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81B1 -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81B1
KR102039981B1 KR1020190040733A KR20190040733A KR102039981B1 KR 102039981 B1 KR102039981 B1 KR 102039981B1 KR 1020190040733 A KR1020190040733 A KR 1020190040733A KR 20190040733 A KR20190040733 A KR 20190040733A KR 102039981 B1 KR102039981 B1 KR 102039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chute
buoyancy
rear end
fusel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아주실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실업(주) filed Critical 아주실업(주)
Priority to KR102019004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64C25/56Floa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42Pack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46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52Opening, e.g. manual
    • B64D17/54Opening, e.g. manual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62Deployment
    • B64D17/70Deployment by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8Airborne targets, e.g. drones, kites, 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1/00Airbags mounted in aircraft for any use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에 회수용 주낙하산이 구비되어, 대공 사격훈련 임무 완료 후 상기 회수용 주낙하산을 펼쳐 착륙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공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후단에 설치되되, 내측에 보조 낙하산과 상기 보조 낙하산과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는 플로팅수단이 수납되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후단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 낙하산이 상기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져 비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수용 주낙하산이 펼쳐지도록 구동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공 표적기를 회수하기 위해 먼저 대공 표적기의 비행방향 후방으로 보조 낙하산을 전개하여 비행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시킨 다음, 회수용 주낙하산을 전개시켜 회수용 주낙하산에 가해지는 공기 마찰항력을 줄여 주낙하산이 찢어지지 않도록 하여, 착륙단계에서 대공 표적기 동체의 파손없이 지정된 지점으로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공 표적기가 물속으로 추락하더라도, 보조 낙하산의 후단에 연결된 플로팅수단이 물 위에 뜨도록 하여 추락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주변 어선의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A speed reducer of floating type variable speed training target}
본 발명은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공 표적기 동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보조 낙하산과 플로팅수단이 동체의 후단으로 펼쳐지면서 비행중인 대공 표적기의 속도가 일정 속도로 감속된 다음, 회수용 주낙하산이 펼쳐지도록 하는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공 표적기는 군부대에서 대공 사격훈련에 사용되는 무인 비행체이다.
이러한 대공 표적기의 엔진에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로틀 조절장치(Throttle Control System)가 없어, 사격훈련 임무완료 후 대공 표적기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조작을 통해 동체 내에 수납된 회수용 주낙하산을 펼쳐 대공 표적기 동체가 속도를 줄여 착륙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공 표적기는 사격훈련을 위해 고속으로 비행하고 있어, 회수용 주낙하산이 펼쳐질 경우, 대공 표적기의 무게 및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낙하산이 찢어지게 되어, 대공 표적기가 낙하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지상충격으로 동체 및 엔진이 파손된다. 아울러, 이러한 낙하산의 파손에 의해 대공 표적기가 군부대 내 지정된 착륙지점에 착륙하지 못하고 민간구역으로 떨어지게 되어 피해가 더 커지는 상황이 발생된다.
또한, 훈련중 대공 미사일이 대공 표적기에 설치된 표적을 벗어나 대공 표적기를 오발 격추하거나 엔진고장 등으로 인해 대공 표적기가 해상으로 추락될 경우, 일반적으로 민간어선으로 회수하고 있으나, 이때 대공 표적기의 정확한 추락지점을 찾지 못하여 대공 표적기가 바닥에 가라앉아, 사격훈련장 주변 어민들의 어망에 대공 표적기의 동체가 걸려 조업에 피해를 주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대공 표적기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공 표적기의 후단에 감속장치를 부착시켜 대공 표적기가 감속된 상태에서 주낙하산이 펼쳐지도록 하여 동체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4764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공 표적기의 후단에 보조 낙하산이 수납된 감속장치를 설치하고, 대공 표적기 회수를 위해 보조 낙하산을 펼쳐 비행속도를 감속시킨 다음, 주낙하산이 펼쳐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 낙하산의 후단에 플로팅수단을 연결시켜, 대공 표적기가 물속으로 추락하더라도 물 위로 플로팅수단이 뜰 수 있도록 하여 추락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동체에 회수용 주낙하산이 구비되어, 대공 사격훈련 임무 완료 후 상기 회수용 주낙하산을 펼쳐 착륙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공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후단에 설치되되, 내측에 보조 낙하산과 상기 보조 낙하산과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는 플로팅수단이 수납되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후단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 낙하산이 상기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져 비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수용 주낙하산이 펼쳐지도록 구동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동체의 후단에 형성된 수평꼬리날개의 상부면에 상기 동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으로 개방되는 캡이 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 수납공간에 수납되되, 상기 캡이 개방되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져 상기 동체의 비행속도를 감속시키는 보조 낙하산과, 상기 보조 낙하산의 후단에 연결줄로 연결되며,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는 플로팅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측에는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캡이 개방될 경우에는 상기 보조 낙하산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밀려나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펼쳐진다.
더욱이, 상기 플로팅수단은 전단이 상기 연결줄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내측에 수납공간이 연장되며, 후단에는 일정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캡이 설치되는 수납몸체와, 상기 수납몸체의 외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속되도록 일정 개수로 분할설치되되, 후단이 상기 수납몸체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비행중 전면으로 가해지는 마찰항력에 의해 전면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외측으로 펼쳐지는 부력체와, 상기 수납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부력체의 회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센싱제어모듈과, 상기 수납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축가스공급기와, 상기 수납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상기 센싱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부력체의 회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압축가스공급기를 통해 압축가스가 주입되도록 하여, 일정 크기로 팽창되는 팽창튜브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튜브가 팽창됨에 의해 팽창압으로 상기 수납몸체의 캡이 개방되면서, 팽창튜브가 수납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팽창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는 삼각형의 단면구조로, 전면은 내측으로 만곡진 마찰항력유도면으로 형성되어, 비행중 공기의 마찰항력이 마찰항력유도면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상기 부력체가 마찰항력에 의해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수납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기 부력체의 측면은 평면 또는 내측으로 만곡진 부력지지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몸체의 후단 외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90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공 표적기를 회수하기 위해 먼저 대공 표적기의 비행방향 후방으로 보조 낙하산을 전개하여 비행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시킨 다음, 회수용 주낙하산을 전개시켜 회수용 주낙하산에 가해지는 공기 마찰항력을 줄여 주낙하산이 찢어지지 않도록 하여, 착륙단계에서 대공 표적기 동체의 파손없이 지정된 지점으로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공 표적기가 물속으로 추락하더라도, 보조 낙하산의 후단에 연결된 플로팅수단이 물 위에 뜨도록 하여 추락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주변 어선의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대공 표적기의 회수를 위해 주낙하산을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대공 표적기의 후단에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단면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펼쳐진 상태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이 물 위에 부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대공 표적기의 후단에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는 동체에 회수용 주낙하산(10)이 구비되어, 대공 사격훈련 임무 완료 후 회수용 주낙하산(10)을 펼쳐 착륙되도록 하는 대공 표적기의 동체 후단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는 동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내측에 보조 낙하산(200)과, 보조 낙하산(200)과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물속에서 물 위로 뜨게 되는 플로팅수단(300)이 수납되는 감속부(20)와, 이러한 감속부(20)의 후단을 개방시켜 보조 낙하산(200)이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감속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보조 낙하산(200) 및 플로팅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대공 표적기 동체의 후단에 마련된 수평꼬리날개의 상부면에 동체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캡(110)이 설치되며,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 낙하산(200)과 플로팅수단(30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수납공간의 내측 단부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120)이 개재되어 캡(110)이 후방으로 개방되면 탄성수단(120)의 탄성압력에 의해 낙하산이 수납공간의 후방으로 밀려나가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낙하산(200)은 상기와 같이 탄성수단(120)과 연결되어, 캡(110)이 개방되면 수납공간 내에서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보조 낙하산(200)의 표면 마찰저항에 의해 동체의 비행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
플로팅수단(300)은 부력체로서 보조 낙하산(200)의 후단에 연결줄(210)로 연결되며, 대공 표적기의 동체가 물속으로 잠기더라도 부력으로 인해 후단으로 연결된 플로팅수단(300)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플로팅수단(300)에 의해 추락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대공 표적기의 회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구동제어모듈(30)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무선단말 또는 기설정된 제어명령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아 하우징(100) 후단의 캡(110)을 개방시켜 보조 낙하산(200)이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하며, 아울러, 이러한 보조 낙하산(200)의 전개에 의해 동체의 비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회수용 주낙하산(10)이 상방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공 사격훈련을 마치고 대공 표적기의 복귀시, 회수용 주낙하산(10)을 펼치기 전에 미리 구동제어모듈(30)에서 하우징(100) 후단의 캡(110)을 개방시켜, 보조 낙하산(200)이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보조 낙하산(200)의 전개로 인해 대공 표적기의 비행속도가 감속되도록 하며, 이러한 비행속도를 구동제어모듈(30)에서는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기설정된 일정 속도 이하로 비행속도가 감속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회수용 주낙하산(10)이 펼쳐지도록 구동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동체의 비행속도가 어느 정도 감속된 이후 회수용 주낙하산(10)이 펼쳐지도록 하여, 비행속도를 어느 정도 줄여 낙하산 전개시 동체의 비행속도에 의한 공기 마찰저항으로 인해 낙하산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보조 낙하산(200)의 후단에는 플로팅수단(300)이 구비되어 동체가 강이나 바다로 떨어지더라도, 부력체인 플로팅수단(300)이 수면위로 상승됨에 의해 추락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을 통해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단면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의 펼쳐진 상태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로팅수단(300)이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면서 팽창튜브(350)가 팽창되도록 하여, 하우징(100) 내부 수납공간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팽창튜브(350)가 수납가능하도록 하여 비행중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함께, 보조 낙하산(200)이 펼쳐질 경우 팽창튜브(350)도 함께 팽창되어 보조 낙하산(200)이 공기 마찰항력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팽창튜브(350)가 어느 정도 마찰항력에 대응하여 비행속도를 감속시키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며, 더욱이 대공 표적기 동체가 물 위로 떨어지더라도 팽창된 팽창튜브(350)에 의해 물속으로 동체가 가라앉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플로팅수단(300)은 수납몸체(310), 부력체(320), 센싱제어모듈(330), 압축가스공급기(340) 및 팽창튜브(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몸체(310)는 전단이 연결줄(210)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내측에 수납공간이 연장되며, 후단에는 일정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캡(311)이 설치된다. 아울러 수납몸체(310)의 후단 외측면에는 스토퍼(312)가 돌출형성되어, 수납몸체(31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체(320)가 일정각도 즉, 90°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부력체(320)는 수납몸체(310)의 외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속되도록 일정 개수로 분할설치되되, 후단이 수납몸체(31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비행중 전면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마찰항력에 의해 전면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부력체(320)는 삼각형의 단면구조로, 전면이 내측으로 만곡진 마찰항력유도면(321)으로 형성되어, 비행중 전면으로 가해지는 마찰항력이 마찰항력유도면(321)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부력체(320)가 마찰항력에 의해 수납몸체(310)외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아울러, 수납몸체(310)의 외측면을 감싸는 부력체(320)의 내측면은 평면 또는 내측으로 만곡진 형상의 부력지지면(322)으로 형성되며, 부력체(320)가 수납몸체(310)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스토퍼(312)에 의해 부력지지면(322)이 수납몸체(3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90°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펼쳐진 부력지지면(322)은 수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센싱제어모듈(330)은 수납몸체(3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부력체(320)의 회동을 감지하도록 하며, 부력체(320)가 회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가스공급기(3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압축가스공급기(340)는 수납몸체(3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센싱제어모듈(330)의 제어에 의해 팽창튜브(350)로 압축가스가 주입되도록 한다.
팽창튜브(350)는 수납몸체(310)의 내측에 수납되며, 부력체(320)의 회동이 감지된 경우 센싱제어모듈(330)의 제어에 의해 압축가스공급기(340)에서 압축가스가 팽창튜브(350) 내측으로 주입된다. 이때, 수납공간 내측에서 팽창되는 팽창튜브(350)는 팽창압에 의해 수납몸체(310)의 후단 캡(311)을 밀면서 수납공간을 개방시켜 팽창튜브(350)가 수납몸체(310)의 외측에서 일정 크기로 팽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팽창된 팽창튜브(350)는 표면 마찰항력에 의해 비행속도를 어느 정도 감속시키도록 하며, 특히 대공 표적기 동체가 물속으로 가라앉더라도 수면 위에서 부표 역활을 수행하도록 하여 육안으로 쉽게 추락지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수단이 물 위에 부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비행중 감속부(20)의 후단이 개방되어 내측에 보조 낙하산(200)이 후방으로 전개되면, 보조 낙하산(200)과 연결된 플로팅수단(300)도 이와 함께 후방으로 노출되어 부력체(320)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공기 마찰항력에 의해 부력체(320)가 수납몸체(310)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수납몸체(310)의 후단에 형성된 스토퍼(312)에 의해 부력체(320)가 일정 각도로만 펼쳐져 부력지지면(322)이 수납몸체(3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와 함께, 센싱제어모듈(330)에서는 부력체(320)의 회동을 감지하여 압축가스공급기(340)를 동작시켜 수납몸체(310) 내측에 수납된 팽창튜브(350)로 압축가스를 공급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팽창튜브(350) 내측으로 압축가스가 공급되면, 팽창튜브(350)가 팽창되면서 수납몸체(310)의 후단 캡(311)을 밀어 외측에서 일정 크기의 구형태로 팽창된다.
그리고 구동제어모듈(30)에서 동체의 비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회수용 주낙하산(10)을 전개시켜 지정된 지점으로 착륙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대공 표적기의 동체가 물 속으로 가라앉게 될 경우에는 수납몸체(310)의 외측으로 펼쳐진 부력체(320)가 수면 위로 뜨게 되며, 아울러 펼쳐진 부력체(320)의 부력지지면(322)이 수면과 대응되도록 하여 부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부력체(320)는 팽창튜브(350)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로 펼쳐지게 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날카로운 조각편 등에 의해 팽창튜브(350)가 찢어지지 않고 팽창튜브(350)의 하부 표면을 보호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팽창튜브(350)는 상부에서 추락지점을 관측하기 용이한 부표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대공 표적기 동체가 물속으로 가라앉더라도 팽창튜브(350) 자체의 부력으로 인해 대공 표적기가 완전히 가라앉지 않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회수용 주낙하산 20 : 감속부
30 : 구동제어모듈
100 : 하우징 110 : 캡
120 : 탄성수단
200 : 보조 낙하산 210 : 연결줄
300 : 플로팅수단 310 : 수납몸체
311 : 캡 312 : 스토퍼
320 : 부력체 321 : 마찰항력유도면
322 : 부력지지면 330 : 센싱제어모듈
340 : 압축가스공급기 350 : 팽창튜브

Claims (6)

  1. 동체에 회수용 주낙하산이 구비되어, 대공 사격훈련 임무 완료 후 상기 회수용 주낙하산을 펼쳐 착륙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공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후단에 설치되되, 내측에 보조 낙하산과 상기 보조 낙하산과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는 플로팅수단이 수납되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후단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 낙하산이 상기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져 비행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수용 주낙하산이 펼쳐지도록 구동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속부는
    상기 동체의 후단에 형성된 수평꼬리날개의 상부면에 상기 동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으로 개방되는 캡이 후단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 수납공간에 수납되되, 상기 캡이 개방되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동체의 후방으로 펼쳐져 상기 동체의 비행속도를 감속시키는 보조 낙하산과,
    상기 보조 낙하산의 후단에 연결줄로 연결되며,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는 플로팅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측에는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캡이 개방될 경우에는 상기 보조 낙하산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밀려나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펼쳐지며,
    상기 플로팅수단은
    전단이 상기 연결줄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내측에 수납공간이 연장되며, 후단에는 일정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캡이 설치되는 수납몸체와,
    상기 수납몸체의 외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속되도록 일정 개수로 분할설치되되, 후단이 상기 수납몸체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비행중 전면으로 가해지는 마찰항력에 의해 전면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외측으로 펼쳐지는 부력체와,
    상기 수납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부력체의 회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센싱제어모듈과,
    상기 수납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축가스공급기와,
    상기 수납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상기 센싱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부력체의 회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압축가스공급기를 통해 압축가스가 주입되도록 하여, 일정 크기로 팽창되는 팽창튜브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튜브가 팽창됨에 의해 팽창압으로 상기 수납몸체의 캡이 개방되면서, 팽창튜브가 수납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팽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삼각형의 단면구조로,
    전면은 내측으로 만곡진 마찰항력유도면으로 형성되어, 비행중 공기의 마찰항력이 마찰항력유도면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상기 부력체가 마찰항력에 의해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기 부력체의 측면은 평면 또는 내측으로 만곡진 부력지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의 후단 외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90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KR1020190040733A 2019-04-08 2019-04-08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KR10203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33A KR102039981B1 (ko) 2019-04-08 2019-04-08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33A KR102039981B1 (ko) 2019-04-08 2019-04-08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981B1 true KR102039981B1 (ko) 2019-11-04

Family

ID=6857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733A KR102039981B1 (ko) 2019-04-08 2019-04-08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5177A (zh) * 2020-12-10 2021-04-02 航天神舟飞行器有限公司 一种超音速隐身靶机
KR20210068956A (ko) 2019-12-02 2021-06-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의 감속장치
KR102296963B1 (ko) 2020-05-11 2021-09-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사용 가능한 비행 시험용 표적기를 이용한 표적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177A (en) * 1979-11-09 1981-11-03 Berlongieri John J Aircraft safety apparatus
JP2001120848A (ja) * 1999-10-25 2001-05-08 Heikon Ryu ラジコン模型飛行物の安全装置およびラジコン模型飛行物
KR20020048139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KR101476431B1 (ko) 2013-01-08 2014-12-24 최준호 표적판 및 이를 적용한 이동형 표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177A (en) * 1979-11-09 1981-11-03 Berlongieri John J Aircraft safety apparatus
JP2001120848A (ja) * 1999-10-25 2001-05-08 Heikon Ryu ラジコン模型飛行物の安全装置およびラジコン模型飛行物
KR20020048139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KR101476431B1 (ko) 2013-01-08 2014-12-24 최준호 표적판 및 이를 적용한 이동형 표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56A (ko) 2019-12-02 2021-06-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의 감속장치
KR102296963B1 (ko) 2020-05-11 2021-09-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사용 가능한 비행 시험용 표적기를 이용한 표적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N112595177A (zh) * 2020-12-10 2021-04-02 航天神舟飞行器有限公司 一种超音速隐身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981B1 (ko) 부표형 대공 표적기 감속장치
EP219074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7350475B2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AU200929306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9969491B2 (en) Drone launch systems and methods
US4753400A (en) Shipboard air vehicle retrieval apparatus
US8256336B2 (en) System for disabling small water craft
US10259550B2 (en) Waterborne payload deployment vessel and method
US20180327057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hauling a marine equipment unit, a marine equipment unit and a carrier
CN109466726A (zh) 一种基于无人机平台的海上救援系统及救援方法
GB2527344A (en) Launching aerial devices
EP3275776B1 (en) Water landing parachute trap and method
US5973994A (en) Surface launched sonobuoy
US7752990B2 (en) Device for destroying subsea or floating objects
KR102292692B1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Jones Contingency Situations and Plans for Retrieval of Solid Rocket Boosters of the NASA Space Shuttle
SE544604C2 (en) Nose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ploying a nose arrangement of an underwater vehicle
JPS591632B2 (ja) 係維式機雷の処分用装置
NO865266L (no) Marint overlevelses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