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85A -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85A
KR20160010785A KR1020140090897A KR20140090897A KR20160010785A KR 20160010785 A KR20160010785 A KR 20160010785A KR 1020140090897 A KR1020140090897 A KR 1020140090897A KR 20140090897 A KR20140090897 A KR 20140090897A KR 20160010785 A KR20160010785 A KR 2016001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home appliance
recovery
washing machine
usage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경
강성용
김세일
장지혜
한성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785A/ko
Priority to US15/326,303 priority patent/US20170205791A1/en
Priority to PCT/KR2015/003811 priority patent/WO2016010237A1/en
Priority to AU2015290512A priority patent/AU2015290512A1/en
Priority to EP15822850.2A priority patent/EP3170134B1/en
Priority to JP2017502780A priority patent/JP2017534189A/ja
Priority to CA2954248A priority patent/CA2954248A1/en
Priority to CN201510424780.7A priority patent/CN105320111A/zh
Publication of KR2016001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85A/ko
Priority to AU2018256663A priority patent/AU20182566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05B19/4185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by local area network [LAN], network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4Control of logging system, e.g. decision on which data to store; time-stamping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부;와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가전기기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어 명령의 입력, 및 가전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가전기기의 고장을 관리하는 고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각각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동작 정보와 각종 고장에 대한 정보를 간단한 오류 코드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류 코드를 위해 가전기기의 고장을 판단하고 복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복구 매뉴얼을 숙지하고 있거나,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상담이나 서비스 기사의 방문을 요청해야 했다.
아울러,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상담이나 서비스 기사의 방문 시에 반복적으로 가전기기의 고장 증상 또는 고장 발생 상태를 다시 설명하여야 한다. 또한, 가전기기의 고장의 발생 상태가 재현되지 않는 경우 정확한 고장 발생 원인의 분석하기 어려워 고장의 복구의 어려움이 있다.
사용 로그를 저장하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 로그를 저장하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 따른 가전기기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부;와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가전기기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어 명령의 입력, 및 가전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한다.
또한,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는 구동 정보를 사용 로그에 누적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누적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턴온되면 사용 로그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입선출 방식에 따라 사용 로그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는 사용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하면 사용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는 사용 로그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 통신,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 또는 진단 장치로 고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고장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고장 관리 서버로 사용 로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는 사용자에게 고장 복구 매뉴얼을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관리 서버에 사용 로그를 전송하여 고장에 대응되는 고장 복구 매뉴얼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관리 서버에 사용 로그를 전송하고 고장의 복구를 위한 원격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와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 명령의 입력, 및 가전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는 제어 정보를 누적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 로그에서 선입선출 방식에 따라 가장 먼저 기록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은 가전기기가 턴온되면 사용 로그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고장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고장이 발생하면 사용 로그의 업데이트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고장이 발생하면 임시 저장되어 있던 사용 로그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로그를 저장하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므로 가전기기의 고장 진단 및 복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가전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의 세탁 행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의 급수양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급수 이상이 발생한 때의 사용 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 로그를 수신한 복구 단말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고장 정보 전송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고장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은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매뉴얼 복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은 복구 매뉴얼이 표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원격 복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에서 일정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은 복구 정책 수립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S830단계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는 일 실시예에 고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10), 가전기기(10)를 통신망(N)과 연결시키는 중계기(AP), 통신망(N)을 통해 가전기기(10)를 관리하는 고장 관리 장치(200), 사용자에게 가전기기(10)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310), 및 수리 기사의 복구 단말(3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0)는 가전기기(10) 고유의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10a)은 다양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냉장고(10b)는 식품을 냉각하여 보관하며, 세탁기(10c)는 세탁물을 세탁하며, 로봇 청소기(10d)는 소정 영역을 청소한다.
한편, 도 1에는 가전기기(10)가 텔레비전(10a), 냉장고(10c), 세탁기(10c), 로봇 청소기(10d)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전기기(10)는 에어컨 등과 같은 생활 가전 제품, 컴퓨터, 공유기, 스토리지 등과 같은 디지털 제품, 및 빔 프로젝터, 오디오 등과 같은 미디어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가전기기(10)는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가전기기(10)는 그 구동에서 있어서 발생하는 작동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로 관리할 수 있다. 작동 정보가 누적 기록된 사용 로그는 가전기기(10)의 고장의 예방, 진단 및 복구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 로그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가전기기(10)는 통신망(N)과 연결된 중계기(AP)를 통해 고장 관리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는 통신망(N)과 연결된 중계기(AP)를 통해 사용 로그를 포함한 고장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고장 관리 장치(200)로부터 복구 매뉴얼을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고장 정보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를 식별하기 위한 가전기기(10)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10)에 의하여 생성된 고장 정보는 다른 장치로 전송되어 가전기기(10)의 고장 발생 원인의 진단, 및 가전기기(10)의 고장 복구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장치는 고장 관리 장치(200), 사용자 단말(310) 및 진단 단말(330) 중 하나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0)의 복구를 위해서는 고장 발생 원인의 진단이 필요하다. 사용 로그는 고장의 발생 이전의 작동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바, 가전기기(10)의 고장의 발생 상태가 재현이 없이도 사용 로그에 기록된 작동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 로그는 고장 관리 장치(200) 또는 복구 장치(330)에 전송되어, 고장의 진단 및 복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중계기(AP)는 복수 개의 가전기기(10)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접속되어 홈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AP)와 각 가전기기(10)는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또는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와이브로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가전기기(10)와 중계기(AP)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전기기(10)와 중계기(AP)는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아울러, 각 가전기기(10)에 구비된 통신 장치에 따라 중계기(AP)와 각 가전기기(10)의 연결 방법이 결정될 수 있으며, 중계기(AP)는 각 가전기기(10)에 구비된 통신 장치에 따라 각 가전기기(10)와의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계기(AP)는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망(N)에 접속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망(N)에 접속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중계기(AP)에 접속된 가전기기(10)와 통신망(N)에 연결된 고장 관리 장치(200)는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가전기기(10)는 중계기(AP)를 통해 통신망(N)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310) 또는 진단 단말(320)과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중계기(AP)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형성되고, 중계기(AP)를 통해 가전기기(10)가 통신망(N)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10)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가전기기(10)는 사용자 단말(310)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310)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10)은 가전기기(1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통신망(N)을 통해 고장 관리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통신망(N)을 고장 관리 장치(20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가전기기(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고장 관리 장치(200)는 통신망(N)을 통해 가전기기(10)로부터 고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을 복구할 수 있다.
즉, 고장 관리 장치(200)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조치를 수행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10) 모두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10)은 통신망(N)에 연결되어 고장 관리 장치(200) 또는 가전기기(1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310)은 직접 통신망(N)에 접속하여 가전 기기(10) 및 고장 관리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계기(AP)를 통해 고장 관리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310)은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은 데스크 탑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망(N)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일 수 있으나,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처리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구 단말(330)은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로부터 고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장 정보를 수리 기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구 단말(330)은 통신망(N), 중계기(AP), 또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구 단말(330)은 가전기기(10) 가전기기 제조자에 의하여 생산된 장치일 수도 있으나, 노트북,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범용적인 정보 처리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구 단말(330)은 노트북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고장 관리 시스템(1)의 가전기기(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가전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기기 통신부(11),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기기 조작부(12), 가전기기(10)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 출력부(13), 가전기기(10)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 센서부(14), 가전기기(10)의 구동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기 저장부(15), 가전기기(10)의 고유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 구동부(16), 및 가전기기(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통신부(11)는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기기 통신부(11)는 유선 통신, 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및 포트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 사용 로그를 포함한 고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가전기기(10),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10), 가전기기(10)의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진단 단말(330), 및 고장 관리 장치(200) 중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기기 통신부(11)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고장의 복구를 위한 복구 매뉴얼 또는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기기 통신부(11)는 고장 관리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세션은 외부 장치와 가전기기(10) 사이의 제어 신호 교환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말한다. 고장 관리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310)은 제어 세션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가전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기기 조작부(12)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기기 조작부(12)는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멤브레인 버튼(membrane button)등과 같은 버튼 입력 수단,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터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기기 조작부(12)는 다이얼 등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기 출력부(13)는 가전기기(1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기 출력부(13)는 가전기기(10)의 설정 정보 또는 구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출력부(13)는 고장 복구를 위한 복구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구 매뉴얼은 기기 저장부(15)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나, 가전기기(10)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기기 출력부(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안니다.
또한, 기기 조작부(12)와 기기 출력부(13)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인식 수단과 사용자에게 구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기 센서부(14)는 가전기기(1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전기기(10)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 신호를 기기 제어부(17)에 전송할 수 있다. 가전기기(10)의 종류 또는 기종에 따라 각 가전기기(10)에 구비된 기기 센서부(1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가 냉장고(1b)인 경우 기기 센서부(14)는 냉장실과 냉동실에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기기 저장부(15)는 가전기기(1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기기 저장부(15)에는 사용 로그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저장부(15)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로직에 따라 가전기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기 제어부(17)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가전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c)의 기기 저장부(15)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저장부(15)는 자가 진단 프로그램 또는 자가 복구 프로그램 등과 같이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자가 진단 프로그램은 가전기기(10)의 고장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자가 복구 프로그램은 가전기기(10)의 고장 상태를 복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때, 기기 저장부(15)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가전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기 저장부(15)는 가전기기(10)에서 분리 가능한 저장 장치로 구현되어 사용 로그의 이동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저장부(15)는 외장 하드, Micro SD등과 같은 분리 가능한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기 구동부(16)는 가전기기(10)가 그 고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한다. 기기 구동부(16)는 가전기기(10)의 종류 또는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기기 제어부(17)는 기기 구동부(16)를 제어하여 가전기기(10)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기기 제어부(17)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경우 고장이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정상적인 구동 여부는 기기 센서부(14)를 통해 검출된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의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정보는 사용 로그에 기기 조작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 정보, 기기 센서부(14)에서 검출된 가전기기(10)의 상태 정보, 구동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는 구동 정보, 및 가전기기 구동을 위한 펌웨어의 디버깅을 수행하여 획득된 디버깅 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버깅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디버깅을 수행하여 획득할 수도 있으나, 고장이 발생한 때에 펌웨어의 디버깅을 수행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로그에는 작동 정보와 함께 발생시간도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의 사용 로그를 최초 구동시부터 계속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로그는 가전기기(10)의 최초 구동시부터 누적 기록되면, 사용 로그로부터 가전기기(10)의 총 사용 횟수, 총 사용 시간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에 따라 하드웨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도 있다.
다만, 가전기기(10)의 제한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 로그는 일부 삭제되거나 초기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제어부(17)는 소정의 입력에 따라 사용 로그를 초기화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점마다 사용 로그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가 정상적으로 구동된 이후 턴오프되면 사용 로그를 초기화하거나, 가전기기(10)가 턴온될 때마다 사용 로그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사용 로그를 일정한 크기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 로그는 그 작동 정보의 발생에 따라 순차적으로 누적되어 기록된다. 그러므로, 기기 제어부(17)는 미리 설정된 시점 이전에 발생한 기록된 작동 정보를 삭제하여 사용 로그를 일정한 크기로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기기 제어부(17)는 선입 선출 방식에 따라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제어부(17)는 사용 로그에 저장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도달하면, 먼저 발생한 작동 정보를 삭제하고 새롭게 발생한 작동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가전기기(10)의 고장 발생이 감지되면 작동 정보의 기록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기기 제어부(17)에 의하여 관리되는 사용 로그는 기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기 제어부(17)는 작동 정보가 발생할 때마다 기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사용 로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는 기기 제어부(17)에 임시 저장되고 고장이 발생하면 기기 저장부(15)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로그는 기기 제어부(17)에 마련된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되어 관리되고, 기기 제어부(17)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된 사용 로그가 기기 저장부(15)에 저장될 수 있다.
기기 제어부(17)는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의 원인을 스스로 진단하여 고장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제어부(17)는 고장이 발생하면 진단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진단하고, 복구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고장의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구 프로그램은 펌웨어를 초기화하여 고장의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기기 출력부(13)를 통하여 고장의 발생, 원인 및 고장 복구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기기 통신부(1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10) 또는 고장 관리 장치(200)에 고장 발생 및 고장 복구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7)는 기기 통신부(11)를 통해 연결된 진단 단말(330)에 사용 로그를 포함하는 고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장치에 고장 정보를 전송하므로 다른 장치에서도 고장 발생 원인의 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장 관리 시스템(1)의 가전기기(10)는 생활 가전 제품, 디지털 제품, 또는 미디어 제품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이하 고장 관리 시스템(1)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세탁기(10c)를 가전기기(10)의 대표적인 일례로 설명한다.
도 4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세탁기(10c)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1), 세탁에 이용되는 물(세탁수 또는 헹금수)을 수용하는 터브(20) 및 회전하며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30)을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10c)는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40),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50),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60),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부(70) 및 터브(20) 내부의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온 조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1)의 전면 중앙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102)가 마련되고, 세탁물 투입구(102)에는 세탁물 투입구(10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3)가 마련된다. 도어(103)는 힌지(hinge)에 의하여 캐비닛(10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 투입구(102)를 폐쇄한 경우 후크(hook)에 의하여 쉽게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캐비닛(101)의 전면 상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0c)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10c)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20)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120)은 세탁기(10c)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복수의 조작 버튼 및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120)은 세탁기(10c)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이나 세탁기(10c)를 동작시키거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 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의 세부 설정이 사전에 저장된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122), 다이얼(122)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의 세부 항목을 설정하는 세부 설정 버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부 설정 버튼(123)을 통해 세탁 코스의 수온, 헹굼 횟수, 탈수 세기 등의 세부 항목을 조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전원버튼, 동작 버튼(121) 및 세부 설정 버튼(123)과 같은 복수의 조작 버튼은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20)은 세탁기(10c)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4)은 다이얼(122)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 세부 설정 버튼(123)에 의해 선택된 세부 설정, 세탁기(10c)가 수행하고 있는 행정의 정보, 세탁 종료기까지 남은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24)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패드와 세탁기(10c)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도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1) 내부에 마련되며, 후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의 터브 몸체(21), 터브 몸체(21)의 전방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판(22)을 포함한다. 터브 바디(21)의 후면에는 후술할 드럼 모터(4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25) 및 베어링 하우징(24)이 마련되고, 터브 전면판(22)에는 드럼(3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개구(22a)가 마련된다.
또한, 터브(20)는 터브(20)의 상측에 마련된 연결관(74)을 통하여 급수부(50) 및 세제 공급부(60)와 연결되고, 터브(20)의 하측에 마련된 배수관(61)을 통하여 배수부(60)와 연결된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원통 형상의 드럼 몸체(31), 드럼 몸체(31)의 전방에 마련되는 드럼 전면판(32), 드럼 몸체(31)의 후방에 마련되는 드럼 후면판(33)을 포함한다.
드럼 몸체(31)의 내면에는 터브(20)에 수용된 물이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공(31b)과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터(31a)가 마련된다. 드럼 전면판(32)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개구(22a)가 마련되고, 드럼 후면판(33)에는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40)가 연결되는 플랜지(34)가 설치된다.
드럼 모터(40)는 터브(20)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자(41), 고정자(41)와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회전하는 회전자(42), 일측은 회전자(42)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20)의 후면을 관통하여 드럼(30) 후면에 마련된 플랜지(34)와 연결되는 회전축(43), 회전자(42)의 회전 변위를 검출하는 홀 센서(45)을 포함한다. 또한, 회전축(4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브(20)의 후면에 마련된 베어링(25) 및 베어링 하우징(24)에 의하여 터브(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드럼 모터(40)는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한 비엘디씨(BrushLess Direct Current: BLDC) 모터 또는 동기식 교류(Alteranation Current: AC)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급수부(50)는 터브(20)의 상측에 마련되며, 외부의 급수원(미도시)과 후술할 세제 공급부(70)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관(51), 급수관(51) 상에 마련되어 급수관(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2)를 포함한다. 급수 밸브(52)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급수관(5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채용할 수 있다.
배수부(60)는 터브(20)의 하측에 마련되며, 터브(20)의 물이 캐비닛(101)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수관(61), 배수관(61)에 배치되어 물이 배수관(6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 펌프(62)를 포함한다.
즉, 급수부(50)에 의하여 공급된 물은 세제 공급부(70)를 경유하여 터브(20)에 수용되어 세탁물의 세탁에 사용되고, 오염된 세탁수는 배수부(60)에 의하여 캐비닛(101) 외부로 배출된다. 터브(20)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수위 센서(133)를 통해 검출된다.
세제 공급부(70)는 터브(20)의 상측에 마련되며 연결관(74)을 통하여 터브(20)와 연결된다. 또한, 세제 공급부(70)는 세탁 세제 및 헹굼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71), 세제함(71)을 수용하는 세제함 하우징(7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는 세제 공급부(70)에 의하여 급수부(50)로부터 공급된 물과 함께 터브(20)로 공급된다.
수온 조절부(80)는 터브(20)의 하부에 마련되며,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 히터(82), 터브(8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134)를 포함한다. 수온 센서(81)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가 채용될 수 있다.
도 6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c)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10),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세탁기(10c) 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20), 세탁기(10c)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세탁기 센서부(130), 세탁기(10c)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세탁기 저장부(140),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세탁기(10c)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세탁기 구동부(150), 및 세탁기(10c)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세탁기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로 사용 로그를 포함한 고장 정보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고장의 복구를 위한 복구 매뉴얼 또는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선 통신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111)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유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무선 통신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2)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2)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근거리 통신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3)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인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13)는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또는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프로토콜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곤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통신 포트(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포트(114)는 커넥터를 통해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포트(114)는 한번의 하나의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직렬 포트(serial por), 병렬 전송이 가능한 병렬 포트(Parallel port),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중 하나로 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12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거나, 세탁기(10c)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작 버튼(121), 다이얼(122), 또는 세부 설정 버튼(123)를 이용하여 세탁기(10c)의 제어 명령을 입력 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12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 패널(120)을 디스플레이 패널(124)을 이용하여 세탁기(10c) 구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24)은 세탁기(10c)의 고장 발생을 표시하거나, 고장 복구를 위한 복구 매뉴얼을 표시할 수 있다.
세탁기 센서부(130)는 세탁기(10c)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세탁기(10c)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세탁기 센서부(130)는 도어 센서(131), 속도 센서(132), 수위 센서(133), 및 수온 센서(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센서(131)는 도어(103)의 개폐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센서(131)는 개구(22a)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어(103)와의 접촉을 검출하거나 적외선,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도어(103)와 거리를 측정하여 도어(103)의 개폐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속도 센서(132)는 드럼(3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센서(132)는 회전자(42)의 회전 변위를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속도 센서(132)는 단위 시간당 회전 변위를 산출하여 드럼(3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수위 센서(133)는 터브(20)에 수용된 물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133)는 터브(20)의 하면에 마련되어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압에 기초하여 터브(20)에 수용된 물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수온 센서(134)는 터브(20)의 수용된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세탁기 저장부(140)는 세탁기(10c)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특히, 세탁기 저장부(140)는 사용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저장부(140)는 세탁기(10c)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외장 하드 등과 같은 분리 가능한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리 가능한 저장 장치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 또는 수리 기사는 세탁기 저장부(140)를 분리하여 세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 로그를 획득될 수도 있다.
세탁기 구동부(150)는 세탁기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세탁기(10c)의 각 구성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구동부(15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드럼(30)이 회전하도록 드럼 모터(4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드럼 모터(4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또는 전류의 인가 시간을 조절하여 드럼의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드럼 모터(40)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부(110)는 복수의 IGBT(Insulating Gate Bipolar Transistor)를 구비한 인버터(Inverter)로 구성되어 드럼 모터(40)와 3상(U/V/W)으로 연결하는 IPM(Inteligent Power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구동부(150)는 제어 신호에 따라 급수 밸브(52)의 개폐를 조절하여 급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수 펌프(62)의 구동을 조절하여 배수를 저절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세탁기(10c)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프로세서(Processor, 161), 세탁기(10c)의 제어를 위한 펌웨어가 저장된 롬(ROM, 162) 및 세탁기(10c)의 구동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 임시로 저장하거나, 세탁이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펌웨어는 세탁기(10c)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61)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기(10c)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로 세탁물의 오염을 분리해내는 세탁 행정,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헹굼수로 세탁물의 잔류 세제를 헹구어 주는 헹굼 행정, 및 고속 회전으로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해주는 탈수 행정 등이 수행되도록 세탁기 구동부(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기(10c)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거나, 세탁기 센서부(130)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제어부(160)는 급수 또는 배수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종료되지 않으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장이 발생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고장 발생 원인을 진단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120)을 제어하여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복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고장의 복구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때, 세탁기 제어부(160)는 펌웨어를 디버깅하여 디버깅 정보를 생성하고, 디버깅 정보를 사용 로그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정보를 가전기기(10) 외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의 복구를 위하여 사용 로그를 포함하는 고장 정보를 고장 진단 장치(200), 사용자 단말(310), 및 진단 단말(33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 제어부(160)는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동 정보에 따라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 로그는 세탁기(10c)의 출시 이후 계속하여 누적 관리될 있다. 다만, 세탁기(10c)의 제한된 리소스를 고려하여 사용 로그에는 턴온시부터 에러 발생시까지의 작동 정보만이 누적 기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 로그는 턴온 또는 턴오프가 발생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초기화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로그는 세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만, 세탁기(10c)의 제한된 리소스를 고려하여 사용 로그는 세탁기 제어부(160)의 램(163)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163)에 임시 저장된 사용 로그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세탁기 저장부(140)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컨트롤 패널(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의 입력 정보, 및 세탁기 센서부(130)에서 검출된 세탁기 상태 정보, 제어 프로그램에서 따라 수행되는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사용 로그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의 세탁 행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는 가전기기의 일례인 세탁기의 급수양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급수 이상이 발생한 때의 사용 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20)을 통해 세탁기(10c)의 전원을 턴온되면(S410), 세탁기(10c)는 세탁 행정 시작 여부를 판단한다(S420). 세탁 행정은 동작 버튼(121)의 입력으로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세탁 행정 시작에 앞서 다이얼(122)을 통해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세부 설정 버튼(163)을 통하여 세탁 코스의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도 있다.
세탁 행정이 시작되면, 세탁기(10c)는 터브(20)에 공급될 급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S430). 급수량은 세탁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를 참조하면, 세탁기(10c)는 드럼 모터(40)를 구동한다(S431). 세탁기(10c)는 드럼(30)의 회전 속도가 테스트 속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432). 드럼(30)의 회전 속도가 테스트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기(10c)는 드럼 모터(40)에 전류를 인가하여 드럼 모터(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드럼(30)의 회전 속도가 테스트 속도에 도달하면, 세탁기(10c)는 드럼 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하고(S433), 드럼(30)의 정지 시간을 산출한다(S434).
세탁기(10c)는 정지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S435). 트럼의 정지 시간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드럼 모터(40)의 구동이 정지되어도 회전 관성에 의하여 드럼(30)과 세탁물은 회전 운동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때, 세탁물의 양이 많아 질수록 드럼(30)의 관성 모멘트는 더 커지고, 관성 모멘트가 커짐에 따라 드럼(30)은 더 오랜 시간 동안 회전 운동을 유지한다. 즉, 드럼(30)이 정지하는 시간은 세탁물의 양과 비례한다.
세탁기(10c)는 산출된 세탁물의 양에 기초하여 급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S436). 즉, 세탁물의 양은 드럼(30)의 정지 시간과 비례하는 바, 드럼(30)의 정지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세탁물에 양에 적합하도록 급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급수량 결정을 위하여 세탁기(10c)는 정지 시간에 따른 급수량에 대한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기(10c)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급수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세탁 행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급수양이 결정된 경우 급수양 결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세탁기(10c)는 결정된 급수량에 따라 급수 및 세제 공급을 수행한다(S440). 구체적으로, 세탁기(10c)는 급수 밸브(52)를 개방하여 터브(20)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물은 세제 공급부(70)를 경유하여 터브(20)에 공급됨으로써 물과 세제가 함께 터브(20)에 공급된다. 또한, 세탁기(10c)는 물과 세제를 혼합시키기 위하여 드럼(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세탁기(10c)는 급수량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450), 급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 및 세제 공급을 수행한다.
급수량에 도달하면 세탁기(10c)는 세탁을 수행한다(S460). 구체적으로, 세탁기(10c)는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상술한 세탁 행정이 수행됨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로그가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을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120)로부터 전원 버튼의 턴온 입력이 수신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전원 스위치의 턴온 입력과 함께 입력 정보 수신 시간(2012-03-15 10:25:10)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작동 정보의 타입(user input)도 사용 로그에 함께 기록될 수 있다.
도어 센서(131)는 도어의 개방 상태를 검출하고, 도어 개방 상태를 세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도어 개방 상태를 수신한 세탁기 제어부(160) 도어 개방 상태와 상태 정보 수신 시간(2012-03-15 10:25:12) 및 작동 정보의 타입(sensor)을 함께 사용 로그에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가 닫히면 도어 센서(131)는 도어 닫힘 상태를 검출하고, 도어 닫힘 상태를 세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도어 닫힘 상태를 수신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도어 닫힘 상태와 상태 정보 수신 시간(2012-03-15 10:28:30) 및 작동 정보의 타입(sensor)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표준 세탁 코스를 선택하면 컨트롤 패널(120)은 표준 세탁 코스 선택 입력을 세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표준 세탁 코스 선택 입력을 수신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표준 세탁 코스 선택 입력, 입력 수신 시간(2012-03-15 10:28:35), 및 작동 정보의 타입(user input)을 사용 로그에 누적 기록한다.
이하, 사용자가 세탁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 패널(120)은 시작 입력을 세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시작 입력을 수신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시작 입력, 입력 정보 수신 시간(2012-03-15 10:28:36), 작동 정보의 타입(user input)을 사용 로그에 누적 기록한다.
시작 명령을 수신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 행정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량의 측정을 시작하고, 사용 로그에 세탁량 측정 시작, 측정 시작 시간(2012-03-15 10:28:40), 및 작동 정보의 타입(program)을 기록한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드럼 모터(40)에 전류를 공급하여 드럼 모터(40)를 구동한다. 이때, 세탁기 제어부(160)는 드럼 모터(40)의 전원 공급, 전원 공급 시작 시간(2012-03-15 10:28:41), 및 작동 정보의 타입(program)을 기록한다.
드럼 모터(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속도 센서(132)에서 검출되는 드럼 회전 속도에 모니터링하여 테스트 속도(예를 들어, 100rpm)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드럼 모터(40)에 구동 전류를 인가한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속도 센서(132)를 모니터링하여 테스트 속도의 도달을 판단한다. 테스트 속도에 도달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테스트 속도(100rpm)와 테스트 속도에 도달한 시간(2012-03-15 10:28:51), 및 작동 정보의 타입(sensor)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속도에 도달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드럼 모터(40)의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여 드럼 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한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드럼 모터(40)의 전원 공급 정지, 전원 공급 정지 시간(2012-03-15 10:28:51), 및 작동 정보의 타입(program)을 기록한다.
드럼 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하고, 세탁기 제어부(160)는 속도 센서(132)를 모니터링하여 드럼의 정지를 감지한다. 드럼이 정지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드럼 정지와 드럼이 정지한 시간(2012-03-15 10:28:58), 및 작동 정보의 타입(sensor)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드럼 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한 시간과 드럼의 정지 시간의 시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차에 기초하여 세탁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된 시간에 대응되는 세탁량을 검색하여 세탁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 제어부(160)는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결정된 세탁량(5.8Kg), 세탁량의 결정 시간(2012-03-15 10:28:59), 작동 정보의 타입(program)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결정된 세탁량에 따라 급수 및 세제 공급을 수행한다. 이때, 세탁기 제어부(160)는 급수 밸브를 온, 급수 밸브의 온 시간(2012-03-15 10:29:00), 및 작동 정보의 타입(program)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부(160)는 급수가 시작되면 수위 센서(133)에서 검출되는 수위를 모니터링한다. 급수가 시작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경과할 때까지 급수가 완료되지 않으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현재 수위 센서(133)에서 검출되는 수위(15.1L), 수위 센서(133) 모니터링 시작 시간(2012-03-15 10:29:00), 수위 센서(133) 모니터링 종료 시간(2012-03-15 10:49:00), 및 작동 정보의 타입(sensor)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급수가 완료되지 않으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의 발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 제어부(160)는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급수 고장으로 진단하고, 급수 고장에 대응되는 에러 코드(51)를 컨트롤 패널(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에러 발생 음향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에러 코드(E51), 고장 발생 시간(2012-03-15 10:49:00), 및 작동 정보의 타입(program)을 사용 로그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 10은 사용 로그를 수신한 복구 단말의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로그에는 고장 발생 전의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동 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있는 바, 수리 기사는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고장을 복구할 수 있다.
수리 기사의 복구 단말(330)과 세탁기(10c)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연결되어, 복구 단말(330)로 사용 로그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단말(330)과 세탁기(10c)의 직렬 포트는 시리얼 커넥터(33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복구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세탁기(10c)는 사용 로그를 포함한 고장 정보를 복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세탁기(10c)에서 전송된 사용 로그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단말(330)의 화면에 표시되어 수리 기사에서 사용 로그를 제공할 수 있다. 수리 기사는 복구 단말(330)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쉽고 빠르게 파악하여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 발생 원인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고장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의 포함된 제어 프로그램의 오류, 수위 센서의 고장, 낮은 수압 등과 같은 고장 발생 원인에 의하여 급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고장의 발생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록된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고장의 발생 상태를 파악하여 정확한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바, 가전기기(10)의 고장 발생 원인 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장의 발생 상태가 재현이 불필요한 바, 고장 발생 원인 진단 및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장의 발생 상태가 재현되지 않더라도 정확하게 고장 발생 원인을 진단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이 발생하면 세탁기(10c) 통신부(110)를 통하여 고장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고장 정보 전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는 고장 정보 전송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제어부(160)는 세탁 행정에서 발생하는 작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로그의 수집할 수 있다(S511).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512).
고장이 발생하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의 자가 복구를 수행한다(S513).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자가 복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자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가 복구 프로그램은 세탁기(10c)의 초기화를 수행하여 자가 복구를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자가 복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패널(120)를 통하여 복구 방법을 안내하여 자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가 복구 방법으로 고장이 복구되면 고장 정보는 전송되지 않고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자가 복구를 통하여서도 고장이 복구되지 않으면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 정보를 생성한다(S515).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이 발생하기 전의 사용 로그와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디버깅을 수행하고 디버깅 정보도 사용 로그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부(160)는 세탁기(10c)의 ID 등과 같은 식별 정보 등을 수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세탁기 제어부(160)는 수집된 고장 정보가 세탁기(10c) 통신부(110)를 통하여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되기 적합한 형태로 압축 또는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10c)에 의하여 생성된 고장 정보는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중계기(AP)에 전송되고(S517), 중계기(AP)는 고장 정보를 통신망(N)을 통해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519).
한편, 도 11은 고장 정보 전송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 정보 전송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10)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경우, 세탁기(10c)는 생성된 고장 정보는 사용자 단말(310)에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고장 관리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10)로부터 고장 정보를 수신하면, 고장 관리 장치(200)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의 복구를 시도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고장 관리 시스템(1)의 고장 관리 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고장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고장 관리 장치(200)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통신부(210), 가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230), 및 고장 관리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210)는 통신망(N)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 통신부(210)는 가전기기(10) 또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고장 정보를 수신하거나, 가전기기(10) 또는 사용자 단말(310)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 통신부(210)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와 제어 세션을 설정하여 장치 제어부(240)가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장치 저장부(230)는 가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운영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저장부(230)는 가전기기(10)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고장 발생 원인을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 저장부(230)는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는 고장 정보로부터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장 발생 원인에 따른 복구 방법을 저장한다.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는 가전기기(10)의 종류 또는 가전기기(10)의 모델마다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의 생성에는 빅 데이터의 분석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세탁기(10c)에 대한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를 일부 도시한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는 고장 증상과 고장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원인이 맵핑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유형이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장 발생 원인 및 복구 유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장과 고장 복구 사례에 대한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는 각 고장 발생 원인의 복구 유형을 함께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복구 유형은 각 고장 발생 원인의 고장 복구 수행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 발생 원인이 사용자에 의하여 간단히 자기 조치 가능한 것이면 매뉴얼 복구 유형으로 분류되고, 가전기기(10)를 원격 제어하여 복구 가능한 것이면 원격 복구 유형으로 분류되고, 하드웨어의 수리가 필요한 것이면 수리 복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장치 저장부(230)는 매뉴얼 데이터 베이스(232)를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데이터 베이스(232)는 각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매뉴얼을 저장한다. 이때, 복구 매뉴얼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일 수 있으나, 음성 또는 동영상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장치 저장부(230)는 펨웨어 데이터 베이스(233)를 포함할 수 있다. 펨웨어 데이터 베이스(233)는 각 가전기기(10)의 펨웨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펌웨어의 업데이트 이력도 함께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장치 저장부(230)는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는 하드웨어 수리 일정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각 가전기기(10)의 수리 일정을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장치 저장부(230)에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데이터 베이스는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으며, 도 13에는 4개의 데이터 베이스가 장치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 개의 데이터 베이스는 더 작은 단위로 분할되어 관리되거나, 서로 합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40)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한다. 장치 제어부(240)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구체적인 고장 증상을 판단하고, 판단된 고장 증상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240)는 분석된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원인의 각 복구 방법을 복구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복구 유형에 따라 가전기기(10)의 고장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 제어부(240)는 고장 원인 분석부(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증상을 판단하고, 고장 증상이 발생하는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정보에 포함된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증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로그에 포함된 에러 코드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고장 증상을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전기기(10)는 고장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에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러 코드는 가전기기(10)의 고장 증상과 매핑되어 있음으로 오류 코드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증상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고장 원인 분석부(241)가 가전기기(10)의 고장 증상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전기기(10)는 스스로 고장 증상을 분석하여 고장 정보와 함께 고장 증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장 정보에 고장 증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 증상을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증상에 기초하여 고장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한다. 이때, 고장 발생 원인의 분석에는 고장 정보의 사용 로그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디버깅 정보 또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펌웨어 오류 등의 소프트웨어 결함이 고장 발생 원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디버깅 정보 또는 입력 정보가 정상적인지 판단하고, 디버깅 정보 또는 입력 정보가 비정상적이면 고장 증상이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결함이 고장 발생 원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전기기(10)의 각 부품은 기대 수명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각 부품의 기대 수명에 기초하여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하드웨어 결함이 고장 발생 원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구동 횟수, 구동 시간 등과 같은 가전기기(10)의 구동 히스토리를 분석하고, 분석된 구동 히스토리와 부품의 기대 수명을 비교하여 하드웨어 결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상태 불량으로 인한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가전기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가전기기(10)는 정상적인 상태여야 한다.
그러나, 가전기기(10)의 상태가 불량한 경우, 가전기기(10)가 고장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를 공급하는 급수 호수가 동결된 경우, 급수 수압이 낮은 경우 등과 같이 가전기기(10)의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도 급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증상에 대응되는 상태 불량으로 인한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장 원인 분석부(241)은 고장 발생 원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분석될 수도 있으나,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증상과 고장 발생 원인이 저장된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다.
즉,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에서 고장 증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원인을 검색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에서 검색된 복수 개의 고장 발생 원인에 기초하여 실제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즉,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검색된 복수 개의 고장 발생 원인이 실제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실제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이상은 급수 호수 동결, 사용자 입력 오류, 펨웨어 오류, 급수 필터 막힘 또는 수위 센서 고장이 고장 발생 원인으로 검색된다.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각 고장 발생 원인이 실제 고장 발생 원인인지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로그에 기록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오류가 실제 급수 이상의 발생 원인인지 판단될 수 있으며, 사용 로그에 기록된 디버깅 정보에 기초하여 펌웨어의 오류가 실제 급수 이상의 발생 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수위 센서 고장이 실제 급수 이상의 발생 원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원인 분석부(241)는 펨웨어 오류 또는 사용자 입력 오류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결함 또는 수위 센서 고장 등과 같은 하드웨어 결함이 실제 고장 발생 원인이 아닌 경우, 급수 호수 동결 또는 급수 필터 막힘을 실제 고장 발생 원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로그에 기초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하기 때문에 고장 관리 장치는 고장 발생 원인을 신속하고 정학하게 진단할 수 있다. 아울러, 빅 데이터에 의하여 생성된 고장 진단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하므로 고장 발생 원인을 더욱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240)는 복구 정책 수립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고장 원인 분석부(241)에 의하여 분석된 고장 발생 원인에 따라 복구 방법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복구 유형에 따라 복구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고장 발생 원인이 가전기기(10)의 불량 상태로 인한 것으로 사용자의 의하여 간단히 자가 조치 가능한 것이면 매뉴얼 복구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고장 발생 원인이 소프트웨어 결함 등과 같이 원격 제어로 복구 가능한 것이면 원격 복구 유형으로 분류하고, 고장 발생 원인이 하드웨어 결함 등과 같이 수리 일정의 등록이 필요한 것이면 수리 복구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장 발생 원인을 복구 방법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복구 정책을 수립하므로 최적의 복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구 유형 및 구체적인 복구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에 고장 발생 원인과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에 복구 유형이 함께 저장된 경우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고장 분석 데이터 베이스(231)를 통하여 복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구 정책 수립부(242)에 의하여 복구 정책이 수립되면 복구 정책에 따라 가전기기(10)의 복구가 시도된다.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0) 복구는 매뉴얼 지원부(243), 원격 제어부(244), 또는 일정 등록부(24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매뉴얼 지원부(243)는 사용자 단말(310)에 고장 복구를 위한 복구 매뉴얼을 전송하여 매뉴얼 복구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15, 16을 참조하여 매뉴얼 복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매뉴얼 복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은 복구 매뉴얼이 표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 15 및 16을 참조하면, 고장 관리 장치(200)의 매뉴얼 지원부(243)는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매뉴얼을 검색한다(S611). 구체적으로, 매뉴얼 지원부(243)는 매뉴얼 데이터 베이스(232)에 저장된 복구 매뉴얼 중 고장 원인 분석부(241)에 의하여 분석된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매뉴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발생 원인이 저수압으로 판단되면, 저수압에 대한 복구 매뉴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압에 대한 복구 매뉴얼은 급수 호수의 동결 또는 급수 필터의 청소 등과 같은 복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복구 매뉴얼이 전송될 사용자 단말(310)을 검색한다(S613). 복구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구 매뉴얼을 수신할 사용자 단말(310)의 특정을 필요하다. 그러므로, 매뉴얼 지원부(243)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의 사용자 단말(310)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전기기(10)와 매핑된 사용자 단말(310) 정보가 장치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거나, 고장난 가전기기(10)가 포함된 홈 네크워크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10)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와 동일한 홈 네트워크에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310)을 검색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 복구 매뉴얼은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구 매뉴얼은 가전기기(10) 또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와 동일한 홈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장치 중 복구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텔레비전(도 1의 10a))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매뉴얼 지원부(243)는 검색된 사용자 단말(310)에 검색된 매뉴얼을 전송할 수 있다(S615). 이때, 매뉴얼 지원부(243)는 검색된 사용자 단말(310)의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310)에 전송할 매뉴얼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의 성능이 동영상을 표시하기 부족한 경우에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음성 형태의 복구 매뉴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구 매뉴얼이 전송된 사용자 단말(310)은 매뉴얼을 출력한다(S617). 이때, 사용자 단말(310)은 복구 매뉴얼의 종류에 띠라 복구 매뉴얼의 출력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매뉴얼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고장 증상("급수이상(E51)")과 복구 방법("저수압으로 인한 고장 입니다. 급수 밸브를 점검해보세요")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동영상 보기 아이콘(311)과 상담원 연결 아이콘(31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상상 보기 아이콘(311)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은 동영상으로 복구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310)을 통하여 복구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복구 매뉴얼에 따라 복구를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상담원(C)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담원(C) 연결 요청이 입력되면(S619), 사용자 단말(310)은 연결 요청을 고장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62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담원 연결 아이콘(313)을 선택하면 상담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매뉴얼 지원부(243)는 사용자 단말(310)의 연결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과 연결할 상담원(C)을 검색하고(S623), 검색됨 상담원(C)과 사용자 단말(310)을 연결할 수 있다(S625). 이때, 매뉴얼 지원부(243)는 검색된 상담원(C)에게 고장 정보, 고장 증상, 고장 발생 원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장 정보, 고장 증상, 고장 발생 원인을 상담원(C)에게 제공함으로써, 상담원(C)이 고장에 대한 중복 확인 없이 상담원(C)이 고장 복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6는 복구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례로 복구 매뉴얼을 제공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복구 매뉴얼은 사용자 단말(310)이 아닌 가전기기(10)로 전송되고 가전기기(10)는 기기 출력부(13)를 통해 복구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U)는 가전기기(10)를 통해 상담원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매뉴얼 지원부(243)는 가전기기(10)의 요청에 따라 상담원을 검색하여 가전기기(10)와 상담원을 연결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244)는 가전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원격 복구를 시도한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원격 복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원격 복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관리 장치(200)는 가전기기(10)의 초기화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 관리 장치(200)는 중계기(AP)에 원격 제어를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S631), 중계기(AP)를 통해 원격 제어를 위한 접속 요청이 세탁기(10c)에 전달된다(S633).
이와 같은 접속 요청에 따라 세탁기(10c)와 고장 관리 장치(200) 사이에는 제어 세션이 설정되면(S635), 고장 관리 장치(200)는 제어 세션을 통해 중계기(AP)에 초기화 명령을 전송하고(S637), 중계기(AP)는 전송 받은 초기화 명령을 세탁기(10c)에 전달한다(S639).
이와 같이 초기화 명령을 수신한 세탁기(10c)는 초기화를 수행한다(S641). 여기서, 초기화는 세탁기(10c)의 상태를 최초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말하며, 초기화가 수행되면 펌웨어가 최초 설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세탁기(10c)에 마련된 센서도 최초 설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구동 모터(40), 급수 밸브(52), 배수 펌프(62) 등과 같은 세탁기(10c)의 각 구성도 기준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세탁기(10c)의 초기화는 세탁기 제어부(160)의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세탁기(10c) 펌웨어 등에 의하여 초기화의 시작이 방지된 경우라도 기기 제어부(17)는 강제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10c)는 초기화의 수행이 종료되면 고장 복구 응답을 중계기(AP)에 전송하고(S643), 중계기(AP)는 세탁기(10c)로부터 전달 받은 고장 복구 응답을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한다(S645).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관리 장치(200)는 가전기기(10)의 펌웨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 관리 장치(200)는 중계기(AP)에 원격 제어를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S651), 중계기(AP)를 통해 원격 제어를 위한 접속 요청이 세탁기(10c)에 전달된다(S653).
이와 같은 접속 요청에 따라 세탁기(10c)와 고장 관리 장치(200) 사이에는 제어 세션이 설정되면(S655), 고장 관리 장치(200)는 제어 세션을 통해 중계기(AP)에 최신 버전의 펌웨어을 전송하고(S657), 중계기(AP)는 전송 받은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세탁기(10c)에 전달한다(S659).
펌웨어를 수신한 세탁기(10c)는 펌웨어를 저장한다(S661), 세탁기(10c)는 펨웨어가 정상적으로 저장되면 중계기(AP)에 전송 완료 응답을 전송하고(S663), 중계기(AP)는 세탁기(10c)로부터 수신한 전송 완료 응답을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한다(S665).
펨웨어 전송 완료 응답을 수신한 고장 관리 장치(200)는 펌웨어 설치 명령을 중계기(AP)에 전송할 수 있다(S667). 중계기(AP)는 고장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펌웨어 설치 명령을 세탁기(10c)에게 전송한다(S669).
펌웨어 설치 명령을 수신한 세탁기(10c)는 펌웨어 설치를 수행한다(S671). 이때, 이전 버전의 펌웨어는 백업될 수 있으며, 펌웨어 설치로 인하여 사용 로그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로그 역시 백업될 수 있다. 최신 버전의 펌웨어의 설치가 종료된 이후 백업된 사용 로그는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세탁기(10c)는 펌웨어의 설치가 종료되면 세탁기(10c)는 초기화의 수행이 종료되면 고장 복구 응답을 중계기(AP)에 전송하고(S673), 중계기(AP)는 세탁기(10c)로부터 전달 받은 고장 복구 응답을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한다(S675).
한편, 도 16은 원격 복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 복구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고장 관리 장치(200)는 원격 제어를 통해 가전기기(10)의 구성을 기준 위치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고장 복구를 위하여 더 복잡한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격 복구 방법은 원격제어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인증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 접속과 함께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정을 받는 단계가 더 포함되거나,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허락된 경우에만 원격제어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일정 등록부(245)는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의 수리를 위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일정 등록부(245)는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310)에 등록 가능한 수리 일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에 따라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도 13는 고장 관리 장치(200)가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를 포함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가 별도의 장치에 마련된 고장 관리 시스템(1)에서 일정 등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 관리 시스템에서 일정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장치는 가전기기(10)의 수리를 위한 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 장치는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23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고장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310) 사이를 매개하여 수리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일정 등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관리 장치(200)의 일정 등록부(245)는 서비스 관리 장치에 일정 정보를 요청한다(S701).
이와 같은 일정 정보 검색을 요청 받은 서비스 관리 장치는 서비스 등록을 위해 필요한 일정 정보를 검색하고(703S), 검색된 일정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705).
고장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일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310)에 전송한다(S707),
이후, 사용자 단말(310)은 고장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S709), 일정 등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711).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선택 정보를 고장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고(S713), 고장 관리 장치(200)는 선택 정보를 다시 서비스 관리 장치에 전송한다(S715).
서비스 관리 장치는 수신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을 등록하고(S717), 일정이 등록되면 고장 관리 장치(200)에 일정 등록 성공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719).
일정 등록 성공 알림을 수신한 고장 관리 장치(200)는 일정 등록 성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10)에 일정 등록 성공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721).
이와 같이 일정 등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10)은 일정 등록 성공을 표시할 수 있다(S723).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증상이 발생하는 고장 발생 원인이 복수 개로 분석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고장 발생 원인 중 적어도 하나의 원인이 발생하면 특정 고장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c)의 코드 연결 불량, 사용자 입력 오류, 펨웨어 오류, 입력 버튼 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원인에 의하여 입력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세탁기(10c)의 사용자 입력 오류, 펨웨어 오류, 저수압, 또는 세탁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원인이 발생하면 세탁수 급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장 발생 원인이 여러 개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복수 개의 고장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방법을 복구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복구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구가 수행되도록 복구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하 도 19 내지 20를 참조하여 복구 정책의 수립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은 복구 정책 수립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S830단계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복수 개의 고장 발생 원인을 복구 방법의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S810).
예들 들어, 세탁기(10c) 급수 이상의 고장 발생 원인이 급수 필터 막힘, 펌웨어 오류, 수위 센서 고장 중 하나인 것으로 분석되면,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사용자에 의하여 간단히 자가 조치 가능한 급수 필터 막힘은 매뉴얼 복구 유형으로 분류하고, 원격 제어로 복구 가능한 펌웨어 오류는 원격 복구 유형으로 분류하고, 하드웨어의 수리가 필요한 수위 센서 고장은 수리 복구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복구 정책 수립부(242)는 복구 방법의 유형에 따라 복구 수행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S820). 이때, 복구 수행 순서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구 수행 순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원격 복구, 매뉴얼 복구, 수리 복구 순서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매뉴얼 복구, 원격 복구, 수리 복구 순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장 발생 원인의 발생 빈도에 따라 발생 빈도가 높은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방법의 유형이 먼저 실행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40)는 복구 수행 순서에 따라 복구를 진행할 수 있다(S830). 이하, 도 20를 참조하여 복구 진행의 일 예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240)는 복구 정책 수립부(242)에 의하여 수립된 복구 수행 순서에 따라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부(244)는 복구 수행 순서에 따라 가전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복구를 시도한다(S831).
원격 복구 시도에 따라 복구가 성공하면(S833의 예), 장치 제어부(240)는 복구를 종료한다. 한편, 원격 복구 시도에 따라 복구가 실패하면(S833의 아니오) 매뉴얼 지원부(243)는 매뉴얼 복구를 시도한다(S835). 이때, 매뉴얼 지원부(243)는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매뉴얼을 사용자 단말(310)에 제공할 수 있다.
매뉴얼 복구 시도에 따라 복구가 성공하면(S837의 예), 장치 제어부(240)는 복구를 종료한다. 한편, 매뉴얼 복구 시도에 따라 복구가 실패하면(S837의 아니오) 일정 등록부(245)는 고장 수리를 위한 일정을 등록한다(S839).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310)에 일정 등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정 등록부(245)는 수리 일정과 함께 고장 정보, 고장 증상, 분석된 고장 발생 원인, 원격 복구 또는 매뉴얼 복구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일정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과 함께 저장된 고장 및 복구와 관련된 정보는 서비스 기사에게 제공되어 빠른 수리가 가능하게 한다.
도 21는 일 실시예에 고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관리 장치(200)는 고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10). 구체적으로, 고장이 발생한 가전기기(10)는 고장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가전기기(10)에 의하여 생성된 고장 정보는 통신망(N)을 통해 고장 관리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고장 관리 장치(200)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S920). 이때, 고장 관리 장치(200)는 고장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증상을 판단하고, 고장 증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고장 발생 원인의 분석되는 사용 로그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버깅 로그 또는 입력 로그에 기초하여 펌웨어 오류 등의 소프트웨어 결함이 고장 발생 원인인지 분석하거나, 구동 로그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결함이 고장 발생 원인인지 분석할 수 있다.
고장 관리 장치(200)는 고장 발생 원인에 따라 복구 방법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복구 유형에 따라 복구 정책을 수립한다(S930).
구체적으로, 고장 발생 원인이 가전기기(10)의 불량 상태로 인한 것으로 사용자의 의하여 간단히 자가 조치 가능한 것이면 매뉴얼 복구 유형으로 분류되고 고장 발생 원인이 소프트웨어 결함 등과 같이 원격 제어로 복구 가능한 것이면 원격 복구 유형으로 분류되고, 고장 발생 원인이 하드웨어 결함 등과 같이 수리 일정의 등록이 필요한 것이면 수리 복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고장 발생 원인이 여러 개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각 고장 발생 유형은 복구 유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장 발생 원인에 대응되는 복구 유형이 복수 개이면 순차적으로 복구가 시도되도록 복구 정책이 수립될 수 있다. 복구 수행 순서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고장 관리 장치(200)는 복구 정책에 따라 복구 조치를 수행한다(S940). 구체적으로, 고장 관리 장치(200)는 복구 정책에 따라 상술한 매뉴얼 복구, 원격 복구, 수리 복구 중 적어도 하나의 복구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가전기기(10)의 고장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가전기기 200: 고장 관리 장치
310: 사용자 단말 330: 진단 단말

Claims (23)

  1.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부;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가전기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의 입력, 및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는 구동 정보를 상기 사용 로그에 누적 기록하는 가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누적 기록하는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턴온되면 상기 사용 로그를 초기화하는 가전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가전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입선출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 로그를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관리하는 가전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 로그를 저장하는 가전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 통신,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다른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 포트;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 또는 진단 장치로 상기 고장 정보를 전송하는 가전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고장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고장 관리 서버로 상기 사용 로그를 전송하는 가전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고장 복구 매뉴얼을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고장 관리 서버에 상기 사용 로그를 전송하여 고장에 대응되는 상기 고장 복구 매뉴얼을 요청하는 가전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고장 관리 서버에 상기 사용 로그를 전송하고 고장의 복구를 위한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가전기기.
  16.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가전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의 입력, 및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누적 기록하여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는 제어 정보를 누적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로그에서 선입선출 방식에 따라 가장 먼저 기록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가 턴온되면 상기 사용 로그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고장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 로그의 업데이트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고장이 발생하면 임시 저장되어 있던 사용 로그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090897A 2014-07-18 2014-07-18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97A KR20160010785A (ko) 2014-07-18 2014-07-18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5/326,303 US20170205791A1 (en) 2014-07-18 2015-04-1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CT/KR2015/003811 WO2016010237A1 (en) 2014-07-18 2015-04-1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U2015290512A AU2015290512A1 (en) 2014-07-18 2015-04-1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5822850.2A EP3170134B1 (en) 2014-07-18 2015-04-1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7502780A JP2017534189A (ja) 2014-07-18 2015-04-16 家電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A2954248A CA2954248A1 (en) 2014-07-18 2015-04-16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01510424780.7A CN105320111A (zh) 2014-07-18 2015-07-17 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AU2018256663A AU2018256663A1 (en) 2014-07-18 2018-11-02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97A KR20160010785A (ko) 2014-07-18 2014-07-18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85A true KR20160010785A (ko) 2016-01-28

Family

ID=5507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897A KR20160010785A (ko) 2014-07-18 2014-07-18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205791A1 (ko)
EP (1) EP3170134B1 (ko)
JP (1) JP2017534189A (ko)
KR (1) KR20160010785A (ko)
CN (1) CN105320111A (ko)
AU (2) AU2015290512A1 (ko)
CA (1) CA2954248A1 (ko)
WO (1) WO201601023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018A (ko) * 2017-04-14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KR20180137147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9045440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가전 기기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WO2021230631A1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가전제품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303977B2 (en) 2016-12-20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for managing home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637744B2 (en) 2020-11-19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health of devices in an IoT environment using inter-device corre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6510D0 (en) * 2010-04-20 2010-06-02 Senselogix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CA2746065C (en) * 2011-07-18 2013-02-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applying message actions
JP6294262B2 (ja) * 2015-05-19 2018-03-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の異常検出機能を備えた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CN105527511A (zh) * 2015-11-27 2016-04-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设备自动修复的方法、装置和系统
US10540058B2 (en) * 2016-01-08 2020-01-21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asting a user interface
DE102016106671B3 (de) * 2016-04-12 2017-08-31 Miele & Cie. Kg Türerkennungssystem für ein Haushaltgerät, Haushalt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ürerkennungssystems für ein Haushaltgerät
US10111273B2 (en) 2016-05-24 2018-10-2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ommunication paths hierarchy for managed computing device
JP6866989B2 (ja) * 2016-06-03 2021-04-28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およびマッサージ機の診断システム
US10637736B2 (en) * 2016-06-06 2020-04-28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managed computing device no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management computing device
CN107604590B (zh) * 2016-07-11 2021-10-08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物联网洗衣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DE102016225887A1 (de) 2016-12-21 2018-06-21 Henkel Ag & Co. Kgaa Dosierverfahren für ein Ausgabemodul
GB2560765A (en) * 2017-03-24 2018-09-26 Howden Joinery Ltd Domestic product
JP6905869B2 (ja) * 2017-05-31 2021-07-2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家電機器システム、家電機器の診断方法、及び端末機器
CN108062040B (zh) * 2017-07-20 2020-06-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设备水渍油污的智能清理方法
CN107898391A (zh) * 2017-11-08 2018-04-13 张子腾 高效智能清扫一体机
CN111433773B (zh) * 2017-11-30 2023-04-11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对变电站中的网关的更新
CN108143356A (zh) * 2017-12-27 2018-06-12 彭乙轩 智能楼梯清洁系统
FR3079849B1 (fr) * 2018-04-04 2021-05-28 Groupe Brandt Procede de preconisation de l'utilisation d'un appareil electromenager de lavage
KR102572483B1 (ko) * 2018-05-25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6978984B2 (ja) * 2018-06-27 2021-12-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11994035B2 (en) 2018-07-03 2024-05-28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Valv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CN110895855B (zh) * 2018-09-13 2023-07-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庭衣物处理剂自动复购系统的控制方法
CN109512332A (zh) * 2018-09-25 2019-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吸尘设备及其控制装置及方法
CN113132127A (zh) * 2019-12-30 2021-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设备管理方法、系统及网络设备
EP3866075A1 (de) * 2020-02-13 2021-08-18 Andreas Stihl AG & Co. KG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assistieren bei der reparatur eines motorangetriebenen werkzeugs und system zum automatisierten assistieren bei der reparatur eines motorangetriebenen werkzeugs
WO2021192039A1 (ja) * 2020-03-24 2021-09-30 シャープ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623554B (zh) * 2020-04-03 2022-03-04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热泵机组的异常掉电检测方法及其装置、和热泵机组
DE102020114666A1 (de) * 2020-06-02 2021-12-02 RP Medics GmbH Lichttherapiekammer mit wenigstens zwei Steuer- und/oder Überwachungseinheiten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Lichttherapiekammer
DE102020213757A1 (de) 2020-11-02 2022-05-05 BSH Hausgeräte GmbH Kopplung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m Mobilgerät
CN115016411B (zh) * 2022-06-10 2023-07-28 苏州益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品后加工产线的给水管理调控系统
US20230418278A1 (en) * 2022-06-22 2023-12-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mestic appliances and dense logging of diagnostic data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2216B2 (ja) * 1995-07-13 2004-03-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EP1143313B1 (en) * 2000-03-29 2009-07-08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controlled wash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E60121862T3 (de) * 2000-06-13 2012-09-20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TW593950B (en) * 2000-09-11 2004-06-21 Toshiba Corp Remote inspection system for refrigerator
JP2002092206A (ja) * 2000-09-12 2002-03-29 Toshiba Corp 家電機器の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2279091A (ja) * 2001-03-16 2002-09-27 Hitachi Ltd 家電機器保守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434270B1 (ko) * 2001-05-3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JP2003085316A (ja) * 2001-09-12 2003-03-20 Nec Commun Syst Ltd 家庭用電化製品のネットワーク診断・修理方式及びその方法
JP2003198746A (ja) * 2001-12-27 2003-07-11 Sony Corp 遠隔操作装置並びに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4102802A (ja) * 2002-09-11 2004-04-02 Hitachi Ltd 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民生機器
KR20040085334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가전기기의 원격 에이.에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599822B2 (ja) * 2003-10-08 2010-12-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JP2006006467A (ja) * 2004-06-23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家電製品の保守支援システムと保守方法
JP2006100951A (ja) * 2004-09-28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管理システム
KR20070013090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고장대처방법
CN101447119A (zh) * 2007-11-26 2009-06-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KR20100112948A (ko) * 2009-04-10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8327193B2 (en) * 2009-04-13 2012-12-04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a failure diagnostic log
AU2010279835B2 (en) * 2009-08-05 2014-08-2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97946B1 (ko) * 2011-05-25 201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자가 진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07178A (ko) *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KR102102246B1 (ko) * 2012-12-18 202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3977B2 (en) 2016-12-20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for managing home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116018A (ko) * 2017-04-14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KR20180137147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859327B2 (en) 2017-06-16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WO2019045440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가전 기기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90024440A (ko) * 2017-08-31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가전 기기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US11212388B2 (en) 2017-08-31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in
WO2021230631A1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가전제품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37744B2 (en) 2020-11-19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health of devices in an IoT environment using inter-device corre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56663A1 (en) 2018-11-22
WO2016010237A1 (en) 2016-01-21
US20170205791A1 (en) 2017-07-20
CA2954248A1 (en) 2016-01-21
EP3170134A1 (en) 2017-05-24
CN105320111A (zh) 2016-02-10
EP3170134A4 (en) 2017-12-06
JP2017534189A (ja) 2017-11-16
EP3170134B1 (en) 2020-08-12
AU2015290512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0785A (ko)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EP2462719B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778868B2 (en) Remote control of laundry appliance
KR101276861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RU2573203C2 (ru) Способ оперирования портативным терминалом
US6983628B2 (en) Washing machine and system data changing method of the same
KR100413290B1 (ko) 세탁기기의 고장해석 시스템
KR100393997B1 (ko) 세탁기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101482137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130013237A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JP7065005B2 (ja) 洗濯機の異常診断システム
US10254921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JP2002085888A (ja) ランドリー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ランドリー機器
KR20040050767A (ko) 음성 인식/합성 기능을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의 원격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고장배제를 위한 서비스제공의사 통지방법
KR20030000189A (ko) 세탁기의 원격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741578B (zh) 用于测试监控单元的测试方法及其服务器与测试系统
KR1018526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5056B1 (ko) 세탁기의 데이터 저장방법
CN100375804C (zh) 洗衣机的故障诊断装置及方法
KR100393998B1 (ko) 세탁기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10014439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5270244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