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933B1 -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7933B1 KR101487933B1 KR20130070879A KR20130070879A KR101487933B1 KR 101487933 B1 KR101487933 B1 KR 101487933B1 KR 20130070879 A KR20130070879 A KR 20130070879A KR 20130070879 A KR20130070879 A KR 20130070879A KR 101487933 B1 KR101487933 B1 KR 101487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lifeboat
- sliding type
- grip
- s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은, 상기 선박의 갑판 하부와 상기 선박의 흘수선 사이에 소정 경사각의 경사 바닥면을 가지는 리세스 구역 내에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가 격납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는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구명보트(lifeboat)가 설치되어 있다. 구명보트는 해상에서 모선을 버리고 탈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보트로서, 일반적으로 자유낙하 방식(Free fall launching type)과 대빗 진수 방식(Davit launching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유낙하 방식은 선박의 갑판 상에 마련된 경사면에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되, 후크(hook)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선박에 체결되어, 배가 침몰하는 등과 같은 사고나 재난 시에 사람들이 구명보트로 승선한 뒤 구명보트 안에서 후크를 이탈시키게 되면 모선으로부터 미끄러져 해상으로 낙하하는 방식이다.
대빗 진수 방식은 전폐형 구명보트(totally enclosed lifeboat)라고도 하며, 선박의 갑판실 양 측부에서 대빗 장치에 의해 각각 매달려 있으면서 전체 인원이 모두 탑승한 후 힌지 타입(Hinge type) 혹은 루핑 타입(Luffing type) 대빗 장치를 통해 구명보트가 해상면에 낙하하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16957호에는 구명보트를 진수 혹은 회수할 수 있는 데빗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자유낙하 방식 혹은 대빗 진수 방식은 자중을 이용하여 낙하하게 되므로, 구명보트 승선원들에게 자중의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이 사고 혹은 재난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방향의 구명보트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구명보트를 선박의 헐 부분(Hull part)의 리세스 구역(recess area)에 격납하여 진수 시 해수면과 근접하도록 하고 실린더를 이용하여 푸싱함으로써 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승선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도록 한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이 사고 혹은 재난으로 인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실린더를 이용하여 푸싱함으로써 상측 방향의 구명보트도 사용가능한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갑판 하부와 상기 선박의 흘수선 사이에 소정 경사각의 경사 바닥면을 가지는 리세스 구역(recess area) 내에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가 격납되어 있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경사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리세스 구역의 상단 끝단부에서 상기 선박의 측벽 외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리세스 구역의 상단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전진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를 푸싱하여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에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리세스 구역 내에 설치된 그립부에 체결 혹은 분리되는 착탈형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제1 내부 수용공간부의 전면 개구부 측 내표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그립부와 체결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착탈형 고정부는, 원통 형상으로 후단부 외표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체결부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선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의 전단부를 수용하고 있는 제2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립부는 제3 내부 수용공간부의 전면 개구부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상기 걸림턱에의 걸림 여부에 따라 상기 그립부와 체결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착탈형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선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4 내부 수용공간부의 후단에 체결암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체결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암 지지부가 설치된 위치에 상기 체결암의 제1 끝단부가 외측으로 돌출 혹은 함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후단이 원뿔 혹은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후단의 표면에 상기 체결암의 제2 끝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체결부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는 상기 채결부의 후단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가 후진 이동한 경우 상기 체결암이 상기 체결부의 후단의 푸싱 압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립부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그립부와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그립 상태에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가 전진 이동한 경우 상기 체결부의 후단의 푸싱 압력이 사라져 상기 체결암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 내로 함몰되어 상기 그립부의 걸림턱에 걸리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그립부와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그립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보트를 선박의 헐 부분의 리세스 구역에 격납하여 진수 시 해수면과 근접하도록 하고 실린더를 이용하여 푸싱함으로써 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승선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이 사고 혹은 재난으로 인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실린더를 이용하여 푸싱함으로써 상측 방향의 구명보트도 사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헐 부분의 리세스 구역의 경사 바닥면에서 올려다본 구명보트의 격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헐 부분의 리세스 구역의 경사 바닥면에서 올려다본 구명보트의 격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에는 거주구(Living Quarter)(12) 등이 마련되어 있는 갑판(10) 상부가 아닌 갑판(10) 하부의 헐(Hull) 부분(20)에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50)의 격납을 위한 리세스 구역(3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리세스 구역(30)은 갑판(10) 하부와 선박(1)의 흘수선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리세스 구역(30) 내에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50)가 격납되어 있게 되고, 선박의 사고 혹은 재난 발생과 같은 비상시에는 실린더(40)의 푸싱 동작(피스톤(42)의 전진 이동)에 의해 리세스 구역(30)의 바닥면(32)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50)가 속도 제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수될 수 있다.
여기서, 리세스 구역(30)이 갑판(10) 하부의 헐 부분(20)에 형성되어 있어 해수면과 근접하고 있기에 기존의 자유낙하 방식 혹은 대빗 진수 방식과 비교할 때 해수면에 입수할 때의 낙하 거리가 짧아 승선원들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박이 한 쪽으로 기울어져 리세스 구역(30)이 형성된 측면이 상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도, 실린더(40)의 푸싱 동작에 의해 구명보트(50)가 선박의 측벽 외부까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자유낙하로는 진수가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원활히 해수면에 진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양 측에 마련된 구명보트를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소정 경사각을 가지는 바닥면을 가지는 리세스 구역(30) 내에서 구명보트(50)가 평상시에는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격납되어 있다가 비상시에 분리되어 슬라이딩되는 구조에 대하여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헐 부분의 리세스 구역의 경사 바닥면에서 올려다본 구명보트의 격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세스 구역의 경사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올려다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리세스 구역의 경사 바닥면(32)에는 선박(1)의 갑판 하부에 있는 헐 측벽(24)으로부터 상부 끝단부(2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34)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 레일(34) 2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1개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명보트(50)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52)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52)는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에서 역 U자형을 가지고 있어, 역 U자형을 구성하는 측벽이 가이드 레일(34)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슬라이더(52)의 상면에는 구명보트(50)의 하면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54)는 볼트일 수 있어, 슬라이더(52)의 상면에 볼트가 돌설되어 있고, 구명보트(50)의 하면에 볼트가 삽통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구명보트(50)의 후단에는 평상시에 리세스 구역(30)의 내측에 설치된 그립부(1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가 비상시에는 소정 작동을 통해 그립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착탈형 고정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명보트(50)가 격납되어 있는 리세스 구역(30)은 기본적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어 구명보트(50)가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형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그립부(110)와 고정 결합되어 있도록 하여 구명보트(50)가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시에만 분리되어 자중 및/또는 실린더(40)의 푸싱 동작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린더(40)는 리세스 구역(30)의 상단 끝단부(22) 부근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실린더(40)의 피스톤이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전진 이동이라 하고, 피스톤이 단축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후진 이동이라 한다. 즉, 전진 이동 시에는 피스톤의 끝단이 선박의 외부를 향하여 움직이며 후진 이동 시에는 피스톤의 끝단이 선박 내부를 향하여 움직이게 된다.
피스톤이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 구명보트(50)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더(52)를 푸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구명보트(50)를 선박(1)의 측벽 외측으로 밀어 준다.
선박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리세스 구역(30)이 상방향으로 향하게 된 경우 해수면에 대한 경사 바닥면(32)의 경사각이 작아져 중력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신호를 통해 실린더(40)의 피스톤을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52)를 밀어주어 구명보트(50)가 선체 외측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구명보트(50)가 선체로부터 탈출하여 진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구명보트(50)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슬라이딩 방향과 구명보트의 길이 방향이 서로 교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리세스 구역의 상부 끝단에 설치된 그립부는 구명보트의 측면에 설치된 착탈형 고정부와 체결되어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평상시 리세스 구역(30)에 격납된 구명보트(50)가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시에만 구명보트(5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그립부(110) 및 착탈형 고정부(120)의 구조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립부(110), 전면 개구부(112), 제1 내부 수용공간부(114), 제1 나사산(116), 착탈형 고정부(120), 몸체부(121), 제2 내부 수용공간부(122), 구동부(130), 베어링(140), 체결부(124), 제2 나사산(127)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왼쪽을 전방으로, 오른쪽을 후방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는 선박에 고정 설치되는 그립부(110)와 구명보트(50)에 고정 설치되는 착탈형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그립부(110)는 전면 개구부(112)와 제1 내부 수용공간부(114)를 포함하며, 제1 내부 수용공간부(114)의 전면 개구부(112) 측 내표면에 제1 나사산(1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부 수용공간부(114)에는 후술할 착탈형 고정부(120)의 체결부(124) 후단부가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착탈형 고정부(120)는 몸체부(121), 체결부(124),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몸체부(121)는 제2 내부 수용공간부(122)를 포함하며, 구명보트(50)의 선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제2 내부 수용공간부(122)는 체결부(124)의 전단부를 수용하며, 제2 내부 수용공간부(122)의 내표면과 체결부(124)의 전단부의 외표면 사이에 베어링(140)이 개재되어 있어 체결부(124)가 제2 내부 수용공간부(122) 내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124)는 원통 형상으로 후단부 외표면에 제1 나사산(116)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12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나사산(116)이 형성된 그립부(110)가 암나사로 기능하고, 제2 나사산(127)이 형성된 체결부(124)가 수나사로 기능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24)의 전단에는 구동부(130)가 연결되어 있어, 구동신호에 따라 체결부(124)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부(130)로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명보트(50)에 탑승한 승선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신호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체결부(124)와 그립부(110)는 나사 결합이 가능한 구조이어서, 체결부(124)가 구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서로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평상시에는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부(124)의 전단부가 그립부(110)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 구명보트(50)가 리세스 구역(30) 내에서 그립 상태에 있게 되고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명보트(50)를 리세스 구역(30)에 격납하는 과정 중에 구명보트(50)에 마련된 제어패널 혹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부(130)를 동작시킴으로써 체결부(124)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체결부(124)가 그립부(110) 내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비상시에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명보트(50)에 탑승한 승선원이 구명보트(50)에 마련된 제어패널 혹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부(130)를 동작시킴으로써 체결부(12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나사 결합되어 있던 체결부(124)가 그립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구명보트(50)가 선박(1)으로부터 분리되어 그립 상태가 해제되므로, 자중에 의해 리세스 구역(30)의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수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립부(210), 전면 개구부(212), 제3 내부 수용공간부(214), 걸림턱(216), 착탈형 고정부(220), 몸체부(222), 제4 내부 수용공간부(224), 체결암 지지부(240), 관통홀(242), 체결부(260), 체결암(250), 탄성부재(252), 나사홈(223), 구동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왼쪽을 전방으로, 오른쪽을 후방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그립 구조 역시 선박의 헐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그립부(210)와 구명보트(50)에 고정 설치되는 착탈형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그립부(210)는 전면 개구부(212)와 제3 내부 수용공간부(214)를 포함하며, 전면 개구부(212)의 둘레에는 걸림턱(21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16)이 있어 전면 개구부(212)의 크기는 제3 내부 수용공간부(214)의 내부 공간 단면보다 작게 된다.
제3 내부 수용공간부(214)에는 후술할 착탈형 고정부(220)의 체결암(250)이 삽입되어 걸림턱(216)에 걸림으로써 착탈형 고정부(220)와 그립부(210)가 서로 체결되고, 구명보트(50)가 그립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착탈형 고정부(220)는 몸체부(222), 체결부(260),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몸체부(222)는 제4 내부 수용공간부(224)를 포함하며, 구명보트(50)의 선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몸체부(222)의 후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4 내부 수용공간부(224)에는 체결부(260)가 수용되며, 제4 내부 수용공간부(224)의 후단에는 체결암 지지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암 지지부(240)가 설치된 몸체부(222)에는 관통홀(24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암 지지부(240) 내에는 체결암(250)이 탄성부재(252)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으면서, 체결암(250)의 제1 끝단부가 관통홀(242)을 통해 몸체부(222)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체결암(250)의 제2 끝단부는 제1 끝단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252)에 의한 탄성력 혹은 복원력을 받을 수 있도록 탄성부재(252)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재(252)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으며, 체결암 지지부(24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면서 체결암(250)의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푸싱 압력을 받거나 단턱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체결부(260)는 후단이 원뿔 혹은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있어, 체결부(260)가 전후진 이동함에 따라 후단 표면에 접촉하는 체결암(250)에 푸싱 압력을 가하거나 가해지던 푸싱 압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암(250)의 제2 끝단부는 소정 경사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260)의 전단에는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부(222)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홈(223)에 나사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부(260)의 전단에는 구동부(230)가 연결되어 있어, 구동신호에 따라 체결부(260)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부(260)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230)로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명보트(50)에 탑승한 승선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체결부(260)와 그립부(210)는 체결부(26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체결암(250)이 몸체부(222)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어 그립부(210)에 걸려 있거나 그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부(260)가 전진 이동하고 체결부(260) 전단부의 푸싱 압력에 의해 체결암(250)이 몸체부(2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립부(210)의 전면 개구부(212) 주변의 걸림턱(216)에 걸려 있게 되어, 구명보트(50)가 리세스 구역(30) 내에서 그립 상태에 있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명보트(50)를 리세스 구역(30)에 격납하는 과정 중에 구명보트(50)에 마련된 제어패널 혹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부(230)를 동작시킴으로써 체결부(26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체결부(260)가 전진 이동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비상시에는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명보트(50)에 탑승한 승선원이 구명보트(50)에 마련된 제어패널 혹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부(230)를 동작시킴으로써 체결부(26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체결부(260)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체결암(250)에 가해지던 푸싱 압력이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암(250)은 탄성부재(252)의 복원력에 의해 몸체부(222) 내측으로 함몰되어 그립부(210)의 걸림턱(216)에의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구명보트(50)가 선박(1)으로부터 분리되어 그립 상태가 해제되므로, 자중에 의해 리세스 구역(30)의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수가 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선박 10: 갑판
20: 헐(Hull) 30: 리세스 구역
32: 경사 바닥면 34: 가이드 레일
40: 실린더 42: 피스톤
50: 구명보트 110: 그립부
120: 착탈형 고정부 112: 전면 개구부
114: 제1 내부 수용공간부 121: 몸체부
122: 제2 내부 수용공간부 124: 체결부
130: 구동부 140: 베어링
210: 그립부 212: 전면 개구부
214: 제3 내부 수용공간부 216: 걸림턱
220: 착탈형 고정부 222: 몸체부
224: 제4 내부 수용공간부 230: 구동부
240: 체결암 지지부 242: 관통홀
250: 체결암 252: 탄성부재
260: 체결부
20: 헐(Hull) 30: 리세스 구역
32: 경사 바닥면 34: 가이드 레일
40: 실린더 42: 피스톤
50: 구명보트 110: 그립부
120: 착탈형 고정부 112: 전면 개구부
114: 제1 내부 수용공간부 121: 몸체부
122: 제2 내부 수용공간부 124: 체결부
130: 구동부 140: 베어링
210: 그립부 212: 전면 개구부
214: 제3 내부 수용공간부 216: 걸림턱
220: 착탈형 고정부 222: 몸체부
224: 제4 내부 수용공간부 230: 구동부
240: 체결암 지지부 242: 관통홀
250: 체결암 252: 탄성부재
260: 체결부
Claims (10)
-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갑판 하부와 상기 선박의 흘수선 사이에 경사 바닥면을 가지는 리세스 구역(recess area) 내에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가 격납되어 있고,
상기 경사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리세스 구역의 상단 끝단부에서 상기 선박의 측벽 외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구역의 상단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전진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를 푸싱하여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에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리세스 구역 내에 설치된 그립부에 체결 혹은 분리되는 착탈형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제1 내부 수용공간부의 전면 개구부 측 내표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그립부와 체결 혹은 분리되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고정부는,
원통 형상으로 후단부 외표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체결부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선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의 전단부를 수용하고 있는 제2 내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제3 내부 수용공간부의 전면 개구부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상기 걸림턱에의 걸림 여부에 따라 상기 그립부와 체결 혹은 분리되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의 선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4 내부 수용공간부의 후단에 체결암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체결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암 지지부가 설치된 위치에 상기 체결암의 제1 끝단부가 외측으로 돌출 혹은 함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후단이 원뿔 혹은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후단의 표면에 상기 체결암의 제2 끝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체결부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는 상기 체결부의 후단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후진 이동한 경우 상기 체결암이 상기 체결부의 후단의 푸싱 압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립부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그립부와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그립 상태에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가 전진 이동한 경우 상기 체결부의 후단의 푸싱 압력이 사라져 상기 체결암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 내로 함몰되어 상기 그립부의 걸림턱에 걸리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그립부와 상기 착탈형 고정부가 그립 상태에서 해제되는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0879A KR101487933B1 (ko) | 2013-06-20 | 2013-06-20 |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0879A KR101487933B1 (ko) | 2013-06-20 | 2013-06-20 |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504A KR20140147504A (ko) | 2014-12-30 |
KR101487933B1 true KR101487933B1 (ko) | 2015-01-30 |
Family
ID=5259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70879A KR101487933B1 (ko) | 2013-06-20 | 2013-06-20 |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793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6150A (ko) | 2015-05-19 | 2016-11-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85528A (zh) * | 2017-12-27 | 2018-05-04 | 大连理工大学 | 一种可移动的救生舱室 |
CN114560042B (zh) * | 2022-03-04 | 2023-04-07 | 集美大学 | 一种实现自由降落式救生艇自由漂浮的系艇装置 |
KR102712733B1 (ko) * | 2024-07-19 | 2024-10-02 | 주식회사 화인대성해운산업 | 해양환경 관측부이 작업기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72242B2 (en) * | 2000-06-27 | 2004-01-06 | Anthony Keith Webb | Vessel |
JP2009241706A (ja) | 2008-03-31 | 2009-10-22 | Sekigahara Seisakusho:Kk | 救命艇進水装置 |
KR20100001240A (ko) * | 2008-06-26 | 2010-01-0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에서의 부유식 구조물 연결장치 |
KR20100025886A (ko) * | 2008-08-28 | 2010-03-1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구명보트 장치 |
-
2013
- 2013-06-20 KR KR20130070879A patent/KR1014879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72242B2 (en) * | 2000-06-27 | 2004-01-06 | Anthony Keith Webb | Vessel |
JP2009241706A (ja) | 2008-03-31 | 2009-10-22 | Sekigahara Seisakusho:Kk | 救命艇進水装置 |
KR20100001240A (ko) * | 2008-06-26 | 2010-01-0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에서의 부유식 구조물 연결장치 |
KR20100025886A (ko) * | 2008-08-28 | 2010-03-1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구명보트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6150A (ko) | 2015-05-19 | 2016-11-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504A (ko) | 2014-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7933B1 (ko) | 슬라이딩 타입 구명보트를 구비한 선박 | |
US8800470B1 (en) | Dive door for rigid inflatable boats | |
US10300996B2 (en) | Self-adjusting drive-on floating dock | |
US8539896B2 (en) | Lift mechanism for added stability for a swim platform of a boat | |
KR101620916B1 (ko) | 길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 |
KR101626348B1 (ko) |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 |
KR20140137085A (ko) | 구명보트의 입수장치 | |
KR20140002105U (ko) | 선박용 구명부표 보관장치 | |
KR20160003411A (ko) |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 |
KR101563663B1 (ko) | 헬리콥터 데크 장치 | |
KR101516263B1 (ko) | 추를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 구명보트 진수 장치 | |
JP6815084B2 (ja) | 揚収装置及び船舶 | |
KR20140055357A (ko) | 선박용 구명부표 투척장치 | |
KR20150082863A (ko) |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 |
KR200478864Y1 (ko) |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 |
KR101581392B1 (ko) | 리그선의 리빙쿼터 구명보트 시스템 | |
KR101722211B1 (ko) | 해양 구조물 | |
US9199698B2 (en) | Marine craft engagement | |
KR101732508B1 (ko) | 선박 | |
US20040123789A1 (en) | Rescue boat | |
US3722449A (en) | A lighter - ship stabilizing system | |
CN205524831U (zh) | 平台救助艇艇架 | |
EP3109148B1 (en) | Lining and rescue float | |
KR101487955B1 (ko) | 구명정 플랫폼의 가이드 레일 구조 | |
KR101358339B1 (ko) | 여객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