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297A -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297A
KR20210094297A KR1020200007887A KR20200007887A KR20210094297A KR 20210094297 A KR20210094297 A KR 20210094297A KR 1020200007887 A KR1020200007887 A KR 1020200007887A KR 20200007887 A KR20200007887 A KR 20200007887A KR 20210094297 A KR20210094297 A KR 2021009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route
ship
detection signal
lifelef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오혁진
김건홍
조주형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오혁진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혁진, 김도연 filed Critical 오혁진
Priority to KR102020000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297A/ko
Publication of KR2021009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C2009/042Life-rafts inflat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사고 시 선박의 기울기 등을 판단하고, 선박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라이프레이트(구명벌)의 안전성을 확인하며, 선박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장치의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여 하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화재감지모듈에 의해 화재 감지 신호를 실시간 검출하는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 상기 검사결과 및 화재감지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동선의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및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EVACUATION ROUTE GUIDANCE METHOD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TO LIFE RAFT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사고 시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의 기울기 등을 판단하고, 선박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라이프레이트(구명벌)의 안전성을 확인하며, 선박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장치의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이나 선박 모니터를 통해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물 내에서 화재 등 재난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위험구역 정보를 반영하여 안전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통해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는 이전의 피난 유도등이 고정 방향만을 안내하고 있어 해당 대피방향이 실제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방향인지 여부에 대한 고려가 될수 없는 점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편, 항해 중인 선박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 육상 건물용으로 개발된 대피안내 시스템과는 달리 선박의 특수성으로 인해 달리 운용된다.
선박의 경우에는 선박 사고 시에 선박의 침몰시 승객 또는 선원을 구조하기 위하여 구명보트 또는 구명벌(라이프레프트: life-raft)과 같은 구명 장치가 설치된다.
구명벌은 휴대성이 좋고 구비에 필요한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여 많은 선박에 널리 오래전부터 구비되어 왔다.
이러한 구난장비인 구명벌은 선박의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사람들이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는 흰색 원통형 용기 속에 압축되어 있다가 필요시 수동으로 물에 빠트려 터트릴 수도 있고, 선박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경우 일정한 수압에 도달하면 압력 고리가 풀리면서 자동으로 터져 부풀어 오르도록 구성되어 펼쳐졌을 시 10명 가량이 탈 수 있는 고무 뗏목이 된다.
이러한 구명벌(라이프레프트)은 선박사고 시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주기적으로 사전점검을 실시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구명벌은 장비의 구조상 와이어와 밧줄로 묶여 밀폐되어 있어, 개방하기 전까지는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검사법이 복잡하여 선박에 승선한 일반 선원들이 장비 내부를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문 검사관이 구명벌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만 하는데, 장비수가 많고, 검사주기가 길어 전문 검사관이 수많은 구명벌들을 일일이 점검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장비의 점검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비상 시 구명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인명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항해 중인 선박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 육상 건물용으로 개발된 지능형 대피안내 시스템과는 달리 선박의 특수성에 의해 선박의 경사도에 따른 위험요인 및 선박 침수에 따른 위험상황을 반영할 수 없으며, 최종 탈출구가 1차적으로 갑판 위 비상집합장소, 2차적으로 퇴선 안내로 이어지는 선박 사고 시 승객 대피의 특징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특히, 구명벌을 이용한 탈출 시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구명벌로 인하여 제때 탈출하지 못하여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61951(2019.04.0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2967(2016.06.2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95297(2016.08.1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8789(2015.05.29.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의 기울기 등을 판단하여, 선박의 탑승과 동시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사고 발생과 동시에 라이프레프트의 안전성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중앙 통제부에 제공하여 동작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최적의 탈출 동선을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와 사용자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선박 사고 시 대피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여 하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화재감지모듈에 의해 화재 감지 신호를 실시간 검출하는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로부터 검사된 검사결과,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동선의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및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는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여부 및 가스 충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는 상기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의 화재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대피 경로로 추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는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선박 기울기 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에서는 상기 선박 기울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자동 실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선박 사고 시 대피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충전형 라이프레프트에 공기를 주입 충전하기 위한 가스충전기; 상기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유무를 검출하여 하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 신호를 검출하여 하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화재 검출 모듈; 및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에서 검출된 검출 결과 및 상기 화재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그 전송받은 검출 결과와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대피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은 상기 가스충전기의 몸통부분 및 상기 가스충전기와 라이프레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폐쇄 하우징, 및 상기 폐쇄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무선통신모듈과 가스감지센서가 실장되고 배터리를 구비한 제어용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는,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와, 상기 화재 검출 모듈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신호 수신부와,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 수신부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부, 및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및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는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의 화재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대피 경로로 추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통제부는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모듈 구비의 기울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선박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는 기울기정보 수신부, 및 상기 기울기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선박 기울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대피 자동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선박의 탑승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선박 사고 시 사용자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피 경로를 신속히 파악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의 기울기 등을 판단하여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활성화시켜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선박 사고 발생과 동시에 라이프레프트의 안전성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중앙 통제부에 제공하여 동작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최적의 탈출 동선을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와 사용자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통제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의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과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 및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S300);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 및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은, 선박 사고 시 대피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의 중앙 통제부에서 라이프레프트 점검 신호를 송출하는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 상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의 점검 신호를 전달받아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화재감지모듈에 의해 화재 감지 신호를 실시간 검출하는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S300);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에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로부터 검사된 검사 결과,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S300)에서 화재감지모듈로부터 검출되는 화재감지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수신된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최적 동선의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 및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에서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또는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는 중앙 통제부에 구비된 조작 스위치를 통해 선박에 구비되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에서의 검사 결과를 수신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는 중앙 통제부에서 관리하는 관리자의 수동 조작이 아닌, 자동으로 설정되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점검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S100)는 생략되고,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를 자동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중앙 통제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는 것으로,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기 위한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여부 및/또는 가스 충전압을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는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기 위한 가스충전기의 가스누설 여부 및/또는 가스압을 검사하여 가스충전장치로부터 정량의 가스가 라이프레프트에 정상적으로 정량의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S200)에서 이용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아래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 및 화재감지모듈 각각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유무의 검출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가 전송되어 중앙 통제부(중앙 통제부의 관제 서버)에서 수신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 통제부에서는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화재 감지 신호가 발생된 위치(화재감지모듈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며, 파악된 위치는 후술하는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에서 대피경로를 추출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는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회피하고,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수신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유무의 검출 신호의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의 동선을 선택하여 대피 경로를 추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는 1차적으로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의 화재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기반으로 하고, 이러한 대피경로 상에서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1차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S400)에서는 정상동작이 아닌 라이프레프트에 가장 가까운(또는 이웃하는) 정상동작의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설정 반경을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대피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는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에서 수신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유무의 검출 신호의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1차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600)는, 추출된 해당 주변 통로(대피 경로)에 대하여 유도 화살표를 표시하여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예를 들면, 선박 탑승구나 통로 또는 객실에 마련된)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600)는,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S500)에서 추출된 대피 경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600)에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대피경로를 디스플레이할 때, 선박의 대피 경로(통로)에 설치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장치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면서 대피 방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선박의 탑승구나 통로 및 객실에 마련된 근거리 통신모듈, 즉 대피경로 설치용 NFC를 통해 탑승자가 스마트폰(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은,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화재 발생 시) 대피 경로를 따라 정상동작 가능한 라이프레프트로 이동하여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S400)는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선박 기울기 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에서는 상기 선박 기울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S600)를 자동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급 상황 발생 시 별도의 대피 실행을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대피경로를 안내하도록 하여 신속한 탈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통제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의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과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 및 다른 실시 형태의 검사 모듈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가스충전기(100);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 화재 검출 모듈(300); 및 중앙 통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충전형 라이프레프트(구명벌)에 공기를 충전 주입하기 위한 가스충전기(100); 상기 가스충전기(100)의 가스 누설 유무를 검출하여 하기 중앙 통제부(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 신호를 검출하여 하기 중앙 통제부(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화재 검출 모듈(300); 및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에서 검출된 검출 결과 및 상기 화재 검출 모듈(300)에서 검출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그 전송받은 검출 결과와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최적 동선의 대피 경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대피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통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충전기(100)는 라이프레프트에 공기를 주입 충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것이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는, 가스충전기(100)의 가스누설 여부를 일정 주기로 검사하여 비상 시 가스충전기(100)로부터 정량의 가스가 라이프레프트에 정상적으로 주입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는 라이프레프트 내부에 구비된 가스충전기(100)에 장착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스충전기(100)의 이음새 부분이나 몸통부에 장착되어 가스누설여부를 검사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의 실시 형태로서, 가스충전기(100)의 몸통 부분, 및/또는 가스충전기(100)의 상부인 머리부분에 장착되어 가스 누출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스충전기(100)의 몸통부분에 장착되는 일 실시 형태의 검사모듈(210)는 양단부가 가스충전기(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스충전기(100)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부(211)와, 결합 플레이트부(211)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어용 기판, 가스감지센서, 무선통신모듈, 릴레이, 배터리 등 각종 부품들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일측 개구의 수용 하우징(212), 및 상기 수용 하우징(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판(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부(211)의 내측면에는 가스충전기(100)의 외주면에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가 구비되어 가스충전기(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 하우징(212)에 구비되는 가스감지센서는 N2, O2, CO, CO2 등 각종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릴레이는 가스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제어용 기판은 가스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가스농도값을 수신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구성될 수 있는 중앙 통제부(3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용 기판은 전류 소모가 적은 쿠도이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선통신모듈은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와 중앙 통제부(4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검사값(가스농도 및 장비상태값)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3G, 4G, WI-FI 등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이 가스충전기(100)의 상부인 머리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인 경우, 가스충전기(100)의 머리 부분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상부 및 하부에 소정의 곡률로 파지된 부분이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한 각 구성부들이 수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은 절반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21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는 가스충전기(100) 중 누설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몸통부분 및/또는 윗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가스충전기(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석방식으로 구성하여 가스충전기(100)로부터 장착 또는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에서 검출되는 검출 결과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중앙 통제부(400)로 전송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화재 검출 모듈(300)은 선박의 복수 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 및/또는 연기의 감지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일체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화재 감지 신호를 중앙 통제부(4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통제부(400)는,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410)와, 상기 화재 검출 모듈(3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신호 수신부(420)와,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410)로부터의 검출 신호(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 신호)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 수신부(420)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최적 동선의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부(430); 및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또는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410)는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에 마련된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200)로부터 검사 결과, 즉 측정된 가스농도값을 전송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신호 수신부(420)는 화재 발생 시 화재 검출 모듈(3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게 된다.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430)는 화재 발생 시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회피하고, 수신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유무의 검출 신호의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의 동선을 선택하여 대피 경로를 추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430)는 1차적으로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의 화재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기반으로 하고, 이러한 대피경로 상에서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1차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430)는,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410)에서 어느 지점의 라이프레프트가 정상동작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정상동작이 아닌 라이프레프트에 가장 가까운(또는 이웃하는) 정상동작의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설정 반경을 1차 설정 반경보다 큰 2차 설정 반경으로 한 주변 통로를 추출하여 대피경로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430)는 상기 화재감지신호 수신부(420)에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410)에서 수신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유무의 검출 신호의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1차 설정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추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440)는, 추출된 해당 주변 통로(대피 경로)에 대하여 유도 화살표를 표시하여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예를 들면, 선박 탑승구나 통로 또는 객실에 마련된)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440)는,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대피 경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440)에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대피경로를 디스플레이할 때, 선박의 대피 경로(통로)에 설치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장치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면서 대피 방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선박의 탑승구나 통로 및 객실에 마련된 근거리 통신모듈, 즉 대피경로 설치용 NFC를 통해 탑승자가 스마트폰(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통제부(400)는 서버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구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 통제부(300)에 포함되는 서버에는 라이프레프트가 위치되는 위치 정보, 화재 검출 모듈이 각각 설치된 위치 정보, 및 통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구축되어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데 이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은, 탑승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화재 발생 시) 대피 경로를 따라 정상동작 가능한 라이프레프트로 이동하여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 통제부(400)는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모듈 구비의 기울기 센서 모듈(500)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선박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는 기울기정보 수신부(450), 및 상기 기울기정보 수신부(450)에서 수신된 선박 기울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440)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대피 자동 실행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은 긴급 상황 발생 시 별도의 대피 실행을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대피경로를 안내하도록 하여 신속한 탈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의 탑승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선박 사고 시 사용자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피 경로를 신속히 파악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선박의 침몰이나 화재 사고 시 선박의 기울기 등을 판단하여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활성화시켜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안전성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로 탑승객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사고 발생과 동시에 라이프레프트의 안전성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중앙 통제부에 제공하여 동작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에 대한 최적의 탈출 동선을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와 사용자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라이프레프트 점검신호 전송 단계
S200: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S300: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
S400: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
S500: 대피경로 추출 단계
S600: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
100: 가스충전기
200: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
211: 결합 플레이트부
212: 수용 하우징
213: 덮개판
214: 자석체
300: 화재 검출 모듈
400: 중앙 통제부
410: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
420: 화재감지신호 수신부
430: 대피경로 추출부
440: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
450: 기울기정보 수신부
460: 대피 자동 실행부
500: 기울기 센서 모듈

Claims (3)

  1. 선박 사고 시 대피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라이프레프트에 설치된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장치를 통해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하여 하기 검사결과 수신 단계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화재감지모듈에 의해 화재 감지 신호를 실시간 검출하는 화재감지신호 검출 단계;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로부터 검사된 검사결과,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는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라이프레프트의 정상 작동 유무의 검사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동선의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및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사 단계는 각 라이프레프트에 가스를 충전시키는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여부 및 가스 충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경로 추출 단계는 상기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의 화재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대피 경로로 추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단계는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선박 기울기 신호를 중앙 통제부에서 수신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에서는 상기 선박 기울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단계를 자동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3. 선박 사고 시 대피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박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충전형 라이프레프트에 공기를 주입 충전하기 위한 가스충전기;
    상기 가스충전기의 가스 누설 유무를 검출하여 하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 신호를 검출하여 하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화재 검출 모듈; 및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에서 검출된 검출 결과 및 상기 화재 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그 전송받은 검출 결과와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대피경로를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은 상기 가스충전기의 몸통부분 및 상기 가스충전기와 라이프레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폐쇄 하우징, 및 상기 폐쇄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무선통신모듈과 가스감지센서가 실장되고 배터리를 구비한 제어용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는, 상기 라이프레프트 정상작동 검사모듈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와, 상기 화재 검출 모듈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신호 수신부와, 상기 라이프레프트 검출결과 수신부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 수신부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화재 위치를 회피하면서 정상작동이 확인된 라이프레프트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추출하는 대피경로 추출부, 및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피경로를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모니터 및 선박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대피경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하는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경로 추출부는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의 화재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정상동작 라이프레프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라이프레프트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주변 통로를 대피 경로로 추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통제부는 선박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모듈 구비의 기울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선박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는 기울기정보 수신부, 및 상기 기울기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선박 기울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실행부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대피 자동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1020200007887A 2020-01-21 2020-01-21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094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87A KR20210094297A (ko) 2020-01-21 2020-01-21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87A KR20210094297A (ko) 2020-01-21 2020-01-21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97A true KR20210094297A (ko) 2021-07-29

Family

ID=7712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87A KR20210094297A (ko) 2020-01-21 2020-01-21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429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632967B1 (ko) 2014-07-29 2016-06-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95297A (ko) 2015-02-02 2016-08-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구명벌의 자동 탈착 및 이를 이용한 완전 자동 구명벌 작동 시스템
KR101961951B1 (ko) 2016-12-07 2019-04-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789A (ko) 2013-11-21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1632967B1 (ko) 2014-07-29 2016-06-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95297A (ko) 2015-02-02 2016-08-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구명벌의 자동 탈착 및 이를 이용한 완전 자동 구명벌 작동 시스템
KR101961951B1 (ko) 2016-12-07 2019-04-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967B1 (ko)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961951B1 (ko)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210147592A (ko) 인공기능에 기반한 선박 대피경로 생성 시스템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KR101687457B1 (ko)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KR20210094297A (ko) 선박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선박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094296A (ko) 선박 사고 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20210147595A (ko) 선박사고시 인공지능에 기반한 라이프레프트로의 유도 방법 및 유도 시스템
KR20200033575A (ko)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735326B1 (ko) 선박 재해 대피 및 구조 지원 시스템
KR20220138428A (ko) 구명뗏목의 원격 점검과 대피경로 갱신이 가능한 선박 내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102080404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명뗏목 가스누설 자동검사 시스템
CN112542018A (zh) 一种地下车库消防疏散系统
US20070182539A1 (en) Emergency area confinement and safety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01264U (ko)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RU2015129779A (ru) Средство спасания подвод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ъем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KR20220050363A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AU20193978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aritime distress signal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20220077332A (ko) IoT와 드론 기반의 항만 통제 방법, 디바이스 및 플랫폼
CN207595228U (zh) 一种艇载饱和潜水逃生舱
KR20170002073A (ko) 선박의 자동 부력 제공 및 비상상태 알림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50000529A (ko) 해양플랜트의 화재사고 안전대피 시스템 및 안전대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