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230A -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230A
KR20150122230A KR1020157026761A KR20157026761A KR20150122230A KR 20150122230 A KR20150122230 A KR 20150122230A KR 1020157026761 A KR1020157026761 A KR 1020157026761A KR 20157026761 A KR20157026761 A KR 20157026761A KR 20150122230 A KR20150122230 A KR 2015012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quid holding
container
outer layer
lay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177B1 (ko
Inventor
타카유키 아베
미츠오 후루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5012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밸브체로서 기능하는 구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액 유지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중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10)와, 수용 공간(S)으로 통하는 상부 개구(21)를 갖는 동시에 외층체(10)의 내측에 수용되는 감용 변형 자유인 내층체(20)와, 수용 공간(S)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통형상벽(31)의 내측에 밸브체가 되는 구형상체(B)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중간 마개(30)와, 외층체(10)의 입구부(11)에 장착되는 동시에 통형상벽(31)으로 연통하는 주출통(41)을 구비한 주출 마개(40)를 구비하며, 통형상벽(31)은, 수용 공간(S)으로 향해서 축경하여 구형상체(B)와 전체 외주에 걸쳐서 맞닿는 경사벽(35)과, 경사벽(35)으로부터 수용 공간(S)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벽(36)을 구비하며, 돌출벽(36)은, 구형상체(B)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용물의 액 유지부(M)를 유지하는 액 유지 수단(37A, 37B, 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용기{DOUBLE-WALLED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와, 외층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감용(減容) 변형 자유인 내층체를 구비하며, 내용물의 토출에 동반하여 내층체만을 감용시키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수 등의 화장료나, 샴푸나 린스 혹은 액체 비누, 또는 식품 조미료 등을 수납하는 용기로서는,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와, 외층체의 내측에 수용되어 감용 변형 자유인 내층체를 구비하고, 외층체에, 내외로 통하는 외기 도입용의 개구를 설치하여, 내용물의 토출에 동반하여 내층체만을 감용시키도록 하는 이중 용기(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 용기라고도 함)가 알려져 있다.
또한, 내용물의 토출 방식으로서는, 외층체의 입구부에 장착된 펌프에 의한 것이나, 외층체의 몸통부를 압축하는 것에 의한 것이 있지만, 내용물의 점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용기를 뒤집거나 뒤집은 자세로 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의 자중에 의해 토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특허 문헌 1에서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한 주출 마개 내에, 용기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자중으로 이동하는 구형상체(볼 밸브)를 설치하고, 용기가 기립 자세에 있는 경우에는, 구형상체가 주출 마개의 경사벽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의 수용 공간으로 외기가 들어가는 것을 막는 한편, 용기를 뒤집거나 뒤집은 자세로 하는 것에 의해서, 구형상체가 주출 마개의 경사벽으로부터 이동하여, 내용물의 자중에 의해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중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73770호
그런데, 내용물의 토출 후에 용기를 기립 자세로 되돌릴 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형상체의 하부에는 표면 장력에 의한 액 유지부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구형상체와 경사벽의 맞닿은 면의 건조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용기를 이동시키거나 용기에 진동이 가해지거나 하여 액 유지부에 가벼운 충격이 미치게 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된 액의 일부 또는 전부가 낙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구형상체나 경사벽에 부착된 내용물이 공기에 노출되어 건조하게 되어, 구형상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맞닿은 면에서의 밀봉성이 나빠지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액 유지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량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구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액 유지부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액 유지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이중 용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와, 내용물의 수용 공간으로 통하는 상부 개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외층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감용 변형 자유인 내층체와, 상기 상부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통형상벽의 내측에 밸브체로 되는 구형상체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를 덮어 상기 외층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벽에 연통하는 주출통을 구비한 주출 마개를 구비한 이중 용기로서,
상기 통형상벽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축경하여 상기 구형상체와 전체 외주에 걸쳐서 맞닿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벽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벽은, 상기 구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용물의 액 유지부를 유지하는 액 유지 수단을 구비한 이중 용기이다.
상기 액 유지 수단은, 상기 돌출벽으로부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1 개의 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를 복수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 리브를 상기 통형상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 유지 수단은, 상기 돌출벽의 내주면에 설치된 단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돌출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고리 형상 또는 나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돌출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마개에 설치한 통형상벽에, 밸브체로서 기능하는 구형상체에 대해서 전체 외주에 걸쳐서 맞닿은 경사벽과, 경사벽으로부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벽을 설치하며, 또한 구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용물의 액 유지부를 유지하는 액 유지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액 유지부에 가벼운 충격이 미치더라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액 유지 수단은, 돌출벽으로부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1 개의 리브 또는 돌출벽의 내주면에 설치된 단차부이다.
리브를 설치한 경우에는, 액 유지부가 진자와 같이 움직여서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단차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를 액 유지부에 걸려있는 것과 같이 작용시키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액 유지부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리브를 복수개 설치하고, 이들을 통형상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액 유지부를 전체 외주에 걸쳐서 균등하게 움직이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단차부를, 돌출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고리 형상 혹은 나선 형상으로 설치한 경우나 돌출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인 형상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걸려 있는 것과 같은 작용을 액 유지부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a는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화살표 A를 따른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이중 용기에서 형성된 액 유지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용기에서 형성되는 액 유지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정상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4b는, 유지된 액의 일부가 낙하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a는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화살표 A를 따른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 2는, 도 1a의 이중 용기에서 형성된 액 유지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a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의 이중 용기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중 용기(1)는,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10)와, 외층체(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층체(2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상부에 중간 마개(30), 주출 마개(40), 및 덮개체(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중 용기(1)는, 합성 수지제의 외층체(10)와, 외층체(10)에 대해서 상용성(相溶性)이 낮은 합성 수지로 형성된 내층체(20)를 적층시킨 것이며, 이들 합성 수지 소재를 적층하여 형성한 패리슨(parisson)을, 블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있어서, 외층체(10)와 내층체(20)의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층체(10)와 내층체(20)를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1 개의 접착대(接着帶)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접착대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또한 복수개 설치하여도 좋다.
외층체(10)는, 복원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갖는 것이며, 원통 형상의 입구부(11)에 몸통부(12)를 연결하는 동시에, 도시를 생략한 저부를 몸통부(12)에 연결한 것이다. 입구부(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외층체(10)에는 그 내외를 관통하는 외기 도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공은, 블로 성형에서 저부에 형성되는 핀치 오프부의 슬릿을 이용하는 것도, 또한, 블로 성형 후에 입구부(11)나 몸통부(12)에 후가공에서 설치되는 것도 좋다.
내층체(20)는, 그 내측에 내용물을 충전 가능하게 하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용 공간(S)으로 통하는 상부 개구(21)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적층된 외층체(10)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감용 변형되는 것이다.
중간 마개(30)는, 내층체(20)의 상부 개구(21)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서 기립하는 통형상벽(3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형상벽(31)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이 통형상벽(31)의 하부와 연결되는 플랜지를 거쳐서 고리 형상 벽(32)을 구비하고 있다. 고리 형상 벽(32)의 상단 둘레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고, 입구부(11)의 상단과 맞닿는 (입구부(11)의 상단과의 사이에서 내층체(20)를 끼고 있어도 좋다) 플랜지부(33)를 설치하고 있다. 플랜지부(33)의 하면에서는, 내층체(20)를 사이에 낀 외층체(10)와 맞닿는 고리 형상의 밀봉벽(3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통형상벽(31)의 하단부(수용 공간(S) 측의 단부)에는, 수용 공간(S)으로 향해서 축경하는 경사벽(35)을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경사벽(35)의 하단부(수용 공간(S) 측의 단부)에는, 통형상벽(31)과 동심을 이루는 원통 형상의 돌출벽(36)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벽(36)은 육각통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돌출벽(36)에는, 액 유지 수단으로서, 그 상단면을 경사벽(35)의 상면에 연속시키면서 돌출벽(36)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수용 공간(S)으로 향해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리브(37A)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리브(37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돌출벽(36)의 둘레 방향, 즉 통형상벽(3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총계 4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37A)의 형상은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횡단면 형상이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되는 것도, 또한 원형 형상으로 되는 것도 좋다. 또한, 통형상벽(31)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복수의 세로 리브(38)를 설치하고 있고, 세로 리브(38)의 상방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볼록부(39)를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세로 리브(38)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구형상체(B)(금속제라도 합성 수지제라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제로 하고 있다)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구형상체(B)는, 이중 용기(1)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세로 리브(38)를 따라서 자중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 용기(1)가 기립 자세에 있을 때에는, 경사벽(35)과 전체 외주에 걸쳐서 맞닿아 내층체(20)의 수용 공간(S)을 폐쇄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볼록부(39)는, 구형상체(B)의 상방으로의 뽑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주출 마개(40)는, 통형상벽(31)으로 통하는 동시에 상방으로 향해서 확경하면서 상단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시켜서 립(lip)을 형성한 주출통(41)을 구비하고 있다. 주출통(41)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플랜지부(33) 상에 위치하는 천벽(4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천벽(42)의 둘레부에는, 입구부(11)를 둘러싸는 외주벽(43)을 연결하고 있어, 외주벽(43)의 내주면에는, 입구부(11)의 수나사부(13)에 대응하는 암나사부(44)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주출 마개(40)는, 중간 마개(30)를 사이에 끼고 입구부(1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주출 마개(40)를 입구부(11)에 장착할 때에는, 언더컷을 이용하여도 좋다.
덮개체(50)는, 주출 마개(40)의 상방을 덮는 정벽(51)(頂壁)의 둘레부에 주벽(52, 周壁)을 연결하는 동시에, 주벽(52)과 외주벽(43)을 힌지(53)를 거쳐서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힌지(53)를 설치하지 않고, 주출 마개(40)와 덮개체(50)를 나사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정벽(51)의 하면에는, 주출통(41)의 내주면과 액밀하게 맞닿는 밀봉통(5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밀봉통(54)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하방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핀(55)을 설치하고 있다. 핀(55)은, 구형상체(B)가 상방으로 변위할 때, 상한에 도달하기 전에 구형상체(B)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수송 등에 의해 구형상체(B)가 빠르게 상방으로 이동하여도, 세로 리브(38)에 설치된 볼록부(39)를 타고 넘어가서 바깥으로 빠질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 용기(1)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할 때에는, 덮개체(50)를 개방하여 이중 용기(1)를 뒤집거나 뒤집은 자세로 하는 것에 의해서, 구형상체(B)는 주출통(41)측으로 변위하고, 수용 공간(S) 내의 내용물은 자중으로 돌출벽(36)의 개구로부터 통형상벽(31) 내로 도입되며, 인접한 세로 리브(38)의 상호간을 통해서 빠져 나와서 주출통(41)으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외층체(10)와 내층체(20)의 상호간에는 상술한 외기 도입공을 통해서 외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외층체(10)는 그 형상을 유지한 채로, 내층체(20) 만이 감용(減容)한다.
내용물을 토출한 후, 이중 용기(1)를 기립 자세로 되돌리면, 구형상체(B)는 수용 공간(S) 측으로 변위한다. 또한, 통형상벽(31) 내의 내용물은 대부분이 수용 공간(S)으로 되돌아오는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는 표면 장력에 의해서 구형상체(B)의 하부에 액 유지부(M)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중 용기(1)를 이동시키는 등과 같이 액 유지부에 가벼운 충격이 미치더라도, 돌출벽(36)을 지점으로 하는 액 유지부(M)의 요동을 리브(37A)에서 억제함으로써 액 유지부(M)를 움직이기 어렵게 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리브(37A)를 통형상벽(3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액 유지부(M)를 전체 외주를 따라서 균등하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액 유지 수단으로서는, 도 1a, 도 1b, 도 2에 나타낸 리브(37A) 외에,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면을 경사벽(35)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돌출벽(36)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수용 공간(S)으로 향해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리브(37B)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벽(36)의 내주면 하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종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도록 돌출하는 돌기(36a)를 설치하고, 돌출벽(36)의 내주면과 돌기(36a)에 형성되는 단차부(d)를 액 유지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차부(d)는 액 유지부에 걸려 있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액 유지부는 낙하하기 어렵게 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벽(36)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설치하는 경우(단차부(d)도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다)에는, 걸려 있는 것과 같은 작용을 액 유지부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미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액 유지부는 더욱 낙하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돌기(36a)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 경우 이외, 예컨대, 도 3f의 돌기(36d)와 같이, 일부를 분단하여 간헐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단차부(d)도 간헐적인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 3f의 돌기(36d)는, 돌출벽(36)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3 개 설치되어 있지만, 그 갯수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b에서 나타낸 돌기(36a)에 더하여 도 3a에 나타낸 리브(37B)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리브(37B)에서 액 유지부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는 외에, 단차부(d)로서, 돌출벽(36)의 내주면과 돌기(36a)에서 전체 외주에 걸쳐서 형성되는 부분 뿐만 아니라, 리브(37B)의 상단면이 형성하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부분도 부가되기 때문에, 액 유지부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도 3a의 경우에도, 리브(37B)의 상단면을 단차부(d)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b에 도시한 돌기(36a)의 일부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연장시켜서 돌출벽(36)의 내주면 사이를 걸치도록 형성되는 브릿지부(36b)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브릿지부(36b)의 상단면을 단차부(d)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브릿지부(36b)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십자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방사 형상인 것도 좋고, 또한 일(一) 문자 형상인 것도 좋다.
또한,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벽(36)의 내주면에 종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되도록 돌출하는 고리 형상의 돌출부(36c)를 설치하여 단차부(d)를 형성하여도 좋다. 돌출부(36c)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나선 형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더욱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일부를 분단하여 간헐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좋다.
구형상체(B)의 사이즈는, 코스트를 억제하는 점에서 가능한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면 경사벽(35)과의 접촉 영역이 구형상체(B)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마개(30) 및 구형상체(B)의 차이에 따라서, 구형상체(B)가 수용 공간(S) 내로 낙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구형상체(B)의 사이즈에 맞도록 경사벽(35)의 선단측의 내경을 좁게 하면, 내용물의 통로도 좁아지게 되어, 내용물을 부드럽게 배출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예컨대,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36d)를 간헐적인 형상으로 설치하여 두면, 인접한 돌기(36d) 사이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통로가 그 정도로 좁아지지는 않으며, 구형상체(B)의 낙하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체로서 기능하는 구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액 유지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체와 경사벽의 맞닿는 면이 마르는 것에 기인하는 토출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한 이중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 이중 용기 10 : 외층체
11 : 입구부 12 : 몸통부
13 : 수나사부 20 : 내층체
21 : 상부 개구 30 : 중간 마개
31 : 통형상벽 32 : 고리 형상 벽
33 : 플랜지부 34 : 밀봉벽
35 : 경사벽 36 : 돌출벽
36a : 돌기 36b : 브릿지부
36c : 돌출부 36d : 돌기
37A, 37B : 리브(액 유지 수단) 38 : 세로 리브
39 : 볼록부 40 : 주출 마개
41 : 주출통 42 : 천벽
43 : 외주벽 44 : 암나사부
50 : 덮개체 51 : 정벽
52 : 주벽(周壁) 53 : 힌지
54 : 밀봉통 55 : 핀
B : 구형상체 M : 액 유지부
S : 수용 공간 d : 단차부 (액 유지 수단)

Claims (6)

  1.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와, 내용물의 수용 공간으로 통하는 상부 개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외층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감용 변형 자유인 내층체와, 상기 상부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통형상벽의 내측에 밸브체로 되는 구형상체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를 덮어 상기 외층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벽에 연통하는 주출통을 구비한 주출 마개를 구비한 이중 용기로서,
    상기 통형상벽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축경하여 상기 구형상체와 전체 외주에 걸쳐서 맞닿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벽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벽은, 상기 구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용물의 액 유지부를 유지하는 액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이중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 유지 수단은, 상기 돌출벽으로부터 수용 공간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1 개의 리브인, 이중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복수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 리브를 상기 통형상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이중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 유지 수단은, 상기 돌출벽의 내주면에 설치된 단차부인, 이중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돌출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고리 형상 또는 나선 형상인, 이중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돌출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인 형상인, 이중 용기.
KR1020157026761A 2013-03-29 2014-03-28 이중 용기 KR10192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4263 2013-03-29
JPJP-P-2013-074263 2013-03-29
JP2013116422A JP6125912B2 (ja) 2013-03-29 2013-05-31 二重容器
JPJP-P-2013-116422 2013-05-31
PCT/JP2014/001854 WO2014156197A1 (ja) 2013-03-29 2014-03-28 二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30A true KR20150122230A (ko) 2015-10-30
KR101925177B1 KR101925177B1 (ko) 2018-12-04

Family

ID=5162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761A KR101925177B1 (ko) 2013-03-29 2014-03-28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08155B2 (ko)
EP (1) EP2979988B1 (ko)
JP (1) JP6125912B2 (ko)
KR (1) KR101925177B1 (ko)
CN (1) CN105102338B (ko)
AU (1) AU2014245571B2 (ko)
CA (1) CA2908135C (ko)
SG (1) SG11201508048UA (ko)
WO (1) WO2014156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6466B2 (ja) * 2014-10-31 2018-08-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JP6322559B2 (ja) * 2014-11-28 2018-05-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弁体付き注出キャップ
JP6491930B2 (ja) * 2015-03-31 2019-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JP2016199273A (ja) * 2015-04-07 2016-12-01 凸版印刷株式会社 口栓及び容器
JP6416042B2 (ja) * 2015-05-29 2018-10-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容器
CN105600129B (zh) * 2016-03-30 2017-12-12 桐城市申达包装有限公司 一种带有食用钢导流管瓶盖的安装方法与瓶盖
JP6637830B2 (ja) * 2016-04-27 2020-01-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キャップ
DE202016102252U1 (de) * 2016-04-27 2017-07-28 Emsa Gmbh Trinkflaschenverschluss
JP6710462B2 (ja) * 2016-09-30 2020-06-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N110505818B (zh) * 2017-03-30 2023-05-1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小型容器
JP6906844B2 (ja) * 2017-04-28 2021-07-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7432984B2 (ja) * 2017-11-30 2024-02-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N108190224A (zh) * 2018-01-30 2018-06-22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卫生尖嘴阀盖
KR101900419B1 (ko) * 2018-02-22 2018-09-20 (주)연우 이중 용기
CN110626623A (zh) * 2018-06-21 2019-12-31 弘人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密封作用的瓶盖的结构
CN109649816B (zh) * 2018-12-29 2023-09-22 珠海经济特区美司达实业有限公司 一种稳定的倾倒式定量液体分配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834A (en) 1904-03-28 1904-11-15 James P Dawson Non-refillable bottle.
US784656A (en) 1904-07-05 1905-03-14 Charles S Wilson Non-refillable bottle.
JPS61192586A (ja) * 1985-02-21 1986-08-27 Mitsui Toatsu Chem Inc マイクロカプセル支持体
JPH067824Y2 (ja) * 1986-12-15 1994-03-02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加圧式塗布具
JP2001063746A (ja) * 1999-08-31 2001-03-13 Nihon Yamamura Glass Co Ltd 液体注出栓
CN2414999Y (zh) * 2000-02-02 2001-01-17 刘力全 一种洁净容器嘴
JP4037792B2 (ja) * 2002-09-06 2008-01-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容器の逆流防止口栓および容器ならびに注出装置
JP4357183B2 (ja) * 2003-02-14 2009-11-04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25347Y1 (ko) 2006-05-17 2006-09-06 (주)아모레퍼시픽 액상내용물의 정량 배출 용기
CN201012785Y (zh) * 2007-03-13 2008-01-30 曹伟龙 一种卡口固定的压迫出液模块
CN201086911Y (zh) * 2007-08-10 2008-07-16 曹伟龙 挤压容器自动出液模块
JP5299697B2 (ja) * 2009-09-30 2013-09-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付きブロー成形壜体
JP2013005947A (ja) 2011-06-24 2013-01-10 Nanbu Plastics Co Ltd 液体容器
JP6007824B2 (ja) * 2013-02-21 2016-10-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AU2014300355B2 (en) 2013-06-28 2016-12-15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177B1 (ko) 2018-12-04
CN105102338A (zh) 2015-11-25
WO2014156197A1 (ja) 2014-10-02
CN105102338B (zh) 2017-05-24
EP2979988A4 (en) 2016-11-16
US20160083169A1 (en) 2016-03-24
US11008155B2 (en) 2021-05-18
JP2014208542A (ja) 2014-11-06
EP2979988A1 (en) 2016-02-03
CA2908135A1 (en) 2014-10-02
EP2979988B1 (en) 2017-08-09
JP6125912B2 (ja) 2017-05-10
CA2908135C (en) 2017-10-17
AU2014245571A1 (en) 2015-10-22
AU2014245571B2 (en) 2016-11-10
SG11201508048UA (en)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177B1 (ko) 이중 용기
JP6125887B2 (ja) 二重容器
JP6211338B2 (ja) 注出容器
JP6422287B2 (ja) 注出キャップ
JP6576622B2 (ja) 注出容器
JP6637830B2 (ja) 吐出キャップ
JP6775873B2 (ja) 注出容器
US7165701B2 (en) Droplet nozzle for use in eye drop container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JP6684152B2 (ja) 定量抽出容器
JP6716341B2 (ja) 二重容器
JP2015105123A (ja) 二重容器
JP6359407B2 (ja) 吐出容器
JP6429593B2 (ja) 二重容器
JP6821262B2 (ja) 容器
JP2017149477A (ja) ディスペンサー付き薄肉容器
JP6671240B2 (ja) 液体注出容器
JP6488092B2 (ja) 吐出容器
JP6887731B2 (ja) 注出容器
JP6422404B2 (ja) 注出容器
JP6929597B2 (ja) 注出容器
JP6590759B2 (ja) 定量吐出容器
JP2020001798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9154950A (ja) アンプル容器
KR20190007810A (ko) 액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4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519

Effective date: 2018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