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120A -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120A
KR20150133120A KR1020147034880A KR20147034880A KR20150133120A KR 20150133120 A KR20150133120 A KR 20150133120A KR 1020147034880 A KR1020147034880 A KR 1020147034880A KR 20147034880 A KR20147034880 A KR 20147034880A KR 20150133120 A KR20150133120 A KR 2015013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electrode
shank
tip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844B1 (ko
Inventor
코타로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Publication of KR2015013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2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for several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3Tool changing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7Tool changing including machine tool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8Tool transfer to or from matrix
    • Y10T483/1873Indexing matrix
    • Y10T483/1882Rotary dis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용접 건에 대한 전극 장착작업이 덕트 타임(tack time)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소형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판(2)에 대해 그 회전축심 방향에 접근 배치된 회전 규제부재(7)는, 나선형 스프링(6)에 의해 회전축심 방향 일방측에 회전 바이어싱 된 회전판(2)을 나선형 스프링(6)의 바이어싱 력에 대항하여 회전축심 방향의 타방측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 및 유지된 전극(10)에 접촉하여 회전판(2)의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SPOT WELDING ELECTRODE HOU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하는 스폿 용접용의 전극을 용접 건(welding gun)의 생크(shank) 선단에 장착 가능한 상태로 격납하여 두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복수의 프레스 성형품을 스폿 용접으로 연결함으로써 차체가 조립되고, 이 스폿 용접은, 일반적으로, 생산용 로봇이 파지(把持)하는 용접 건으로 행해진다.
그런데,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장착된 전극은, 스폿 용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소모되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극 교환 시에 효율 좋게 전극을 용접 건에 장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라인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는, 회전축심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원반(圓盤)형의 회전판을 구비하고, 이 회전판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에는, 상면에 개구하는 제 1 오목부와 하면에 개구하는 제 2 오목부가 회전축심 둘레에 복수 나열 형성되고, 이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에 전극을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전극이 수용 및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외측방에는, 이 회전판의 접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판이 설치되고, 전극 장착위치에 있는 제 1 및 제 2 오목부에 삽입 및 유지된 전극을 용접 건의 생크 선단(先端)에 장착함과 동시에 오목부로부터 빼낸 후,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을 한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판에 장착된 스텝 레버(step lever)가 복수의 노치(notch) 중 하나에 걸림으로써 전극이 꺼내진 제 1 및 제 2 오목부에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오목부가 전극 장착 위치가 되기까지 회전판이 회전하여 전극 장착 대기상태가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0-17291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 기구가 회전판의 외측방에 설치되므로, 장치가 회전축심 둘레에서 대형화 되어 버려, 생산라인에 설치한 시, 커다란 공간을 점유할 우려가 있다.
또, 용접 건은, 생크 선단에 장착한 전극을 제 1 및 제 2 오목부로부터 빼낸 후, 슬라이드판을 누르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슬라이드판을 누르지 않으면 장치가 전극 장착 대기상태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접 건은, 전극을 장착한 후 바로 용접작업을 행할 수 없어, 택트 타임(tact time)에 지장을 줄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용접 건에 대한 전극 장착작업이 택트 타임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소형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바이어싱(biasing) 부재를 회전체 내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회전체의 회전동작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재를 회전체에 대해 이 회전축심 방향으로 접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폿 용접용의 전극을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장착 가능한 자세로 격납하여 두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제 1 발명에서는, 회전축심의 동일 방향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회전축심 둘레에 복수 나열 형성되고, 또한, 중공(中空)부를 안쪽에 가지며, 상기 전극을 상기 각 오목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함과 동시에 이 생크 장착측이 상기 오목부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 수용 및 유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체를 이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一方)측으로 회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와, 상기 회전체에 대해 그 회전축심 둘레에 접근 배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바이어싱 력(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他方)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에 수용 및 유지된 상기 전극의 생크 장착측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심 둘레 일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오목부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이 오목부에 삽입한 상기 전극의 외주면(外周面) 전 둘레에 걸쳐 접촉하는 가요성(可撓性) 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회전축심 방향 일방측에 개구하고, 또한, 회전축심 둘레에 나열 형성된 복수의 제 1 오목부와, 회전축심 둘레 타방측에 개구하고, 또한, 회전축심 둘레에 나열 형성된 복수의 제 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 1 오목부와 각 제 2 오목부는, 회전축심 방향에서 대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부재의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에는,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보다 회전체와는 반대측 면이 회전체측에 위치하는 단차(段差)형상을 이루고, 상기 생크 선단에 전극을 장착할 시, 이 생크 선단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회전 규제부재가 접촉하는 전극을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장착함과 동시에 오목부로부터 빼내면, 회전 규제부재가 바이어싱 부재에 의한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할 수 없게 되므로, 회전체가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전극을 빼낸 오목부에 인접하는 오목부에 수용 및 유지된 전극의 생크 장착측에 회전 규제부재가 접촉함으로써 회전체의 회전이 멈추고, 다음 전극이 생크 선단에 장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로부터 전극을 빼내는 동작만으로 자동적으로 다음 전극이 생크 선단에 장착 가능한 상태의 위치가 되기까지 회전체가 움직이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용접 건에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게 할 필요가 없어, 용접 건의 전극 장착작업이 덕트 타임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또,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바이어싱 부재가 회전체 안쪽에 설치되며, 또한,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재가 회전체에 대해 이 회전축심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므로, 회전체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슬라이드 기구가 설치되지 않으며, 회전체의 회전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콤팩트 한 장치가 된다.
제 2 발명에서는, 전극이 오목부에 수용된 상태로 전극 중심축 둘레의 전 둘레에 걸쳐 유지되므로, 오목부로부터 전극을 빼낸 후, 인접하는 오목부에 수납 및 유지된 전극에 회전 규제부재가 접촉할 때, 바이어싱 부재의 바이어싱 력에 의한 접촉 시의 충격에 의해 오목부 내에서 전극이 기울어 버리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크 중심축에 대해 전극의 중심축이 기운 채로 생크 선단에 대해 전극의 장착 작업이 행해지는 것이 없어지고, 생크 선단에 대해 전극을 장착할 시에 생크 선단과 전극에 불필요한 부하를 가하는 일이 없어, 생크와 전극이 손상되지 않는다.
제 3 발명에서는, 회전체에 대해 회전축심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생크를 동시에 가깝게 하여 각 생크에 전극을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C형 타입이나 X형 타입의 용접 건에 대해 효율 좋게 전극을 장착시킬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중심축 방향의 치수가 짧고, 오목부에 수용 및 유지시킨 시에 오목부 개구로부터 튀어나오는 영역이 적은 전극을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장착할 시, 이 생크 선단을 상기 전극에 가까이 하여도, 간섭 회피부에 의해 생크 선단이 회전 규제부재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각 오목부에 중심축 방향의 치수가 짧은 전극을 수용 및 유지시킬 수 있다. 또, 회전 규제부재의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은, 타방측에 비해 두께를 가지고 강성이 높으므로, 회전체가 회전하여 회전 규제부재에 전극이 접촉할 시에 바이어싱 부재의 바이어싱 력(biasing force)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도, 회전 규제부재는 파손되는 일없이 회전체의 그 이상의 회전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상측의 커버 플레이트를 떼어낸 평면도이고, 도 3(b)은,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전극을 장착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5는, 용접 건의 생크 선단에 전극을 장착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 후, 더 회전판이 회전하여 다음 전극이 장착 가능한 상태가 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1)를 나타낸다. 이 전극 격납장치(1)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반송(搬送)경로 측방에 배치되어, 스폿 용접용 전극(10)을 용접로봇(도시 않음)이 파지(把持)하는 용접 건의 생크(S1) 선단에 장착 가능한 자세로 격납하여 두는 것이다(도 4 참조).
상기 전극 격납장치(1)는, 두께를 갖는 원판형을 이루고, 회전축심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회전판(2)(회전체)과, 이 회전판(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3)를 구비한다.
이 지지체(3)는, 다른 설비(Z1)에 고정된,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거의 띠 형상의 고정 플레이트(31)와, 이 고정 플레이트(31)의 상단(上端) 가장자리 및 하단(下端) 가장자리로부터 설비(Z1)의 반대측에 수평으로 이어지고, 상하로 이격하여 대항하는 한 쌍의 커버 플레이트(3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31)와 상기 양 커버 플레이트(32)를 측면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을 이룬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32)의 선단측 외주 가장자리는, 거의 반원상으로 만곡(彎曲)하고 있고,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32)의 중앙 부분은, 상방으로 팽출(膨出)하는 한편,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32)의 중앙 부분은, 하방으로 팽출한다.
그리고, 상기 양 커버 플레이트(32)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 일방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 모양을 이루는 절결부(notch)(32a)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 양 커버 플레이트(32) 사이에 배치되고, 그 안쪽에는, 상하로 개구하는 중공(中空)부(2a)가 형성된다.
이 중공부(2a)의 상측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측 고리형 돌출부(21)가 상방에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중공부(2a)의 하측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는, 하측 고리형 돌출부(22)가 하방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의 상면에는, 상방(회전축심의 일방측)에 개구하며, 또한, 회전축심 둘레에 나열 형성된 12개의 제 1 오목부(23)가 오목 형성된다.
이 제 1 오목부(23)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 부근의 내주면에는, 이 제 1 오목부(23)의 안쪽에 개구하는 제 1 고리형 오목부(21a)가 오목 형성되고, 이 각 제 1 고리형 오목부(21a)에는, 가요성을 갖는 고무제의 O 링(4)(링 부재)이 끼워 넣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판(2) 하면에는, 하방(회전축심의 타방측)에 개구하며, 또한 회전축심 둘레에 나열 형성된 12개의 제 2 오목부(24)가 오목 형성되고, 이 각 제 2 오목부(24)는, 상기 각 제 1 오목부(23)에 대해 상하 방향(회전축심 방향)으로 대칭이 된다.
상기 제 2 오목부(24)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 부근의 내주면에는, 이 제 2 오목부(24)의 안쪽에 개구하는 제 2 고리형 오목부(22a)가 오목 형성되고, 이 각 제 2 고리형 오목부(22a)에도 상기 각 제 1 고리형 오목부(21a)와 마찬가지로 O 링(4)이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10)을 상기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하면, 상기 O 링(4)이 상기 전극(10)의 외주면 전 둘레에 걸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회전판(2)은, 상기 전극(10)을 이 생크(S1) 장착측이 상기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2) 외주면의 각 제 1 오목부(23)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내듯이, 금속제의 핀(P1)이 매입(embedding)되어, 상기 회전판(2)의 측방에 배치된 금속 탐지센서(8)(도 3 참조)에 의해 회전판(2)의 회전위치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공부(2a)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회전축(5)이 배치되고, 이 회전축(5)의 상단은 상측의 커버 플레이트(32)의 중앙 하면에, 상기 회전축(5)의 하단은 하측의 커버 플레이트(32)의 중앙 상면에 각각 볼트(B1)로 고정된다.
또, 상기 회전축(5)의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은, 각각 상기 상측 고리형 돌출부(21)의 안쪽 및 상기 하측 고리형 돌출부(22)의 안쪽에 베어링(Be)을 개재하여 장착되며, 이에 의해, 상기 회전판(2)은 상기 회전축(5) 둘레에서(회전축심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2a)에는, 도 3(b)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회전축(5) 둘레에 나사선 형상으로 감은 나선형 스프링(6)(바이어싱 부재)이 수용된다.
이 나선형 스프링(6)의 일단(一端)은, 상기 회전축(5)의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핀(P2)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6)의 타단(他端)은, 도 3(b)에 나타내듯이, 상기 중공부(2a) 내주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2b)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6)은, 상기 회전판(2)을 이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평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에 회전 바이어싱 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의 나선형 스프링(6)의 단면(斷面)은, 과장되게 기재한다.
상기 각 커버 플레이트(32)와 상기 회전판(2)과의 사이에는, 도 3(a)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이루는 판(板)형상의 회전 규제부재(7)가 설치되고, 이 각 회전 규제부재(7)는, 상기 각 커버 플레이트(3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2)에 대해 그 회전축심 방향에 접근한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각 회전 규제부재(7)는, 도 1 및 도 3(a)에 나타내듯이, 상기 절결(notch)부(32a)의 설비(Z1)측 가장자리부를 따른 제 1 규제부(71)와, 상기 절결부(32a)의 개구 반대측 가장자리부를 따른 제 2 규제부(72)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규제부(71)의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에는,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보다 회전판(2) 반대의 면이 회전판(2)측에 위치하는 단차(段差)형상을 이루고, 상기 생크(S1) 선단에 전극(10)을 장착할 시, 이 생크(S1) 선단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부(7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규제부재(7)(제 1 규제부(71))는, 상기 회전판(2)을 상기 나선형 스프링(6)의 바이어싱 력에 대항하여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 및 유지된 전극(10)의 생크(S1) 장착측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2)의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한다.
다음에, 용접 건의 생크(S1) 선단에 전극(10)을 장착할 시의 전극 격납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생산라인이 가동하기 전에, 나선형 스프링(6)의 바이어싱 력에 대항하여 회전판(2)을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으로 회전시키면서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가 각 절결부(32a)를 횡단할 시에 이 각 절결부(32a)를 개재하여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차례로 전극(10)을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간다.
작업자는,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 모두에 전극(10)을 삽입한 후, 회전판(2)의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으로의 회전을 멈춘다. 그러면, 나선형 스프링(6)의 바이어싱 력에 의해 회전판(2)이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에 회전하고자 하는 것을 처음부터 세어 12번째인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 및 유지된 각 전극(10)이 회전 규제부재(7)의 제 1 규제부(71)에 접촉함으로써 회전판(2)의 회전이 멈춘다.
이어서, 생산 라인이 가동 중에 용접 건(C형 타입)의 각 생크(S1)에 장착된 전극(10)의 소모가 심해지면, 산업용 로봇(도시 않음)이 용접 건을 전극 분리장치(도시 않음)까지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생크(S1) 선단에 장착된 전극(10)을 떼어 내고, 그 후, 용접 건을 전극 격납장치(1)까지 이동시켜 전극(10)이 장착되지 않은 각 생크(S1)를 각 절결부(32a)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각 생크(S1)를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 및 유지된 각 전극(10)에 접근시켜 이 선단에 전극(10)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도 4에 나타내듯이,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로부터 전극(10)을 빼낸다.
그러면, 회전 규제부재(7)가 나선형 스프링(6)에 의한 회전판(2)의 회전을 규제할 수 없게 되므로, 도 5(a), 도 5(b)에 나타내듯이, 회전판(2)이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6(a), 도 6(b)에 나타내듯이, 전극(10)을 빼낸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각각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 및 유지된 전극(10)의 생크(S1) 장착측에 회전 규제부재(7)가 접촉함으로써 회전판(2)의 회전이 멈추고, 다음 전극(10)이 생크(S1) 선단에 장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로부터 전극(10)을 빼내는 작업만으로 자동적으로 다음 전극(10)이 생크(S1) 선단에 장착 가능한 상태의 위치가 되기까지 회전판(2)이 움직이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용접 건에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도록 할 필요가 없고, 용접 건의 전극 장착작업이 덕트 타임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또, 회전판(2)을 회전시키는 나선형 스프링(6)이 회전판(2) 안쪽에 설치되고, 또한 회전판(2)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재(7)가 회전판(2)에 대해 그 회전축심 방향으로 나열 설치되므로, 회전판(2)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슬라이드 기구가 설치되지 않고, 회전판(2)의 회전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콤팩트 한 전극 격납장치(1)가 된다.
또, O 링(4)에 의해 전극(10)이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된 상태로 전극 중심축 둘레의 전 둘레에 걸쳐 유지되므로,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로부터 전극(10)을 빼낸 후,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납 및 유지된 전극(10)에 회전 규제부재(7)가 접촉할 시, 나선형 스프링(6)의 바이어싱 력에 의한 접촉 시의 충격에 의해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 내에서 전극(10)이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크(S1)의 중심축에 대해 전극(10)의 중심축이 기운 채로 생크(S1) 선단에 대해 전극(10)의 장착 작업이 행해지는 일이 없어지고, 생크(S1) 선단에 전극(10)을 장착할 시에 생크(S1) 선단과 전극(10)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지는 일없이, 생크(S1)와 전극(10)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판(2)에는, 회전축심 방향으로 대칭인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가 오목 형성되므로, 회전판(2)에 대해 회전축심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생크(S1)를 동시에 가깝게 하여 각 생크(S1)에 전극(10)을 장착시킬 수 있고, C형 타입과 X형 타입의 용접 건에 대해 효율 좋게 전극(10)을 장착시킬 수 있다.
추가로, 회전 규제부재(7)에는 간섭 회피부(71a)가 형성되므로, 중심축 방향의 치수가 짧아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수용 및 유지시킨 시에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의 개구로부터 튀어나오는 영역이 적은 전극(10)을 용접 건의 생크(S1) 선단에 장착할 시, 이 생크(S1) 선단을 상기 전극(10)에 가깝게 하여도, 간섭 회피부(71a)에 의해 생크(S1) 선단이 회전 규제부재(7)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에 중심축 방향의 치수가 짧은 전극(10)을 수용 및 유지시킬 수 있다. 또, 회전 규제부재(7)의 제 1 규제부(71)의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은, 타방측에 비해 두께를 가지며 강성(剛性)이 높으므로, 회전판(2)이 회전하여 회전 규제부재(7)에 전극(10)이 접촉할 시에 나선형 스프링(6)의 바이어싱 력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도, 회전 규제부재(7)는 파손되는 일없이 회전판(2)의 그 이상의 회전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판(2)에서 회전축심 방향으로 대칭인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가 형성되나, 제 1 오목부(23)만이 형성된 회전판(2)과 제 2 오목부(23)만이 형성된 회전판(2)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판(2)에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가 각각 12개씩 형성되나, 다른 수로 제 1 및 제 2 오목부(23, 24)가 형성된 회전판(2)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판(2)을 회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나선형 스프링(6)으로 하였으나, 코일 스프링 등으로 회전판(2)을 회전 바이어싱하여도 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판(2)의 회전축심이 상하방향을 향하나, 회전판(2)의 회전축심이 다른 방향을 향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하는 스폿 용접용의 전극을 용접 건 생크 선단에 장착 가능한 상태로 격납하여 두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에 적합하다.
1 :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2 : 회전판(회전체)
2a : 중공부 4 : O 링(가요성 링 부재)
6 : 나선형 스프링(바이어싱 부재) 7 : 회전 규제부재
10 : 전극 21 : 제 1 오목부
22 : 제 2 오목부 71a : 간섭 회피부
S1 : 생크

Claims (4)

  1. 스폿 용접용의 전극을 용접 건의 생크 선단(先端)에 장착 가능한 자세로 격납하여 두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심의 동일 방향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회전축심 둘레에 복수 나열 형성되고, 또한, 중공(中空)부를 안쪽에 가지며, 상기 전극을 상기 각 오목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함과 동시에 이 생크(shank) 장착측이 상기 오목부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 수용 및 유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체를 이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으로 회전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 부재와,
    상기 회전체에 대해 그 회전축심 방향에 접근 배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바이어싱 력에 대항하여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에 수용 및 유지된 상기 전극의 생크 장착측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오목부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이 오목부에 삽입한 상기 전극의 외주면(外周面) 전 둘레에 걸쳐 접촉하는 가요성(可撓性) 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회전축심 방향 일방측에 개구하고, 또한, 회전축심 둘레에 나열 형성된 복수의 제 1 오목부와, 회전축심 방향 타방측에 개구하고, 또한, 회전축심 둘레에 나열 형성된 복수의 제 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 1 오목부와 각 제 2 오목부는, 회전축심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부재의 회전축심 둘레의 타방측에는, 회전축심 둘레의 일방측보다 회전체와는 반대측 면이 회전체측에 위치하는 단차(段差)형상을 이루고, 상기 생크 선단에 전극을 장착할 시, 이 생크 선단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KR1020147034880A 2014-04-17 2014-04-17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KR101697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2196 WO2015159325A1 (ja) 2014-04-17 2014-04-17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120A true KR20150133120A (ko) 2015-11-27
KR101697844B1 KR101697844B1 (ko) 2017-01-18

Family

ID=5432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880A KR101697844B1 (ko) 2014-04-17 2014-04-17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21124B2 (ko)
EP (1) EP2954971B1 (ko)
JP (1) JP5859661B1 (ko)
KR (1) KR101697844B1 (ko)
CN (1) CN105377389B (ko)
BR (1) BR112014029413B1 (ko)
CA (1) CA2944333C (ko)
MX (1) MX2016013335A (ko)
WO (1) WO2015159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9662B1 (ja) * 2014-02-06 2016-02-10 株式会社キョクトー 回転作業装置
JP5965031B1 (ja) * 2015-06-25 2016-08-03 コリア ティーアンドエ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溶接チップ供給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溶接チップ交換装置
US10150177B2 (en) * 2016-04-11 2018-12-11 Tipman Co., Ltd. Rotary changer
EP3508300B1 (en) * 2016-09-05 2021-11-24 Nag System Co., Ltd. Resistance-welding equipment
CA2986291C (en) * 2017-05-15 2018-10-16 Kotaro Nakajima Spot welding electrode housing apparatus
CN107132363B (zh) * 2017-05-26 2018-06-19 江苏至上检测科技有限公司 铸件自动检测转动平台
JP6937020B2 (ja) * 2017-11-20 2021-09-22 株式会社キョクトー 切粉飛散防止カバー
CN109079303A (zh) * 2018-08-07 2018-12-25 长沙格力暖通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刀片点焊装置
EP3878592A1 (de) * 2020-03-13 2021-09-15 Lutz Precision, K.S. Kappenmagazin und kappenmagazineinheit
CN111730237A (zh) * 2020-07-18 2020-10-02 泉州泉港博洋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逆变器生产加工用焊接装置
CN112548297A (zh) * 2020-11-05 2021-03-26 安徽红桥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产品焊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628B2 (ja) * 1989-12-13 1995-07-26 株式会社キョクトー 抵抗溶接用電極チップの自動取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46888A (ja) * 2003-07-30 2005-02-24 Obara Corp 定置式の電極チップ取り出し装置
JP2010172913A (ja) 2009-01-28 2010-08-12 Shinko Kiki Kk 電極チップ供給装置
JP2013059782A (ja) * 2011-09-12 2013-04-04 Kyokutoh Co Ltd 電極チップ用マガジ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5235B1 (fr) * 1991-12-20 1995-08-11 Aro Electrode de soudage a resistance par points; extremite de contact pour une telle electrode; machine pour l'echange de ces extremites.
US5791032A (en) * 1997-05-15 1998-08-11 Eastman Kodak Company Robotic turret tool
JP3820858B2 (ja) * 2000-09-07 2006-09-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溶接ガンのチップ交換装置
JP4218490B2 (ja) * 2003-10-09 2009-0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チップ交換装置及びチップ交換方法
DE102005035915B3 (de) * 2005-07-28 2006-08-17 Kaeseler, Werner, Dipl.-Ing. Punktschweißkappenwechsler
DE202007017935U1 (de) * 2007-12-22 2008-03-20 REU-Schweißtechnik GmbH Magazineinheit für einen Punktschweißkappenwechsler
CN201223995Y (zh) * 2008-07-25 2009-04-22 小原(南京)机电有限公司 旋转式电极转换装置
CN103465006B (zh) * 2013-08-28 2016-10-05 上海君哲工业自动化有限公司 一种独立式电极帽自动更换设备
JP7067628B2 (ja) * 2019-03-13 2022-05-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628B2 (ja) * 1989-12-13 1995-07-26 株式会社キョクトー 抵抗溶接用電極チップの自動取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46888A (ja) * 2003-07-30 2005-02-24 Obara Corp 定置式の電極チップ取り出し装置
JP2010172913A (ja) 2009-01-28 2010-08-12 Shinko Kiki Kk 電極チップ供給装置
JP2013059782A (ja) * 2011-09-12 2013-04-04 Kyokutoh Co Ltd 電極チップ用マガ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4333A1 (en) 2015-10-22
US20150298246A1 (en) 2015-10-22
JPWO2015159325A1 (ja) 2017-04-13
CN105377389A (zh) 2016-03-02
EP2954971A4 (en) 2015-12-16
JP5859661B1 (ja) 2016-02-10
BR112014029413A2 (pt) 2017-06-27
CN105377389B (zh) 2018-12-14
BR112014029413B1 (pt) 2020-02-18
KR101697844B1 (ko) 2017-01-18
US9321124B2 (en) 2016-04-26
EP2954971B1 (en) 2016-07-27
CA2944333C (en) 2018-06-26
EP2954971A1 (en) 2015-12-16
WO2015159325A1 (ja) 2015-10-22
MX2016013335A (es)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844B1 (ko) 스폿 용접용 전극 격납장치
EP2554319B1 (en) Welding tip replacement apparatuses ; and method of replacing welding tip
CN103659396B (zh) 加工装置
EP3019425B1 (en) Indexing drive roll carrier system and method
EP2888068B1 (en) Drive roll carrier for welding wire feeder with gear, hub and retainer for the drive roll
US20150217397A1 (en) Rotary work device
US20230045082A1 (en) Element changer
KR20210032005A (ko) 클램프 기구, 접합 부재 제조 장치 및 접합 부재의 제조 방법
WO2015015921A1 (ja) プローバ
KR20170062514A (ko) O링 부착 장치 및 방법
KR101917321B1 (ko) 로봇용 수동 툴 체인저
KR101495460B1 (ko) 스팟 용접용 전극분리장치
JPWO2018211555A1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US7250585B1 (en) Robotic welding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projection weld nuts
KR101603943B1 (ko) 용접건의 팁 탈거장치
CN110293302B (zh) 焊接用电极头的拆卸装置
JP7365640B2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KR100569129B1 (ko) 너트 자동 조립 장치
JP2015231650A (ja) コイルスプリング保持具とコイルスプリング研磨装置
KR102629820B1 (ko) 이차 전지의 캔에 홀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
KR101381159B1 (ko) 드럼형 매거진을 갖춘 용접팁 공급장치
JP5243567B2 (ja) 加熱搬送装置及び加熱搬送方法
KR200477730Y1 (ko) 용접 토치 셋팅 지그
EP4028195A1 (en) Welding apparatus
WO2017141283A1 (ja) 電極チップ取外装置及びハン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