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431A -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7431A KR20160007431A KR1020150098320A KR20150098320A KR20160007431A KR 20160007431 A KR20160007431 A KR 20160007431A KR 1020150098320 A KR1020150098320 A KR 1020150098320A KR 20150098320 A KR20150098320 A KR 20150098320A KR 20160007431 A KR20160007431 A KR 201600074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pressing
- vehicle
- camera
- pres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04N5/2257—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1—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key-type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10)는, 제1 브래킷(14) 및 제2 브래킷(18)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전방 유리(12)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은,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탑재 카메라를 보유 지지한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지지부 및 제1 역지 결합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브래킷(18)은, 압박부 및 제2 역지 결합부(62)를 갖는다.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의 피압박부를 압박하여 상기 피압박부를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끼움 지지한다.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는,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결합된 때,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압박부와 상호 작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차량의 전방의 정보를 취득하여 기록하거나 혹은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운전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차실 내에 설치되고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차량 탑재 카메라를 갖는 경우가 있다. 차량 탑재 카메라의 일례로서, CCD 카메라를 들 수 있다. 차량 탑재 카메라는, 차량에 대해 브래킷으로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다. 브래킷은 일반적으로는 전방 유리의 내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에 사용되는 브래킷은 스프링 기구를 갖는다. 차량 탑재 카메라가 스프링 기구에 의해 압박되고, 차량 탑재 카메라의 일부가 브래킷의 스프링 기구 이외의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차량 탑재 카메라가 브래킷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193558호는, 브래킷이 스프링 기구로서의 판 스프링을 갖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관련 기술의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스프링 기구의 스프링 부재는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저하 등에 대처하기 위해 스프링 기구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브래킷을 교환해야 한다. 또한, 브래킷은 전방 유리의 내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브래킷만을 교환할 수 없다. 따라서, 브래킷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브래킷이 고정된 전방 유리를 교환해야 한다. 그로 인해,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에 관한 보수를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없다.
또한,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에 경시 변화가 발생하고 있지 않아도, 차량 탑재 카메라의 교환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부분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차량 탑재 카메라로 교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교환 후의 차량 탑재 카메라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소정의 값으로 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차량 탑재 카메라가 교환되는 경우에도,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에 관한 보수를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태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이다. 상기 장착 구조는, 차량 탑재 카메라를 차량의 전방 유리의 내면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 구조는,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전방 유리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은,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지지부 및 제1 역지 결합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브래킷은, 압박부 및 제2 역지 결합부를 갖는다. 상기 압박부는, 탄성을 갖는다.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의 피압박부를 압박하여 상기 피압박부를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끼움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는,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결합된 때,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압박부와 상호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제2 브래킷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피압박부가 압박부에 의해 지지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되고, 압박부와 지지부 사이에 끼움 지지된다. 또한, 제2 역지 결합부가 제1 역지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에 대해 변위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2 브래킷을 장착 위치에서 제1 브래킷에 장착함으로써, 차량 탑재 카메라를 제1 브래킷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래킷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 제2 브래킷이 피압박부를 통해 제1 브래킷에 미치는 압박력의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브래킷으로부터 제1 브래킷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 역지 결합부 및 제2 역지 결합부가, 압박력의 반력을 제2 브래킷으로부터 제1 브래킷에 전달하는 반력 전달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차량 탑재 카메라를 제1 브래킷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보유 지지하기 위한 압박력은, 압박부가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힘, 바꾸어 말하면 제2 브래킷의 일부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발생하는 힘이다. 따라서, 스프링 기구가 제1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압박력의 저하에 대처하는 보수, 피압박부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차량 탑재 카메라로의 교환 등이 필요해져도, 제2 브래킷만을 교환하면 되고, 제1 브래킷 및 전방 유리의 교환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압박력에 관한 보수 및/또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교환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실질적으로 상기 전방 유리를 따르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장착 위치까지 변위시켰을 때,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전방 유리와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압박부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압박의 반력에 저항하여, 제1 방향으로 제1 브래킷에 대해 제2 브래킷을 이동시킴으로써, 제2 브래킷은 장착 위치에서 제1 브래킷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브래킷에 대한 제2 브래킷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에 전방 유리와 교차하는 방향(제2 방향)으로 불필요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전방 유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이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2 브래킷이 장착 위치에서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에는, 제2 브래킷은 작업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제1 브래킷에 대해 이동된다. 그 상황에 있어서 압박부가 지지부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의 피압박부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방향은, 상기 전방 유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지지부는 전방 유리에 근접하는 상측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힘을 받지 않고, 전방 유리는 제1 브래킷으로부터 상향의 힘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제1 브래킷이 고정된 전방 유리가 접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고, 그 후 차량 탑재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비교적 강한 힘으로 제2 브래킷을 이동시켜도, 전방 유리가 차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접촉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접촉부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어도 된다. 상기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상기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에 전달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2 브래킷이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압박부가 제1 방향으로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브래킷은,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접촉부에 접촉 가능하므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는 그들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브래킷이 제1 방향으로 제1 브래킷에 대해 장착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접촉부로부터 제1 접촉부에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 구조는,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피압박부는,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1 피압박부 및 상기 제2 피압박부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압박부는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1 압박부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제1 지지부에 대해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압박부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제2 지지부에 대해 압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위치에 있어서,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에 의해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의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를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부, 지지부 및 피압박부가 하나인 경우에 비해, 차량 탑재 카메라를 제1 브래킷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 피압박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피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피압박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 지지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지지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1 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 압박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압박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피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제2 피압박부, 한 쌍의 제1 지지부, 한 쌍의 제2 지지부, 한 쌍의 제1 압박부, 한 쌍의 제2 압박부는, 한 쌍의 제1 피압박부와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 등이 한 쌍이 아닌 경우에 비해, 차량 탑재 카메라를 제1 브래킷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차량 탑재 카메라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는 제3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압박부는, 상기 제2 압박부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진행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제1 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압박부가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해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하기 전에,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해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압박부는 상기 제2 피압박부와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우선, 제1 압박부가 제1 지지부를 향해 제1 피압박부의 압박을 개시하고, 그 후 제2 압박부가 제2 지지부를 향해 제2 피압박부의 압박을 개시한다. 따라서, 제1 압박부가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제1 지지부에 대해 제1 피압박부를 구속하고, 그 상태에서 제2 압박부에 의해 제2 피압박부를 제2 지지부에 대해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가 각각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향해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의 압박을 동시에 개시하는 구성의 경우에 비해, 제1 브래킷에 대해 제2 브래킷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압박부와 제2 피압박부의 면 접촉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고, 이에 의해 제2 압박부와 제2 피압박부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차량 탑재 카메라를 제1 브래킷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차량 탑재 카메라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압박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압박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전방 유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이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2 브래킷이 장착 위치에서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에는, 제2 브래킷은 작업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제1 브래킷에 대해 이동된다. 그 상황에 있어서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의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방향은, 상기 전방 유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전방 유리에 근접하는 상측 방향의 힘을 받지 않고, 전방 유리는 제1 브래킷으로부터 상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힘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제1 브래킷이 고정된 전방 유리가 접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후에 차량 탑재 카메라가 장착되는 상황에 있어서, 가령 작업자가 비교적 강한 힘으로 제2 브래킷을 이동시켜도, 전방 유리가 차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지 결합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대해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압박력의 전방 유리와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은,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지지부의 양측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역지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에 의한 압박력의 전방 유리와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에 기인하여 제1 역지 결합부의 둘레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 접촉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은, 한 쌍의 제2 접촉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1 압박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어도 된다. 상기 제2 압박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어도 된다. 상기 제1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어도 된다. 상기 제2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2 브래킷이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가 제1 방향으로 각각 제1 피압박부 및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을, 주로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접촉부는, 제2 접촉부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브래킷이 제1 방향으로 제1 브래킷에 대해 장착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제1 압박부 및 제2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를, 한 쌍의 제2 접촉부로부터 한 쌍의 제1 접촉부에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제1 가이드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은 제2 가이드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의 상기 제1 방향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해 서로 상호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상호 작동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제2 브래킷이 제1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제2 브래킷의 변위를 안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착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제2 브래킷을 제1 브래킷에 대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카메라 결합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카메라 결합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전방 유리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전방 유리를 따라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대해서도, 제2 브래킷에 의해 제1 브래킷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 카메라가 전방 유리를 따라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이에 의해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대해서도, 차량 탑재 카메라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한 쌍의 제1 측벽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브래킷은, 한 쌍의 제2 측벽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부 중 한쪽은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에 직접적으로 끼움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측벽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차량 탑재 카메라가, 각 측벽부의 벽면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의 경사각이 20도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의 경사각이 15도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의 경사각이 10도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2 방향의 경사각이 70도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2 방향의 경사각이 75도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2 방향의 경사각이 80도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장점 및 기술적 및 산업상 의의는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실시 형태를 경사 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사시도.
도 5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평면도.
도 6은 제1 브래킷의 우측의 측벽부를 좌측의 측벽부의 측에서 본 확대 부분도.
도 7은 제3 탄성 아암 및 역지 갈고리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사시도.
도 8은 차량 탑재 카메라가 제1 브래킷에 배치된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제1 피압박부가 제1 지지부 상에 적재되고, 제2 피압박부가 제2 지지부 상에 적재된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2 브래킷이 조립되는 과정을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제2 브래킷이 조립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돌기 및 제2 가이드 돌기가 각각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의 초기 단계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초기 단계에 있어서, 제1 압박부가 제1 지지부에 대해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하는 압박력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의 중간 단계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중간 단계에 있어서, 제2 압박부가 제2 지지부에 대해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하는 압박력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의 최종 단계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최종 단계에 있어서의 제1 브래킷, 차량 탑재 카메라 및 제2 브래킷의 관계를 카메라 결합부가 설치된 영역에 대해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8은 커버가 차량 탑재 카메라 및 제2 브래킷을 덮도록 제1 브래킷에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우측의 서브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제2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에 임시 고정되고, 그 후 차량 탑재 카메라가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제1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가 차량 탑재 카메라 및 제2 브래킷을 덮도록 제1 브래킷에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실시 형태를 경사 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사시도.
도 5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평면도.
도 6은 제1 브래킷의 우측의 측벽부를 좌측의 측벽부의 측에서 본 확대 부분도.
도 7은 제3 탄성 아암 및 역지 갈고리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사시도.
도 8은 차량 탑재 카메라가 제1 브래킷에 배치된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제1 피압박부가 제1 지지부 상에 적재되고, 제2 피압박부가 제2 지지부 상에 적재된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2 브래킷이 조립되는 과정을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제2 브래킷이 조립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돌기 및 제2 가이드 돌기가 각각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의 초기 단계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초기 단계에 있어서, 제1 압박부가 제1 지지부에 대해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하는 압박력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의 중간 단계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중간 단계에 있어서, 제2 압박부가 제2 지지부에 대해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하는 압박력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 및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의 최종 단계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최종 단계에 있어서의 제1 브래킷, 차량 탑재 카메라 및 제2 브래킷의 관계를 카메라 결합부가 설치된 영역에 대해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8은 커버가 차량 탑재 카메라 및 제2 브래킷을 덮도록 제1 브래킷에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우측의 서브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제2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제2 브래킷이 제1 브래킷에 임시 고정되고, 그 후 차량 탑재 카메라가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제1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가 차량 탑재 카메라 및 제2 브래킷을 덮도록 제1 브래킷에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10)를 경사 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제1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2 브래킷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 등의 방향이나 전단부, 우측 등의 위치 관계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장착 구조(10)에 의해 장착된 상황을 차량의 전진 시에 대해 본 경우의 방향이나 위치 관계인 것에 유의바란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는,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 단면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착 구조(10)는, 메인 브래킷으로서의 제1 브래킷(14)과, 제1 브래킷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보유 지지하는 서브 브래킷으로서의 제2 브래킷(18)을 갖고 있다. 제1 브래킷(14)은, 판상의 베이스부(14A)에서 전방 유리(12)의 내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1 브래킷(14)은, 섬유의 체적률이 수십% 정도인 유리 섬유 강화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금속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브래킷(18)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전방 유리(12)를 따르는 제1 방향으로 제1 브래킷(14)에 대해 장착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제1 브래킷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18)은,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임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특히 소정의 부위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강도, 탄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POM(폴리아세탈) 수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유리(12)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도록 전방 경사 상태로 차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브래킷(14)의 베이스부(14A)는, 전방 유리(12)에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구형(펀칭의 직사각형)을 이루고, 길이 방향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정합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에 대해 이동되는 제1 방향은, 차량의 전방 방향에 정합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전방 유리(12)를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부(14A)의 후단부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14B)를 갖고, 각 아암부(14B)의 선단에는 커버(80)(도 18 참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 유리(12)의 내면에는, 베이스부(14A)의 펀칭부(14D) 중 차량 후방 또한 차폭 방향 중앙의 영역에 있어서, 룸 미러(20)의 브래킷(20A)이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베이스부(14A)의 차량 전방의 부분에는, 전방 유리(12)를 거쳐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 후드(21)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착 구조(10)에 의해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전방 유리(12)에 장착될 때에는, 우선, 화살표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1 브래킷(14)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위치 정렬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1 브래킷(14)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 및 차량 탑재 카메라(16)에 대해 위치 정렬된다. 또한, 화살표 D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 및 차량 탑재 카메라(16)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은 화살표 B 및 D의 방향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특히,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장착 구조(10)에 의해 장착된 상황을 상정하면, 도 4는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바로 위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카메라(16)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고,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장착 구조(10)에 의해 장착되면,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큰 두께를 갖고 있다. 차량 탑재 카메라(16)는 하우징(25)에 의해 지지된 렌즈(26)를 갖고, 도 4 및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우징(25) 내에는, 촬상 소자, 전자 회로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5)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우징(25)의 좌우의 측면부(28)에는, 각각 제1 피압박부(30)와 제2 피압박부(32)가 설치되고, 이들 피압박부는 측면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좌우의 제1 피압박부(30)는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전단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좌우의 제2 피압박부(32)는 대응하는 제1 피압박부(30)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5)에는, 렌즈(26)의 전방에 렌즈에 입사되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5)의 전단부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전단부를 제1 브래킷(14)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훅(도시하지 않음)이, 차량의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4)의 좌우의 측변부(14E)에는, 각각 측벽부(14S)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부(14S)는 측변부(14E)에 수직으로 대응하는 측변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14S)의 서로 대항하는 측면(내측의 측면)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제1 지지부(22)는,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대응하는 제1 피압박부(30)를 지지하고, 각 제2 지지부(24)는, 대응하는 제2 피압박부(32)를 지지한다. 따라서, 좌우의 제2 지지부(24)는 대응하는 제1 지지부(22)로부터 차량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부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볼 때 L형을 이루고 있다.
도 6은 제1 브래킷(14)의 우측의 측벽부(14S)를 좌측의 측벽부의 측에서 본 확대 부분도이다. 이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각각 실질적으로 베이스부(14A)를 따라 연장되는 저벽부(22B) 및 저벽부(24B)와, 저벽부와 일체로 저벽부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부(22U) 및 직립부(24U)를 갖고 있다. 좌측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도 각각 우측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부(14S)에는, 제2 지지부(24)의 전방측에 절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벽부(14S)에는, 제1 지지부(22)와 절결부(36) 사이의 영역에, 제1 가이드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38)의 후단부측에는, 측벽부(14S)가 차량의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됨으로써 형성된 가이드 수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벽부(14S)에는, 제2 지지부(24)의 후방에 제2 가이드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42)의 후단부측에는, 가이드 수용 오목부(40)에 대응하는 오목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각 가이드 홈(42)의 후단부는,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홈(38) 및 제2 가이드 홈(42)의 상면 및 이들 가이드 홈의 주요부의 하면은,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벽부(14S)에는, 각각 제1 가이드 홈(38) 및 제2 가이드 홈(42)의 상방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볼 때 L형을 이루는 제1 리브(46) 및 제2 리브(4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리브(46) 및 제2 리브(48)의 하단부는 각각 제1 가이드 홈(38) 및 제2 가이드 홈(42)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있고,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1 접촉부(46A) 및 제1 접촉부(48A)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브래킷(18)은, 서로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18S)와, 그들 측벽부(18S)의 하부 테두리부를 일체로 접속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벽부(18B)를 갖고 있다. 각 측벽부(18S)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 아암(50)이 설치되어 있다. 각 탄성 아암(50)은, 선단에 제1 압박부(52)를 갖고, 각 압박부(52)의 단부면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약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경사지고, 탄성 아암(50)의 하부 테두리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각 측벽부(18S)의 후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 아암(54)이 설치되어 있다. 각 탄성 아암(54)은, 선단에 제2 압박부(56)를 갖고, 각 압박부(56)의 단부면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약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경사지고, 탄성 아암(54)의 하부 테두리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측벽부(18S)의 중간부에는, 제1 탄성 아암(50)에 근접한 위치에 카메라 결합 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카메라 결합 돌기(58)의 선단부의 두께는 다른 부분에 비해 크고, 선단부의 내면은 전방측이 후방측에 비해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각각 탄성 아암(50) 및 탄성 아암(54)은 제2 접촉부로서 간주되어도 된다.
각 제2 탄성 아암(54)의 하방 또한 전방의 위치에서 측벽부(18S)의 후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3 탄성 아암(60)이 설치되어 있다. 각 탄성 아암(60)은, 선단에 역지 갈고리(62)를 갖고, 각 역지 갈고리(62)는 탄성 아암(6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역지 갈고리(62)는, 탄성 아암(60)의 연장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역지 결합면(62A)과, 탄성 아암(60)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62B)을 갖고 있다. 각 역지 갈고리(62)의 외측의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거용의 돌기(64)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6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4)으로부터 제2 브래킷(18)을 제거할 때에 사용된다.
각 제1 탄성 아암(50)의 근원부의 외측의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돌기(66)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2 탄성 아암(54)의 근원부의 외측의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돌기(66) 및 제2 가이드 돌기(68)의 상면은, 각각 제1 탄성 아암(50) 및 제2 탄성 아암(54)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돌기(66) 및 제2 가이드 돌기(68)는,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에 대해 이동될 때에, 각각 제1 가이드 홈(38) 및 제2 가이드 홈(42)에 결합함으로써 제2 브래킷(18)을 제1 방향으로 안내한다. 각각 제1 가이드 홈(38) 및 제2 가이드 홈(42)은 본 발명의 제1 가이드부로서 간주되어도 된다. 각각 제1 가이드 돌기(66) 및 제2 가이드 돌기(68)는 본 발명의 제2 가이드부로서 간주되어도 된다.
장착 구조(10)에 의한 전방 유리(12)에 대한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장착은, 이하의 수순으로 행해진다.
우선, 도 1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베이스부(14A)를 따라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1 브래킷(14)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1 브래킷(14)에 대해 임시 위치 결정된다. 이 임시 위치 결정은, 좌우의 제1 피압박부(30)가 대응하는 제1 지지부(22) 상에 적재되고, 좌우의 제2 피압박부(32)가 대응하는 제2 지지부(24) 상에 적재됨으로써 행해진다. 이 경우,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각각 대응하는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4)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지지하는 작업자의 손의 힘이 해제되어도, 차량 탑재 카메라(16)는 낙하하지 않고, 차량 탑재 카메라의 중량은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의해 담지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의 횡방향으로 본 형상은, 후방 또한 상측의 코너부가 모따기된 직사각형이며, 각 코너부가 둥그스름한 모양을 띤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피압박부(32)의 높이 및 모따기의 크기는, 제1 피압박부(30)의 높이 및 모따기의 크기보다도 크다. 특히,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피압박부(30)의 모따기의 경사면(30A)은, 횡방향으로 볼 때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지만, 제2 피압박부(32)의 모따기의 경사면(32A)은, 횡방향으로 볼 때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1 피압박부(30)의 전방면과 제2 피압박부(32)의 전방면 사이의 거리는, 제1 지지부(22)의 직립부(22U)의 후방면과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의 후방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압박부(32)는, 제2 지지부(24)의 저벽부(24B) 및 직립부(24U)에 접촉한다. 이에 반해, 제1 피압박부(30)는, 제1 지지부(22)의 저벽부(22B)에 접촉하지만, 제1 지지부(22)의 직립부(24U)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4) 및 차량 탑재 카메라(16)에 대해 제2 브래킷(18)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좌우의 제1 가이드 돌기(66)가 대응하는 가이드 수용 오목부(40) 내에 위치 결정되고, 좌우의 제2 가이드 돌기(68)가 대응하는 가이드 홈(42)의 후단부의 개구부의 후방에 위치 결정된다. 이 위치 결정 시에 제1 브래킷(14)이 제2 브래킷(18)에 의해 전방 유리(12)에 대해 압박되는 일은 없다. 이어서, 제2 브래킷(18)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각 제1 가이드 돌기(66)가 제1 가이드 홈(38)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가이드 돌기(68)가 제2 가이드 홈(4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브래킷(18)은 도 1,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화살표 D로 도시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제1 방향의 이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제1 압박부(52)는 대응하는 제1 피압박부(30)에 부분적으로 올라탄 상태로 되고, 각 제1 탄성 아암(50)은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제1 피압박부(30)는, 제1 압박부(52)에 의해, 제1 방향의 성분 F1h 및 이것에 수직이며 하향의 성분 F1v를 갖는 압박력 F1에 의해 제1 지지부(22)에 대해 압박된다. 이에 반해, 각 제2 압박부(56)는, 제2 피압박부(32)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제2 압박부(56)는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방향의 이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각 역지 갈고리(62)의 상단부가 대응하는 제2 지지부(24)의 저벽부(24B)의 하면에 결합하고, 이에 의해 각 제3 탄성 아암(60)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된다. 또한, 좌우의 제1 탄성 아암(50)의 상면이, 대응하는 제1 리브(46)의 선단의 제1 접촉부(46A)에 접촉하고, 좌우의 제2 탄성 아암(54)의 상면이, 대응하는 제2 리브(48)의 선단의 제1 접촉부(48A)에 접촉한다.
제1 방향의 이동의 중간 단계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제1 압박부(52)는 대응하는 제1 피압박부(30)에 한층 더 올려 놓여진 상태로 되고, 각 제2 압박부(56)도 제2 피압박부(32)를 제2 지지부(24)에 대해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각 제2 탄성 아암(54)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제2 피압박부(32)는, 제2 압박부(56)에 의해, 제1 방향의 성분 F2h 및 이것에 수직이며 하향의 성분 F2v를 갖는 압박력 F2에 의해 제2 지지부(24)에 대해 압박된다. 또한, 각 역지 갈고리(62)의 상단부가 대응하는 제2 지지부(24)의 저벽부(24B)의 하면의 전단부 근방까지 이동하지만, 각 제3 탄성 아암(60)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방향의 이동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제1 압박부(52)는 대응하는 제1 피압박부(30)에 한층 더 올려 놓여진 상태로 되고, 각 제2 압박부(56)는 제2 피압박부(32)를 더욱 강하게 제2 지지부(24)에 대해 압박하게 된다. 또한, 각 역지 갈고리(62)의 상단부가 대응하는 제2 지지부(24)의 저벽부(24B)의 하면의 전단부를 넘음으로써, 각 역지 갈고리(62)의 역지 결합면(62A)이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의 전방면에 역지 결합하고, 각 제3 탄성 아암(60)의 탄성 변형이 해제된다. 이 최종 단계에 있어서는, 각 제2 피압박부(32)는, 대응하는 제2 지지부(24)의 저벽부(24B) 및 직립부(24U)와 제2 압박부(56) 사이에 끼움 지지된다. 도 16에 도시된 제1 브래킷(14)에 대한 제2 브래킷(18)의 위치가, 「장착 위치」이다.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좌우의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가 각각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에 의해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1 브래킷(14)에 대해 소정의 장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보유 지지된다. 이 경우, 각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 및 역지 갈고리(62)는, 각각 제1 역지 결합부 및 제2 역지 결합부로서 기능하고, 서로 상호 작동하여, 제2 브래킷(18)이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1 브래킷(14)에 대해 변위하는 것을 저지한다.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도,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는, 각각 압박력 F1 및 F2에 의해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대해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한다. 압박력 F1의 제1 방향의 성분 F1h 및 압박력 F2의 제1 방향의 성분 F2h의 반력(그들 반력의 합을 「반력 Fr12h」라 함)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로부터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에 대해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성분 F1h의 반력 및 성분 F2h의 반력의 합을 「반력 Fr12h」로 하면, 반력 Fr12h의 주요부는, 각 역지 갈고리(62)로부터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에 전달된다. 반력 Fr12h의 나머지의 부분은, 각 제1 탄성 아암(50)의 상면과 제1 접촉부(46A) 사이의 마찰력 및 각 제2 탄성 아암(54)의 상면과 제1 접촉부(48A) 사이의 마찰력으로서, 각각 대응하는 제1 리브(46) 및 제2 리브(48)에 전달된다.
또한, 압박력 F1의 제1 방향에 수직한 성분 F1v 및 압박력 F2의 제1 방향에 수직한 성분 F2v의 반력(그들 반력의 합을 「반력 Fr12v」라 함)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로부터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에 대해 제1 방향에 수직으로 상방으로 작용한다. 성분 F1v의 반력 및 성분 F2v의 반력의 합을 「반력 Fr12v」로 하면, 반력 Fr12v의 일부 Fr12v1은, 각 제1 탄성 아암(50)의 근원부로부터 제1 접촉부(46A)에 전달된다. 반력 Fr12v의 나머지의 부분 Fr12v2는, 각 제2 탄성 아암(54)의 근원부로부터 제1 접촉부(48A)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 탄성 아암(50)의 근원부, 제2 탄성 아암(54)의 근원부 및 역지 갈고리(62)는, 제1 반력 전달부로서 기능하고, 제1 압박부(52), 제2 압박부(56) 및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는, 제2 반력 전달부로서 기능한다. 즉,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은, 제2 반력 전달부로부터 제1 반력 전달부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제2 브래킷(18)으로부터 제1 브래킷(14)에 전달된다.
또한,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도 17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의 카메라 결합 돌기(58)가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대응하는 측면(28)에 결합한다. 또한, 제2 브래킷(18)의 측벽부(18S)는 다른 부위에서 제1 브래킷(14)의 측벽부(14S)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 카메라(16)는 제2 브래킷(18)에 의해 차량의 횡방향으로도 제1 브래킷(14)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 브래킷(14) 및 제2 브래킷(18)은, 좌우 양쪽의 측벽부(14S) 및 측벽부(18S)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도 서로 결합하고, 이에 의해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차량의 횡방향으로 제1 브래킷(14) 및 제2 브래킷(18)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80)가 제1 브래킷(14) 등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 후,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커버(80)의 2개의 후단부에 설치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결합부가, 제1 브래킷(14)의 장착부(14C)에 결합시켜진다. 또한, 커버(80)의 전단부에 설치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결합부가, 제1 브래킷(14)의 전단부에 설치된 장착부(14F)에 결합시켜진다. 이에 의해 커버(80)가, 차량 탑재 카메라(16) 및 제2 브래킷(18)을 덮도록, 제1 브래킷(14)에 장착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부호 82는 습도 센서 또는 우적 센서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센서도 커버(80)에 의해 덮인다.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보수 또는 교환을 행하는 경우, 또는 제2 브래킷(18)이 발생하는 압박력의 저하 등에 의해 제2 브래킷(18)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커버(80) 및 제2 브래킷(18)이 제거된다.
우선, 커버(80)의 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제1 브래킷(14)의 전단부에 설치된 장착부(14F)로부터 제거되고, 커버(80)의 전방 부분이 하방으로 끌어 내려진다. 또한, 커버(80)의 2개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제1 브래킷(14)의 장착부(14C)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커버(80)가 제거된다.
다음으로, 제2 브래킷(18)의 좌우의 역지 갈고리(62)의 외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거용의 돌기(64)가, 동시에 하방으로 압하됨으로써, 각 역지 갈고리(62)의 역지 결합면(62A)과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의 전방면의 역지 결합이 해제된다. 역지 결합이 해제되면,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하는 것에 의한 반력에 의해, 제2 브래킷(18)이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1 브래킷(14) 및 차량 탑재 카메라(16)에 대해 이동된다. 따라서,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으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제2 브래킷(18)이 발생하는 압박력의 저하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브래킷(18)이 교환된다. 또한,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보수 또는 교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1 브래킷(14)에 대해 이동되고, 제1 브래킷(14)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새로운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상술한 요령으로 제1 브래킷(14) 및 제2 브래킷(18)에 의해 장착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관한 장착 구조(10)에 따르면, 다음의 이점이 달성된다.
제1 브래킷(14)과 이것에 조립되는 제2 브래킷(18)의 상호 작동에 의해,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제1 브래킷(14)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소정의 위치에 양호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제1 브래킷(14)에는 스프링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위치 결정하고 보유 지지하기 위한 압박력은, 제2 브래킷(18)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압박력의 저하에 대처하는 보수, 압박력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교환 등이 필요해져도, 제2 브래킷(18)만을 교환하면 되고, 제1 브래킷(14) 및 전방 유리(12)의 교환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압박력에 관한 보수 및/또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교환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브래킷(14)에 제2 브래킷(18)을 조립할 때에,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대해 압박한다. 그러나, 그들 압박력의 제1 방향에 수직한 성분은, 전방 유리(12)로부터 이격되는 하향이며, 상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힘이 전방 유리(12)에 작용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미리 제1 브래킷(14)이 고정된 전방 유리(12)가 차체에 접착된 후에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장착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제2 브래킷(18)의 조립에 기인하여 전방 유리(12)가 차체로부터 박리되는 일은 없다.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 및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는, 각각 차량의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하나씩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제1 브래킷(14)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소정의 위치에 양호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하는 압박력은, 제1 탄성 아암(50) 및 제2 탄성 아암(54)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제2 브래킷(18)에 고정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압박력이 발생되는 구조의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를 저감시키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브래킷(14)에 제2 브래킷(18)을 조립할 때나 조립 완료 후에도, 차량 탑재 카메라(16)는 좌우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의해 지지되고,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중량도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의해 담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브래킷(18)을 조립할 때에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보유 지지할 필요가 없고,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래킷(18)은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중량을 담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 브래킷(18)에 요구되는 강도 및 강성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브래킷(18)의 각 측벽부(18S)는, 제1 브래킷(14)의 한 쌍의 측벽부(14S)의 내측에서 차량 탑재 카메라(16)와 측벽부(14S)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카메라 결합 돌기(58)에 의해 그들 사이에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협압함으로써,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횡방향으로 구속한다. 따라서, 제2 브래킷(18)의 각 측 벽부(18S)가, 제1 브래킷(14)의 한 쌍의 측벽부(14S)의 외측에 위치하고, 측벽부(14S)를 통해 차량 탑재 카메라(16)를 협압하는 구조의 경우에 비해, 제2 브래킷(18)에 요구되는 강도 및 강성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는,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역지 갈고리(62)가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에 결합함으로써, 제2 브래킷(18)이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1 브래킷(14)에 대해 변위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2 지지부(24)는, 지지부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제1 역지 결합부로서 기능하므로, 제1 역지 결합부가 지지부와는 다른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제1 브래킷(14)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박부(56)에 의한 압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1 방향과는 역방향의 반력을 제1 브래킷(14)에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우측의 서브 브래킷(18R)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측의 서브 브래킷(18R)은, 제2 브래킷으로서 간주되어도 된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2 브래킷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2 브래킷(18)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18S)에 대응하는 2개의 서브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의 서브 브래킷(18R)은, 실시 형태의 우측의 측벽부(18S)의 부분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서브 브래킷(18L)은, 실시 형태의 좌측의 측벽부(18S)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장착 시에는, 우선,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배치가 행해진다. 이어서, 실시 형태의 제2 브래킷(18)의 장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브 브래킷(18R) 및 서브 브래킷(18L)이 동시에 또는 시간적으로 전후하여 제1 브래킷(14)에 조립된다.
또한,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보수 시 등에는, 좌우의 역지 갈고리(62)의 외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거용의 돌기(64)가, 동시에 또는 시간적으로 전후하여 하방으로 압하됨으로써, 각 역지 갈고리(62)와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의 전방면의 역지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서브 브래킷(18R) 및 서브 브래킷(18L)이 동시에 또는 시간적으로 전후하여 제1 브래킷(14)으로부터 제거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이점이 얻어지는 것에 더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저벽부(18B)는 불필요하므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비용을 저감시키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제2 브래킷(18)을 경사 전방 또한 상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제2 브래킷(18)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18S)의 후단부가, 저벽부(18B)가 아니라 배벽부(18C)에 의해 일체로 접속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2 변형예의 다른 점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장착 시에는, 실시 형태의 제2 브래킷(18)의 장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에 조립된다. 또한,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보수 시 등에는,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요령으로, 각 역지 갈고리(62)와 제2 지지부(24) 전방면의 역지 결합이 해제된 후, 제2 브래킷(18)이 제1 브래킷(14)으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제2 브래킷(18)이 낙하하지 않도록 제1 브래킷(14)에 임시 고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하방으로부터 제2 브래킷(18)의 내측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 후 제2 브래킷(18)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된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이점이 얻어지는 것에 더하여,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두께나 하면의 형상의 제약이 작으므로, 제1 브래킷(14)으로부터 제2 브래킷(18)을 제거하는 일 없이,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보수, 교환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제1 브래킷(14)을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1 브래킷(14)의 베이스부(14A)에는, 각 아암부(14B) 및 좌우의 측변부(14E)와 일체를 이루는 센서 장착부(14G)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장착부(14G)는, 베이스부(14A)에 형성된 펀칭부(84)와, 펀칭부(84)의 둘레에서 베이스부(14A)와 일체로 형성된 4개의 훅(86)을 갖고 있다. 도 2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센서 장착부(14G)에는, 습도 센서 또는 우적 센서 등의 센서가 부분적으로 펀칭부(84)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훅(86)에 의해 장착된다.
제3 변형예에 따르면, 센서가 아암부(14B) 및 측변부(14E)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해, 제1 브래킷(14)의 베이스부(14A)에의 센서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2 브래킷(18)은, 제1 브래킷(14)의 구조가 다른 것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상술한 실시 형태, 제1 변형예 또는 제2 변형예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80)가 차량 탑재 카메라(16) 및 제2 브래킷(18)을 덮도록 제1 브래킷(14)에 장착되는 요령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습도 센서 또는 우적 센서(82)에 대응하는 센서는 제1 브래킷(14)에 장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브래킷(14)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암부(14B)에 대응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고, 커버(80)도 습도 센서 또는 우적 센서(82)를 수용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각각,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대해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압박부(52)에 의한 제1 지지부(22)에 대한 제1 피압박부(30)의 압박이 생략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제2 피압박부(32) 이외의 부위에서 제2 브래킷(18)에 의해 제1 브래킷(14)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전방 유리(1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은, 주로 제1 탄성 아암부(50) 및 제2 탄성 아암부(54)로부터 제1 접촉부(46A) 및 제2 접촉부(48A)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반력의 적어도 일부가, 역지 갈고리(62)로부터 제2 지지부(24)에 전달되도록 수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가 각각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압박하는 압박력은, 제1 탄성 아암(50) 및 제2 탄성 아암(54)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압박력은, 제2 브래킷(18)에 고정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발생되도록 수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 및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는, 각각 차량의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부, 피압박부 및 압박부의 각각의 전체의 수는 3, 2 또는 1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역지 결합부인 제2 지지부(24)의 직립부(24U)는, 제1 방향에 대해 볼 때,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의 한쪽이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의 다른 쪽과 제1 역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좌우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 상에 임시 배치되는 단계에 있어서도, 한 쌍의 제1 피압박부(30)는 대응하는 제1 지지부(22)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임시 배치되는 단계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제1 피압박부(30)의 한쪽이 대응하는 제1 지지부(22)에 접촉하지 않고 부상된 상태에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대한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의 위치에 대해 요구되는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방향은 차량의 전방 방향에 정합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전방 유리(12)를 따르는 방향이지만, 제1 방향은 차량의 전방 방향에 정합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브래킷(18)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브래킷(18)의 각 측벽부(18S)는, 제1 브래킷(14)의 한 쌍의 측벽부(14S)의 내측에서 차량 탑재 카메라(16)와 측벽부(14S)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2 브래킷(18)의 각 측벽부(18S)가, 제1 브래킷(14)의 한 쌍의 측벽부(14S)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수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는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하우징(25)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탑재 카메라(16)가 카메라 본체와 이것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에 의해 형성되고, 피압박부가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각각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각각 차량 탑재 카메라(16)의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정되어도 된다.
Claims (16)
- 차량 탑재 카메라를 차량의 전방 유리(12)의 내면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10)이며,
상기 전방 유리의 내면에 고정된 제1 브래킷(14)과,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차량 탑재 카메라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브래킷(1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지지부 및 제1 역지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2 브래킷(18)은, 압박부 및 제2 역지 결합부(62)를 갖고,
상기 압박부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의 피압박부를 압박하여 상기 피압박부를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끼움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는,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결합된 때,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압박부와 상호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실질적으로 상기 전방 유리를 따르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장착 위치까지 변위시켰을 때,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전방 유리와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압박부를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전방 유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인,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접촉부(48A)를 갖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접촉부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54)를 갖고,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고,
상기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상기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에 전달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압박부는, 제1 피압박부(30) 및 제2 피압박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압박부 및 상기 제2 피압박부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제1 압박부(52) 및 제2 압박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박부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제1 지지부에 대해 압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압박부는,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제2 지지부에 대해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 피압박부를 갖고,
상기 제2 피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피압박부를 갖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1 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1 압박부를 갖고,
상기 제2 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압박부를 갖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는 제3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압박부는, 상기 제2 압박부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진행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압박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브래킷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압박부가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해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하기 전에,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해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압박부는 상기 제2 피압박부와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압박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압박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전방 유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인,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지 결합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 접촉부(46A, 48A)를 갖고,
상기 제2 브래킷은, 한 쌍의 제2 접촉부(50, 54)를 갖고,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압박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2 압박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역지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2 압박부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역지 결합부에 전달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제1 가이드부(42)를 갖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제2 가이드부(68)를 갖고,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의 상기 제1 방향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해 서로 상호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카메라 결합부(58)를 갖고,
상기 카메라 결합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음과 함께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장착 구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가 상기 전방 유리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한 쌍의 제1 측벽부(14S)를 갖고,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브래킷은, 한 쌍의 제2 측벽부(18S)를 갖고,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방 유리를 따름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부 중 한쪽은 상기 차량 탑재 카메라의 일부에 직접적으로 끼움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측벽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측벽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해 상기 제2 브래킷이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의 경사각이 20도 이하인,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리에 대한 상기 제2 방향의 경사각이 70도 이상인,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제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142658 | 2014-07-10 | ||
JP2014142658A JP6052246B2 (ja) | 2014-07-10 | 2014-07-10 | 車載カメラの取り付け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7431A true KR20160007431A (ko) | 2016-01-20 |
KR101677851B1 KR101677851B1 (ko) | 2016-11-18 |
Family
ID=5354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8320A KR101677851B1 (ko) | 2014-07-10 | 2015-07-10 |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252684B2 (ko) |
EP (1) | EP2965949B1 (ko) |
JP (1) | JP6052246B2 (ko) |
KR (1) | KR101677851B1 (ko) |
CN (1) | CN105292009B (ko) |
BR (1) | BR10201501657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422U (ko) * | 2016-06-21 | 2017-12-29 | 팅크웨어(주) | 카메라 하우징 장치 |
KR20190018502A (ko) * | 2016-07-20 | 2019-02-22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카메라 유닛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56821B2 (en) * | 2004-12-15 | 2012-09-04 | Magna Donnelly Engineering Gmbh | Accessory module system for a vehicle window |
US10046716B2 (en) * | 2011-02-10 | 2018-08-14 | Denso Corporation | In-vehicle camera and vehicle control system |
DE102012101781B4 (de) * | 2012-03-02 | 2014-07-10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Halterahmen für Sensorvorrichtungen in Fahrzeugen |
US9487161B2 (en) | 2013-10-04 | 2016-11-08 |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 Accessory system for a vehicle |
JP6507835B2 (ja) * | 2015-05-14 | 2019-05-08 | スズキ株式会社 | 車載機器用カバー構造 |
US11639039B1 (en) | 2016-02-04 | 2023-05-02 | Maurice Paperi | Matching pieces and kits for repairing broken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
JP6392267B2 (ja) * | 2016-03-24 | 2018-09-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センサブラケット |
EP3279043B1 (en) * | 2016-08-05 | 2018-12-05 | MEAS France | Sensor mounting system |
CN106218534A (zh) * | 2016-08-24 | 2016-12-14 |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环视摄像头车载安装支架 |
US10870401B2 (en) | 2016-09-21 | 2020-12-22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Imaging device |
WO2018055906A1 (ja) * | 2016-09-21 | 2018-03-29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6756643B2 (ja) * | 2017-03-07 | 2020-09-16 | 日本発條株式会社 | 車載ユニットの支持装置及び車載ユニットの着脱方法 |
US10488738B2 (en) * | 2017-03-08 | 2019-11-26 | Trw Automotive U.S. Llc | Temperature management of a driver assist camera via a vehicle windshield |
WO2018190116A1 (ja) * | 2017-04-13 | 2018-10-18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6508603B2 (ja) | 2017-06-20 | 2019-05-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センサブラケット |
JP6435563B1 (ja) | 2017-06-20 | 2018-12-1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センサブラケット |
US10953817B2 (en) * | 2017-08-15 | 2021-03-23 | Methode Electronics, Inc. | Locking bracket for vehicle accessory |
EP3446928B1 (en) * | 2017-08-24 | 2020-06-17 | Veoneer Sweden AB | Imag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
DE102017216637B4 (de) | 2017-09-20 | 2021-04-2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Fahrzeugkomponente an einer Scheibenfläche eines Kraftfahrzeugs und eine derartige Vorrichtung umfassendes Kraftfahrzeug |
EP3461689B1 (en) * | 2017-09-27 | 2020-12-16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camera device for a motor vehicle |
WO2019094588A1 (en) * | 2017-11-08 | 2019-05-16 | Trw Automotive U.S. Llc | Mounting arrangement for a driver assist system |
JP6885315B2 (ja) * | 2017-12-06 | 2021-06-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センサー搭載構造 |
JP6962161B2 (ja) * | 2017-12-06 | 2021-11-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センサー搭載構造 |
US11148578B2 (en) * | 2018-03-25 | 2021-10-19 | Maurice Paperi | Universal mounting tabs and kits for automotive components |
FR3079476B1 (fr) * | 2018-03-27 | 2020-02-28 | Renault S.A.S | Support de fixation d'une camera a un pare brise de vehicule automobile |
JP7163608B2 (ja) * | 2018-04-13 | 2022-11-01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部品の取付け構造、車両用部品の取付け方法および車両用のウインドシールド |
EP3572287B1 (en) * | 2018-05-22 | 2021-01-13 | Veoneer Sweden AB | A carrier arrangement for mounting a camera unit on a vehicl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carrier arrangement |
ES2960735T3 (es) | 2018-10-02 | 2024-03-06 | Pilkington Group Ltd | Parabrisas |
JP6910384B2 (ja) * | 2019-01-29 | 2021-07-28 | 株式会社ニフコ | 車載カメラ用ブラケット |
JP7147613B2 (ja) | 2019-02-14 | 2022-10-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カメラ搭載構造 |
DE102019108882A1 (de) * | 2019-04-04 | 2020-10-08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Halterungsbasisteil zur Befestigung wenigstens eines Kameragehäuses an einem Fahrzeugteil eines Fahrzeugs, Kameragehäuse und Kamerasystem |
WO2020243084A1 (en) * | 2019-05-24 | 2020-12-03 | Veoneer Us, Inc. | Controlled detachment features of steering column mounted camera |
US11433827B2 (en) * | 2019-06-07 | 2022-09-06 | Volvo Car Corporation | Bracket assembly for securing a safety equipment module to a windowpane of a vehicle |
US11338742B2 (en) * | 2019-07-25 | 2022-05-24 | Nifco Inc. | Bracket for in-vehicle device and holding device for in-vehicle device |
GB201912157D0 (en) | 2019-08-23 | 2019-10-09 | Pilkington Group Ltd | Windscreen |
JP7278936B2 (ja) * | 2019-12-11 | 2023-05-22 | 株式会社ニフコ | ブラケット及び車載機器取付構造 |
JP7390243B2 (ja) * | 2020-04-17 | 2023-12-01 | 株式会社ニフコ | 車載機器用ブラケット |
JP7424582B2 (ja) | 2020-06-03 | 2024-01-30 | 株式会社ニフコ | 車載機器用ブラケット |
EP3983266B1 (en) * | 2020-08-14 | 2023-08-02 |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 Exterior installed camera pod stabilization assembly |
JP7391236B2 (ja) * | 2020-10-05 | 2023-12-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車載カメラユニット及び車載カメラユニットインナーミラー複合体 |
EP4227164A1 (en) * | 2022-02-15 | 2023-08-16 | Veoneer Sweden AB | A vehicle camera arrangement, a vehicle camera module and a vehicle camera mounting bracket |
WO2023186001A1 (zh) * | 2022-03-31 | 2023-10-05 | 经纬恒润(天津)研究开发有限公司 | 一种传感器组件 |
DE102024000332A1 (de) | 2023-02-16 | 2024-08-22 | Mercedes-Benz Group AG | Ein Sensorträgergerät für ein Fahrzeu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6615A (ja) * | 2011-02-10 | 2012-09-06 | Denso Corp | 車載カメラ |
JP2013186278A (ja) * | 2012-03-08 | 2013-09-19 | Honda Motor Co Ltd | カメラユニット |
JP2013193558A (ja) * | 2012-03-19 | 2013-09-30 | Denso Corp | 車載カメラ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55770A (en) * | 1988-09-09 | 1989-08-08 | Polaroid Corporation | Vehicle identification camera |
JP2705920B2 (ja) * | 1995-07-27 | 1998-01-28 | 株式会社ヨシコー | 撮影機の保持装置 |
US8256821B2 (en) * | 2004-12-15 | 2012-09-04 | Magna Donnelly Engineering Gmbh | Accessory module system for a vehicle window |
DE102006040213C5 (de) * | 2006-01-19 | 2019-08-01 |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 Halteklammer für einen Regensensor |
DE102006035991A1 (de) * | 2006-08-02 | 2008-02-14 | A. Raymond Et Cie |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Kamera an einem Träger |
DE102008050320A1 (de) | 2008-10-04 | 2010-04-08 | Daimler Ag | Trägervorrichtung zur Befestigung an einer Scheibe eines Kraftwagens |
JP4906954B1 (ja) | 2010-10-25 | 2012-03-28 | 株式会社ホンダエレシス | カメラの車載構造 |
CN202180787U (zh) * | 2011-07-29 | 2012-04-04 | 富士重工业株式会社 | 车载照相机 |
JP5733223B2 (ja) * | 2012-01-13 | 2015-06-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前方監視カメラカバー |
-
2014
- 2014-07-10 JP JP2014142658A patent/JP6052246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7-09 BR BR102015016572-2A patent/BR102015016572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7-09 EP EP15176033.7A patent/EP2965949B1/en active Active
- 2015-07-09 US US14/795,313 patent/US10252684B2/en active Active
- 2015-07-10 KR KR1020150098320A patent/KR1016778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7-10 CN CN201510404363.6A patent/CN10529200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6615A (ja) * | 2011-02-10 | 2012-09-06 | Denso Corp | 車載カメラ |
JP2013186278A (ja) * | 2012-03-08 | 2013-09-19 | Honda Motor Co Ltd | カメラユニット |
JP2013193558A (ja) * | 2012-03-19 | 2013-09-30 | Denso Corp | 車載カメラ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422U (ko) * | 2016-06-21 | 2017-12-29 | 팅크웨어(주) | 카메라 하우징 장치 |
KR20190018502A (ko) * | 2016-07-20 | 2019-02-22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카메라 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65949A1 (en) | 2016-01-13 |
CN105292009A (zh) | 2016-02-03 |
CN105292009B (zh) | 2017-11-14 |
JP2016016830A (ja) | 2016-02-01 |
US10252684B2 (en) | 2019-04-09 |
EP2965949B1 (en) | 2018-06-20 |
BR102015016572A2 (pt) | 2016-07-19 |
US20160009230A1 (en) | 2016-01-14 |
JP6052246B2 (ja) | 2016-12-27 |
KR101677851B1 (ko) | 2016-11-18 |
BR102015016572B1 (pt) | 202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851B1 (ko) |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 |
US10086773B2 (en) | In-vehicle camera | |
US10272849B2 (en) | In-vehicle camera attached to windshield forming inhibition space therebetween | |
JP6592205B2 (ja) | 車載電子機器取付構造 | |
JP5947759B2 (ja) | カメラユニット | |
US10293760B2 (en) | Sensor bracket | |
CN105936244B (zh) | 车载照相机安装结构 | |
WO2020158449A1 (ja) | 車載カメラ用ブラケット | |
JP2019006148A (ja) | センサブラケット | |
CN111565267A (zh) | 摄像机装配结构 | |
JP6756643B2 (ja) | 車載ユニットの支持装置及び車載ユニットの着脱方法 | |
KR20140082802A (ko) | 프런트 에어백 장치 | |
KR20210035809A (ko) | 차량 탑재 카메라의 보유 지지 방법, 차량 탑재 카메라, 브래킷 | |
JP6148080B2 (ja) | 車載カメラの固定構造 | |
JP5110034B2 (ja) |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搭載構造 | |
EP3611565B1 (en) | Image capture device | |
JP4389578B2 (ja) |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