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990A -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990A
KR20110021990A KR1020107029494A KR20107029494A KR20110021990A KR 20110021990 A KR20110021990 A KR 20110021990A KR 1020107029494 A KR1020107029494 A KR 1020107029494A KR 20107029494 A KR20107029494 A KR 20107029494A KR 20110021990 A KR20110021990 A KR 20110021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assemblies
container
curve
blend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604B1 (ko
Inventor
요한 운테에거
유에르겐 홀즈바우어
니콜라스 테. 팔스코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2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 B01F27/81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with the inflow from one side only, e.g. stirr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or used as a bottom discharge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two or more stirrers on separat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two or more stirrers on separate shafts
    • B01F27/85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two or more stirrers on separate shafts the receptacle being subdivided in adjacent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7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receptacle being divided into superim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4Closely surrounding the rotat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블렌더 시스템(1)은 블렌딩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3)를 갖는다. 용기(3)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 8)를 갖는 제 1 부분(2)을 갖는다. 조립체(6, 8)는 회전축(10, 12) 주위에서 회전 구동 가능하다. 용기는 안내면(18)을 갖는 제 2 부분(4)을 갖는다. 상기 회전축들을 포위하는 안내면(18)의 단면(38)은 볼록형 폐쇄형 곡선(20)이다. 단면 곡선(20)의 방향은 안내면(18)의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방향이다.

Description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BLENDER SYSTEM HAV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블렌딩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용기는 상기 재료를 블렌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부분으로서, 상기 조립체는 각각의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 구동 가능한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을 통한 그리고 상기 조립체를 따른 상기 재료의 유동을 유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제 2 부분으로서, 이 제 2 부분은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갖는 제 2 부분을 갖는다.
종래의 요리용 믹서에 알려진 결점은 소위 브리징(bridging) 경향, 즉 음식물이 믹서의 용기에 추가됨에 따라 그리고 믹서의 교반기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블레이드에 운반될 미처리된 재료가 분해되거나 블렌딩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 블레이드에 밀접하게 근접한 용기 내부의 제품이 액화되게 되는 강력한 경향이 있는 효과이다. 이는 회전 블레이드와 분해된 제품의 액화 구역에 의한 미처리된 제품 사이에 브리지가 형성되는 것과 같다.
특허 공보 US-A 4,256,407호는 브리징 효과를 극복하기 위한 배열의 믹서를 개시하고 있다. US-A 4,256,407호의 믹서는 2개의 로브(lobe)를 갖는 용기로 구성된다. 용기는 커버를 구비하고 모터를 갖는 베이스와 작동적으로 통신한다. 용기는 그 원호를 따라 2개의 부분 실린더를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로브는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한 블렌더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한 반-독립형 교반 구역을 형성한다.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반-독립형 교반 구역이 로브 내에 설정되어 재료 유동이 상부로부터 저부로 설정되게 된다.
그러나, 육류와 같은 어려운 음식물 제품 및 높은 점성의 제품이 처리될 때 브리징 효과는 여전히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렌딩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진 제품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키는 개시 단락에서 설명된 종류의 블렌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회전축들을 포위하는 안내면의 단면이 주위를 따라 유동을 유지하기 위해 그 주위를 따른 연속적으로 변하는 방향의 접선을 갖는 볼록형 폐쇄형 곡선인 점에서 실현된다.
제품이 블레이드 부재들에 의해 교반됨에 따라,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주위의 제품은 와류로서 특징화될 수 있는 유동 패턴이 되게 된다. 와류는 중심선 또는 중심 곡선 주위의 유체 또는 액화된 제품의 회전하는, 종종 난류 유동이다. 중심선 또는 중심 곡선 주위에서 급속하게 소용돌이치는 블렌딩될 유체 또는 액화된 제품 또는 재료의 운동은 와류 운동이라 칭한다. 유체의 속도 및 회전 속도는 또한 와류 코어라 칭하는 중심 곡선에서 최대이고, 와류 코어로부터 거리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블레이드 부재의 회전축들은 와류 코어 및 따라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부재의 각각에 의해 유도되는 와류의 배향을 결정한다. 와류 내의 입자는 와류 코어 주위에서 순환한다. 브리징을 감소시키거나 회피하기 위해, 일 와류로부터의 입자가 다른 와류로 운반되고 다른 와류로부터의 입자가 일 와류로 운반될 수 있으면 매우 유리하다. 안내면의 단면이 회전축을 에워쌈에 따라, 단면은 또한 회전하는 블레이드 부재의 각각에 의해 유도된 대응 와류의 와류 코어를 에워싼다. 안내면의 단면은 볼록형 폐쇄형 곡선이다. 따라서, 안내면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폐쇄형 곡선 내에 놓인 모든 점들의 쌍은 직선 세그먼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점들의 쌍을 연결하는 직선 세그먼트 상의 모든 점은 또한 폐쇄형 곡선 내에 위치된다. 제 1 와류 내의 제 1 점 및 제 1 와류에 인접한 제 2 와류 내의 제 2 점을 갖는 볼록형 곡선 내의 점들의 쌍이 고려되면, 제 1 및 제 2 점은 직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그 직선의 세그먼트에서 제 1 단부가 제 1 와류에 위치되고, 제 2 단부가 제 2 와류에 위치된다. 직선 세그먼트 상에 위치된 제 1 점과 제 2 점 사이의 모든 점들은 제 1 와류 내에 있거나 제 2 와류 내에 있다. 곡선은 볼록형이기 때문에, 직선은 안내면을 가로지를 수 없다. 따라서, 볼록형 곡선 내부의 제 1 및 제 2 점의 위치에 무관하게, 제 1 와류 내의 입자가 안내면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직선을 거쳐, 즉 최단 거리를 거쳐 인접한 제 2 와류 내로 운반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볼록형 곡선은 제 1 와류로부터 제 2 와류로 그리고 제 2 와류로부터 제 1 와류로의 제품의 교환에 대한 최소 저항을 설정하는 특징부이다. 최소인 교환에 대한 저항은 브리징 효과의 방지에 기여하고 또는 설정되는 경우 임의의 브리징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더 감소시킨다. 제 1 및 제 2 와류가 서로 인접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 와류 사이의 재료의 교환은 직선을 거쳐 여전히 가능한데, 이 직선은 제 1 와류에서 기원하여 안내면을 가로지르지 않고 제 2 와류에서 종료하고, 안내면의 단면은 볼록형 폐쇄형 곡선이다.
와류 코어로부터, 즉 제 2 부분의 안내면을 향한 증가하는 거리에서, 제품의 속도는 감소하고 코어로부터 이격하여 제품은 와류 코어의 부근에서 속도에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속도로 상기 안내면을 따라 이송되거나 안내된다. 따라서, 안내면을 따라 이송되는 제품은 비교적 낮은 충격을 갖는다. 안내면은 곡률을 갖는다. 곡률은 안내면을 따라 유동하는 제품의 속도의 방향의 변화를 결정한다. 안내면을 따른 블렌드의 속도와 안내면의 곡률 사이에는 관계가 있는데, 즉 큰 곡률, 즉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안내면은 첨예하게 만곡된 영역 내에 블렌드의 침전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급격하게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곡률의 경우에 블렌드가 침전하는 경향이 상당히 증가한다. 이러한 경우에, 블렌드는 안내면의 급격한 전이부에 의해 부여되는 큰 가속도를 극복하기 위해 불충분한 충격을 갖고, 불연속적인 곡률은 안내면 부근의 와류를 파괴할 것이다. 이 효과는 높은 점도의 블렌드의 경우에 특히 존재한다. 따라서, 와류의 파괴-느리게 유동하는 블렌드를 와류 코어로 재차 재지향시키기 위해 특정하게 형성된 안내 섹션의 인가에 의해 성취될 수 있음-는 브리징이 이러한 와류 파괴자의 결과로서 점성 블렌드 내에서 자극될 수 있기 때문에 회피되어야 한다.
유동 방향의 급격한 변화는 제품의 정지 및 와류의 파괴를 발생시킨다. 이들 효과는 안내면의 단면이 그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방향의 접선을 가지면 회피될 수 있다. 안내면이 단면의 주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방향을 갖는 경우에, 재료의 효과적인 혼합 유동이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부분은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수용하고, 제 1 점 및 제 2 점에서 볼록형 곡선을 교차하는 직선이 규정 가능하고, 제 1 및 제 2 점 사이의 거리는 제 1 직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곡선의 임의의 치수를 초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은 재료의 제조 비용 및 가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2개 이하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갖는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작용 영역을 갖는다. 이러한 작용 영역 내부에는, 혼합물이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회전 블레이드에 의한 분해 및 직접적인 접촉에 민감한 작은 스케일로 유동한다.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2개의 대응하는 작용 영역은 블렌딩 프로세스 중에 구별될 수 있다. 2개의 작용 영역 외부에서, 용기는 혼합물이 유지되는 영역을 갖고, 이 혼합물은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에 의해 직접 처리 가능하지 않다. 이 외부 영역에서, 어떠한 직접적인 접촉도 혼합물 내의 덩어리 또는 입자와 조립체의 회전 블레이드 사이에서 가능하지 않다. 혼합물의 용이한 교환이 큰 스케일로, 즉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 및 각각의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2개의 작용 영역 사이에서 가능하면 균일한 블렌드가 효과적인 방식으로 얻어진다. 상기 2개의 작용 영역은 와류의 베이스에 있다. 이들 작용 영역을 통한 단면은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각각의 회전축 주위로 2개의 본질적으로 원형 유동 패턴으로 구성된 블렌드의 유동 패턴을 나타낸다. 이들 유동 패턴이 무한 용기 내에서 자극되어 있으면, 혼합물은 최소 저항의 패턴을 형성하는 유동 패턴을 추종할 것이다. 회전축에 밀접하여, 유동 패턴은 원형에 가깝고,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하여 원형 유동 패턴은 세장형의 타원형 형상으로 융합된다. 볼록형 곡선이 합치하는 타원형 또는 세장형 형상의 융합된 원형 유동 패턴을 밀접하게 포위하면, 큰 스케일의 혼합이 향상되고 브리징 효과가 더 완화된다. 따라서, 볼록형 곡선은 방해받지 않고 제한되지 않은 블렌드의 최소 저항 유동 패턴에 따라 안내 수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융합된 원형 유동 패턴을 포위하도록 신장되는 현저한 방향을 갖는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형상이고, 즉 곡선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직선이 규정될 수 있고, 이 직선은 제 1 점과 제 2 점에서 곡선을 교차하고, 제 1 및 제 2 점 사이의 거리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곡선의 임의의 치수를 초과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고, 직선은 제 1 및 제 2 회전축을 교차하는 다른 직선에 평행하다.
제 1 및 제 2 회전축을 교차하는 다른 직선은 세장형의 볼록형 곡선의 길이 방향을 규정한다. 직선은 회전축들을 통한 다른 직선에 평행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쌍은 직선에 대해 오프셋을 갖는다. 이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위치 설정시의 비대칭성을 도입한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용기를 통한 혼합물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평행한 운반은 혼합물이 용기의 상부로부터 용기의 저부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로 그리고 용기의 저부로부터 용기의 상부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로 유동하게 한다. 회전축 주위의 원형 유동 패턴에 중첩하여, 용기의 저부로부터 상부로의 운반은 비틀림, 나선형 또는 소용돌이 운동을 갖고 블렌드가 이동하게 하고, 이는 효과적인 블렌딩 프로세스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볼록형 곡선의 각각의 점은 초-타원 곡선으로 1 mm 미만의 최단 거리를 갖고, 이 초-타원 곡선은
Figure pct00001
인 점의 세트(x,y)에 의해 규정 가능하다.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에 의해 교반되는 방해받지 않고 제한되지 않은 블렌드의 유동 라인 패턴은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영역 내에 상기 규정된 수학적인 형태의 초-타원 곡선에 의해 밀접하게 근사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안내면은 용기를 가로지르는 블렌드의 유동에 대해 최소 저항을 부여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볼록형 곡선은 타원이다.
타원은 각각의 점으로부터 2개의 고정된 점, 즉 초점까지의 거리의 합이 동일한 점의 궤적을 규정한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의 작용 영역들은 점진적으로 외부 영역으로 이동한다. 작용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에 명백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회전축의 연장부에서 또는 와류 코어에서, 재료는 고속으로 유동하고 와류 코어로부터 이격하여 유동하는 재료는 와류 유동 패턴의 더 적은 직접적인 영향을 경험할 수 있다.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제 1 와류의 작용 하에서 안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가 제 1 와류의 코어로부터 그 거리가 증가하면서 동시에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제 2 와류의 코어로의 그 거리가 감소하도록 안내면이 형성되면 효과적인 블렌딩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볼록형 곡선의 타원 형상은 일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으로부터 다른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으로의 이러한 비례적인 전이부를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그 저부측에서 용기의 제 1 부분 내에 형성된 챔버 내에 수용되고, 이 챔버는 사용 중에 중력의 작용 하에서 재료의 블렌드를 수집하고, 이에 의해 상기 블렌드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로 안내된다.
중력에 의해 가압되어, 블렌드는 제 1 부분의 저부에 수용된 챔버의 방향으로 유동한다. 챔버는 블렌드가 중력의 작용 하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로 수집되어 안내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수용한다. 따라서, 소량의 블렌드가 처리 가능하다. 용기가 큰 편평한 저부면을 가지면, 블렌드는 이러한 표면 상에서 확산될 수 있다. 단지 소량의 블렌드만이 이러한 편평한 저부 용기 내에 존재하면, 블렌드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도달 범위 외에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편평한 저부 용기에서, 소량의 블렌드가 처리 가능하지 않다. 구형 형상과 같이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로의 수집 및 안내의 경향이 없는 저부 용기의 더 많은 형상이 인식 가능하다. 편평한 또는 구형 형상의 경우에, 블렌드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외부의 벽부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예를 들어 테이퍼진 또는 원추형 형상과 같이 소량의 혼합물을 모으는 경향이 있는 형상의 수직 평면 내의 단면을 갖는다.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회전 블레이드의 팁들에 의해 묘사되는 궤도를 밀접하게 둘러싸는 벽을 갖는다. 챔버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점성 블렌드 내에서 수집 챔버 내부의 블렌드의 모든 성분이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부에 유지되도록 팁의 궤도에 매우 밀접해야 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양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갖고, 각각의 블레이드는 그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원격인 단부에 블레이드 팁을 갖고, 챔버는 제 1 및 제 2 벽부를 갖고, 이 제 1 및 제 2 벽부는 사용 중에 팁들과 협동하기 위해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팁에 의해 사용 중에 묘사되는 궤도에 합치하여 배열된다.
챔버의 합치하는 벽부는 합치하는 벽부와 팁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블레이드 조립체 주위에서 혼합물 내의 성분을 재밍하고, 비틀거나 압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간은 블렌드 내의 입자의 원하는 크기에 비교하여 비교적 좁아야 한다. 게다가, 벽부는 블레이드 조립체의 팁에 의해 묘사된 경로 또는 궤도를 밀접하게 포위해야 한다. 따라서, 합치하는 벽부는 블렌드 재료의 미세 입자 구조에 기여하는 조립체의 블레이드로의 재료의 양호한 채널링을 보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입자 구조의 미세도는 무엇보다도 벽부와 팁의 궤도 사이의 간극의 폭에 의해 다른 것들 사이에서 결정된다.
이러한 합치하는 벽부가 제 1 조립체 주위에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혼합물 내의 성분은 제 1 조립체의 팁에 의해 묘사되는 경로의 부분에 합치하여 이를 밀접하게 포위하는 대응하는 제 1 벽부를 따라 제 1 조립체의 블레이드들에 의해 운반된다. 제 1 합치하는 벽부는 제 1 조립체에 의해 운반된 성분이 제 1 조립체의 작용 영역을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조립체에 의해 운반된 후에, 이들 성분은 제 2 블레이드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로 운반된다. 따라서,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와 관련하는 제 1 합치하는 벽부는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으로부터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로의 직접적인 경로를 따라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 내로의 성분의 방해받지 않은 후속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완전히 포위하지 않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벽부는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과 재료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충분한 기회를 여전히 남겨두면서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팁에 의해 묘사되는 궤도에 합치해야 한다. 제 1 및 제 2 벽부는 팁과 벽부 사이의 상기 협동-성분들의 재밍, 비틀림 및 압착-이 소위 사장 영역(blind area)을 남겨두지 않고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 있게 하는 이러한 접근도까지 블렌드 성분의 경로를 포위해야 한다. 사장 영역에서, 혼합물 또는 재료의 부분들은 운반되지 않고 침전되고, 벽에 고착되고, 거기에 잔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벽부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향해 재료의 블렌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동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되고, 조립체들은 상호 협동 근접하여 배열된다.
최적의 절단 결과를 얻기 위해, 블렌딩될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팁과 벽부 사이에 형성된 작은 간극 내로 채널링되고 가압되어야 하고, 상기 벽부들은 팁들에 근접한다. 용기의 모든 표면을 따른, 특히 챔버의 모든 표면을 따른 최적의 재료 순환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벽부들은 가능한 한 멀리 팁의 궤도 주위에서 평활하고 둥글어야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벽부들은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작용 영역들 사이의 성분의 방해받지 않은 통과가 가능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 또는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완전히 포위하지는 않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벽부는 팁에 의해 묘사되는 원형 경로에 합치하는 제 1 및 제 2 단면을 갖는다. 제 1 조립체는 제 2 조립체에 협동 접근하여 배열되는데, 즉 제 1 조립체의 작용 영역은 제 2 조립체의 작용 영역과 중첩부를 갖는다. 중첩부는 양 조립체들이 혼합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이다. 이 근접부는 제 1 조립체가 제 2 조립체의 부분 내로 연장하지 않고 안전하고 자유롭게 연장할 수 없는 점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조립체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충돌은 예를 들어 이들의 회전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 하에서 제 1 및 제 2 조립체의 블레이드들을 배치함으로써 또는 상이한 높이에 제 1 및 제 2 조립체의 블레이드들을 배치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 1 및 제 2 조립체의 팁들은 평행하고 일치하지 않는 평면 내에 원형 궤도를 묘사한다. 대안적으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 사이의 거리는 팁들 사이의 충돌이 가능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조립체의 블레이드들은 이들의 회전축을 따라 투영될 수 있는 범위를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축방향 투영은 원형 형상이다.
조립체들의 작용 영역이 중첩부를 형성하는 배열에서, 영역이 중첩하는 구역은 상호 협동 접근 구역에 대응하는데, 즉 양 조립체들이 블렌드 상에 작동할 수 있다. 상호 협동 접근 구역의 존재는 효과적인 블렌딩 프로세스를 위해 유리하다. 축방향 돌출부가 예를 들어 조립체들 사이의 작은 팁 거리 또는 큰 거리의 인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경우, 협동 근접 구역을 설정하기 위해 주의가 기울어져야 한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 주위의 원형 구역은 이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가 챔버의 그 합치하는 벽부와 협동하는 구역과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가 다른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와 상호 협동 접근하여 있는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챔버를 향해 하방으로 지향되는 재료의 유동은 챔버벽과 조립체들 중 하나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거나 중첩하는 협동 근접 영역 내로 유동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사장 영역이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챔버는 용기의 저부 부분 내에 편심으로 수용된다.
조립체들에 의해 처리된 후에, 블렌드의 부분은 챔버를 나오고 조립체들로부터 이격하여 안내된다. 편심 수용은 블렌드의 유동 패턴에 비대칭성을 도입한다. 이 비대칭성은 유리하게는 챔버를 떠나는 블렌드의 유동 내의 급격한 방향 변화를 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렌더 시스템의 상기 및 다른 양태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 명백해지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블렌더 시스템의 용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4a는 블렌더 시스템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시스템의 단면도.
도 5는 초-타원(super-elliptic) 곡선의 그래프.
도 6은 폐쇄형 초-타원 곡선의 그래프.
도 7은 폐쇄형 초-타원 곡선의 그래프.
도 8a 내지 도 8d는 블렌더 시스템의 상이한 도면.
도 9는 인레이(inlay)의 평면도.
도 10은 인레이의 평면도.
도 11은 블렌더 시스템의 단면도.
도 12a는 블렌더의 단면도.
도 12b는 도 13a의 블렌더의 측면도.
도 13a는 블렌더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4a의 블렌더의 측면도.
도 14는 블렌더 시스템의 평면도.
도 15는 블렌더 시스템의 등각도.
도 16은 도 15의 블렌더 시스템의 평면도.
도 1 및 도 2에는 블렌더 시스템(1)의 용기(3)가 각각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용기(3)는 제 1 부분[도 1의 좌측 지주(2)]을 갖는다. 제 1 부분(2)은 3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300, 302, 304)를 수용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300, 302, 304)는 각각 회전축(306, 308, 310)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다. 제 1 부분(2)은 원통형 형상의 3개의 벽부(312, 314, 316)를 갖는다. 각각의 벽부(312, 314, 316)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300, 302 또는 304)를 수용한다. 용기(3)는 제 1 용기 부분(2)의 상부에 장착된 제 2 부분[도 1의 좌측 지주(4)]을 갖는다. 사용 중에, 용기(3)는 블렌딩될 재료로 충전된다. 재료는 제 1 용기 부분 내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300, 302, 304)에 의해 처리된다. 블렌딩 중에, 제 1 및 제 2 부분(2, 4) 사이의 재료의 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300, 302, 304)의 회전은 제 1 및 제 2 부분(2, 4) 내의 블렌드의 유동 패턴을 발생시킨다. 이 유동 패턴은 3개의 일점쇄선 삼각형(356, 358, 360)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유동 패턴은 와류의 유동 패턴과 유사하다. 각각의 와류는 회전축(306, 308, 310)의 연속부를 형성하는 와류 코어를 갖는다. 용기(3)의 제 1 및 제 2 부분(2, 4)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곡률의 표면(368)에 의해 연결된다. 표면(368)은 점선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은 부분(2, 4) 사이의 재료의 교환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한다. 재료 교환에 대한 저항의 최소화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목적이다.
도 2에는 도 1에 II-II'로서 지시되어 있는 레벨에서 용기(3)의 평면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 2 용기 부분(4)은 3개의 만곡된 벽부(318, 320, 322)를 갖는다. 벽부(318, 320, 322)는 리브(338, 340, 342)에서 함께 접합된다. 따라서, 폐쇄형 용기 부분이 용기(3)의 제 2 부분(4) 내부에 재료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벽부(318, 320, 322)의 내부에는 블렌딩되는 재료가 안내면(324)을 따라 안내된다. 안내면(324)의 단면은 곡선(333)에 의해 지시된다. 도 2에서 곡선(333)은 벽부(318, 320, 322)와 일치한다. 곡선(333)은 본 명세서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위치(344)에서 제 2 부분(4) 내부의 재료 또는 블렌드 내의 입자는 안내면(324)[도 2에서, 곡선(333)과 일치함]에 의해 직선(362)을 따라 위치(346)로 진행하는 것이 저지된다. 동일한 것이 선(364)을 따른 위치(352, 354) 사이 및 선(366)을 따른 위치(348, 350) 사이의 궤도에 대해 적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안내면(324)[및 곡선(333)]에 의한 이 차단은 효과적인 블렌딩 프로세스 및 블렌드의 균질성에 대해 불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면(324)은 임의의 점의 쌍 사이, 예를 들어 점(344, 346) 사이, 점(352, 354) 사이 및 점(348, 350) 사이의 직선을 따른 자유 통로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이러한 임의의 2개의 점의 쌍 사이의 직선을 따른 제한되지 않은 자유 통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벽부(예를 들어 326, 328, 330)(원형 점으로 지시됨)가 적용되면 가능하다. 이러한 벽부(326, 328, 330)의 적용은 볼록하게 형성된 곡선(336)[도 3에 실선 곡선(336)으로서 도시됨]에 의해 특징화될 수 있는 안내면(332)을 생성한다.
도 3에는 안내면(332)의 단면(333)이 폐쇄형 곡선(336)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336)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점(335) 내의 화살표(334)는 블렌드가 안내면(332)에 의해 안내되는 방향을 표현한다. 화살표(334)는 점(335) 내의 곡선(336)에 접선인 선의 방향을 갖는다. 도 3의 안내면(332)을 따라 안내되는 동안, 접선이 곡선(336)의 모든 후속 점들을 통해, 즉 곡선(336)의 주위를 따라 진행하면서 그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블렌드는 그 운동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한다.
도 4a에는 용기(3)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1)이 도시된다. 용기는 제 1 용기 부분(2) 및 제 2 용기 부분(4)을 갖는다. 제 1 용기 부분(2)은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 8)를 수용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 8)는 각각 회전축(10, 12)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다. 제 2 부분(4)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이 테이퍼진 형상은 용기(3)의 저부 및 용기의 상부 부분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 8) 사이에서 재료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한다. 2 내지 4도의 용기(3)의 제 2 부분(4)의 개방각은 용기의 상부와 저부 사이의 블렌딩 재료의 효율적인 교환을 보장한다. 오목부(32, 34)(점선으로 지시됨)는 이들이 볼록 단면 대신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회피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회피되어야 하는 이들 오목부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도 4b).
도 4b는 V-V'를 따라 취한 제 2 용기 부분(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블레이드 부재 조립체가 각각 개별 실린더 내에 수용되어 있음-과는 대조적으로, 도 5의 실시예의 제 1 부분(2)은 2개의 부분 실린더(14, 16)의 결합 배열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10, 12)를 수납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10)의 작용 영역 내부에 존재하는 블렌딩 재료는 개구(15)를 거쳐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12)의 작용 영역으로 교환될 수 있다. 제 2 부분(4)은 안내면(18)을 갖는다. 레벨 V-V'에서 안내면의 단면은 도 4b의 표현에서 안내면(18)과 일치하는 실선 곡선(20)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20)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직선(30)은 제 1 점(26) 및 제 2 점(28)에서 곡선(20)을 교차한다. 제 1 점(26)과 제 2 점(28) 사이의 거리는 화살표(22)에 의해 지시된다. 선(30)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곡선(20)의 치수는 화살표(24)에 의해 지시된다. 곡선(20)이 세장형 형상이면, 치수(22)는 직선(30)에 수직인 방향에서 곡선(20)의 임의의 치수(24)를 초과한다.
도 4b는 곡선의 원형 부분의 점선 연속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32, 34)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오목부(32, 34)는 이들이 블렌딩 중에 형성되는 2개의 와류 사이의 재료의 방해받지 않은 통과를 방해하기 때문에 회피되어야 한다. 오목부(32, 34)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 8)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와류들 사이의 유동을 차단한다. 오목부들은 곡선(20)의 볼록 형상의 요구와 상충한다. 오목부(32, 34) 대신에, 볼록 형상이 직선 세그먼트(36, 38)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다.
도 5에는 초-타원 곡선의 그래프가 도시된다. 초-타원 곡선은
Figure pct00002
인 점의 세트(x,y)로서 데카르트 좌표계 내에서 규정될 수 있다. n, m>=1이면, 곡선의 형상은 볼록형이다. 파라미터 a 및 b는 소위 타원 형상의 반경이다. n=m=2인 경우는 일반적인 타원을 생성하고, 2를 넘어 증가하는 n 및 m은 증가적으로 직사각형에 유사한 하이퍼(hyper) 타원을 생성하고, 2 미만으로 감소하는 n 및 m은 하이포(hypo) 타원을 생성한다. 하이포 타원은 x 및 y 방향에서 코너를 갖고, n 및 m의 감소하는 값에서 십자형에 근사한다. n=m=1인 경우는 기울기 -b/a 및 b의 y 교점을 갖는 선을 생성한다. m의 값과 상이한 n의 값은 곡선의 코너 섹션에서 상이한 곡률을 초래할 수 있다. n 및 m의 이러한 상이한 값들은 치수 a 및 b를 보상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n 및 m의 상이한 값들은 또한 제 2 용기 부분의 상이한 높이들에서 상기 안내면을 따른 유동 패턴을 최적화하기 위해 안내면의 형상 단면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규정된 바와 같은 초-타원 곡선은 볼록형 곡선을 구성한다. 이러한 곡선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선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타원 곡선 및 직선 세그먼트의 부분으로부터 볼록형 폐쇄형 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들은 도 7 및 도 8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도 6에는 3개의 초-타원 곡선(36, 38, 40)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곡선은 길이축(32)을 따른 길이 치수(2a) 및 폭 축(34)을 따른 폭(2b)을 갖는다. 길이축(32) 및 폭 축(34)은 3개의 초-타원 곡선(36, 38, 40)의 대칭축이다. 동일한 초-타원 형태의 부분을 포함하는 세장형 형상이 도 7에 도시된다. 직선 세그먼트(42, 44)는 선(32, 34)에 의해 포위된 초-타원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도 7에서, 직선 세그먼트(42, 44)를 연결하는 부분들은 초-타원 형태이다. 이들 부분(44)은 또한 원형 형태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의 선 세그먼트(42)는 직선이지만, 만곡된 부분(42a)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만곡된 부분은 2개의 와류의 더 양호한 결합에 기여하고, 노이즈의 생성에 대해 적당한 효과를 갖는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분당 10000 회전수의 크기 정도의 높은 각속도에서 회전한다. 용기(3)의 벽은 이들 세그먼트가 일 방향에서 용기의 평탄도를 표현하기 때문에 세그먼트(42) 내의 굽힘 현상에 비교적 민감하다. 이 용기 구조체가 플레이트 구조체 대신에 외장 구조체로서 형성되면 용기의 강성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에 적어도 소정 곡률을 제공하는 것이 적당하다. 곡선의 볼록도를 보존하기 위해, 부분(42a)은 팽윤되어야 한다. 이는 또한 회전하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미도시)에 의해 유도되는 와류의 더 양호한 결합을 위해 적당하다.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들 기술적인 효과는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에서 더 설명되어 명백해질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는 재료의 순환이 더 최적화되어 있는 본 발명의 블렌더 시스템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 주위의 재료 유동은 수평 지향된 화살표(58) 및 굴곡된 화살표(59)에 의해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용기(3)는 화살표(59)에 따라 상향으로 유동을 평활하게 유도하는 경사부(56)를 갖는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는 챔버(64) 내에 수용된다. 챔버(64)는 그 저부측에서 제 1 부분(2) 내에 형성되고, 사용 중에 중력의 작용 하에서 재료의 블렌드를 수집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는 회전축(10, 12) 주위로 구동 가능하다. 도 8의 도면에서, 회전축(10, 12)은 일치한다. 회전축(10, 12)은 용기(3)의 중심 평면(50)에 대해 오프셋(54)에서 위치된다. 오프셋(54)에 의해, 챔버(64)에서 화살표(58)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화살표(59)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의 더 점진적인 재지향이 가능하다. 편심 또는 오프셋(54)의 정도는 또한 용기(3)의 중심선(30)과 챔버(64)의 중심선(52) 사이에서 도 8b에 지시되어 있다. 중심선(30)은 용기(3)의 중심 평면(50) 내에 위치된다. 챔버(64)의 중심선(52)은 회전축(10, 12)을 교차한다. 도 8b의 평면도에서, 중심선(52)은 다른 직선(31)과 일치한다. 따라서, 다른 직선(31)은 회전축(10, 12)의 모두와 교차한다. 오프셋(54)은 경사부 섹션(56)을 따른 유동의 더 점진적인 원활한 재지향을 가능하게 한다. 오프셋에 의해, 경사부(56)의 곡률은 적당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적당한 곡률은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에 대해 유리하다. 챔버(64)는 개방된 숫자 8(figure 8)의 형태의 벽(66)을 갖는다. 도 8c에는 블렌더 시스템의 정면도가 도시된다. 화살표(59)는 어떠한 방식으로 유동이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의 회전의 결과로서 상향으로 지향되는지를 나타낸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의 회전 방향은 각각 화살표(68, 70)로 지시된다. 도 8d에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8, 70)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 주위에 포위체를 설정하는 편리한 방식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인레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1에서, 인레이는 빗금친 패턴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도 9는 개방부(66)를 갖는 인레이(72)를 도시한다. 개방부(66)는 개방된 숫자 8의 형상을 갖는다. 외부에서 인레이(72)는 용기(3)의 제 1 부분(2)의 벽(76)의 내부면(75)에 합치한다. 도 10에서, 인레이(74)의 개구(66)는 벽(76)의 중심선(78)에 대해 편심으로 배열된다. 오프셋(54)은 도 8에 따라 상기에서 본 명세서에 지시된 바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나이프의 위치와 관련하는 인레이의 높이(80)는 임계적인 중요 파라미터이다(도 11 및 도 12 참조).
도 11에는 용기(3)의 저부 부분을 통한 단면(빗금친 영역)을 도시하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는 회전축(10) 주위에서 구동 가능하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는 회전축(60)에 대해 경사진 블레이드를 갖는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는 수평축에 배열된 중심부(88)를 갖는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의 블레이드는 중심부(88)에 대해 경사진다. 회전축(60)은 용기(3)의 중심선(82)에 대해 오프셋(54)으로 배열된다. 오프셋(54)은 블렌드의 유동을 재지향시키기 위한 재지향 경사부(56)를 위치시키기 위한 추가의 공간에 대한 장소를 제공한다. 2개의 실선(84, 86)은 수직 범위(80)를 경계 형성한다. 선(84)은 인레이(74)의 상부면의 바람직한 최대 레벨을 지시한다. 선(86)은 인레이(74)의 상부면의 바람직한 최소 레벨을 지시한다. 바람직한 최대 및 최소 레벨은 중심부(88)의 레벨에 의존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범위(80)는 중심 블레이드부(88)를 포위한다. 선(84)은 바람직하게는 5 mm 초과만큼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중심부(88)의 상부면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반면에 선(86)은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중심부(88)의 상부면 아래로 5 mm 초과인 레벨에 위치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범위(80)는 인레이(74)의 상부면이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의 중심부(88)에 대해 수용되는 범위를 구성한다. 인레이(74)가 위치되는 범위(80)는 블렌드의 운반 및 절단에 대해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의 블레이드의 적절한 기능을 큰 정도로 결정한다. 인레이(74)는 바람직하게는 인레이의 상부면으로부터 경사부(56)로의 전이부에서 블렌드의 침전을 회피하기 위해 경사부(56)의 최하부 부분과 원활하게 관련되어야 한다.
도 12a는 블렌더 시스템의 용기(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도 12a의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수직 배향으로 배열된(도 12b) 4개의 블레이드를 갖는다. 블레이드들은 수평 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도 12a). 도 12a에서, 하나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의 블레이드들의 실루엣이 도시되어 있다. 최하부 팁(400)이 선(86)으로 지시된 수직 레벨에 있다. 최고 팁(402)은 선(84)에 의해 지시된 수직 레벨에 있다. 범위(80)가 선(86, 84) 사이에 지시된다. 인레이(74)의 상부면은 적어도 범위(80) 내에, 즉 선(86, 84) 사이에 있어야 한다. 인레이의 상부면이 범위(80) 외에 있으면, 블렌딩 프로세스의 효용성이 급속하게 감소된다. 그러나, 최선의 블렌딩 결과는 인레이(74)의 상부면의 레벨이 도 11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되면, 즉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의 중심부(88) 주위에 밀접한 범위에 위치되면 얻어진다.
도 13a는 도 12a와 유사한 블렌더 시스템의 용기(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2b와 유사한 도 13a의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는 용기(3)의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도 12a에서, 용기(3)의 수직벽은 반경(R)의 만곡된 섹션을 거쳐 최하부 팁(400)의 레벨에서 수평 부분에 연결된다. 도 12a의 실시예에서, 인레이의 상부 레벨은 재료의 침전을 회피하기 위해 반경(R)의 레벨에서 만곡된 부분에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수직벽은 Z로서 지시된 거리로 모따기된다. 모따기된 섹션은 또한 블렌드가 침전하는 경향을 완화한다.
도 14에는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양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94, 96, 98, 100)를 갖는다. 각각의 블레이드(94, 96, 98, 100)는 그 회전축(10, 1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원격인 단부에 블레이드 팁(102, 104, 106, 108)을 갖는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챔버(64) 내에 배열된다. 챔버는 벽(65)을 갖는다. 챔버(64)는 2개의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원의 형태를 갖는데, 이는 개방된 숫자 8의 형상을 갖는 챔버(64)를 생성한다. 블레이드 팁(102, 104, 106, 108)이 이들의 회전축(10, 12) 주위에서 회전할 때, 이들은 점선 원(110, 112)에 의해 지시된 원형 궤도를 묘사한다. 챔버(64)는 궤도(110)에 합치하여 이 궤도 주위에 밀접하게 배열된 제 1 벽부(114)를 갖는다. 제 2 벽부(116)가 궤도(112)에 합치하여 이 궤도 주위에 밀접하게 배열된다. 벽부(114, 116)는 팁 궤도(110, 112)의 대부분의 주위를 따라 팁(102, 104, 106, 108)의 작용 영역 내에 블렌드를 유지함에 따라 팁과 협동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120, 122)에 의해 지시된다. 제 1 및 제 2 벽부(114, 116)는 함께 결합되어, 이에 의해 중력의 영향 하에서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를 향해 재료의 블렌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동 가이드(123)를 형성한다. 유동 가이드(123) 부근에서, 블렌드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62)를 향해 안내되다. 유동 가이드(123) 부근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 꼬리(124)에 의해 지시된다.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0, 80) 사이에는, 조립체(60)로부터 조립체(62)로 그리고 조립체(62)로부터 조립체(60)로 재료가 운반되는 영역이 존재하는데, 즉 조립체들 사이에 공급 효과가 존재한다. 이 공급 효과는 조립체들이 서로 충분히 접근하여 있으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들이 서로로부터 충분히 접근하여 배열되면, 양 조립체들의 작용 영역이 중첩된다. 중첩 영역 또는 상호 협동 접근 영역은 이중선 타원(118)에 의해 지시된다. 화살표 헤드(126)는 가이드(120)로의 유동에 대향하는 챔버의 측면에서의 유동 방향을 지시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부(56)가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동의 원활한 재지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 위치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시스템(1)이 도시된다. 블렌더 시스템(1)은 블렌딩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3)를 갖는다. 용기(3)는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8)를 수용하는 제 1 부분(2)을 갖는다.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6)는 제 1 회전축(10) 주위에서 회전 구동 가능하고,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8)는 제 2 회전축(12) 주위에서 회전 구동 가능하다. 용기(3)는 제 1 부분(2)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부분(4)을 갖는다. 따라서, 블렌딩되는 재료는 제 1 부분(2)으로부터 제 2 부분(4)으로 그리고 제 2 부분(4)으로부터 제 1 부분(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부분(4)은 블렌딩될 재료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18)을 갖는다. 제 1 기준점(11)이 제 2 부분(4) 내에서 제 1 회전축(10) 상에 위치된다. 제 2 기준점(13)이 제 2 부분(4) 내에서 제 2 회전축(12) 상에 위치된다. 제 1 평면(1000)은 제 1 기준점(11) 및 제 2 회전축(12)을 포함한다. 제 2 평면(2000)은 제 1 평면(1000)에 수직이고 제 1 및 제 2 기준점(11, 13)을 포함한다. 제 2 평면(2000)은 안내면(18)을 교차한다. 제 2 평면(2000)과 안내면(18)의 단면(333)은 안내면(18) 상에 폐쇄형 안내 곡선(336)을 형성하여 규정한다. 안내 곡선(336)을 교차하는 기준축(1100)은 제 1 및 제 2 기준점(11, 13)을 포함한다. 제 1 분할선(1200)은 제 1 기준점(11)을 포함하고 안내 곡선(336)을 교차한다. 제 1 분할선(1200)은 기준축(1100)에 수직이다. 제 2 분할선(1300)은 제 2 기준점(13)을 포함하고 안내 곡선(336)을 교차한다. 제 2 분할선(1300)은 기준축(1100)에 수직이다. 안내 곡선(336)은 볼록 형상이고 제 1 및 제 2 분할선(1200, 1300) 사이에 적어도 만곡된 부분(1400)(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6에 도시됨)을 갖는다.
도 16에는 도 15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은 제 2 평면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기준축(1100), 제 1 분할선(1200) 및 제 2 분할선(1300)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기준축(1100) 및 제 1 분할선(1200)은 제 1 기준점(11)에서 교차한다. 기준축(1100) 및 제 2 분할 라인(1300)은 제 2 기준점(13)에서 교차한다. 제 1 분할선(1200)과 제 2 분할선(1300) 사이에서 볼록 곡선(336)은 만곡된 부분(1400)을 갖는다. 만곡된 부분(1400)은 노이즈 감소에 대해 유리하다. 만곡된 부분은 또한 회전하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에 의해 유도된 2개의 와류 사이의 블렌딩 재료의 적절한 교환에 대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는 블렌딩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를 갖고, 용기는 제 1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를 수용하는 제 1 부분으로서, 이 제 1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는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한 제 1 부분과, 제 1 부분과 유체 연통하는 제 2 부분을 갖고, 제 2 부분은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갖고, 제 1 기준점이 제 2 부분 내에 그리고 제 1 회전축 상에 위치되고, 제 2 기준점이 제 2 부분 내부에 그리고 제 2 회전축 상에 위치되고, 제 1 평면은 제 1 기준점 및 제 2 회전축을 포함하고, 제 1 평면에 수직인 제 2 평면은 제 1 및 제 2 기준점을 포함하고, 안내면 및 제 2 평면의 단면은 안내면 상에 폐쇄형 안내 곡선을 형성하고, 안내 곡선의 기준축은 제 1 및 제 2 기준점을 포함하고, 제 1 분할선은 제 1 기준점을 포함하고 안내 곡선을 교차하고, 제 1 분할선은 기준축에 수직이고, 제 2 분할선은 제 2 기준점을 포함하고 안내 곡선을 교차하고, 제 2 분할선은 기준축에 수직이고, 안내 곡선은 볼록 형상이고 제 1 및 제 2 분할선 사이에 적어도 만곡된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상기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이거나 설명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의 원주가 전술된 것과 수학적인 관계로부터 약간 상이하거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가 2개 초과의 블레이드를 각각 갖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러한 다른 변형은 도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수단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에 인용되는 사실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1: 블렌더 시스템 2: 제 1 부분
3: 용기 4: 제 2 부분
6, 8: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 10, 12: 회전축
14, 16: 부분 실린더 18: 안내면
20: 곡선 26: 제 1 점
28: 제 2 점 30: 직선
32, 34: 오목부 36, 38, 40: 초-타원 곡선
42, 44: 직선 세그먼트 60, 62: 브레이드 부재 조립체
64: 챔버 72, 74: 인레이
75: 내부면 76: 벽
300, 302, 304: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 306, 308, 310: 회전축
312, 314, 316: 벽부 318, 320, 322: 벽부
324: 안내면 332: 안내면
333: 곡선
344, 346, 348, 350, 352, 354: 점 368: 표면

Claims (12)

  1. 블렌딩될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3)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1)으로서,
    상기 용기(3)는,
    - 상기 재료를 블렌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6, 8, 60, 62, 300, 302, 304)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부분(2)으로서, 상기 조립체들(6, 8, 60, 62, 300, 302, 304)은 각각의 회전축들(10, 12)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한 상기 제 1 부분(2)과,
    - 상기 제 1 부분(2)을 통한 그리고 상기 조립체들(6, 8, 60, 62, 300, 302, 304)을 따른 상기 재료의 유동을 유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제 2 부분(4)으로서, 상기 제 2 부분(4)은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18)을 갖는 상기 제 2 부분(4)을 포함하는 상기 블렌더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들을 포위하는 안내면(324)의 단면(333)은 그 주위를 따라 유동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주위를 따른 연속적으로 변하는 방향의 접선(334)을 갖는 볼록형 폐쇄형 곡선(3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2)은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6, 8)을 수용하고, 직선(30)이 제 1 점(26) 및 제 2 점(28) 내의 볼록형 곡선(20)을 교차하게 규정 가능하고, 상기 제 1 점과 상기 제 2 점 사이의 거리(22)는 상기 직선(30)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곡선의 임의의 치수(24)를 초과하는 블렌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60, 62)은 제 1 및 제 2 회전축(10, 12)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고, 상기 직선(30)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10, 12)을 교차하는 다른 직선(31, 52)에 평행한 블렌더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곡선의 각각의 점은 초-타원 곡선으로의 1 mm 미만의 최단 거리를 갖고, 이 초-타원 곡선은
    Figure pct00003

    인 점들의 세트(x,y)에 의해 규정 가능한 블렌더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곡선은 각각 2개 또는 4개의 만곡된 부분들에 의해 대칭으로 결합된 2개 또는 4개의 직선 세그먼트들(42, 44)을 포함하고, 상기 만곡된 부분들은 원형 또는 초-타원형 형태인 블렌더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곡선은 타원인 블렌더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60, 62)은 그 저부측에서 제 1 부분 내에 형성된 챔버(64) 내에 수용되고, 상기 챔버(64)는 사용 중에 중력의 작용 하에서 재료들의 블렌드를 수집하고, 이에 의해 상기 블렌드는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의 작용 영역 내로 안내되는 블렌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양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60, 62)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들(94, 96, 98, 100)을 갖고, 각각의 블레이드는 그 회전축(10, 1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원격인 단부에 블레이드 팁(102, 104, 106, 108)을 갖고, 상기 챔버(64)는 제 1 및 제 2 벽부(114, 116)를 갖고, 이 제 1 및 제 2 벽부들(114, 116)은 사용 중에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의 팁들(102, 104, 106, 108)에 의해 묘사되어 사용 중에 상기 팁들과 협동하는 궤도들(110, 112)에 합치하여 배열되는 블렌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들(114, 116)은 함께 결합되어 이에 의해 중력의 영향 하에서 상기 블레이드 부재 조립체들(60, 62)을 향해 성분들의 블렌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동 가이드(123)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들은 상호 협동 근접도(118)로 배열되는 블렌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들은 개방된 숫자 8(figure 8)의 형태로 상기 조립체들 주위의 배열로 위치되는 블렌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인레이(72, 74)가 상기 조립체들 주위에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인레이는 제 1 용기부의 내부면과 정합하는 외주부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의 제 1 및 제 2 부분은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률(368)의 표면에 의해 연결되는 블렌더 시스템.
KR1020107029494A 2008-05-30 2009-05-25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KR101611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7261A EP2127735A1 (en) 2008-05-30 2008-05-30 Blender system having a container
EP08157261.2 200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990A true KR20110021990A (ko) 2011-03-04
KR101611604B1 KR101611604B1 (ko) 2016-04-12

Family

ID=3986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494A KR101611604B1 (ko) 2008-05-30 2009-05-25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156011B2 (ko)
EP (2) EP2127735A1 (ko)
JP (1) JP5543437B2 (ko)
KR (1) KR101611604B1 (ko)
CN (2) CN102046277B (ko)
AT (1) ATE546219T1 (ko)
BR (1) BRPI0909584B1 (ko)
DE (1) DE202009006850U1 (ko)
MX (1) MX2010012901A (ko)
PL (1) PL2288435T3 (ko)
RU (1) RU2516410C2 (ko)
WO (1) WO2009144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7735A1 (en) * 2008-05-30 2009-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lender system having a container
RU2505349C1 (ru) * 2012-07-25 2014-01-27 Василий Агафонович Лотов Центробежный смеситель
US20160278425A1 (en) * 2015-03-23 2016-09-29 Ya Horng Electronic Co., Ltd. Juice extractor
US9968223B2 (en) 2015-06-12 2018-05-15 Sunbeam Products, Inc. Blending appliance with paddle blade
JP6862765B2 (ja) * 2016-10-31 2021-04-21 東ソー株式会社 攪拌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攪拌分注装置
CN109381075B (zh) * 2017-08-14 2022-03-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机座组件及食物处理机
CN108854663A (zh) * 2018-07-03 2018-11-23 安徽万纳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印刷uv油墨的恒温搅拌装置
KR102611520B1 (ko) * 2018-12-13 2023-12-1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응집현상 방지용 다축 플래니터리 교반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882C (de) * 1923-05-03 Lauenstein & Co G M B H Reib-, Misch- und Knetmaschine
DE417549C (de) 1925-01-16 1925-08-11 Josef Halsig A Verfeinerungsmaschine fuer Schokolade
DE1782115U (de) * 1958-11-22 1959-01-29 Ernst Schempf Vorrichtung zur klarhaltung eines rueckspiegels,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CH382130A (fr) * 1958-12-12 1964-09-30 Hercules Powder Co Ltd Procédé et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continue de nitrocellulose
DE1160801B (de) * 1963-03-23 1964-01-09 Willi Maehler Vorrichtung zum chargenweisen Bereiten von Formgebaeckteigen und Aufgeben des Teiges an die Formmaschine
FR1438493A (fr) * 1965-03-31 1966-05-13 Creusot Forges Ateliers Enceinte comportant un dispositif agitateur interne
US3342425A (en) * 1965-11-01 1967-09-19 Black Clawson Co Paper machinery
AT310426B (de) * 1968-07-20 1973-09-25 Dierks & Soehne Maschine zum Mischen und Aufbereiten von pulverigen, körnigen oder kleinstückigen Stoffen, insbesondere Kunststoffen
JPS5122218A (en) * 1974-08-16 1976-02-21 Shimizu Construction Co Ltd Kosotatemonono jikukumikako
DE2442497B2 (de) * 1974-09-05 1978-05-11 Helmut 6340 Dillenburg Weiss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dünnwandigen Kunststoffabfällen zu Kunststoff granulat
US4256407A (en) 1975-12-16 1981-03-17 Maurice Seiderman Culinary mixer and disintegrator
SU697092A1 (ru) * 1978-05-11 1979-11-15 Опыт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Сибирск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 Проек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Животноводства Со Всесоюзно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Академи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Наук Им. В.И. Ленина Измельчитель-смеситель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
JPS618432U (ja) * 1984-06-23 1986-01-18 三和機材株式会社 ミキサ
US4911557A (en) * 1988-10-24 1990-03-27 Black & Decker, Inc. Dual-spindle blender with provision for small charge
JPH0630263Y2 (ja) * 1989-08-10 1994-08-17 花王株式会社 反応機
JPH04168581A (ja) * 1990-11-01 1992-06-16 Sony Corp 超楕円の近似曲線生成方法
DE4223612A1 (de) * 1992-07-17 1994-01-20 Premonex Consulting Lt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Gemischen, Lösungen, Emulsionen, Suspensionen und dergleichen
US5323973A (en) * 1993-04-20 1994-06-28 Ferrara Jr Daniel A Kitchen blender
JP3654813B2 (ja) * 2000-03-24 2005-06-02 株式会社ラブアース・テクノロジー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2193328A (ja) * 2000-12-26 2002-07-10 Toshiharu Osaka 建築用流体材料の包装・混練システムとその器材
JP4086137B2 (ja) 2002-06-28 2008-05-14 株式会社リコー 二軸撹拌装置
US6981795B2 (en) * 2003-07-25 2006-01-03 Sylmark Holdings Limited Multiple blade blender apparatus
KR100709946B1 (ko) 2005-04-29 2007-04-25 주식회사 한성기공 교반장치
US20090161482A1 (en) * 2007-12-21 2009-06-25 Hamilton Beach Brands, Inc. Mixing device configured to mix foodstuff
EP2127735A1 (en) * 2008-05-30 2009-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lender system having a container
EP2127577A1 (en) * 2008-05-30 2009-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blender system having a cutter assembly
CN102058312B (zh) * 2009-11-13 2013-05-22 深圳市牧人电器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多刀多轴果蔬搅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2693A (ja) 2011-08-04
EP2288435B1 (en) 2012-02-22
KR101611604B1 (ko) 2016-04-12
MX2010012901A (es) 2010-12-21
CN102046277A (zh) 2011-05-04
BRPI0909584A2 (pt) 2017-10-24
ATE546219T1 (de) 2012-03-15
RU2516410C2 (ru) 2014-05-20
PL2288435T3 (pl) 2012-07-31
EP2288435A1 (en) 2011-03-02
RU2010154471A (ru) 2012-07-10
DE202009006850U1 (de) 2009-08-20
US9156011B2 (en) 2015-10-13
BRPI0909584B1 (pt) 2019-04-24
BRPI0909584A8 (pt) 2017-12-12
WO2009144651A1 (en) 2009-12-03
CN201537466U (zh) 2010-08-04
EP2127735A1 (en) 2009-12-02
US20110063944A1 (en) 2011-03-17
CN102046277B (zh) 2014-02-05
JP5543437B2 (ja)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1990A (ko) 용기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US7398938B2 (en) Conical refiner plates with logarithmic spiral type bars
US20110110185A1 (en) Container for a blender
US8657486B2 (en) Beater for mixing
CN104042131B (zh) 用于食品制备设备的容器和叶片装置
JP6155157B2 (ja) 攪拌装置
CN102056527B (zh) 旋转搅拌器和与旋转搅拌器一起使用的厨房器具
JP6207091B2 (ja) 攪拌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107007127B (zh) 可动构件和电饭锅
US20160192810A1 (en) Free floating mixing blade
CN110479152A (zh) 一种适用于高粘流体混合的导流式搅拌装置
CN116867574A (zh) 胶体磨
CN106076521A (zh) 一种混合机
JP3768351B2 (ja) 竪型撹拌装置
KR101948776B1 (ko) 절삭 커터
JP2022142181A (ja) 撹拌機
CN208447343U (zh) 豆浆机
EP3753628A1 (en) Device for mixing powder and at least one other type of phase and method
JP2022089638A (ja) 連続式粉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