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629A -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629A
KR20150100629A KR1020157012145A KR20157012145A KR20150100629A KR 20150100629 A KR20150100629 A KR 20150100629A KR 1020157012145 A KR1020157012145 A KR 1020157012145A KR 20157012145 A KR20157012145 A KR 20157012145A KR 20150100629 A KR20150100629 A KR 2015010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tirring
flow
scree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에노무라
Original Assignee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4Mixers in which the components are pressed through sl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40Mixers with rotor-rotor system, e.g. with intermeshing teeth
    • B01F7/163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 B01F27/81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with the inflow from one side only, e.g. stirr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or used as a bottom discharge pump
    • B01F27/811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with the inflow from one side only, e.g. stirr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or used as a bottom discharge pump the stirrers co-operating with stationary guiding elements, e.g. surrounding stators or intermeshing s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two or more stirrers rotating at different speeds or in opposite directions about the same axis
    • B01F7/0085
    • B01F7/1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성상에 상관없이 양호한 유체의 처리를 실현하는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의 제공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을 구비한 교반실(18)을 구비하고, 교반실(18)이 처리를 예정하는 유체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린(23)과 교반날개(22)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처리를 행하는 교반 처리 장치이다. 교반실(18)은 유체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24)와 유체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25)를 상하에 구비한다. 흡입구(24)와 토출구(25)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억제체(31)를 설치한다. 억제체(31)는, 예를 들면 통형상을 이룸으로써 흡입류(26)와 토출류(27)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의 간섭을 억제한다.

Description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STIR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특히 교반실을 유체 중에 침지해서 동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교반실을 유체 중에 침지해서 동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처리 장치에 관해서 특허문헌 1, 2의 교반 처리 장치를 개발했다.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이, 이 장치를 이용하여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 교반 처리 장치는 처리를 예정하는 유체 내에 배치되는 교반실과, 상기 교반실 내에 배치된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실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상기 회전날개의 축 방향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개가 교반실의 내부에서 고속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특히, 스크린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날개와의 사이에서 상기 유체로의 상기 전단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에 대하여 유화, 분산 또는 혼합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설계자가 예정하는 처리 능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 원인을 본 발명자가 검토한 바,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인 흡입류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한 상기 유체의 흐름인 토출류가 서로 간섭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상기 흡입구로의 상기 흡입류의 흐름이 저해되어, 교반실 내로 충분한 양의 유체가 도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히, 점도가 높은 유체에 있어서는 이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흡인구의 주변에 공동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있어서는 유체의 교반실로의 도입 방향과 교반날개의 회전축이 이루는 각과, 교반실로부터의 배출 방향과 교반날개의 회전축이 이루는 각의 차가 ±25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각도를 변경했을 경우, 유체의 점도에 상관없이 흡입류와 토출류가 간섭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4-1147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4-11472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23236호 공보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유체의 성상에 상관없이 양호한 유체의 처리를 실현하는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속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스크린을 구비한 교반실을 구비하고, 상기 교반실이 처리를 예정하는 유체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가 상대적 회전을 해서 상기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처리를 행하는 교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실은 상기 유체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상대적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억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체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인 흡입류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된 상기 유체의 흐름인 토출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흡입류와 상기 토출류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억제체는 그 선단측이 상기 교반실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억제체는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것인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억제체를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인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억제체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선단측은 상기 흡입구를 초과하여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것인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가이딩하기 위한 도입핀을 구비하고,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억제체의 선단측의 단부가 상기 흡입구에 가장 가까운 상기 도입핀의 단부보다 상기 흡입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실과, 상기 교반실 내에 배치된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실은 흡입구와 토출구를 상기 교반날개의 축 방향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함과 아울러, 복수의 슬릿을 갖는 스크린을 구비한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유체의 교반을 행하는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반실을 유체 내에 배치하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회전시켜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에 상대적 회전을 행하게 하는 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상기 교반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상기 유체를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이동 공정과, 상기 유체 이동 공정 중의 상기 상대적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날개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서 상기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전단 처리 공정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인 흡입류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된 상기 유체의 흐름인 토출류 사이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억제체를 배치하여 상기 흡입류와 상기 토출류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반 장치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가이딩하기 위한 도입핀을 구비하고, 상기 억제체에 의해 상기 도입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유체의 도입류를 상기 흡입구에 안내시키는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가 토너의 원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성상에 상관없이 양호한 유체의 처리를 실현하는 교반 처리 장치 및 교반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교반 처리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A)는 동 교반 처리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B)는 동 B-B선 단면에 있어서의 구동 설명도이다.
도 3(A)는 동 교반 처리 장치의 분해 설명도이고, (B)는 동 단면에 있어서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4(A)는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교반 처리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고, (B)는 동 교반 처리 장치의 억제체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C)는 동 교반 처리 장치의 억제체의 또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교반 처리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교반 처리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원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교반 처리 장치는 처리를 예정하는 유체를 수납한 처리조(11) 내에 교반실(18)이 배치되어 유체의 교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처리조(11)는 개구된 상단에 뚜껑(12)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좌우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에만 그치고,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교반실(18)은 이 예에서는 상부에 흡입실(19)을 구비하고, 하부에 전단실(20)을 구비한다. 양자 간은 격벽(21)에 의해 구획되어 있지만, 격벽(21)의 중앙에는 개구를 갖고 있고, 흡입실(19)과 전단실(20) 사이는 충분히 유체의 도통이 가능하다. 또한, 격벽(21)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흡입실(19)과 전단실(20)을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고 실시할 수도 있다.
흡입실(19)에는 적어도 1개의 흡입구(24)를 구비하고, 전단실(20)에는 적어도 1개의 토출구(25)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전단실(20)의 외벽이 스크린(2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스크린(23)에 설치된 슬릿이 상기 토출구(25)를 구성하지만, 스크린(23)의 외측에 별개의 벽부재를 설치하고, 이 벽부재에 토출구(25)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교반실(18)은 그 내부, 특히 이 예에서는 전단실(20)의 내부에 고속 회전하는 교반날개(22)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 교반날개(22)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린(23) 사이에서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이 가해진다(도 2(B) 참조). 이것에 의해,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 내벽의 상대적인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교반날개(22) 자신의 회전수를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한도까지 높인 후에도 스크린(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 내벽의 상대적인 회전수를 많게 하여, 전단 강도, 에너지량, 통과 횟수, 나아가서는 처리 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회전 구동계에 관하여 설명하여 두면, 교반날개(22)는 제 1 축(13)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며, 스크린(23)은 제 2 축(14)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축(13)과 제 2 축(14)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이다. 제 2 축(14)은 중공 통형상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제 2 축(14)의 내부로 제 1 축(13)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 1 축(13)과 제 2 축(14)은 뚜껑(12)의 상부에 설치된 전동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한다. 양자의 회전수는 인버터 등에 의해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회전수는 유체의 전단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제 2 축(14)의 하단에는 상기 교반실(18)이 설치되어 있고, 흡입실(19), 전단실(20), 스크린(23)이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도 1,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축(14)에 있어서의 교반실(18)보다 상방의 부분에는 도입핀(16)을 설치해서 실시할 수 있지만,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입핀(16)을 설치하지 않고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도입핀(16)은 제 2 축(14)의 외주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제 2 축(14)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처리조(11)의 상방의 유체를 하방으로 보내는 유도류(28)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 예에서는 순환핀(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순환핀(17)은 도입핀(16)의 외측에 설치된 것이며, 제 2 축(14), 도입핀(16)과 함께 회전한다. 이 순환핀(17)은 도입핀(16)과는 역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신장되는 것이고, 처리조(11) 내의 유체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보내는 순환류(29)를 발생시킨다. 이들 유도류(28)와 순환류(29)에 의해서 처리조(11) 내의 유체는 상하로 순환을 반복하고, 그 반복 중에서 교반실(18)에 의한 상기 전단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다.
이 전단 처리에 있어서는 교반날개(22)가 스크린(23)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유체가 흡입구(24)로부터 교반실(18) 내로 흡입됨(흡입류(26))과 아울러, 토출구(25)로부터 교반실(18)의 외측으로 토출된다(토출류(27)). 흡입구(24)로부터 내부로 들어간 흡입류(26)는 일단 흡입실(19)로 들어가서 격벽(21)의 중앙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하방의 전단실(20) 내로 흡인된다. 전단실(20) 내에서는 상술한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 사이에서 전단 처리가 행해지고, 처리가 완료된 유체가 토출구(25)로부터 토출되는 것이다.
이상의 작용은 선행 기술문헌 1∼3에 있어서의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고, 이들 선행 기술문헌을 포함하는 종래의 이 종류의 교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의 변경을 가해서 본 발명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에 있어서, 전단 처리 전후의 흡입류(26)와 토출류(27)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에 배치된 흡입구(24)와, 이것과 회전축 방향(이하, 간단히 회전축 방향이라고 할 때에는 제 1 축(13)의 회전축 방향을 의미함)에 이웃하는 하방에 토출구(25)의 사이에 억제체(31)를 형성한다. 이 예에 있어서의 억제체(31)는 상방에 선단 개구(34)를 갖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기단측(32)이 흡입구(24)와 토출구(25) 사이의 교반실(18)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측(33)이 교반실(1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방향을 향함에 따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의 토출구(25)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의 억제체(31)는 상방의 선단측(33)을 향함에 따라서 지름이 커지는 대략 역원추대 형상의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억제체(31)의 선단측(33)은 상기 흡입구를 초과하여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도입핀(16)은 제 2 축(14)의 주변으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나선형상으로 신장되어 있고, 그 선단(하단)은 흡입구(24) 부근으로까지 도달하여 있다. 그 결과, 도입핀(16)의 하단측은 통형상의 억제체(31)의 선단 개구(34)로부터 억제체(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억제체(31)의 선단측(33)의 단부(상단)는 도입핀(16)의 선단측(하단측)의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도입핀(16)에 의한 유도류(28)는 통형상의 억제체(31) 내로 도입되어 토출류(27)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일 없이 원활하게 흡입구(24) 내로 흡입된다. 그 때문에, 유체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 있어서도, 유체는 양호한 흡입류(26)가 되어 흡입구(24)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전단 처리가 양호하게 계속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억제체(31)는 교반실(18)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지만, 회전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억제체(31)의 형상을 원형으로 함으로써 그 회전이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부여하는 영향이 거의 없지만, 단면을 다각형상 등의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해서 실시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억제체(31)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교반 처리 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나 작용은 동일하여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설명이 없는 점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4(A)는 억제체(31)의 상단의 선단 개구(34)가 흡입구(24)의 상단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에서 그친 것이며, 억제체(31)는 흡입류(26)를 토출류(27)로부터의 간섭을 피하면서 흡입구(24)로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억제체(31)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복수의 억제체(31)로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억제체(31)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기단측(32)으로부터 선단측(33)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토출구(25)의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해서 실시할 수도 있지만, 회전축 방향으로는 변화가 없는 평판상의 것으로 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4(C) 참조).
도 5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 있어서는 통형상의 억제체(31)의 외측에 보조날개(35)를 설치한 예이다. 이 보조날개(35)는 억제체(3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처리조(11) 내부(특히, 저부 부근)의 유체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반하는 작용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 보조날개(35)는 1매이어도 실시할 수 있지만, 복수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의 예에서는 교반 처리 장치는 처리조(11)의 유체 중에 침지된 상태 그대로에서 그 전체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이 도 5의 예에서는 교반 처리 장치가 처리조(11) 내를 이동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축(13) 및 제 2 축(14)과 그 구동 수단을 처리조(11)의 상방의 회전체(36)에 탑재하고, 이 회전체(36)를 제 3 축(15)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처리조(11) 내를 주회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더욱 또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 있어서는 스크린(23)을 회전시키는 제 2 축(14)의 회전 구동 수단을 처리조(11)의 저부에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제 2 축(14)을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관통시켜서, 하방으로부터 스크린(23)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것이다. 한편, 교반날개(22)를 회전시키는 제 1 축(13)은 앞선 예와 같이 처리조(11)의 상방으로 신장하여 상방에 설치된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시켜진다. 그때, 흡입구(24)를 구비한 흡입실(19)은 회전되지 않고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그친다. 따라서, 억제체(31)를 흡입실(19)측에 고정했을 경우에는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고, 스크린(23)측에 고정했을 경우에는 회전하는 것으로 해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각종으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예에서는 흡입구(24)와 토출구(25)의 각도를 흡입구(24)에 대해서는 상향으로, 토출구(25)에 대해서 하향으로 각각 경사시켜서 설치함으로써, 흡입류(26)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도입되고, 토출류(27)는 억제체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각도는 각종으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자를 대략 수평(회전축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실시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억제체(31)를 흡입구(24)와 토출구(25)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흡입류(26)와 토출류(27)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억제체(31)를 교반실(18)에 지지시켰지만, 제 2 축(14)에 지지시킬 수도 있고, 처리조(11)나 뚜껑(12)에 지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지만, 양자 중 어느 한쪽만을 회전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교반날개(22)와 스크린(23)에 상대적 회전을 행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 유체에 전단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처리의 대상이 되는 유체는 토너 입자 등의 합성 수지나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이외에,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액체, 유분과 수분 등의 2종의 유체 등등, 유화, 분산 또는 혼합 처리가 필요한 각종의 유체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다.
11: 처리조 13: 제 1 축
14: 제 2 축 15: 제 3 축
16: 도입핀 17: 순환핀
18: 교반실 19: 흡입실
20: 전단실 22: 교반날개
23: 스크린 24: 흡입구
25: 토출구 26: 흡입류
27: 토출류 28: 유도류
29: 순환류 31: 억제체
32: 기단측 33: 선단측
35: 보조날개

Claims (9)

  1. 고속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스크린을 구비한 교반실을 구비하고,
    상기 교반실이 처리를 예정하는 유체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가 상대적 회전을 행해서 상기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처리를 행하는 교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실은 상기 유체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상대적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억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체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인 흡입류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된 상기 유체의 흐름인 토출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흡입류와 상기 토출류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체는 그 선단측이 상기 교반실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체는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체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체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선단측은 상기 흡입구를 초과하여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가이딩하기 위한 도입핀을 구비하고,
    상기 상대적 회전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억제체의 선단측의 단부는 상기 흡입구에 가장 가까운 상기 도입핀의 단부보다 상기 흡입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장치.
  7. 교반실과, 상기 교반실 내에 배치된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실은 흡입구와 토출구를 상기 교반날개의 축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함과 함께, 복수의 슬릿을 갖는 스크린을 구비한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유체의 교반을 행하는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반실을 유체 내에 배치하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회전시켜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교반날개에 상대적 회전을 행하게 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상기 교반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상기 유체를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이동 공정과,
    상기 유체 이동 공정 중의 상기 상대적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날개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서 상기 유체에 대하여 전단력을 가하는 전단 처리 공정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인 흡입류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토출된 상기 유체의 흐름인 토출류 사이에 상기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억제체를 배치하여 상기 흡입류와 상기 토출류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장치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가이딩하기 위한 도입핀을 구비하고,
    상기 억제체에 의해 상기 도입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유체의 도입류를 상기 흡입구로 안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토너의 원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처리 방법.
KR1020157012145A 2012-12-25 2012-12-25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501006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3502 WO2014102906A1 (ja) 2012-12-25 2012-12-25 攪拌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629A true KR20150100629A (ko) 2015-09-02

Family

ID=5102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145A KR20150100629A (ko) 2012-12-25 2012-12-25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25503B2 (ko)
EP (1) EP2939734B1 (ko)
JP (1) JP6207091B2 (ko)
KR (1) KR20150100629A (ko)
CN (1) CN104853836B (ko)
WO (1) WO2014102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1600C2 (nl) * 2013-10-11 2015-04-14 Pharmafilter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malen van afval.
JPWO2016152895A1 (ja) * 2015-03-24 2018-01-18 エム・テクニック株式会社 攪拌機
KR102302526B1 (ko) * 2016-03-23 2021-09-14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반응 장치, 그리고 수지 입자, 도전성 입자, 이방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06268410A (zh) * 2016-08-17 2017-01-04 福建农林大学 一种混匀器
KR102277767B1 (ko) * 2017-09-07 202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응기
DE202018102804U1 (de) * 2018-05-18 2019-08-22 Symex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omogenisieren fließfähiger Stoffe
EP3957393A4 (en) * 2019-04-15 2023-07-19 M. Technique Co., Ltd. STIRRER
CN110917917A (zh) * 2019-12-13 2020-03-27 武汉工程大学 一种印刷用原料筛选搅拌装置
CN114097856B (zh) * 2021-11-26 2023-07-18 厚德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冷冻芝士蛋饼的制备方法及其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5897A (en) * 1953-06-22 1959-03-03 Booth Lionel Earl Flotation machine
US3393802A (en) * 1964-02-03 1968-07-23 Denver Equip Co Aerating assembly for froth flotation cells
DE2702183A1 (de) * 1977-01-20 1978-07-27 Ystral Gmbh Maschinenbau Und P Misch- und dispergiervorrichtung
FR2466271A1 (fr) * 1979-10-05 1981-04-10 Trailigaz Dispositif pour melanger deux fluides, notamment de l'air ozone avec de l'eau
US4570863A (en) * 1983-01-10 1986-02-18 C. Arthur Knox Wet grinding machine
JPS6090052A (ja) * 1983-10-24 1985-05-21 特殊機化工業株式会社 循環式微粒化分散装置
DE3517655A1 (de) * 1985-05-15 1986-11-20 Ystral Gmbh Maschinenbau Und Processtechnik, 7801 Ballrechten-Dottingen Vorrichtung zum mischen und dispergieren mindestens zweier medien
US4813617A (en) * 1988-06-17 1989-03-21 Knox Jr Arthur C Wet grinding machine
JP2813674B2 (ja) * 1990-09-01 1998-10-22 エム・テクニック株式会社 撹拌機及び流体の撹拌方法
JP2813673B2 (ja) 1990-09-01 1998-10-22 エム・テクニック株式会社 攪拌機
US5522553A (en) * 1994-09-29 1996-06-04 Kady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suspensions of finely divided matter
CA2201224C (en) * 1997-03-27 2004-12-07 Annette Lynn Burke Dual shear mixing element
BR9810310A (pt) * 1997-06-24 2000-09-19 Kady International Moinho de dispersão, equipamento para produzir suspensões lìquidas de material finamente dividido, e, processos para retirada de água de uma corrente de lama e para a produção de extratos
US6412714B1 (en) * 1999-08-16 2002-07-02 Anthony Witsken Apparatus for mixing, grinding, dispersing or emulsifying
JP4521953B2 (ja) * 2000-09-13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の製造方法
FR2823743B1 (fr) * 2001-04-19 2004-03-12 Alain Boulant Dispositif pour brasser et aerer un liquide dans une cuve de traitement
JP4174000B2 (ja) * 2003-02-27 2008-10-29 株式会社荒木鉄工 分散装置
JP4455361B2 (ja) * 2005-02-14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の製造方法
JP4713321B2 (ja) * 2005-12-02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の製造方法
FR2929133B1 (fr) 2008-03-31 2010-12-10 Vmi Dispositif de melange comprenant un conduit d'amenee de particules debouchant dans la zone de turbulences
JP5146661B2 (ja) * 2008-05-08 2013-02-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の製造方法及びトナー
JP5479063B2 (ja) 2009-12-10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2906A1 (ja) 2014-07-03
EP2939734B1 (en) 2024-04-03
EP2939734C0 (en) 2024-04-03
CN104853836B (zh) 2018-01-12
EP2939734A4 (en) 2016-08-24
US20150328602A1 (en) 2015-11-19
JPWO2014102906A1 (ja) 2017-01-12
EP2939734A1 (en) 2015-11-04
US9925503B2 (en) 2018-03-27
CN104853836A (zh) 2015-08-19
JP6207091B2 (ja)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629A (ko) 교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954110B1 (ko) 교반기
JP7212965B2 (ja) 攪拌機
US20170326516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roved mixing
JP7049793B2 (ja) 微粒化装置
JP6069707B2 (ja) 流体処理装置及び流体処理方法
US6986829B2 (en) Process and container for stacking high-consistency stock
JP4674174B2 (ja) 円錐型リボン混合処理装置
KR20110021990A (ko)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JP2016087590A (ja) 攪拌装置
WO2014189479A1 (ru) Гидроударный кавитационный реактор
CN210495966U (zh) 一种乳化剪切机
JP5597315B1 (ja) 攪拌装置
KR101630191B1 (ko)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KR101195892B1 (ko) 주 회전유동 방향에 평행한 배플을 이용한 교반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능력이 향상된 교반기
JPWO2020213184A1 (ja) 攪拌機
RU2527237C1 (ru) Планетарный лопастной смеситель
KR20210142653A (ko) 미세화 장치가 부착된 진공 탈기기
EP3192582B1 (de) Werkzeug für eine mischvorrichtung und mischvorrichtung mit dem werkzeug und verwendung des werkzeug
RU2565692C1 (ru) Аппарат для перемешивания суспензий и растворов
JP2014140833A (ja) 曝気撹拌装置及び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JP5702598B2 (ja) 攪拌用回転体および攪拌装置
JP2010247112A (ja) 攪拌機
JP2003154250A (ja) 竪型撹拌装置
JP2008200593A (ja) 有機物の撹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