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700A - 수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700A
KR20150140700A KR1020157030670A KR20157030670A KR20150140700A KR 20150140700 A KR20150140700 A KR 20150140700A KR 1020157030670 A KR1020157030670 A KR 1020157030670A KR 20157030670 A KR20157030670 A KR 20157030670A KR 20150140700 A KR20150140700 A KR 2015014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nent
vesicle
hlb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382B1 (ko
Inventor
데츠로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5014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시클과 오일방울이 안정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수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수성 조성물은 (a) 양친매성 화합물, (b) 물, (c) 오일을 포함하고,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방울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양친매성 화합물, (b) 물, 및 (c) 오일을 포함하는 2층상 조성물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2층상 조성물은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성 조성물{AQUEOUS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시클과 오일방울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친수성-소수성 쌍방의 성질을 갖는 양친매성 화합물 중, 예를 들어 수성상 중에서 2분자막(라멜라상)으로 이루어진 구형상의 소포체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2분자막 소포체를 리포솜(liposome) 또는 베시클(vesicle)이라고 하고, 이들은 그 소포체 내부에 물을, 또는 소포체막 내에 오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시클을 형성할 수 있는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나 인지질(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베시클 함유 수성 조성물에 오일을 대량으로 배합할 수는 없었다. 즉, 그와 같은 계에 오일을 대량으로 넣고자 해도, 유화가 일어나 베시클 형성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지금까지 베시클 함유 수성 조성물에는, 소포체막 내에 포함될 수 있을 정도의 오일의 배합밖에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베시클 함유 수성 조성물은 오일의 배합량이 적으므로, 산뜻한 감촉이 우수하지만, 촉촉함을 부여하기는 어려웠다.
반대로, 충분한 유분량을 배합할 수 있는 유화 조성물에서는, 친화도, 끈적거림 없음의 점에서 베시클 수성 조성물에 미치지 못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3232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7719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베시클과 오일 방울이 안정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수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a) 양친매성 화합물, (b)물, (c)오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특정의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친화도나 촉촉함 등이 우수한 베시클 및 오일방울 함유 수성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은
(a) 양친매성 화합물,
(b)물,
(c) 오일을 포함하고,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 방울이 공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a)성분에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a)성분이 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아실아미노산 금속염, 인지질,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c)성분으로서, (a)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과 혼합했을 때 분리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a)성분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c)성분에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a)성분에,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b)성분 중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 및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방울이 존재하고,
상기 베시클의 표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c)성분에, 또한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조성물에서, (b)성분 중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 및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방울이 존재하고,
상기 베시클의 2분자막 내에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은 (a)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은 후,
상기 수용액과 (c)오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액과 (c)오일을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액과 (c)탄화수소유를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a)성분 및 (b)성분을 혼합할 때,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2층상 조성물은,
(a) 양친매성 화합물,
(b)물, 및
(c) 오일을 포함하는 2층상 조성물이고,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a)성분에,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c)성분으로서, (a)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과 혼합했을 때 분리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a)성분이, 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아실아미노산 금속염, 인지질,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a)성분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c)성분에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a)성분에,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시클의 표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c)성분에, 또한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의 2분자막 내에,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상 조성물에서, (b)성분에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시클과 오일 방울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친화도가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2층상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A)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본 발명에 관한 2층상 화장료를 흔든 것; 시험예 4-1)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사진이다. (B) 종래의 2층상 화장료(시험예 4-3)를 흔들어,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은 (a)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과, (c)오일을 포함하고,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 방울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도 1에 도시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과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 방울이, (b)성분 중에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의 베시클 함유 조성물을 얻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a) 양친매성 화합물)
양친매성 화합물은 베시클을 형성할 수 있는 양친매성 화합물, 즉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아실아미노산 금속염, 인지질,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당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 지방산 에스테르, 트레할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에 의한 수산기의 치환수(에스테르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며, 모노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당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구성 지방산은, 탄소수 12~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아라크산, 베헨산, 테트라데센산, 헥사데센산, 옥타데센산, 옥타데카디엔산, 에이코센산, 에이코사테트라엔산, 도코센산, 옥타데카트리엔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에스테르의 경우, 2개의 지방산은 달라도 좋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유도체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L+M+N+X+Y+Z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E)를 나타내고 10≤E≤20이다.
아실아미노산 금속염으로서는, 탄소수 12 내지 탄소수 22의 아실아미노산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실아미노산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N-라우로일-L글루탐산 나트륨,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나트륨, 디(N-라우로일글루타밀)리신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난황 인지질, 대두 인지질, 및 이들 수소첨가물,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HLB가 4~12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다. A는 적어도 그 하나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이고, 그 밖의 A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의 알킬기이다. m은 1~200, n은 0~50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의 알킬기이고, a는 1~6, b는 0~50, c는 0~50의 정수이고, b+c는 적어도 5 이상임)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주쇄인 폴리실록산 구조에서의 측쇄이고,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의 알킬기이다. 또한, 이들은 동일해도 좋고, 또는 달라도 좋다. 예를 들어, R1이 모두 메틸기인 경우에는, 디메틸폴리실록산 구조, 메틸기 및 페닐기인 경우에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구조가 된다. 또한, A는 주쇄인 폴리실록산 구조에서, 폴리옥시알킬렌기가 도입될 수 있는 곳이고, 적어도 그 하나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의 알킬기이고, a는 1~6, b는 0~50, c는 0~50의 정수이고, b+c는 적어도 5 이상임)
상기 화학식 2에서, A의 일부가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기인 경우에, 그 밖의 A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의 알킬기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말단의 2개의 A가 폴리옥시알킬렌기인 경우, A-B-A형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이 된다. 한편, 말단이 아닌 A만이 폴리옥시알킬렌기인 경우, 펜던트형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이 된다. 폴리옥시알킬렌기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프로필렌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비치환 폴리실록산 구조의 몰수를 나타내는 m은 1~200이고, 폴리옥시알킬렌 치환 폴리실록산 구조의 몰수를 나타내는 n은 0~50이다. 또한, n이 0인 경우에는, 말단의 2개의 A 중 어느 것 또는 양쪽이 폴리옥시알킬렌기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12몰)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직쇄상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측쇄 메틸기를 폴리옥시에틸렌(12몰)기에 의해 치환한 펜던트형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에틸렌(8몰)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20몰)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ABA 타입 폴리옥시에틸렌-메틸실록산-폴리옥시에틸렌 블럭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 전 분자량 중에 차지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분자량은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해도 좋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SH3772M(HLB:6), SH3773M(HLB:8), SH3775M(HLB:5)(모두 도레 다우코닝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베시클 형성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베시클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은 그 적어도 일부가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에서 베시클로서 함유되어 있다. 베시클의 형성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 및 물을 혼합 교반함으로써, 수중에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시클의 입자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20~500㎚정도이고, 5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 이외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특히 고온에서의 베시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층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우, 층형성 속도(교반한 경우에, 다시 2층으로 나뉠 때까지 걸리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15)에테르인산, 아실메틸타우린염, 아실글루탐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아실메틸타우린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실메틸타우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염, 팜핵유 지방산 메틸타우린염, 경화팜핵유 지방산 메틸타우린염, 우지 지방산 메틸타우린염, 경화 우지 지방산 메틸타우린염, 카프로일메틸타우린염, 라우로일메틸타우린염,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염, 팔미토일메틸타우린염,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염, 올레오일메틸타우린염, 코코일메틸타우린염 등을 들 수 있다.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HLB가 12를 초과하는 디메티콘코폴리올로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평균중합도를 나타내는 p, q, r은 p가 5~13, q가 4~8, r이 6~13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베시클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베시클을 가용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는, 상기 양친매성 화합물 이외에, 본원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양친매성 화합물을 배합해도 좋다.
그러나, 그 밖의 양친매성 화합물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베시클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그 밖의 양친매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배합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양친매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물)
(b) 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베시클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9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다른 성분의 배합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물의 일부를, 수성 성분으로 치환해도 좋다. 수성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시클 형성 및 그 안정성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콜류, 염화나트륨, 수용성 고분자, 완충제, 금속이온 봉쇄제, 안정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수성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시클 형성성을 고려하면, 알콜류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알콜류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콜류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밖이면, 안정적인 베시클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수성 약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노시톨, 염산피리독신,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dl-α-토코페롤 2-L아스코르브산 인산 디에스테르칼륨염,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 알란토인, 아쥴렌 등의 항염증제, 알부틴, 4-메톡시살리실산 또는 그 염, 트라넥삼산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미백제, 탄닌산 등의 수렴제, 염화리조티움, 염산피리독신, 마린 콜라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성성분은 베시클 형성전의 수중 또는 오일 첨가전의 베시클 함유 수성 조성물 조제후에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수성 약제를 배합하는 경우, 수성약제를 수중에 배합하여 베시클을 형성하고, 그 후 외상을 치환함으로써, 내상 중에만 수성 약제가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 조성물을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c)오일)
(c)오일로서, (a)양친매성 화합물과 혼합했을 때 분리되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온(25℃)에서 (a)성분과 (c)성분을 등량으로 혼합한 후 정치했을 때, 2층으로 나뉜 경우에 「분리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c)오일로서, (a)양친매성 화합물과 혼합했을 때 분리되지 않는 오일을 사용한 경우, 베시클과 오일방울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a)성분과 (c)성분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성분으로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c)성분으로서 탄화수소유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탄화수소유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한 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이소도데칸, 이소헥산, 이소옥탄, 이소헥사데칸, 경질 이소파라핀 등의 휘발성 탄화수소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비휘발성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휘발성 탄화수소유의 배합량: 비휘발성 탄화수소유의 배합량이 10:4~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휘발성 탄화수소유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2층상 조성물로 하는 경우의 수층과 오일층의 분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a)성분으로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c)성분으로서 탄화수소유 이외에,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유의 IOB 값에 대해서는, 그 구조에 기초하여 공지의 계산방법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의 2분자막 내에 들어가고, 베시클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실리콘유는 폴리실록산 구조를 갖는 유성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어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등의 메틸페닐실리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IOB가 0.05~0.8인 극성유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에틸헥산산 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트리에틸헥사노인),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벤조산(탄소수 12~15) 알킬,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카프르산)부틸렌글리콜,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디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배합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베시클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밖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시클 형성 및 그 안정성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c) 오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촉촉함 등의 사용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오일감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액과 (c)오일을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에서, 상기와 같이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베시클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베시클 형성 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베시클 형성전에 첨가한 경우,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해 (c)오일이 유화되거나 베시클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에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배합하는 경우, 베시클 형성 전의 수중에 첨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가 수중에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알콜류와 혼합한 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예를 들어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베시클에 의해 끌고 와서, 상기 베시클의 2분자막 내에 존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층상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2층상 조성물은 (a)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과, (c)오일을 포함하는 2층상 조성물로,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층상 조성물은 상층 및/또는 하층에 착색하는 것으로써 제공되어 있는 것이 많지만, 외관이 참신하므로 인기가 있다. 그러나, 2층상 조성물을 화장료에 응용한 경우, 양친매성 화합물의 배합을 할 수 없고, 피부에 대한 친화도가 나빠진다. 이 때문에, 2층상 화장료의 애용자(repeater)를 증가시키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2층상 조성물은 양친매성 화합물을 배합하고 있으므로, 피부에 대한 친화도가 좋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은, 베시클의 존재에 의해 백탁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2층상 조성물은 착색하지 않아도 외관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2층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을 장시간 정치해 둠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다.
2층상 조성물의 층형성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a)성분 중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성분 중에 염화나트륨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을 배합하면, 계면의 거품형성을 억제해 주는 효과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조성물 및 2층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료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외용제 등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베시클 형성 및 그 안정성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의 배합량으로 배합할 수 있다.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액, 화장수, 유액, 선스크린, 파운데이션, 치크, 헤어리퀴드, 바디로션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로 나타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시험의 평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1): 친화도 좋음
전문 패널 10명이 얼굴에 시료를 도포하고, 도포시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A*: 9명 이상이 친화도가 좋다고 회답했다.
A: 7명 이상 9명 미만이 친화도가 좋다고 회답했다.
B: 5명 이상 7명 미만이 친화도가 좋다고 회답했다.
C: 5명 미만이 친화도가 좋다고 회답했다.
평가(2): 촉촉함
전문패널 10명이 얼굴에 시료를 도포하고, 도포 직후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A*: 9명 이상이 피부에 촉촉함이 있다고 회답했다.
A: 7명 이상 9명 미만이 피부에 촉촉함이 있다고 회답했다.
B: 5명 이상 7명 미만이 피부에 촉촉함이 있다고 회답했다.
C: 5명 미만이 피부에 촉촉함이 있다고 회답했다.
평가(3): 끈적거림 없음
전문패널 10명이 얼굴에 시료를 도포하고, 도포 직후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A*: 9명 이상이 피부가 끈적거리지 않는다고 회답했다.
A: 7명 이상 9명 미만이 피부가 끈적거리지 않는다고 회답했다.
B: 5명 이상 7명 미만이 피부가 끈적거리지 않는다고 회답했다.
C: 5명 미만이 피부가 끈적거리지 않는다고 회답했다.
평가(4): 오일감 없음
전문패널 10명이 얼굴에 시료를 도포하고, 도포 직후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A*: 9명 이상이 피부에 오일감이 없다고 회답했다.
A: 7명 이상 9명 미만이 피부에 오일감이 없다고 회답했다.
B: 5명 이상 7명 미만이 피부에 오일감이 없다고 회답했다.
C: 5명 미만이 피부에 오일감이 없다고 회답했다.
평가(5): 외관
시료제조 24시간 후에, 상온(25℃)에서의 외관을 확인했다. 반투명의 경우에 「베시클」, 백탁의 경우에 「유화물」로 판정했다.
평가(6): 베시클 안정성
처음에,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수층만)의 L 값(초기값)을 측정했다. 또한, 4주간 경과 후에 다시 L 값을 측정했다. L 값의 변화에 의해, 베시클 안정성을 평가했다.
A*: 초기값으로부터의 변화가 ±5 이내였다.
A: 초기값으로부터의 변화가 ±10 이내였다.
B: 초기값으로부터의 변화가 ±15 이내였다.
C: 초기값으로부터의 변화가 ±15를 초과하고 있었다.
평가(7): 분리성
시료 조제후, 분리에 관한 시간을 측정했다.
A*: 8시간 이내였다.
A: 16시간 이내였다.
B: 24시간 이내였다.
C: 24시간을 초과하고 있었다.
우선, 본 발명자들은 종래 잘 알려져 있는 실리콘 베시클 함유 조성물의 시료(시험예 1-1)를 조제했다. 이 시료에서의 오일의 종류 및 배합량을 변화시키고,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하기 제조방법 A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1)~(5)에 대해서 상기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방법 A)
양친매성 화합물, 물, 수성성분을 교반한 후,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Figure pct00006
(*1): SH3773M(도레 다우코닝사제(HLB:8))
(*2): KF-56(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3): 양친매성 화합물(POE(12)디메틸폴리실록산)과 오일(메틸페닐실록산 또는 이소도데칸)을 1:1로 혼합했을 때의 실온(25℃)에서의 상태이다.
시험예 1-2에 따르면, 종래의 실리콘 베시클 함유 조성물에 배합하고 있는 오일의 배합량을 증가시킨 경우, 양친매성 화합물이 실리콘 베시클내에 다 들어가지 않게 되어, 유화물이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험예 1-3에 따르면,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과 분리되는 오일인 이소도데칸을 사용함으로써, 오일을 고배합해도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들의 검토 결과, (a)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을 포함하는 베시클 함유 수성 조성물에서, (c)오일로서 (a)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과 분리되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c)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베시클 함유 조성물 중에 오일 방울을 안정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의 (a)성분과 (c)성분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a)성분으로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c)성분으로서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오일방울 및 베시클 함유 수성 조성물은, 오일을 고배합할 수 없는 종래의 베시클 함유 조성물과 달리, 오일을 대량으로 배합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도포했을 때 촉촉함이 우수하다. 또한, 베시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부 친화도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시간 경과후에 (베시클 함유) 수층과 오일층의 2층으로 분리되어도, 흔듦으로써 용이하게 베시클과 오일방울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명백해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시험예 1-3)에서, (a)성분 및/또는 (b)성분을 첨가한 하기 표 2에 나타나는 배합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성 조성물을, 상기 제조방법 A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6), (7)에 대해서 상기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4): SILWET 10-E(도레 다우코닝사제(HLB: 약 14))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정치함으로써, 2층으로 나뉘는 것을 알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2층상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표 2에서 2층상 조성물로 하는 경우,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또는 염화나트륨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인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배합한 시료는, 베시클 안정성도 매우 우수했다.
또한, 시험예 2-4에서, 물을 보습제(디프로필렌글리콜)로 치환해도, 사용감이 우수한 2층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2층상 조성물)의 (b)성분이나 (c)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에 대해서 검토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성 조성물(시험예 3-1 ~ 3-4)을, 공지의 베시클 함유 조성물 제조방법인 하기 제조방법 B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2), (6), (7)에 대해서 상기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제조방법 B)
(a)성분과 (b)성분과 실리콘유(메틸페닐폴리실록산)를 교반, 혼합하고, 베시클 함유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리콘유 이외의 오일을 혼합하고, 베시클 함유 조성물에 첨가·혼합했다.
Figure pct00008
오일로서 소량의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배합한 시험예 3-1은, 촉촉함 및 베시클 안정성이, 시험예 2-4보다도 더 우수했다.
또한, 이소도데칸의 일부를,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POE(12))디메틸폴리실록산)과 분리하는 오일인 합성 이소파라핀, 유동파라핀으로 치환해도, 사용감이 우수한 2층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시험예 3-2, 3-3).
그러나, 시험예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파라핀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수층과 오일층의 분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검토 결과, 본 발명에 관한 (a)성분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c)성분에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에서, 이소도데칸으로 대표되는 휘발성 탄화수소유의 배합량: 유동파라핀으로 대표되는 비휘발성 탄화수소유의 배합량은 10:4~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4에 도시한 배합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상기 제조방법 B 또는 하기 제조방법 C 또는 D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1)~(5)에 대해서 상기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예 4-1의 시료(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 시험예 4-3의 시료(종래의 2층상 화장료)를 충분히 흔들어, 피험자의 좌우의 팔에 도포하고, 촬영한 사진을, 각각 도 3(A), (B)에 나타낸다.
(제조방법 C)
(a)성분과 (b)성분과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교반, 혼합하고, 베시클 함유 조성물을 조제했다. 상기 조성물에 이소도데칸을 첨가·혼합했다. 그 후, 호모믹서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했다.
(제조방법 D)
(b)성분을 교반한 후, 이소도데칸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Figure pct00009
표 4에 따르면, 동일한 조성에서도, 베시클 함유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 제조하지 않는 경우에, 유화물이 되어(시험예 4-2), 2층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a)양친매성 화합물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 용이하게 2층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시험예 4-3).
그러나, 도 3(B)에 따르면, 시험예 4-3은 피부에 대한 친화도가 나빴다. 한편,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시험예 4-1)은 피부에 대한 친화도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4에 따르면 종래의 유화물이나 2층상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오일의 배합량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오일의 배합량을 변화시킨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배합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상기 제조방법 B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1)~(4)에 대해서, 상기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표 5에 따르면, 수성 조성물 중의 (c)오일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촉촉함을 느끼기 어려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성 조성물 중의 (c)오일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오일감을 느끼기 쉬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에서 (c)오일의 배합량은 5~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 및 2층상 조성물의 처방예를 든다. 본 발명은 이 처방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미용액/2층상 미용액
(사용시에 흔들면, 미용액이 된다. 흔들고 8시간 후에는, 2층상 미용액이 된다.)
POE(12)디메틸폴리실록산 0.6
디메티콘코폴리올 0.04
물 잔량
글리세린 14
에탄올 2.5
디프로필렌글리콜 6
1,3-부틸렌글리콜 1
염화나트륨 0.8
페녹시에탄올 0.5
시트르산 나트륨 0.07
시트르산 0.02
피로아황산나트륨 0.01
에데트산디나트륨2수화물 0.01
합성이소파라핀 7
이소도데칸 6
유동파라핀 1
메틸페닐폴리실록산 0.08
향료 적량
처방예 2 미용액/2층상 미용액
물 잔량
에탄올 8.0
글리세린 0.8
PEG/PPG-17/4 디메틸에테르 4.0
PEG-10 수첨피마자유 2.0
페녹시에탄올 0.4
에데트산디나트륨2수화물 0.04
자일리톨 2.5
잔탄검 0.12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20.0
1: (a) 양친매성 화합물
2: (b) 물
3: (c) 오일

Claims (23)

  1. (a) 양친매성 화합물,
    (b) 물,
    (c) 오일을 포함하고,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방울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성분에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a)성분이 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아실아미노산 금속염, 인지질,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c)성분으로서, (a)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과 혼합했을 때 분리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a)성분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c)성분에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a)성분에, 추가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b)성분 중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 및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방울이 존재하고,
    상기 베시클의 표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c)성분에, 추가로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b)성분 중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 및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방울이 존재하고,
    상기 베시클의 2분자막 내에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10. (a) 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얻은 후,
    상기 수용액과 (c)오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11. (a) 양친매성 화합물과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액과 (c)오일을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a)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b)물을 혼합하여, (a)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시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액과 (c)탄화수소유를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a)성분 및 (b)성분을 혼합할 때,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a) 양친매성 화합물,
    (b) 물,
    (c) 오일을 포함하는 2층상 조성물로서,
    (b)성분 중에, (a)성분이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c)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a)성분에, 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a) 성분이 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아실아미노산 금속염, 인지질,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c)성분으로서, (a)베시클 형성성 양친매성 화합물과 혼합했을 때 분리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a)성분에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c)성분에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a)성분에, 추가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시클의 표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HLB가 12를 초과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21. 제 18 항에 있어서,
    (c)성분에, 추가로 실리콘유 및/ 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HLB가 4~12인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이 존재하는 수층과,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오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베시클의 2분자막 내에 실리콘유, 및/또는 IOB가 0.05~0.8인 극성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23. 제 14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에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상 조성물.
KR1020157030670A 2013-04-26 2014-02-03 수성 조성물 KR101593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4214A JP5690373B2 (ja) 2013-04-26 2013-04-26 水性組成物
JPJP-P-2013-094214 2013-04-26
PCT/JP2014/052449 WO2014174868A1 (ja) 2013-04-26 2014-02-03 水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700A true KR20150140700A (ko) 2015-12-16
KR101593382B1 KR101593382B1 (ko) 2016-02-11

Family

ID=5179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670A KR101593382B1 (ko) 2013-04-26 2014-02-03 수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61561B2 (ko)
EP (1) EP2990025B1 (ko)
JP (1) JP5690373B2 (ko)
KR (1) KR101593382B1 (ko)
CN (1) CN105338949B (ko)
BR (1) BR112015026640A2 (ko)
ES (1) ES2752124T3 (ko)
HK (1) HK1217652A1 (ko)
TW (1) TWI610689B (ko)
WO (1) WO2014174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2796A1 (ja) * 2017-10-26 2019-05-02 株式会社資生堂 ベシクル含有組成物
CN111297804A (zh) * 2018-12-11 2020-06-19 太阳星光齿磨公司 脂质体以及组合物
US20220110850A1 (en) 2019-01-16 2022-04-14 Shiseido Company, Ltd. Lecithin-containing cosmetic base material and cosmetic preparation in which same is blended
JPWO2022137637A1 (ko) * 2020-12-25 2022-06-30
JPWO2022137636A1 (ko) * 2020-12-25 2022-06-30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222A (ja) 1994-03-14 1995-12-12 Dow Corning Corp シリコーン・ベシクル及び閉じ込め法
JP2007277192A (ja) 2006-04-10 2007-10-25 Pola Chem Ind Inc ベシクル分散剤形のユビデカレノン含有化粧料
KR20100019424A (ko) * 2007-05-15 2010-02-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베시클 함유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JP2011241175A (ja) * 2010-05-18 2011-12-01 Kao Corp 油/ベシクル/水型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1799C1 (de) * 1992-12-11 1994-01-05 Kao Corp Gmbh Kosmetisches Mittel
JP3811919B2 (ja) 2002-06-05 2006-08-23 株式会社資生堂 多層型化粧料
US8105996B2 (en) * 2007-03-30 201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hase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ing
KR20100047883A (ko) * 2007-08-31 2010-05-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베시클-실리카 복합체 함유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ES2640164T3 (es) * 2008-12-03 2017-11-02 Shiseido Co., Ltd. Producto cosmético tipo aceite en agua
CN102058493A (zh) * 2009-05-12 2011-05-18 赢创德固赛(中国)投资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
WO2011039790A1 (ja) * 2009-09-29 2011-04-07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20130028950A1 (en) * 2010-03-31 2013-01-31 Shiseido Company, Ltd. Vesicle-Containing Composition
JP5939803B2 (ja) * 2011-01-14 2016-06-22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222A (ja) 1994-03-14 1995-12-12 Dow Corning Corp シリコーン・ベシクル及び閉じ込め法
JP2007277192A (ja) 2006-04-10 2007-10-25 Pola Chem Ind Inc ベシクル分散剤形のユビデカレノン含有化粧料
KR20100019424A (ko) * 2007-05-15 2010-02-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베시클 함유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JP2011241175A (ja) * 2010-05-18 2011-12-01 Kao Corp 油/ベシクル/水型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38949B (zh) 2018-06-12
WO2014174868A1 (ja) 2014-10-30
JP5690373B2 (ja) 2015-03-25
EP2990025A1 (en) 2016-03-02
KR101593382B1 (ko) 2016-02-11
JP2014214134A (ja) 2014-11-17
TW201440805A (zh) 2014-11-01
ES2752124T3 (es) 2020-04-03
US9861561B2 (en) 2018-01-09
US20160058679A1 (en) 2016-03-03
TWI610689B (zh) 2018-01-11
EP2990025B1 (en) 2019-10-09
EP2990025A4 (en) 2016-11-09
BR112015026640A2 (pt) 2017-07-25
CN105338949A (zh) 2016-02-17
HK1217652A1 (zh) 2017-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557B1 (ko) 베시클 함유 조성물
KR101593382B1 (ko) 수성 조성물
EP3441061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oncealing wrinkles
CN102361626A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JP569077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EP3157494B1 (en) Multi-phase anhydrous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il, at least one polyol and non ionic surfactants, and cosmetic process thereof
JP2000351712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15315246A (zh) 油包水乳液形式的固体组合物
KR20180100640A (ko) 유화 화장료
JP2020097532A (ja) 油中アルコール型乳化組成物
KR20160071744A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115953A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WO2022137638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1213748A (ja) O/w/o型乳化化粧料
JP2023168891A (ja) O/w/o型皮膚外用剤
WO2022137636A1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2023157265A (ja) 乳化化粧料
CN115379822A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
JP202115537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