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456B1 - 구명정 진수장치 - Google Patents
구명정 진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456B1 KR101814456B1 KR1020160121950A KR20160121950A KR101814456B1 KR 101814456 B1 KR101814456 B1 KR 101814456B1 KR 1020160121950 A KR1020160121950 A KR 1020160121950A KR 20160121950 A KR20160121950 A KR 20160121950A KR 101814456 B1 KR101814456 B1 KR 101814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bar
- lifeboat
- body frame
- slider
- hold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2—Rigid guides, e.g. having arms pivoted near water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62—Fastening or storing of boats on deck
-
- B63B2734/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구명정 진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는 구명정이 안착되는 활강대; 상기 활강대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프레임; 작동 시 상기 활강대를 수평인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유지수단;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기 활강대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활강대는 상기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해제시 자중에 의해 수평면과 경사를 이루는 제2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활강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등의 부유체에 마련되는 구명정을 긴급상황시 진수시키기 위한 구명정 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작업하는 FPSO/FSRU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 및 모든 선박에는 내부 폭발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명정(Lifeboat)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명정은 갑판(deck) 상에 설치되어 비상 시 탑승자를 태우고 해상으로 투하됨으로써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구명정(lifeboat)은 전복되더라도 가라앉지 않는 부력과 뒤집어지지 않을 정도의 복원력을 갖추도록 설계된다. 구명정의 재료는 목재, 강재, 강화 플라스틱재가 있으며, 추진 방식에 따라 노젓기 구명정, 기계식 추진 구명정, 발동기 구명정이 있다.
구명정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구명정의 입수 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로는 대빗 런처블(davit launchable) 방식의 구명정이 있으며, 둘째로는 자유낙하방식(free fall type)의 구명정이 있다. 여기서 자유낙하방식의 구명정은 수면으로 입수하여 위치에너지에 의해 수중에서 전진하여 수면으로 부상하는 방식이다.
이 중에서, 대빗 런처블(davit launchable) 방식은 대빗 윈치(davit winch)를 이용하여 하강하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본선에 근접하여 배치가 가능하고, 하강 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바, 이 방식은 컨테이너 선박 등에 적합하다.
그리고 자유 낙하(Free Fall) 방식은 본선에서 수면으로 바로 낙하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이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방식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 소형 선박이나 선미부의 활용이 적은 유조선, 벌크 화물선 등에 적합하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6-0002222호는 이러한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일례를 개시한다.
자유 낙하 방식의 구명정은 이를 지탱하는 구명정 진수장치에 의해 해상으로 진수된다. 기존의 자유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는 고정된 기울임을 갖는 진수장치 프레임 위에 활강대를 부착하고, 그 위에 구명정을 올려 놓은 구조를 가진다. 탑승자는 구명정의 후미를 통해 탑승하며, 내부에서 레버를 이용해 구명정의 낙하를 막기 위한 릴리즈 훅(Release Hook)을 작동 시켜 구명정을 입수 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자유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먼저, 탑승자가 실제로 선박에서 구명정을 이용하여 탈출 시 고박장치를 해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탈출 시간이 지연된다. 평상시 구명정의 무게를 견디는 릴리즈 훅이 노후화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박장치가 진수장치에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탑승자가 구명정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진수장치의 구조 설계상 구명정의 후면을 통해 진입하여야 하므로, 탑승 인원이 많은 경우 탑승 지연이 발생된다.
또, 기존의 자유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는 기울어진 채로 탑재된 구명정으로 인하여 구명정의 상시 점검 또는 유지보수가 수월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구명정의 진수를 위한 준비시간을 줄이고 유지보수에 유리한 구명정 진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명정이 안착되는 활강대; 상기 활강대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프레임; 작동 시 상기 활강대를 수평인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유지수단;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기 활강대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활강대는 상기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해제시 자중에 의해 수평면과 경사를 이루는 제2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활강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구명정 진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양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에 마련된 지지대와 상기 활강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활강대의 회전범위를 상기 제2위치까지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완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제공부에 제공되는 동력으로 상기 활강대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작동 시 상기 활강대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프레임에 마련된 고정홈에 끼워지고, 작동 해제시 상기 활강대에 수용되는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활강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시 상기 래치부에 상기 활강대 외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구명정과 연결되어,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해제시 상기 래치부에 상기 활강대 내측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정은 릴리즈레버와,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즈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릴리즈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릴리즈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는 구명정이 평상시 제1위치에서 수평 상태로 있기 때문에, 고박장치가 진수장치에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어 고박장치 해제를 위한 시간만큼 진수를 위한 준비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명정이 평상시 수평상태로 있기 때문에, 구명정 전후 좌우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정비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구명정이 평상시 수평상태로 있기 때문에, 다수 탑승자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어, 다수의 인원이 구명정에 탑승하는 상황에서 좌, 우측 및 후면에서도 동시에 탑승 가능하므로, 진수를 위한 준비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제1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제2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의 작동방식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의 작동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구명정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의해 구명정이 진수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제2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의 작동방식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의 작동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구명정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의해 구명정이 진수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제1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제2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강대(200)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는 구명정(S)이 안착되는 활강대(200)와, 상기 활강대(200)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프레임(100)과, 작동 시 상기 활강대(200)를 수평인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유지수단(400),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몸체프레임(100)과 상기 활강대(200)에 연결되는 완충부(300)를 포함한다.
몸체프레임(100)은 구명정 진수장치의 골격을 이룬다. 몸체프레임(100)은 큰 강성을 가지는 철(steel)이나 카본(carbon)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재는 몸체프레임(100)은 구명정의 크기와 무게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중 철은 가장 오래된 소재로 무거우나 강도의 특성이 매우 좋은 편이고 용접에 따른 성질 변형이 거의 없고, 카본은 탄성이 매우 좋고 타소재에 비해 가벼운 편이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프레임을 제작하기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몸체프레임(100)은 연결부(101)로 활강대(200)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문에 활강대(200)를 제1위치에 고박하고 있는 후술할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이 해제되면, 활강대(200)는 수평인 제1위치에서 자유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제2위치로 회전된다. 이때, 구명정(S)은 평상시 제1위치에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가 제2위치로 회전시 수중으로 진수된다.
몸체프레임(100) 활강대(200)를 제2위치로 안내하는 지지대(110)를 구비한다. 지지대(110)는 활강대(20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되는데 있어, 활강대(2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이때, 지지대(110)는 상면이 활강대(200)와 접함으로써, 구명정(S)이 안착된 활강대(200)의 무게를 버틴다.
고정홈(120)은 위치유지수단(400)의 래치부(42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활강대(200) 측방으로 돌출된 래치부(420)가 고정홈(120)에 삽입되고, 그에 의해 활강대(200) 및 그에 안착된 구명정(S)이 제1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위치유지수단(400)은 작동 시 래치부(420)를 활강대(200) 측방으로 돌출시키고, 작동 해제시 래치부(420)를 활강대(200) 내측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유지수단(400)의 상세한 작동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활강대(200)에는 구명정(S)이 안착된다. 활강대(200)는 위치유지수단(400)가 작동하는 제1위치에서는 수평상태에 있게 되므로, 구명정(S)도 평상시에는 수평상태에 있을 수 있다.
구명정(S)은 자유낙하용(free fall type)일 수 있다. 이러한 자유 낙하(Free Fall) 방식의 구명정은 본선에서 수면으로 바로 낙하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이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방식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 소형 선박이나 선미부의 활용이 적은 유조선, 벌크 화물선 등에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활강대(200)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에 의해, 즉 래치부(420)가 몸체프레임(100)에 마련된 고정홈(120)에 끼워져서 평상시 제1위치에 있게 되는데,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이 해제되면 제2위치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수용부(210c)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해제시 래치부(420)가 활강대(200)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활강대(200)는 제2위치로 이동시 구명정(S)이 자중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미끄럼대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명정(S) 은 자유낙하식으로 진수되기 때문에, 활강대(200)가 제2위치로 회전되는 경우에 활강대(200)의 기울기에 따라 구명정(S)이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수중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완충부(300)는 활강대(200)가 활강대(200) 몸체프레임(100)과의 연결부(101)에 의해 회전될 때,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데 따른 충격을 완화한다. 활강대(200)에는 구명정(S)이 안착되어 있고, 이들은 상당한 무게를 가지므로 활강대(200)가 회전되는데 큰 충격의 발생이 불가피한데, 이를 완충부(300)가 완화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완충부(300)는 일례로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300)는 양단이 몸체프레임(100)에 마련된 지지대(110)와 활강대(2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300)는 활강대(200)가 제1위치에 있는 때에는 신장되고, 활강대(200)가 제2위치에 있는 때에는 수축될 수 있다. 이때, 힌지(111, 201)는 완충부(300)가 지지대(110)와 활강대(2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동력제공부(310)는 완충부(300)에 동력을 제공하여, 활강대(200)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완충부(300)는 활강대(20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데, 별도로 완충부(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310)를 둠으로써, 활강대(200)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도 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동력제공부(310)은 지지대(110)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의 작동방식, 즉 (a)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시를, (b)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해제시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수단의 작동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유지수단(400)은 그 작동 시 활강대(200)가 제1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활강대와 그에 안착되는 구명정(S)은 그 무게로 인하여 연결부(101)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이를 막아주는 것이다. 반대로,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해제시에는 활강대(200)가 제2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동력전달부(410)는 구명정(S)에서 전달되는 힘을 래치부(420)로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410)는 구명정(S)과 연결되어, 작동 시 래치부(420)에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411)와, 활강대(200)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턱(210b)에 지지되어 해제시 래치부(4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21)를 포함한다.
와이어(411)는 구명정(S)에서 전달되는 힘, 즉 장력을 래치부(4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와이어(411)는 단가닥의 쇠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러 가닥의 쇠줄이 엮인 와이어 로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로프는 몇 개의 철사를 꼬아서 제작된 스트랜드(strand)와, 다시 6가닥의 스트랜드를 1줄의 마(摩)로프를 중심으로 꼬아 제작될 수 있다.
풀리(412)는 와이어(411)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활강대(200)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모양을 가지기 때문에, 구명정(S)과 활강대(200)가 연결되는 후방과 래치부(420)가 마련되는 측방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와이어(411)는 직각으로 굽혀져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풀리(412)가 와이어(411)로 전달되는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와이어(411)의 방향을 전환한다. 풀리(412)는 일례로 회전중심이 활강대(200)에 고정되되 자유로운 회전을 위해 내측에 베어링(bearing)이 수용된 롤러일 수 있다.
한편, 래치부(420)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해제시 와이어(411)에 의해 당겨진 후 진수장치의 재사용을 위하여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시에는 다시 원위치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 래치부(420)와 상기 래치부(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10) 사이에는 탄성부재(4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10)에는 래치부(4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210a)과, 탄성부재(421)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턱(210b)과, 래치부(4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210c)가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래치부(420)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시에는 활강대(200)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해제시, 즉 와이어(411)에 의해 당겨지는 때에는 다시 활강대(200) 내측에 마련된 수용부(210c)에 수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21)는 일단이 지지턱(210b)에 지지되고, 타단이 래치부(420)에 연결되어,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시 외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래치부(420)를 돌출시키고, 작동 해제시 래치부(42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작부(430)는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또는 작동 해제를 구현한다. 이러한 조작부(430)는 릴리즈레버(431)와 실린더(432)와 릴리즈후크(433)를 포함한다.
릴리즈레버(431)는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어,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릴리즈레버(431)는 실린더(432)와 어큐뮬레이터(432a)를 함께 작동 시키고, 그와 동시에 릴리즈후크(433)를 개방할 수 있다.
실린더(432)는 릴리즈레버(431)가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실런더(432)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411)를 당길 수 있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432a)는 실린더(432) 내부 유체를 일정량을 축적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방출하는 장치로서, 실린더(432)의 작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의 어큐뮬레이터(432a)는 가압 방식에 따라서 스프링형, 중량형, 공기압형 등으로, 구조에 따라서 격막형, 피스톤 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릴리즈후크(433)는 릴리즈레버(431)의 조작으로 인하여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이 해제되어 활강대(200)가 제2위치로 회전되면, 와이어(411)와 실린더(432)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시, 즉 활강대(200)가 제1위치에 있는 때에는 와이어(411)와 실린더(432)를 연결하고 있다가, 위치유지수단(400)의 작동 해제시, 즉 활강대(200)가 제2위치되는 때에는 와이어(411)와 실린더(432)를 분리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구명정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의해 구명정이 진수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의 작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명정(S)이 안착되는 활강대(200)는 몸체프레임(100)의 고정홈(120)에 활강대(200)에 마련된 래치부(420)가 끼워져 평상시 제1위치에서 구명정(S)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선박의 파손, 침수 등에 의한 비상시에는 구명정(S)에 탑승자가 탑승한다. 이때, 구명정(S)은 제1위치에서 수평상태로 있으므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는 것과는 달리 탑승자의 탑승이 용이하다. 탑승자는 구명정(S)의 후방 뿐만 아니라, 좌우에서의 탑승도 가능하므로 여러 경로로 탑승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활강대(200)의 위치유지수단(400)은 탑승자의 릴리즈레버(431) 조작에 의해 작동이 해제된다. 릴리즈레버(431)가 조작되면, 실린더(432)와 어큐뮬레이터(432a)는 그와 연결된 와이어(411)를 잡아당겨 그와 연결된 래치부(420)를 활강대(200) 내측으로 수용되게 한다. 이 단계에서 래치부(420)는 더 이상 활강대(200)를 제1위치에 유지시키지 못하므로 활강대(200)는 자중에 의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된다.
활강대(200)가 자중에 의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는 때에는 완충부(300)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된다. 이처럼 완충부(300)는 활강대(200)의 위치이동에 의해 자칫 발생될 수 있는 구명정(S)의 파손을 막는다. 이때, 지지대(110)는 활강대(2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여 제2위치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는 지지대(110) 상측에 활강대(200)가 안착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 후 릴리즈후크(433)는 와이어(411)와 실린더(432)의 연결을 해제하게 되고, 활강대(200)는 제2위치에서 지지대(110)의 기울기에 의해 구명정(S)은 수중으로 진수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진수장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참조하면, 구명정(S)이 평상시 제1위치에서 수평 상태로 있기 때문에, 고박장치가 진수장치에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어 고박장치 해제를 위한 시간만큼 진수를 위한 준비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명정(S)이 평상시 수평상태로 있기 때문에, 구명정(S) 전후 좌우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정비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구명정(S)이 평상시 수평상태로 있기 때문에, 다수 탑승자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어, 다수의 인원이 구명정(S)에 탑승하는 상황에서 좌, 우측 및 후면에서도 동시에 탑승 가능하므로, 진수를 위한 준비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구명정 100: 몸체프레임
101: 연결부 110: 지지대
111: 힌지 120: 고정홈
200: 활강대 201: 힌지
210: 가이드부 210a: 걸림턱
210b: 지지턱 210c: 수용부
300: 완충부 310: 동력제공부
400: 위치유지수단 410: 동력전달부
411: 와이어 412: 풀리
420: 래치부 420a: 돌출턱
421: 탄성부재 430: 조작부
431: 릴리즈레버 432: 실린더
432a: 어큐뮬레이터 433: 릴리즈후크
101: 연결부 110: 지지대
111: 힌지 120: 고정홈
200: 활강대 201: 힌지
210: 가이드부 210a: 걸림턱
210b: 지지턱 210c: 수용부
300: 완충부 310: 동력제공부
400: 위치유지수단 410: 동력전달부
411: 와이어 412: 풀리
420: 래치부 420a: 돌출턱
421: 탄성부재 430: 조작부
431: 릴리즈레버 432: 실린더
432a: 어큐뮬레이터 433: 릴리즈후크
Claims (6)
- 구명정이 안착되는 활강대;
상기 활강대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프레임;
작동 시 상기 활강대를 수평인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유지수단;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기 활강대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활강대는 상기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해제시 제2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완충부는 양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에 마련된 지지대와 상기 활강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활강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활강대의 회전범위를 상기 제2위치까지로 제한하는 구명정 진수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완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제공부에 제공되는 동력으로 상기 활강대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명정 진수장치. - 구명정이 안착되는 활강대;
상기 활강대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프레임;
작동 시 상기 활강대를 수평인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유지수단;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기 활강대에 연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활강대는 상기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해제시 제2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활강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작동 시 상기 활강대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프레임에 마련된 고정홈에 끼워지고, 작동 해제시 상기 활강대에 수용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구명정 진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활강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시 상기 래치부에 상기 활강대 외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구명정과 연결되어, 위치유지수단의 작동 해제시 상기 래치부에 상기 활강대 내측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명정 진수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유지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릴리즈레버와,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즈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릴리즈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릴리즈후크를 포함하는 구명정 진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950A KR101814456B1 (ko) | 2016-09-23 | 2016-09-23 | 구명정 진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950A KR101814456B1 (ko) | 2016-09-23 | 2016-09-23 | 구명정 진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4456B1 true KR101814456B1 (ko) | 2018-01-05 |
Family
ID=6100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950A KR101814456B1 (ko) | 2016-09-23 | 2016-09-23 | 구명정 진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4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5746A (ko) * | 2018-11-30 | 2020-06-0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구조물 |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1950A patent/KR10181445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5746A (ko) * | 2018-11-30 | 2020-06-0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구조물 |
KR102461400B1 (ko) * | 2018-11-30 | 2022-10-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9677B2 (en) | Lift mechanism for lifting a swim platform above and over a rear deck of a boat | |
US20130291779A1 (en) | Apparatus to launch and recover a boat | |
JP4067121B2 (ja) | 小型ボートの着水および回収のための装置 | |
US3815541A (en) | Houseboat powered by smaller boat | |
PL242644B1 (pl) | Statek typu katamaran | |
CN102858627A (zh) | 船载救生装置 | |
JP6825177B2 (ja) | 水中機器の投入装置 | |
KR101880730B1 (ko) | 트윈 텔레스코픽 보트 데빗 | |
KR101814456B1 (ko) | 구명정 진수장치 | |
US8596213B2 (en) | Launch apparatus | |
CA2509786C (en) | Support assembly for loading and securing a tender | |
KR20160029294A (ko) | 여러척의 구명보트 탑재 구조를 가진 선박 | |
AU2005200625B2 (en) | A system for stowing and for launching a life raft | |
US7347157B2 (en) | Static soft rail launch and recovery system | |
KR20150058789A (ko) |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 |
KR20160030738A (ko) |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 |
KR20170001136U (ko) | 자유낙하 구명정의 로프 분리장치 | |
US20110205840A1 (en) | Seismic equipment handling | |
KR101516263B1 (ko) | 추를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 구명보트 진수 장치 | |
KR102280114B1 (ko) | 선박을 위한 픽업 디바이스 및 픽업 방법 | |
US3765358A (en) | Automatic acting mechanism for control of stowable{40 tween decks | |
KR200477310Y1 (ko) |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 |
KR20160146388A (ko) | 구명정 진수 장치 | |
CN108001652A (zh) | 舰船牵引式无动力潜艇 | |
KR101620917B1 (ko) | 자유낙하 구명정의 제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