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914A -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914A
KR20160015914A KR1020140098894A KR20140098894A KR20160015914A KR 20160015914 A KR20160015914 A KR 20160015914A KR 1020140098894 A KR1020140098894 A KR 1020140098894A KR 20140098894 A KR20140098894 A KR 20140098894A KR 20160015914 A KR20160015914 A KR 20160015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try
laser
detection unit
appro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943B1 (ko
Inventor
조용성
Original Assignee
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성 filed Critical 조용성
Priority to KR102014009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9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차량 진출입로에서 발생하는 벽면 접촉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점멸하는 램프부, 및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의 접근 정도에 따라, 램프부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진출입로의 측벽에 접근할 때, 측벽에 설치된 램프부를 점멸시켜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진출입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접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COLLISION PREVENT SYSTEM FOR SIDE WALL OF RAMP}
본 발명은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회전구간으로 이루어진 주차장 진출입로, 나들목 구간 등에서 차량 회전시 측벽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 증가에 따라 주차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아파트, 대형마트나 환승 주차장 등에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과 같이 운전자가 자동차를 직접 운전하여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자주식 주차장의 설치가 크게 늘고 있다.
이러한 자주식 주차장은 차량이 진입 및 진출하기 위한 진출입로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진출입로는 대부분 경사져 있으며 곡선형의 회전구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진행시 곡선형 차로에서 벽면접촉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자주식 주차장의 차량 진출입로는 바닥 면으로부터 2.3m이상, 굴곡부의 내변 반경 5m이상, 그리고 곡선형 차로의 넓이는 1차선인 경우 3.6m이고, 2차선인 경우 6.5m로 시공된다. 이와 같이 좁고 경사진 곡선형 차로에서 초보 운전자 등의 운전 미숙으로 인해 벽면접촉 사고를 빈번히 일으키고 있다.
한편, 고속도로 등의 나들목을 포함한 진출입로 역시 곡선형의 회전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많으며, 이 경우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고속도로 등의 진출입로는 상술한 주차장 진출입로 보다는 도로의 폭이 넓으나, 차량이 고속으로 운전 중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를 감속 한 후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 측벽에 충돌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 경우 차량의 고속 주행을 제어하지 못 한 채 측벽에 충돌하는 경우 재산상의 손해뿐만 아니라, 차량 탑승자가 부상 등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진출입로의 측벽에 부딪히는 경우를 대비하여 벽체에 충격흡수시설을 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도하는 역할을 충분히 감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10571에는 진출입로 중에서도 특히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의 측벽에 충격 흡수시설을 설치하여 차량의 파손 및 건축물의 하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충돌된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다수개의 LED램프가 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즉, 지하주차장 진입로는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시공되는 벽체에 수평하게 시공되는 진입로의 외측으로 박스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고, 박스체의 외측으로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체로 충격흡수드럼이 돌출 설치된다. 이 충격흡수드럼이 차량과 충돌되면 회전하면서 스위치와 밀착하게 되어 LED점멸장치가 점멸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차량이 측벽에 충돌하는 경우의 충격을 흡수하고, 점멸되는 LED를 통해 운전자가 빠르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차량이 측벽에 충돌하는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일 뿐이며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주차장 진출입로 고속도로 등의 진출입램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0571호(2006.04.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927호(2008.06.1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3150호(2008.04.1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곡부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 진출입로에서 발생하는 벽면접촉 사고를 줄이기 위해, 차량이 측벽에 접근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차량이 측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은 주차장 진출입로의 측벽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점멸하는 램프부, 및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의 접근 정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는 상기 진출입로의 사이드에 레이저, 초음파, 또는 적외선이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진출입로의 천장 가장자리 쪽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 및 상기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진출입로의 바닥 가장자리 쪽에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세로 레이저 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에서 송신된 레이저가 상기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진출입로의 측벽에 상기 차량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램프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레이저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점멸 주기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는 차량의 옆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한 후, 주행하는 차량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차량과의 거리를 구하는 복수의 거리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램프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부는 상기 진출입로의 측벽에 미터당 적어도 5개 이상 설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은 상기 진출입로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진입 감지부, 및 상기 진출입로로부터 차량이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진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진입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의 동작을 ON시키고, 상기 차량 진출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 진출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의 동작을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이 주차장 진출입로의 측벽에 접근할 때, 측벽에 설치된 램프부를 점멸시켜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진출입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접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측벽에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램프부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위험 정도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함으로써, 진출입로에 차량이 없는 경우, 차량 접근 감지부의 동작을 OFF시켜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부를 통해 차량 진입 여부를 표시하여 진출입로 외부의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진출입로에서 진출하는 차량을 인지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에 설치된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이하,'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에 설치된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은 차량 진입 감지부(110), 차량 진출 감지부(120), 차량 접근 감지부(130), 램프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을 포함한다.
차량 진입 감지부(110)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진출입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한다. 이러한 차량 진입 감지부(110)로 레이저, 적외선이나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진출 감지부(120)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진출입로의 출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출을 감지한다. 이러한 차량 진출 감지부(120)로 레이저, 적외선이나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접근 감지부(130)은 주차장 진출입로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며, 이러한 차량 접근 감지부(130)는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 및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 접근 감지부(130)은 진출입로의 천장 가장자리 쪽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 및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 대응하도록 상기 진출입로의 바닥 가장자리 쪽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로 구성된다.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는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어, 주차장 진출입로의 측벽에 세로 레이저 망이 형성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한다. 즉, 차량이 측벽에 근접하게 되면,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차량에 막혀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
차량 진입 감지부(110)을 통해 진출입로에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후술되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차량 접근 감지부(130)의 동작이 ON된다. 즉,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레이저가 출력되고, 출력된 레이저는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된다.
또한, 차량 접근 감지부(130)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에 설치되는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은 차량 진출입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측벽에 얼마나 근접했는지를 측정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즉,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은 차량의 옆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한 후, 주행하는 차량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차량과의 거리를 구한다.
이러한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로 레이저뿐만 아니라 초음파 및 적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음파의 경우,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에서 초음파를 출력하여 차량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차량과의 거리를 구한다. 적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광 삼각법으로 차량과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에서 출력하여 차량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초점과의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차량과의 거리를 삼각형 기하학으로 구한다.
램프부(140)은 미터당 적어도 5개 이상 설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140-1,140-2,...,140-n)로 구성된다. 램프부(140)은 차량 접근 감지부(130)을 통해 차량이 측벽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점멸된다. 이때, 램프부(140)은 차량의 접근 정도에 따라, 점멸 주기가 달라진다. 즉, 차량이 측벽에 가깝게 접근할수록 점멸주기가 빨라져 운전자에게 위험 정도를 구분하여 알릴 수 있다.
표시부(150)은 진출입로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며, 진출입로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이 진출하는 쪽에 차량 진입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60)은 차량 진입 감지부(110)을 통해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차량 접근 감지부(130)의 동작이 ON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차량 접근 감지부(130)을 통해 차량이 진출입로의 측벽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램프부(140)이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 진출 감지부(120)을 통해 차량 진출이 감지되면, 차량 접근 감지부(130)의 동작이 OFF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60)은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는 개수에 따라 차량이 측벽에 접근하는 정도를 판단한다. 즉,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송신된 레이저가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진출입로의 측벽에 차량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램프부(140)이 점멸되도록 제어하는데,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지 않는 레이저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램프부(140)의 점멸 주기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은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에서 감지된 차량과의 거리를 통해, 벽면과 차량과의 거리가 기준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램프부(140)가 점멸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벽면과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램프부(140)의 점멸 주기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차량 진입 감지부(110)을 통해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S200), 제어부(160)이 차량 접근 감지부(130)의 동작을 ON시킨다(S210). 즉, 제어부(160)은 차량 진입 감지부(110)을 통해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는 레이저 수를 카운트한다. 또한, 제어부(160)은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차량 접근 감지부(130)을 통해 차량이 측벽에 접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S220), 제어부(160)은 차량의 접근 정도에 따라 램프부(140)을 점멸시킨다(S230).
여기서, 제어부(160)은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는 개수에 따라 차량이 측벽에 접근하는 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60)은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지 않는 레이저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램프부(140)의 점멸 주기가 빨라지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에 수신되지 않는 레이저의 개수가 줄어들면, 램프부(140)의 점멸 주기도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은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를 통해 감지된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램프부(140)가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복수의 거리 감지부(136)를 통해 감지된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램프부(140)의 점멸 주기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 진출 감지부(120)을 통해 차량 진출이 감지되면(S240), 제어부(160)은 차량 접근 감지부(130)의 동작을 OFF시킨다(S250).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132) 및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134)로 레이저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적외선이나 초음파로 대체하거나, 레이저, 적외선, 및 초음파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주차장 진출입로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은 일반 도로의 진출입 램프구간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차량 진입 감지부 120 : 차량 진출 감지부
130 : 차량 접근 감지부 132 :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
134 :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 136 : 복수의 거리 감지부
140 : 램프부 140-1,140-2,...,140-n : 복수의 LED
150 : 표시부 160 : 제어부

Claims (9)

  1.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점멸하는 램프부; 및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의 접근 정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는,
    상기 진출입로의 사이드에 레이저, 초음파, 또는 적외선이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는,
    상기 진출입로의 천장 가장자리 쪽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 및
    상기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진출입로의 바닥 가장자리 쪽에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세로 레이저 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송신부에서 송신된 레이저가 상기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진출입로의 측벽에 상기 차량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램프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레이저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점멸 주기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는,
    차량의 옆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한 후, 주행하는 차량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차량과의 거리를 구하는 복수의 거리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램프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진출입로의 측벽에 미터당 적어도 5개 이상 설치된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로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진입 감지부; 및
    상기 진출입로로부터 차량이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진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진입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의 동작을 ON시키고, 상기 차량 진출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 진출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의 동작을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KR1020140098894A 2014-08-01 2014-08-01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KR10163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94A KR101636943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94A KR101636943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914A true KR20160015914A (ko) 2016-02-15
KR101636943B1 KR101636943B1 (ko) 2016-07-20

Family

ID=5535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894A KR101636943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9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86B1 (ko) * 2015-06-16 2016-09-01 주식회사소노위즈 레이더를 이용한 이동 객체 감지에 기반한 주차장 출입구 교통 안내 장치
KR102125247B1 (ko) * 2019-06-28 2020-06-24 (주)대일티이씨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감시 시스템
KR102634760B1 (ko) 2023-03-10 2024-02-13 (주)성원티피에스 나선형 주차장 진입로의 충돌 방지를 위한 유도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16B1 (ko) 2019-07-10 2021-05-04 조용성 주행정보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패턴조명 출력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71B1 (ko) 2006-02-16 2006-08-09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KR100823150B1 (ko) 2006-03-28 2008-04-21 주식회사 코리아카파크 출입문 개방형 무정차 주차관리 시스템
KR100839927B1 (ko) 2007-02-08 2008-06-20 조용성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상의 운전차량 표시 시스템
JP2009167725A (ja) * 2008-01-17 2009-07-30 Toyota Motor Corp 駐車場設備
KR101009048B1 (ko) * 2010-05-06 2011-01-17 김동규 터널 조명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101033082B1 (ko) * 2009-11-03 2011-05-06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터널 내부의 위험을 경고하는 조명시스템
KR101166560B1 (ko) * 2012-01-16 2012-07-19 주식회사 웨스트라인 태양광 led를 이용한 회전 발광 휀스 및 델리네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71B1 (ko) 2006-02-16 2006-08-09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KR100823150B1 (ko) 2006-03-28 2008-04-21 주식회사 코리아카파크 출입문 개방형 무정차 주차관리 시스템
KR100839927B1 (ko) 2007-02-08 2008-06-20 조용성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상의 운전차량 표시 시스템
JP2009167725A (ja) * 2008-01-17 2009-07-30 Toyota Motor Corp 駐車場設備
KR101033082B1 (ko) * 2009-11-03 2011-05-06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터널 내부의 위험을 경고하는 조명시스템
KR101009048B1 (ko) * 2010-05-06 2011-01-17 김동규 터널 조명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101166560B1 (ko) * 2012-01-16 2012-07-19 주식회사 웨스트라인 태양광 led를 이용한 회전 발광 휀스 및 델리네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86B1 (ko) * 2015-06-16 2016-09-01 주식회사소노위즈 레이더를 이용한 이동 객체 감지에 기반한 주차장 출입구 교통 안내 장치
KR102125247B1 (ko) * 2019-06-28 2020-06-24 (주)대일티이씨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감시 시스템
KR102634760B1 (ko) 2023-03-10 2024-02-13 (주)성원티피에스 나선형 주차장 진입로의 충돌 방지를 위한 유도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943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346B2 (ja) 車両用危険報知制御装置
JP5042035B2 (ja) 危険運転予測装置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KR20190033159A (ko) 충돌 방지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KR101636943B1 (ko)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JP2007137116A (ja) 車両衝突軽減装置
KR101561668B1 (ko) 주차장의 충돌 방지 장치 및 시스템
JP4675395B2 (ja) 車両用警報装置
CN103562980A (zh) 用于支持机动车的驾驶员的方法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43144A (ko) 자율주행자동차 차로변경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40252A (ko) 차량에 배치되는 장치
KR102034285B1 (ko) 감지 장치와 경보 수단을 이용한 안전 보행 시스템
KR100459084B1 (ko) 주정차 금지 알림장치
KR101636942B1 (ko) 차량 진출입로에서의 적정한 스티어링 유도를 위한 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시스템
US6510378B2 (en) Traffic control system for signalling timely any obstruction on the road
CN110371110B (zh)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2008262446A (ja) 運転支援装置
KR20180113077A (ko) 조도 관리기능을 갖는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KR20060095146A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KR101953754B1 (ko) 차량 측면용 안전시스템
JP3986907B2 (ja) 車両用警告装置
JP2020006818A (ja) 走行制御装置
JP4999512B2 (ja) 車両接近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