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45B1 -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45B1
KR101866745B1 KR1020160141077A KR20160141077A KR101866745B1 KR 101866745 B1 KR101866745 B1 KR 101866745B1 KR 1020160141077 A KR1020160141077 A KR 1020160141077A KR 20160141077 A KR20160141077 A KR 20160141077A KR 101866745 B1 KR101866745 B1 KR 101866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unit
injection
lock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162A (ko
Inventor
윤득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1Air-sea rescue devices, i.e. equipment carried by, and capable of being dropped from, a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4D2700/6257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되는 구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구명벌과, 상판에 상기 구명벌을 수납하며 상기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되는 구명정와, 상기 구명정이 상기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될 때, 상기 구명정과 연결되어 상기 구명정의 낙하 속도가 감속되도록 펼쳐지는 낙하산을 포함하는 낙하산구조체와, 상기 구명정이 낙하 후 수면에 안착되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원격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구명정을 운항하는 운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AIRDROP RESCUE APPARATUS FOR DELIVERING LIFE RAFT TO SURVIVOR}
본 발명은 구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에서 투하되어 해상의 조난자들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구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구명벌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공중 투하 시 팽창하면서 낙하하는 구명벌과 다른 하나는 해상에 낙하하여 해수 센서에 의해 팽창되는 구명벌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공중 투하된 구명벌에 조난자가 탑승하기 위해서는 조난자 스스로 구명벌로 이동하거나, 구명벌이 바람과 조류 방향에 의해 조난자에게 접근할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명벌 운영 방식들은 조난자의 체력이 바닥이 나거나, 조난자가 있는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구명벌이 흘러가는 경우, 조난자가 구명벌에 탑승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난자를 구조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3628호 2016년 5월 13일 공개 (명칭: 구명정자동투하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해난 사고를 당한 조난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명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 투하 구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되는 구명 장치는 상기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되는 구명정과, 상기 공중 투하 시, 상기 구명정의 낙하 속도가 감속되도록 펼쳐지는 낙하산을 포함하는 낙하산구조체와, 상기 구명정이 낙하 후 수면에 안착되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원격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구명정이 조난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상기 구명정을 이동시키는 운항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명정이 수면에 안착한 후, 상기 구명정과 연결되는 낙하산 줄이 자동으로 잘려지도록 하는 연결해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운항부는 조난자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처리부와, 안테나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구명정이 이동하도록 물을 분사하는 워터제트와, 상기 위치정보처리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조난자의 위치로 상기 구명정이 이동하도록 워터제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원격 조정 신호에 따른 위치로 상기 구명정이 이동하도록 상기 워터제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항부는 상기 구명정이 조난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을 수면에 진수시키는 진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명벌을 수면에 진수시키도록 하는 원격 진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진수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을 수면에 진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명벌은 원격 주입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탱크와, 상기 가스탱크와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탱크의 입구를 밀봉하여 상기 가스탱크 내의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지막과 상기 방지막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주입핀과, 상기 주입핀과 결합하여 상기 주입핀이 상기 방지막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응력을 가지는 주입스프링과, 상기 구명벌과 연결되는 통로인 주입홀을 포함하는 가스주입부 및 상기 주입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와 연결된 방아쇠 줄을 권취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트리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가 원격 주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보빈이 상기 방아쇠 줄이 감기도록 회동하여 상기 방아쇠가 상기 주입핀을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방지막이 파열되며, 상기 가스탱크 내의 가스는 상기 방지막의 파열된 틈으로 유출되고,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구명벌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명벌을 탑재한 구명정을 공중 투하하고, 이 구명정이 조난자에게 근접한 후, 구명벌을 제공함으로써, 조난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어, 해난 사고 시 더 많은 인용을 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 투하 구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해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해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항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 투하 구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 투하 구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에서 투하되는 구명 장치는 구명정(100), 낙하산구조체(200), 연결해제부(300), 운항부(400) 및 구명벌(500)을 포함한다.
구명정(100)은 해난 사고로 인한 조난 지역에서 비행체(10)로부터 공중 투하된다. 구명정(100)이 공중 투하될 때, 낙하산구조체(200)는 구명정(100)과 연결되어 구명정(100)의 낙하 속도가 감속되도록 펼쳐지는 낙하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낙하산을 이용하여 구명정(100)의 낙하 중의 속도를 줄이기 때문에, 구명정(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해제부(300)는 구명정(100)이 낙하 후, 수면에 안착되면, 낙하산구조체(200)의 낙하산과 구명정 간에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결해제부(300)는 구명정(100)이 낙하 후, 구명정(100)에 연결된 낙하산 줄을 자동으로 자른다. 그리고 운항부(400)는 구명정(100)이 낙하 후 수면에 안착되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원격 조정 신호에 따라 구명정(100)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구명정(100)을 운항하고, 구명벌을 진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구명벌(500)는 구명정(100)이 조난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한 후, 진수되면,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이 자동으로 부풀어 올라 조난자가 구명벌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정(100)을 비행체로부터 낙하시킨 후, 조난자 근처로 구명정(100)을 이동시키고, 조난자 주변에 구명벌을 진수시킨다. 이에 따라, 조난자가 스스로 구명벌로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난자를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 투하 구명 장치의 구성 중 낙하산구조체(200) 및 연결해제부(3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구조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낙하산구조체(200)는 낙하산팩(210) 및 낙하산(220)을 포함한다. 낙하산팩(210)은 구명정(100)에 고정되며, 구명정(100)이 공중 투하될 때, 자동으로 펼쳐진다. 낙하산(220)은 낙하산팩(210)과 연결되어 낙하산팩(210) 내에 수납된다. 낙하산(220)은 낙하산팩(210)이 펼쳐짐에 따라 펼쳐진다. 이에 따라, 구명정(100)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산 줄(230)은 낙하산(220)을 낙하산팩(210)을 통해 구명정(100)과 연결한다. 여기서, 낙하산 줄(230)의 중간에 연결해제부(300)가 연결된다. 연결해제부(300)는 구명정(100)이 공중 투하 된 후, 수면에 안착하면, 낙하산 줄(230)을 자동으로 절단한다. 이러한 연결해제부(300)는 연결해제부(300)가 물에 잠길 때, 수압에 의해 낙하산 줄(230)을 자동으로 절단한다. 연결해제부(300)는 낙하산 줄(230)을 절단하기 위해서 연결해제부(300)가 물에 잠겨야 하기 때문에 연결해제부(300)를 잠길 수 있도록 추(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연결해제부(300)의 낙하산 줄(230)을 절단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해제부의 단면도이다. 연결해제부(300)는 수용관(310), 절단관(320), 절단기(330), 절단스프링(340), 잠금통(350), 잠금판(360), 잠금핀(370) 및 잠금스프링(380)을 포함한다.
수용관(31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이며, 개방된 양단을 통해 낙하산 줄(230)을 수용한다. 절단관(320)은 수용관(310)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중공의 형상을 가진다. 절단관(320)에서 수용관(31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절단관(320)에서 수용관(310)과 연결된 부분에는 절단홀(311)이 형성된다. 절단관(320)의 내부에는 절단기(330) 및 절단스프링(340)이 형성된다. 폐쇄된 단부의 절단관(320) 내측에서부터 수용관(310)과 연결된 부분의 방향으로 절단스프링(340) 및 절단기(330)가 순차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절단스프링(340)은 압축코일 스프링(helical compressive spring)이 될 수 있고, 절단기(330)는 낙하산 줄(230)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될 수 있다. 절단기(330)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일 측에 절단기(3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잠금홀(331)이 형성되며, 형성된 잠금홀(331)은 잠금핀(3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잠금핀(370)의 형상 및 크기와 공차 이내의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연결해제부(300)는 처음 잠금핀(370)이 절단기(330)의 잠금홀(331)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홀(331)에 삽입된 상태이면, 절단스프링(34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잠금통(350)은 절단관(320)과 수직 방향에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잠금통(350)의 내부에는 잠금판(360), 잠금핀(370) 및 잠금스프링(380)이 형성된다. 잠금통(350) 내의 절단관(32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절단관(320)과 연결된 부분에는 연결홀(351)이 형성된다. 잠금통(350)의 폐쇄된 단부로부터 절단관(320)과 연결된 부분의 방향으로 잠금스프링(380), 잠금판(360) 및 잠금핀(370)이 순차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잠금스프링(380)은 압축코일 스프링(helical compressive spring)이 될 수 있다. 잠금판(36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핀(370)은 잠금판(36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잠금통(350)의 측면 하부에는 복수의 유입홀(353)이 형성되며, 연결해제부(300)가 해수에 잠길 때, 유입홀(353)을 통해 잠금통(350) 내에 해수가 유입된다. 해수가 유입되면, 잠금판(360)에 해수로 인한 압력이 가해지며, 잠금판(360)에 가해지는 압력은 잠금스프링(380)에 압축 응력을 가한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해수가 유입될수록 압축 응력이 커지며, 잠금스프링(380)의 상수 이상의 압축 응력이면, 잠금스프링(380)이 압축된다. 잠금스프링(380)이 압축되면, 잠금판(360)이 상승하고, 이와 연결된 잠금핀(370) 또한 상승한다. 잠금핀(370)은 연결홀(351)을 통해 이동하며, 절단관(320)의 일 측에 형성된 잠금홀(331)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스프링(380)이 해수로 인해 압축되면, 잠금핀(370)이 상승하여 잠금핀(370)은 절단관(320)의 일 측에 형성된 잠금홀(331)로부터 인출된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잠금핀(370)이 잠금홀(331)로부터 인출되면, 압축된 상태의 절단스프링(340)이 팽창하며, 절단스프링(340)의 팽창으로 인해 절단기(330)는 절단홀(331)을 통해 수용관(310) 내부로 이동하며, 낙하산 줄(230)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연결해제부(300)가 해수에 잠기게 되면, 자동으로 낙하산 줄(230)이 절단되고, 구명정(100)과 낙하산(220)이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해제부의 단면도이다. 한편,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낙하산 줄(230)의 일부는 물에 녹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해제부(300)는 낙하산 줄(230)의 물에 녹는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침몰관(390)이 될 수 있다. 침몰관(390)은 낙하산 줄(230)의 물에 녹는 재질로 형성된 부분이 물에 잘 가라앉도록 물 보다 비중이 높은 물질로 형성된다. 침몰관(390)은 납 등의 비중이 높은 금속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몰관(390)은 물에 가라앉은 후 낙하산 줄(230)의 물에 녹는 재질로 형성된 부분에 물이 잘 스며들도록 복수의 침투홀(39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구명정(100)이 공중 투하 된 후, 수면에 안착하면, 침몰관(390)으로 형성된 연결해제부(300)는 낙하산 줄(230)의 물에 녹는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물에 가라앉히고 물에 녹도록 하여 낙하산 줄(230)이 절단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명정(100)과 낙하산(220)이 분리된 후, 구명정(100)은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조난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구명 장치(100)는 운항부(40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항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운항부(400)는 통신부(410), 안테나(411), 워터제트(420), 입력부(440), 저장부(450), 위치정보처리부(460), 발열부(470), 진수부(480) 및 제어부(49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연결된 안테나(411)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 및 원격 진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워터제트(420)는 구명정(100) 선체 하부의 물을 끌어 올려 선체 후미로 분사하여 구명정(100)이 이동하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워터제트(420)는 가변 노즐을 포함하며, 가변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구명정(100)이 이동하는 방향을 조절한다. 제어부(490)는 워터제트(420)를 제어하여 구명정(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진수부(450)는 구명정(100)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500)을 수면에 진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력부(440)는 운항부(400)를 제어하거나, 운항부(400)에 대한 특정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입력부(440)는 특정한 키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해당하는 키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90)로 전달한다.
저장부(450)는 운항부(4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운항부(400)의 동작의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조난자의 위치 정보,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구명정(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처리부(460)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490)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490)는 통신부(410)를 통해 구조자가 구비한 위치 표시 장치(미도시)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구조자는 위치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구명정(1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발열부(470)는 구명정(100) 상부에 장착되어 열을 발산하며, 야간에 구명정(100) 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즉, 발열부(470)의 발열에 따라 구조자는 야간 투시경을 통해 구명정(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90)는 입력부(440)를 통해 조난자의 위치를 좌표(예컨대, 위도, 경도, 고도)로 입력 받거나, 통신부(410)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90)는 입력된 좌표 혹은 수신된 원격 조정 신호에 따라 구명정(100)이 이동하도록 워터제트(4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90)는 통신부(410)를 통해 원격 진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원격 진수 신호에 따라 진수부(450)를 제어하여 구명벌(500)이 진수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행체(10)에 탑승한 구조자는 입력부(440)를 통해 조난자의 위치, 즉, 좌표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90)는 조난자의 위치를 좌표로 저장부(450)에 저장한다. 구명정(100)이 공중 투하된 후, 낙하산 줄이 분리되면, 제어부(490)는 위치정보처리부(460)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좌표)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구명정(100)의 현재 위치(좌표)를 지속적으로 식별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490)는 식별된 구명정(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저장부(450)에 저장된 조난자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워터제트(420)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행체(10)에 탑승한 구조자는 원격조정기(11)를 통해 구명정(100)이 조난자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구조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조정기(11)는 구명정(100)이 조난자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원격 조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원격조정기(11)로부터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원격 조정 신호를 제어부(490)에 전달한다. 제어부(490)는 통신부(410)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면, 원격 조정 신호에 따라 워터제트(4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490)는 원격 조정 신호에 상응하는 이동 방향 및 속도를 가지도록 워터제트(4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자는 원격조정기(11)를 조작하여 구명정(100)으로부터 구명벌(500)이 진수되도록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구조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조정기(11)는 구명정(100)으로부터 구명벌(500)이 진수되도록 하는 원격 진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원격조정기(11)로부터 원격 진수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원격 진수 신호를 제어부(490)에 전달한다. 제어부(490)는 통신부(410)를 통해 원격 진수 신호를 수신하면, 원격 진수 신호에 따라 진수부(45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490)는 원격 진수 신호에 따라 구명정(100)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500)이 수면에 진수되도록 진수부(450)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자의 조난자 위치 입력 혹은 원격조정기(11)를 이용한 원격 제어에 의해 구명정(100)이 조난자의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한 후, 구명정(100)에 탑재된 구명벌(500)에 조난자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구명벌(500)을 진수시킨다. 그런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벌(500)은 원격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팽창하여 조난자가 구명벌(500)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구명벌(500)은 구명벌본체(510), 수신부(520), 트리거부(530), 가스주입부(540) 및 가스탱크(550)를 포함한다.
진수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500)을 탑재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에 의해 탑재된 구명벌(500)을 진수시킨다. 구명벌(500)이 진수된 후, 구명벌본체(510)가 자동으로 부풀어 올라 조난자가 구명벌(500)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벌본체(510) 내부에 수신부(520), 트리거부(530), 가스주입부(540) 및 가스탱크(550)가 순차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비행체(10)에 탑승한 구조자는 원격조정기(11)를 조작하여 구명벌본체(510)가 자동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할 수 있다. 즉, 구조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조정기(11)는 구명벌본체(510)가 자동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하는 원격 주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520)는 원격 주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가스탱크(550)는 구명벌본체(510)가 부풀어 올라 부력을 가지도록 하는 가스를 압축 저장한다. 이러한 가스는 질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주입부(540)는 트리거부(530)에 동작에 따라 가스탱크(550)의 가스를 구명벌본체(510)에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트리거부(530)는 가스주입부(540)가 가스탱크(550)의 가스를 구명벌본체(510)에 주입하도록 가스주입부(540)를 동작시킨다.
가스주입부(54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스주입부(540)와 가스탱크(55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스탱크(550)의 가스를 구명벌본체(510)에 주입하기 전까지 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지막(541)이 형성된다. 즉, 방지막(541)은 가스탱크(550) 내의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가스탱크(550)의 입구를 밀봉한다. 가스주입부(540)의 측부에 가스탱크(550)의 가스를 구명벌본체(510)에 주입할 때, 가스탱크(550)로부터 유출된 가스가 구명벌본체(510)에 주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홀(543)이 형성된다. 가스주입부(540)가 구명벌본체(510) 내부에 있기 때문에, 주입홀(543)은 구명벌본체(510)과 연결되는 통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스주입부(540) 내에는 방지막(541)에 대향하여 방지막(54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주입핀(545) 및 주입핀(545)의 외주연을 따라 주입핀(545)과 결합되는 주입스프링(547)이 형성된다.
트리거부(5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트리거부(530)의 내부에는 방아쇠 줄(533)이 권취된 보빈(531) 및 방아쇠(535)가 형성된다. 한편, 주입핀(545)의 방지막(541)의 반대 방향의 단부는 트리거부(530)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구명벌본체(510)에 가스를 주입하기 전, 방아쇠(535)의 일단은 주입핀(545)의 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방아쇠(535)의 타단은 방아쇠 줄(533)로 묶여 있고, 이러한 방아쇠 줄(533)은 보빈(531)에 권취된 상태이다.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수신부(520)가 원격 주입 신호를 수신하면, 원격 주입 신호는 보빈(531)이 방아쇠 줄(533)이 감기도록 한다. 이러한 원격 주입 신호에 따라 보빈(531)이 방아쇠 줄(533)이 감기도록 회동하면, 방아쇠(535)의 일단이 주입핀(545)을 눌러 주입핀(545)이 가스탱크(55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물리적인 압력을 가한다.
한편,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구명벌본체(510)에 가스를 주입하기 전, 주입스프링(547)에 소정의 압축 응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주입핀(545)은 방지막(54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때, 방아쇠(535)의 일단이 주입핀(545)을 눌러 주입핀(545)이 가스탱크(55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면, 주입스프링(547)에 소정 이상의 압축 응력이 가해진다. 그러면, 주입스프링(547)이 압축되면서 동시에 주입핀(545)이 이동하여 방지막(541)을 파열시킨다. 이에 따라, 가스탱크(550) 내의 가스는 방지막(541)의 파열된 틈으로 유출되며, 주입홀(543)을 통해 구명벌본체(510)에 유입된다. 그러면, 구명벌본체(510)가 자동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에 따라, 조난자는 부풀어 오른 구명벌본체(510), 즉, 구명벌(500)에 탑승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비행체 11: 원격조정기
100: 구명정 200: 낙하산구조체
300: 연결해제부 310: 수용관
320: 절단관 330: 절단기
340: 절단스프링 350: 잠금통
360: 잠금판 370: 잠금핀
380: 잠금스프링 400: 운항부
410: 통신부 411: 안테나
420: 워터제트
440: 입력부 450: 저장부
460: 위치정보처리부 470: 발열부
480: 진수부 490: 제어부
500: 구명벌 510: 구명벌본체
520: 수신부 530: 트리거부
540: 가스주입부 550: 가스탱크

Claims (5)

  1.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되는 구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되는 구명정;
    상기 공중 투하 시, 상기 구명정의 낙하 속도가 감속되도록 펼쳐지는 낙하산을 포함하는 낙하산구조체;
    상기 구명정이 낙하 후 수면에 안착되면, 상기 구명정이 조난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상기 구명정을 이동시키는 운항부; 및
    상기 구명정이 수면에 안착한 후, 상기 구명정과 연결되는 낙하산 줄이 자동으로 잘려지도록 하는 연결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해제부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이며, 개방된 양단을 통해 상기 낙하산 줄을 수용하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과 연결된 부분에 절단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절단스프링(340) 및 절단기를 포함하는 절단관; 및
    상기 절단관과 연결된 부분에 연결홀이 형성되며, 측면 하부에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잠금핀, 잠금판 및 잠금스프링을 포함하는 잠금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해제부가 해수에 잠길 때,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잠금통 내에 해수가 유입되면, 상기 잠금판에 가해지는 해수로 인한 압력에 따라 상기 잠금스프링에 압축 응력을 가해지고, 상기 잠금판과 연결된 상기 잠금핀이 상승하여, 상기 절단기의 잠금홀로부터 상기 잠금핀이 인출되고, 상기 잠금홀로부터 상기 잠금핀이 인출되면, 상기 절단스프링이 팽창하며, 상기 절단스프링의 팽창으로 인해 상기 절단기가 상기 절단홀을 통해 상기 수용관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낙하산 줄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부는
    조난자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처리부;
    안테나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명정이 이동하도록 물을 분사하는 워터제트; 및
    상기 위치정보처리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조난자의 위치로 상기 구명정이 이동하도록 워터제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원격 조정 신호에 따른 위치로 상기 구명정이 이동하도록 상기 워터제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부는
    상기 구명정이 조난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을 수면에 진수시키는 진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명벌을 수면에 진수시키도록 하는 원격 진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진수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명벌을 수면에 진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벌은
    원격 주입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탱크;
    상기 가스탱크와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탱크의 입구를 밀봉하여 상기 가스탱크 내의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지막과 상기 방지막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주입핀과, 상기 주입핀과 결합하여 상기 주입핀이 상기 방지막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응력을 가지는 주입스프링과, 상기 구명벌과 연결되는 통로인 주입홀을 포함하는 가스주입부; 및
    상기 주입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와 연결된 방아쇠 줄을 권취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가 원격 주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보빈이 상기 방아쇠 줄이 감기도록 회동하여 상기 방아쇠가 상기 주입핀을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방지막이 파열되며, 상기 가스탱크 내의 가스는 상기 방지막의 파열된 틈으로 유출되고,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구명벌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장치.
KR1020160141077A 2016-10-27 2016-10-27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KR101866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77A KR101866745B1 (ko) 2016-10-27 2016-10-27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77A KR101866745B1 (ko) 2016-10-27 2016-10-27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62A KR20180046162A (ko) 2018-05-08
KR101866745B1 true KR101866745B1 (ko) 2018-07-23

Family

ID=6218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077A KR101866745B1 (ko) 2016-10-27 2016-10-27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9802B (zh) * 2018-06-29 2020-04-17 温州伊诺韦特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上救援的旋翼无人机及其操作方法
KR102235877B1 (ko) * 2019-06-24 2021-04-05 케이피항공산업(주) 무인항공기에 장착된 임무장비를 이용한 구조 임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임무 수행 방법
CN112429231A (zh) * 2020-12-03 2021-03-02 乐清市足资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救援无人机
AU2022242173A1 (en) * 2021-03-22 2023-08-24 Aeromech Pty Ltd Unmanned surface vehicle
CN113212697B (zh) * 2021-05-20 2022-11-11 中信海洋直升机股份有限公司 一种直升机海面救援用绞索拉力平衡装备
KR102335250B1 (ko) * 2021-06-23 2021-12-07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가스 카트리지를 이용한 공압발생장치
CN115973374A (zh) * 2021-10-15 2023-04-18 中航西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水上救援空投舱及使用方法
CN114180003A (zh) * 2021-11-29 2022-03-15 江苏丞工科技有限公司 一种充气救生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6917B2 (ja) * 1992-12-08 2005-12-1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誘導式救助装置
KR101636045B1 (ko) 2014-11-05 2016-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정자동투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62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745B1 (ko)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CN106660619B (zh) 无人机式救生设备投放装置
KR200474119Y1 (ko) 익수자 구조용 무인비행기
KR101301614B1 (ko)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CN109850095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水下救援方法及其系统
US6533626B2 (en) On-board device for rescuing a person from the sea enabling a conscious person to rescue himself
KR101251631B1 (ko)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US7819714B2 (en)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KR101834496B1 (ko) 무인 비행체 용 구조 튜브 장치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US6558218B1 (en) Overboard rescue system
NO326576B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berging av personer og gjenstander
KR20160048737A (ko)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CN109466726B (zh) 一种基于无人机平台的海上救援系统及救援方法
WO2019123801A1 (ja) 水難事故の救命用具、およびそれを応用した用具や装置と方法
JP2012116387A (ja) 水難救助用無線ヘリコプター及び水難者救助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3886612A (en) Man overboard package
US20050245149A1 (en)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KR20220111538A (ko) 드론을 이용한 해상 인명구조장치
KR20150119587A (ko)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WO2019146595A1 (ja) 水難事故の救命用具、およびそれを応用した用具や装置と方法
CN216102708U (zh) 一种空投式水上救助筏
KR20150001199U (ko)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RU2681609C2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спасатель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2137790A (ja) 水難者の救助具および救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