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605A -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605A
KR20150110605A KR1020157021956A KR20157021956A KR20150110605A KR 20150110605 A KR20150110605 A KR 20150110605A KR 1020157021956 A KR1020157021956 A KR 1020157021956A KR 20157021956 A KR20157021956 A KR 20157021956A KR 20150110605 A KR20150110605 A KR 2015011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ire
pressure
pressure sourc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975B1 (ko
Inventor
마틴 패트릭 스핀들러
바이런 피터 허텐
헨리 프리드리히 페르디난드 클렘
볼커 페이퍼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압력 공급원에 의해서 용기로부터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서, 압력 공급원 및 용기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용기가 하우징 내의 압력 공급원에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APPARATUS FOR DISPENSING TIRE SEALANT}
본 발명은 압력 공급원에 의해서 용기로부터 타이어 밀봉재(tire sealant)를 분배하기 위한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로서, 압력 공급원 및 용기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고, 많은 상이한 형태들 및 실시예들로 상업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펑크(puncture)의 경우에 결함이 있는(defective) 타이어 내로 타이어 밀봉재를 도입하기 위해서 그리고 결함이 있는 타이어를 밀봉하기 위해서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 공기가 압축기에 의해서 타이어 밀봉재를 포함하는 용기 내로 강제로 진입되고, 이어서 타이어 밀봉재가 적절한 상승 튜브(riser tube)에 의해서 밸브를 통해 결함이 있는 타이어 내로 펌핑된다. 이어서, 밸브가 절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타이어가 압축기에 의해서 가압 펌핑되게(pumped up) 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표준 기능은, 공 또는 공기 매트리스를 가압 펌핑하기 위해서 또는 공기압 모니터링을 실시하기 위해서 단순히 공기를 펌핑하는 것이다. 보수 기능에서, 밀봉재 및 공기의 도입이 단일 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종래 기술이 설계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예를 들어 DE 20 2005 017 071 Ul 또는 DE 20 2009 002 661 Ul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류의 장치를 보다 콤팩트(compact)하게 만드는 것이고 그러한 장치의 조립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용기가 하우징 내의 압력 공급원으로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1 특징은 장치를 많은 횟수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한 차례 사용되면, 이전의 종래 기술에 따라서, 압력 공급원 등과 함께 전체적으로 새로운 장치로 교체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공구가 없이도 하우징 내의 용기를 교환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실제 장치를 몇 차례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공구가 없이는 밀봉재 병을 교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교환 및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기가 이제 교환되기 때문에, 장치의 이러한 부분만이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는, 압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장치의 부분이 바람직하게 폐쇄되어 유지될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압력 공급원은, 용기를 포함하는 공간 내로 연장하는 연결 피스(piece)를 가지며, 그에 따라 연결 피스에 의해서 용기와 연관된 니플(nipple)로 용기가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연결 피스 및 니플이 밀봉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연결 피스와 니플 사이에 누출이 없도록 보장된다. 물론, 이러한 배열이 또한 반전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압력 공급원으로부터 돌출하고 용기 상의 연결 피스와 결합하는 니플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니플은 밸브의 부분이고, 그에 의해서 장치의 상이한 기능적 상태들 사이에서 후방 및 전방으로 절환될 수 있다. 제1 기능적 상태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이 용기로부터 차단되어, 압축 공기가 용기로 진입하지 않도록 또는 호스를 통해서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밸브의 제2 기능적 상태에서, 압력 공급원이 호스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그러한 호스는, 예를 들어, 차량 타이어 또는 가압 펌핑하고자 하는 다른 대상(object), 예를 들어 공기 매트리스 등으로 연장된다. 밸브가 압력 공급원을 용기에 연결할 때, 그에 따라 밀봉재가 용기로부터 호스를 통해서, 예를 들어, 차량 타이어 내로 강제될 수 있게 할 때, 제3 기능적 상태가 된다. 이는, 특히 차량 타이어를 밀봉하고자 할 때 이루어진다.
전체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용기가 또한 하우징 내로 완전히 통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은, 예를 들어 니플 및 연결 피스를 연결하기 위해서, 용기를 측부(side)로부터 하우징 내의 상응하는 공간으로 밀어 넣는 것을 방해한다. 그에 따라, 발명에 따라서, 용기가 하우징 내의 용기를 위한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어서 니플이 연결 피스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용기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제공된다. 일단 니플이 연결 피스로 연결되면, 용기가 그 용기를 위해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용기의 휴지(rest) 위치로 간주될 수 있는 공간 내로 피봇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용기 및 압력 공급원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유지 외피(shell)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압력 공급원 및 용기는 유사하게 벽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압력 공급원이 배치되는 공간이 폐쇄되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용기가 배치되는 공간이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구획 벽 내에 함몰부(recess)가 존재하고, 그러한 함몰부를 통해서 연결 피스가 용기를 포함하는 공간 내로 연장한다.
용기 및 압력 공급원이 내측 벽에 의해서 둘러 싸여져야 한다. 그에 따라, 압력 공급원 및 용기를 위한 2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부가적으로 외측 벽을 배열하는 것이 이제 제공되고, 수용 홈통(trough)이 내측 벽과 외측 벽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 홈통은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추가적인 기능적 요소, 특히 타이어 밀봉재를 위한 공급 호스나 연결 케이블 또는, 그 대신에, 전기적 연결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외측 벽이 폐쇄된 구성일 수 있으나, 또한 병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개구부, 예를 들어 창문(window)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외피를 위한 커버가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압력 공급원 위의 커버링 부분이 유지 외피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용기 위의 다른 커버링 부분이 유지 외피와의 클립 결합부(clip joint)로 진입하고, 그에 따라 그 커버링 부분이 유지 외피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커버링 부분은 또한 개구부 또는 개구를 가지며, 그러한 개구부 또는 개구를 통해서 용기를 들여다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의 내용물을 체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상의 임의 종류의 표시를 판독할 수 있다.
별도의 보호가 요구되는 본 발명의 다른 부분은 압력 공급원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압력 공급원이 압축 공기 공급원 즉, 압축기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압축기는 3개의 부분, 즉 팬 임펠러를 가지는 모터, 동력전달 구성요소, 및 압력 축적 요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압력 공급원의 모든 요소가 선형 방식으로 배열되고, 다시 말해서 모터의 출력 샤프트의 이동이 압력 축적 요소로 선형 방식으로 전달된다. 요소의 각도 오프셋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에 의해서, 압력 공급원이 전체적으로 매우 얕게(shallow) 유지되고, 그에 따라 다시 설치 공간의 감소를 유도한다. 물론, 이러한 종류의 압축기가 많은 수의 다른 타이어 밀봉재 세트에서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선형 동력전달이 형성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모터와 압력 축적 요소 사이에 베벨 기어가 위치되고, 그러한 기어의 치형부 내로 베벨 피니언이 결합된다. 이러한 베벨 피니언은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에 장착되고, 전술한 팬 임펠러는 출력 샤프트 상에서 베벨 피니언에 대향되어 배치된다.
베벨 기어는 다시 압력 축적 요소의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에 편심으로 연결되고, 커넥팅 로드는,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공지된 방식으로 압력 축적 요소 내에서 피스톤을 구동한다. 이러한 커넥팅 로드는 모터의 출력 샤프트와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에 의해서, 전체적인 압력 공급원의 선형 구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특징은 동력전달 포드(pod)의 제공으로서 간주된다. 이러한 동력전달 포드는 모터와 압력 축적 요소를 서로 연결하고, 베벨 기어, 베벨 피니언 및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동력전달 포드는 압력 축적 요소를 향해서 개방되고 측방향 홈을 가지며, 그에 따라 압력 축적 요소 상에 제공된 단부 판(end plate)을 홈 내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단순한 방식으로 압력 축적 요소가 동력전달 포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그에 의해서, 압력 축적 요소가 동력전달부에 대해서 고정되고, 그에 따라 압력 축적 요소가 커넥팅 로드의 동작 중에 동력전달부에 대해서 외부로 밀려 나거나 내부로 당겨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모터가 다른 측부로부터의 출력 샤프트로 동력전달 포드 내로 도달하고, 베벨 피니언이 동력전달 포드 내의 출력 샤프트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동력전달 포드가 분리된 부분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유지 외피 자체의 생산 중에 유지 외피의 내부에서 유지 외피 상으로 몰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장치의 동작을 위해서, 압축 공기 공급원의/압축기의 동작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담배 라이터(cigarette lighter)로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 연결기를 가지는 전기 연결부 및 결함이 있는 타이어로의 연결을 위한 밸브 연결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그리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2개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의 표면 내에 배열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응하는 연결 라인이 또한 제공되고, 다시 말해서, 한편으로 플러그 연결기와 압축기 사이의 케이블 및 다른 한편으로 밸브 연결부와 용기 사이의 호스가 하우징 내로 형성된 상응하는 도관 또는 채널 내에 배치된다.
플러그 연결기 및 밸브 연결부의 용이한 취급을 위해서, 부가적으로, 플러그 연결기 및 밸브 연결부가 삽입 후에 함몰부 내에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플러그 연결기 및 밸브 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가 또한 용이해진다.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특징 및 상세 내용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방된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용기의 삽입 중에 도 2에 따른 개방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로서의 유지 외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커버의 하나의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로서의 커버의 다른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발명에 따른 압력 공급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용기 밸브 및 연결 피스를 압력 공급원으로 결합하기 직전의, 도 1에 따른 장치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용기 밸브 및 압력 공급원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장치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장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라서,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하우징(1)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유지 외피(2) 및 커버(3)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기능적 요소가 유지 외피(2) 내의 상응하는 개구부 내에 제공된다. 기능적 요소는, 한편으로, 장치를 온 및 오프로 절환하기 위한 버튼(4), 압력 공급원에 의해서 축적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5)(이하에서 설명됨), 과다 압력을 방출하기 위한 압력 방출 버튼(6), 및 밸브 작동을 위한 회전식 손잡이(7)(이하에서 설명됨)이다.
유지 외피(2)와 커버(3) 사이에는 일주형(encircling) 슬롯(8)이 제공되고,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케이블 및, 적절한 경우에, 또한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호스가 그러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유사한 구성이 DE 20 2009 002 661에 설명되어 있다.
버튼(4), 압력계(5), 압력 방출 버튼(6) 및 회전식 손잡이(7)를 위한 상응하는 개구부(9.1 내지 9.4)와 별개로, 유지 외피(2)는, 도 4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파형인(undulating) 설계의 대략적인 일주형 외측 벽(10)을 가지고, 그러한 일주형 외측 벽은 내측 벽(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홈통(11)을 형성한다. 2개의 공간(14 및 15)이 내측 벽(12)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구획 벽(13)에 의해서 형성되고, 그러한 공간은 압축 공기 공급원(16)(도 1에 도시됨) 또는 타이어 밀봉재 용기(17)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유지 외피(2)가 커버(3)로 할당되고, 그러한 커버는, 도 5에 따라서, 용기를 위한 커버링 부분(3.1)의 역할을 하고, 도 6에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을 위한 커버링 부분(3.2)의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커버링 부분(3.1)은 큰 개구부(18)를 가지고, 그러한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된 용기(17)를 볼 수 있다. 특히, 그렇게 보는 것에 의해서, 당연히, 유효 기간 날짜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기술적 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 받침부(feet)(19.1 내지 19.3)가 내부에서 커버(3.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 외피(2) 내의 상응하는 클립 수용부(20.1 내지 20.4)와 상호작용한다(도 4 참조). 커버(3.1)가 제거될 수 있고 다시 배치될 수 있도록, 클립 받침부(19) 및 클립 수용부(20)가 가요성을 가지게끔 설계된다. 이는, 특히 용기(17)의 교환을 위한 역할을 한다.
도 6에 따라 커버링 부분(3.2)을 고정하기 위해서, 언더컷 설부(undercut tongue)(21.1 내지 21.4)가 공간(14) 내의 상응하는 기둥으로부터 돌출하여, 사용 위치에서 커버링 부분(3.2) 상에 형성된 러그(lug)(22.1 내지 22.4)와 상호 작용한다. 만약 이러한 언더컷 설부(21.1 내지 21.4)가 러그(22.2 내지 22.4) 내로 삽입된다면, 그러한 언더컷 설부가 러그 뒤쪽에 결합되고 파괴하지 않고는 개방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물론, 재개방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언더컷이 베벨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충분하도록, 언더컷 설부가 가요성을 가지게끔 설계될 수 있다.
발명에 따라서, 용기(17) 및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연결 피스(23)가 도 8 및 도 9에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으로부터 돌출하고, 그러한 연결 피스 내로 밀봉 링(25)을 가지는 니플(24)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또한 복수의 밀봉 링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니플(24)은 회전식 밸브(25)에 포함되고, 그러한 회전식 밸브는 회전식 손잡이(7)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회전식 밸브가, 예를 들어, 여기에서 참조로서 명백하게 포함되는 DE 101 06 468에 설명되어 있다.
본 경우에,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바람직하게 압축기로서 설계된다. 도 1 및 도 7에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모터(26)를 포함하고, 모터의 출력 샤프트(27)가 일 단부에서 팬 임펠러(28)를 구동한다. 타 단부에서, 베벨 피니언(29)이 출력 샤프트(27) 상에 장착되어, 베벨 기어(31)의 치형부(30)와 결합한다. 커넥팅 로드(32)가 베벨 기어(31)에 편심으로 연결되고, 베벨 기어는 압력 축적 요소(33) 내의 피스톤(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원(16)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팬 임펠러(28)를 가지는 모터(26), 특히 베벨 기어(31)가 내부에서 회전하고, 한편으로 베벨 피니언(29)이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커넥팅 로드(32)가 작용하는 동력전달부(34), 및 연결 피스(23)가 연결되는 압력 축적 요소(33)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압력계에 대한 연결부(35) 및 압력 방출 버튼(6)에 대한 연결부(36)가 추가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중요한 특징은, 조립을 위해서 동력전달 포드(37)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동력전달 포드가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유지 외피(2)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동력전달 포드는 동력전달부(34)를 대부분 둘러싸나, 압력 축적 요소(33)를 향해서 전방에서 개방되고, 2개의 상호 대면하는 수직 홈(38. 1 및 38.2)이 존재하고, 그러한 홈 내로, 압력 축적 요소(33)의 일부인 단부판(39)이 삽입된다.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발명에 따른 조립체가 다음과 같이 성취된다:
회전식 밸브(25)가 타이어 밀봉재를 위한 용기(17) 상에 미리 장착되고, 예를 들어,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또는 공기를 차량 타이어 내로 전달하기 위한 호스(40)(도 9에 도시됨)가 회전식 밸브에 또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미리 조립될 수 있으나, 동력전달 포드(37)가 유지 외피(2)의 일체형 부분인 경우에, 이는 또한, 단지 압축 공기 공급원(16)을 유지 외피 내에 설치하는 동안에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베벨 기어(31)가 동력전달 포드(37) 내로 먼저 삽입된다. 이러한 베벨 기어(31)가 스핀들(41) 주위로 회전하고, 그러한 스핀들은 동력전달 포드(37)의 기저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그 이후에, 출력 샤프트(27)가 동력전달 포드의 폐쇄된 측부로부터 동력전달 부분(34) 내로 삽입되고, 결과적으로, 동력전달 포드(37)의 내부 내로 돌출한다. 이어서, 베벨 피니언이 베벨 기어(31)의 치형부(30)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베벨 피니언(29)이 출력 샤프트(27)의 이러한 부분 상으로 장착된다. 그에 따라, 모터(26)가 팬 임펠러(28)와 함께 동력전달 포드(37) 상에 고정된다. 압력 축적 요소(33)가 그 단부판(39)과 함께 2개의 수직 홈(38. 1 및 38.2) 내로 삽입되고, 커넥팅 로드(32)가 커넥팅 로드 아이(eye)(42)에 의해서 스핀들(41) 주위에서 편심으로 회전하는 편심 핀(43) 상으로 밀린다(pushed). 그에 따라,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동작을 위해서 준비되고 유지 외피(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을 수용한 공간(14)이 커버링 부분(3.2)에 의해서 커버되고, 분지형(forked) 스트립(44)이 모터(26)와 팬 임펠러(28) 사이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의 뒤쪽에 결합된다. 이는,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공간(14) 내에서 앞뒤로 이동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목적은, 또한 구획 벽(13) 내에서 연결 피스(23)를 수용하는 전술한 함몰부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에 대한 대응 부분이 도 6에서 커버링 부분(3.2) 내에서 참조 번호 '45'로 표시되어 있다.
언더컷 설부(21.1 내지 21.4)와 러그(22.1 내지 22.4) 사이의 전술한 상호 작용에 의해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을 포함하는 공간(14)이 폐쇄되고 바람직하게 강제로만 개방될 수 있다.
이어서, 회전식 밸브(25)와 함께 용기(17)가 유지 외피(2)의 공간(15)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7)가 먼저 반드시 확실하게 기울어져야 하는데,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용기가 외측 벽(10) 또는 내측 벽(12)을 지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니플(24)이 연결 피스(23) 내로 삽입되고, 용기(17)가 도 2에 도시된 휴지 위치 내로 피봇된다. 이러한 휴지 위치에서, 용기(17)가 공간(15) 내에 수용된다.
압축 공기 공급원의 동작을 위해서, 전원으로의, 예를 들어 담배 라이터로의 연결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목적을 위한 케이블(46)이 홈통(11) 내에 배치되는 한편, 전기 연결부(47)가 회전식 밸브(25) 위에서 공간(48) 내에 수용된다.
이어서, 공간(15)이 또한 커버링 부분(3.1)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고, 클립 받침부(19.1 내지 19.3)가 클립 수용부(20.1 내지 20.4) 내로 삽입된다. 만약 장치의 전기 연결부 또는 용기(17)의 교환이 요구된다면, 커버링 부분(3.1)을 개방하고 전술한 내용과 반대의 방식으로 전기 연결부(47)를 제거하거나 용기(17)를 제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호스(40)를 홈통(11) 내에 배치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고, 상응하는 홈통 스트립(50)(도 4 참조)과 상호 작용하는 도 9에 도시된 와이어 나선체(49)는 호스(40)가 우발적으로 회전식 밸브(25)로부터 당겨질 수 없게 보장한다. 커버링 부분(3.1) 내의 홈통(11)에 대한 상응하는 대응 부분을 도시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장치가 폐쇄되어 유지될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물론, 전기 연결부(27)를 수용하기 위한 홈통(11) 내의 공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커버 부분(3.1)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회전식 밸브가 2개 또는 3개의 바람직한 위치를 갖는다. 하나의 위치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16)이 폐쇄되고, 그리고 제2 위치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이 연결 피스(23) 및 상응하는 니플(24)에 의해서 호스(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가 타이어 내로 직접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제3 위치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이 용기(17)의 내부로 연결되어, 타이어 밀봉재가 우회로를 통해서 호스(40) 내로 그리고 호스로부터 타이어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하우징(1.1)의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우징(1.1)의 경우에, 함몰부가 그 표면(51) 내에 형성되고, 그러한 함몰부는 플러그 연결기(52) 및/또는 타이어로의 연결을 위한 밸브 연결부(53)의 고정을 위한 역할을 한다. 플러그 연결기(52) 및 밸브 연결부(53) 양자 모두가, 표면(51)의 상응하는 함몰부(54 및 55) 내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변적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함몰부(54)에는, 플러그 연결기(52)를 압축 공기 공급원(16)/압축기로 연결하는 케이블(57)을 위한 도관(56)이 인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 공기 공급원/압축기가 그 동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 받는다.
함몰부(55)가 채널(58)과 인접하고, 그러한 채널 내로 호스(40)가 배치되고, 호스(40)는 밸브 연결부(53)를 용기(17)로 연결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58)이 전체 하우징(1.1) 주위로 한차례 연장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사용자가, 추가적인 보조적 도움이 없이도, 장치의 동작을 위해서 그가 어떠한 연결을 하여야 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보장하고, 그에 따라 장치의 동작이 전체적으로 크게 단순화된다.
1 : 하우징 33 : 압력 축적 요소
2 : 하우징 외피 34 : 동력전달부
3 : 커버 35 : 연결부
4 : 버튼 36 : 연결부
5 : 압력계 37 : 동력전달 포드
6 : 압력 방출 버튼 38 : 홈
7 : 회전식 손잡이 39 : 단부판
8 : 슬롯 40 : 호스
9 : 개구부 41 : 스핀들
10 : 외측 벽 42 : 커넥팅 로드 아이
11 : 홈통 43: 편심 핀
12 : 내측 벽 44 : 분지형 스트립
13 : 구획 벽 45 : 대응 부분
14 : 공간 46 : 케이블
15 : 공간 47 : 연결부
16 : 압축 공기 공급원 48 : 공간
17 : 용기 49 : 와이어 나선체
18 : 개구부 50 : 홈통 스트립
19 : 클립 받침부 51 : 표면
20 : 클립 수용부 52 : 플러그 연결기
21 : 설부 53 : 밸브 연결부
22 : 러그 54 : 함몰부
23 : 연결 피스 55 : 함몰부
24 : 니플 56 : 도관
25 : 회전식 밸브 57 : 케이블
26 : 모터 58 : 채널
27 : 출력 샤프트
28 : 팬 임펠러
29 : 베벨 피니언
30 : 치형부
31 : 베벨 기어
32 : 커넥팅 로드

Claims (30)

  1. 압력 공급원(16)에 의해서 용기(17)로부터 타이어 밀봉재(tire sealant)를 분배하기 위한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로서, 압력 공급원(16) 및 용기(17)가 하우징(1, 1.1) 내에 배치되는 것인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7)가 하우징(1, 1.1) 내의 압력 공급원(16)에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공급원(16)이 연결 피스(23)를 가지고, 상기 연결 피스 내로 용기(17)와 연관된 니플(24)이 밀봉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그 반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24)이 밸브(25)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밸브가 용기(17)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5)가 회전식 밸브, 절환기, 또는 팁핑(tipping) 밸브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7)가 압력 공급원(16)에 형상결합식으로(positively)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이, 용기(17) 및 압력 공급원(16)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유지 외피(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7) 및 압력 공급원(16)이 벽(13)에 의해서 유지 외피(2) 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공급원(16)으로부터 돌출하는 연결 피스(23)가 벽(13) 내의 함몰부(45)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외피(2)가 내측 벽(12)을 가지며, 상기 내측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17) 및 압력 공급원(16)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벽(12)이 외측 벽(1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수용 홈통(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외피(2)가 커버(3)에 의해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가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나의 부분(3.1)이 압력 공급원(16)을 커버하고, 다른 부분(3.2)이 용기(17)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 또는 커버링 부분(3.1, 3.2)이 유지 외피(2)와의 클립 결합부(19.1 내지 19.3, 20.1 내지 20.4) 내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7)와 연관된 커버링 부분(3.1)이 상기 용기(17) 위의 개구(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 밀봉재를 분배하기 위한 호스(40) 및/또는 압력 공급원(16)을 동작시키기 위한 케이블(46)이 삽입되는 슬롯(8)이, 바람직하게 유지 외피(2)와 커버(3) 사이에서, 하우징(1)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외피(2)가 전기 연결 요소(47)를 수용하기 위한 격실(4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18. 특히 대상을, 특히 차량 타이어를 가압 펌핑하고, 적절한 경우에, 밀봉재 액체를 상기 차량 타이어 내로 분배하기 위한 압력 생성 장치, 특히 압축기로서, 동력전달부(34)에 의해서 모터(26)에 연결되는 압력 축적 요소(33)를 갖는 것인 압력 생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34)가 선형 방식으로 모터(26)를 압력 축적 요소(33)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34)가 베벨 기어(31)를 구비하고, 상기 베벨 기어 내로 모터(26)의 샤프트(27) 상에 장착되는 베벨 피니언(29)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기어(31)가 압력 축적 요소(33)의 커넥팅 로드(32)에 편심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32)가 압력 축적 요소(33) 내의 피스톤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팬 임펠러(28)가 모터(26)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34)가 동력전달 포드(37)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포드(37)가 압력 축적 요소(33)를 향해서 개방되고 2개의 측방향 홈(38.1, 38.2)을 구비하며, 상기 측방향 홈 내로 압력 축적 요소(33)의 단부 벽(39)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포드(37)가 하우징(1)의 부분, 특히 유지 외피(2)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7.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연결기(52) 및/또는 밸브 연결부(53)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54, 55)가 하우징(1.1)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기(52) 및/또는 밸브 연결부(53)가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변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54, 55)에 도관(56) 및/또는 채널(58)이 인접하고, 상기 도관(56) 및/또는 채널(58)이 하우징 내로 형성되고, 상기 도관(56) 및/또는 채널(58) 중 하나는 케이블(57)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호스(4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54, 55)가 하우징(1.1)의 표면(51)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KR1020157021956A 2013-01-25 2014-01-27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KR102222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0738 2013-01-25
DE102013100738.4 2013-01-25
US13/837,857 US9302654B2 (en) 2013-01-25 2013-03-15 Device for dispensing tire sealant
US13/837,857 2013-03-15
DE102014100815.4A DE102014100815A1 (de) 2013-01-25 2014-01-24 Vorrichung zum Ausbringen von Reifendichtmittel
DE102014100815.4 2014-01-24
PCT/US2014/013221 WO2014117098A2 (en) 2013-01-25 2014-01-27 Apparatus for dispensing tire sea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605A true KR20150110605A (ko) 2015-10-02
KR102222975B1 KR102222975B1 (ko) 2021-03-03

Family

ID=5116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956A KR102222975B1 (ko) 2013-01-25 2014-01-27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302654B2 (ko)
EP (2) EP3090864B1 (ko)
JP (1) JP6517701B2 (ko)
KR (1) KR102222975B1 (ko)
CN (2) CN109849382B (ko)
BR (1) BR212015017654Y1 (ko)
DE (1) DE102014100815A1 (ko)
WO (1) WO20141170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2654B2 (en) * 2013-01-25 2016-04-05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 for dispensing tire sealant
US9902375B2 (en) * 2014-01-13 2018-02-27 Wai Kan Wong Device used for pressing air and/or tire sealant into a tire and a compression part
WO2015112267A1 (en) * 2014-01-24 2015-07-30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GB2523608B (en) * 2014-07-18 2018-09-05 Holt Lloyd International Ltd Product delivery device including an in-line pressure gauge
TWI583572B (zh) * 2014-11-18 2017-05-21 周文三 汽車破損輪胎之急救裝置
TWM498680U (zh) * 2014-11-20 2015-04-11 ming-xian Wang 具充氣及補胎之空壓機
DE102014117159A1 (de) 2014-11-24 2016-05-25 Illinois Tool Works, Inc. Druckanzeigevorrichtung für ein Pannenhilfe-Reifenreparaturset für Kraftfahrzeuge
US20170350476A1 (en) * 2015-02-24 2017-12-07 Illinois Tool Works Inc. Compressor for discharging a medium
CN108349341B (zh) 2015-10-12 2020-05-05 精联科技有限公司 瓶盖及其使用方法
DE102015117954A1 (de) 2015-10-21 2017-04-27 Illinois Tool Work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s Mittels zum Abdichten eines aufblasbaren Gegenstandes
DE102015119917A1 (de) * 2015-11-18 2017-05-18 Illinois Tool Work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s Mittels zum Abdichten eines aufblasbaren Gegenstandes
MY190076A (en) 2016-02-17 2022-03-24 Trydel Res Pty Ltd Improved apparatus for sealing and inflation of damaged inflatable articles, such as punctured tires
JP1572080S (ko) * 2016-10-03 2017-03-21
US10138046B2 (en) * 2017-03-22 2018-11-27 Shin Hung Yih Technology Co., Ltd. Negative pressure storage container
JP6880903B2 (ja) * 2017-03-27 2021-06-02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の有効期限通知装置及び方法
JP7140467B2 (ja) * 2017-03-27 2022-09-21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の有効期限通知方法
US10933844B2 (en) 2018-06-21 2021-03-02 Illinois Tool Works Inc. Vehicle tire inflation compressor for powered data ports
DE102019205091A1 (de) * 2019-04-09 2020-10-1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annenhilfesystem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Kraftfahrzeugluftreifen
US11608826B2 (en) * 2019-06-17 2023-03-21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ire repair
WO2022115768A1 (en) 2020-11-30 2022-06-02 Illinois Tool Works Inc. Vehicle tire inflation compressor for powered data ports
USD956826S1 (en) * 2021-06-30 2022-07-05 Illinois Tool Works Inc. Flat tire repair kit
US11794426B2 (en) 2021-06-30 2023-10-24 Illinois Tool Works Inc. Flat tire repair device
DE102022100812A1 (de) 2022-01-14 2023-07-20 Illinois Tool Works Inc. Kompressoranordn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bedarfsweisen aufblasen und/oder reparieren von aufblasbaren artikeln oder erzeugnissen
WO2023229852A1 (en) 2022-05-24 2023-11-30 Illinois Tool Works Inc. Vehicle tire inflation compressor for powered data por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6851A1 (en) * 2001-02-16 2003-03-27 Eriksen Steen Mandsfelt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an inflatable object
WO2007048453A1 (de) * 2005-10-28 2007-05-03 Michael Stehle Einfüllsystem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reifen
JP2007130779A (ja) * 2005-11-08 2007-05-31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9226891A (ja) * 2008-03-25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一体型パンク修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9539A (en) * 1947-12-30 1953-02-24 Payswell Products Corp Motor-driven compressor unit
US4874296A (en) * 1985-11-08 1989-10-17 Moynihan Patrick B Compressor attachment for portable drill
ES2076591T3 (es) * 1991-04-03 1995-11-01 Jankovic Milan Dispositivo de aspiracion para crear un vacio en recipientes.
DK168644B1 (da) * 1993-03-09 1994-05-09 Peter Egelund Soerensen B rbar, batteridrevet luftpumpe
US5806575A (en) * 1997-04-11 1998-09-15 Tsay; Shiu Chu Vacuum extractor of a vacuum container
JPH11294329A (ja) * 1998-04-14 1999-10-26 Denso Corp エアコンプレッサ
DE10106468B4 (de) 2001-02-13 2012-11-22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Reifendichtmittel
US6789581B2 (en) * 2002-10-31 2004-09-14 Interdynamics, Inc. Apparatus for sealing, inflating, and repairing tires
US20040115073A1 (en) * 2002-12-17 2004-06-17 Yi-Hsien Lin Air pump with electric motor
ITTO20040117A1 (it) * 2004-02-27 2004-05-27 Tek Srl Kit per il gonfiaggio e la riparazione di articoli gonfiabili, in particolare pneumatici
CN2701713Y (zh) * 2004-04-08 2005-05-25 周文三 小型简易空气充填装置
JP4392292B2 (ja) * 2004-06-01 2009-1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小型簡易コンプレッサ装置
US7127875B2 (en) * 2004-10-19 2006-10-31 Intelli Innovations Ltd. Portable vacuum device
JP4673134B2 (ja) * 2005-06-02 2011-04-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剤の保管・注入容器
JP2007132294A (ja) * 2005-11-11 2007-05-31 Bridgestone Corp 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7168418A (ja) * 2005-11-28 2007-07-05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EP1894707A1 (en) 2006-09-04 2008-03-05 Active Tools A/S Repair kit for inflatable articles
US7798183B2 (en) * 2006-10-26 2010-09-21 Illinois Tool Works Inc. Integrated compressor-tire sealant injection device with large mouth sealant container
JP5376754B2 (ja) * 2006-12-21 2013-1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装置
US8146622B2 (en) * 2007-08-20 2012-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witch and hose-valve connection arrangement for vehicle temporary mobility kit
CN201193020Y (zh) * 2008-02-03 2009-02-11 王艳召 摩托车车载充气装置
WO2009119317A1 (ja) * 2008-03-25 2009-10-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JP4369981B2 (ja) * 2008-04-30 2009-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装置
BRPI0907655A2 (pt) * 2008-05-01 2015-07-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ector condutor extensível
JP5215748B2 (ja) * 2008-06-19 2013-06-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容器外れ防止構造、及び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DE102008033477B4 (de) 2008-07-16 2019-02-2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JP2010036412A (ja) * 2008-08-04 2010-02-18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DE102008057827B4 (de) 2008-11-18 2016-05-19 Wen-San Jhou Luftkompressor- und Reifenreparaturkombination
BRPI1006045A2 (pt) * 2009-01-07 2018-04-24 Trydel Res Pty Ltd aparelho para conserto e inflação de artigos inflaveis danificados.
DE202009002661U1 (de) 2009-02-26 2009-08-20 Doukas Ag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s fliessfähigen Mediums
DE102009060272B4 (de) * 2009-12-23 2022-11-1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US8297321B2 (en) * 2010-07-02 2012-10-3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TWI531721B (zh) * 2011-01-25 2016-05-01 周文三 空氣壓縮機
TWI482908B (zh) * 2011-03-07 2015-05-0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DE202012101110U1 (de) * 2012-03-28 2012-04-2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annenset für Kraftfahrzeuge
US9302654B2 (en) * 2013-01-25 2016-04-05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 for dispensing tire seala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6851A1 (en) * 2001-02-16 2003-03-27 Eriksen Steen Mandsfelt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an inflatable object
JP2004518560A (ja) * 2001-02-16 2004-06-24 コンチネンタル アーゲー 膨張物をシールし膨張させる装置
WO2007048453A1 (de) * 2005-10-28 2007-05-03 Michael Stehle Einfüllsystem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reifen
JP2007130779A (ja) * 2005-11-08 2007-05-31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9226891A (ja) * 2008-03-25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一体型パンク修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212015017654U2 (pt) 2017-10-31
WO2014117098A3 (en) 2014-11-06
DE102014100815A1 (de) 2014-07-31
WO2014117098A2 (en) 2014-07-31
CN109849382A (zh) 2019-06-07
CN109849382B (zh) 2021-12-03
US9302654B2 (en) 2016-04-05
KR102222975B1 (ko) 2021-03-03
JP6517701B2 (ja) 2019-05-22
EP2948296A2 (en) 2015-12-02
EP3090864B1 (en) 2022-05-11
US20160176129A1 (en) 2016-06-23
JP2016510269A (ja) 2016-04-07
CN105102207A (zh) 2015-11-25
BR212015017654Y1 (pt) 2020-10-13
CN105102207B (zh) 2018-10-26
EP2948296B1 (en) 2021-05-26
EP3090864A1 (en) 2016-11-09
US9914271B2 (en) 2018-03-13
US20140209207A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0605A (ko) 타이어 밀봉재 분배 장치
CN101437669B (zh) 用于可充气物品的修复和充气且具有选择阀的自动装备
EP2618993B1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air and/or sealant into a tire
US20100158759A1 (en) Device For The Transfer Of A Medium
US20060086403A1 (en) Sealing device
US9415751B2 (en) Integrated flat tire repair kit
PL1660377T3 (pl) Urządzenie dozujące z korkiem zamykającym i pierścieniem blokującym z bagnetowymi środkami połączeniowymi
WO2009146939A3 (de)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WO2015112267A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CN204278561U (zh) 能够充气及补胎的空压机
US20190389435A1 (en) Vehicle tire inflation compressor for powered data ports
KR20140021562A (ko) 중앙 윤활장치를 재충전하는 구성체
US20210078546A1 (en) Vehicle tire inflation compressor for powered data ports
CN105378875B (zh) 有载分接开关、用于将有载转换器插入件安装在有载分接开关中的方法和煤油排出螺塞
JP2008183796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210760704U (zh) 可多次填充补胎液的充气补胎一体机
JP2010184354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102264601A (zh) 用于在容器中形成真空以保存真空包装产品的设备
CN103767711A (zh) 用于具有电气接头的连接器的密封盖
KR20180124107A (ko) 펑크 수리 키트
CN101396950A (zh) 密封流体容器组件及具有该容器组件的设备
JP2019509088A (ja) 粉体チャンバ及び粉体チャンバのためのステーション
JP2010240958A (ja) シーリング剤注入装置
WO2014200331A1 (en) Syringe pair assembly for biological fl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