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296A -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296A
KR20210094296A KR1020200007886A KR20200007886A KR20210094296A KR 20210094296 A KR20210094296 A KR 20210094296A KR 1020200007886 A KR1020200007886 A KR 1020200007886A KR 20200007886 A KR20200007886 A KR 20200007886A KR 20210094296 A KR20210094296 A KR 20210094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left
ship
normal operation
inspection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오혁진
김건홍
조주형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오혁진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혁진, 김도연 filed Critical 오혁진
Priority to KR102020000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296A/ko
Publication of KR2021009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라이프레이트(구명벌)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인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사고 시 선박에 마련된 라이프레프로로 탑승자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여 하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상기 검사된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사결과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으로의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유도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SYSTEM TO LIFE RAFT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라이프레이트(구명벌)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인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물 내에서 화재 등 재난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위험구역 정보를 반영하여 안전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통해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는 이전의 피난 유도등이 고정 방향만을 안내하고 있어 해당 대피방향이 실제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방향인지 여부에 대한 고려가 될수 없는 점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편, 항해 중인 선박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 육상 건물용으로 개발된 대피안내 시스템과는 달리 선박의 특수성으로 인해 달리 운용된다.
선박의 경우에는 선박 사고 시에 선박의 침몰시 승객 또는 선원을 구조하기 위하여 구명보트 또는 구명벌(라이프레프트: life-raft)과 같은 구명 장치가 설치된다.
구명벌은 휴대성이 좋고 구비에 필요한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여 많은 선박에 널리 오래전부터 구비되어 왔다.
이러한 구난장비인 구명벌은 선박의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사람들이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는 흰색 원통형 용기 속에 압축되어 있다가 필요시 수동으로 물에 빠트려 터트릴 수도 있고, 선박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경우 일정한 수압에 도달하면 압력 고리가 풀리면서 자동으로 터져 부풀어 오르도록 구성되어 펼쳐졌을 시 10명 가량이 탈 수 있는 고무 뗏목이 된다.
이러한 구명벌(라이프레프트)은 선박사고 시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주기적으로 사전점검을 실시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구명벌은 장비의 구조상 와이어와 밧줄로 묶여 밀폐되어 있어, 개방하기 전까지는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검사법이 복잡하여 선박에 승선한 일반 선원들이 장비 내부를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문 검사관이 구명벌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만 하는데, 장비수가 많고, 검사주기가 길어 전문 검사관이 수많은 구명벌들을 일일이 점검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장비의 점검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비상 시 구명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인명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항해 중인 선박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 육상 건물용으로 개발된 지능형 대피안내 시스템과는 달리 선박의 특수성에 의해 선박의 경사도에 따른 위험요인 및 선박 침수에 따른 위험상황을 반영할 수 없으며, 최종 탈출구가 1차적으로 갑판 위 비상집합장소, 2차적으로 퇴선 안내로 이어지는 선박 사고 시 승객 대피의 특징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특히, 구명벌을 이용한 탈출 시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구명벌로 인하여 제때 탈출하지 못하여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61951(2019.04.0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2967(2016.06.2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95297(2016.08.1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8789(2015.05.29.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라이프레이트(구명벌)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인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사고 발생과 동시에 라이프레프트의 안전성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중앙 통제부에 제공하여 동작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최적의 동선으로 탑승객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선박 사고 시 선박에 마련된 라이프레프로로 탑승자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여 하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상기 검사된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사결과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으로의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유도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는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여부 및 가스 충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경로 추출 단계는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1차 설정 반경인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하고,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이웃하는 라이프레프트 중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을 상기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선박 사고 시 선박에 마련된 라이프레프로로 탑승자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시스템으로서,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충전형 라이프레프트에 공기를 주입 충전하기 위한 가스충전기; 상기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에서 검출된 검사 결과를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받는 중앙 통제부; 상기 중앙 통제부에 구성되어 전송받은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부; 및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에서 추출된 유도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도록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는 상기 가스충전기의 몸통부분 및 상기 가스충전기와 라이프레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폐쇄 하우징, 및 상기 폐쇄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무선통신모듈과 가스감지센서가 실장되고 배터리를 구비한 제어용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는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1차 설정 반경인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하고,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이웃하는 라이프레프트 중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한 설정 반경을 상기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선박 사고 발생과 동시에 라이프레프트의 안전성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중앙 통제부에 제공하여 동작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최적의 동선으로 탑승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있어 신속하며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정상 작동 유무를 사전에 자동 점검할 수 있어 점검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선박 사고에 따른 탈출 시 모든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와 이용을 통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퇴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과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 및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 검사결과 수신 단계(S300); 유도경로 추출 단계(S400); 및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사고 시 선박에 마련된 라이프레프로로 탑승자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선박의 중앙 통제부에서 라이프레프트 점검 신호를 송출하는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 상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의 점검 신호를 전달받아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에서 검사된 검사 결과를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에서 전송하여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사결과 수신 단계(S300); 상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S300)에서 수신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최적 동선으로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 단계(S400); 및 상기 유도경로 추출 단계(S400)에서 추출된 유도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는 중앙 통제부에 구비된 일괄 조작 스위치를 통해 선박에 구비되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에서의 검사 결과를 수신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는 중앙 통제부에서 관리하는 관리자의 수동 조작이 아닌, 자동으로 설정되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점검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는 생략되고,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를 자동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중앙 통제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는 것으로,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기 위한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여부 및/또는 가스 충전압을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는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기 위한 가스충전기의 가스누설 여부 및/또는 가스압을 검사하여 가스충전장치로부터 정량의 가스가 라이프레프트에 정상적으로 정량의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에서 이용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아래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S300)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검사 결과가 전송되어 중앙 통제부(중앙 통제부의 관제 서버)에서 수신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유도경로 추출 단계(S400)는 상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S300)에서 수신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의 동선을 추출하여 유도 경로로 선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경로 추출 단계(S400)는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1차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S300)에서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유도경로 추출 단계(S400)에서는 정상동작이 아닌 라이프레프트에 가장 가까운(또는 이웃하는) 정상동작의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설정 반경을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500)는, 추출된 해당 주변 통로에 대하여 유도 화살표를 표시하여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은,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통해 유도 경로를 따라 정상동작 가능한 라이프레프트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과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 및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가스충전기(100);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 중앙 통제부(300); 유도경로 추출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충전형 라이프레프트(구명벌)에 공기를 충전 주입하기 위한 가스충전기(100); 상기 가스충전기(100)의 가스 누설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에서 검출된 검사 결과를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받는 중앙 통제부(300); 상기 중앙 통제부(300)에 구성되어 전송받은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최적 동선으로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부(400); 및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400)에서 추출된 유도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도록 선박의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충전기(100)는 라이프레프트에 공기를 주입 충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것이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는, 가스충전기(100)의 가스누설 여부를 일정 주기로 검사하여 비상 시 가스충전기(100)로부터 정량의 가스가 라이프레프트에 정상적으로 주입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는 라이프레프트 내부에 구비된 가스충전기(100)에 장착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스충전기(100)의 이음새 부분이나 몸통부에 장착되어 가스누설여부를 검사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의 실시 형태로서, 가스충전기(100)의 몸통 부분, 및/또는 가스충전기(100)의 상부인 머리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가스충전기(100)의 몸통부분에 장착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모듈(210)는 양단부가 가스충전기(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스충전기(100)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부(211)와, 결합 플레이트부(211)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어용 기판, 가스감지센서, 무선통신모듈, 릴레이, 배터리 등 각종 부품들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일측 개구의 수용 하우징(212), 및 상기 수용 하우징(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판(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부(211)의 내측면에는 가스충전기(100)의 외주면에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가 구비되어 가스충전기(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 하우징(212)에 구비되는 가스감지센서는 N2, O2, CO, CO2 등 각종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릴레이는 가스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제어용 기판은 가스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가스농도값을 수신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구성될 수 있는 중앙 통제부(3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용 기판은 전류 소모가 적은 쿠도이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선통신모듈은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와 중앙 통제부인 서버 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검사값(가스농도 및 장비상태값)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3G, 4G, WI-FI 등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가 가스충전기(100)의 상부인 머리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인 경우, 가스충전기(100)의 머리 부분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상부 및 하부에 소정의 곡률로 파지된 부분이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한 각 구성부들이 수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은 절반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21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는 가스충전기(100) 중 누설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몸통부분 및/또는 윗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가스충전기(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석방식으로 구성하여 가스충전기(100)로부터 장착 또는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에서 검출되는 검사 결과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중앙 통제부(300)로 전송되게 된다.
다음으로, 중앙 통제부(300)는 선박의 통제실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에 마련된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200)로부터 검사 결과, 즉 측정된 가스농도값을 전송받게 된다.
이러한 중앙 통제부(300)는 서버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구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 통제부(300)에 포함되는 서버에는 라이프레프트가 위치되는 위치 정보 및 통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구축되어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데 이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400)는 수신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의 동선을 추출하여 유도 경로로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도경로 추출부(400)는 공지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밍된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400)는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1차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 통제부(300)에서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400)는 설정 반경을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도경로 디스플레이부(500)는 선박의 실내에 통로에 복수 설치되어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400)에서 추출된 해당 주변 통로의 이미지에 유도 화살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은,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통해 유도 경로를 따라 정상동작 가능한 라이프레프트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 사고 발생과 동시에 라이프레프트의 안전성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중앙 통제부에 제공하여 동작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최적의 동선으로 탑승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있어 신속하며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으며,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정상 작동 유무를 사전에 자동 점검할 수 있어 점검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선박 사고에 따른 탈출 시 모든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와 이용을 통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퇴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
S200: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S300: 검사결과 수신 단계
S400: 유도경로 추출 단계
S500: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
100: 가스충전기
200: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
211: 결합 플레이트부
212: 수용 하우징
213: 덮개판
214: 자석체
300: 중앙 통제부
400: 유도경로 추출부
500: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선박 사고 시 선박에 마련된 라이프레프로로 탑승자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여 하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상기 검사된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사결과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으로의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유도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유도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는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여부 및 가스 충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경로 추출 단계는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1차 설정 반경인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하고,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이웃하는 라이프레프트 중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 반경을 상기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3. 선박 사고 시 선박에 마련된 라이프레프로로 탑승자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시스템으로서,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충전형 라이프레프트에 공기를 주입 충전하기 위한 가스충전기;
    상기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에서 검출된 검사 결과를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받는 중앙 통제부;
    상기 중앙 통제부에 구성되어 전송받은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유도 경로를 추출하는 유도경로 추출부; 및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에서 추출된 유도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도록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는 상기 가스충전기의 몸통부분 및 상기 가스충전기와 라이프레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폐쇄 하우징, 및 상기 폐쇄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무선통신모듈과 가스감지센서가 실장되고 배터리를 구비한 제어용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경로 추출부는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1차 설정 반경인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하고,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이웃하는 라이프레프트 중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한 설정 반경을 상기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유도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시스템.
KR1020200007886A 2020-01-21 2020-01-21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10094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86A KR20210094296A (ko) 2020-01-21 2020-01-21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86A KR20210094296A (ko) 2020-01-21 2020-01-21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96A true KR20210094296A (ko) 2021-07-29

Family

ID=7712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86A KR20210094296A (ko) 2020-01-21 2020-01-21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429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632967B1 (ko) 2014-07-29 2016-06-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95297A (ko) 2015-02-02 2016-08-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구명벌의 자동 탈착 및 이를 이용한 완전 자동 구명벌 작동 시스템
KR101961951B1 (ko) 2016-12-07 2019-04-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632967B1 (ko) 2014-07-29 2016-06-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95297A (ko) 2015-02-02 2016-08-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구명벌의 자동 탈착 및 이를 이용한 완전 자동 구명벌 작동 시스템
KR101961951B1 (ko) 2016-12-07 2019-04-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7592A (ko) 인공기능에 기반한 선박 대피경로 생성 시스템
KR20160014422A (ko)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2971211A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KR101687457B1 (ko)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CN107914849A (zh) 一种艇载饱和潜水逃生舱
KR20210094296A (ko)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10094297A (ko)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147595A (ko) 선박사고시 인공지능에 기반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20220138428A (ko) 구명뗏목의 원격 점검과 대피경로 갱신이 가능한 선박 내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100852957B1 (ko) 부유대, 및 그를 이용한 구난정보 처리 시스템
KR101735326B1 (ko) 선박 재해 대피 및 구조 지원 시스템
CN105539764A (zh) 改进的水中航行器自救装置
KR102080404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명뗏목 가스누설 자동검사 시스템
US20070182539A1 (en) Emergency area confinement and safety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CN114863658A (zh) 一种船舶密闭场所作业安全控制方法和系统
CN207595228U (zh) 一种艇载饱和潜水逃生舱
KR20220050363A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RU2015129779A (ru) Средство спасания подвод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ъем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Ryu et al. Fundamental research for escape guidance system development of passenger ship
KR100841705B1 (ko) 표면 공급식 잠수 호흡 기체 공급 장치
CN106815976A (zh) 压缩天然气船及其应急切断系统
KR101642704B1 (ko) 구명장비의 내부 공기압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