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191B1 -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191B1
KR101630191B1 KR1020140190826A KR20140190826A KR101630191B1 KR 101630191 B1 KR101630191 B1 KR 101630191B1 KR 1020140190826 A KR1020140190826 A KR 1020140190826A KR 20140190826 A KR20140190826 A KR 20140190826A KR 101630191 B1 KR101630191 B1 KR 10163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tator
rotor
cylindrical por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보테크
Priority to KR102014019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7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 B01F27/271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rad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 B01F27/2714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rad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tator and the rotor, gap in between or gap with the wall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7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 B01F27/272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ax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e.g. the stator rotor system formed by conical or cylindrical surfaces
    • B01F27/2724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ax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e.g. the stator rotor system formed by conical or cylindrical surfac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tator and the rotor, gap in between or gap with the walls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의 일 양태는, 교반 용기에 고정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승하강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하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제1 및 제2흡입 개구가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스커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크부; 상기 디스크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교반 돌기;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STATOR AND ROTOR ASSEMBLY FOR AGITATOR}
본 발명은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란, 재료 물질인 교반 대상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으로,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2591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교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교반부(200)를 구성하는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용기(11)에 대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용기(11)의 내부에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거나 교반된 교반 대상물을 용기(11)의 외부로 배출한다. 즉,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승강하여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전자(210)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고,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하강하여 용기(11)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용기(11)의 외부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일체로 승하강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 사이의 공간에 잔존하는 교반 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에는,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교반을 하기 위한 위치와 교반 대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반 대상물의 상태나 교반의 형태, 예를 들면, 교반 대상물의 혼합이나 균질화 등에 따른 최적화된 교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2591호(명칭: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잔존하는 교반 대상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 대상물의 상태나 교반의 형태에 따른 효율적인 교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의 일 양태는, 교반 용기에 고정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승하강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하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제1 및 제2흡입 개구가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스커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크부; 상기 디스크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교반 돌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자에 대한 상기 회전자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흡입 개구 상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 돌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상기 배출 개구의 상방에 위치되거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흡입 개구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 돌기는 상기 배출 개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교반 돌기가 상기 배출 개구의 하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는, 상기 원통부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 개구는, 상기 제1흡입 개구를 중심으로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흡입 개구로부터 방사상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의 상면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제1교반 가이드; 상기 제1교반 가이드를 제외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흡입 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의 상면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1교반 가이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교반 가이드; 및 상기 제2교반 가이드의 저면에서 그 횡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테두리면 내측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교반 가이드;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교반 돌기는,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연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선단에서 상기 제3교반 가이드의 내면과 형합되도록 상기 회전자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 및 상기 회전자의 직경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교반 용기에 형성되는 설치 개구 상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제1 및 제2흡입 개구가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가 구비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승하강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고, 교반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자;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에 대한 상기 회전자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교반 돌기가 각각 상기 배출 개구의 상방에 위치되거나, 상기 교반 돌기가 상기 배출 개구에 대응되게 위치되거나, 상기 교반 돌기가 상기 배출 개구의 하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교반 가이드는, 상기 원통부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제1흡입 개구 및 상기 제1흡입 개구를 중심으로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흡입 개구로부터 방사상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흡입 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의 상면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2교반 가이드는, 상기 제2흡입 개구 및 제1교반 가이드를 제외한 상기 원통부의 상면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1교반 가이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교반 가이드는, 상기 제2교반 가이드의 저면에서 그 횡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테두리면 내측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교반 돌기의 상면은 상기 제1 및 제2교반 가이드의 저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 돌기의 외면은 상기 제3교반 가이드의 내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자가 상하로 승하강되어 교반 대상물의 교반 또는 배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에 교반 대상물이 잔존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자에 대한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서 교반 대상물의 균질화를 위한 제1교반 모드, 교반 대상물의 혼합을 위한 제2교반 모드 및 교반 대상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 모드가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교반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자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자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자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자를 보인 종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교반기에서 각 동작 모드를 보인 동작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교반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자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자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자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자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교반기(1)는, 교반 용기(100), 가이드부(200), 배출관(300), 고정자(400), 회전자(500), 승하강 구동원(600) 및 회전 구동원(700)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 용기(100)는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고정자(400) 및 회전자(500)는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에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거나, 교반된 교반 대상물을 상기 교반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구동원(600) 및 회전 구동원(700)은, 상기 회전자(500)의 승하강 및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교반 용기(100)는, 그 내부에 교반을 위한 공간이 정의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교반 용기(100)의 바닥면에는 설치 개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 개구(110)는, 예를 들면, 상기 교반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가 기설정된 형상,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자(40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교반 용기(100)가 외부 케이싱(120)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공급 파이프(13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교반 용기(100)의 상면이 개방되고, 이를 통하여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로 투입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회전자(5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그 상단이 상기 설치 개구(110)와 연통되도록 상기 교반 용기(100)의 하방에 상하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200)의 일측에는 연통 개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300)은,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에서 교반되어 상기 교반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교반 대상물이 유동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관(300)의 일단이 상기 연통 개구(210)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부와 연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통 개구(210) 상에는 상기 연통 개구(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자(400)는, 상기 설치 개구(110) 상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자(400)는, 원통부(401) 및 스커트부(402)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401)의 하단에서 상기 스커트부(402)가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는, 교반 대상물이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흡입 개구(411)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제2흡입 개구(412)는 상기 제1흡입 개구(411)를 중심으로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흡입 개구(411)로부터 방사상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402)에는 다수개의 배출 개구(42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 개구(420)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를 통하여 흡입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 또는 상기 배출관(300)으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 개구(420)는, 상기 스커트부(402)에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400)에는 다수개의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는, 후술할 교반 돌기(5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으로, 대략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는,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를 제외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흡입 개구(4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는,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412)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는, 상기 제2흡입 개구(412)와 교호(交互)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3교반 가이드(433)는,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3교반 가이드(433)는, 횡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원통부(401)의 테두리면 내측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한편 상기 회전자(500)는,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자(500)는 상기 가이드부(200)를 따라서 승하강하면서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에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거나 교반 대상물을 상기 교반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자(500)는, 디스크부(510), 결합부(520), 및 다수개의 교반 돌기(5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크부(510)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직경 및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크부(510)의 직경은, 적어도 상기 고정자(400), 실질적으로 상기 원통부(401)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계될 것이다.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디스크부(51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승하강 구동원(600) 및 회전 구동원(7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후술할 구동력 전달 부재(800)가 결합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510)가 적어도 상기 제1흡입 개구(411)의 횡단면에 비하여 작은 횡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제1흡입 개구(411)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520)가 상기 디스크부(51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지만,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디스크부(510)를 관통하여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회전자(500)의 회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거나 교반 대상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연에 배치된다. 상기 교반 돌기(530)는, 수평 연장부(531) 및 경사 연장부(53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연장부(531)는,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연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 연장부(532)는, 상기 수평 연장부(531)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경사 연장부(532)는, 상기 회전자(500)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 및 상기 회전자(500)의 직경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와 형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교반 돌기(530)의 상면은 상기 제1 및 제2교반 가이드(431)(432)의 저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의 외면은 상기 제3교반 가이드(433)의 내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돌기(530)가 4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교반 돌기(5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자(500)가 상하로 승하강하여 제1 내지 제3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위치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상기 고정자(4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3위치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상기 고정자(400)의 하방, 즉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부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자(500)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결합부(510)가 상기 제1흡입 개구(411) 상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와 마주보도록 상기 배출 개구(420)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500)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결합부(510)가 상기 제1흡입 개구(411)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배출 개구(42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500)가 제3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교반 돌기(530)가 상기 연통 개구(210)와 대응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교반기(1)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회전자(500)가 제1 내지 제3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된다. 즉, 상기 교반기(1)의 동작 모드가 교반 대상물의 균질화를 위한 제1교반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기(1)의 동작 모드가 교반 대상물의 혼합을 위한 제2교반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제2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1)가 교반 대상물의 배출을 위한 제3교반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제3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 구동원(600) 및 회전 구동원(700)은, 상기 회전자(500)의 승하강 및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승하강 구동원(600)으로는 공압이나 유압 펌프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회전 구동원(700)으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구동원(600) 및 회전 구동원(70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력 전달 부재(800)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800)는,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2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구동원(600) 및 회전 구동원(700)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또는 높이 조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교반기에서 각 동작 모드를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교반기(1)가 제1교반 모드, 즉 교반 대상물의 균질화를 위한 동작 모드인 경우에는, 회전자(500)가 제1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500)가 회전 구동원(700)에 의하여 회전하면, 교반 용기(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교반 대상물이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를 통하여 흡입된 후 상기 회전자(500)의 회전에 의하여 균질화되어 배출 개구(42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용기(100)의 내부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를 통하여 흡입된 교반 대상물은, 상기 회전자(500)의 회전에 의한 교반 돌기(530)와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균질화되어 상기 배출 개구(4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론, 상기 제1흡입 개구(411) 상에는 결합부(510)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1흡입 개구(4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교반 대상물의 양은, 상기 제2흡입 개구(4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교반 대상물의 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기(1)가 제2교반 모드, 즉 교반 대상물의 혼합을 위한 동작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제2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를 통하여 흡입된 교반 대상물은, 상기 회전자(5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교반 돌기(530)와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균질화되어 상기 배출 개구(4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기(1)가 배출 모드, 즉 교반 대상물의 배출을 위한 동작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500)가 제3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50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 또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 및 배출 개구(420)를 통하여 흡입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부를 유동한 후 연통 개구(210)를 통하여 배출관(300)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교반기 100: 교반 용기
110: 설치 개구 200: 가이드부
210: 연통 개구 300: 배출관
400: 고정자 401: 제1부분
402: 스커트부 411: 제1흡입 개구
412: 제2흡입 개구 420: 배출 개구
431: 제1교반 가이드 432: 제2교반 가이드
433: 제3교반 가이드 500: 회전자
510: 디스크부 520: 결합부
530: 교반 돌기 531: 수평 연장부
532: 경사 연장부 600: 승하강 구동원
700: 회전 구동원 800: 구동력 전달 부재

Claims (7)

  1. 교반 용기(100)에 고정되는 고정자(400), 및 상기 고정자(400)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승하강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자(500)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400)는,
    상하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가 형성되는 원통부(401); 및
    상기 원통부(401)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배출 개구(420)가 형성되는 스커트부(402);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50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크부(510);
    상기 디스크부(5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결합부(520); 및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교반 돌기(530); 를 포함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400)에 대한 상기 회전자(500)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520)가 상기 제1흡입 개구(411) 상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와 마주보도록 상기 배출 개구(420)의 상방에 위치되거나, 상기 결합부(520)가 상기 제1흡입 개구(411)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배출 개구(42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교반 돌기(530)가 상기 배출 개구(420)의 하방에 위치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 개구(411)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 개구(412)는, 상기 제1흡입 개구(411)를 중심으로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흡입 개구(411)로부터 방사상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400)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제1교반 가이드(431);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를 제외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흡입 개구(4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412)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교반 가이드(432); 및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의 저면에서 그 횡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원통부(401)의 테두리면 내측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교반 가이드(433); 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돌기(530)는,
    상기 디스크부(510)의 외주연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531); 및
    상기 수평 연장부(531)의 선단에서 상기 제3교반 가이드(433)의 내면과 형합되도록 상기 회전자(500)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 및 상기 회전자(500)의 직경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532); 를 포함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6. 교반 용기(100)에 형성되는 설치 개구(110) 상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제1 및 제2흡입 개구(411)(412)가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교반 가이드(431)(432)(433)가 구비되는 원통부(401), 및 상기 원통부(401)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배출 개구(420)가 형성되는 스커트부(402)를 포함하는 고정자(400); 및
    상기 고정자(400)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승하강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고, 교반 돌기(530)를 포함하는 회전자(50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400)에 대한 상기 회전자(500)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교반 돌기(530)가 각각 상기 배출 개구(420)의 상방에 위치되거나, 상기 교반 돌기(530)가 상기 배출 개구(420)에 대응되게 위치되거나, 상기 교반 돌기(530)가 상기 배출 개구(420)의 하방에 위치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제1흡입 개구(411) 및 상기 제1흡입 개구(411)를 중심으로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흡입 개구(411)로부터 방사상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흡입 개구(41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는, 상기 제2흡입 개구(412) 및 제1교반 가이드(431)를 제외한 상기 원통부(401)의 상면 다른 일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1교반 가이드(431)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412)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교반 가이드(433)는, 상기 제2교반 가이드(432)의 저면에서 그 횡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원통부(401)의 테두리면 내측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의 상면은 상기 제1 및 제2교반 가이드(431)(432)의 저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 돌기(530)의 외면은 상기 제3교반 가이드(433)의 내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KR1020140190826A 2014-12-26 2014-12-26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KR10163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26A KR101630191B1 (ko) 2014-12-26 2014-12-26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26A KR101630191B1 (ko) 2014-12-26 2014-12-26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191B1 true KR101630191B1 (ko) 2016-06-24

Family

ID=5634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826A KR101630191B1 (ko) 2014-12-26 2014-12-26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1Y1 (ko) * 2017-04-06 2017-09-26 서금남 플랫 형태의 수중 교반기
KR101911053B1 (ko) * 2018-07-20 2018-12-28 주식회사 제이이엠 교반기용 교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680A (ko) * 1997-12-15 1999-07-05 조병욱 균질혼련기
JP2008012499A (ja) * 2006-07-10 2008-01-24 Kirin Beverage Corp 分配器
KR20090022591A (ko) 2007-08-31 2009-03-04 (주)흥보테크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680A (ko) * 1997-12-15 1999-07-05 조병욱 균질혼련기
JP2008012499A (ja) * 2006-07-10 2008-01-24 Kirin Beverage Corp 分配器
KR20090022591A (ko) 2007-08-31 2009-03-04 (주)흥보테크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1Y1 (ko) * 2017-04-06 2017-09-26 서금남 플랫 형태의 수중 교반기
KR101911053B1 (ko) * 2018-07-20 2018-12-28 주식회사 제이이엠 교반기용 교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4434B (zh) 操作分批混合机的方法和用于实施该方法的分批混合机
KR101179201B1 (ko) 교반기
JP5748992B2 (ja) 均質混練機
JP7049793B2 (ja) 微粒化装置
KR101630191B1 (ko)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KR101313725B1 (ko) 바스켓 밀
US8534907B2 (en) Device for accelerating mixing and dissolving process of liquid water
KR20150045742A (ko) 균질 혼련기
JP2010241146A (ja) セメント混練材の攪拌装置
KR20180088949A (ko) 전자소재 혼합용 교반 장치
JP4148917B2 (ja) ミキサー
KR101463225B1 (ko) 배출 및 침전물 억제가 용이한 마그네틱 교반장치 구조
KR20160070396A (ko)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CN205462011U (zh) 一种双锥混合机
JP4754586B2 (ja) 曝気攪拌機
KR101258207B1 (ko) 교반장치
KR102064898B1 (ko) 교반기용 임펠러 조립체
KR100679280B1 (ko) 교반장치
KR20160070389A (ko) 교반기
KR20170029937A (ko) 교반기용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기
US20220240725A1 (en) Mixer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CN206355907U (zh) 一种双轴式搅拌罐
CN210159550U (zh) 一种高速混合机
CN107262351B (zh) 搅拌桶及搅拌装置
KR20140133300A (ko) 비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