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615A -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615A
KR20160006615A KR1020150095837A KR20150095837A KR20160006615A KR 20160006615 A KR20160006615 A KR 20160006615A KR 1020150095837 A KR1020150095837 A KR 1020150095837A KR 20150095837 A KR20150095837 A KR 20150095837A KR 20160006615 A KR20160006615 A KR 20160006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layer
liquid crystal
insulating memb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미츠모토
노리아키 오타니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Abstract

보호층의 내찰상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고, 차열 기능 및 단열 기능이 우수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와, 투명 기재(11) 위에 형성된 기능층(17)을 구비하고, 기능층(17)은, 투명 기재(11)측으로부터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및 보호층(14)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포함하고, 프라이머층(13)은, 산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며, 보호층(14)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TRANSPARENT HEAT-BARRIERING, HEAT-INSULATING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 방지 및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빌딩의 창문, 쇼윈도, 자동차의 창문면 등에서 태양광의 열선(적외선)을 컷하고, 내부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또,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여름철의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되는 열선을 컷하는 차열성뿐만 아니라, 겨울철의 실내에서의 난방 열의 유출을 억제하여 난방 부하를 저감시키는 단열 기능도 부여한 차열 단열 부재가 제안되어 시장 투입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01034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5110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343113호 공보 국제공개 WO2012/096304호 팸플릿
특허문헌 1에는, 기재의 일방(一方)의 면에 반사층 및 보호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반사층에 적층되는 올레핀계 수지층과, 당해 올레핀계 수지층에 적층되어 최외층이 되는 하드 코팅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올레핀계 수지층의 두께는 5∼30㎛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보호층은, 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반사층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의 재질 또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에 따라서는, 당해 접착층이 적외선을 흡수해버려, 상기 적외선 반사 필름의 단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 장기간에 걸쳐 고온 고습 상태에 놓이면 불활성한 올레핀계 수지가 접착층으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투명하고 차열 단열 기능을 가지는 투명 적층부(적외선 반사층)의 외측에 산화 규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투명 적층부와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퀴지 응력 완화층이 형성된 투명 적층 필름(적외선 반사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퀴지 응력 완화층은, 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투명 적층부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의 재질 또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에 따라서는, 당해 접착층이 적외선을 흡수해버려,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투명 적층 필름의 단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 장기간에 걸쳐 고온 고습 상태에 놓이면 불활성한 올레핀계 수지가 접착층으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일방의 면에 알루미늄 증착층 및 하드 코팅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일사 차폐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0.5∼3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드 코팅층이 에스테르 결합이나 우레탄 결합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이 적외선 흡수가 큰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상기 하드 코팅층에서의 적외선의 흡수가 커져, 상기 일사 차폐 필름의 단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 상기 하드 코팅층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경화 수축이 크기 때문에, 금속층인 알루미늄 증착층에 직접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도공하면, 상기 금속층과 상기 하드 코팅층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상기 하드 코팅층이 박리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4에는, 기판, 원적외선 반사층 및 하드 코팅층이 이 순서대로 배치된 원적외선 반사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에서는, 상기 하드 코팅층은, 인산기, 술폰산기 및 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극성기를 가지는 가교 수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층, 금속 산화물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반사층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밀착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하드 코팅층이,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에 장기간 노출되면, 상기 가교 수지의 열화 등에 의해,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호층을 특정한 수지로 형성함과 함께, 보호층과 적외선 반사층의 사이에 특정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을 배치시킴으로써, 보호층의 내찰상성 및 밀착성이 우수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프라이머층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의외로, 산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적외선 반사층 및 보호층의 양층에 대하여 밀착성이 우수하고, 보호층의 내찰상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 및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수직 방사율(放射率)과 열관류율(熱貫流率)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 본 발명을 행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 위에 형성된 기능층을 포함하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이며, 상기 기능층은, 상기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산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재 위에 적외선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층의 내찰상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고, 차열 기능 및 단열 기능이 우수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의 도공성이 우수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 위에 형성된 기능층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기능층은, 상기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구비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산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보호층의 내찰상성 및 밀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차열 기능 및 단열 기능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와, 적외선 반사층(12)과, 프라이머층(13)과, 보호층(14)과, 점착제층(15)을 구비하고,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및 보호층(14)에 의해 기능층(17)을 구성하고 있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20)는, 투명 기재(11)와, 적외선 반사층(12)과, 프라이머층(13)과, 보호층(14)과, 점착제층(15)과,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16)을 구비하고,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및 보호층(14)에 의해 기능층(17)을 구성하고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도 1에 나타낸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투명 기재(11)와 점착제층(15)의 사이에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16)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보호층>
상기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층의 내찰상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0.1㎛∼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가 다소 적외선을 흡수하는 수지여도, 적외선의 흡수량은 적기 때문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단열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통상, 0.1㎛∼2.5㎛로 얇은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에 직접 설치한 경우, 적외선 반사층과의 밀착성이 나빠져, 상기 보호층의 내찰상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프라이머층의 효과로, 상기 보호층이 0.1㎛∼2.5㎛로 얇아도, 적외선 반사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층의 경도를 확보하여, 내찰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상기 보호층측의 JIS R3106에 의거한 수직 방사율은, 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방사율이 0.3 이하이면, 적외선의 흡수가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모노머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의 도공성이 향상됨과 함께, 형성된 보호층의 내찰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보다 작으면,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후술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에 도공했을 때에, 씨싱(cissing)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보다 크면, 일반적으로 전리 방사선에 의해 경화할 때에 분자량당의 반응점이 되는 불포화 결합기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도막의 가교 밀도가 저하되어, 보호층으로서의 내찰상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형성하는 보호층의 경도와 유연성의 밸런스를 잡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주쇄골격으로 가지고, 말단에 반응성을 가지는 아크릴로일기를 가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대해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에이샤 가가쿠사제의 "BPZA-66", "BPZA-100"(상품명), 다이세이 파인케미컬사제의 "아크리트 8KX-012C", "8KX-077"(상품명), 히타치가세이 고교사제의 "히타로이드 7975", "히타로이드 7975D", "히타로이드 7988"(상품명), "다이셀·올넥스사제의 "ACA-200M", "ACA-230AA", "ACA-Z250", "ACA-Z251", "ACA-Z300", "ACA-Z320"(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의 상기 프라이머층으로의 제막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이면,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대신,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모노머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2,3-시클로헥산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프리폴리머 등의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스테르류;1,4-디비닐벤젠, 4-비닐벤조산-2-아크릴로일에틸에스테르, 1,4-디비닐시클로헥사논 등의 비닐벤젠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모노머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열경화형 수지]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은, 열경화형 수지 전구(前驅)체를 가열하여 경화시켜 형성한다.
형성된 보호층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열경화형 수지 전구체로서는, 실리콘 수지 전구체가 바람직하고, 그 실리콘 수지 전구체 중에서도, 알콕시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형 수지 전구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형 수지 전구체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츠 실리콘사제의 "KP-86"(상품명),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 재팬사제의 "SHC-900", "토스가드 510"(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은, 산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밀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그 주성분이 폴리올레핀이기 때문에,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과 비교하여, 적외선 영역 파장의 광의 흡수가 매우 작고, 그 결과,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특히,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으면,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골격이 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여러 종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나,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50몰% 이상 9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나 그 산무수물 중 적어도 1종을 그래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산변성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나 산무수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아코니트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아크릴산 등이나 그 무수물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개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범용성의 점에서,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중 적어도 1종을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 공중합하여 변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나 그 산무수물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그래프트 공중합의 양은, 0.2∼3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10.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의 양이 0.2질량% 미만이면,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져,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으로서의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나, 적외선 반사층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30질량%를 넘으면, 적외선 영역 파장의 광의 흡수가 커지기 시작하여,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상기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는, 용융법 또는 용액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를 추가로 첨가하여 아크릴 변성함으로써,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나 하드 코팅제 등과의 밀착성이나 상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것들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변성 부분과 반응하는 관능기(수산기나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이중 결합을 도입한 후에,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관능기를 가지는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은,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0∼90질량% 정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이중 결합을 도입한 후에, 그래프트 공중합시키는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이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라우릴, 아크릴산 스테아릴,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라우릴, 메타크릴산 스테아릴,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이중 결합을 도입한 후에,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GPC법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2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보다 작으면, 프라이머층으로서의 응집력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보다 크면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의 점도의 증가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미츠이 가가쿠사제의 "유니스톨 902"(상품명), 도요보(TOYOBO)사제의 "하드렌"(상품명), 니혼세이시 케미컬사제의 "아우로렌"(상품명),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서프렌"(상품명), 스미카 켐텍스사제의 "스미피트"(상품명), 스미토모세이카사제의 "자이쿠센"(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서도,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츠이 가가쿠사제의 "유니스톨 901"(상품명),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폴리테르"(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공함으로써,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이다. 상기 두께가 0.05㎛를 하회하면 적외선 반사층과의 밀착성이 충분하게는 얻어지지 않고, 상기 두께가 10㎛를 넘으면, 사용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나 변성량에 따라서는, 헤이즈값이 증대하거나, 또는, 적외선 영역 파장광의 흡수가 커져, 그 결과,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이 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는, 안티 블로킹제로서, 적외선 영역 파장의 광의 흡수가 커지지 않을 정도로 유기물이나 무기물과 같은 필러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필러로서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나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무기 필러나 유기 필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탤크, 황산 바륨, 탄산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지르코늄, 마이카, 스테아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유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계 필러, 아크릴 수지계 필러, 스티렌 수지계 필러, 불소 수지계 필러, 폴리부타디엔 수지계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러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자 직경(개수 평균 직경)은, 안티 블로킹성을 부여할 수 있고, 투명 차열 단열 부재로서의 특성,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나,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의 0.5배∼2.0배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반사층>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도전성 적층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도전성 적층막은, 가시광 영역의 광투과율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적어도 상기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금속 산화물층과, 은, 구리, 금, 백금,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 산화물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적층막을 적어도 상기 3층의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가시광선 영역의 광투과율과 단열 기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상기 도전성 적층막은, 가시광 영역의 광투과율을 저감시키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금속 산화물층/금속층/금속 산화물층/금속층/금속 산화물층 등이라는 바와 같이 5층, 7층, 9층의 다층 구조로 해도 된다. 단, 9층을 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은, 산화인듐 주석, 산화인듐 아연, 산화인듐, 산화티탄,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니오브, 산화알루미늄 등에 의한 금속 산화물 재료가 적절히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재료를 스퍼터링법, 증착법 등의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금속 산화물층의 한 층당의 두께는, 0.005㎛∼0.1㎛로 하면 된다.
또, 상기 금속층은, 은, 구리, 금, 백금,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금속 또는 상기 합금을 이용하여 스퍼터링법, 증착법 등의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상기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금속층의 한 층당의 두께는, 가시광 영역의 광투과율과 적외선 반사율이 함께 높아지도록, 0.005㎛∼1.0㎛의 사이로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또,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5.5∼25.2㎛의 광의 평균 반사율은, 8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에 단열 기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투명 기재>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구성하는 투명 기재로서는,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수지를,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를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압출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압축 성형법, 사출 성형법, 상기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켜 캐스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산화 방지제, 난연제, 내열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이활제(易滑劑),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500㎛이며, 가공성, 비용면을 고려하면 25㎛∼125㎛가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그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 상기 투명 기재의 상기 적외선 반사층측과는 반대측에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을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차열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은,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키랄제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재료를 광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는, 봉 형상 분자인 네마틱 액정 화합물에 소량의 광학 활성 화합물(키랄제)을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는,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 겹겹이 쌓이는 층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층 내에서는, 각각의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서로의 층은 액정 화합물의 배열 방향이 나선 형상이 되도록 집적하고 있다. 그 때문에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는, 이 나선의 피치에 따라, 특정한 파장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통상의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는, 온도에 의해 나선의 피치가 바뀌고, 반사하는 광의 파장이 바뀐다는 특징이 있다.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키랄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액정 상태에서 균일되게 한 후,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면,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고정화한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를 함유하는 층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은, 온도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바뀌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반사 파장을 고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은, 콜레스테릭 액정 선광성(旋光性)을 가지기 때문에, 원(円)편광의 회전 방향과 파장이, 액정 분자의 회전 방향과 나선 피치와 동일한 경우, 그 광을 투과하지 않고 반사된다. 통상, 태양광은, 우측 나선과 좌측 나선의 원편광으로 합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광성의 방향이 우측 나선의 키랄제를 이용하여 특정한 나선 피치로 한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과, 광학 활성의 방향이 좌측 나선의 키랄제를 이용하여 특정한 나선 피치로 한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을 적층시킴으로써, 선택 반사 파장에서의 반사율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두께는, 입사광을 최대 반사시키는 파장(최대 반사율 파장)의 1.5배 이상 4.0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최대 반사율 파장의 1.7배 이상 3.0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두께가 최대 반사율 파장의 1.5배를 하회하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배향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져, 광반사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두께가 최대 반사율 파장의 4.0배를 넘으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배향성과 광반사율은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 이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이다.
또,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은, 단층 구조에 한하지 않고, 복수층 구조여도 된다. 복수층 구조의 경우, 각각의 층이, 다른 선택 반사 파장을 가지면, 광을 반사하는 파장 영역을 넓힐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형성 재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형성에는,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을 이용한다. 상기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의 기초와 응용」(마츠모토 쇼이치(松本正一), 츠노다 시료(角田市良) 공저;공업조사회) 제8장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지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6997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16851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17001호 공보, 국제공개 WO95/22586호 팸플릿,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8162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233837호 공보, 일본국 공표특허 특표2001-519317호 공보, 일본국 공표특허 특표2002-53374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30883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26542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309255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378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9121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42349호 공보 등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액정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배향이 흐트러지기 쉬운 것이면, 고융점 액정 화합물과 저융점 액정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이 경우, 고융점 액정 화합물의 융점과 저융점 액정 화합물의 융점의 차이가, 1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화합물에 대하여, 고융점 액정 화합물과 저융점 액정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 고융점 액정 화합물의 융점은, 투명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화합물의 융점이 낮은 경우, 키랄제나 용제와의 상용성이나 용해성이 우수하나, 융점이 너무 낮으면 제조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내열성이 뒤떨어진다. 그 때문에, 적어도 고융점 액정 화합물의 융점을 투명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융점 액정 화합물과 상기 저융점 액정 화합물의 조합으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ADEKA사제의 "PLC7700"(상품명, 융점 90℃)과 "PLC8100"(상품명, 융점 65℃)의 조합, 상기 "PCL7700"(융점 90℃)과 "PLC7500"(상품명, 융점 65℃)의 조합, DIC사제의 "UCL-017A"(상품명, 융점 96℃)와 "UCL-017"(상품명, 융점 70℃)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을 3종류 이상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들 중에서, 최대의 융점을 가지는 것을 고융점 액정 화합물로 하고, 최소의 융점을 가지는 것을 저융점 액정 화합물로 한다.
상기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을 두 종류 이상 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융점 액정 화합물을 전체의 질량 비율로 9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융점 액정 화합물의 비율이 90질량%를 넘으면, 상기 액정 화합물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배향성이 일부 흐트러짐으로써, 헤이즈의 상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키랄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키랄제로서는, 상기 액정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또한, 용제에 용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구조에 대한 제한은 없고, 종래의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키랄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키랄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WO98/00428호 팸플릿, 일본국 공표특허 특표평9-506088호 공보, 일본국 공표특허 특표평10-50972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44451호 공보, 일본국 공표특허 특표2000-50687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6621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313187호 공보, 미국 특허 제6468444호 명세서 등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키랄제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메르크사제의 "S101", "R811", "CB15"(상품명);BASF사제의 "PALIOCOLOR LC756"(상품명);ADEKA사제의 "CNL715", "CNL716"(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선택 반사 파장은, 나선 피치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이 나선 피치는,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키랄제의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랄제의 농도가 높은 경우, 나선의 비트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에, 나선의 피치는 작아지고,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선택 반사 파장(λ)은 단파장측으로 시프트한다. 또, 상기 키랄제의 농도가 낮은 경우, 나선의 비트는 힘이 저하되기 때문에, 나선의 피치는 커지고,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선택 반사 파장(λ)은 장파장측으로 시프트한다. 따라서, 상기 키랄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상기 액정 화합물과 상기 키랄제의 합계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2질량부 이상 7.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키랄제의 배합량이 0.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면, 얻어지는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선택 반사 파장을 근적외선 영역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키랄제의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선택 반사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선택 반사 파장을 근적외선 영역으로 제어하면, 가시광 영역에 실질적으로 흡수가 없고, 즉,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하고, 또한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가능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최대 반사율 파장을 800n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키랄제와의 상용(相溶)성이 양호하고,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배향성을 흐트러뜨리지 않는 것이면,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상기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과 상기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키랄제의 경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어지나,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배향성이 흐트러지지 않는 양으로 첨가된다. 구체적으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액정 화합물과 상기 키랄제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이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 3질량부 이하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상기 보호층의 반대측에 점착제층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유리 기판 등(도시 생략.)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고무계, 실리콘계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점착제의 두께는, 10∼100㎛로 하면 된다.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적외선 반사층과 상기 보호층의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에 대하여 JIS A5759에 준거하는 1000시간의 내후성 시험을 행하더라도, 상기 보호층이, JIS D0202-1998에 준거하는 그리드(碁盤目) 밀착성 시험에 있어서 박리를 확인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상기 투명 기재측에 배치한 점착제층을 유리 기판에 맞붙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측정했을 때의 파장 5.5∼25.2㎛의 광의 평균 반사율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헤이즈값을 2%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에 의해 단열 기능 및 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 상기 보호층에 의해 내찰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을 배치함으로써, 차열 기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형태로 유리 기판 등에 맞붙여 이용할 수 있으나, 다른 형태로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을 형성한다. 적외선 반사층(12)은, 예를 들면, 도전성 재료를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적외선 반사층(12)은, 고굴절률 도전층과, 저굴절률 도전층과, 고굴절률 도전층의 3층 구조로 하는 것이, 단열 기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적외선 반사층(12) 위에,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3)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프라이머층(13) 위에,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보호층(14)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적외선 반사층(12)을 실내측에 배치하더라도, 창문 닦기 등에 의해 적외선 반사층(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 형성 공정은, 프라이머층(13) 위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의 도공성을 향상할 수 있어, 형성된 보호층의 내찰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투명 기재(11)의 타방의 면에 점착제층(15)을 형성한다. 상기 점착제층(15)을 형성하는 방법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투명 기재(11)의 외면에, 점착제를 직접 도포해도 되고, 별도 준비한 점착제 시트를 맞붙여도 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일례가 얻어지고, 그 후에 필요에 따라 유리 기판 등에 맞붙여져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특별히 지적이 없는 경우, 하기에 있어서, 「부」는「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적외선 반사층이 있는 투명 기재의 제조>
먼저, 투명 기재로서, 편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1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의 이접착 처리면측에, 두께 30nm의 ITO(산화인듐 주석)층, 두께 10nm의 은(銀)층, 두께 30nm의 ITO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도전성 적층막(적외선 반사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하고, 적외선 반사층이 있는 투명 기재를 제조하였다.
<프라이머층의 형성>
도요보사제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용액 "하드렌 NS-2002"(상품명, 산변성 타입, 고형분 농도 20질량%) 10부와, 희석 용제로서 메틸시클로헥산 80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2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A)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A)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막 두께 0.1㎛가 되도록 도공하고, 건조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의 형성>
교에이샤 가가쿠사제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BPZA-66"(상품명, 고형분 농도 8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125부와, BASF사제의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상품명)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A)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A)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막 두께 1㎛가 되도록 도공하고, 고압 수은등(燈)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단열 부재)을 제조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 팩스사제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 소켄 가가쿠사제의 아크릴계 점착제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100부에 대하여, 와코쥰야쿠사제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 1.25부 및 소켄 가가쿠사제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 점착제층의 상면에, 상기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을 맞붙여, 점착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니혼 이타가라스사제)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점착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으로부터 PET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점착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4)
미츠이 가가쿠사제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용액 "유니스톨 P902"(상품명, 산변성 타입, 고형분 농도 22질량%) 10부와, 희석 용제로서 메틸시클로헥산 80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2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B)을 조제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B)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5)
다이세이 파인케미컬사제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아크리트 8BR-930"(상품명, 고형분 농도 5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16,000,) 200부와,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0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B)을 조제하였다.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B)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보호층 형성 후에 투명 기재의 보호층과는 반대면측(PET 필름의 이접착 미처리면측)에 하기와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형성>
하기 재료를 교반하여 혼합하고,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1)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 I(ADEKA사제, 고융점 액정 화합물, 상품명 "PLC-7700", 융점:90℃):86.4부
(2)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액정 화합물 Ⅱ(ADEKA사제, 저융점 액정 화합물, 상품명 "PLC-8100", 융점:65℃):9.6부
(3)키랄제(ADEKA사제, 우(右) 선광성 키랄제, 상품명 "CNL-715"):4.0부
(4)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교에이샤 가가쿠사제, 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PE-3A"):1.5부
(5)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819"):3.0부
(6)용제(시클로헥사논):464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PET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위에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도막에 자외선(파장:최대 파장 365nm, 광원:고압 수은 램프, 광량:500mJ/㎠)을 30초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우 선광성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두께:3㎛)을 형성하였다. 이 우 선광성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의 중심 반사 파장은 890nm이었다.
(실시예 7)
니혼 카야쿠사제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모노머 "KAYARAD DPHA"(상품명, 분자량 578) 100부와,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40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C)을 조제하였다.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C)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9)
다이세이 파인케미컬사제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아크리트 8BR-500"(상품명, 고형분 농도 37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50,000,) 250부와,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25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D)을 조제하였다.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D)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0)
열경화형 수지인 모멘티브·퍼포먼스·머터리얼즈·재팬사제의 알콕시실란계 하드 코팅제 "SHC-900"(상품명, 고형분 농도 30질량%)를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E)으로서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E)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막 두께 1㎛가 되도록 도공하고, 120℃에서 3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0.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의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0.0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1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5)
미츠이 가가쿠사제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용액 "유니스톨 P901"(상품명, 수산기 변성 타입, 고형분 농도 22질량%) 10부와, 희석 용제로서 메틸시클로헥산 80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2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C)을 조제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C)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1)
프라이머층을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2)
프라이머층을 설치하지 않고,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BPZA-66" 125부와, 인산 에스테르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니혼카야쿠사제의 디-2-메타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 "KAYAMAER PM-2"(상품명) 5부와,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F)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F)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막 두께 1㎛가 되도록 도공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3)
보호층 및 프라이머층을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4)
니폰제온사제의 시클로 폴리올레핀 수지 "ZEONOR"(상품명, 미변성 타입) 2부와, 용제로서 시클로 옥탄 100부를 디스퍼에 의해 배합하고,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D)을 조제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D)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조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평가>
상기 실시예 1∼9 및 상기 비교예 1∼3에 관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 헤이즈, 수직 방사율, 차폐 계수, 열관류율을 이하와 같이 측정하고, 또, 보호층의 초기 밀착성,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 및 내찰상성을 평가하고, 추가로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유리 기판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380∼780nm의 범위에 있어서 니혼분코사제의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best V-570형"(상품명)을 이용하여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JIS A5759에 의거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헤이즈]
유리 기판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니혼덴쇼쿠사제의 헤이즈 미터 "NDH-2000"(상품명)을 이용하여, JIS K7136에 의거해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수직 방사율]
시마즈세이사쿠쇼제의 적외 분광 광도계 "IR Prestige21"(상품명)에 정(正)반사 측정용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고,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측에 대하여 분광 반사율을 5∼25.2㎛의 범위에 있어서 측정하고, 이것에 의거해 JIS R3106에 준거하여 수직 방사율을 구하였다.
[차폐 계수]
유리 기판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best V-570형"을 이용하여 분광 투과율 및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고, 이것에 의거해 JIS A5759에 준거하여 일사(日射) 투과율 및 일사 반사율을 구하고, JIS R3106에 준거하여 수직 방사율을 구하고, 그 일사 투과율, 일사 반사율 및 수직 방사율의 값으로부터 유리 기판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차폐 계수를 구하였다.
[열관류율]
상기 적외 분광 광도계 "IR Prestige21"에 정반사 측정용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고,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측 및 유리 기판측의 분광 반사율을 5∼25.2㎛의 범위에 있어서 측정하고, 이것에 의거해 JIS R3106에 준거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측 및 유리 기판측의 수직 방사율을 구하고, 이것에 의거해 JIS A5759에 준거하여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열관류율을 구하였다.
[보호층의 초기 밀착성]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측에 대하여 JIS D0202-1988에 준거하여 그리드 테이프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니치반사제의 셀로판 테이프 "CT24"(상품명)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안쪽으로 상기 보호층에 밀착시킨 후에 박리하여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는 100개의 칸 중, 박리되지 않은 칸의 수로 나타내고, 보호층이 전혀 박리되지 않은 경우를 100/100, 보호층이 완전히 박리되는 경우를 0/100으로 하여 나타내었다.
[보호층의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에 대하여, JIS A5759에 준거하여 1000시간 선샤인 카본 아크등을 조사하는 내후성 시험을 행한 후, 상기 초기 밀착성과 동일하게 하여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보호층의 내찰상성]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상에 본스타사제의 스틸울(#0000)을 배치하고, 250g/㎠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스틸울을 10왕복 시킨 후, 보호층의 표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상처가 전혀 나지 않은 경우
B:상처가 몇 개(5개 이하) 확인된 경우
C:상처가 다수 확인된 경우
[외관]
보호층이 있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외관에 대하여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보호층의 전체면에 있어서, 씨싱 등이 없고, 균일하게 도공되어 있는 경우
B:보호층의 일부에 있어서, 씨싱 등의 외관 불량이 확인된 경우
C:보호층의 전체면에 있어서, 씨싱 등의 외관 불량이 확인된 경우
이상의 결과를,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 및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의 종류, 보호층의 두께, 프라이머층의 두께 및 유리 기판에 맞붙인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층 구성과 함께 표 1부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1∼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 11, 12 및 16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수직 방사율이 0.3 이하이고, 차폐 계수 및 열관류율도 낮아 여름철의 차열성, 겨울철의 단열성이 모두 우수하고, 또한 보호층의 밀착성 및 내찰상성에서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6, 11, 12 및 16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는, 보호층의 형성에 이용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의 범위에 있고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상으로의 제막성에서도 우수하며, 외관상 특별히 문제는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를 설치한 실시예 6에서는, 차폐 계수 및 가시광선 투과율이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실시예 1보다 우수하였다.
또, 실시예 7에서는, 보호층의 형성에 분자량이 작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모노머를 사용했기 때문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으로의 젖음성이 나빠, 보호층의 일부에 씨싱이 보여져 제막성이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또, 실시예 8에서는, 보호층의 두께가 3㎛로 두껍기 때문에,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이 약간 높음으로 되어 있었다. 또, 실시예 9에서는, 보호층의 형성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을 넘은 고분자량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를 사용했기 때문에, 보호층의 가교 밀도가 저하되고, 내찰상성이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또, 실시예 10에서는, 보호층의 형성에 열경화형 수지를 이용했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또,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0.04㎛로 얇게 한 실시예 13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11보다 보호층의 밀착성이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반대로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11㎛로 두껍게 한 실시예 14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12보다 수직 방사율이 약간 증대하여, 0.3을 넘는 값이 되고, 열관류율도 4.5로 약간 증대하는 경향이 보여졌다. 또, 실시예 15에서는, 프라이머층에 수산기 변성 타입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적외선 반사층과의 상호 작용 효과가 산변성 타입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비교하면 약간 약하고, 보호층의 밀착성 및 내찰상성이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보호층과 적외선 반사층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호층의 밀착성이 발현되지 않았다. 또, 비교예 2에서는, 보호층의 형성 재료 중에 인산 에스테르기를 가지는 재료를 첨가했기 때문에, 초기의 상태에서는 적외선 반사층에 사용되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보호층의 밀착성이 발현되고 있었으나,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을 확인하였더니, 부분적으로 보호층의 박리가 보여졌다. 이것은, 내후성 시험에서 장시간에 걸쳐 광에 노출됨으로써, 보호층의 경화 수축이 진행되어 밀착성이 저하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것은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장기간의 실사용시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 비교예 3에서는, 보호층 및 프라이머층을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전혀 없고,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창 유리 등에 시공하여 이용할 때에, 청소 등에 의한 마찰에 의해 상처가 생기기 쉬운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또, 비교예 4에서는, 프라이머층에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시클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보호층의 밀착성, 내찰상성이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보호층의 내찰상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고, 차열 기능 및 단열 기능이 우수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창 유리 등에 적용한 경우에, 여름철에서의 차열성 및 겨울철에서의 단열성이 우수하고, 내찰상성이나 밀착성도 높기 때문에, 실용 내구성이 우수하다.
10: 투명 차열 단열 부재 11: 투명 기재
12: 적외선 반사층 13: 프라이머층
14: 보호층 15: 점착제층
16: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 17: 기능층

Claims (8)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 위에 형성된 기능층을 포함하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산기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0.1㎛∼2.5㎛이고, 상기 보호층측의 JIS R3106에 의거한 수직 방사율이, 0.3 이하인 투명 차열 단열 부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05㎛∼10㎛인 투명 차열 단열 부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금속 산화물층과,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도전성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JIS A5759에 준거하는 1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JIS D0202-1998에 준거하는 그리드 밀착성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없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상기 적외선 반사층측과는 반대측에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층을 추가로 형성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기재 위에 적외선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50095837A 2014-07-09 2015-07-06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66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1827 2014-07-09
JP2014141827A JP6386278B2 (ja) 2014-07-09 2014-07-09 透明遮熱断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615A true KR20160006615A (ko) 2016-01-19

Family

ID=5506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837A KR20160006615A (ko) 2014-07-09 2015-07-06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19068B2 (ko)
JP (1) JP6386278B2 (ko)
KR (1) KR20160006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705A1 (ko) * 2018-10-25 2020-04-30 주식회사 네패스 적외선 반사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7776B2 (ja) * 2014-03-12 2016-08-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および輸液バッグ
JP6247649B2 (ja) * 2015-02-02 2017-12-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能性複合フィルムおよび波長変換フィルム
CN105672600A (zh) * 2016-01-22 2016-06-15 凌旭姣 一种水晶石保温一体板材
EP3456793B1 (en) * 2016-05-10 2023-01-04 DIC Corporation Adhesive for laminates, layered body u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CN105974639A (zh) * 2016-07-26 2016-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内嵌式触控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JP6603808B2 (ja) * 2016-07-26 2019-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ならびに、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CA3033081C (en) * 2016-08-19 2023-12-05 Xylo Technologies Ag Coated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ated panel
EP3531175A4 (en) * 2016-10-18 2020-07-08 Maxell Holdings, Ltd. THERMAL INSULATING ELEMENT FOR TRANSPARENT THERMAL PROTECTION
CN109590180A (zh) * 2018-12-03 2019-04-09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3pe全粉末化涂层的喷涂工艺
CN115307488A (zh) * 2022-09-14 2022-11-08 青岛大学 一种石墨烯自适应红外隐身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113A (ja) 2004-06-07 2005-12-15 Lintec Corp 日射遮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96304A1 (ja) 2011-01-13 2012-07-19 東レ株式会社 遠赤外線反射積層体
JP2013010341A (ja) 2011-05-31 2013-01-17 Nitto Denko Corp 赤外線反射フィルム
JP2013151103A (ja) 2012-01-25 2013-08-08 Tokai Rubber Ind Ltd 透明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147B2 (ja) * 1978-03-10 1985-12-24 帝人株式会社 積層体
JP3919933B2 (ja) 1998-04-08 2007-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層反射防止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304381B1 (ko) 2003-08-28 2013-09-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적층체의 제조방법
JP2008184542A (ja) * 2007-01-30 2008-08-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プライマ組成物及び接着性基材
JP2009037311A (ja) * 2007-07-31 2009-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偏光板用表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JP5622564B2 (ja) 2010-06-30 2014-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パターン形成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感光性膜、パターン形成方法、パターン膜、低屈折率膜、光学デバイス、及び、固体撮像素子
CN103930267B (zh) * 2012-09-28 2015-09-30 住友理工株式会社 透明层叠膜
WO2014099367A1 (en) * 2012-12-20 2014-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multilayer optical film comprising layer-by-layer self-assembled layers and articles
JP2014141015A (ja) 2013-01-24 2014-08-07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JP6000991B2 (ja) 2013-01-31 2016-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赤外線反射フィルム
JP2014170171A (ja) 2013-03-05 2014-09-18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機能を有する透明遮熱フィルム
JP2015049462A (ja) * 2013-09-03 2015-03-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反射体
JP5962813B2 (ja) 2015-04-28 2016-08-03 油化電子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積層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113A (ja) 2004-06-07 2005-12-15 Lintec Corp 日射遮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96304A1 (ja) 2011-01-13 2012-07-19 東レ株式会社 遠赤外線反射積層体
JP2013010341A (ja) 2011-05-31 2013-01-17 Nitto Denko Corp 赤外線反射フィルム
JP2013151103A (ja) 2012-01-25 2013-08-08 Tokai Rubber Ind Ltd 透明積層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705A1 (ko) * 2018-10-25 2020-04-30 주식회사 네패스 적외선 반사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19068B2 (en) 2020-04-14
US20160009923A1 (en) 2016-01-14
JP6386278B2 (ja) 2018-09-05
JP2016016611A (ja)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6615A (ko)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6553897B2 (ja) 透明遮熱断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475648B2 (ja) 光を方向転換する日照調整フィルム
JP6756743B2 (ja)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断熱部材
KR20170030066A (ko) 투명 차열 단열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5859476B2 (ja) 赤外線反射フィルム
US20150323718A1 (en) Light diffusing solar control film
EP2982505B1 (en) Functional film with optical properties
KR20090110881A (ko) 근적외선 차폐필름
JP5937407B2 (ja) 硝子外貼り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84819B2 (ja)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部材
JP6163196B2 (ja) 赤外線反射フィルム
WO2019004199A1 (ja) 透明遮熱断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235939B2 (ja) 透明遮熱断熱部材
JP6099442B2 (ja) 透明遮熱断熱部材
JP6783348B2 (ja) 透明遮熱断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446168B2 (ja) 透明遮熱断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540161B2 (ja) 合わせガラス
JP6246570B2 (ja) 熱線反射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5831A (ja) 熱遮蔽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熱遮蔽体
JP2015051604A (ja) 熱線反射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熱線反射フィルム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