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789A -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789A
KR20150058789A KR1020130141973A KR20130141973A KR20150058789A KR 20150058789 A KR20150058789 A KR 20150058789A KR 1020130141973 A KR1020130141973 A KR 1020130141973A KR 20130141973 A KR20130141973 A KR 20130141973A KR 20150058789 A KR20150058789 A KR 20150058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service platform
platform
board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김도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8789A/ko
Publication of KR20150058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62Fastening or storing of boats on d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6Pilot ladders or similar outboard ladders, e.g. bathing ladders;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양구조물의 선체의 선수 쪽 또는 선미 쪽에 마련되어 구명보트를 격납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승원이 구명보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탑승하도록 하는 탑승 플랫폼; 상기 격납 프레임의 탑승 플랫폼 하부에 마련되어 구명보트를 점검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플랫폼 상기 서비스 플랫폼과 상기 탑승 플랫폼의 사이에 설치되는 출입사다리;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탑승 플랫폼의 하부에 마련되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작업자가 격납 프레임에 격납된 구명보트의 프로펠러부를 용이하게 점검 및 정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 SERVICE PLATFORM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 LIFEBOAT }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탑승 플랫폼 하부에 서비스 플랫폼을 마련하여 구명보트 프로펠러의 점검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에는 비상탈출용으로 구명보트(Lifeboat)가 탑재되기 마련이다.
상기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Lifeboat)는 자유낙하 방식(Freefall)의 구명보트와 대빗(Davit) 진수방식의 구명보트로 대별된다.
대빗 진수 방식의 구명보트는 메인 데크의 격납 위치에 보관되고, 별도의 보트 대빗(Boat Davit)을 통해 진수되며,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는 메인 데크에 마련된 진수 프레임에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 설치되고, 자중에 의해 진수된다.
상기 대빗 진수 방식의 구명보트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는 하기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대빗 진수 방식과 자유낙하 방식으로 구명보트를 진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의 메인 데크의 구명보트 격납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는 승원이 격납중인 구명보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 플랫폼이 마련된다.
한편, 메인 데크의 격납 프레임에 격납된 구명보트는 불의의 사고를 대비하여 항상 정상 운행될 수 있도록 유지관리하여야 하며, 특히 구명보트 추진력의 기본이 되는 프로펠러(Propeller)의 경우 1주일에 1회 정도의 주기로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구명보트가 메인 데크의 격납 프레임에 격납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위치는 탑승 플랫폼의 하부 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접근이 매우 어렵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탑승 플랫폼으로부터 프로펠러 정비위치까지에 별도의 연장통로(Extension Walkway)를 마련하여 안전한 프로펠러 점검 및 정비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1447호(2012년 10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998호(2009년 6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5886호(2010년 3월 10일 공개)
그러나 종래와 같이 탑승 플랫폼으로부터 프로펠러 정비위치까지 별도의 연장통로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많은 자재와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 연장통로를 마련하지 않게 되면 프로펠러의 점검 및 정비가 매우 어렵게 되거나 작업자가 위험을 부담하여야 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격납 프레임에 격납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는 구명보트 프로펠러 부위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점검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구명보트 프로펠러 부위를 점검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플랫폼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 비용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해양구조물의 선체의 선수 쪽 또는 선미 쪽에 마련되어 구명보트를 격납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승원이 구명보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탑승하도록 하는 탑승 플랫폼; 상기 격납 프레임의 탑승 플랫폼 하부에 마련되어 구명보트를 점검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플랫폼 상기 서비스 플랫폼과 상기 탑승 플랫폼의 사이에 설치되는 출입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격납 프레임이 구명보트를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은 경사의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로 지지하며, 승원 탑승 후에 지지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구명보트가 자유낙하하여 해수면으로 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격납 프레임에 격납되는 구명보트가 후방 상부에 승원 탑승을 위한 탑승부가 마련되고, 하단 후방에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탑승 플랫폼이 바닥판; 바닥판에 마련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진출을 위한 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이 작업자의 착지를 위한 바닥판; 바닥판의 상부면 바깥쪽 둘레에 마련되는 보호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보호가드가 다수의 수직막대와 다수의 수평막대를 사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 보호가드의 구명보트 측 최상단 수평막대의 중앙 부위에 작업요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상기 출입사다리의 하단부가 서비스 플랫폼에 용접 고정되고, 상단부가 탑승 플랫폼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의하면, 탑승 플랫폼의 하부에 마련되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작업자가 격납 프레임에 격납된 구명보트의 프로펠러부를 용이하게 점검 및 정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의하면, 많은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서비스 플랫폼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의하면, 영구적인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플랫폼의 크기나 중량이 구명보트 격납 및 진수를 위한 전체 구조물에 큰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요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100)는 격납 프레임(110), 탑승 플랫폼(120), 서비스 플랫폼(130), 출입사다리(140)를 포함한다.
격납 프레임(110)은 해양구조물 사고시에 승원들이 비상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보트(200)를 안전하게 격납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구조물의 선체의 선수 쪽 또는 선미 쪽에 마련된다.
상기 격납 프레임(110)은 구명보트(200)를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은 경사의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로 지지하며, 승원 탑승 후에 지지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구명보트(200)가 자유낙하하여 해수면으로 진수된다.
상기 격납 프레임(110)에 격납되는 구명보트(200)는 후방 상부에 승원 탑승을 위한 탑승부(210)가 마련되고, 하단 후방에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부(220)가 마련된다.
탑승 플랫폼(120)은 승원이 상기 격납 프레임(110)에 격납된 구명보트(200)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탑승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명보트 탑승부(210) 후방의 격납 프레임(110) 상부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탑승 플랫폼(120)의 바닥판(121)에는 후술할 서비스 플랫폼(130)으로의 진출을 위한 해치(122)가 마련된다.
서비스 플랫폼(130)은 상기 격납 프레임(110)에 격납된 구명보트(200)의 프로펠러부(220)를 점검 및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격납 프레임(110)의 탑승 플랫폼(120)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은 작업자의 착지를 위한 바닥판(131), 바닥판(131)의 상부면 바깥쪽 둘레에 마련되는 보호가드(132)를 포함하며, 바닥판(131)의 일측 부분 및 보호가드(132)의 일측 부분은 상기 격납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용접 고정된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의 보호가드(132)는 바닥판(131)에서 구명보트 프로펠러부(220)를 점검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다수의 수직막대(132a)와 다수의 수평막대(132b)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의 보호가드(132)의 구명보트 측 최상단 수평막대(132b)의 중앙 부위에는 작업요입부(132c)가 마련된다.
출입사다리(140)는 탑승 플랫폼(120)에서 서비스 플랫폼(130)으로 이동하거나 서비스 플랫폼(130)에서 탑승 플랫폼(120)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출입사다리(140)는 서비스 플랫폼(130)의 바닥판(131)과 상기 탑승 플랫폼(120)의 바닥판(12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출입사다리(140)는 하단부가 서비스 플랫폼(130)의 바닥판(131)에 용접 고정되고, 전방 하부가 보호가드(132)에 내측에 용접 고정되며, 상단부가 탑승 플랫폼(120)의 바닥판(121)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 출입사다리(140)의 설치 위치는 탑승 플랫폼(120)의 해치(122)의 하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100)는 탑승 플랫폼(120)의 하부에 마련된 서비스 플랫폼(130)에서 작업자가 구명보트(200)의 프로펠러부(220)를 용이하게 점검 및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격납 프레임(110)에 격납된 구명보트(200)의 프로펠러부(220)를 점검하고자 할 때는 탑승 플랫폼(120)의 바닥판(121)에 마련된 해치(122)를 열고 출입사다리(140)를 통해 서비스 플랫폼(130)으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은 구명보트(200)의 프로펠러부(22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서비스 플랫폼(130)의 바닥판(131)에 서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프로펠러부(220)를 점검하거나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의 바닥판(131) 상부면 외측 둘레는 보호가드(132)가 마련되어 있어 작업자가 프로펠러부(220)를 점검하거나 정비하는 작업도중에 서비스 플랫폼(130)에서 추락할 우려가 없게 되지만 안전줄을 보호가드(132)에 매고 작업을 하면 더욱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프로펠러부(220)를 점검작업 또는 정비작업을 마친 작업자는 출입사다리(140)를 통해 탑승 플랫폼(120)으로 간편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100)에서 탑승 플랫폼(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서비스 플랫폼(130)은 많은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100)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은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고 중량이 많이 무겁지 않게 되므로 구명보트 격납 및 진수를 위한 전체 구조물에 큰 부담이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서비스 플랫폼 장치
110 : 격납프레임
120 : 탑승 플랫폼
130 : 서비스 플랫폼
140 : 출입사다리
200 : 구명보트
220 : 프로펠러부

Claims (8)

  1. 해양구조물의 선체의 선수 쪽 또는 선미 쪽에 마련되어 구명보트(200)를 격납하는 격납 프레임(110);
    상기 격납 프레임(110)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승원이 구명보트(200)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탑승하도록 하는 탑승 플랫폼(120);
    상기 격납 프레임(110)의 탑승 플랫폼(120) 하부에 마련되어 구명보트(200)를 점검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플랫폼(130);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과 상기 탑승 플랫폼(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출입사다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프레임(110)은 구명보트(200)를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은 경사의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로 지지하며, 승원 탑승 후에 지지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구명보트(200)가 자유낙하하여 해수면으로 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프레임(110)에 격납되는 구명보트(200)는 후방 상부에 승원 탑승을 위한 탑승부(210)가 마련되고, 하단 후방에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부(2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플랫폼(120)은 바닥판(121); 바닥판(121)에 마련되는 서비스 플랫폼(130)으로의 진출을 위한 해치(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은 작업자의 착지를 위한 바닥판(131); 바닥판(131)의 상부면 바깥쪽 둘레에 마련되는 보호가드(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130)의 보호가드(132)는 다수의 수직막대(132a)와 다수의 수평막대(132b)를 사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보호가드(132)의 구명보트 측 최상단 수평막대(132b)의 중앙 부위에 작업요입부(132c)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사다리(140)는 하단부가 서비스 플랫폼(130))에 용접 고정되고, 상단부가 탑승 플랫폼(120)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20130141973A 2013-11-21 2013-11-21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20150058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973A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3-11-21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973A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3-11-21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89A true KR20150058789A (ko) 2015-05-29

Family

ID=5339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973A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3-11-21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87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296A (ko) 2020-01-21 2021-07-29 오혁진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10094297A (ko) 2020-01-21 2021-07-29 오혁진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147592A (ko) 2020-05-29 2021-12-07 오혁진 인공기능에 기반한 선박 대피경로 생성 시스템
KR20210147595A (ko) 2020-05-29 2021-12-07 오혁진 선박사고시 인공지능에 기반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20138428A (ko) 2021-02-22 2022-10-13 오혁진 구명뗏목의 원격 점검과 대피경로 갱신이 가능한 선박 내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296A (ko) 2020-01-21 2021-07-29 오혁진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10094297A (ko) 2020-01-21 2021-07-29 오혁진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147592A (ko) 2020-05-29 2021-12-07 오혁진 인공기능에 기반한 선박 대피경로 생성 시스템
KR20210147595A (ko) 2020-05-29 2021-12-07 오혁진 선박사고시 인공지능에 기반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20138428A (ko) 2021-02-22 2022-10-13 오혁진 구명뗏목의 원격 점검과 대피경로 갱신이 가능한 선박 내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8789A (ko)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US9670037B2 (en) Personnel transport and transfer system
US8156886B2 (en) Device, system, structure,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ntrol system
US4522144A (en) Life saving system for marine structure
KR20160029294A (ko) 여러척의 구명보트 탑재 구조를 가진 선박
KR101518293B1 (ko) 구명정을 구비한 선박
KR20140002105U (ko) 선박용 구명부표 보관장치
KR101826168B1 (ko)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NO310606B1 (no) Livbåtsystem
KR101205376B1 (ko) 구명벌 지지 장치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US20040123789A1 (en) Rescue boat
KR101722199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KR200477310Y1 (ko)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20140055357A (ko) 선박용 구명부표 투척장치
Hwang et al. Design modification of a damaged free-fall lifeboat for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hrough free-fall tests
KR101732508B1 (ko) 선박
US10118679B2 (en) Jettison device for a ship, platform or other vessels
KR200485056Y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160146388A (ko) 구명정 진수 장치
WO2008072978A2 (en) Marine structure escape system
NO133579B (ko)
KR101358339B1 (ko) 여객선
KR20140006382U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CN117246446A (zh) 潜水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