으로의 비상 탈출 상황에서 해치 도어(610)가 1개로만 구성되면 해치 도어(610)가 열리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개방을 위해서 해치 도어(610)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복수 개로 분할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해치 도어(6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아 닫혀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바디부(100)의 내부를 보호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면 바디부(100)를 일 부분을 개방하여 그 하부에 있는 탑승 캡슐(500)이 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치 구동부(620)는 해치 도어(610)의 회전축(611)과 동력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해치 구동부(620)는 해치 도어(610)의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여 해치 도어(610)를 열 수 있다.
해치 구동부(6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해치 구동부(620)가 구동되면 동력전달 요소(예컨대, 동력전달 샤프트, 체인, 벨트 등)를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해치 도어(6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해치 구동부(620)는 동력전달 요소(621)를 통해 회전축(611)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해치 도어(6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해치 구동부(620)가 동작되지 않으면 해치 도어(610)는 자유롭게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해치 구동부(620)가 구동되는 경우에만 해치 도어(610)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해치 구동부(620)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양 방향 구동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발사 수단(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사 수단(700)은 구명정(10)이 바다에 입수하고 난 다음 상기한 해치 수단(600)이 개방되고 난 후, 개방된 해치 수단(600)을 통해 탑승 캡슐(500)이 바디부(10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발사 수단(700)은 탑승 캡슐(500)의 하부에서 평상시에는 탑승 캡슐(500)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비상 탈출 시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되면 팽창되어 탑승 캡슐(500)을 상부로 강하게 밀어내어 탑승 캡슐(500)이 바디부(100)의 외부로 탈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발사 수단(700)은 전자석부(710), 이동체(720) 및 탄성체(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석부(710)는 탑승 캡슐(500)의 하측에 위치한 바디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자석부(710)는 탑승 캡슐(500)의 하부 면적을 고려하여 바디부(100)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자석부(710)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 예컨대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화되어 소정 크기의 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자석에 붙는 물질이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체(720)는 전자석부(7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자석에 붙는 물질로 구성되어 전자석부(710)의 자화시 자력에 의해 전자석부(7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동체(720)는 탑승 캡슐(5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탑승 캡슐(500)의 지지하게 된다.
탄성체(730)는 전자석부(710)와 이동체(720)를 연결하며 전자석부(710)와 이동체(720) 사이에 탄성 압축되게 설치되는 요소로서, 전자석부(710)가 비자화되면 자력이 해제되어 이동체(720)가 전자석부(710)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체(730)의 탄성 반발력으로 탄성체(730)가 팽창되면서 이동체(720)에 상 방향의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체(730)는 이동체(720)에 강한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여 탑승 캡슐(500)이 발사될 수 있도록 초탄성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체(720)가 탄성체(730)에 의하여 상 방향의 외력을 제공받으면, 그 힘을 탑승 캡슐(500)에 전달하여 이동체(720)에 의해 지지되던 탑승 캡슐(500)이 상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720)의 상부에는 탑승 캡슐(500)과 접촉되는 안착 시트(740)가 제공될 수 있다. 안착 시트(740)는 이동체(720)가 탑승 캡슐(500)에 직접 접촉되어 탑승 캡슐(500)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구명정
100 : 바디부 200 : 충격 댐퍼부
300 : 충격 감지부 400 : 제어부
500 : 탑승 캡슐 600 : 해치 수단
610 : 해치 도어 611 : 회전축
620 : 해치 구동부 621 : 동력전달 요소
700 : 발사 수단 710 : 전자석부
720 : 이동체 730 : 탄성체
740 : 안착 시트

Claims (6)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방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충격 댐퍼부;
    상기 충격 댐퍼부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상기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충격 댐퍼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고,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체로 구성되는 탑승 캡슐;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되는 해치 수단; 및
    상기 탑승 캡슐의 하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탑승 캡슐을 상부로 밀어내는 발사 수단;
    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댐퍼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충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채워진 에어백으로 구성된, 비상 탈출용 구명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부는 상기 충격 댐퍼부와 연통되어 상기 충격 댐퍼부에 가해진 충격량에 비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비상 탈출용 구명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감지부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해치 수단에 먼저 보내어 상기 해치 수단을 먼저 작동시킨 후 상기 발사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비상 탈출용 구명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수단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탑승 캡슐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해치 도어; 및
    상기 해치 도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해치 도어에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해치 구동부;
    를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수단은,
    상기 탑승 캡슐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부의 자화시 자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에 부착되며, 상기 탑승 캡슐의 지지하는 이동체; 및
    상기 전자석부와 상기 이동체 사이에 탄성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부의 비자화시 팽창되어 상기 이동체에 상방향의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
KR1020180088852A 2018-07-30 2018-07-30 비상 탈출용 구명정 KR10210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52A KR102106610B1 (ko) 2018-07-30 2018-07-30 비상 탈출용 구명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52A KR102106610B1 (ko) 2018-07-30 2018-07-30 비상 탈출용 구명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39A true KR20200013539A (ko) 2020-02-07
KR102106610B1 KR102106610B1 (ko) 2020-05-04

Family

ID=6957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52A KR102106610B1 (ko) 2018-07-30 2018-07-30 비상 탈출용 구명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5763B1 (en) 2022-01-10 2023-01-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cycle saddle with spring-based vibration isolation
US11485437B2 (en) 2020-11-19 2022-11-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cycle saddle with vibration isolators
US11603153B1 (en) 2022-01-10 2023-03-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cycle saddle with super elastic material member activated vibration isolation
US11628898B1 (en) * 2022-01-10 2023-04-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ibration isolation for bicycle saddle using super elastic material memb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383U (ko) * 2013-06-13 2014-1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KR20140006382U (ko) 2013-06-13 2014-1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KR20150105084A (ko) * 2014-03-07 2015-09-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
KR20160000735U (ko) * 2014-08-25 2016-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383U (ko) * 2013-06-13 2014-1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KR20140006382U (ko) 2013-06-13 2014-1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KR20150105084A (ko) * 2014-03-07 2015-09-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
KR20160000735U (ko) * 2014-08-25 2016-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610B1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539A (ko) 비상 탈출용 구명정
EP2138395B1 (en)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US10259550B2 (en) Waterborne payload deployment vessel and method
KR102039981B1 (ko)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CN106043636A (zh) 一种气囊式智能助浮救援潜器
KR101984979B1 (ko) 선박 또는 해양 설비용 탈출 장치
KR20160030738A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CN106741709A (zh) 一种客船防倾覆气囊分级释放系统
KR20150042337A (ko) 선박용 에어백 시스템
CN202632380U (zh) 一种船用黑匣子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Lee et al. A buoyancy device design for antisink ships
KR20150118712A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CN204937428U (zh) 一种tpu气囊防侧倾装置
KR20180068713A (ko)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Nelson et al. Measured accelerations on free-fall lifeboats
KR20170123464A (ko)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Rice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n improved Wave Glider recovery system
CN110155253A (zh) 一种船舶救生艇释放装置
CN108263577A (zh) 遥控救生圈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CN106741660B (zh) 船舶
Nelson et al. Effects of CG location on the launch behavior of free-fall lifeboats
Morrall et al. Trials on inflatable liferafts
KR20200014549A (ko) 완충 장치 및 상기 완충 장치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